KR20190073388A - 폴리에스테르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388A
KR20190073388A KR1020197011786A KR20197011786A KR20190073388A KR 20190073388 A KR20190073388 A KR 20190073388A KR 1020197011786 A KR1020197011786 A KR 1020197011786A KR 20197011786 A KR20197011786 A KR 20197011786A KR 20190073388 A KR20190073388 A KR 20190073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mount
added
polyester
hindered phe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959B1 (ko
Inventor
쥐안 청
리쥔 바이
빈빈 천
코우이치 단
준이치 나카가와
요이치로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72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08G63/86Germanium, antimony,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08G63/86Germanium, antimony, or compounds thereof
    • C08G63/866Antimony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개시된 폴리에스테르는, 주 구성성분으로서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 및 지방족 디올과, 공중합 성분으로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의해 형성된 폴리머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2000~30000g/몰이고, 공중합 비율은 25~55중량%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종래의 방적 방법에 의해 개별 방적 또는 다른 성분과의 복합 방적을 통해 제작된 섬유,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로 제작된 가연 필라멘트 및 섬유 구조물은 우수한 흡습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편안함 및 품질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본 발명은 흡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는 그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섬유, 필름, 플라스틱의 분야에 있어서 다양한 용도를 갖는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의 규칙적인 구조 및 강한 소수성으로 인하여, 면 또는 삼과 같은 천연 섬유와 비교했을 때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흡수성 및 흡습성이 부족하여, 흡습성의 환경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용도가 크게 제한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얻어진 텍스타일로 몸에 밀착되는 의류를 제작했을 때,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흡수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무더운 열감을 부여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여름 의류에 사용하기에는 특히 부적합하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부족한 흡수성 및 흡습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방법이 당업자들에 의해 시도되어 왔다. 예를 들면, 주로 섬유의 표면을 다공질로 하기 위해서 섬유의 표면을 개질한 다음, 모세관 원리로 섬유의 흡습성을 개선시킨다. 또한, 섬유 표면의 개질은 방전 처리, 광 그래프트 개질 및 저온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 의해 얻어진 섬유를 직물로 제작한 후에는, 발한 상태 등에서의 찌는듯한 느낌을 저감하는 효과가 좋지 않고, 또한 면 또는 마와 같은 천연 섬유에 의한 것과 같은 청량감의 느낌이 없다. 이들 방법 이외에, 섬유 표면에 친수성 필름을 코팅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은 섬유와 필름 간의 친화성이 부족하고, 세탁후 내구성이 부족한 문제를 갖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화학적으로 그래프트화함으로써 섬유의 흡습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에 대해 15% 정도로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그래프트 공중합 후, 나트륨 이온교환 처리를 행하여, 면과 등가의 수분 흡수율을 얻는다. 그러나, 상기 섬유는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너무 느리고,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기본 특성이 크게 손상됨으로써, 근본적으로 이용 가치가 없고 또한 공업적 생산도 아직 되어 있지 않다.
또한, 고분자량 폴리에테르 화합물이 흡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지만, 고분자량 폴리에테르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와 완전히 공중합되지 않고, 그들의 대부분이 상 분리된 상태로 폴리에스테르 중에 존재함으로써, 이것이 용융되어 유지되었을 경우에 폴리머를 조대화되어 불안정한 상분리 구조체의 형성이 야기되고, 또한 중합 반응 종료 후 토출 및 방적시 방사 구금으로부터의 토출이 불안정하여, 그 결과 큰 섬도 얼룩과 염색 얼룩, 및 보풀이 생기게 된다. 일본특허공개 2007-70467호에서는 특정한 PEG와 PET의 공중합을 이용하여, PET의 수분 흡수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PEG의 첨가량이 너무 적으면, 높은 흡습성이 얻어지지 않아서 다량의 첨가량이 요구되고, 그 결과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형성 후 섬유의 기본 특성이 상실되고, 내열성, 내열수성 및 산화열 발생 내성이 크게 열화됨으로써 이용 가치가 매우 낮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방적에 의해 얻어진 섬유는 우수한 내열수성 및 산화열 발생 내성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주 구성성분으로서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 및 지방족 디올과, 공중합 성분으로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의해 형성된 폴리머인 폴리에스테르로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2000~30000g/몰이고, 공중합 비율은 25~55중량%이고,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식 1
식 중, R1은 탄화수소, 산소 및 질소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기이고; R2는 수소, 탄화수소, 산소 및 질소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기이다.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폴리에스테르의 총 중량에 대해서 1.0~8.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산화방지제 3,9-비스[1,1-디메틸-2-[(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파노일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또는 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1,3,5-트리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식 2
Figure pct00003
식 3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5~55중량%이다.
지방족 디올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이고; 지방족 디올이 에틸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4,000~30,000g/몰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높은 공중합 비율을 갖고, 폴리에스테르 칩은 흡습성이 우수하고,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염색 전후의 수분 흡수율의 차가 작다. 한편, 폴리에스테르는 양호한 내열성, 우수한 항황변성, 및 높은 이용 가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주 모노머로서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 및 지방족 디올과, 공중합 성분으로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이고, 양호한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트륨 이소프탈레이트-5-술포네이트, 리튬 이소프탈레이트-5-술포네이트, 5-(테트라알킬)-이소프탈레이트술포네이트 포스포러스 화합물,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을 구체적으로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중에서도 테레프탈산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헥산디올, 시클로헥산 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헥사메틸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구체적으로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1,4-부탄디올이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의 접근성이 바람직하다.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 에틸렌글리콜이 더욱 바람직하고; 결정성의 관점에서 1,4-부탄디올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성분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폴리에스테르가 결정성을 갖는 범위 내에서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은 25~55중량%이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의 토출 특성이 불량족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이 55중량%를 초과하면,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섬유의 물리적 특성이 열화된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이 25~35중량% 사이인 경우,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는 통상의 토출 특성을 가지므로, 보다 우수한 토출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얻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이 35~55중량%인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범위는 폴리에스테르의 조성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성분의 지방족 디올이 에틸렌글리콜인 경우에, 폴리에스테르의 분자량이 너무 낮으면, 높은 중합 온도로 인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열화가 극심하고, 또한 최종 폴리에스테르 또는 형성된 섬유조차도 수분 흡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의 구성 성분인 지방족 디올이 1,4-부탄디올인 경우에, 상기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낮은 중합 온도 때문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열화가 비교적 덜 심각하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의 흡습성 및 섬유 형성 후의 흡습성도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족 디올이 에틸렌글리콜인 경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4,000~30,000g/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은 35~5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이 4,000g/몰 이상인 경우, 폴리에스테르는 높은 흡습성을 갖고, 흡습성이 우수한 섬유가 각각의 방적 또는 복합 방적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의 결정성의 저하 및 외삽 용융 개시 온도의 저하가 억제될 수 있고, 또한 폴리에스테르의 방적 후에 필라멘트 파손 및 보풀의 발생이 저감되기 때문에, 프로세스 통과성이 우수하여, 직물 또는 편직물과 같은 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염색 얼룩 및 보풀의 발생이 저감되므로, 품질이 우수하다. 한편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이 30,000g/몰 이하인 경우에, 중축합 반응성이 높아서 미반응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저감되므로, 염색과 같은 열수 처리시에 열수로의 용리가 억제될 수 있어서, 열수 처리 후에 흡습성이 유지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5,000g/몰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g/몰 이하이다.
한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이 35중량% 이상인 경우, 폴리에스테르는 높은 흡습성을 갖고, 흡습성이 우수한 섬유가 개별 방적 또는 복합 방적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한편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이 55중량% 이하인 경우, 폴리에스테르의 방적 후 필라멘트 파손 및 보풀의 발생이 저감되어, 프로세스 통과성이 좋고, 또한 직물 또는 편직물과 같은 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염색 얼룩 및 보풀의 발생이 저감되므로, 품질이 우수하다. 한편, 염색과 같은 열수 처리시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용리가 억제될 수 있어서, 열수 처리 후의 섬유의 흡습성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족 디올이 1,4-부탄디올인 경우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2,000~30,000g/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은 35~5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이 2,000g/몰 이상인 경우에, 폴리에스테르는 높은 흡습성을 갖고, 흡습성이 우수한 섬유가 개별 방적 또는 복합 방적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의 결정성의 저감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이 2,000g/몰 이상인 경우에, 폴리에스테르의 결정성의 감소 및 외삽 용융 개시 온도의 저감이 억제될 수 있고, 연신 및 가연 처리시 필라멘트의 파손 및 보풀의 발생이 저감되어, 프로세스 통과성이 좋고, 또한 직물 또는 편직물과 같은 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염색 얼룩 및 보풀의 발생이 저감됨으로써, 품질이 우수하다. 한편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이 30,000g/몰 이하인 경우에, 중축합 반응성이 높아서, 미반응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저감되고, 따라서 염색과 같은 열수 처리시에 열수에의 용리가 억제될 수 있어서, 열수 처리 후에 흡습성이 유지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7,000g/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0g/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00g/몰 이하이다. 한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이 35중량% 이상인 경우, 폴리에스테르는 높은 흡습성을 갖고, 흡습성이 우수한 섬유가 개별 방적 또는 복합 방적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한편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이 55중량% 이하인 경우, 연신 및 가연 처리시 필라멘트의 파손 및 보풀의 발생이 저감되어, 프로세스 통과성이 좋고, 또한 직물 또는 편직물과 같은 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염색 얼룩 및 보풀의 발생이 저감되므로 품질이 우수하다. 한편, 염색과 같은 열수 처리시에 열수에의 용리가 억제될 수 있어서, 열수 처리 후에 흡습성이 유지될 수 있다.
다량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에테르 결합이 가열에 의해 산화 분화되어, 섬유 형성후 폴리에스테르의 흡습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시,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가 일반적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로 섬유를 제작한 후 고온 염색 공정 동안에 산화 분해된 에테르 결합 라디칼이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페놀성 히드록실기의 파라 위치를 공격하여 퀴논 황색 물질을 형성한다.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NO2와의 반응 후 황색 물질이 형성됨으로써, 섬유의 질소-산소 견뢰도가 부적합하게 되고, 섬유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인 경우에,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첨가량은 일반적으로 소량이어서, 상기 황변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황변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본 발명은 열적 산화분해에 의해 에테르 결합 라디칼이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데,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페놀성 히드록실기의 오르토 위치가 메틸이고, 입체 장해 효과가 비교적 작아서, 에테르 결합 라디칼이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페놀성 히드록실기의 메타 위치를 공격하여, 황색의 안트라퀴논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Figure pct00004
식 1
식 중, R1은 탄화수소, 산소 및 질소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기이고; R2는 수소, 탄화수소, 산소 및 질소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기이다.
본 발명의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3,9-비스[1,1-디메틸-2-[(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파노일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또는 1,3,5-트리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첨가량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양에 따라 다르고, 최종 폴리에스테르 중의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8.0중량%이다.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함유량이 너무 낮으면, 폴리에스테르에 의해 형성된 섬유의 내산화성이 부족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산화 분해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흡습성이 저하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함유량이 너무 높으면, 폴리에스테르 섬유도 산화방지제 자체의 분해로 인하여 황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화합물이고, 그 수분 흡수율차(ΔMR)는 13.0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분 흡수율차(ΔMR)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폴리에스테르는 종래의 방적 방법으로 개별적으로 방적되거나, 또는 다른 성분 폴리머와 함께 복합 방적되어, 흡습성이 우수한 섬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래의 개별 방적 또는 복합 방적 방법에 의해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얻어진 섬유의 섬유 컬러 L값은 비열수 처리와 비교하여 130℃에서의 열수 처리 후 6 이하, 바람직하게는 4이다. 한편으로, 질소 산소 견뢰도 테스트 후의 섬유는 섬유 컬러 황변값(ΔYI)이 1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이하이다. ΔYI가 7.5 이하이면, 질소 산소 견뢰도가 4~5급에 도달하고, ΔYI가 7.5 이상이면, 질소 산소 견뢰도가 4급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합성에 있어서, 티타늄 원소 또는 안티몬 원소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촉매로서 첨가되어도 좋다. 타타늄 함유 촉매의 촉매 활성이 높기 때문에, 부반응이 쉽게 촉진되어, 최종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색조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티타늄 함유 촉매가 선택되는 경우, 그 첨가량은 티타늄 원소 환산 폴리에스테르 10~150ppm과 등가의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 조절된다. 안티몬 원소의 화합물이 촉매로서 사용되는 경우, 그 첨가량은 안티몬 원소 환산 폴리에스테르 150~300ppm과 등가의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 조절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합성에 있어서, 각종의 보조 개질제도 첨가될 수 있다. 보조 개질제로는 다른 형태의 산화방지제, 상 용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항균제, 핵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소광제, 소포제, 염료, 안료, 향료 등이 구체적으로 예시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조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외삽 용융 개시 온도는 180℃ 이상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외삽 용융 개시 온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계산된 값을 의미한다. 복수의 용융 피크가 관찰되는 경우, 가장 낮은 온도를 갖는 용융 피크로부터 계산된다. 폴리에스테르의 외삽 용융 개시 온도가 180℃ 이상인 경우에, 그 폴리에스테르가 섬유로 형성되면 필라멘트 파손 및 보풀의 발생이 저감되어 프로세스 통과성이 좋고, 직물 또는 편직물과 같은 섬유 구조물을 형성하면, 염색 얼룩 및 보풀의 발생이 저감되므로, 품질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얻어진 섬유는 종래의 방적 방법에 따라 개별 방적하거나 또는 다른 성분과 복합 방적함으로써 얻어진 섬유, 및 가연 필라멘트 또는 상기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물은 흡습성이 우수하다. 그러므로, 편안함 및 품질이 요구되는 용도, 예를 들면 범용 의류 용도, 스포츠 의류 용도, 침구 용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용도, 재료의 용도 등에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각의 특징값은 하기 방법에 의해 테스트했다.
A. 폴리에스테르와 섬유 간의 수분 흡수율차(ΔMR)
폴리에스테르와 섬유를 샘플로서 사용하여, 열풍 중에서 60℃에서 30분간 건조한 다음, 폴리머(W1)의 중량을 특정하기 위해서 ESPEC제의 항온항습기 LHU-123 중에 온도 20℃ 및 습도 65%RH에서 24시간 방치하고; 계속해서, 항온항습기 중에 온도 30℃ 및 습도 90%RH에서 24시간 방지시키고, 폴리머의 중량을 (W2)로 측정했다. 그 다음, 105℃의 열풍으로 2시간 건조하고, 절대 건조 후 폴리머의 중량을 (W3)으로서 측정했다. 하기 일반식에 따라, 절대 건조 상태로부터 분위기 20℃ 및 습도 65%RH 중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의 수분 흡수율 MR1(%)을 폴리머의 중량(W1) 및 중량(W3)으로부터 계산하고, 또한 하기 일반식에 따라, 절대 건조 상태로부터 분위기 30℃ 및 습도 90%RH 중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수분 흡수율 MR2(%)를 폴리머의 중량(W2) 및 중량(W3)으로부터 계산한 다음, 하기 일반식에 따라 수분 흡수율차(ΔMR)를 계산했다. 또한, 1개의 샘플에 대해 5회의 측정을 행하고, 평균치를 수분 흡수율차(ΔMR)로 했다.
MR1(%) = {(W1-W3)/W3} × 100,
MR2(%) = {(W2-W3)/W3} × 100,
수분 흡수율차(ΔMR)(%) = MR2-MR1.
B. 섬유의 열수 황변 성능
실시예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를 종래의 방법으로 개별 방적 또는 다른 성분과 복합 방적하여 섬유를 형성하고, 이 섬유를 130℃에서 20분간 열수 처리하고, 얻어진 샘플을 색차계(USTC-datacolor)에 위치시켰다. L값을 측정하여 L2로 하고, 열수 처리 전의 L값을 측정하여 L1로 하고, L2-L1이 열수 처리 황변값이었다.
C. 섬유 황변값의 테스트
실시예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를 종래의 방법으로 개별 방적 또는 다른 성분과 복합 방적하여 테스트 샘플로서의 섬유를 형성했다. NOx 가스 발생제(85% 인산 및 2% 질산 수용액)를 밀폐 용기에 넣은 다음, 상기 샘플과 청색 표준 염료를 용기에 배치했다. 청색 표준 천의 컬러가 표준 회색 보드 No.3으로 바래면, 청색 표준 염색천을 교체했다. 그 색이 표준 회색 보드 No.3으로 다시 도달하면, 샘플을 꺼내고, 2회 세척하고, 건조했다. 황변값을 Datacolor 650 분광광도계로 측정했다.
D.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 (에테르 결합에 있어서의 H의 피크 면적/에테르 결합에 있어서의 H의 수*폴리에테르 화합물의 구조단위의 분자량)/[(에테르 결합에 있어서의 H의 피크 면적/에테르 결합에 있어서의 H의 수*폴리에테르 화합물의 구조단위의 분자량)+(나트륨 술포네이트를 함유하는 이소프탈산에 있어서의 H의 피크 면적/3*나트륨 술페이트를 함유하는 이소프탈산에 의해 형성된 에스테르의 분자량)+PTA에 있어서의 H의 피크 면적/4*PET의 분자량+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의 EG 단위 구조의 H의 피크 면적/4*EG 단위 구조의 분자량].
E.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Mn)
플라스크에 샘플 50g을 칭량하고, 암모니아수 1mL와 함께 밀봉하고, 120℃에서 3시간 가열했다. 냉각 후, 샘플을 분쇄하고 120℃에서 추가로 2시간 가열했다. 냉각 후, 증류수 1mL 및 6M 염산 1.5mL를 첨가하고, 5mL 메스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체적을 조정했다. 원심 분리(3,500rpm×10분) 후, 0.45㎛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행하고, 얻어진 여액을 GPC 테스트를 행했다. 이 샘플은 하기의 조건하에서 GPC 테스트(Waters제의 Alliance 2690)를 행했다. 분자량 1800 이하의 것은 불순불로부터 분리될 수 없었고, 그 외의 수 평균 분자량의 것이 측정되었다:
검출기: 감도 128×의 TOSOH, Japan제의 RI-8020
컬럼: TOSOH, Japan제의 TSKgelG3000PWXL I
용제: 0.1M 염화나트륨 수용액
주입량: 200㎛
컬럼 온도: 40℃
표준 물질: 폴리에틸렌글리콜(Mn 106~101000g/몰, AMR Co., Ltd.제).
F.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함유량
전처리: 폴리에스테르 8g을 용제 톨루엔 150mL로 35분간 순환 처리하고; 처리 후 100℃로 냉각한 다음, 원심 분리 튜브에 붓고; 그 다음 원심 분리를 행하고, 상층액을 0.45㎛ 필터로 여과하고; 그 다음 메탄올로 희석하고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얻고; 최종적으로 이것에 내부 표준을 첨가하고, 0.45㎛ 필터로 여과하고 HPLC로 측정했다.
HPLC 분석: 이동상 A/B: 메탄올/물(12%); 유속: 1.3ml/분; 컬럼 온도: 40℃; UV 파장: 284nm; 시간: 15분.
G. 외삽 용융 개시 온도
심 성분인 폴리머 및 초 성분인 폴리머, 및 실시예에서 얻어진 섬유를 샘플로서 사용하고, 외삽 용융 개시 온도를 TA Instruments제의 Q2000형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우선, 샘플 5mg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승온 속도 50℃/분으로 0℃로부터 280℃까지 가열하고, 열이력을 제거하기 위해서 280℃에서 5분간 유지했다. 그 후, 그 혼합물을 280℃로부터 0℃로 급랭하고, 속도 3℃/분으로 0℃로부터 280℃까지 더 가열했다. 설정 온도를 ±1℃만큼의 범위로 변경하고, 온도 변화 사이클을 60초간 행한 다음, 온도를 승온하여 TMDSC를 측정했다. 외삽 용융 개시 온도를 JIS K7121:1987(플라스틱의 전이 온도 측정 방법) 9.1의 기준에 따라 제 2 승온 공정 동안 관찰된 융점 피크로부터 계산했다. 1개의 샘플에 대해서 3회의 측정을 행하고, 평균치를 외삽 용융 개시 온도로서 사용했다. 또한, 복수의 용융 피크가 관찰되었을 경우, 외삽 용융 개시 온도는 최저 온도측 상의 용융 피크로부터 계산된다.
실시예 1
테레프탈산 10.9kg 및 에틸렌글리콜 4.7kg을 에스테르화 케틀에 넣고, 그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30℃로 가열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한 다음, 중축합 케틀로 옮겼다. 폴리에틸렌글리콜 8300(수 평균 분자량 8300g/몰의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8300이라고 약칭함)을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해서 35중량%의 양으로, 중합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을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해서 안티몬 원소 환산 총 함유량 250ppm으로, 안정화제인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최종 폴리에스테르 총량에 대해서 250ppm의 양으로 첨가했다. 5분 후, 285℃의 최종 온도에 도달하도록 감압하에서 승온시키고, 최종 압력에 도달했을 때, 상기 반응계에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1,3,5-트리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CN1790)을 최종 폴리에스테르 총량에 대해서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10분간 교반후, 상기 반응계에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대기압으로 복귀시키고, 중축합 반응을 종료하여 코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상기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칩을 제사 속도 3Km/분으로 용융 방적하여 선배향된 필라멘트를 얻었다. 그 다음, 얻어진 선배향된 필라멘트를 하기 조건하에서 가연사 처리를 행하여, 높은 흡습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얻었다: 제 1 히터 온도가 180℃이고, 제 2 히터 온도가 실온이고, 연신비가 1.7이다. 폴리에스테르 및 섬유의 특정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PEG 8300을 4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1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실시예 3
PEG 11000(수 평균 분자량 11,000g/몰)을 3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실시예 4
PEG 20000(수 평균 분자량 20,000g/몰)을 3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실시예 5
PEG 30000(수 평균 분자량 30,000g/몰)을 3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실시예 6
PEG 8300을 3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3.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실시예 7
PEG 8300을 3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실시예 8
PEG 8300을 3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3,9-비스[1,1-디메틸-2-[(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판오일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AO80)을 1.6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실시예 9
PEG 8300을 3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4.7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실시예 10
PEG 8300을 3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8.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실시예 11
PEG 8300을 3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실시예 12
PEG 8300을 27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0.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실시예 13
테레프탈산 10.9kg 및 1,4-부탄디올 11.8kg을 에스테르화 케틀에 넣고, 촉매인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를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해서 450ppm의 양으로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30℃로 가열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한 다음, 중축합 케틀로 옮겼다. 폴리에틸렌글리콜 3400(수 평균 분자량 3400g/몰의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3400이라고 약칭함)을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해서 45중량%의 양으로, 촉매인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를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해서 900ppm의 양으로, 또한 안정화제인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최종 폴리에스테르 총량에 대해서 250ppm의 양으로 첨가했다. 5분 후, 285℃의 최종 온도에 도달하도록 감압하에서 승온시키고, 최종 압력에 도달했을 때, 상기 반응계에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1,3,5-트리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CN1790)을 최종 폴리에스테르 총량에 대해서 1.3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10분간 교반후, 상기 반응계에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대기압으로 복귀시키고, 중축합 반응을 종료하여 코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상기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칩을 제사 속도 3Km/분으로 용융 방적하여 선배향된 필라멘트를 얻었다. 그 다음, 얻어진 선배향된 필라멘트를 하기 조건하에서 가연사 처리를 행하여, 높은 흡습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얻었다: 제 1 히터 온도가 180℃이고, 제 2 히터 온도가 실온이고, 연신비가 1.7이다. 폴리에스테르 및 섬유의 특정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PEG 3400을 5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4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2를 참조한다.
실시예 15
PEG 3400을 58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8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2를 참조한다.
실시예 16
PEG 11000을 5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산화방지제 CN1790을 1.4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2를 참조한다.
실시예 17
PEG 20000을 5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4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2를 참조한다.
실시예 18
PEG 3400을 5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4.2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2를 참조한다.
실시예 19
PEG 3400을 5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8.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2를 참조한다.
실시예 20
PEG 3400을 5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3,9-비스[1,1-디메틸-2-[(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판오일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AO80)을 2.2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2를 참조한다.
실시예 21
PEG 3400을 5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6.6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2를 참조한다.
실시예 22
PEG 3400을 5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8.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2를 참조한다.
실시예 23
PEG 34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0.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2를 참조한다.
실시예 24
테레프탈산 10.9kg 및 에틸렌글리콜 4.7kg을 에스테르화 케틀에 넣고, 그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30℃로 가열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한 다음, 중축합 케틀로 옮겼다. 폴리에틸렌글리콜 8300(수 평균 분자량 8300g/몰의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8300이라고 약칭함)을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해서 35중량%의 양으로, 중합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을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해서 안티몬 원소 환산 총 함유량 250ppm으로, 안정화제인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최종 폴리에스테르 총량에 대해서 250ppm의 양으로 첨가했다. 5분 후, 285℃의 최종 온도에 도달하도록 감압하에서 승온시키고, 최종 압력에 도달했을 때, 상기 반응계에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1,3,5-트리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CN1790)을 최종 폴리에스테르 총량에 대해서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10분간 교반후, 상기 반응계에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대기압으로 복귀시키고, 중축합 반응을 종료하여 코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섬성분으로서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및 해성분으로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IV=0.66)를 150℃에서 12시간 동안 개별적으로 진공 건조시키고, 이들을 해성분 80중량%에 대해 섬성분 20중량%의 비율로 스크류형 복합 방적기에 공급하여 용융시켰다. 해도형 복합 방사구금(1개의 토출구 내에 24개의 섬)을 이용하여, 방적 온도 285℃, 토출량 36g/분의 조건 하에서 방적사를 얻었다. 방적사를 풍온 20℃ 및 풍속 20m/분의 냉각풍 하에서 냉각한 다음, 오일 공급 장치에 의해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합치고, 2500m/분으로 롤러의 제 1 세그먼트에 연신하고, 롤러의 제 1 세그먼트와 동일한 속도로 롤러의 제 2 세그먼트에 권취하여 144dtex-36f의 미연신 필라멘트를 얻었다. 그 다음, 연신 및 가연 장치(꼬임부: 마찰 디스크형, 히터부: 접촉형)를 이용하여, 얻어진 미연신 필라멘트를 170℃의 히터 온도 및 1.7의 비율로 가연을 행하여, 84dtex-36f의 가연신 필라멘트를 얻었다.
섬유 특성, 직물 특성 및 얻어진 섬유의 프로세스 통과성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가연시 필라멘트 파손의 개수가 0이어서, 프로세스 통과성이 매우 우수했다. 한편, 열수 처리 후의 흡습성이 실질적으로 낮아지지 않아서, 열수 처리 후의 흡습성도 양호했다. 또한, 균염성 및 품질이 적합한 레벨에 도달하여 있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25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3.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26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27
PEG 8300을 4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28
PEG 8300을 5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29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1.6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30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4.7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31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8.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32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2.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33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4.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34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6.0%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35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9.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36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0.9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3을 참조한다.
실시예 37
테레프탈산 10.9kg 및 1,4-부탄디올 11.8kg을 에스테르화 케틀에 넣고, 촉매인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를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해서 450ppm의 양으로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30℃로 가열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한 다음, 중축합 케틀로 옮겼다. 폴리에틸렌글리콜 8300(수 평균 분자량 8300g/몰의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8300이라고 약칭함)을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해서 50중량%의 양으로, 촉매인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를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해서 900ppm의 양으로, 또한 안정화제인 트리메틸포스페이트를 최종 폴리에스테르 총량에 대해서 250ppm의 양으로 첨가했다. 5분 후, 250℃의 최종 온도에 도달하도록 감압하에서 승온시키고, 최종 압력에 도달했을 때, 상기 반응계에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1,3,5-트리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CN1790)을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총량에 대해서 1.3중량%의 양으로 첨가했다. 10분간 교반후, 상기 반응계에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대기압으로 복귀시키고, 중축합 반응을 종료하여 코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38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2.4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39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4.2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40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8.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41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2.2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42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6.6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43
PEG 8300을 4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6.6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44
PEG 8300을 5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6.6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45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8.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46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2.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47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3.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48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49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4.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50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AO80을 6.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실시예 51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9.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37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4를 참조한다.
비교예 1
PEG 8300을 12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PEG를 비교적 소량으로 첨가했기 때문에, 높은 흡습 효과가 달성되지 않았다.
비교예 2
PEG 8300을 2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PEG를 비교적 소량으로 첨가했기 때문에, 높은 흡습 효과가 달성되지 않았다.
비교예 3
PEG 100000(수 평균 분자량 100000g/몰)을 3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2.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초고분자량의 PEG를 첨가했기 때문에, 토출시 팽윤이 발생하여 토출이 곤란했다.
비교예 4
PEG 3400을 12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0.8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PEG를 비교적 소량으로 첨가했기 때문에, 높은 흡습 효과가 달성되지 않았다.
비교예 5
PEG 3400을 7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4.6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PEG 3400을 지나치게 대량으로 첨가해서, 최종 폴리에스테르의 외삽 용융 개시 온도가 낮아졌다. 이 폴리에스테르로 섬유를 제작했을 때, 필라멘트 파손 및 보풀이 더욱 발생하여, 프로세스 통과성이 열화했다. 직물 또는 편직물과 같은 섬유 구조물을 형성했을 경우, 염색 얼룩 및 보풀이 증가하여 품질이 불량했다.
비교예 6
PEG 600(수 평균 분자량 600g/몰)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3.3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PEG의 분자량은 낮아서 중합시 비산이 대량 발생했다. 다량으로 첨가해도 얻어진 폴리에스테르는 흡습성이 불량했다.
비교예 7
PEG 1000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3.3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초고분자량의 PEG를 첨가했기 때문에, 토출시 팽윤이 발생하여 토출이 열화되었다.
비교예 8
PEG 3400을 2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PEG를 비교적 소량으로 첨가했기 때문에, 높은 흡습 효과가 달성되지 않았다.
비교예 9
PEG 8300을 2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IR1010)를 0.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에 비해서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폴리에스테르의 황변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소량의 PEG를 첨가한 경우에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테트라키스[β-(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펜타에리스리톨 에스테르(IR1010)가 소량만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황변 지수는 허용 가능한 범위 내이나, 폴리에스테르의 산화방지제의 효과는 낮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염색 전후 사이의 수분 흡수율차의 값이 컸으므로, 이것은 염색 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흡습성이 현저히 저하된 것을 가리킨다.
비교예 10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IR1010를 3.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다량으로 첨가하면, 산화제 효과는 우수했지만, 섬유가 황변되기 쉬웠다.
비교예 11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IR1010를 0.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소량으로 첨가하면, 섬유의 황변은 억제될 수 있었지만, 산화제 효과는 낮았다.
비교예 12
PEG 3400을 2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IR1010을 0.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에 비해서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폴리에스테르의 황변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소량의 PEG를 첨가한 경우에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IR1010이 소량만 필요하기는 하지만,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황변 지수는 허용 가능한 범위 내이나, 폴리에스테르의 산화방지제의 효과는 낮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염색 전후 사이의 수분 흡수율차의 값이 컸으므로, 이것은 염색 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흡습성이 현저히 저하된 것을 가리킨다.
비교예 13
PEG 34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IR1010을 3.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다량으로 첨가하면, 산화제 효과는 우수했지만, 섬유가 황변되기 쉬웠다.
비교예 14
PEG 34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IR1010을 0.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소량으로 첨가하면, 섬유의 황변은 억제될 수 있었지만, 산화제 효과는 낮았다.
실시예 15
PEG 8300을 22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PEG 8300을 적합하지 않은 양으로 첨가해서, 토출 특성이 불량하게 되었다.
실시예 16
PEG 8300을 25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CN1790을 1.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PEG 8300을 적합하지 않은 양으로 첨가해서, 토출 특성이 불량하게 되었다.
비교예 17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IR1010을 3.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6을 참조한다. 복합 방적의 경우에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다량으로 첨가하면, 산화제 효과는 우수했지만, 섬유가 황변되기 쉬웠다.
비교예 18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IR1010을 0.8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6을 참조한다. 복합 방적의 경우에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소량으로 첨가하면, 섬유의 황변은 억제될 수 있었지만, 산화제 효과는 낮았다.
비교예 19
PEG 8300을 5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지 않고, 나머지는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했다. 상세한 것은 표 6을 참조한다.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섬유는 황변되지 않았지만, 산화제 효과도 갖지 않았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Claims (6)

  1. 주 구성성분으로서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 및 지방족 디올과, 공중합 성분으로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의해 형성된 폴리머인 폴리에스테르로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2000~30000g/몰이고, 공중합 비율은 25~55중량%이고,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Figure pct00011
    식 1
    [식 중, R1은 탄화수소, 산소 및 질소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기이고; R2는 수소, 탄화수소, 산소 및 질소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폴리에스테르의 총 중량에 대해서 1.0~8.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산화방지제 3,9-비스[1,1-디메틸-2-[(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파노일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이거나, 또는 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1,3,5-트리스(4-ter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인 폴리에스테르.
    Figure pct00012
    식 2
    Figure pct00013
    식 3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 비율은 35~55중량%인 폴리에스테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디올은 에틸렌글리콜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4,000~30,000g/몰인 폴리에스테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디올은 1,4-부탄디올인 폴리에스테르.
KR1020197011786A 2016-10-25 2017-10-23 폴리에스테르 KR102356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934835.3 2016-10-25
CN201610934835.3A CN107973903A (zh) 2016-10-25 2016-10-25 一种高吸湿性聚酯
PCT/CN2017/107220 WO2018077126A1 (zh) 2016-10-25 2017-10-23 一种聚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388A true KR20190073388A (ko) 2019-06-26
KR102356959B1 KR102356959B1 (ko) 2022-01-28

Family

ID=6200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786A KR102356959B1 (ko) 2016-10-25 2017-10-23 폴리에스테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88891B2 (ko)
KR (1) KR102356959B1 (ko)
CN (2) CN107973903A (ko)
TW (1) TWI753033B (ko)
WO (1) WO2018077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3681A (ja) * 2018-03-13 2020-03-05 東レ株式会社 吸湿性に優れた海島型複合繊維、繊維構造体およびポリエステル組成物
CN109097858A (zh) * 2018-09-05 2018-12-28 安徽泛博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高回潮率的涤纶长丝及其制备方法
CN110205692A (zh) * 2019-06-24 2019-09-06 绍兴诚邦高新纤维科技有限公司 一种同板双色超细复合聚酯纤维的加工方法
JP7363232B2 (ja) 2019-09-10 2023-10-18 東レ株式会社 吸湿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組成物の製造方法
CN115260473A (zh) * 2022-07-12 2022-11-01 日华化学(中国)有限公司 用于聚酯纤维及其混纺面料的聚酯聚醚树脂耐水洗吸湿速干剂及应用方法
CN115821418B (zh) * 2022-10-18 2024-04-05 浙江恒逸石化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自催化制备高磺酸盐含量抗菌阻燃阳离子染料可染聚酯纤维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3320A (ja) * 1990-10-16 1992-05-26 Teijin Ltd 耐黄変性に優れた制電性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JPH08198954A (ja) * 1995-01-25 1996-08-06 Toray Ind Inc 吸湿性に優れた共重合ポリエステ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湿性合成繊維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4221A (ja) * 1992-02-03 1993-08-24 Kuraray Co Ltd ポリエステル組成物
TW317577B (ko) * 1995-01-25 1997-10-11 Toray Industries
JP2007031915A (ja) * 2005-07-29 2007-02-08 Toyobo Co Ltd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繊維用加工処理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処理された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繊維
JP2009235242A (ja) * 2008-03-27 2009-10-15 Teijin Fibers Ltd 共重合ポリエステル及びポリエステル繊維
CN102898632A (zh) * 2011-07-25 2013-01-30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共聚酯及其生产方法
JP5316725B1 (ja) * 2011-09-06 2013-10-16 東レ株式会社 耐熱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016444A1 (de) * 2012-08-18 2014-02-20 Clariant International Ltd. Polyester
CN104711695B (zh) * 2013-12-13 2018-03-16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纤维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5986330A (zh) * 2015-02-13 2016-10-05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抗静电聚酯纤维、聚酯组合物的制法及制备纤维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3320A (ja) * 1990-10-16 1992-05-26 Teijin Ltd 耐黄変性に優れた制電性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JPH08198954A (ja) * 1995-01-25 1996-08-06 Toray Ind Inc 吸湿性に優れた共重合ポリエステ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湿性合成繊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1395A (ja) 2019-10-31
TWI753033B (zh) 2022-01-21
CN109563257A (zh) 2019-04-02
WO2018077126A1 (zh) 2018-05-03
CN109563257B (zh) 2020-12-25
JP6988891B2 (ja) 2022-01-05
TW201819457A (zh) 2018-06-01
KR102356959B1 (ko) 2022-01-28
CN107973903A (zh)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6959B1 (ko) 폴리에스테르
US6303739B2 (en) Method of preparing polyethylene glycol modified polyester filaments
JPH11172526A (ja) 低熱応力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の紡糸方法
JP2001512509A (ja) 低ピルポリエステル
JP2002038333A (ja) 易染性ポリエステル繊維
US6284864B1 (en) Permanent deep-dye polyester
JPH11200175A (ja) 発色性の優れた織編物
KR100466880B1 (ko) 동색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 복합사 및 그제조방법
JPH11107038A (ja) 高熱応力ポリエステル繊維
TWI828663B (zh) 吸濕性優異的海島型複合纖維、纖維構造體、聚酯組成物及共聚合聚酯之製造方法
JP2019147927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有する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を配する繊維
JP7363232B2 (ja) 吸湿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組成物の製造方法
JP2020076172A (ja) 吸湿性極細複合繊維および繊維構造体
JPH08269820A (ja) 易染性の改質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35824A (ja) 防汚性ポリエステル繊維
KR102276231B1 (ko) 심색성이 우수한 단독방사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단독방사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2274289B1 (ko) 심색성이 우수한 복합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한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7009995B2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およびそれを含む複合繊維
KR100544351B1 (ko) 이수축 혼섬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방법
JPH09324346A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とストレッチ繊維との混用布帛染色製品
JP2023184004A (ja) ポリエステル繊維
JP2021179053A (ja) 吸湿性および耐摩耗性に優れた海島型複合繊維
JP2021042338A (ja) 吸湿性に優れたポリエステル組成物の製造方法
JPH04153319A (ja) 制電性ポリエスエル繊維
JP2022100197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