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460A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 Google Patents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460A
KR20190072460A KR1020180161710A KR20180161710A KR20190072460A KR 20190072460 A KR20190072460 A KR 20190072460A KR 1020180161710 A KR1020180161710 A KR 1020180161710A KR 20180161710 A KR20180161710 A KR 20180161710A KR 20190072460 A KR20190072460 A KR 20190072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carrier film
protective layer
film laminate
laminat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924B1 (ko
Inventor
이미소
권윤경
김진우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90072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2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pretreatment of the surfaces to be jo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3/00Presence of epoxy resin
    • C09J2463/001Presence of epoxy resin in the b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3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primer co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POLARIZING PLATE-CARRIER FILM LAMINAT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본 명세서는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기존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은 일반적인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사용하고, 그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PET 등의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최근 편광판 시장에서는 저빛샘 및 박형화에 따른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이 물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기존의 미리 제막한 보호 기재를 적용하는 대신 편광자 상에 직접 보호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다만, 기존 폴리비닐알코올계 연신 타입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상에 직접 보호막을 형성하는 경우, 기존처럼 양면에 보호기재를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고온에서 편광자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에 의해 편광자의 찢어짐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웠다.
한국 공개 특허 2009-0065017 A
본 명세서는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접착제층 및 보호 필름;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보호층 및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편광자에 직접 부착되고, 상기 캐리어 필름은 기재 필름 및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각각 구비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편광자의 일면에 캐리어 필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보호 필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편광자와 캐리어 필름 사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을 공급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 사이에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공급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필름 및 보호 필름의 각 표면에 한 쌍의 가압 수단을 배치하여, 상기 캐리어 필름, 편광자 및 보호 필름 적층체를 가압하는 단계; 및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보호층 및 접착제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술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상술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따라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보호층으로부터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접착제층 및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구비되고 편광자에 직접 부착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는 캐리어 필름과 보호층의 박리성이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에서 블로킹 현상이 억제된 효과를 가진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은 광학물성이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기 위하여 롤-투-롤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공정성이 개선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이 화상표시 패널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2개 이상의 요소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다는 것은, 예를 들어 용어 순차적으로 구비된 「A 및 B」는, 상기 요소 A와 B가 상기 순서로 배치되어 있으되, A와 B 사이에 다른 요소가 개재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A 및 C 및 B가 상기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2개의 요소가 서로 부착 또는 직접 부착되어 있다는 것, 예를 들면, 「A에 B가 직접 부착되어 있다는 것」은, A의 적어도 하나의 주 표면에 다른 요소가 개재되어 있지 않고, B가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조성물의 경화」는, 상기 조성물의 성분의 물리적 작용 또는 화학적 반응 등에 의하여 조성물이 접착 또는 점착 특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변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활성 에너지선」은, 마이크로파(microwaves), 적외선(IR), 자외선(UV), X선 및 γ선은 물론 α 입자선(α particle beam), 프로톤빔(proton beam), 뉴트론빔(neutron beam) 및 전자선(electron beam)과 같은 입자빔 등을 의미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 등 일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이란 상기와 같은 경화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의 경화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자유 라디칼 중합 또는 양이온 반응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유 라디칼 중합 및 양이온 반응이 동시 또는 순차로 함께 진행되어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편광자(1);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접착제층 및 보호 필름(3);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보호층(2) 및 캐리어 필름(5)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편광자에 직접 부착되고, 상기 캐리어 필름은 기재 필름 및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각각 구비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편광자는 통상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 등과 같은 친수성 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분에 취약한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편광자의 제조 시에는 연신 공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가습 조건 하에서는 수축 등이 일어나기 쉽고, 이에 따라 편광판의 광학 특성 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편광자의 물성 보강 등을 위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으로 대표되는 보호 필름을 편광자의 양면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보호 필름이 존재하지 않으면, 편광자의 취약한 치수 안정성으로 인해 내구성 및 광학 물성이 크게 떨어지고, 내수성도 현격히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편광판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조에서는, 편광자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부착하지 않아서, 보다 얇고 가벼운 구조를 구현하는 동시에, 상기 보호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편광자의 표면에 직접 보호층을 부착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와 같이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서 보호 필름의 부착이 생략된 편광판은 박형 편광판(thin polarizer)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와 같이 편광자의 일면에 보호층이 구비되고, 편광자의 타면에 보호필름이 구비된 편광판은 '편면형 박형 편광판'으로 호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롤-투-롤 공정(roll-to-roll)은 연속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어, 생산 수율이 높고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편광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해, 편광자에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이 도포된 경우,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은 다른 구성과의 접착력이 부여되어 있는데, 상기 조성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위에 캐리어 필름이 구비된다. 이후,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시킨 후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게 되는데,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접착성 때문에, 캐리어 필름 박리 시 보호층에 캐리어 필름의 일부가 떨어져 나오는 현상, 즉 블로킹 현상(Blocking)이 나타나게 되고, 편광판의 광학 특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필요에 따라,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장시간 동안 보관하는 경우가 있는데, 보호층과 캐리어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상술한 블로킹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캐리어 필름의 보호층과 접하는 면에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도입하여, 보호층과 편광자와의 밀착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보호층과 캐리어 필름 간의 밀착성은 감소시키는 효과, 즉 서로 상반되는 효과를 동시에 가짐으로써, 편광판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술한 블로킹 현상을 억제하고자 한다.
상기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는 편광판 제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을 거친 후 편광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편광판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는 경우에도 보호층과 캐리어 필름 간의 접착력이 낮으므로, 캐리어 필름과 보호층의 블로킹 현상이 억제된 효과를 가진다. 즉,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박리력은 높게 조절하고,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은 낮게 조절함으로써, 상술한 블로킹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현상은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X1)은 높게 유지하고,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X3)은 낮은 값으로 조절함에 따라 해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X1)은 ASTM D3359-87에 따른 ASTM 표준 크로스-컷 테이프(cross-cut tape) 시험에 의해 측정할 때, 4B 이상일 수 있으며, 4B 이상 5B 이하, 바람직하게는 5B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은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상온(25℃) 및 상대습도 30% 내지 45% 에서 1시간 내지 1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측정된 값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대습도 43%에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X1)이 상기 수치 값과 같을 경우,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여, 캐리어 필름을 보호층에서 박리할 때 보호층이 편광자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4B보다 작은 경우, 편광자가 변색되거나 편광특성의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X1)은 크로스-컷 테이프(cross-cut tape) 시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컷 테스트 방법으로는 캐리어 필름이 박리된 보호층 위에 크로스커터(cross cutter)를 이용하여 커팅 가이드나 적당한 자 등에 대고 샘플에 1 mm 간격으로 바눅판눈 모양으로 가로 세로로 격자 모양으로 긋는다. 그 후, 브러쉬나 무진천으로 보호층의 표면을 세척한 뒤 이찌방 테이프(니치반 주식회사 제조 셀로테이프)를 붙이고, 180도의 박리 각도로 급격하게 벗긴 후의 박리면에 대하여, 보호층이 얼마나 떨어졌는지 육안으로 관찰한다. 하기 표 1의 크로스-컷 분류기준(ASTM)에 따라 0B에서 5B로 접착의 정도를 구분한다.
ASTM 남아있는 면적 %
5B 100
4B 95 이상 100 미만
3B 85 이상 95 미만
2B 65 이상 85 미만
1B 45 이상 65 미만
0B 45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1에 따라 계산된 X2가 0.95 이상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96 이상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9 이상 1 이하일 수 있다.
[일반식 1]
X2 = (ASTM 표준 크로스컷 테이프 시험 후 잔류한 보호층의 면적)/(전체 박리면의 면적)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ASTM 표준 크로스-컷 테이프 시험은 D3359-87에 의한 ASTM 표준 크로스-컷 테이프(cross-cut tape) 시험에 의해 의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상기 전체 박리면의 면적은 ASTM 표준 크로스-컷 테이프 시험을 위하여 보호층에 붙여진 테이프와 보호층이 접하는 전체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X3)이 40 gf/5㎝ 이하, 바람직하게는 0 초과 30 gf/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초과 10 gf/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캐리어 필름 박리 시 보호층과 캐리어 필름의 블로킹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X3)은 ASTM D3330에 따른 180°박리 각도에서 30m/min의 박리 속도에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고속박리기(CBT-4720, 충북테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X3)은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상온(25℃) 상대습도 30% 내지 45% 에서 1시간 내지 1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측정된 값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대습도 43%에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X2 대비 X3의 값(X3/X2)이 45 gf/5cm이하, 0 초과 30 gf/5cm이하, 또는 0 초과 10 gf/5cm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은 높은 반면에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은 낮으므로, 편광판 제조 과정에서 캐리어 필름의 박리 공정시, 보호층이 편광자와의 계면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캐리어 필름은 쉽게 박리시킬 수 있다. 즉, 박리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는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각각 구비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는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 중 어느 하나는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보호층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필름은 편광판 제조시에 편광판의 보호층에 합지되었다가, 최종단계에서 박리되어 제거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캐리어 필름은 편광판의 보호층에 대한 접착력은 낮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같은 기재 필름 상에 실리콘과 같은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과 같은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향후 상기 수지층에 편광판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이 도포되는 경우, 조성물의 코팅성이 낮으므로, 보호층에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나 de-wetting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기재 필름(PET필름)에 별도의 처리 없이 코로나 처리만을 하게 될 경우, 코로나 처리 중 유입된 산소에 의해 옥살산 등이 발생되어 이물로 발생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수율이 저하된다. 별도의 세정공정이 구비될 경우 작업성이 저하되고 설비투자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기재 필름에 실리콘 수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낮은 표면에너지로 인하여 보호층 조성물이 균일하게 코팅되지 않으며, 코팅되지 않는 부위가 발생하여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기재 필름의 보호층에 접하는 측에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도입하였다.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프라이머층의 어느 일면에 구비되는 경우, 편광판 제조 공정에서 캐리어 필름 상에 보호층 조성물을 도포할 때, 코팅성이 개선됨으로써, 편광판 제조 공정의 공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필름의 박리 시, 보호층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우레탄,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 수지, 실란 변성 우레탄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우레탄 공중합체 및 실리콘-아크릴-우레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이 경화되는 것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프라이머 수분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향후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내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수성 용매에 녹아 있거나, 분산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고형분 함량은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주쇄에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우레탄 반복 단위를 포함 하는 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2 이상의 -NCO기를 갖는 화합물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로는 2 이상의 수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실록산계 폴리올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NDI),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TO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랜스시클로헥산, 1,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자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은 다염기산 성분과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다염기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오르토(ortho)-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비페닐디카르복실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옥살산, 숙신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리놀레산, 말레산, 푸마르산, 메사콘산, 이타콘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헥사하이드로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 알킬 에스테르, 산 할라이드 등의 반응성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은 카보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과 폴리올 성분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카보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디페닐카보네이트, 디알킬카보네이트, 알킬렌 카보네이트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폴리올 성분에 알킬렌옥사이드를 개환 중합하여 부가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올 성분은 분자 중에 하이드록실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절한 폴리올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올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온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올펜틸글리콜, 펜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4,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4,4'-디히드록시메틸메탄,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올,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글리세린, 1,1,1-트리메틸올프로판, 1,2,5-헥사트리올, 펜타에리트리올,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특히,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본 발명의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성분들에 추가로 다른 폴리올이나 사슬 연장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폴리올은, 예를 들면 소르비톨,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수산기 수가 3개 이상인 폴리올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사슬 연장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펜탄디올, 1,6-헥산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필요에 따라, 중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화제를 포함할 경우 수중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중화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N-메틸모르폴린, 트리에틸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알킨, 모르폴린,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 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불활성이고 물에 대해 상용성을 갖는 유기 용제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유기 용제로는 아세트산에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 성분을 한번에 반응시키는 원샷법, 단계적으로 반응시키는 다단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 시에 임의의 적절한 우레탄 반응 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카르복시기, 술폰산염기, 히드록시기 또는 3급 아민기 등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상기 작용기들이 포함될 경우, 접착층에 대한 접착력 및 수분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기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로 상기 작용기들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반응 시에 상기 작용기들을 포함하는 사슬 연장제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르복시기 또는 3급 아민기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에 반응시에 유리 카르복시기 또는 유리 아민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리 카르복시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로는, 예를 들면, 디하이드록시 카르복실산, 디하이드록시 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디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면 디메틸올아세트산, 디메틸올부탄산,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티르산, 디메틸올펜탄산 등의 디메틸올알칸산을 포함하는 디알킬올 알칸산일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리 아민기를 갖는 사슬 연장제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4-부탄디아민, 아미노에틸에칸올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아민 등의 지환족 디아민; 자일릴렌디아민, 톨릴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분산성과 투명도의 관점에서,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을 반응물로 사용하는 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을 반응물로 사용하는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실록산계 폴리올을 반응물로 사용하는 실록산계 폴리우레탄 수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 평균분자량은 1만 내지 1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박리 필름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고, 수분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50nm 내지 200nm, 60nm 내지 180nm, 80nm 내지 160nm, 또는 100nm 내지 130nm일 수 있으며,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상기의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내구성 및 내후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만,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전술한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은 가교제 및 수분산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에 포함되는 프라이머층은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상기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은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프라이머 수분산 조성물에 포함되어, 관능기를 통해 박리 필름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우레탄계 수분산 바인더의 가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치밀한 내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옥사졸린 가교제, 카보디이미드 가교제, 멜라민 가교제 및 에폭시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olylene diisocyanate, TDI), 디아릴 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 메타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HDI), 1,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산,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헥산트리올의 부가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부가물, 폴리올 변성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카보디이미드 변성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비톨릴렌-4,4'-디이소시아네이트(3,3'-Bitolylene-4,4'-diisocyanate),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메타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상기 옥사졸린 가교제로는 옥사졸린기 함유 단량체 또는 상기 단량체를 1종 이상 포함하고, 또한 1종 이상의 다른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있는 고분자 화합물과 같은 옥사졸린기를 관능기로서 갖는 화합물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메틸-2-옥사졸린 또는 2-이소프로페닐-5-에틸-2-옥사졸린 등의 화합물이나, 상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중합되어 형성되는 고분자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에는 다른 공단량체가 공중합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단량체로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 비닐 에스테르계 단량체, 비닐 에테르계 단량체, 할로겐 함유 α,β-불포화 단량체 또는 α,β-불포화 방향족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보디이미드 가교제로는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또는 폴리카보디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 카보디이미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A1의 구조를 가지며, 폴리카보디이미드는 하기 화학식 A2와 같은 반복 구조를 포함한다.
[화학식 A1]
Figure pat00001
[화학식 A2]
Figure pat00002
화학식 A1 및 A2에서 R은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또는 폴리카보디이미드가 포함할 수 있는 공지의 관능기이고,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멜라민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멜라민,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축합해서 얻어지는 메틸올화 멜라민 유도체, 메틸올화 멜라민에 저급 알코올을 반응시켜서 부분적 또는 완전히 에테르화한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가교제는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가교제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내지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부 내지 1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프라이머층의 가교 밀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박리 필름과의 적절한 접착력을 확보하고, 코팅성, 연신성, 블로킹 특성 및 황변 특성 등과 같은 도막 물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말단기가 이소시아네이트를 갖는 프리폴리머의 제조도 용이할 수 있다.
수분산성 미립자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에 포함되는 프라이머층은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상기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은 수분산성 미립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이 수분산 미립자를 포함하는 경우, 프라이머층의 외관이 깨끗(clear)하고, 헤이즈값이 낮은 특성을 갖는다. 또한, 편광판 제조 공정시 경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는 임의의 적절한 미립자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무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안티몬계 등의 무기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가교 폴리비닐알코올, 멜라민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 중에서도 실리카가 특히 바람직하다. 실리카는 블로킹 억제능이 더욱 우수하고, 또한 투명성이 우수하여, 헤이즈를 발생시키지 않고, 착색도 없으므로, 편광판의 광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작기 때문이다. 또한, 콜리이달 실리카는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므로, 프라이머층 형성 시의 작업성도 보다 우수하다
한편,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는 평균 직경(평균 1차 입자 직경)이 10nm 내지 200nm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nm 내지 150nm 정도인 것이 좋다. 수분산성 미립자의 평균 직경이 10nm 보다 작을 때는 표면에너지가 높아지므로 프라이머 용액 내에서 수분산성 입자의 응집 및 침전이 일어나 용액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고, 평균 직경이 200nm 보다 큰 경우에는 수분산성 입자가 프라이머 용액 내에서 분산이 고르게 일어나지 않고, 입자가 뭉치면서 가시광선(400nm-800nm) 파장보다 크기가 커져서 400nm 이상의 빛을 산란하여 헤이즈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범위의 입자 직경을 갖는 미립자를 이용함으로써, 프라이머층 표면에 적절히 요철을 형성하여, 특히 박리 필름과 프라이머층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블로킹 억제능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수계이므로, 바람직하게 상기 미립자는 수분산체로 배합된다. 구체적으로, 미립자로서 실리카를 채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콜로이달 실리카로서 배합된다. 콜로이달 실리카로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시판되는 제품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닛산 화학 공업(주) 제조의 스노우텍스 시리즈, 에어프로덕트의 AEROSIL 시리즈, 일본촉매의 epostar 시리즈 및 soliostar RA 시리즈, Ranco의 LSH 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는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50nm 이상 1000nm일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주사전자현미경(TEM)을 통해 측정될 수 있으며, 2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된 수분산성 미립자의 입경의 평균값일 수 있다.
첨가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에 포함되는 프라이머층은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상기 프라이머 수분산 조성물은 웨팅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웨팅제는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이 용이하게 코팅되고, 프라이머층 위에 내열성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웨팅제의 종류는 상기 역할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실리콘계 웨팅제, 아크릴계 웨팅제, 불소계 웨팅제, 비닐계 웨팅제가 있다. 또한, 바람직한 예로는 실리콘계 웨팅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계 웨팅제의 예로는, DC11PA, ST80PA, DC3074, DC3037, SR2402(이상, Dow Corning Toray 제), KP-321, KP-324, KP-327, KR-9218, X-40-9220(이상, Shin-Etsu Chemical Co., Ltd. 제), TSR165, XR-31 B1763(이상, Toshiba Silicones Ltd. 제), BYK-341, BYK-344, BYK-306, BYK-307, BYK-325, BYK-315, BYK-320, BYK-322, BYK-323, BYK-300, BYK-302, BYK-330, BYK-333, BYK-335, BYK-370, Silclean3700, Silclean3720(이상, BYK Additives & Instruments 제), DISPARLON 1711, 1751 N, 1761, LS-001, LS-050(이상, Kusumoto Chemicals, Ltd. 제), Polyflow KL-400 HF, KL-401, KL-402, KL-403, KL-404(이상, Kyoeisha Chemical Co., Ltd. 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웨팅제의 예로는 시판품으로서 BYK-350, BYK-352, BYK-354, BYK-355, BYK-358 N, BYK-361 N, BYK-392(이상, BYK Additives & Instruments 제), DISPARLON LF-1980, LF-1982, LF-1983, LF-1984, LF-1985, NSH-8430 HF(이상, Kusumoto Chemicals, Ltd. 제), Polyflow No.50 EHF, No.54 N, No.55, No.77, No.85 HF, No.90, No.90D-50, No.95, No.99 C(이상, Kyoeisha Chemical Co., Ltd. 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웨팅제의 예로는, BYK-340(상품명, BYK Additives & Instruments 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계 웨팅제의 예로는, DISPARLON LHP-90, LHP-91(이상, Kusumoto Chemicals, Ltd. 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웨팅제는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프라이머 조성물의 기재 필름에 대한 코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수성 용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에 포함되는 프라이머층은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상기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은 수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용매는 프라이머 수분산 조성물 내의 성분들을 분산시키기 위해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프라이머 수분산 조성물의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또는 수분산성 미립자는 수성 용매에 분산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수성 용매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성 용매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조성 성분들의 분산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분산 조성물을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때에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용매의 예로는 증류수 등의 물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는 기재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기재 필름으로 사용할 경우, 공정 비용이 절감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는 10 ㎛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일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가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자외선 조사시 발생되는 열로 인해 기재 필름이 팽창 및/또는 수축되어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자외선 경화시 자외선이 보호층에 잘 도달되어 미경화 부분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광투과도는 7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광투과도는 분광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200nm 내지 800nm의 파장을 갖는 광선을 조사한 후 흡수되고 나오는 광선을 검출기를 이용하여 검출한 후, 이를 비율로 환산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보호층 및 접착제층을 경화하기 위하여, 상기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에 자외선을 조사할 때, 자외선이 보호층 및 접착제층에 잘 도달하여, 경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에폭시 화합물(A) 및 옥세탄 화합물(B)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의 보호층은 에폭시 화합물(A) 및 옥세탄 화합물(B)을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에폭시 화합물(A) 또는 옥세탄 화합물(B)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세탄 화합물(B)을 5 내지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내로 에폭시 화합물 및 옥세탄 화합물이 포함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의 보다 효과적인 경화를 유도할 수 있고,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마친 상태에서도, 양이온 반응의 리빙 특성에 기인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경화를 진행시켜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 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의 성분의 비율을 상기와 같이 조절하여, 조성물의 경화 효율 및 조성물의 경화 후에 물성이 우수한 보호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에폭시 화합물」은,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성, 올리고머성 또는 폴리머성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은 보호층의 내수성이나 접착력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양이온 반응에 의해 가교 또는 중합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에폭시 화합물로는, 중량평균분자량(Mw;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이 1,000 내지 5,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0인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의미하고,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용어 「분자량」은 「중량평균분자량」을 의미한다. 분자량을 1,000 이상으로 하여, 보호층의 내구성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고, 5,000 이하로 하여 조성물의 코팅성 등의 작업성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A)은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및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A)은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및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은 5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B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자 내에 지환족 환에 결합된 에폭시기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B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B1에서 m은 2 내지 5의 정수이고, 상기 화학식 B1에서 (CH2)m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원자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기가 방향환이 없는 다른 화학 구조에 결합된 화합물이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에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이 포함됨으로써, 보호층을 형성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져서 상기 보호층이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하여, 보호 필름의 개재 없이 보호층이 편광자의 어느 일면에 직접 형성되더라도, 내열 또는 열 충격 조건에서도 편광자의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에폭시화 지방족 고리기를 포함하는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에서, 상기 에폭시화 지방족 고리기는, 예를 들면, 지환족 고리에 형성된 에폭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지환족 고리를 구성하는 수소 원자는, 임의적으로 알킬기 등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예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할 수 있는 에폭시 화합물이 하기의 종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계 화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 알킬기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알킬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하여 치환되어 있거나, 비치환된 상태일 수 있다.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다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20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또 다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의 에폭시 시클로헥실메틸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3에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p는 2 내지 20의 정수를 나타낸다.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또 다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4로 나타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테르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4에서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q는 2 내지 20의 정수를 나타낸다.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또 다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5로 나타나는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테르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5에서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는 2 내지 20의 정수를 나타낸다.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또 다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6으로 나타나는 디에폭시트리스피로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6에서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또 다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7로 나타나는 디에폭시모노스피로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7에서 R13 및 R14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또 다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8로 나타나는 비닐시클로헥센 디에폭시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8에서 R15는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또 다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에폭시시클로펜틸 에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9에서 R16 및 R1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의 다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디에폭시 트리시클로 데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10에서 R18은, 수소 또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로는, 보다 구체적으로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폭시시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디카르복시산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옥사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시산과 (7-옥사-비시클로[4,1,0]헵토-3-일)메타놀과의 에스테르화물(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가 수소인 화합물); 4-메틸-7-옥사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시산과 (4-메틸-7-옥사-비시클로[4,1,0]헵토-3-일)메탄올과의 에스테르화물(상기 화학식 1에서, R1이 4-CH3이고, R2가 4-CH3인 화합물); 7-옥사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시산과 1,2-에탄디올과의 에스테르화물(상기 화학식 2에서 R3 및 R4가 수소이고, n이 1인 화합물); (7-옥사비시클로[4,1,0]헵토-3-일)메탄올과 아디프산의 에스테르화물(상기 화학식 3에서 R5 및 R6가 수소이고, p가 2인 화합물); (4-메틸-7-옥사비시클로[4,1,0]헵토-3-일)메탄올과 아디프산의 에스테르화물(상기 화학식 3에서 R5 및 R6가 4-CH3이고, p가 2인 화합물); 및 (7-옥사비시클로[4,1,0]헵토-3-일)메탄올과 1,2-에탄디올의 에테르화물(상기 화학식 5에서 R9 및 R10이 수소이고, r이 1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은 글리시딜 에테르 타입 에폭시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 화합물에 상기 글리시딜 에테르 타입 에폭시 화합물이 포함됨으로써, 글리시딜 에테르 반응기가 경화 반응 후 보호층 내에서 소프트하고 극성을 가지는 체인을 형성하여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 에테르 타입 에폭시 화합물에는, 예를 들면, 지방족의 다가 알코올 또는 그 알킬렌옥시드, 예를 들면, 에틸렌옥시드 또는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A)로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및 글리시딜 에테르 타입 에폭시 화합물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에서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시드, 리모넨디옥시드 또는 4-비닐시클로헥센디옥시드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상기 글리시딜 에테르 타입 에폭시 화합물로는 지환족 에폭시기 외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폭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구체적인 글리시딜 에테르 타입 에폭시 화합물로는, 노볼락 에폭시, 비스페놀 A계 에폭시, 비스페놀 F계 에폭시, 브롬화 비스페놀 에폭시, n-부틸 글리시딜에테르, 알리파틱 글리시딜에테르(탄소수 12 내지 14), 2-에틸헥실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o-크레실 (cresyl) 글리시딜 에테르, 노닐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또는 글리세린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이 예시될 수 있고, 또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등과 같은 고리형 지방족 골격을 가지는 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의 수소 첨가 화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리형 지방족 골격을 가지는 글리시딜 에테르,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16,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12의 고리형 지방족 골격을 가지는 글리시딜 에테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다음으로, 상기 옥세탄 화합물은 분자 내에 4원환 에테르를 갖는 화합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디〔(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3-에틸-3-(2-에틸헥실옥시메틸)옥세탄, 페놀노볼락 옥세탄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옥세탄 화합물은 시판품을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아론옥세탄 OXT-101(도아 고세이(주) 제조), 아론옥세탄 OXT-121(도아 고세이(주) 제조), 아론옥세탄 OXT-211(도아 고세이(주) 제조), 아론옥세탄 OXT-221(도아 고세이(주) 제조), 아론옥세탄 OXT-212(도아 고세이(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경화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화성 성분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비닐기 등의 중합성 2중 결합을 복수 개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 고리형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EO 변성 디글리세린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아로닉스 M-220 (토아 합성사 제조), 라이트아크릴레이트 1,9ND-A (쿄에이샤 화학사 제조), 라이트아크릴레이트 DGE-4A (쿄에이샤 화학사 제조), 라이트아크릴레이트 DCP-A (쿄에이샤 화학사 제조), SR-531 (Sartomer 사 제조), CD-536 (Sartomer 사 제조) 등을 들 수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각종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나, 각종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성분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또는 2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변성 실록산 화합물(C)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에 포함되는 보호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일 수 있고,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변성 실록산 화합물(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실록산 화합물(C)는 상기 에폭시 화합물(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6.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변성 실록산 화합물에 포함된 실리콘 원자에 의한 윤활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보호층의 내마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6.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보호층의 내열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변성 실록산 화합물(C)은 수분산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변성 실록산 화합물(C)은 실록산(Si-O-Si) 주쇄에 다양한 형태의 유기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성 실록산 화합물(C)은 하기 화학식 C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C1]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C1에 있어서, 상기 R은 수소; 알킬기; 알킬아릴기; 아르알킬기; 알킬아릴기; 아미노기; 카보닐기; 폴리에테르기; 또는 에폭시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에테르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이 폴리에테르기인 경우, 상기 변성 실록산 화합물(C)은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C1에 있어서, 상기 l은 1 내지 5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C)은 실록산 결합인 Si-O-Si을 갖는 실록산에 폴리에테르 구조가 도입된 화합물이다. 예를 들어, 실록산 결합인 Si-O-Si을 갖고, 말단기가 트리메틸실릴기(Si(CH3)3이며, 상기 실록산 결합을 구성하는 Si 중 적어도 하나에 에테르 결합(-O-)을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구조가 치환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C)은 하기 화학식 C2 또는 C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C2]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 C2에 있어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R11O)pR12이고, 나머지는 알킬기; 알킬아릴기; 아르알킬기; 알킬아릴기; 아미노기; 카보닐기; 또는 에폭시기이며,
R11은 직접결합; 또는 알킬렌기이고,
R12는 알킬기; 알킬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이며,
m 및 p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고, x 및 y는 각각 0 내지 10이고, 단 x+y는 1 이상이며,
Ra 내지 Rf는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화학식 C3]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C3에 있어서,
R3는 -(R11O)pR12이고,
R11은 직접결합; 또는 알킬렌기이고,
R12는 알킬기; 알킬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이며,
m 및 p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g 내지 Rl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다.
상기 화학식 C1 내지 C3에 있어서, 알킬기는 C1 내지 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일 수 있고, 아릴기는 C6 내지 C20의 단환 또는 다환의 아릴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킬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등일 수 있고, 아릴기는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릴, 안트릴 등일 수 있다. 상기 알킬아릴기는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기로서, 알킬기 및 아릴기에 대해서는 상기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아르알킬기는 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로서, 알킬기 및 아릴기에 대해서는 상기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C2 및 C3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OCH2CH2)nR로 표시될 수 있으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R은 수소, 알킬기 또는 OH기이다.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의 친수성-친유성 비(Hydrophile-Lipophile Balance: HLB)값은 0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HLB값이 12를 초과하여 친수성이 높은 경우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친수성-친유성 비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의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의 비를 나타낸다. 이러한 친수성-친유성 비는 화합물에 따라 정해지고, 화합물별 상기 비는 공지되어 있다. 상기 친수성-친유성 비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HLB 값은 그 수치가 클수록 친수성이 크고, 그 수치가 작을수록 친유성이 큰 것을 의미한다.
[식 1]
HLB = 20 × (친수기 부분의 분자량/화합물의 분자량)
상기 [식 1]은 그리핀(Griffin)에 의해 정의된 것으로, 일반적인 화합물의 친수성-친유성 비(Hydrophile-Lipophile balance, HLB)를 구할 수 있는 식이다.
HBL값은 계면 활성제가 친수성 또는 친유성인 방법을 특성화하는 수단이다. HLB 값이 0일 때는 계면 활성제가 완전히 친유성, 즉 소수성 분자에 상응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HLB 값이 20일 때는 계면 활성제가 완전히 친수성, 즉 소유성 분자에 상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HLB 수치가 높을수록 계면 활성제 분자의 친수성 부분이 지배적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Mw)는 500 이상 1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5,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3,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다른 성분과의 혼화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C)은 예를 들면, 수소화규소기를 갖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주쇄에 대해, 불포화 결합 및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을 히드로실릴화 반응에 의해 그래프트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록산 화합물을 보호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조성물의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고, 보호 필름에 대한 접착력을 감소시켜 향후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에서 블로킹 현상(Blocking)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예로는 알파-히드록시케톤계 화합물(ex. IRGACURE 184, IRGACURE 500, IRGACURE 2959, DAROCUR 1173; Ciba Specialty Chemicals(제)); 페닐글리옥실레이트 (phenylglyoxylate)계 화합물(ex. IRGACURE 754, DAROCUR MBF;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벤질디메틸케탈계 화합물(ex. IRGACURE 651; Ciba Specialty Chemicals(제)); α-아미노케톤계 화합물(ex. IRGACURE 369, IRGACURE 907, IRGACURE 130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모노아실포스핀계 화합물(MAPO)(ex. DAROCUR TPO;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비스아실포스펜계 화합물(BAPO)(ex. IRGACURE 819, IRGACURE 819DW; Ciba Specialty Chemicals(제)); 포스핀옥시드계 화합물(ex. IRGACURE 210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메탈로센계 화합물(ex. IRGACURE 784; Ciba Specialty Chemicals(제)); 아이오도늄염(iodonium salt)(ex. IRGACURE 25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및 상기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ex. DAROCUR 4265, IRGACURE 2022, IRGACURE 1300, IRGACURE 2005, IRGACURE 2010, IRGACURE 202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광개시제가 상기 수치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자외선이 보호층 내부까지 도달하고, 중합률이 우수하며, 생성되는 중합체의 분자량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형성되는 보호층의 응집력이 우수하고,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경화 후 유리전이온도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100 ℃ 내지 150 ℃ 또는 100 ℃ 내지 130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상온에서 점도가 50 cps 이상 200cp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상온에서 50 cPs 내지 130 cPs 이하일 수 있다.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보호층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상온은 23℃ 내지 28℃의 온도 범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3℃. 24℃, 25℃, 26℃, 27℃ 또는 28℃일 수 있다.
상기 점도는 브룩필드 점도계(Brook Field 사 제조)를 이용하여 18번 스핀들(spindle)을 이용하여 상온(25℃)에서 측정한다. 이때, 조성물의 양은 6.5 내지 10mL이 적절하며, 빛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5분 이내에서 안정화된 수치를 측정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염료, 안료, 에폭시 수지,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광증감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의 일면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을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코팅 법, 예컨대 스핀 코팅, 바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블레이드 코팅 등의 방법으로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다음,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조사광인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의 파장은 100nm 이상 4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320nm 이상 40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조사광의 광량은 100mJ/cm2 이상 1000mJ/cm2이상, 바람직하게는 500mJ/cm2 이상 1000mJ/cm2이하일 수 있다.
상기 조사광의 조사 시간은 1초 이상 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2초 이상 30초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조사 시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광원으로부터 지나치게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광자에 주행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4㎛ 이상 11㎛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8㎛ 이하이다. 보호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보호층의 강도나 고온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판의 박형화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다.
보호 필름
상기 보호 필름은 편광자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재질의 보호 필름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싸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cycloolefin polymer)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광학 특성, 내구성,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의 80℃ 내지 100℃ 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5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0 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보호 필름의 편광자 보호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온 환경하에서 편광자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에 의한 편광자의 찢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 탄성률의 측정 온도는 80℃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부착은 롤 코터, 그라비어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캐필러리 코터 등을 사용하여 편광자 또는 보호 필름의 표면에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한 후, 이들을 합지 롤로 가열 합지하거나, 상온 압착하여 합지하는 방법 또는 합지 후 UV 조사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접착제층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편광판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80℃에서의 열팽창계수는 130 ppm/K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팽창계수가 130 ppm/K를 초과하면 내열 충격 환경에서 편광판의 크랙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착층이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화형 수지층인 경우, 그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나아가 보호 필름과의 밀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편광판의 내구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열팽창계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에폭시 화합물 및 옥세탄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로는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 에테르 타입 에폭시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과 글리시딜 에테르 타입 에폭시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광경화 시에 효과적으로 조성물이 경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 에테르 타입 에폭시 화합물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 중량% 내지 6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옥세탄 화합물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10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8 내지 4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 많이 포함되는 경우 접착력 저하의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점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염료, 안료, 에폭시 수지,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광증감제, 광개시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먼저, 본 발명의 상기 편광자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보호층(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층(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편광자는 두께가 5㎛ 이상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25㎛ 이하일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얇으면 광학특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두꺼우면 저온(-30℃ 정도)에서의 편광자 수축량이 커져서 전체적인 편광판의 내열성에 문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광자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인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의 유도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비닐포르말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편광자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판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예컨대, 구라레 사의 P30, PE30, PE60, 일본합성사의 M2000, M3000, M6000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중합도가 1,000 이상 1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분자 움직임이 자유롭고,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과 유연하게 혼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조방법
본 명세서는 상술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편광판-캐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은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에 의할 수 있다. 롤-투-롤 공정을 이용하여 연속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생산 수율이 높고 생산 단가가 절감되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편광자의 일면에 캐리어 필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보호 필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편광자와 캐리어 필름 사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을 공급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 사이에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공급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리어 필름 및 보호 필름의 각 표면에 한 쌍의 가압 수단을 배치하여, 상기 캐리어 필름, 편광자 및 보호 필름 적층체를 가압하는 단계; 및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보호층 및 접착제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필름 공급 공정 및 가압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캐리어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캐리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 및 건조하여 캐리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각각 프라이머층을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공급 공정은 편광자(100)의 일면에 캐리어 필름(200)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보호 필름(300)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편광자(100)의 일면에 캐리어 필름(200)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편광자(100)의 타면에 보호 필름(300)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편광자(100), 캐리어 필름(200) 및 보호 필름(300)을 공급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편광자, 캐리어 필름 및 보호 필름은 각각의 필름이 롤(110, 210, 310)에 감겨진 형태로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캐리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보호층 형성시 캐리어 필름이 편광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에 의해 다른 구성들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압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캐리어 필름이 흡수하여 편광자에 작용되는 응력이 완화되어 파단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각 필름의 공급 속도는 제조 공정에 적절한 값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1M/min 이상 100M/min의 속도로 공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M/min 이상 50 M/min 이하의 속도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캐리어 필름과 보호 필름의 편광자에 대한 안정적인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연신된 것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의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편광자의 공급 공정 전에 편광자의 연신 공정을 더 거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연신 공정에 있어 그 조건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두께가 5㎛ 이상 2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연신 후 두께를 의미한다. 연신 후 두께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두께가 얇은 박형 편광판의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염료를 함유하는 분자 사슬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킨 후, 일정한 방향으로 연신 및 가교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은 붕산 수용액 또는 요오드 수용액과 같은 용액 상에서 수행되는 습식 연신 또는 대기 중에서 수행되는 건식 연신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붕산 수용액 또는 요오드 수용액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 내지 1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의 연신 배율은 4배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4배 내지 15배 또는 4배 내지 13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의 연신 방향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Machine Direction, MD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폭은 편광자의 폭보다 큰 것일 수 있다. 기재 필름의 폭을 편광자의 폭보다 크게 할 경우,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또는 접착제 조성물에 의한 가압 수단 등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제조방법은 상기 편광자와 캐리어 필름 사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을 공급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 공급 공정 중의 임의의 단계에서, 편광자의 접합면과 캐리어 필름의 접합면 중 적어도 한쪽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을 도포하는 면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접합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이 도포되는 캐리어 필름의 접합면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에,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또는 전자선 조사 처리와 같은 표면 활성화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필요한 양의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핀 코팅, 바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블레이드 코팅 등의 방법이 있으며, 연속공정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롤 코팅에 의할 수 있다. 상기 도포는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도포 수단(7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제조방법은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 사이에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공급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 공급 공정 중의 임의의 단계에서, 편광자의 접합면과 보호 필름의 접합면 중 적어도 한쪽에,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면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보호 필름의 접합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필요한 양의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핀 코팅, 바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블레이드 코팅 등의 방법이 있으며, 연속공정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롤 코팅에 의할 수 있다. 상기 도포는 접착제 조성물 도포 수단(5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제조방법은 상기 캐리어 필름 및 보호 필름의 각 표면에 한 쌍의 가압 수단을 배치하여, 상기 캐리어 필름, 편광자, 및 보호 필름 적층체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층체를 사이에 끼운 한 쌍의 가압 수단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롤 형태의 라미네이터 등의 접합기 또는 가압 롤(10, 2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압하는 단계는 0.5Mpa 내지 10Mpa 또는 1Mpa 내지 8Mpa의 압력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편광자의 손상 없이 안정적인 주행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필름 접합시 유입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 제조방법은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보호층 및 접착제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및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조사광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활성 에너지선 조사 수단(6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퓨전 램프(Fusion lamp), 아크 램프(Arc lamp), LED 및 저압램프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보호층 및 접착제층이 형성된 편광자 적층체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므로, 1회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로 보호층 및 접착제층을 동시에 경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활성에너지선의 광량은 100mJ/cm2 내지 1000mJ/cm2, 바람직하게는 500mJ/cm2 내지 1000mJ/cm2일 수 있고, 상기 조사광의 조사 시간은 1초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2초 내지 30초일 수 있다.
상기 활성에너지선의 광량 및 조사 시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접착제층 및 보호층의 경화 속도가 빠르고, 필름의 외관 특성 및 광학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광원으로부터 지나치게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광자에 주행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방향은 보호층 및 접착제층이 충분히 경화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캐리어 필름의 표면에서 행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제조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편광판 권취 롤(500)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보호층으로부터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보호층으로부터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이하, 박리 공정)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는 롤-투-롤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박리 공정 이전에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보관하는 단계는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상온(25℃) 및 상대습도 30% 내지 50% 에서 1시간 내지 10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하기 환산식 1에 따른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의 변화율(B1)은 300%이하,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일 수 있다.
[환산식 1]
Figure pat00017
상기 환산식 1에 있어서, X3'는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보관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의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X3')이고, X3는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보관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의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X3)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하기 환산식 2에 따른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박리력의 변화율은 0.05%이하일 수 있다.
[환산식 2]
Figure pat00018
상기 환산식 2에 있어서, X1'는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보관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의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박리력(X1')이고, X1은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보관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의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박리력 (X1)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박리 공정은 롤-투-롤 공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롤-투-롤 공정이란,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여 박리된 캐리어 필름을 캐리어 필름 권취롤에 권취함과 동시에, 캐리어 필름이 박리된 편광판을 권취롤에 권취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필름 공급 공정, 가압 공정 및 박리 공정을 롤-투-롤(roll-to-roll) 공정을 이용하여 동시에 연속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생산 수율이 높고, 매우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보호층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편광판을 액정 패널(화상표시 패널) 등의 액정 표시장치에 점착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점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별도의 점착 필름을 보호층 상에 접착시키거나, 보호층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필요한 양의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핀 코팅, 바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블레이드 코팅 등의 방법이 있으며, 연속공정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롤 코팅에 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되는 보호층에는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에,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또는 전자선 조사 처리와 같은 표면 활성화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편광판
본 명세서는 상술한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편광판은 상술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에서 캐리어 필름이 박리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편광자(1); 상기 편광자(1)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접착제층 및 보호 필름(3); 및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구비된 보호층(2)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도 1 참조)
상기 접착제층, 보호 필름, 편광자 및 보호층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점착층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보호층의 편광자와 접하는 면의 반대면에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편광판은, 표시장치 패널 또는 위상차 필름과 같은 광학 필름과의 부착을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보호층의 상부에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층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다양한 점착제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층은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투명성 및 내열성 등을 고려할 때,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점착층은 보호층 상부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형 시트 상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 제조되는 점착 시트를 보호층 상부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화상표시장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편광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편광판을 포함한다.
도 3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1)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접착제층 및 보호 필름(3); 및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구비된 보호층(2)을 포함하는 편광판(6)이 점착층(4)을 매개로 액정 패널(7)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편광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편광판으로서 본 명세서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편광판으로서 본 명세서에 따른 편광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편광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편광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편광판 및 하부 편광판은 본 명세서에 따른 편광판이다.
이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 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기판(ex.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 등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제조예: 캐리어 필름의 제조>
(1) 제조예 1-1: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이 구비된 캐리어 필름의 제조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제품명: PF-15 조광페인트社)) 10 중량%, 실리콘계 웨팅제 1 중량% 및 콜로이달 실리카 입자 0.5 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여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 1을 제조하였다.
이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의 일면에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 1을 바 코팅(Bar-Coating)한 후 100~150℃에서 건조하여 물을 증발시켰다. 그 후,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이 코팅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TD 방향으로 3.5배 연신하고 230℃의 오븐에서 열처리하여 캐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2) 제조예 1-2: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이 구비된 캐리어 필름의 제조
수분산성 폴리아크릴계 수지(제품명: MYX-1010 TAKAMATUS 社)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 2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의 일면에 바 코팅(Bar-Coating)한 후 100~150℃에서 건조하여 물을 증발시켰다. 그 후,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 2가 코팅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TD 방향으로 3.5배 연신하고 230℃의 오븐에서 열처리하여 캐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3) 제조예 1-3: 실리콘계 이형 처리가 된 캐리어 필름의 제조
기재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을 준비하고,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실리콘계 이형제가 바코팅(Bar-coating)의 방법으로 코팅된 캐리어 필름(제품명: XD5SR 도레이社)을 준비하였다.
(4) 제조예 1-4: 코로나 처리가 된 캐리어 필름의 제조
제조예 1-3에서 제조된 실리콘계 이형 처리가 된 필름(PET)을 준비하고, 상기 기재필름의 이형 처리가 된 면에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하여 캐리어 필름을 준비하였다.
<제조예: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1) 제조예 2-1: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1의 제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품명 셀록사이드-2021)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도아 고세이 아론 옥세탄 OXT-221) 23 중량부 및 1,4-시클로헥실 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CHDMDGE, LD204)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로서 Irgacure 250 3 중량부 및 광증감제로서 ESACURE ITX를 1 중량부를 혼합하여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1을 제조하였다.
(2) 제조예 2-2: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2의 제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품명 셀록사이드-2021)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도아 고세이 아론 옥세탄 OXT-221) 23 중량부 및 1,4-시클로헥실 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CHDMDGE)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실록산 화합물(제품명: OFX-0400 DOW CORNING社) 5 중량부, 광개시제로서 Irgacure 250 3 중량부 및 광증감제로서 ESACURE ITX를 1 중량부를 혼합하여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2를 제조하였다.
(3) 제조예 2-3: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3의 제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품명 셀록사이드-2021)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도아 고세이 아론 옥세탄 OXT-221) 11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로서 Irgacure 250 3 중량부 및 광증감제로서 ESACURE ITX를 1 중량부를 혼합하여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3을 제조하였다.
(4) 제조예 2-4: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4의 제조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도아 고세이 아론 옥세탄 OXT-221)의 함량을 상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품명 셀록사이드-2021)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제조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4를 제조하였다.
(5) 제조예 2-5: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5의 제조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도아 고세이 아론 옥세탄 OXT-221)의 함량을 상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품명 셀록사이드-2021) 100 중량부에 대하여 67 중량부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제조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5를 제조하였다.
(6) 제조예 2-6: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6의 제조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도아 고세이 아론 옥세탄 OXT-221)의 함량을 상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품명 셀록사이드-2021)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외에는 상기 제조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6을 제조하였다.
(7) 제조예 2-7: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7의 제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품명 셀록사이드-2021) 100 중량부에 대하여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도아 고세이 아론 옥세탄 OXT-221) 200 중량부 및 1,4-시클로헥실 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CHDMDGE, LD204)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개시제로서 Irgacure 250 3 중량부 및 광증감제로서 ESACURE ITX를 1 중량부를 혼합하여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7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상품명 셀록사이드-2021) 30 중량부,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도아 고세이 아론 옥세탄 OXT-221) 20 중량부, 1,4-시클로헥실 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CHDMDGE) 40 중량부 및 노난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광개시제로서 Irgacure 250 3 중량부 및 광증감제로서 ESACURE ITX를 1 중량부 첨가하여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
미리 준비된 연신된 두께 23㎛의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제조사: 일본합성사)을 25℃의 분위기 하에서 그 상면에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캐리어 필름을 공급하고, 그 하면에 보호 필름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일본 토요보사 제조)을 공급하며, 10M/min의 속도 및 2Mpa의 압력으로 한 쌍의 롤을 통과시켰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보호 필름 사이에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롤-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약 3㎛의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캐리어 필름 사이에 상기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1을 롤-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약 6㎛의 두께로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접착제층 및 보호층의 형성과정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퓨전 램프(Fusion lamp)을 이용하여 캐리어 필름 쪽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보호층 및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1 대신에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2를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
캐리어 필름으로서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캐리어 필름 대신 상기 제조예 1-2에서 제조된 캐리어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
캐리어 필름으로서, 별도의 처리가 되지 않은 기재 필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
캐리어 필름으로서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캐리어 필름 대신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된 캐리어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
캐리어 필름으로서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캐리어 필름 대신 상기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캐리어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1 대신에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3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1 대신에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4를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1 대신에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5를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1 대신에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6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1 대신에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 7을 사용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코팅성 테스트>
상기 제조된 캐리어 필름 각각의 표면에 상기 제조예 2-1에 의해 제조된 보호층 형성용 광경화 조성물을 3g 메이어 바(Mayor Bar)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약 5분간 온도 25℃ 습도 40%의 조건에서 방치하고, 도포된 조성물에 기포 및 미코팅 부위가 발생하는지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 조성물의 미코팅 부위가 발생하지 않으며, 코팅부위에 기포 미발생
*중: 조성물의 미코팅 부위가 발생하지 않으며, 코팅부위에 기포 10개 이상 발생
*하: 조성물의 미코팅 부위가 면적의 30%이상 발생
캐리어 필름 처리 종류 코팅성 테스트
제조예 1-1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처리
제조예 1-3 실리콘계 이형 처리
제조예 1-4 실리콘계 이형 처리 및 코로나 처리
이를 통해, 캐리어 필름으로서 실리콘 이형처리를 한 기재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기재 필름에 대한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이 원활히 도포되지 않고, 기포가 생기는 반면에,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캐리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캐리어 필름에 대한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이 원활히 도포되어, 발림성(또는 코팅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캐리어 필름 블로킹 현상 테스트>
상기 제조된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권취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샘플 길이가 50mm가 되도록 하여 롤에 권취하여 필름 롤을 형성하였다. 이후, 고속박리기를 이용하여 캐리어 필름을 180°의 각도로 30m/min의 속도로 박리하였다. 이때, 필름의 외관에 따라 Lv. 0에서부터 Lv. 3까지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Lv. 0: 편광자의 보호층 및 캐리어 필름 모두 외관에 이상이 없는 깨끗한 상태
Lv. 1: 편광자의 보호층의 외관에는 이상이 없으나, 박리된 캐리어 필름 면이 변형된 상태
Lv. 2: 편광자의 보호층의 표면이 변형이 발생한 상태
Lv. 3: 캐리어 필름이 박리되지 않고 찢어진 상태
또한, 캐리어 필름 박리 테스트를 진행 한 후, 박리한 캐리어 필름이 깨끗하게 박리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헤이즈미터(Hazemeter, 제조사:세코스社)를 통하여 캐리어필름의 내부 헤이즈를 측정하여 초기 헤이즈 값 대비 헤이즈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내부 헤이즈(Haze)는 뿌옇게 흐린 정도 또는 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투과 모드의 헤이즈(Haze)로 측정하였으며 그 정도를 초기 헤이즈 값 대비 헤이즈 변화율(%)로 표현하였다.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보호층의 박리력 테스트>
상술한 크로스-컷 테이프(cross-cut tape) 시험을 이용하여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X1)을 측정하고, 필름고속박리기(CBT-4720, 충북테크)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X3: gf/5㎝)을 측정하였다. 방법 및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5일 경과 후 박리 후 외관 Lv. 0 Lv. 0 Lv. 3 Lv. 2 Lv. 0 Lv. 0 Lv. 3 Lv. 2 Lv. 0 Lv. 0 Lv. 0
헤이즈 변화율(%) 0.05% 이하 0.05% 이하 측정 불가 3% 0.05% 이하 0.05% 이하 측정 불가 5% 이상 0.05% 이하 0.05% 이하 0.05% 이하
14일 경과 후 박리 후 외관 Lv. 1 Lv. 0 Lv. 3 Lv. 2 Lv. 0 Lv. 0 Lv. 3 Lv. 3 Lv. 0 Lv. 0 Lv. 0
헤이즈 변화율(%) 약 0.4% 약 0.2% 측정 불가 5% 이상 0.05% 이하 0.05% 이하 측정 불가 측정 불가 0.1% 0.05% 이하 0.05% 이하
X3 40 25 파단 300 10 15 파단 80 13 5 5
X1 5B 5B 5B 5B 5B 5B 5B 5B 4B 4B 3B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비교예의 경우, 캐리어 필름 박리 시 블로킹현상이 발생하거나, 박리 후 헤이즈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X3)이 크므로, 캐리어 필름 박리시 블로킹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교예 1의 경우, 캐리어 필름 박리 시, 캐리어 필름이 찢어져 버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캐리어 필름 박리 시 저항 없이 깨끗하게 박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캐리어 필름이 깨끗하게 박리되지 않아, 캐리어 필름에 헤이즈가 3% 이상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프라이머층이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캐리어 필름과 보호층의 박리성이 향상되어, 캐리어 필름을 박리할 때 블로킹 현상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특히,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캐리어 필름 박리 시 블로킹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헤이즈 변화율이 적을 뿐만 아니라,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박리력(X1)이 큼에도 불구하고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X3)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캐리어 필름으로서,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캐리어 필름을 사용하고, 캐리어 필름에 접하는 보호층의 조성으로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및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을 모두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실시예 1에 비하여 실시예 2의 경우,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X3)이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보호층 조성에 실록산계 첨가제가 더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보호층의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이 낮으므로, 블로킹 현상이 최대로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편광자
2: 보호층
3: 보호 필름
4: 점착층
5: 캐리어 필름
6: 편광판
7: 화상표시 패널
10, 20: 가압 롤
30, 40: 주행 롤
50: 접착제 조성물 도포 수단
60: 활성 에너지선 조사 수단
70: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도포 수단
100: 편광자
110: 편광자 롤
200: 캐리어 필름
210: 캐리어 필름 롤
300: 보호 필름
310: 보호 필름 롤
500: 편광판 권취 롤

Claims (22)

  1.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접착제층 및 보호 필름;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보호층 및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편광자에 직접 부착되고,
    상기 캐리어 필름은 기재 필름 및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각각 구비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상기 캐리어 필름에 대한 박리력(X3)이 40 gf/5㎝ 이하인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편광자에 대한 접착력(X1)이 ASTM D3359-87 에 따른 표준 크로스-컷 테이프(cross-cut tape) 시험에 의해 측정할 때, 4B 이상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우레탄, 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 수지, 실란 변성 우레탄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우레탄 공중합체 및 실리콘-아크릴-우레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인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프라이머 조성물은 가교제 및 수분산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를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옥사졸린 가교제, 카보디이미드 가교제, 멜라민 가교제 및 에폭시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50nm 내지 200nm인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에폭시 화합물(A) 및 옥세탄 화합물(B)을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또는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인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에폭시 화합물(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세탄 화합물(B)을 5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A)은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및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을 5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활성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상기 에폭시 화합물(A)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실록산 화합물(C)를 0.01 내지 6.8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4㎛ 이상 11㎛ 이하인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경화 후 유리전이온도가 90℃ 이상인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은 점도가 상온에서 50 cps 이상 200cps 이하인 것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19. 편광자의 일면에 캐리어 필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보호 필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편광자와 캐리어 필름 사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을 공급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 사이에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공급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필름 및 보호 필름의 각 표면에 한 쌍의 가압 수단을 배치하여, 상기 캐리어 필름, 편광자 및 보호 필름 적층체를 가압하는 단계; 및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보호층 및 접착제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20. 청구항 19에 따른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에 따라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보호층으로부터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는 롤-투-롤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인 편광판의 제조방법.
  22.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접착제층 및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구비되고 편광자에 직접 부착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청구항 20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
KR1020180161710A 2017-12-15 2018-12-14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KR102245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3295 2017-12-15
KR1020170173295 2017-12-15
KR20180032912 2018-03-21
KR1020180032912 2018-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460A true KR20190072460A (ko) 2019-06-25
KR102245924B1 KR102245924B1 (ko) 2021-04-29

Family

ID=6681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710A KR102245924B1 (ko) 2017-12-15 2018-12-14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72448B2 (ko)
EP (1) EP3709062A4 (ko)
JP (1) JP7296963B2 (ko)
KR (1) KR102245924B1 (ko)
CN (1) CN111448495B (ko)
TW (1) TWI700191B (ko)
WO (1) WO20191176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779A1 (ko) 2019-09-23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017A (ko)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5904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60015181A (ko) * 2014-07-30 2016-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 필름용 수지 조성물,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60037811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538A (ja) 1998-06-18 2000-01-11 Pilot Ink Co Ltd 可逆熱変色性感圧転写テープ及びそれを内蔵した転写具
JP3591641B2 (ja) 2000-10-30 2004-11-24 コニシ株式会社 リサイクル型プライマー組成物、その再剥離方法
US20150119794A1 (en) * 2005-08-05 2015-04-30 Gholam A. Peyman Methods to regulate polarization and enhance function of cells
JP4785458B2 (ja) 2005-08-10 2011-10-05 株式会社巴川製紙所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JP5058953B2 (ja) * 2007-12-06 2012-10-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ロール原反
JP5454857B2 (ja) 2008-02-04 2014-03-2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KR101080263B1 (ko) 2008-12-11 2011-11-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이접착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프라이머층을 갖는 폴리에스터계 적층필름
JP4972197B2 (ja) 2010-08-27 2012-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機能フィルム連続ロ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ならびに光学機能フィルム貼り合せ装置
JP6066211B2 (ja) 2011-10-14 2017-01-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及び光学素子
JP6195196B2 (ja) 2011-10-14 2017-09-1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両面型偏光板及びこれを含む光学装置
JP2013160775A (ja) 2012-02-01 2013-08-19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及び光学部材
KR101414238B1 (ko) * 2012-05-23 2014-07-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4211B1 (ko) * 2013-09-30 2016-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면형 박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KR101719883B1 (ko) * 2013-12-25 2017-03-24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광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과 그 제조법,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5182351A (ja) 2014-03-25 2015-10-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6415341B (zh) 2014-05-30 2020-03-17 住友化学株式会社 带粘合剂的偏振板及液晶显示装置
CN104898196B (zh) * 2015-05-14 2017-09-1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偏光板及液晶显示面板
KR101802578B1 (ko) * 2015-06-05 2017-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6154054B2 (ja) * 2015-09-30 2017-06-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344440B2 (ja) 2016-02-16 2018-06-2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6428679B2 (ja) 2016-02-25 2018-11-2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WO2017159969A1 (ko) * 2016-03-18 2017-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JP6710560B2 (ja) * 2016-03-28 2020-06-1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888142B1 (ko) 2016-08-26 2018-08-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 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017A (ko)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8342B1 (ko) * 2007-12-17 2010-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5904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60015181A (ko) * 2014-07-30 2016-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 필름용 수지 조성물,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60037811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779A1 (ko) 2019-09-23 2021-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15205A1 (en) 2021-04-22
CN111448495B (zh) 2023-05-12
EP3709062A4 (en) 2021-02-17
TWI700191B (zh) 2020-08-01
WO2019117674A1 (ko) 2019-06-20
JP7296963B2 (ja) 2023-06-23
US11572448B2 (en) 2023-02-07
KR102245924B1 (ko) 2021-04-29
CN111448495A (zh) 2020-07-24
JP2021505948A (ja) 2021-02-18
TW201932295A (zh) 2019-08-16
EP3709062A1 (en)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17B1 (ko)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560033B1 (ko) 양면형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JP7195320B2 (ja) 偏光板-キャリアフィルム積層体、偏光板-キャリア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627904B1 (ko) 양면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면형 편광판
CN111465500B (zh) 偏光板-载体膜层合体
US972679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sided polarizing plate and double-sided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613764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
KR102245924B1 (ko)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KR101613765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
KR102244786B1 (ko) 편광판용 캐리어 필름의 전처리 방법,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KR102152484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KR20150091829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40146920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