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0684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0684A
KR20190060684A KR1020180143187A KR20180143187A KR20190060684A KR 20190060684 A KR20190060684 A KR 20190060684A KR 1020180143187 A KR1020180143187 A KR 1020180143187A KR 20180143187 A KR20180143187 A KR 20180143187A KR 20190060684 A KR20190060684 A KR 20190060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image forming
sheet
forming apparatus
link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769B1 (ko
Inventor
요이치로 이이즈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0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개폐 부재가 맞닿는 링크 기구 및 셔터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장치 본체를 갖고, 셔터가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 개폐 부재가 폐쇄 방향으로 더 눌리면, 규제부에 의해 셔터의 위치가 제2 위치에 유지되면서 링크 기구에 의해 개폐 부재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및 프린터 등의 전자 사진 방식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및 프린터는, 장치 본체의 내부를 외부에 개방할 수 있도록,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의 내부에서 시트 잼이 발생하는 경우, 및 화상 형성에 필요한 감광 부재 등의 유닛(이하, 착탈 유닛이라고 칭한다)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 경우,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유저가 내부에 액세스 가능하게 된다.
도어를 개방하면 유저가 정착 유닛과 같은 열원에 접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23822호는, 유저가 정착 유닛과 같은 열원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착 유닛의 시트 주입구를 입구 셔터로 폐쇄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 문헌의 입구 셔터는 도어의 개방 동작에 연동해서 시트 주입구를 폐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입구 셔터 이외에, 착탈 유닛의 탈거 동작에 연동해서 개폐되는 입구 셔터도 고려된다. 이 입구 셔터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유닛을 장착하면 입구 셔터가 정착 유닛의 시트 주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시트가 정착 유닛의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반대로, 착탈 유닛을 장치 본체로부터 탈거하면, 입구 셔터는 정착 유닛의 시트 주입구를 폐쇄하는 위치(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나, 착탈 유닛의 착탈에 연동해서 이동하는 입구 셔터는, 장치 본체에 대한 착탈 유닛의 삽입량에 따라 그 위치가 바뀐다. 부품에는 개체차가 있기 때문에, 착탈 유닛을 장치 본체의 미리결정된 위치까지 삽입해도, 입구 셔터의 이동 거리는 각각의 개별 프린터마다 상이하다. 그러므로, 입구 셔터의 개방 위치는 각각의 개별 프린터에 대해 상이하다.
입구 셔터가 시트를 정착 유닛에 안내하는 역할도 하고 있을 경우, 입구 셔터의 개방 위치가 시트 반송에 적합한 위치가 아니면 시트 잼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문제는 화상 형성 장치가 시트 반송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하는 입구 셔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시트 반송을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시트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 유닛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및 시트에 형성된 상기 토너상을 상기 시트에 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정착 유닛으로서, 상기 정착 유닛은 상기 정착 유닛의 시트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셔터를 포함하는, 정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가 상기 시트 주입구가 폐쇄되는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착탈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에 부착하는 경우, 부착 동작에 따라서 상기 셔터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시트 주입구가 개방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착탈 유닛이 맞닿는 링크 기구와, 상기 셔터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착탈 유닛을 부착 방향으로 더 누르는 경우, 상기 규제부에 의해 상기 셔터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에 유지되면서, 상기 링크 기구에 의해 상기 착탈 유닛이 상기 부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시트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개폐 부재, 및 시트에 형성된 상기 토너상을 상기 시트에 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정착 유닛으로서, 상기 정착 유닛은 상기 정착 유닛의 시트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셔터를 포함하는, 정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가 상기 시트 주입구를 폐쇄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개폐 부재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셔터는 폐쇄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시트 주입구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개폐 부재가 맞닿는 링크 기구와, 상기 셔터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개폐 부재를 폐쇄 방향으로 더 누르는 경우, 상기 규제부에 의해 상기 셔터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에 유지되면서, 상기 링크 기구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카트리지의 일단부측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카트리지의 타단부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의 참고도이다.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의 참고도이다.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의 참고도이다.
도 9는 화상 형성 장치의 참고도이다.
도 10은 셔터 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셔터 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셔터 링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셔터 링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셔터 링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셔터 링크의 다른 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2의 셔터 링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3의 셔터 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3의 셔터 링크의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시된 실시예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C)(이하, 카트리지(C)라 칭한다)을 장치 본체(1)에 착탈할 수 있는 전자 사진 방식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카트리지(C)(착탈 유닛)는, 전자 사진 방식 화상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감광 부재(C21) 및 현상 유닛(C1) 등의 부재를 유닛화한다. 레이저 스캐너(9)는 감광 부재(C21)를 레이저 빔(9a)으로 주사하도록 배치된다. 카트리지(C) 아래에는 기록 매체(S)(이하, 시트라고 칭한다)를 수납하는 급지 카세트(2)가 배치된다. 또한, 장치 본체(1)에는, 시트(S)의 반송 방향을 따라, 픽업 롤러(3), 반송 롤러 쌍(4), 전사 유닛(5), 정착 유닛(6), 배지 롤러 쌍(7), 배지 트레이(8) 등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카트리지(착탈 유닛)(C)가 장치 본체(1)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고려하면,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1)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개시된 카트리지(착탈 유닛)(C)가 함께 제공되어 있는 장치 본체(1)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시스템를 개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사용해서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개략을 설명한다. 감광 부재(C21)는 장치 본체(1)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된다. 감광 부재(C21)의 표면은, 감광 부재(C21)에 접촉하며, 감광 부재(C21)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대전 롤러(C24)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균일하게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 부재(C21)의 표면을, 화상에 따른 레이저 스캐너(9)로부터의 레이저 빔(9a)으로 주사함으로써, 감광 부재(C21)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현상 유닛(C1)의 토너실(C15) 내의 토너(T)는, 토너 반송 부재(C17)에 의해 교반 및 반송되고, 토너 공급실(C16)에 보내진다. 토너 반송 부재(C17)는 장치 본체(1)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된다. 토너(T)는, 현상 롤러(C11)의 내부의 마그네트 롤러(C11a)의 자력에 의해 현상 롤러(C11)의 표면에 담지된다. 장치 본체(1)에 의해 구동 및 회전되는 현상 롤러(C11) 상의 토너(T)의 층 두께는 현상 블레이드(C13)에 의해 마찰 대전되면서 규제된다. 현상 롤러(C11) 상의 토너(T)는, 감광 부재(C21) 상의 정전 잠상에 따라서 감광 부재(C21)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감광 부재(C21)의 표면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토너상 형성의 타이밍에 맞게, 픽업 롤러(3) 및 반송 롤러 쌍(4)에 의해, 급지 트레이(2) 상에 적재된 시트(S)가 반송된다. 시트(S)가 감광 부재(C21)와 전사 롤러(5a) 사이의 전사 유닛(5)까지 반송되면, 전사 유닛(5)에서, 감광 부재(C21) 상의 토너상은 시트(S)에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S)는 정착 유닛(6)에 반송된다. 정착 유닛(6)의 가열 롤러(6a)와 가압 롤러(6b) 사이에 형성된 정착 닙부를 시트(S)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시트(S)위에 토너상이 정착된다.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S)는 배지 롤러 쌍(7)에 의해 반송되어, 배지 트레이(8)에 배지된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구 셔터(18)는 장치 본체(1)에 대한 카트리지(C)(착탈 유닛)의 착탈에 따라서 이동해서 정착 유닛(6)의 시트 주입구를 폐쇄한다. 입구 셔터(18)가 정착 유닛(6)의 시트 주입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입구 셔터(18)가 카트리지(C)에 의해 눌리면, 입구 셔터(18)는 시트 주입구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되는 개방 위치(제2 위치)로 회전한다.
이어서, 카트리지(C)의 착탈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에는 장치 본체(1)에 대해 카트리지(C)를 탈착할 때에 개폐되는 도어(개폐 부재)(13)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1)의 내부 측벽에는, 카트리지(C)를 탈착할 때에 카트리지(C)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a, 11b)이 제공된다. 카트리지(C)를 장치 본체(1)에 부착할 때에는, 카트리지(C)의 길이 방향(도 2의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일단부측의 피가이드부(C4a, C4b)(도 4)가 가이드 레일(11a, 11b)에 대하여 정렬된다. 동일하게, 카트리지(C)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측 피가이드부(C4c, C4d)(도 5)가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정렬된다. 그리고, 이들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카트리지(C)를 장치 본체(1)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어서, 정착 유닛(6)의 시트 주입구에 제공되는 입구 셔터의 필요성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참고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13)를 개방하고 카트리지(C)를 탈거하면, 개구부(E)를 통해 장치 본체(1)의 내부에 유저의 손이 액세스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장치 본체(1)의 내부에 잼된 시트(S)를 제거하기 위해서 유저가 손을 삽입하면, 유저가 고온인 정착 유닛(6)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구 셔터(18)를 제공하고, 고온부를 폐쇄하는 것이 유효하다. 입구 셔터(18)는, 장치 본체(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입구 셔터(18)는, 카트리지(C)의 착탈에 연동해서 도 7의 화살표 18a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입구 셔터(18)는 정착 유닛(6)의 입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정착 유닛(6)의 입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이어서, 입구 셔터(18)를 시트의 비인쇄면(미정착 토너상을 담지하는 면과 반대 측의 면)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하는 경우의 셔터 위치 정밀도의 중요성에 대해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참고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트 반송 경로를 갖는 장치의 경우, 시트(S)는 시트(S)의 비인쇄면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반송 가이드(20)를 따라 반송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S)의 인쇄면(미정착 토너상을 담지하는 면)과 대향하는 측에 입구 셔터(18b)를 배치하는 경우, 입구 셔터(18b)가 정착 유닛(6)의 입구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했을 때, 입구 셔터(18b)는 시트(S)의 반송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카트리지(C)에 가까운 위치에 입구 셔터(18b)를 배치한다. 따라서, 입구 셔터(18b)와 카트리지(C)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장치 본체를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S)의 비인쇄면과 대향하는 측에 입구 셔터(18)를 배치하는 경우, 입구 셔터(18)와 카트리지(C) 사이의 간섭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치를 소형화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입구 셔터(18)는 시트(S)의 반송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입구 셔터(18)가 시트 반송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입구 셔터(18)의 위치 및 자세를 고정밀도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입구 셔터(18)가 지나치게 개방되거나 지나차게 폐쇄되는 경우, 시트(S)의 잼이 발생하기 쉬워질 수 있다.
통상, 카트리지(C) 및 도어 등의 가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는 부재(셔터)는, 폐쇄 상태의 자세(위치)가 장치 본체(1)의 일부에 의해 결정되고, 개방 상태의 자세가 가동 부재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개방 상태의 자세가 가동 부재로 의해 결정될 경우, 셔터의 위치결정에 관계되는 부품의 수가 많아지고, 각 부품의 치수 공차가 최종적인 셔터의 위치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개방 상태의 셔터의 위치 정밀도는 저하된다. 또한,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개개의 부품의 정밀도를 올리면, 비용이 상승한다.
따라서,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일 없이, 입구 셔터(18)의 개방 위치의 정밀도를 확보하는 구성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입구 셔터(18)의 개방 위치의 위치결정 구성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3을 사용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장치 본체(1)는 후술하는 링크 기구(30)를 갖는다. 도 10은, 입구 셔터(18)가 폐쇄 위치(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링크 기구(30) 근방의 사시도이다. 입구 셔터(18)는 축(18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치 본체(1)에 의해 지지된다. 링크 부재(31)는, 입구 셔터(18)에 제공된 축(18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지지부와 상이한 단부에 맞닿음부(31a)를 갖는다. 맞닿음부(31a)는 장치 본체(1)의 셔터 가이드부(19)에 의해 안내된다. 입구 셔터(18)와 링크 부재(31)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32)이 제공되어 있고, 입구 셔터(18)와 링크 부재(31)가 화살표 A의 각각의 방향으로 상호 개방되도록 입구 셔터(18)와 링크 부재(31)를 가압하고 있다.
도 11은, 입구 셔터(18)가 개방 위치(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링크 기구(30) 근방의 사시도이다. 입구 셔터(18)는 카트리지(C)에 의해 눌리고,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된다. 입구 셔터(18)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셔터 걸림면(18d)이 장치 본체(1)에 제공된 셔터 회전 멈춤부(규제부)(21)에 맞닿는다. 따라서, 입구 셔터(18)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링크 부재(31)는, 입구 셔터(18)가 개폐되는 동안에 셔터 가이드(19)를 따라 안내된다. 입구 셔터(18)가 셔터 회전 멈춤부(21)에 맞닿는 위치까지 입구 셔터(18)가 회전하면, 입구 셔터(18)가 카트리지(C)에 의해 눌려도, 입구 셔터(18)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링크 부재(31) 만이 축(18c) 주위로 회전한다. 따라서, 입구 셔터(18)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자세(시트 반송 가이드로서 기능할 때의 자세)는, 항상 셔터 회전 멈춤부(21)와 맞닿을 때의 자세가 된다. 즉, 입구 셔터(18)가 시트 반송 가이드로서 기능할 때의 자세의 개체차가 작아지므로, 입구 셔터(18)에 의한 시트의 안내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10과 도 11을 비교하면, 입구 셔터(18)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가압 스프링(32)이 압축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가압 스프링(32)은, 입구 셔터(18)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입구 셔터(18)가 폐쇄된 상태로 입구 셔터(18)를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장치 본체(1)가 제공하는 입구 셔터(18)의 회전 지지점의 지지 형상과 회전 멈춤부 형상을 동일한 부품에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입구 셔터(18)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과도한 부품을 제공할 필요가 없고, 입구 셔터(18)는 정밀하게 위치결정된다.
도 12는 입구 셔터(18)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 있을 때의 링크 기구(30) 근방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입구 셔터(18)가 셔터 회전 멈춤부(21)에 맞닿는 위치(개방 위치)에 입구 셔터(18)가 있을 때의 링크 기구(30) 근방의 단면도이다.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카트리지(C)는 장치 본체(1) 내로의 삽입에 수반하여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카트리지(C)의 링크 맞닿음부(C30)가 맞닿음부(31a)에 맞닿고, 카트리지(C)의 삽입에 연동해서 입구 셔터(18)가 개방된다. 카트리지(C)의 탈거 시에, 입구 셔터는 역동작에 의해 폐쇄된다. 입구 셔터(18)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경로 1), 유저가 카트리지(C)를 누르는 힘에 의해 입구 셔터(18)는 축(18b)을 중심으로 화살표 E의 방향으로 개방된다.
도 14는, 입구 셔터(18)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링크 부재(31)가 링크 맞닿음부(C30)에 의해 더 눌릴 때의 링크 기구(30) 근방의 단면도이다. 이때, 셔터 걸림면(18d)은 가압 스프링(32)에 의해 셔터 회전 멈춤부(21)에 가압되어, 회전이 규제된다. 카트리지(C)는 링크 부재(31)에, 링크 맞닿음부(C30)의 면의 법선 방향으로 반력을 부여한다. 이 반력은 방향 B와 평행하지 않고, 방향 B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의 성분을 갖는다. 따라서, 링크 부재(31)는 축(18c) 둘레로 화살표 F의 방향(경로 2)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비교하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링크 부재(31)가 F 방향으로 회전할 때, 맞닿음부(31a)는 링크 맞닿음부(C30)의 경사면을 미끄러지도록 이동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C)가 링크 부재(31)를 지나치게 누르는 경우에도, 입구 셔터(18)의 폐쇄 위치는 입구 셔터(18)가 셔터 회전 멈춤부(21)와 맞닿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카트리지(C)가 장치 본체(1)의 내부의 올바른 위치에 부착된 상태에서, 링크 맞닿음부(C30)와 맞닿음부(31a) 사이에 예상되는 상대 위치 간극을 고려하여 맞닿음부(31a)를 압입하도록 설계한다. 이에 의해, 셔터 기구에 관련되는 부품 형상의 정밀도에 좌우되지 않고, 입구 셔터(18)의 정밀한 개방 위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스프링(32)으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33)을 사용하거나, 인장 스프링을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착탈 유닛(C)이 맞닿는 링크 기구(30)와, 셔터(18)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21)를 갖는다. 그리고, 셔터(18)가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착탈 유닛(C)을 부착 방향으로 더 누르면, 링크 기구(30)는 규제부(21)에 의해 셔터(18)의 위치가 제2 위치에 유지되면서 착탈 유닛(C)이 착탈 유닛(C)의 부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가 시트 반송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하는 입구 셔터(18)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시트 반송을 제공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어서, 실시예 2를 도 1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셔터가 시트 주입구를 폐쇄하는 제1 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폐쇄되면, 셔터는 폐쇄 동작에 따라서 제1 위치로부터 시트 주입구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장치의 도어(13)에는, 실시예 1에서의 맞닿음부(C3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링크 맞닿음부(D13)가 제공되어 있다. 즉, 도어(13)의 개폐 동작에 따라, 링크 맞닿음부(D13)는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맞닿음부(31a)와 맞닿는다. 따라서, 입구 셔터(18)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장치 본체는, 도어(13)가 맞닿는 링크 기구와, 셔터(18)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21)를 갖는다. 그리고, 셔터(18)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도어(13)를 폐쇄 방향으로 더 누르면, 링크 기구는 규제부(21)에 의해 셔터의 위치가 제2 위치에 유지되면서 도어(13)의 폐쇄 방향으로 도어(13)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실시예 3]
이어서, 실시예 3을 도 17 및 도 18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가압 스프링(32)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링크 부재(31)를 가압하고 있는 측의 아암 형상은, 실시예 1에 나타낸 링크 부재(31)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기 위한 형상이다. 가압 스프링(32)의 일부를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32a)로서 사용함으로써 부품의 추가적인 감소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시트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착탈 유닛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및
    시트에 형성된 상기 토너상을 상기 시트에 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정착 유닛으로서, 상기 정착 유닛은 상기 정착 유닛의 시트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셔터를 포함하는, 정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가 상기 시트 주입구가 폐쇄되는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착탈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에 부착하는 경우, 부착 동작에 따라서 상기 셔터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시트 주입구가 개방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착탈 유닛이 맞닿는 링크 기구와, 상기 셔터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착탈 유닛을 부착 방향으로 더 누르는 경우, 상기 규제부에 의해 상기 셔터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에 유지되면서, 상기 링크 기구에 의해 상기 착탈 유닛이 상기 부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미정착 토너상을 담지하는 시트의 면과 반대측의 상기 시트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셔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셔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상기 셔터의 단부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착탈 유닛을 상기 부착 방향으로 더 누르는 경우, 상기 착탈 유닛이 상기 셔터를 누르는 힘이 상기 셔터에 대하여 상기 링크 기구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변화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프링의 일부는 상기 착탈 유닛이 맞닿는 상기 링크 기구인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착탈 유닛은 화상에 대응하는 광이 조사되는 감광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시트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개폐 부재; 및
    시트에 형성된 상기 토너상을 상기 시트에 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정착 유닛으로서, 상기 정착 유닛은 상기 정착 유닛의 시트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셔터를 포함하는, 정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가 상기 시트 주입구를 폐쇄하는 제1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개폐 부재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셔터는 폐쇄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시트 주입구를 개방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개폐 부재가 맞닿는 링크 기구와, 상기 셔터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개폐 부재를 폐쇄 방향으로 더 누르는 경우, 상기 규제부에 의해 상기 셔터의 위치가 상기 제2 위치에 유지되면서, 상기 링크 기구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미정착 토너상을 담지하는 시트의 면과 반대측의 상기 시트의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셔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셔터의 회전축 방향에서 상기 셔터의 단부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개폐 부재를 폐쇄 방향으로 더 누르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셔터를 누르는 힘이 상기 셔터에 대하여 상기 링크 기구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변화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80143187A 2017-11-24 2018-11-20 화상 형성 장치 KR102243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25570 2017-11-24
JP2017225570A JP6961471B2 (ja) 2017-11-24 2017-11-24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684A true KR20190060684A (ko) 2019-06-03
KR102243769B1 KR102243769B1 (ko) 2021-04-23

Family

ID=64456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187A KR102243769B1 (ko) 2017-11-24 2018-11-20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59382B2 (ko)
EP (1) EP3492994B1 (ko)
JP (1) JP6961471B2 (ko)
KR (1) KR102243769B1 (ko)
CN (1) CN1098398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1664B2 (ja) 2018-12-04 202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3699693B1 (en) 2019-02-19 2022-09-21 Canon Kabushiki Kaisha Positio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301628B2 (ja) 2019-06-27 202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474449B2 (en) 2020-06-12 2022-10-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ual operation
JP2022006739A (ja) * 2020-06-24 2022-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025529A (ja) * 2020-07-29 2022-02-10 株式会社リコー 加熱装置、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2094001A (ja) * 2020-12-14 202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042846A (ja) 2021-09-15 2023-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定着ユニッ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7649A (ja) * 2001-12-11 2003-06-27 Kyocera Corp 画像形成機
JP2011081215A (ja) * 2009-10-07 2011-04-21 Sharp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3224987A (ja) * 2012-04-19 2013-10-3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160109827A1 (en) * 2013-05-30 2016-04-21 Tomofumi Yoshida Ton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102983A (ja) * 2014-11-28 2016-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433A (ja) * 1991-08-07 1993-02-19 Minolta Camer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980943A (ja) 1995-09-08 1997-03-28 Ricoh Co Ltd 定着装置
JPH11338212A (ja) * 1998-03-25 1999-12-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341807B1 (ko) * 1998-12-30 2002-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린터의정착부열차단구조
JP4759161B2 (ja) 2001-04-25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366006A (ja) * 2001-06-05 2002-12-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140480A (ja) * 2001-11-01 2003-05-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047593A (ja) * 2004-08-03 2006-02-16 Canon Finetech Inc 画像形成装置
JP4721840B2 (ja) * 2005-09-16 2011-07-13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2008000912A (ja) * 2006-06-20 2008-01-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527499B2 (ja) * 2008-10-02 2014-06-18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65036B2 (ja) * 2010-02-22 2014-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230297A (ja) 2011-04-27 2012-11-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835646B2 (ja) * 2011-06-30 2015-12-24 株式会社リコー ガイド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70152A (ja) * 2013-03-05 2014-09-18 Canon Inc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310724B2 (en) * 2013-08-30 2016-04-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unit, recording medium conve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292902B2 (ja) * 2014-01-27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56024B2 (ja) 2014-01-31 2019-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ーラ、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筒状軸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7649A (ja) * 2001-12-11 2003-06-27 Kyocera Corp 画像形成機
JP2011081215A (ja) * 2009-10-07 2011-04-21 Sharp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3224987A (ja) * 2012-04-19 2013-10-3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20160109827A1 (en) * 2013-05-30 2016-04-21 Tomofumi Yoshida Ton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102983A (ja) * 2014-11-28 2016-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39810B (zh) 2021-09-24
KR102243769B1 (ko) 2021-04-23
JP2019095643A (ja) 2019-06-20
US20190163103A1 (en) 2019-05-30
EP3492994A1 (en) 2019-06-05
US10459382B2 (en) 2019-10-29
EP3492994B1 (en) 2020-09-09
JP6961471B2 (ja) 2021-11-05
CN109839810A (zh)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769B1 (ko) 화상 형성 장치
US2023036726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7349649B2 (en)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theref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80087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hutter arm unit
EP2469349B1 (en) Process unit and image-forming device using process unit
US8478176B2 (en) Fixing apparatus
US11796958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5093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mountable on the same
JP2007058067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KR101607174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사 장치
JP2006243067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9725519B (zh) 成像设备
CN115808863A (zh) 成像装置和定影单元
JP5895608B2 (ja)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456872B2 (ja) 用紙分離装置、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131300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転写装置
JP2021176805A (ja) 画像形成装置
KR20210154742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23103088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67736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