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174B1 -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사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174B1
KR101607174B1 KR1020120034744A KR20120034744A KR101607174B1 KR 101607174 B1 KR101607174 B1 KR 101607174B1 KR 1020120034744 A KR1020120034744 A KR 1020120034744A KR 20120034744 A KR20120034744 A KR 20120034744A KR 101607174 B1 KR101607174 B1 KR 101607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se plate
transfer
recording medium
transf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237A (ko
Inventor
마사카즈 시라이
마사토시 야마다
마사아키 도쿠나가
히로유키 고이데
마부미 가시하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transf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 내의 반송로를 따라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토너 상(像)의 형성을 받아 당해 토너 상을 유지하고, 당해 토너 상을 상기 기록 매체가 통과하는 전사 위치로 반송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 유지체에 대향하고 당해 전사 위치를 통과 중인 기록 매체를 당해 상 유지체와의 사이에 끼워 당해 상 유지체 위의 토너 상을 당해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당해 기록 매체의 통과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짐과 함께, 당해 회전축과 동축 위의, 당해 기록 매체의 통과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피(被)위치 결정부를 갖는 전사 롤을 포함하는 전사 조립체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피위치 결정부의 누름을 받아 상기 전사 롤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전사 위치보다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고, 당해 전사 위치에 있어서 토너 상의 전사를 받은 기록 매체 위에 당해 토너 상을 정착하는 정착기와; 베이스판을 갖고, 당해 베이스판의 내면에 있어서 상기 전사 롤이 당해 베이스판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 조립체를 지지하고, 상기 전사 롤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의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하는 도어를 갖고; 상기 도어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당해 베이스판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 중심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축과, 상기 전사 조립체를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갖고, 상기 전사 조립체가, 당해 전사 롤의 회전축의 연장선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지지축이 유격을 갖고 삽입 통과된 구멍을 갖는 측벽이 형성된, 상기 전사 롤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덜걱거림을 갖고 상기 도어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것으로서, 상기 구멍이, 상기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와서 상기 피위치 결정부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접촉한 당초에 있어서, 당해 도어의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린 상기 지지축을 통과하는 원호에 교차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서, 당해 지지축의 양측에, 당해 지지축과 당해 구멍의 벽면 사이에 극간을 갖는 형상의 구멍이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사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사 롤러를 지지한 도어를 닫음으로써, 토너 상(像)을 유지하는 상 유지체에 전사 롤러를 가압하여 그들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 매체 위에 토너 상을 전사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2000-330352호 공보(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11-102860호 공보(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11-102861호 공보(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2000-33035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1-10286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1-102861호 공보
본 발명은 전사 롤러를 지지한 도어의 개폐에 관한 것으로서, 원활한 조작력을 얻어서 조작감을 향상시킨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방안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 내의 반송로를 따라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토너 상의 형성을 받아 토너 상을 유지하고, 토너 상을 기록 매체가 통과하는 전사 위치로 반송하는 상 유지체와; 전사 위치에 있어서 상 유지체에 대향하고 전사 위치를 통과 중인 기록 매체를 상 유지체와의 사이에 끼워 상 유지체 위의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기록 매체의 통과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짐과 함께, 그 회전축과 동축(同軸) 위의, 기록 매체의 통과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피(被)위치 결정부를 갖는 전사 롤을 포함하는 전사 조립체와; 본체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피위치 결정부의 누름을 받아 전사 롤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와; 전사 위치보다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전사 위치에 있어서 토너 상의 전사를 받은 기록 매체 위에 그 토너 상을 정착하는 정착기와; 베이스판을 갖고, 그 베이스판의 내면에 있어서 전사 롤이 베이스판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전사 조립체를 지지하고, 전사 롤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의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하는 도어를 갖고; 상기 도어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어 그 베이스판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 중심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축과, 전사 조립체를 베이스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갖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전사 조립체가, 전사 롤의 회전축의 연장선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지지축이 유격을 갖고 삽입된 구멍을 갖는 측벽이 형성된, 전사 롤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덜걱거림을 갖고 도어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구멍이,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와서 피위치 결정부가 위치 결정 부재에 접촉한 당초(當初)에 있어서, 도어의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린 지지축을 통과하는 원호에 교차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서, 지지축의 양측에, 지지축과 구멍의 벽면 사이에 극간(隙間)을 갖는 형상의 구멍인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도어의 열림 방향을 향하여 도어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장경(長徑) 방향이 향하는 긴 구멍이다.
본 발명의 제3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보다 도어의 회전 중심선에 가까워진 위치에 배치되어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왔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의 닿음을 받는 받침 부재를 갖고, 상기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와서 지지 부재가 상기 받침 부재에 닿으며, 또한 피위치 결정부가 위치 결정 부재에 접촉한 후, 그 지지 부재의, 피위치 결정부보다 도어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을 누름으로써, 그 지지 부재의, 받침 부재에 닿은 부분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피위치 결정부를 위치 결정 부재에 누르는 누름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의하면, 토너 상의 형성을 받아 토너 상을 유지하고 그 토너 상을 기록 매체가 통과하는 전사 위치로 반송하는 상 유지체에 대향하고, 전사 위치를 통과 중인 기록 매체를 상 유지체와의 사이에 끼워 상 유지체 위의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기록 매체의 통과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짐과 함께, 그 회전축과 동축 위의, 기록 매체의 통과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피위치 결정부를 갖는 전사 롤을 포함하는 전사 조립체와; 본체 프레임에 지지되고, 피위치 결정부의 누름을 받아 전사 롤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와; 베이스판을 갖고, 베이스판의 내면에 있어서 전사 롤이 베이스판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전사 조립체를 지지하고, 전사 롤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의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전사 장치로서, 상기 도어가,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베이스판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회전 중심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축과, 전사 조립체를 베이스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갖고; 전사 조립체가, 전사 롤을 지지함과 함께, 그 전사 롤의 회전축의 연장선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지지축이 유격을 갖고 삽입 통과된 구멍을 갖는 측벽이 형성된 지지 부재를 갖고, 베이스판에 대하여 덜걱거림을 갖고 도어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것이며, 상기 구멍이,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와서 피위치 결정부가 위치 결정 부재에 접촉한 당초에 있어서, 도어의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린 지지축을 통과하는 원호에 교차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서, 지지축의 양측에, 지지축과 당해 구멍의 벽면 사이에 극간을 갖는 형상의 구멍인 전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도어의 열림 방향을 향하여 문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장경 방향이 향하는 긴 구멍이다.
본 발명의 제6 방안에 의하면, 상기 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보다 도어의 회전 중심선에 가까워진 위치에 배치되어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왔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의 닿음을 받는 받침 부재를 갖고; 상기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와서 지지 부재가 상기 받침 부재에 닿으며, 또한 피위치 결정부가 위치 결정 부재에 접촉한 후, 그 지지 부재의, 피위치 결정부보다 도어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을 누름으로써, 그 지지 부재의, 받침 부재에 닿은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피위치 결정부를 위치 결정 부재에 누르는 누름 부재를 갖는다.
상기 제1 방안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제4 방안의 전사 장치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전사 롤을 지지한 도어를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어 조작감이 향상한다.
상기 제2 방안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제5 방안의 전사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 및 청구항 4의 「극간을 갖는 형상의 구멍」의 일례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3 방안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제6 방안의 전사 장치에 의하면, 도어를 닫을 때의 가벼운 조작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터의 좌측면의 도어와 본체 프레임 내에 장착되어 있는 중간 전사 유닛을, 도 1과 같은 방향에서 보고 나타낸 부분 조립도.
도 3은 도어와 중간 전사 유닛의 접촉 부분의 단면 확대도.
도 4는 도어의 베이스판에 지지된 상태의 2차 전사 유닛을, 중간 전사 유닛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어의 베이스판의 사시도.
도 6은 2차 전사 유닛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와 2차 전사 롤 조립체 중 지지 부재만을, 베이스판 위에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의 지지 부재 위에 지지되는 2차 전사 롤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어의 베이스판에 지지된 상태의 2차 전사 유닛의, 한쪽의 측벽의 근방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9는 측벽의 하단의 지점부가, 본체 프레임에 지지된 받침 부재에 눌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2차 전사 롤의 한쪽의 단부(端部)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11은 누름 부재의 주위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2는 2차 전사 유닛을, 지지 부재의 배면측에서 보고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3은 지지 부재와 2차 전사 롤 조립체의 로크 부재의 부분을 단면(斷面)해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14는 2차 전사 유닛의, 코일 스프링의 부분을 단면해서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5는 도어가 열림 상태에 있을 때의, 각 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6은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까지 회전하는 도중의, 각 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까지 회전하는 도중의, 각 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까지 회전하는 도중의, 각 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19는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까지 회전하는 도중의, 각 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0은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까지 회전하는 도중의, 각 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1은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까지 회전하는 도중의, 각 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2는 도어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의, 각 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23은 도어의 개폐시의, 베어링 부재와 안내 부재의 이동 궤적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1)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프린터(100)는 본체 프레임(101)으로 둘러싸여 있고, 이 본체 프레임(101) 내에는 제어부(1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어부(10)에는 이 프린터(100)의 외부의, 예를 들면 원고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너나 화상 처리용 컴퓨터 등으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 제어부(10)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온 화상 데이터가, 후술하는 노광기(26)에 있어서의 노광 광변조용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프린터(100)는, 본체 프레임(101)의 상부에, 화상이 형성된 후의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排紙)대(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프린터(100)의 하부에는 2단의 급지대(12)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급지대(12)에는 화상 형성 전의 용지(P)가 겹쳐 쌓인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들 급지대(12)는, 용지(P)의 보급을 위해,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화상 형성에 있어서는, 급지대(12)의 한쪽으로부터 용지(P)가 픽업 롤(13)에 의해 송출되고, 분리 롤(14)에 의해 1매씩으로 분리되며, 그 1매의 용지(P)가, 본체 프레임(101) 내의 반송로(151) 위를, 반송 롤(15)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상방으로 반송되고, 대기 롤(16)에 의해 그 이후의 반송의 타이밍이 조정되어, 더 상방으로 반송된다. 이 대기 롤(16) 이후의 용지의 반송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프린터(100) 상하 방향의 거의 중앙에는, 4대의 화상 형성 엔진(20Y, 20M, 20C, 20K)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화상 형성 엔진(20Y, 20M, 20C, 20K)은,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색의 토너를 이용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들 4대의 화상 형성 엔진(20Y, 20M, 20C, 20K)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화상 형성 엔진(20Y)을 들어서 그 개요를 설명한다.
이 화상 형성 엔진(20Y)은, 도 1에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21Y)를 갖고, 그 감광체(21Y)의 주위에, 대전기(22Y), 현상기(23Y), 및 클리너(24Y)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감광체(21Y), 대전기(22Y), 현상기(23Y), 및 클리너(24Y)는, 상 형성 유닛(200Y)을 구성하고 있으며, 도 1의 지면(紙面)에 수직인 회전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본체 프레임(10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중간 전사 벨트(31)를 감광체(21Y)와의 사이에 끼운 위치에는, 전사기(25Y)가 놓여 있다.
또한 이들 4대의 화상 형성 엔진(20Y, 20M, 20C, 20K) 아래에는 노광기(26)가 배치되어 있다. 이 노광기(26)에는, 제어부(10)에 의해 생성된, 노광기(26)에서의 노광 광 변조용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 노광기(26)로부터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된 광빔으로 이루어지는, 각 화상 형성 엔진(20Y, 20M, 20C, 20K) 각각에 대응하는 노광 광(261Y, 261M, 261C, 261K)이 출사된다. 각 화상 형성 엔진(20Y, 20M, 20C, 20K)을 구성하는 각 감광체(21Y, 21M, 21C, 21K)는, 각 노광 광(261Y, 261M, 261C, 261K)의 조사(照射)를 받는다.
화상 형성 엔진(20Y)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감광체(21Y)는 롤 형상을 갖고, 대전에 의해 전하를 유지하고 노광에 의해 그 전하를 방출하여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을 유지한다.
대전기(22Y)는 감광체(21Y)의 표면을 어느 대전 전위로 대전한다.
또한, 노광기(26)로부터는, 그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노광 광(261Y)이 출사된다. 감광체(21Y)는, 대전기(22Y)에 의한 대전을 받은 후, 노광기(26)로부터의 노광 광(261Y)의 조사를 받아, 감광체(21Y)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21Y)는, 노광 광(261Y)의 조사를 받아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 후, 현상기(23Y)에 의해 현상되고, 그 감광체(21Y)의 표면에 토너 상(이 화상 형성 엔진(20Y)에서는 옐로우(Y)의 토너에 의한 토너 상)이 형성된다.
현상기(23Y)는, 내부에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현상제를 수용한 케이스(231Y) 내에, 현상제를 교반하는 2개의 오거(232Y)와, 현상제를 감광체(21Y)에 대향한 위치로 옮기는 현상 롤(233Y)을 갖는다. 감광체(21Y)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의 현상에 있어서는, 현상 롤(233Y)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고, 그 바이어스 전압의 작용에 의해, 현상제 중의 토너가, 감광체(21Y)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따라서 감광체(21Y) 위에 부착되어, 토너 상이 형성된다.
현상기(23Y)에 의한 현상에 의해 감광체(21Y)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은, 전사기(25Y)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 위에 전사된다.
이 전사 후에 감광체(21Y) 위에 잔존하는 토너는, 클리너(24Y)에 의해 감광체(21Y) 위로부터 제거된다.
중간 전사 벨트(31)는, 복수의 롤(32)에 감긴, 무단(無端)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순환 이동하는 벨트이다. 이 중간 전사 벨트(31)나 복수의 롤(32), 각 화상 형성 엔진(20Y, 20M, 20C, 20K)을 구성하는 각 전사기(25Y, 25M, 25C, 25K)는 중간 전사 유닛(30)을 구성하고 있고, 도 1의 지면에 수직인 회전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본체 프레임(10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간 전사 유닛(30)을 착탈할 때에는, 이 도 1의 좌측에 나타나 있는 도어(60)를 열고, 도어(60)가 열린 상태에서 중간 전사 유닛(30)의 착탈이 행해진다. 중간 전사 유닛(30)을 장착함에 있어서는, 도어(60)가 열리고, 중간 전사 유닛(30)의 장착 후, 도어(60)가 닫힌다. 이 도어(60)에 대해서는 더 후술한다.
화상 형성 엔진(20Y, 20M, 20C, 20K)의 각각에서 형성된 각 색 토너에 의한 토너 상은, 순차적으로 겹치도록 중간 전사 벨트(31) 위에 전사되고, 2차 전사 롤(41)이 배치된 2차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 이 2차 전사 롤(41)은, 2차 전사 위치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31)에 대향하고 2차 전사 위치를 통과 중인 용지를 중간 전사 벨트(31)와의 사이에 끼워 그 중간 전사 벨트(31) 위의 토너 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중간 전사 벨트(31) 위에 전사된 토너 상이 2차 전사 위치로 반송되는 것과 동기하여, 대기 롤(16)에까지 반송되어 와 있던 용지가 2차 전사 위치로 반송되고, 2차 전사 롤(41)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 위의 토너 상이, 반송되어 온 용지 위에 전사된다. 이 토너 상의 전사를 받은 용지는 더 반송되어 정착기(50)에 도달한다. 이 정착기(50)는, 가열 롤(51)과 가압 롤(52)이 케이스(53)에 수용된 구조를 갖고, 토너 상의 전사를 받은 용지는, 이 정착기(50)의 가열 롤(51)과 가압 롤(52) 사이에 끼워져 진행되는 동안에 가열 및 가압을 받고, 이에 따라 용지 위의 토너 상이 그 용지 위에 정착되어, 정착된 토너 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상이 용지 위에 형성된다.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더 반송되어 배지대(11) 위에 배출된다.
2차 전사 롤(41)에 의해 토너 상을 용지 위에 전사한 후의 중간 전사 벨트(31)는 더 순환 이동하고, 그 표면에 잔존하는 토너가 클리너(42)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1) 위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31)보다 상방에는, 각 색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91Y, 91M, 91C, 91K)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토너 용기(91Y, 91M, 91C, 91K)에 수용되어 있는 각 색 토너는, 현상기(23Y) 등, 대응하는 화상 형성 엔진(20Y, 20M, 20C, 20K)에 각각 구비된 각 현상기에 있어서의 토너의 소비량에 따라 각 현상기에 보급된다.
여기에서, 이 프린터(100)에 있어서의 중간 전사 벨트(31)는, 토너 상의 형성을 받아 토너 상을 유지하고, 그 토너 상을 기록 매체가 통과하는 2차 전사 위치로 반송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 유지체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2차 전사 위치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전사 위치의 일례이며, 2차 전사 롤(41)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전사 롤의 일례이다.
도어(60)는 2차 전사 롤(41)을 포함하는 2차 전사 유닛(40)(예를 들면 도 4 참조; 후술함)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이 도어(60)는, 하단의 노치부(61)에, 본체 프레임(101)에 고정된 핀(102)이 끼워넣어져 있어, 그 핀(102)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화살표 D-E 방향으로 개폐한다. 이 도어(60)가 화살표 E 방향으로 닫히면, 2차 전사 롤(41)이 중간 전사 벨트(31)에 미리 정해진 일정한 힘으로 가압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터(100)의 좌측면의 도어(60)와 본체 프레임(101) 내에 장착되어 있는 중간 전사 유닛(30)을, 도 1과 같은 방향에서 보고 나타낸 부분 조립도이다.
또한, 도 3은 도어(60)와 중간 전사 유닛(30)의 접촉 부분의 단면 확대도이다.
중간 전사 유닛(3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살표 C 방향으로 순환하는 중간 전사 벨트(31)를 포함하는 유닛으로서, 도 1, 도 2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본체 프레임(101)(도 1 참조) 내에 장착된다. 이 도 2에는 이 중간 전사 유닛(30)의 상부에 급전 유닛(71)이 나타나 있다. 이 급전 유닛(71)은 중간 전사 유닛(30)을 구성하는 전사기(25Y, 25M, 25C, 25K)(도 1 참조) 등에의 전원 공급을 담당하고 있다. 이 중간 전사 유닛(30)에는, 도어(60)측에, 그 도어(60)에 지지되어 있는 2차 전사 유닛(40)(도 4 참조)의 누름을 받아 그 2차 전사 유닛(40)을 구성하는 2차 전사 롤(41)(도 1 참조) 등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플레이트(33)가 구비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플레이트(33)는, 중간 전사 벨트(31)를 폭 방향(도 1, 도 2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한 쌍 구비되어 있다. 이 도 2에는, 도 4에 나타내는 2차 전사 유닛(40)을, 그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F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2차 전사 유닛(40)의 측벽(421)이 나타나 있다.
도어(6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단에 노치부(61)를 갖고, 본체 프레임(10)에 고정된 핀(102)(도 1 참조)이 이 노치부(61)에 끼워넣어져 있어, 그 핀(102)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화살표 D-E 방향으로 개폐한다. 또한, 도어(60)에는, 그 도어(60)를 열었을 때에 도어(60)가 지나치게 열려 버리지 않도록 정지시켜 두는 지지바(65)가 장착되어 있다.
2차 전사 유닛(40)의 구조의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 도 2에는 그 2차 전사 유닛(40)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42)(도 4 참조)의 측벽(421)이 나타나 있으며, 그 측벽(421)에 긴 구멍(4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긴 구멍(422)에 긴 구멍 규제축(62)이 유격을 갖고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긴 구멍 규제축(62)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지지축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2차 전사 유닛(40)의 하부에는, 본체 프레임(101)(도 1 참조)에 지지된 받침 부재(72)를 갖는다. 이 받침 부재(72)에는, 2차 전사 유닛(40)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42)의 측벽(421)의 하단에 있는 지점부(423)가 눌려져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전사 유닛(30)을 구성하는 위치 결정 플레이트(33)는, 2차 전사 롤(41)의 회전축과 동축 위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411)(도 4 참조)의 눌림을 받는 오목부(331)와, 반송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43)의 피위치 결정부(432)(도 4 참조)가 눌리는 돌출부(332)를 갖는다. 이 위치 결정 플레이트(33)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위치 결정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이 도어(60)에는, 스프링 부재(63)와, 그 스프링 부재(63)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는 누름 부재(64)가 구비되어 있다. 도어(60)가 본체 프레임(101)에 대하여 열린 상태(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도 1,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해 가면, 측벽(421)(도 2, 도 4 참조)의 하단의 지점부(423)가 받침 부재(72)에 눌려지고, 또한 2차 전사 롤(41)의 베어링 부재(411)가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오목부(331)에 눌려진다. 또한 그 후, 누름 부재(64)가, 지지 부재(42)의 일부인 누름 받침부(424)를 누르고, 그 반력으로 누름 부재(64)가 누름 받침부(424)에 눌려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부재(63)를 압축시킨다. 이에 따라, 측벽(421)의 하부의 지점부(423)를 지점으로 하고, 누름 받침부(424)를 역점(力点)으로 하여, 2차 전사 롤(41)의 베어링 부재(411)가,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오목부(331)에, 미리 정해진 힘으로 강하게 눌린다. 이와 같이, 가벼운 조작력으로 도어(60)를 닫는 것 만으로, 지레의 원리에 의해, 2차 전사 롤(41)의 베어링 부재(411)를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오목부(331)에 규정한 강도로 누를 수 있다.
도어(60)에 장착된 2차 전사 유닛(40)의 상방에는, 본체 프레임(101)(도 1 참조)에 지지된 정착기(50)가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도어(60)의 베이스판(600)에 지지된 상태의 2차 전사 유닛(40)을, 중간 전사 유닛(30)(도 1, 도 2 참조)측에서 보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2차 전사 유닛(40)은 복수의 부재의 조립체이다.
도 5는 도어(60)의 베이스판(600)의 사시도이다. 이 베이스판(600)은 도어(6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고, 이 도 5에는, 그 베이스판(600)의, 2차 전사 유닛(40)(도 4 참조)이 지지되는 측의 면, 즉 중간 전사 유닛(30)(도 1, 도 2 참조)측을 향한 면이 나타나 있다.
도 6은 2차 전사 유닛(40)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42)와 2차 전사 롤 조립체(45)(도 7 참조) 중 지지 부재(42)만을, 베이스판(600) 위에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의 지지 부재(42) 위에 지지되는 2차 전사 롤 조립체(45)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도 4는, 도 6에 나타내는 베이스판(600) 위에 지지된 지지 부재(42)의 위에, 도 7에 나타내는 2차 전사 롤 조립체(45)를 더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베이스판(6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베이스판(600)에는, 그 좌우에 긴 구멍 규제축 고정 부재(601)가 고정되어 있고, 긴 구멍 규제축 고정 부재(601)에는, 긴 구멍 규제축(62)이 고정되어 있다. 이 긴 구멍 규제축(62)은, 긴 구멍 규제축 고정 부재(601)를 통해, 베이스판(600)의 내면(600a)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도어(60)의 회전 중심선(도 1, 도 2에 나타내는 노치부(61)를 통과하며, 도 1, 도 2의 지면에 수직인 선; 도 5에서는 좌우로 연장되는 선이 됨)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베이스판(60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베이스판(600)에는, 한 쌍의 긴 구멍 규제축(62)과 사이에 끼워진 내측의 좌우에, 한 쌍의 스프링 부재(60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602)는, 이 베이스판(600) 위에 지지되는, 2차 전사 유닛(40)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42)(도 6 참조)의, 베이스판(600)측을 향한 배면에 닿아, 그 지지 부재(42)를 베이스판(600)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부재이다. 이 스프링 부재(602)는, 지지 부재(42)를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부(602a) 외에, 더 길게 연장되어 전기적인 배선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그 상세는 생략한다.
또한 이 베이스판(600)의 좌우에는, 베이스판(600)의 내면(600a)과 긴 구멍 규제축(62) 사이에 끼워진 위치에 스프링 부재(63)(도 3을 합해서 참조)가 배치되어 있고, 그 스프링 부재(63)에 인접한 위치에 누름 부재(6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누름 부재(64)는, 중앙 부분의 롤(641)과, 그 롤(641)을 사이에 끼우는 양측 부분의 롤(642)에서 직경이 상이한, 모두가 독립적으로 자유 회전하는 2단의 롤로 구성되어 있다. 이 누름 부재(64)를 구성하는 중앙 부분의 롤(641)은, 베이스판(600)에 설치된 슬릿(600c)(도 11 참조)에 인입하여 베이스판(600)과는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중앙 부분의 롤(641)을 사이에 끼우는 양측 부분의 롤(642)은 그 둘레면이 베이스판(600)에 접촉하고, 이 누름 부재(64)가 스프링 부재(63)를 눌러 이동할 때, 베이스판(600) 위를 구르도록 되어 있다. 중앙 부분의 롤(641)은, 2차 전사 유닛(40)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42)의 누름 받침부(424)(도 3 참조)에 닿아, 스프링 부재(63)의 가압력에 의해 그 누름 받침부(424)를 눌러, 그 누름 받침부(424) 위를 구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베이스판(600)에는, 그 누름 받침부(424)를 누름부(64)와의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설편(舌片)(600b)(도 3을 합해서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베이스판(600)에는, 여기를 통과하는 용지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지 센서(610)가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는 2차 전사 롤 조립체(45)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2차 전사 롤 조립체(45)는 2차 전사 롤(41)과 안내 부재(43)를 갖는다.
2차 전사 롤(41)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벨트(31) 위의 토너 상을 용지 위에 전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안내 부재(43)는, 2차 전사 롤(41)과 정착기(50)(도 1, 도 2 참조) 사이에 배치되고, 토너 상의 전사를 받은 용지를 안내 리브(431)에서 정착기(50)를 향하여 안내하는 부재이다. 2차 전사 롤(41)은 용지가 통과하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양측에 그 회전축(412)에 동축으로 지지된 베어링 부재(411)를 갖는다. 이 베어링 부재(411)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유닛(30)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오목부(331)에 인입하여 그 오목부(331)에 눌려진다. 그러면, 2차 전사 롤(41)의, 용지를 사이에 끼우는 부분이 중간 전사 벨트(31)에 눌려진다. 또한, 안내 부재(43)는, 용지가 통과하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양측에 피위치 결정부(432)를 갖는다. 이 피위치 결정부(432)는, 이것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 전사 유닛(30)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돌출부(332)에 눌려지고, 이에 따라 안내 부재(43)가 위치 결정된다.
이 2차 전사 롤 조립체(45)는, 도 6에 나타내는 지지 부재(42) 위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된다.
여기에서, 2차 전사 롤(41)은 소모품이며 때때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차 전사 롤(41)을 구비한 2차 전사 롤 조립체(45)를 지지 부재(42)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부재로 한 것에 의해, 교환 부분이 적어도 되어, 교환 부품의 비용 저감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지지 부재(42)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차 전사 롤(41)이 배치되는 패임(425)이 형성되고, 그 양단에, 2차 전사 롤(41)의 베어링 부재(411)를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부(426)가 형성되어 있다. 2차 전사 롤(41)의 베어링 부재(411)가 베어링 지지부(426)에 지지됨으로써, 베이스판(600)은, 지지 부재(42)와 2차 전사 롤 조립체(45)로 이루어지는 2차 전사 유닛(40)을, 2차 전사 롤(41)이 베이스판(600)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 또한 2차 전사 롤(41)의 회전축이 도어(60)의 회전 중심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지지한다.
또한, 이 지지 부재(42)에는, 2차 전사 롤(41)을 회전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 용지가 통과하는 통과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그은 선을 차단하는 방향, 즉 2차 전사 롤(41)의 회전축의 연장선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측벽(421)을 갖는다. 이 측벽(421)은 긴 구멍(422)을 갖고, 그 긴 구멍(422)에는, 베이스판(600)에 고정된 긴 구멍 규제축(62)(도 5 참조)이 유격을 갖고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42)는, 그 지지 부재(42)의 누름 받침부(424)(도 3 참조)가 누름 부재(64)와 베이스판(600)의 설편(600b) 사이에 인입하며, 또한 긴 구멍(422)에 긴 구멍 규제축(62)이 삽입 통과됨으로써, 베이스판(600)에 덜걱거림을 가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 덜걱거림을 갖고 베이스판(600)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 부재(42)는, 그 배면이 스프링 부재(602)에 의해 베이스판(600)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눌린 상태에 있다.
또한, 이 지지 부재(42)에는, 이 지지 부재(42)에 의해 지지되는 2차 전사 롤 조립체(45)를 그 배면으로부터 가압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427)이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2차 전사 롤 조립체(45)가 이 지지 부재(42)로부터 안이하게 벗어나게 되지 않도록 로크해 두기 위한 로크 부재(428)와, 압하(押下)에 의해, 그 로크 부재(428)에 의한 2차 전사 롤 조립체(45)의 로크를 푸는 로크 해제 부재(429)를 구비하고 있다.
이 2차 전사 유닛(40)의 특징 중 하나는 긴 구멍(422)의 형상 등에 있지만, 이 긴 구멍(422)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도 8은 도어(60)의 베이스판(600)에 지지된 상태의 2차 전사 유닛(40)의, 한쪽의 측벽(421)의 근방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 8에는 지지 부재(42)의 측벽(421)에 설치된 긴 구멍(422)과 그 긴 구멍(422)에 삽입 통과된 상태의 베이스판(600)에 고정된 긴 구멍 규제축(62)이 나타나 있다. 이 도 8에는 도어(60)(도 1, 도 2 참조)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의 레이아웃이 나타나 있으며, 이 닫힘 상태에서는, 긴 구멍 규제축(62)은 긴 구멍(422)의 벽면과는 비접촉의 상태에 있다.
이 도 8에 나타내는 일점 쇄선(L1)은, 긴 구멍 규제축(62)의 중심을 통과하고, 도어(60)(도 1, 도 2 참조)의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점 쇄선(L2)은, 긴 구멍 규제축(62)의 중심을 통과하는 일점 쇄선(L1)의 접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점 쇄선(L3)은, 긴 구멍(422)의 장경 방향으로 그은 선이다. 또한, 화살표 D는, 도 1,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60)의 열림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이들 일점 쇄선(L1∼L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긴 구멍(422)은, 도어(60)의 열림 방향을 향하여 도어(60)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장경 방향이 향하는 긴 구멍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긴 구멍(422)은, 장경 방향과 평행하게 평면적으로 확대되는 벽 부분을 갖는 긴 구멍이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긴 구멍은, 모두가 곡면으로 둘러싸인 긴 구멍, 예를 들면 타원형의 긴 구멍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 긴 구멍(422)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9는 측벽(421)의 하단의 지점부(423)가, 본체 프레임(101)(도 1 참조)에 지지된, 받침 부재(72)에 눌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2)는, 도어(60)를 닫아 가면, 이 받침 부재(72)에 눌려진 지점부(423)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지레의 원리에 의해, 2차 전사 롤(41)의 베어링 부재(411)가, 중간 전사 유닛(30)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오목부(331)(도 3 참조)에 강하게 눌려진다. 이에 따라 2차 전사 롤(41)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그 2차 전사 롤(41)이 중간 전사 벨트(31)를 규정한 가압력으로 가압한 상태가 된다.
도 10은 2차 전사 롤(41)의 한쪽의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여기에는 2차 전사 롤(41)의 회전축(412)에 지지된 베어링 부재(411)가 나타나 있으며, 이 베어링 부재(411)는 지지 부재(42)의 베어링 지지부(426)에 지지되어 있다. 이 베어링 부재(411)는, 도어(60)가 닫히면, 중간 전사 유닛(30)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오목부(331)(도 3 참조)에 눌려져, 지지 부재(42)의 베어링 지지부(426)와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오목부(331)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도 11은 누름 부재(64)의 주위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이 누름 부재(64)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자유 회전하는 2단의 롤(641, 642)로 이루어지고, 스프링 부재(63)(도 3을 합해서 참조)에 의해 가압되는 부재이다. 2단의 롤(641, 642) 중 한쪽의 롤(641)은 다른 한쪽의 롤(642)보다 직경이 큰 롤이다. 이 직경이 큰 롤(641)은, 베이스판(600)에 설치된 슬릿(600c)에 인입해 있어, 베이스판(600)과는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됨과 함께, 지지 부재(42)의 누름 받침부(424)에 접촉해 있다. 또한, 다른 한쪽의 직경이 작은 롤(642)은, 베이스판(600)에 접하고, 누름 부재(424)로부터는 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60)가 본체 프레임(101)에 대하여 열린 열림 상태로부터,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닫힘 상태를 향하여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전해 가면, 측벽(421)의 하단의 지점부(423)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 부재(72)에 눌려지고(도 2를 합해서 참조), 또한 2차 전사 롤(41)의 베어링 부재(411)가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오목부(331)에 눌려지면(도 3 참조), 이 도 11에 나타내는 누름 부재(64)가, 지지 부재(42)의 일부인 누름 받침부(424)로부터 힘을 받아, 그 누름 받침부(424)와 베이스판(600) 사이에 끼워져 하방(도 11에 화살표 G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누름 부재(64)를 구성하는 2단의 롤(641, 642) 중 한쪽의 롤(641)은 누름 받침부(424)에 눌려 회전하고, 다른 한쪽의 롤(642)은, 베이스판(600) 위를, 한쪽의 롤(641)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2단의 롤(641, 642)을 포함하는 누름 부재(64)는 화살표 G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누름 부재(64)가 화살표 G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그 누름 부재(64)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 부재(63)가 압축되고, 그 스프링 부재(63)의 가압력이 강해져 누름 부재(64)가 누름 받침부(424)를 화살표 E의 방향(즉,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도어(60)의 닫힘 방향의 방향)으로 강하게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받침 부재(72)에 눌려져 있는, 지지 부재(42)의 측벽(421)의 하부의 지점부(423)를 지점으로 하고, 누름 부재(64)에 의해 눌려져 있는, 지지 부재(42)의 누름 받침부(424)를 역점으로 하며, 중간 전사 유닛(30)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오목부(331)에 눌려져 있는 2차 전사 롤(41)의 베어링 부재(411)를 작용점으로 하여, 그 베어링 부재(411)가 미리 정해진 누름력에 의해 오목부(331)에 강하게 눌려진다.
도 12는 2차 전사 유닛(40)을, 지지 부재(42)의 배면측에서 보고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 12에는 지지 부재(42)에 로크된 2차 전사 롤 조립체(45)의 로크를 푸는 로크 해제 부재(429)(도 6을 합해서 참조)가 나타나 있다.
도 13은 지지 부재(42)와 2차 전사 롤 조립체(45)의 로크 부재(428, 433)의 부분을 단면해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 13에는 서로 걸린 상태의, 지지 부재(42)측의 로크 부재(428)(도 6을 합해서 참조)와 2차 전사 롤 조립체(45)측의 로크 부재(433)(도 12를 합해서 참조)가 나타나 있다.
도 6, 도 12에 나타내는 로크 해제 부재(429)를 압하하면, 그들 로크 부재(428, 433)끼리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상태가 되어, 2차 전사 롤 조립체(45)를 지지 부재(4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전사 롤 조립체(45)를 지지 부재(42)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지지 부재(42)에 지지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2차 전사 롤(41)의 수명의 경우에 교환할 필요가 있는 부품은 2차 전사 롤 조립체(45)만으로 끝나,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2차 전사 롤 조립체(45)를 별도의 부품으로 한 것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안내 부재(43)의 정확한 위치 결정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42)의 배면에는, 전기적인 배선을 담당하는 플레이트(491)가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지지 부재(42)의 배면을 누르는 스프링 부재(602)는, 이 플레이트(491)에 접촉하여, 이 플레이트(491)를 누르고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491)와 스프링 부재(602)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도 이루어지고 있다.
도 14는 2차 전사 유닛(40)의, 코일 스프링(427)의 부분을 단면해서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2차 전사 롤 조립체(45)는, 이 코일 스프링(427)(도 6을 합해서 참조)에 의해, 지지 부재(4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427)에 의한 가압과, 안내 부재(43)의 피위치 결정부(432)가 중간 전사 유닛(30)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돌출부(332)(도 2, 도 3 참조)에 눌려짐으로써, 안내 부재(43)가 용지의, 정착기(50)를 향한 안내에 적합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도 15∼도 22는 도어(60)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까지 회전했을 때의, 각부재의 움직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들 도 15∼도 22 중 처음의 도면인 도 15는 도어(60)가 열림 상태에 있을 때의 것, 마지막의 도면인 도 22는 도어(60)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의 것이다.
여기에서는 우선, 도어(60)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의 도면인 도 22를 참조하면서, 도 15∼도 22에 선획(線劃)으로 나타내는 각 부재와, 지금까지 설명해 온 도 1∼도 14에 나타내는 각 부재의 대응 관계를 설명한다.
도 22의 우측에는, 중간 전사 유닛(30)을 구성하는 2개의 롤(32)과, 그들 롤(32)에 감긴 중간 전사 벨트(31)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이 중간 전사 벨트(31)에 인접한 위치에, 중간 전사 유닛(30)을 구성하는 위치 결정 플레이트(33)(도 2, 도 3 참조)의 오목부(331)가 나타나 있으며, 그 오목부(331)의 좌상(左上)측 대각방향에는, 그 위치 결정 플레이트(33)의 돌출부(332)가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오목부(331)에는, 2차 전사 롤(41)의 베어링 부재(411)가 인입해 있어 그 오목부(331)를 규정한 힘으로 누르고 있다. 여기에는, 그 베어링 부재(411)를 오목부(331)와의 사이에 끼우는 지지 부재(42)의 베어링 지지부(426)(도 10 참조)와, 베어링 부재(411)와 동축으로서 중간 전사 벨트(31)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의 2차 전사 롤(41)도 나타나 있다. 또한, 돌출부(332)에는, 안내 부재(43)의 피위치 결정부(432)(도 4 참조)가 맞닿아 있다.
또한, 이 도 22의 2차 전사 롤(41) 아래에는, 본체 프레임(101)(도 1 참조)에 고정된 받침 부재(72)(도 2, 도 9 참조)가 나타나 있으며, 그 받침 부재(72)에는 지지 부재(42)의 측벽(421)의 하부에 있는 지점부(423)(도 2, 도 9 참조)가 눌려져 있다.
또한, 이 측벽(421)에 설치된 긴 구멍(422)에는, 긴 구멍 규제축(62)이 유격을 갖고 인입해 있다(도 8 참조). 이 닫힘 상태에서는, 긴 구멍 규제축(62)은, 긴 구멍(422)의 벽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 있다.
또한, 이 도 22의 좌측에는, 도어(60)의 내측에 설치된 베이스판(600)과, 그 베이스판(600)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63)와, 그 스프링 부재(63)에 의해 가압되는 누름 부재(64)가 나타나 있다. 또한, 여기에는, 베이스판(600)의 일부인 설편(600b)과, 그 설편(600b)과 누름 부재(64) 사이에 인입한, 지지 부재(42)의 누름 받침부(424)(도 11 참조)가 나타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 부재(64)를 구성하는 2단의 롤(641, 642) 중 한쪽의 롤(641)은 누름 받침부(424)에 접하고, 다른 한쪽의 롤(642)은 베이스판(600)에 접해 있다.
또한 여기에는, 베이스판(600)에 지지되어 지지 부재(42)의 배면을 누르는 스프링 부재(602)(도 5 참조), 및 지지 부재(42)에 지지되어 2차 전사 롤 조립체(45)를 누르는 코일 스프링(427)(도 6, 도 14 참조)도 나타나 있다. 또한, 이 도면의 상방에는, 정착기(50)의 케이스(53)의 외형이 나타나 있다.
이 도 22에 나타내는 화살표 a는 베어링 부재(411)가 오목부(331)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과 강도를 나타낸 화살표이고, 화살표 b는 누름 부재(64)가 스프링 부재(63)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과 강도를 나타낸 화살표이며, 화살표 c는 코일 스프링(427)이 2차 전사 롤 조립체(45)의 배면을 누르는 힘의 방향과 강도를 나타낸 화살표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열림 상태에서 도 22에 나타내는 닫힘 상태에까지 각 부재의 움직임을 순차적으로 쫓아 간다.
도 15에 나타내는 열림 상태로부터 도어(60)가 약간 닫혀,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면, 안내 부재(43)가,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정착기(50)의 케이스(53)에 근접한 점을 통과한다. 단, 안내 부재(43)는, 정착기(50)의 케이스(53)에 접하지 않고, 최(最)근접점을 통해 지나간다(도 17 참조). 또한, 도어(60)를 닫아 감에 따라서, 각 부재는 도 18,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단계에서는, 지점부(423)는 아직 받침 부재(7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 15에서 이 도 19에 나타내는 단계까지는, 긴 구멍 규제축(62)은 긴 구멍(422)의 벽면의 가장 높은 위치에 접촉해 있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도어(60)가 닫히는 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지점부(423)가 받침 부재(72)에 눌려진 상태가 나타나 있다. 베어링 부재(411)는 오목부(331)로부터 아직 떨어진 상태에 있다. 지점부(423)가 받침 부재(72)에 눌려지면, 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구멍(422)과 긴 구멍 규제축(62)의 위치 관계가 변화한다. 즉, 도 19의 단계에서는, 긴 구멍 규제축(62)은, 긴 구멍(422)의 벽의 가장 높은 위치에 접촉해 있었지만, 지점부(423)가 받침 부재(72)에 눌려지면, 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구멍 규제축(62)은, 긴 구멍(422)에 대하여, 도어(60)의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린 긴 구멍 규제축(62)을 통과하는 원호(일점 쇄선(L1))에 교차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서, 긴 구멍 규제축(62)의 양측에, 긴 구멍 규제축(62)과 긴 구멍(422)의 벽면 사이에 극간(d1, d2)을 갖는 위치로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긴 구멍(422)이 도어(60)의 열림 방향을 향하여 도어(60)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장경 방향이 향하는 긴 구멍임으로써, 이 관계를 달성하고 있다.
이 긴 구멍 규제축(62)과 긴 구멍(422)의 위치 관계는, 베어링 부재(411)가오목부(331)에의 접촉을 개시하는 다음 단계(도 21)에서도 유지된다. 따라서, 오목부(331)와 베어링 부재(411) 사이에 다소의 공차가 있어도 긴 구멍 규제축(62)은 긴 구멍(422) 중에서 상하 중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어, 베어링 부재(411)는 공차를 흡수하면서, 오목부(331)로 도입되어진다. 이 때문에, 상술한 특허문헌 2, 3으로 나타나는 구조에서 과제 중 하나가 되어 있던, 도어를 닫을 때에 베어링 부재가 오목부의 입구의 가장자리에 부딪힘으로써 생기는 위화감이 해소되어, 조작력의 매끄러운 변화에 의한 매끄러운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도 22를 역순을 따라, 도 22에 나타내는 닫힘 상태로부터 도 15에 나타내는 열림 상태를 향하여 도어를 열어 갈 때의 각 부재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닫힘 상태에 있을 때에는, 긴 구멍(422)에 삽입 통과된 긴 구멍 규제축(62)은 그 긴 구멍(422)의 벽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 있다.
도 22의 닫힘 상태로부터 문을 열어 가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구멍 규제축(62)은, 긴 구멍(422)의 벽면의 가장 높은 위치보다 내려간 위치에 접촉한다. 도어(60)가 열림 상태를 향하여 더 회전하여, 도 20에 나타내는 지점부(423)가 받침 부재(72)에 눌려진 상태로부터, 도 19에 나타내는 지점부(423)가 받침 부재(72)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되면, 긴 구멍 규제축(62)은 긴 구멍(422)의 벽의 가장 높은 위치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긴 구멍 규제축(62)은 베이스판(600)에 고정되어 있으며(도 5 참조), 한편, 지지 부재(42)와 2차 전사 롤 조립체(45)로 이루어지는 2차 전사 유닛(40)은 베이스판(600)에 덜걱거림을 갖고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구멍 규제축(62)이 긴 구멍(422)의 벽면의 가장 높은 위치에 닿은 상태가 된다는 것은, 긴 구멍 규제축(62)이 부상한 것이 아니라, 긴 구멍(422)이 형성된 2차 전사 유닛(40)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갔음을 의미하고 있다. 안내 부재(43)도 2차 전사 유닛(40)의 일부를 이루고, 따라서 아래로 내려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안내 부재(43)가 아래로 내려감으로써, 그 안내 부재(43)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착기(50)의 케이스(53)에 간섭하지 않고, 정착기(50)의 아래를 통해 지나갈 수 있다.
도 23은 도어(60)의 개폐시의, 베어링 부재(411)와 안내 부재(43)의 이동 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23에는 긴 구멍의 장경이 도어의 개폐의 궤적(도어(60)의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그린 원호)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비교예로서의 긴 구멍(422')도 나타나 있다. 이 도 23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궤적(T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궤적이며,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궤적(T2)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긴 구멍(422) 대신에 비교예로서의 긴 구멍(422')이 마련되어 있어 긴 구멍 규제축(62)이 그 긴 구멍(422')에 삽입 통과되어 있는 것으로 했을 경우의 궤적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비교예와 비교해 거리(d3)에 상당하는 분만큼 2차 전사 유닛(40)이 아래로 내려갈 여지가 있어,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궤적(T1)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의 경우, 이점 쇄선의 궤적(T2)을 따라간 결과, 닫힘 상태에 있는 도어를 열어 가면, 이대로는 안내 부재(43)가 정착기(50)의 케이스(53)에 간섭하게 되어 도어를 열 수 없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착기(50)를 더 위에 장착한다는 레이아웃 변경 등이 필요해져,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이점 쇄선의 궤적(T2)에 의하면, 베어링 부재(411)는 오목부(331)의 입구의 가장자리에 간섭하는 궤적을 그리고 있다. 따라서, 열림 상태에 있는 도어(60)를 닫아 갔을 때, 베어링 부재(411)는, 오목부(331)에 원활하게는 들어가지 않고 입구의 가장자리에 일단 부딪혀, 부재의 다소의 탄성 변형 등에 의해 그 가장자리를 타고 넘고 나서 오목부(311)에 들어간다. 이 때문에, 도어(60)를 닫는 조작을 하고 있는 유저에게는, 닫히고 있는 도중에 무엇인가가 부딪힌 것 같은 위화감을 손에 느끼게 되어, 매끄러운 조작감을 얻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60)의 열림 방향을 향하여 도어(60)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장경 방향이 향하는 긴 구멍을 형성하여 그 긴 구멍(422)에 긴 구멍 규제축(62)을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긴 구멍(422)과 긴 구멍(422)에 삽입 통과된 긴 구멍 규제축(62)은 도어의 개폐시에, 안내 부재(43)를 상기 정착기(50)와의 접촉을 피한 이동 궤적 위를 이동시키고, 또한 베어링 부재(411)를 오목부(331)의 가장자리와의 간섭을 피한 이동 궤적 위를 이동시키는 기구를 이루고 있어, 도어 개폐의 원활한 조작과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하고 있다.

Claims (6)

  1.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 내의 반송로를 따라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토너 상(像)의 형성을 받아 당해 토너 상을 유지하고, 당해 토너 상을 상기기록 매체가 통과하는 전사 위치에 반송하는 상 유지체와,
    상기 전사 위치에서 상기 상 유지체에 대향하고 당해 전사 위치를 통과 중인 기록 매체를 당해 상 유지체와의 사이에 끼워 당해 상 유지체 위의 토너 상을 당해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당해 기록 매체의 통과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짐과 함께, 당해 회전축과 동축(同軸) 위의, 당해 기록 매체의 통과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피(被)위치 결정부를 갖는 전사 롤을 포함하는 전사 조립체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피위치 결정부의 누름을 받아 상기 전사 롤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전사 위치보다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고, 당해 전사 위치에서 토너 상의 전사를 받은 기록 매체 위에 당해 토너 상을 정착하는 정착기와,
    베이스판을 갖고, 당해 베이스판의 내면에서 상기 전사 롤이 당해 베이스판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 조립체를 지지하고, 상기 전사 롤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의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하는 도어를 갖고,
    상기 도어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당해 베이스판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 중심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축과, 상기 전사 조립체를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갖고,
    상기 전사 조립체가, 당해 전사 롤의 회전축의 연장선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지지축이 유격을 갖고 삽입 통과된 구멍을 갖는 측벽이 형성된, 상기 전사 롤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덜걱거림을 갖고 상기 도어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것이며,
    상기 구멍이, 상기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와서 상기 피위치 결정부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접촉한 당초(當初)에서, 당해 도어의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린 상기 지지축을 통과하는 원호에 교차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서, 당해 지지축의 양측에, 당해 지지축과 당해 구멍의 벽면 사이에 극간(隙間)을 갖는 형상의 구멍인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상기 도어의 열림 방향을 향하여 당해 도어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장경(長徑) 방향이 향하는 긴 구멍인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보다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에 가까워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당해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왔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의 닿음을 받는 받침 부재를 갖고,
    상기 도어가, 당해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와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받침 부재에 닿으며, 또한 상기 피위치 결정부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접촉한 후, 상기 지지 부재의, 당해 피위치 결정부보다 당해 도어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을 누름으로써, 당해 지지 부재의, 당해 받침 부재에 닿은 부분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당해 피위치 결정부를 당해 위치 결정 부재에 누르는 누름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4. 토너 상의 형성을 받아 당해 토너 상을 유지하고 당해 토너 상을 기록 매체가 통과하는 전사 위치로 반송하는 상 유지체에 대향하고, 당해 전사 위치를 통과중인 기록 매체를 당해 상 유지체와의 사이에 끼워 당해 상 유지체 위의 토너 상을 당해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당해 기록 매체의 통과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짐과 함께, 당해 회전축과 동축 위의, 당해 기록 매체의 통과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피위치 결정부를 갖는 전사 롤을 포함하는 전사 조립체와,
    본체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피위치 결정부의 누름을 받아 상기 전사 롤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와,
    베이스판을 갖고, 당해 베이스판의 내면에서 상기 전사 롤이 당해 베이스판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 조립체를 지지하고, 상기 전사 롤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의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하는 도어를 갖고,
    상기 도어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고 당해 베이스판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 중심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축과, 상기 전사 조립체를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갖고,
    상기 전사 조립체가, 상기 전사 롤을 지지함과 함께, 당해 전사 롤의 회전축의 연장선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지지축이 유격을 갖고 삽입 통과된 구멍을 갖는 측벽이 형성된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덜걱거림을 갖고 상기 도어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것이며,
    상기 구멍이, 상기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와서 상기 피위치 결정부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접촉한 당초에서, 당해 도어의 회전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그린 상기 지지축을 통과하는 원호에 교차하는 반경 방향에 대해서, 당해 지지축의 양측에, 당해 지지축과 당해 구멍의 벽면 사이에 극간을 갖는 형상의 구멍인 전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당해 도어의 열림 방향을 향하여 당해 도어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장경 방향이 향하는 긴 구멍인 전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보다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에 가까워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당해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왔을 때에 상기 지지 부재의 닿음을 받는 받침 부재를 갖고,
    상기 도어가, 당해 도어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를 향하여 회전해 와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받침 부재에 닿으며, 또한 상기 피위치 결정부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접촉한 후, 상기 지지 부재의, 당해 피위치 결정부보다 당해 도어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을 누름으로써, 당해 지지 부재의, 당해 받침 부재에 닿은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당해 피위치 결정부를 당해 위치 결정 부재에 누르는 누름 부재를 갖는 전사 장치.
KR1020120034744A 2011-09-22 2012-04-04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사 장치 KR101607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08082 2011-09-22
JP2011208082A JP5821465B2 (ja) 2011-09-22 2011-09-22 画像形成装置および転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237A KR20130032237A (ko) 2013-04-01
KR101607174B1 true KR101607174B1 (ko) 2016-03-29

Family

ID=4791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744A KR101607174B1 (ko) 2011-09-22 2012-04-04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37041B2 (ko)
JP (1) JP5821465B2 (ko)
KR (1) KR101607174B1 (ko)
CN (1) CN1030190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1461B2 (en) * 2013-03-15 2015-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ransfer roll assembly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CN103303004A (zh) * 2013-06-17 2013-09-18 天津光电通信技术有限公司 办公设备联动拉门机构用门连接杆
JP6508143B2 (ja) * 2016-08-08 2019-05-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転写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10732547B1 (en) 2019-03-20 2020-08-04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444A (ja) 2007-01-15 2007-04-1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100278557A1 (en) 2009-05-01 2010-11-04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102861A (ja) 2009-11-10 2011-05-2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1102860A (ja) * 2009-11-10 2011-05-2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装置外装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2841A (en) * 1988-08-18 1992-06-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330352A (ja) 2000-01-01 2000-11-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919019B2 (ja) * 2006-10-03 2012-04-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57679B1 (ko) * 2007-03-06 201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5034609B2 (ja) * 2007-03-30 2012-09-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0197814A (ja) * 2009-02-26 2010-09-09 Panasonic Corp 転写ローラの位置決め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509760B2 (ja) * 2009-09-18 2014-06-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571439B2 (en) * 2009-10-16 2013-10-2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102858A (ja) * 2009-11-10 2011-05-2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471701B2 (ja) * 2010-03-26 2014-04-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068842A (ja) * 2011-09-22 2013-04-1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搬送案内装置
JP5959908B2 (ja) * 2012-04-13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031461B2 (en) * 2013-03-15 2015-05-12 Lexmark International, Inc. Transfer roll assembly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4444A (ja) 2007-01-15 2007-04-1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20100278557A1 (en) 2009-05-01 2010-11-04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102861A (ja) 2009-11-10 2011-05-2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1102860A (ja) * 2009-11-10 2011-05-2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装置外装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19074B (zh) 2016-08-31
JP5821465B2 (ja) 2015-11-24
CN103019074A (zh) 2013-04-03
US9037041B2 (en) 2015-05-19
KR20130032237A (ko) 2013-04-01
US20130077992A1 (en) 2013-03-28
JP2013068841A (ja)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9043B2 (en) Developing cartridge provided with cover
CN107407904B (zh) 盒、处理盒和成像装置
KR20190060684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3241466A (ja) 画像形成装置
KR101607174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사 장치
KR20130032238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반송 안내 장치
JP2017156435A (ja) 画像形成装置
US9977375B2 (en) Image forming device
JP560163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11373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63379A (ja) 画像形成装置
JP5895608B2 (ja)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24009467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4008584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400858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73254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4008582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42868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92649A (ja) 画像形成装置
JP665912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30541A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H1125896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