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899A -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구획 부재 - Google Patents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구획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899A
KR20190059899A KR1020197007719A KR20197007719A KR20190059899A KR 20190059899 A KR20190059899 A KR 20190059899A KR 1020197007719 A KR1020197007719 A KR 1020197007719A KR 20197007719 A KR20197007719 A KR 20197007719A KR 20190059899 A KR20190059899 A KR 20190059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ing
link
links
adjacen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066B1 (ko
Inventor
다카유키 데츠카
다마키 시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90059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링크(12)를 구비한다. 인접하는 링크(12)끼리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링크(12)의 내부에는 긴 물체(K)가 수용되는 수용실(S)이 형성된다. 각 링크(12)는, 그 링크(12)와 그 링크(12)에 인접하는 링크(12)가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그들 링크(12)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를 갖는다. 각 링크(12)에는, 수용실(S)에 복수의 긴 물체(K)가 수용되는 경우에 긴 물체(K)끼리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16)가 마련된다. 각 구획 부재(16)는, 그 구획 부재(16)에 인접하는 다른 구획 부재(16)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구획 부재(16)는, 그 구획 부재(16)와 그 구획 부재(16)에 인접하는 구획 부재(16)의 회동 범위의 제1 측의 한계가 직선 상태가 되도록 당해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를 갖는다.

Description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구획 부재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공작 기계 등이 갖는 이동체에 급전이나 급액 등을 행하는 가요성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긴 물체를 수용한 상태에서 이동체의 이동에 맞추어 보호하면서 안내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당해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구비되어 수용된 상태의 긴 물체를 구획하는 구획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이들 복수의 링크의 내부에 형성되고 긴 물체를 수용 가능한 수용 공간을 갖고 있다. 각 링크에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긴 물체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판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일단부가 직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고정부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긴 물체를 이동체의 왕복 이동에 맞추어 보호하면서 안내한다. 이 경우,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그 긴 변 방향의 중간부에 만곡 부분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그 만곡 부분은 이동체의 왕복 이동에 맞추어 직렬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47329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서는, 사용 시에 가해지는 부하가 각 링크에 집중되기 때문에, 각 링크가 마모되기 쉽다. 그리고,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각 링크가 마모되어 만곡 부분과 이동체 사이의 직선 부분이 자중으로 처지게 되면, 그 사용에 견디는 기간이 한계가 된다. 즉,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수명은 각 링크의 마모 상태로 정해지기 때문에, 수명을 길게 하는 데 있어서 개선의 여지를 남기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구획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하여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는,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링크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링크끼리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링크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실에 긴 물체를 수용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이며, 각 링크는, 그 링크와 그 링크에 인접하는 링크가 직선형으로 배치되는 직선 상태와, 그들 링크끼리가 굴곡되는 굴곡 상태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그들 링크끼리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링크 규제부를 갖고, 각 링크에는, 상기 수용실에 복수의 긴 물체가 수용되는 경우에 긴 물체끼리를 구획하는 것이 가능한 구획 부재가 마련되고, 각 구획 부재는, 그 구획 부재에 인접하는 구획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구획 부재는, 그 구획 부재와 그 구획 부재에 인접하는 구획 부재의 회동 범위의 제1 측의 한계가 상기 직선 상태가 되도록 당해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구획 규제부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링크가 링크 규제부에 의한 회동 범위의 규제에 의해 직선 상태로 유지될 때는, 당해 직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획 규제부가 각 구획 부재의 회동을 규제한다. 즉, 직선 상태로 각 링크의 링크 규제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각 구획 부재의 구획 규제부에 분담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직선 상태에서의 각 링크에 가해지는 부하가 경감되어 각 링크의 마모가 억제되므로,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각 구획 부재의 상기 구획 규제부는, 그 구획 부재와 그 구획 부재에 인접하는 구획 부재의 회동 범위의 제2 측의 한계가 상기 굴곡 상태가 되도록 당해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링크가 링크 규제부에 의한 회동 범위의 규제에 의해 굴곡 상태로 유지될 때는, 당해 굴곡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획 규제부가 각 구획 부재의 회동을 규제한다. 즉, 굴곡 상태로 각 링크의 링크 규제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각 구획 부재의 구획 규제부에 분담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굴곡 상태에서의 각 링크에 가해지는 부하가 경감되어 각 링크의 마모가 한층 더 억제되므로,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수명을 한층 더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각 구획 부재는 링크끼리의 연결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각 구획 부재의 상기 구획 규제부는, 그 구획 부재의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제1 걸림 결합부와, 그 구획 부재의 상기 제2 단부에 형성된 제2 걸림 결합부를 갖고 있고,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 중 한쪽 구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다른 쪽 구획 부재의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직선 상태일 때에 그들 구획 부재끼리의 상기 제1 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양태로 걸림 결합하고,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 중 한쪽 구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다른 쪽 구획 부재의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굴곡 상태일 때에 그들 구획 부재끼리의 상기 제2 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2 양태로 걸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 중 한쪽 구획 부재의 제1 걸림 결합부와 다른 쪽 구획 부재의 제2 걸림 결합부가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각각의 양태에 있어서 걸림 결합한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두 링크끼리를 직선 상태 및 굴곡 상태의 각각의 상태로 유지할 때, 당해 링크끼리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각 구획 부재의 상기 구획 규제부는 가이드부를 갖고, 인접하는 링크끼리가 상기 직선 상태와 상기 굴곡 상태 사이에서 회동할 때, 그들 인접하는 링크에 대응하는 인접하는 구획 부재의 가이드부는, 그들 인접하는 구획 부재 중 한쪽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다른 쪽 구획 부재의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가 상기 제1 양태와 상기 제2 양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부에 의해,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 중 한쪽 구획 부재의 제1 걸림 결합부와 다른 쪽 구획 부재의 제2 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가 제1 양태와 제2 양태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구획 부재는, 상기 구성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구비되는 구획 부재이며, 복수의 링크 중 대응하는 하나의 링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긴 물체의 안내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구획 부재만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긴 물체의 안내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일부이며 링크끼리가 직선 상태로 배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일부이며 링크끼리가 굴곡 상태로 배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구획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직선 상태에 있어서의 구획 부재끼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굴곡 상태에 있어서의 구획 부재끼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복수의 링크(12)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링크(12)는 직렬로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링크(12)끼리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긴 변 방향은 링크(12)끼리가 연결되는 연결 방향 X와 일치하고 있다.
각 링크(12)는 폭 방향 Y에 있어서 대향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13)와,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13)를 연결하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의 제1 연결부(14)와,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13)를 제1 연결부(14)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연결하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의 제2 연결부(15)를 구비하고 있다. 폭 방향 Y는 연결 방향 X와 직교하는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결부(14)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15)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1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4)는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1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복수의 링크(12)에 있어서의, 복수 쌍의 링크 플레이트(13)와, 복수의 제1 연결부(14)와, 복수의 제2 연결부(15)로 둘러싸여 연결 방향 X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공간은 수용실(S)을 구성하고 있다. 수용실(S)은 유연하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긴 물체(K)를 복수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복수의 링크(12)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그들 복수의 링크(12)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실(S)에 긴 물체(K)를 수용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링크(12)에는, 수용실(S)에 복수의 긴 물체(K)가 수용되는 경우에 긴 물체(K)끼리를 구획하는 것이 가능한 구획 부재(16)가 마련되어 있다. 구획 부재(16)는 대략 삼각 판형을 이루고 있고, 수용실(S)을 폭 방향 Y에 있어서 분할하도록 각 링크(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구획 부재(16)는 각 링크(12)에 있어서의 제1 연결부(14) 및 제2 연결부(15)에 대하여, 제1 연결부(14)와 제2 연결부(15)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복수의 링크(12) 중, 연결 방향 X의 제1 단에 위치하는 링크(12)에는 한 쌍의 고정 금속 부재(18)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링크(12) 중, 연결 방향 X의 제2 단에 위치하는 링크(12)에는 한 쌍의 연결 금속 부재(17)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 금속 부재(17)에는 연결 방향 X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도시 생략)가 연결된다. 한 쌍의 고정 금속 부재(18)에는 고정부(도시 생략)가 연결된다. 그리고,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수용실(S)에 수용된 긴 물체(K)를, 복수의 링크(12) 중 제2 단에 위치하는 링크(12)의 이동[이동체(도시 생략)의 왕복 이동]에 맞추어 보호하면서 안내한다.
이 경우,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연결 방향 X의 중간부에 만곡 부분 W가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만곡 부분 W는 복수의 링크(12) 중 제2 단에 위치하는 링크(12)의 연결 방향 X를 따르는 왕복 이동[이동체(도시 생략)의 왕복 이동]에 맞추어 연결 방향 X를 따라 왕복 이동한다. 또한, 수용실(S)에 수용되는 긴 물체(K)로서는, 예를 들어 이동체(도시 생략)에 급전이나 신호 전송을 행하는 전기 케이블이나 광파이버 케이블, 이동체(도시 생략)에 기체(예를 들어, 공기 등)나 액체(예를 들어, 물이나 오일 등) 등을 공급하는 호스, 유연하게 굴곡 가능한 긴 다관절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링크 플레이트(13)는 연결 방향 X의 양단부(제1 및 제2 단부)가 둥그스름한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13)에 있어서의 연결 방향 X의 제1 단부에는 원형의 연결 구멍(20)이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2 단부에 있어서의 외측의 면에는 연결 방향 X에 인접하는 다른 링크 플레이트(13)의 연결 구멍(20)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원형의 연결 볼록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13)의 내측의 면에는 대략 부채 형상의 내측 오목부(22)와, 대략 직육면체형의 내측 볼록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13)의 내측의 면에 있어서, 내측 오목부(22)는 연결 방향 X에 있어서의 연결 구멍(20)이 형성된 제1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13)의 내측의 면에 있어서, 내측 볼록부(23)는 연결 방향 X에 있어서 내측 오목부(22)와의 사이에 연결 구멍(20)이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13)의 외측의 면에는, 대략 부채 형상의 외측 오목부(24)와, 대략 직육면체형의 외측 볼록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13)의 외측의 면에 있어서, 외측 오목부(24)는 연결 방향 X에 있어서의 연결 볼록부(21)가 형성된 제2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 플레이트(13)의 외측의 면에 있어서, 외측 볼록부(25)는 연결 방향 X에 있어서 외측 오목부(24)와의 사이에 연결 볼록부(21)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두 링크(12)를 제1 링크(12a) 및 제2 링크(12b)라고 칭하면, 제2 링크(12b)의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13)의 연결 구멍(20)과 제1 링크(12a)의 한 쌍의 링크 플레이트(13)의 연결 볼록부(21)가 끼워 맞추어진다. 이때, 제2 링크(12b)의 링크 플레이트(13)의 내측 오목부(22) 내에 제1 링크(12a)의 링크 플레이트(13)의 외측 볼록부(25)가 수용된다. 또한, 제1 링크(12a)의 링크 플레이트(13)의 외측 오목부(24) 내에 제2 링크(12b)의 링크 플레이트(13)의 내측 볼록부(23)가 수용된다. 내측 볼록부(23) 및 외측 볼록부(25)는 각각 외측 오목부(24) 내 및 내측 오목부(22) 내를 연결 구멍(20)의 주위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범위만큼(예를 들어, 45도만큼)만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소정 각도 범위가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링크(12)끼리의 회동 범위(회동 가능한 각도 범위)가 된다.
즉, 내측 볼록부(23) 및 외측 볼록부(25)는 연결 구멍(20)의 주위 방향을 따르는 외측 오목부(24) 및 내측 오목부(22)의 길이 범위분밖에 각각 미끄럼 이동(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즉, 내측 볼록부(23)는 그 제1 측의 외측면이 외측 오목부(24)의 제1 측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태로부터, 그 제2 측의 외측면이 외측 오목부(24)의 제2 측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태까지의 범위분밖에 미끄럼 이동(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외측 볼록부(25)는 그 제1 측의 외측면이 내측 오목부(22)의 제1 측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태로부터, 그 제2 측의 외측면이 내측 오목부(22)의 제2 측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태까지의 범위분밖에 미끄럼 이동(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링크(12)의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는 그 링크(12)와 그 링크(12)에 인접하는 링크(12)가 직선형으로 배치되는 직선 상태(도 2에 도시하는 상태)와, 그들 링크(12)끼리가 굴곡되는 굴곡 상태(도 3에 도시하는 상태) 사이에서 그들 링크(12)끼리가 회동하도록, 그들 링크(12)끼리의 회동 범위를 규제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에 의해 링크 규제부가 구성된다.
이어서, 구획 부재(16)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 부재(16)는 높이 방향 Z에 있어서의 제1 단부에 마련된 대략 U자형의 제1 끼워 맞춤부(30)와, 높이 방향 Z에 있어서의 제2 단부에 마련된 대략 U자형의 제2 끼워 맞춤부(31)를 갖고 있다. 제1 끼워 맞춤부(30)는 제1 연결부(14)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끼워 맞춤부(31)는 제2 연결부(15)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도록 형성되어 있다. 높이 방향 Z는 연결 방향 X 및 폭 방향 Y의 양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응하고 있다.
즉, 제1 끼워 맞춤부(30) 및 제2 끼워 맞춤부(31)는 제1 연결부(14) 및 제2 연결부(15)에 대하여 각각 연결 방향 X의 양측으로부터 끼움 지지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구획 부재(16)는, 제1 끼워 맞춤부(30) 및 제2 끼워 맞춤부(31)의 제1 연결부(14) 및 제2 연결부(15)에 대한 끼워 맞춤 위치를 각각 폭 방향 Y로 변경함으로써, 링크(12)에 대한 설치 위치[수용실(S)의 분할 위치]를 폭 방향 Y에 있어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 부재(16)는 제1 걸림 결합부로서의 대략 부채 형상의 관통 구멍(32)과, 제2 걸림 결합부로서의 대략 블록형의 미끄럼 이동부(33)를 갖고 있다. 관통 구멍(32)은 구획 부재(16)에 있어서의 연결 방향 X의 제1 단부에 위치하고, 구획 부재(16)를 폭 방향 Y를 따라 관통하고 있다. 미끄럼 이동부(33)는 구획 부재(16)에 있어서의 연결 방향 X의 제2 단부에 위치하고, 폭 방향 Y를 따라 돌출되어 있다.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에는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가 폭 방향 Y를 따라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미끄럼 이동부(33)는 인접하는 링크(12)끼리의 회동에 수반하여 관통 구멍(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즉,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끼리는, 이들 구획 부재(16)와 각각 대응하는 링크(12)끼리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관통 구멍(32)과 미끄럼 이동부(33)가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방향을 미끄럼 이동 방향 D라고 칭하면, 미끄럼 이동부(33)의 미끄럼 이동 방향 D에 있어서의 제1 측의 면은 제1 외측면(34)을 구성하고 있다. 미끄럼 이동부(33)의 미끄럼 이동 방향 D에 있어서의 제2 측의 면은 제2 외측면(35)을 구성하고 있다. 미끄럼 이동 방향 D는 관통 구멍(32)과 미끄럼 이동부(33)가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방향이다. 관통 구멍(32)의 미끄럼 이동 방향 D에 있어서의 제1 측의 면은 제1 벽면(36)을 구성하고 있다. 관통 구멍(32)의 미끄럼 이동 방향 D에 있어서의 제2 측의 면은 제2 벽면(37)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두 링크(12)가 직선 상태로 배치되어 있을 때는, 이들 두 링크(12)와 대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의 제1 벽면(36)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의 제1 외측면(34)이 접촉한 상태인 제1 양태가 된다. 이 제1 양태에서는, 구획 부재(16)끼리의 제1 측[제2 연결부(15)측]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한,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두 링크(12)가 굴곡 상태로 배치되어 있을 때는, 이들 두 링크(12)와 대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의 제2 벽면(37)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의 제2 외측면(35)이 접촉한 상태인 제2 양태가 된다. 이 제2 양태에서는 구획 부재(16)끼리의 제2 측[제1 연결부(14)측]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즉,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는, 이들 두 구획 부재(16)와 대응하는 두 링크(12)가 직선 상태로 배치되어 있을 때, 구획 부재(16)끼리의 제1 측[제2 연결부(15)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양태로 걸림 결합한다. 또한,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는, 이들 두 구획 부재(16)와 대응하는 두 링크(12)가 굴곡 상태로 배치되어 있을 때, 구획 부재(16)끼리의 제2 측[제1 연결부(14)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2 양태로 걸림 결합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32)과 미끄럼 이동부(33)에 의해,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구획 부재(16)끼리의 회동 범위의 제1 측[제2 연결부(15)측]의 한계가 이들 구획 부재(16)와 대응하는 링크(12)끼리의 직선 상태가 되도록, 이들 구획 부재(16)끼리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구획 규제부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관통 구멍(32)과 미끄럼 이동부(33)에 의해 구성되는 구획 규제부는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구획 부재(16)끼리의 회동 범위의 제2 측[제1 연결부(14)측]의 한계가 이들 구획 부재(16)와 대응하는 링크(12)끼리의 굴곡 상태가 되도록, 이들 구획 부재(16)끼리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의 내면에는 미끄럼 이동 방향 D를 따라 제1 벽면(36)으로부터 제2 벽면(37)까지 연장되는 돌조(38)가 형성되어 있다.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에는, 인접하는 다른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의 내면에 마련된 돌조(38)와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홈(3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의 내면에 마련된 돌조(38)와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의 걸림 결합 홈(39)이 걸림 결합한다. 이에 의해, 이들 두 구획 부재(16)와 대응하는 인접하는 두 링크(12)끼리가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 사이에서 회동할 때, 당해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의 걸림 결합 상태가 제1 양태와 제2 양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가이드된다.
즉,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는, 그들 돌조(38)와 걸림 결합 홈(39)의 걸림 결합에 의해, 폭 방향 Y를 따르는 이동이 규제되면서 제1 양태와 제2 양태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조(38)와 걸림 결합 홈(39)에 의해 가이드부가 구성된다.
이어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사용 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런데, 이동체(도시 생략)에 접속된 링크(12)가 이동체와 함께 연결 방향 X로 왕복 이동하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만곡 부분 W가 이동체(도시 생략)에 추종하여 변위되도록 연결 방향 X로 왕복 이동한다. 그러면,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의해, 수용실(S)에 수용된 긴 물체(K)가 이동체(도시 생략)의 이동에 맞추어 보호되면서 안내된다. 그리고,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는 만곡 부분 W의 왕복 이동에 수반하여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두 링크(12)끼리가,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 사이에서 반복 회동된다.
이때, 인접하는 링크(12)끼리가 링크 규제부를 구성하는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에 의한 회동 범위의 규제에 의해 직선 상태로 유지될 때는, 직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획 규제부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가 구획 부재(16)끼리의 회동을 규제한다. 즉, 인접하는 두 링크(12)끼리가 직선 상태로 유지될 때는, 이들 두 링크(12)와 대응하는 두 구획 부재(16)는, 그들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의 제1 벽면(36)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의 제1 외측면(34)이 맞닿는(접촉) 제1 양태로 걸림 결합한다.
한편, 인접하는 링크(12)끼리가 링크 규제부를 구성하는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에 의한 회동 범위의 규제에 의해 굴곡 상태로 유지될 때는, 굴곡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획 규제부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가 구획 부재(16)끼리의 회동을 규제한다. 즉, 인접하는 두 링크(12)가 굴곡 상태로 유지될 때는, 이들 두 링크(12)와 대응하는 두 구획 부재(16)는, 그들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의 제2 벽면(37)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의 제2 외측면(35)이 맞닿는(접촉하는) 제2 양태로 걸림 결합한다.
이 때문에, 직선 상태 및 굴곡 상태의 각각의 상태에 있어서, 각 링크(12)의 링크 규제부를 구성하는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에 가해지는 부하(하중)가, 각 구획 부재(16)의 구획 규제부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에 분담된다. 따라서, 직선 상태 및 굴곡 상태에서의 각 링크(12)의 링크 규제부를 구성하는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에 가해지는 부하(하중)가 경감된다. 따라서, 각 링크(12)의 링크 규제부, 즉,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의 마모가 억제되므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수명이 길어진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1)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각 구획 부재(16)는, 인접하는 다른 구획 부재(16)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구획 부재(16)는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를 더 갖고 있다. 각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는 그 구획 부재(16)와 그 구획 부재(16)에 인접하는 구획 부재(16)의 회동 범위의 제1 측[제2 연결부(15)측]의 한계가 직선 상태가 되도록 당해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구획 규제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링크(12)끼리가 링크 규제부를 구성하는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에 의한 회동 범위의 규제에 의해 직선 상태로 유지될 때는, 이 직선 상태의 유지에 가담하도록 구획 규제부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가 구획 부재(16)끼리의 회동을 규제한다. 즉, 직선 상태에서 각 링크(12)의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에 가해지는 부하를 각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에 분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직선 상태에서의 각 링크(12)에 가해지는 부하가 경감되어 각 링크(12)의 마모가 억제되므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서는, 만곡 부분 W와 이동체(도시 생략) 사이의 직선 부분을 거의 수평으로 유지할 때, 각 링크(12)의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에 가해지는 당해 직선 부분의 하중을 각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에 분담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즉,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사용 시에 이동체(도시 생략)를 왕복 이동시키는 거리[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의 만곡 부분 W와 이동체(도시 생략) 사이의 직선 부분의 최대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2)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각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는 그 구획 부재(16)와 그 구획 부재(16)에 인접하는 구획 부재(16)의 회동 범위의 제2 측[제1 연결부(14)측]의 한계가 굴곡 상태가 되도록 당해 회동 범위를 규제한다. 이 때문에, 링크(12)끼리가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에 의한 회동 범위의 규제에 의해 굴곡 상태로 유지될 때는, 이 굴곡 상태의 유지에 가담하도록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가 구획 부재(16)끼리의 회동을 규제한다. 즉, 굴곡 상태에서 각 링크(12)의 내측 오목부(22), 내측 볼록부(23), 외측 오목부(24) 및 외측 볼록부(25)에 가해지는 부하를 각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에 분담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굴곡 상태에서의 각 링크(12)에 가해지는 부하가 경감되어 각 링크(12)의 마모가 한층 더 억제되므로,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수명을 한층 더 길게 할 수 있다.
(3)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는, 직선 상태일 때에 구획 부재(16)끼리의 제1 측[제2 연결부(15)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양태로 걸림 결합한다. 또한,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는, 굴곡 상태일 때에 구획 부재(16)끼리의 제2 측[제1 연결부(14)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2 양태로 걸림 결합한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가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각각의 양태로 걸림 결합함으로써, 인접하는 두 링크(12)끼리를 직선 상태 및 굴곡 상태의 각각의 상태로 유지할 때, 링크(12)끼리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4)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는 인접하는 링크(12)끼리가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 사이에서 회동할 때, 관통 구멍(32)과 미끄럼 이동부(33)의 걸림 결합 상태가 제1 양태와 제2 양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가이드하는 돌조(38) 및 걸림 결합 홈(39)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돌조(38) 및 걸림 결합 홈(39)에 의해,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의 걸림 결합 상태가 제1 양태와 제2 양태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5)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구획 부재(16)는 각 링크(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때문에, 구획 부재(16)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6)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각 링크(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 부재(16)는,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에 있어서 인접하는 구획 부재(16)와 걸림 결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를 조립할 때,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구획 부재(16)끼리의 폭 방향 Y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링크(12)에 대한 구획 부재(16)의 조립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11)의 조립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경예)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 구획 부재(16)는, 반드시 각 링크(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필요는 없다.
· 구획 부재(16)에 있어서, 돌조(38) 및 걸림 결합 홈(39)을 생략해도 된다.
·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는, 반드시 항상 걸림 결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연결 방향 X로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16) 중 한쪽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과 다른 쪽 구획 부재(16)의 미끄럼 이동부(33)는, 제1 양태 및 제2 양태 이외(직선 상태 및 굴곡 상태 이외)에 걸림 결합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는, 반드시 인접하는 구획 부재(16)끼리의 회동 범위의 제2 측[제1 연결부(14)측]의 한계가 굴곡 상태가 되도록 당해 회동 범위를 규제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구획 부재(16)의 관통 구멍(32) 및 미끄럼 이동부(33)는 인접하는 구획 부재(16)끼리의 회동 범위의 제2 측[제1 연결부(14)측]의 한계가 굴곡 상태보다도 나중에 오도록 구성해도 된다.
11 : 긴 물체의 안내 장치
12 : 링크
16 : 구획 부재
22 : 링크 규제부를 구성하는 내측 오목부
23 : 링크 규제부를 구성하는 내측 볼록부
24 : 링크 규제부를 구성하는 외측 오목부
25 : 링크 규제부를 구성하는 외측 볼록부
32 : 구획 규제부를 구성하는 제1 걸림 결합부로서의 관통 구멍
33 : 구획 규제부를 구성하는 제2 걸림 결합부로서의 미끄럼 이동부
38 :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돌조
39 :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걸림 결합 홈
K : 긴 물체
S : 수용실

Claims (3)

  1.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링크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링크끼리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링크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실에 긴 물체를 수용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이며,
    각 링크는, 그 링크와 그 링크에 인접하는 링크가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직선 상태와, 그들 링크끼리가 굴곡하는 굴곡 상태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그들 링크끼리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링크 규제부를 갖고,
    각 링크에는, 상기 수용실에 복수의 긴 물체가 수용되는 경우에 긴 물체끼리를 구획하는 것이 가능한 구획 부재가 마련되고,
    각 구획 부재는, 그 구획 부재에 인접하는 구획 부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구획 부재는 구획 규제부를 갖고,
    각 구획 부재의 상기 구획 규제부는, 그 구획 부재와 그 구획 부재에 인접하는 구획 부재의 회동 범위의 제1 측의 한계가 상기 직선 상태가 되도록 당해 회동 범위를 규제하고,
    각 구획 부재의 상기 구획 규제부는, 그 구획 부재와 그 구획 부재에 인접하는 구획 부재의 회동 범위의 제2 측의 한계가 상기 굴곡 상태가 되도록 당해 회동 범위를 규제하고,
    각 구획 부재는 링크끼리의 연결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각 구획 부재의 상기 구획 규제부는, 그 구획 부재의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제1 걸림 결합부와, 그 구획 부재의 상기 제2 단부에 형성된 제2 걸림 결합부를 갖고 있고,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 중 한쪽 구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다른 쪽 구획 부재의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직선 상태일 때에 그들 구획 부재끼리의 상기 제1 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양태로 걸림 결합하고,
    인접하는 두 구획 부재 중 한쪽 구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다른 쪽 구획 부재의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굴곡 상태일 때에 그들 구획 부재끼리의 상기 제2 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2 양태로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2. 각 구획 부재의 상기 구획 규제부는 가이드부를 갖고,
    인접하는 링크끼리가 상기 직선 상태와 상기 굴곡 상태 사이에서 회동할 때에, 그들 인접하는 링크에 대응하는 인접하는 구획 부재의 가이드부는, 그들 인접하는 구획 부재 중 한쪽 구획 부재의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다른 쪽 구획 부재의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 상태가 상기 제1 양태와 상기 제2 양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물체의 안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긴 물체의 안내 장치에 구비되는 구획 부재이며,
    상기 복수의 링크 중 대응하는 하나의 링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 부재.
KR1020197007719A 2016-09-27 2017-09-22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구획 부재 KR102161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8650A JP6432580B2 (ja) 2016-09-27 2016-09-27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仕切部材
JPJP-P-2016-188650 2016-09-27
PCT/JP2017/034386 WO2018062055A1 (ja) 2016-09-27 2017-09-22 長尺物の案内装置及び仕切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899A true KR20190059899A (ko) 2019-05-31
KR102161066B1 KR102161066B1 (ko) 2020-09-29

Family

ID=6176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719A KR102161066B1 (ko) 2016-09-27 2017-09-22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구획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78160B2 (ko)
JP (1) JP6432580B2 (ko)
KR (1) KR102161066B1 (ko)
CN (1) CN109715980B (ko)
DE (1) DE112017004844T5 (ko)
TW (1) TWI687607B (ko)
WO (1) WO2018062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102154U1 (de) * 2016-04-22 2017-07-26 Igus Gmbh Kettenglied für Energieführungskette und Energieführungskette
JP2023532405A (ja) * 2020-05-27 2023-07-28 イ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ター ハフトゥング フレキシブルジョイントコネクタを有する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サイドプレート、及びそのための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20220082185A1 (en) * 2020-09-16 2022-03-17 Icenine Industries, Llc Cable carr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7329A (ja) 2010-05-26 2011-12-08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15218870A (ja) * 2014-05-21 2015-12-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187Y2 (ko) * 1974-05-28 1979-06-20
DE3537961C1 (de) * 1985-10-25 1987-04-09 Kabelschlepp Gmbh Energieleitungstraeger
JP2507194Y2 (ja) * 1991-07-31 1996-08-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ブルドラグチェ―ンの内部仕切構造
JP3157491B2 (ja) * 1997-11-28 2001-04-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可撓体の案内支持チェーン
DE19837231A1 (de) 1998-08-17 2000-02-24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anordnung
JP4098275B2 (ja) * 2004-06-07 2008-06-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102006027246A1 (de) 2006-06-09 2007-12-20 Flexatec Gmbh Energieführungskette
JP4302752B2 (ja) * 2007-05-02 2009-07-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618933B2 (ja) 2011-07-25 2014-11-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6311199B2 (ja) * 2014-05-14 2018-04-18 日本通信電材株式会社 ケーブルガイド
JP6290811B2 (ja) * 2015-03-20 2018-03-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WO2016171725A1 (en) 2015-04-24 2016-10-27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Cable tr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7329A (ja) 2010-05-26 2011-12-08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15218870A (ja) * 2014-05-21 2015-12-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5517A1 (en) 2021-09-16
JP6432580B2 (ja) 2018-12-05
KR102161066B1 (ko) 2020-09-29
CN109715980A (zh) 2019-05-03
DE112017004844T5 (de) 2019-06-13
TWI687607B (zh) 2020-03-11
CN109715980B (zh) 2020-12-29
JP2018053968A (ja) 2018-04-05
US11378160B2 (en) 2022-07-05
TW201816305A (zh) 2018-05-01
WO2018062055A1 (ja)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9899A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구획 부재
KR101872131B1 (ko)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JP6421109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ガイドレール
JP6423364B2 (ja) 関節アームロボットの少なくとも1つのラインを案内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関節アームロボット
US10221919B2 (en) Long-object guide device and affixation member
KR101481747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JP554174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110085890A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US20170146095A1 (en) Device for guiding elongate object
WO2011074650A1 (ja) ケーブルチェーン
JP4762951B2 (ja) ケーブルチェーン用角度規制体
CN109476438B (zh) 长条物的引导装置
CN106795948B (zh) 长条物的导引装置
WO2020022370A1 (ja) 長尺物の案内装置及びローラアタッチメント
JP2015218870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TW202331118A (zh) 具有預張緊滑動元件及用於此之滑塊的滑動軸承引導裝置,特別是直線引導裝置
JP2021136812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