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131B1 -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131B1
KR101872131B1 KR1020167010706A KR20167010706A KR101872131B1 KR 101872131 B1 KR101872131 B1 KR 101872131B1 KR 1020167010706 A KR1020167010706 A KR 1020167010706A KR 20167010706 A KR20167010706 A KR 20167010706A KR 101872131 B1 KR101872131 B1 KR 101872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ounting
hook
pai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735A (ko
Inventor
쇼이치로 고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6006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8Chains having special overal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Hing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를 구성하는 각 링크(13)는, 한 쌍의 링크부(12)와, 한 쌍의 링크부(1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14)와, 한 쌍의 링크부(12)를 제1 연결부(14)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연결하는 제2 연결부(15)를 구비한다. 복수의 링크(13)에 있어서의 링크부(12), 제1 연결부(14) 및 제2 연결부(15)에 의해 둘러싸이는 수용 공간(SK)에 긴 형상물이 안내 가능하게 수용된다. 제1 연결부(14)는 한 쌍의 링크부(12)의 장착부(2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 부재를 구성하고, 제1 단부에 힌지 축(35)을 갖고, 제2 단부에 훅부(32)를 갖는다. 링크부(12)의 장착부(25)는, 힌지 축(35)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 가능한 베어링부와, 훅부(32)와 결합 가능한 결합 구멍(52)을 갖는다.

Description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DEVICE FOR GUIDING LONG OBJECT}
본 발명은, 공작 기계 등의 이동부에 급전이나 급액을 행하는 가요성 케이블이나 호스 등의 긴 형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이동부의 이동에 맞추어 안내하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의 긴 형상물 안내 장치는, 복수의 링크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각 링크는 대향하는 한 쌍의 링크부와, 동 링크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제1 연결부와 대향함과 함께 동 링크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에서는, 각각의 링크에 있어서의 링크부,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긴 형상물이 수용된다.
이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에서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긴 형상물을 정비하기 위해, 링크부에 제1 연결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제1 연결부의 양단부에 C자 형상의 훅이 형성되고, 그 훅이 링크부에 설치된 힌지 축에 걸려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36477호 공보
상술한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에서는, 외력에 의해 안내 장치 전체가 비틀리거나, 수용 공간에 수용된 긴 형상물이 이동할 때, 그 긴 형상물에 의해 제1 연결부가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압박되면, 제1 연결부가 링크부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 장치의 하나의 구성 부품이 다른 구성 부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기재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는, 제1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링크부와, 한 쌍의 링크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를 상기 제1 연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에 의해, 하나의 링크가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링크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링크에 있어서의 상기 링크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긴 형상물을 수용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 중, 단부에 위치하는 링크의 이동에 맞추어, 상기 긴 형상물을 안내 가능한 안내 장치이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링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착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부는, 당해 장착 부재를 장착 가능한 장착부를 각각 갖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힌지 축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에 훅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링크부 중, 제1 링크부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제3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힌지 축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당해 힌지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가능한 베어링부 및 상기 훅부와 결합 가능한 훅 결합부 중 적어도 상기 베어링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링크부 중, 제2 링크부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베어링부 및 상기 훅 결합부 중 적어도 상기 훅 결합부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베어링부에 힌지 축을 지지시킴과 함께 훅부를 훅 결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제3 방향에 있어서의 힌지 축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하나의 구성 부품, 즉, 장착 부재가, 다른 구성 부품, 즉, 장착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제1 결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힌지 축이 상기 베어링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훅부가 상기 훅 결합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링크부가 제1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하거나 하도록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장착 부재가 장착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힌지 축이 상기 베어링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부재가 회전될 때, 당해 힌지 축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힌지 축을 베어링부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장착 부재를 회전시킬 때, 힌지 축이 베어링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규제부에 의해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훅 결합부에 대해 상기 링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링크에 하중이 가해지면, 한 쌍의 링크부에는 내측으로 쓰러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 점에서,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링크부가 내측으로 쓰러져도, 훅부가 훅 결합부에 대해 링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훅부와 훅 결합부의 결합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링크에 하중이 가해져도, 훅부와 훅 결합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베어링부 및 상기 훅 결합부의 양쪽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착 부재의 힌지 축 및 훅부를 한 쌍의 링크부의 양쪽의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장착 부재를 제1 방향의 방향에 관계없이 한 쌍의 링크부의 장착부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그 양단부에 절결부를 각각 갖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각 절결부와 결합 가능한 절결 결합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절결부와 각 절결 결합부가 결합함으로써,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의 비틀림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의 하나의 구성 부품이 다른 구성 부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연결부를 힌지 축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제1 연결부를 훅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제1 연결부를 결합 오목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를 구성하는 링크부에 형성된 장착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제1 연결부의 힌지 축이 도 6에 도시하는 장착부의 베어링부에 지지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하는 제1 연결부의 힌지 축이 도 6에 도시하는 장착부의 베어링부에 지지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하는 제1 연결부의 훅부가 도 6에 나타내는 장착부의 결합 구멍과 결합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하는 제1 연결부를 도 6에 나타내는 링크부의 장착부에 장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6에 도시하는 링크부의 장착부에 장착된 도 3에 도시하는 제1 연결부를 회전시킬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3에 도시하는 제1 연결부를 도 6에 도시하는 링크부에 장착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 복수의 링크(13), 제1 연결부(14) 및 제2 연결부(15)를 구비하고 있다. 각 링크(13)는, 제1 방향, 즉, 방향 Y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링크부(12)를 구비하고, 그들 링크부(12)는 제1 연결부(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부(1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14)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링크부(12)는 제2 연결부(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링크부(12), 제1 연결부(14) 및 제2 연결부(15)는 모두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링크(13)는, 인접하는 링크(13)에 대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의 링크(13)는 방향 Y와 직교하는 방향 X, 즉, 제2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 가능하다.
복수의 링크(13) 중, 시단부에 위치하는 링크(13)(이하, 시단부 링크(13)라고 칭함)에는, 연결 금속 부재(1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 금속 부재(16)는, 공작 기계 등의 기계에 있어서, 방향 X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링크(13) 중, 종단부에 위치하는 링크(13)(이하, 종단부 링크(13)라고 칭함)에는, 상기 기계의 고정부(도시 생략)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금속 부재(17)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링크(13)에 있어서의 한 쌍의 링크부(12)와, 제1 연결부(14)와, 제2 연결부(15)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SK)에는, 플렉시블하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긴 형상물(TK)이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긴 형상물(TK)은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그리고,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는, 수용 공간(SK)에 수용된 긴 형상물(TK)을, 시단부 링크(13)의 이동, 즉, 이동체(도시 생략)의 왕복 이동에 맞추어 안내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간부에 만곡 부분(W)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만곡 부분(W)은 시단부 링크(13)가 방향 X로 이동하는 것에 맞추어 이동한다. 또한, 긴 형상물(TK)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이동체에 급전이나 신호 전송을 행하는 전기 케이블이나 광 케이블, 이동체에 기체(예를 들어, 공기 등)나 액체(예를 들어, 물이나 오일 등) 등을 공급하는 호스, 플렉시블하게 굴곡 가능한 장척 형상의 다관절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제1 연결부(14)는 링크(13)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1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2 연결부(15)는, 링크(13)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연결부(14)가 장착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각 링크부(12)는 방향 X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방향 X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둥글게 형성된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각 링크부(12)의 제1 단부에는 연결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부(12)의 제1 단부와는 반대측의 제2 단부에 있어서의 외측면에는, 방향 X를 따라 인접하는 다른 링크부(12)의 연결 구멍(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연결 볼록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링크부(12)의 제1 단부의 내측면에는, 연결 구멍(20)에 인접하는 부채 형상의 내측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부(12)의 내측면에 있어서, 연결 구멍(20)을 내측 오목부(21)와의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내측 볼록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구멍(20), 내측 오목부(21) 및 내측 볼록부(22)는 방향 X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각 링크부(12)의 제2 단부의 외측면에는, 부채 형상의 외측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링크부(12)의 외측면에 있어서, 연결 볼록부(26)를 외측 오목부(23)와의 사이에 끼우는 위치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외측 볼록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오목부(23), 연결 볼록부(26) 및 외측 볼록부(24)는 방향 X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 X를 따라 인접하는 2개의 링크(13)에 있어서의 링크부(12)의 각 연결 구멍(20)과, 각 연결 볼록부(26)를 각각 끼워 맞춘 상태에서는, 내측 오목부(21) 내에 외측 볼록부(24)가 수용됨과 함께 외측 오목부(23)에 내측 볼록부(22)가 수용된다. 내측 볼록부(22) 및 외측 볼록부(24)는, 각각 외측 오목부(23) 내 및 내측 오목부(21) 내를 연결 구멍(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범위분(예를 들어, 15도분)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방향 X 및 방향 Y와 직교하는 제3 방향을 방향 Z로 한다. 그 방향 Z에 있어서 제2 연결부(15)와는 반대측에 있어서의 각 링크부(12)의 측연의 중앙부에는, 제1 연결부(14)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 연결부(14)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4)는, 방향 Y를 따라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본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0)는 방향 Y에 있어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있다. 제1 연결부(14)는 또한, 본체부(30)의 제1 단부에 설치된 힌지부(31)와, 본체부(30)의 제2 단부에 설치된 훅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0)의 제1 단부의 2개의 코너부 및 제2 단부의 2개의 코너부에는, 본체부(30)를 L자 형상으로 절결함으로써 형성된 절결부(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부(30)의 4개의 코너부에는, 각각 절결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31)의 근방에 위치하는 2개의 절결부(33)에는, 방향 Z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33a)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33a)은, 본체부(30)의 외측(도 3에서는 상측)으로부터 본체부(30)의 내측(도 3에서는 하측)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힌지부(31)는 지지부(34)와 한 쌍의 힌지 축(35)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34)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본체부(30)의 제1 단부에 있어서, 그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34)의 양 측면에는 방향 X를 따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힌지 축(35)이 설치되어 있다. 각 힌지 축(35)은,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축선이 방향 X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힌지 축(35)은, 방향 Y에 관하여, 지지부(34)의 선단부면(34a)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힌지 축(35)의 외주면에는, 방향 Z를 따라 절결된 힌지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향 X에 있어서의 한 쌍의 힌지 축(35)의 내측의 면과 지지부(34)의 선단부면(34a)에 의해 중앙 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오목부(37)는 힌지 오목부(36)보다도 깊고, 또한 방향 X를 따른 폭이 힌지 오목부(36)보다도 넓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부(32)는, 연장부(32a), 수직 하강부(32b) 및 갈고리부(32c)로 이루어지고, 대략 역L자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연장부(32a)는, 본체부(30)의 제2 단부에 있어서, 그 중앙부로부터 방향 Y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직 하강부(32b)는, 연장부(32a)의 선단부로부터 방향 Z에 있어서의 본체부(30)의 내측(도 4에서는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갈고리부(32c)는, 수직 하강부(32b)의 선단부로부터 방향 Y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30)의 내측면(도 5에서는 하면)에 있어서, 힌지부(31)의 근방 및 훅부(32)의 근방에는, 제2 결합부의 일례로서의 결합 오목부(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훅부(32)의 근방에 위치하는 결합 오목부(40)의 양측에는, 2개의 절결 오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 오목부(41)는, 결합 오목부(40)보다도 작다.
이 경우, 각 절결 오목부(41)는, 본체부(30)의 내측면(도 5에서는 하면)과, 상기 훅부(32)를 갖는 제2 단부의 단부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절결 오목부(41)는, 방향 Y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31)의 각 힌지 오목부(36)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링크부(12)에 설치된 장착부(25)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25)는, 방향 Y에 있어서는 링크(13)의 내측이며, 또한 방향 Z에 있어서는 제2 연결부(15)와는 반대측인 위치에서 개구되는 장착 오목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 오목부(50)의 저면(51)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방향 Z와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오목부(50)의 저면(51)에 있어서, 그 중앙부에는, 제1 연결부(14)의 훅부(32)와 결합 가능한 훅 결합부의 일례로서의 결합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구멍(52)은, 링크(13)의 방향 Y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링크부(12)의 외측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부(32)가 결합 구멍(5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훅부(32)의 방향 Z로의 이동이 규제됨과 함께, 훅부(32)의 갈고리부(32c)가 결합 구멍(52)을 통해 링크부(12)의 외측에 노출된다. 이 경우, 훅부(32)는, 결합 구멍(52)에 대해 방향 Y에 있어서의 링크(13)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결합된다.
장착 오목부(50)는 외측벽(53)을 갖고 있다. 상기 결합 구멍(52)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그 외측벽(53)의 내면에는 한 쌍의 개구부(54)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부(54)의 방향 X에 있어서의 폭은, 제1 연결부(14)의 각 힌지 축(35)(도 3 참조)의 방향 X에 있어서의 폭보다도 좁다. 도 6, 도 7 및 도 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외측벽(53)의 내면(장착 오목부(50)의 내측면)은 방향 Z를 따라 구분된 2개의 면으로 구성되고, 결합 구멍(52)에 가까운 대략 절반의 면은, 방향 Z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53a)이고, 방향 Z에 있어서의 결합 구멍(52)으로부터 이격된 대략 절반의 면은, 방향 Z에 대해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53b)이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오목부(50)의 저면(51)에 있어서, 결합 구멍(52)의 방향 X에 있어서의 양측에는,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한 쌍의 규제 볼록부(55)가 설치되어 있다. 각 규제 볼록부(55)는, 제1 연결부(14)의 각 힌지 오목부(36)(도 3 참조) 및 각 절결 오목부(41)(도 4 참조)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장착 오목부(50)의 저면(51)에 있어서, 외측벽(53)의 반대측에는, 제1 결합부의 일례로서의 결합 볼록부(56)가 설치되어 있다. 그 결합 볼록부(56)와 외측벽(53) 사이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멍(52)이 개구되어 있다. 결합 볼록부(56)는 규제 볼록부(55)보다도 크다. 결합 볼록부(56)는 제1 연결부(14)의 결합 오목부(40)에 결합 상태로 수용 가능하며, 또한 제1 연결부(14)의 중앙 오목부(37)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장착 오목부(50)의 저면(51)에 있어서, 한 쌍의 규제 볼록부(55)와 개구부(54) 사이의 부분은, 제1 연결부(14)의 한 쌍의 힌지 축(3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가능한 축 지지면(57)을 구성하고 있다. 즉, 축 지지면(57)은 방향 X에 있어서 결합 구멍(52)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 오목부(50)에 있어서의 각 축 지지면(57)과 대향하도록, 상기 외측벽(53)에는, 직사각형 판상의 규제 벽(58)이 설치되어 있다. 각 규제 벽(58)은, 각 축 지지면(57)에 지지된 상태의 힌지 축(35)이, 방향 Z에 있어서 결합 구멍(52)과는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 쌍의 규제 벽(58)의 사이에는, 결합 구멍(52)의 방향 X에 있어서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간극(5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오목부(50)의 방향 X에 있어서의 양 측벽에 있어서, 장착 오목부(50)의 개구의 주연에 위치하는 내측의 2개의 코너부는, 제1 연결부(14)의 절결부(33)와 결합 가능한 절결 결합부(60)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벽(53), 축 지지면(57) 및 규제 벽(58)에 의해, 베어링부가 구성되고, 그 베어링부에 의해, 제1 연결부(14)의 한 쌍의 힌지 축(35)을 방향 Z로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 가능하다. 따라서, 장착부(25)는, 베어링부 및 결합 구멍(52)(훅 결합부)의 양쪽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링크(13)의 장착부(25)에 제1 연결부(14)를 장착할 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부(25)에 제1 연결부(14)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4)를 방향 Z를 따라 기립하여 배치한다. 그 상태에서, 힌지 축(35)이 링크(13)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장착 오목부(50)에 삽입되도록, 제1 연결부(14)를 방향 Y를 따라 이동시킨다. 그러면, 힌지 축(35)의 힌지 오목부(36)를 규제 볼록부(55)가 통과함과 함께 중앙 오목부(37)를 결합 볼록부(56)가 통과하고, 힌지 축(35)이 축 지지면(57)에 지지됨과 함께 지지부(34)가 간극(59)에 삽입된다. 이때, 힌지 축(35)은 외측벽(53)의 평면(53a)(도 8 참조)에 접촉한다.
계속해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4)를, 힌지 축(35)을 중심으로 하여 링크(13)의 내측을 향해 회전시킨다. 그러면, 힌지 축(35)에 있어서의 힌지 오목부(36)의 외주연부는, 규제 볼록부(55)와 외측벽(53)의 사이로 돌아 들어가 진입한다. 이로 인해, 그 진입 방향과는 반대로, 힌지 축(35)이 축 지지면(57) 상을 미끄러져 링크(13)의 방향 Y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이동하려고 한 경우에는, 힌지 축(35)에 있어서의 힌지 오목부(36)의 외주연부가 규제 볼록부(55)에 접촉하므로, 힌지 축(35)의 이동이 규제 볼록부(55)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힌지 축(35)은 축 지지면(57) 상에서 회전한다.
계속해서, 제1 연결부(14)를, 힌지 축(35)을 중심으로 하여 링크(13)의 내측을 향해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연결부(14)의 훅부(32)의 갈고리부(32c)가 외측벽(53)의 경사면(53b)에 접촉한다. 또한, 제1 연결부(14)를, 힌지 축(35)을 중심으로 하여 링크(13)의 내측을 향해 회전시키면, 훅부(32)의 수직 하강부(32b)가 링크(13)의 내측으로 휘면서, 훅부(32)의 갈고리부(32c)가 경사면(53b) 상을 평면(53a)을 향해 미끄럼 이동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갈고리부(32c)가 결합 구멍(52)에 도달하면, 링크(13)의 내측으로 휘어 있었던 훅부(32)의 수직 하강부(32b)가 자신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됨으로써, 갈고리부(32c)와 결합 구멍(52)이 결합된다.
이 훅부(32)의 갈고리부(32c)와 결합 구멍(52)의 결합에 의해, 제1 연결부(14)의 회전이 규제되고, 링크(13)의 장착부(25)에의 제1 연결부(14)의 장착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제1 연결부(14)의 각 절결부(33)는, 각 장착부(25)의 각 절결 결합부(60)와 각각 결합된다.
또한 이때,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4)의 각 결합 오목부(40) 내에 각 장착부(25)의 결합 볼록부(56)가 각각 삽입됨과 함께, 제1 연결부(14)의 각 절결 오목부(41)에 장착부(25)의 각 규제 볼록부(55)가 각각 삽입된다. 이 경우, 각 결합 오목부(40)와 각 결합 볼록부(56)의 결합에 의해, 제1 연결부(14)의 방향 Y를 따른 이동이 규제된다. 각 결합 오목부(40)와 각 결합 볼록부(56)의 결합면은 경사져 있다.
링크(13)의 장착부(25)에 제1 연결부(14)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힌지 축(35)은 규제 벽(58)에 의해, 방향 Z를 따른 이탈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훅부(32)는 갈고리부(32c)와 결합 구멍(52)의 결합에 의해, 방향 Z를 따른 이탈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링크(13)의 장착부(25)에 제1 연결부(14)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본체부(30)의 방향 Y를 따른 이동이 각 결합 오목부(40)와 각 결합 볼록부(56)의 결합에 의해 규제되고, 본체부(30)의 방향 X를 따른 이동이 각 절결부(33)와 각 절결 결합부(60)의 결합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링크(13)의 장착부(25)에 제1 연결부(14)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외력이 작용해도, 제1 연결부(14)가 장착부(25)로부터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1 연결부(14)의 각 절결부(33)와 각 장착부(25)의 각 절결 결합부(60)의 결합에 의해,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비틀림 강성이 높아진다. 그로 인해,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비틀림력이 작용하였다고 해도,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가 변형되기 어려워지고, 나아가 제1 연결부(14)가 장착부(25)로부터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링크(13)의 장착부(25)로부터 제1 연결부(14)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링크부(12)의 외측면에 개구되는 결합 구멍(52)으로부터, 드라이버 등의 공구에 의해 갈고리부(32c)를 링크(13)의 내측으로 압입한다. 그것에 의해, 훅부(32)의 수직 하강부(32b)를 링크(13)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갈고리부(32c)와 결합 구멍(52)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힌지 축(35)을 중심으로 제1 연결부(14)를 회전시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4)를 기립한 상태로 한다. 그 후, 힌지 축(35)이 장착 오목부(50)로부터 링크(13)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제1 연결부(14)를 이동시키면, 장착부(25)로부터 제1 연결부(14)를 떼어낼 수 있다.
제1 연결부(14)는, 통상, 힌지 축(35)이 장착 오목부(50)의 축 지지면(57)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수용 공간(SK)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덮개로서 사용된다. 제1 연결부(14)는, 수용 공간(SK)에 대해 긴 형상물(TK)을 출납하거나, 수용 공간(SK)에 수용된 긴 형상물(TK)을 정비할 때, 힌지 축(3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상 상세한 서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대향하는 한 쌍의 링크부(12) 중, 제1 링크부(12)에 있어서의 장착부(25)의 베어링부는, 제1 연결부(14)의 힌지 축(35)의 방향 Z를 따른 이동을 규제하면서, 그 힌지 축(3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링크부(12)에 있어서의 장착부(25)의 결합 구멍(52)은, 제1 연결부(14)의 훅부(32)의 갈고리부(32c)와 결합한다. 이로 인해, 결합 구멍(52)과 훅부(32)의 갈고리부(32c)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한, 장착부(25)로부터 힌지 축(35)이 빠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외력이 작용해도, 제1 연결부(14)가 장착부(25)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각 장착부(25)는 결합 볼록부(56)를 갖고 있고, 제1 연결부(14)는, 힌지 축(35)을 베어링부로 지지한 상태에서 훅부(32)의 갈고리부(32c)가 결합 구멍(52)에 결합된 경우에, 결합 볼록부(56)와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40)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결합 볼록부(56)와 결합 오목부(40)가 결합함으로써,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대해 한 쌍의 링크부(12)가 방향 Y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하거나 하도록 외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제1 연결부(14)가 장착부(25)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장착부(25)는, 힌지 축(35)을 베어링부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1 연결부(14)를 회전시킬 때, 당해 힌지 축(35)이 방향 Y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볼록부(55)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힌지 축(35)을 장착부(25)의 베어링부로 지지한 상태에서 제1 연결부(14)를 회전시킬 때, 힌지 축(35)이 베어링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규제 볼록부(55)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4) 통상, 링크(13)에 하중이 가해지면, 한 쌍의 링크부(12)가 내측으로 쓰러지려고 한다. 이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훅부(32)의 갈고리부(32c)는, 결합 구멍(52)에 대해 링크(13)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한 쌍의 링크부(12)가 내측으로 쓰러지는 경우, 훅부(32)의 갈고리부(32c)와 결합 구멍(52)의 결합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링크(13)에 하중이 가해져도, 훅부(32)의 갈고리부(32c)와 결합 구멍(52)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장착부(25)는, 베어링부 및 결합 구멍(52)의 양쪽을 갖고 있으므로, 제1 연결부(14)의 힌지 축(35) 및 훅부(32)를, 한 쌍의 링크부(12)의 각각 장착부(25)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4)의 방향에 관계없이, 제1 연결부(14)를 장착부(25)에 장착할 수 있다.
(6)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제1 연결부(14)의 본체부(30)는, 4개의 코너부에 절결부(33)를 각각 갖고 있다. 또한, 장착부(25)는, 각 절결부(33)와 결합 가능한 절결 결합부(60)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장착부(25)에 제1 연결부(14)를 장착하였을 때, 각 절결부(33)와 각 절결 결합부(60)가 결합함으로써,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의 비틀림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대해 비틀림력이 작용해도, 이 비틀림력을, 각 절결부(33)와 각 절결 결합부(60)의 결합 부분에서 받을 수 있으므로,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7)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11)에 있어서, 제1 연결부(14)의 각 절결부(33)는 경사면(33a)을 갖고 있으므로, 제1 연결부(14)의 힌지 축(35)을 중심으로 한 회전 시에, 당해 절결부(33)가 절결 결합부(60)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변경예)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제1 연결부(14)의 본체부(30)에는, 반드시 절결부(33)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제1 연결부(14)의 본체부(30)의 방향 X에 있어서의 폭은, 장착부(25)의 장착 오목부(50) 내에 수용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링크부(12) 중, 한쪽의 링크부(12)에 있어서의 장착부(25)가 베어링부만을 갖고, 다른 쪽의 링크부(12)에 있어서의 장착부(25)가 결합 구멍(52)만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훅부(32)의 갈고리부(32c)는, 결합 구멍(52)에 대해 링크(13)(링크부(12))의 외측으로부터 결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장착부(25)의 2개의 규제 볼록부(55) 중 적어도 한쪽을 생략해도 된다.
·장착부(25)의 결합 볼록부(56) 및 제1 연결부(14)의 결합 오목부(40)는 생략해도 된다.
·장착부(25)가 결합 볼록부(56) 대신에 제1 결합부로서 오목부를 구비함과 함께, 제1 연결부(14)가 결합 오목부(40) 대신에 상기 오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로서 볼록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2 연결부(15)는, 링크(13)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1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즉, 제1 연결부(14) 외에 제2 연결부(15)도 장착 부재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링크(13)에 있어서의 제1 연결부(14)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제2 연결부(15)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설치된다.
11 :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12 : 링크부
13 : 링크
14 : 장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1 연결부
15 : 제2 연결부
25 : 장착부
32 : 훅부
33 : 절결부
35 : 힌지 축
40 : 제2 결합부의 일례로서의 결합 오목부
52 : 훅 결합부의 일례로서의 결합 구멍
53 : 베어링부를 구성하는 외측벽
55 : 규제부의 일례로서의 규제 볼록부
56 : 제1 결합부의 일례로서의 결합 볼록부
57 : 베어링부를 구성하는 축 지지면
58 : 베어링부를 구성하는 규제 벽
60 : 절결 결합부
SK : 수용 공간
TK : 긴 형상물
X : 제2 방향
Y : 제1 방향
Z : 제3 방향

Claims (6)

  1. 제1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링크부와, 한 쌍의 링크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를 상기 제1 연결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연결하는 제2 연결부에 의해, 하나의 링크가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링크를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2개의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링크에 있어서의 상기 링크부,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긴 형상물을 수용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 중, 단부에 위치하는 링크의 이동에 맞추어, 상기 긴 형상물을 안내 가능한 안내 장치이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링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착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부는, 당해 장착 부재를 장착 가능한 장착부를 각각 갖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힌지 축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2 단부에 훅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링크부 중, 제1 링크부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제3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힌지 축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당해 힌지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가능한 베어링부 및 상기 훅부와 결합 가능한 훅 결합부의 양쪽을 갖고,
    상기 한 쌍의 링크부 중, 제2 링크부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베어링부 및 상기 훅 결합부의 양쪽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제1 결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힌지 축이 상기 베어링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훅부가 상기 훅 결합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힌지 축이 상기 베어링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 부재가 회전될 때, 당해 힌지 축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훅 결합부에 대해 상기 링크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그 양단부에 절결부를 각각 갖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각 절결부와 결합 가능한 절결 결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KR1020167010706A 2013-11-11 2014-10-30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KR101872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3355 2013-11-11
JP2013233355A JP6060064B2 (ja) 2013-11-11 2013-11-11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PCT/JP2014/078915 WO2015068636A1 (ja) 2013-11-11 2014-10-30 長尺物の案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735A KR20160060735A (ko) 2016-05-30
KR101872131B1 true KR101872131B1 (ko) 2018-06-27

Family

ID=5304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706A KR101872131B1 (ko) 2013-11-11 2014-10-30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5910B2 (ko)
JP (1) JP6060064B2 (ko)
KR (1) KR101872131B1 (ko)
CN (1) CN105745472B (ko)
DE (1) DE112014005135T5 (ko)
WO (1) WO2015068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5870A1 (de) * 2014-07-30 2016-02-04 Ondal Medical Systems Gmbh Bewegungstolerante leitungsführung für eine stativvorrichtung
FI20155664A (fi) * 2015-09-16 2017-03-17 Gistele Oy Suojakotelo sähkö- ja/tai tietoliikennekaapelien kytkemiseksi useaan kohteeseen
DE202016102154U1 (de) * 2016-04-22 2017-07-26 Igus Gmbh Kettenglied für Energieführungskette und Energieführungskette
US10906379B1 (en) 2016-11-29 2021-02-02 TSI Products, Inc. Compact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rd harnes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D829180S1 (en) * 2016-12-05 2018-09-25 TSI Products, Inc. Folding cable protector
DE202017105927U1 (de) * 2017-09-28 2019-01-08 Igus Gmbh Führungseinrichtung
CN108150609B (zh) * 2017-12-29 2023-10-03 苏州奔腾塑业有限公司 微型拖链
US10823256B2 (en) * 2018-01-12 2020-11-03 Quanta Computer Inc. Cable protection chain
JP2020141517A (ja) * 2019-02-28 2020-09-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ケーブルガイド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装置
JP7352189B2 (ja) * 2020-03-13 2023-09-28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ガイド装置
CN115574051B (zh) * 2022-09-06 2023-08-29 上海文依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单元链节及拖链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6699B2 (ja) * 1998-11-16 2002-12-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におけるリンクプレートと開閉アームとの係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8365A1 (de) * 1983-05-20 1984-11-22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Energiefuehrungskette
JPS60156251U (ja) * 1984-03-27 1985-10-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エネルギ−導通チエ−ン
JP3547891B2 (ja) * 1996-02-06 2004-07-28 株式会社国盛化学 ケーブルチェーン
US5836148A (en) 1996-02-06 1998-11-17 Kunimorikagaku Ltd. Cable chain
JP3585015B2 (ja) * 1996-04-05 2004-11-04 株式会社国盛化学 ケーブルチェーン
JP3356659B2 (ja) * 1996-10-16 2002-12-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
DE19645403A1 (de) 1996-11-04 1998-05-07 Kabelschlepp Gmbh Kettenglied und Energieführungskette mit verrastbarer Traverse
DE19919076C2 (de) 1999-04-19 2001-08-30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10118328A1 (de) * 2001-04-12 2002-11-21 Kabelschlepp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ettengliedes sowie Kettenglied einer Energieführungskette
JP3716987B2 (ja) * 2002-11-28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3722482B2 (ja) 2003-02-17 2005-11-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202011101573U1 (de) * 2011-05-30 2012-09-04 Tsubaki Kabelschlepp GmbH Bauteil für ein Leitungsführungssystem umfassend zumindest ein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sowie eine entsprechend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nd Leitungsführungssystem
JP5350445B2 (ja) 2011-08-03 2013-11-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414820B2 (ja) * 2012-02-27 2014-02-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6699B2 (ja) * 1998-11-16 2002-12-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におけるリンクプレートと開閉アームとの係止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45472A (zh) 2016-07-06
JP6060064B2 (ja) 2017-01-11
WO2015068636A1 (ja) 2015-05-14
CN105745472B (zh) 2018-01-19
JP2015094410A (ja) 2015-05-18
DE112014005135T5 (de) 2016-08-11
US20160290438A1 (en) 2016-10-06
KR20160060735A (ko) 2016-05-30
US9695910B2 (en)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131B1 (ko) 긴 형상물의 안내 장치
JP6050196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JP6046571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046572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WO2015020196A1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JP2011160524A (ja) ケーブル保持具
KR102017441B1 (ko) 케이블 연결 기구
JP5709832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11378160B2 (en) Long object guiding device and partition member
JP2008286257A (ja) ケーブルチェーン用角度規制体
JP2016082738A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6287701B2 (ja) プロテクタ及び電線モジュール
JP2019090472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
CN109428435B (zh) 线缆盒及电动机
JP5961157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4717599B2 (ja) 可撓性ケーブルダクト
JP4704193B2 (ja) 可撓性ケーブルダクト
JP2006166640A (ja) ケーブル保護カバー
JP7000970B2 (ja) 電力変換装置用ケース
JP6004542B2 (ja) Dinレール取付構造
JP6585425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20170214228A1 (en) Electrical wire cover
JP4689492B2 (ja) 光ケーブル余長処理装置
WO2012101861A1 (ja) ブラケットの収納構造
JP2019068609A (ja) ケーブル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