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860A - 축 베어링 - Google Patents

축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860A
KR20190053860A KR1020197008589A KR20197008589A KR20190053860A KR 20190053860 A KR20190053860 A KR 20190053860A KR 1020197008589 A KR1020197008589 A KR 1020197008589A KR 20197008589 A KR20197008589 A KR 20197008589A KR 20190053860 A KR20190053860 A KR 20190053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elastomeric body
elastomeric
bearing
shaf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696B1 (ko
Inventor
마르쿠스 뒤러
크리스티안 파울
Original Assignee
비브라코우스틱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브라코우스틱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브라코우스틱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5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6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 F16C27/066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3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an annular or the like shape, e.g. grommet-type resilient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F16F7/1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plastics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6Drive shaft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몸체(16), 일정 거리에서 내부 몸체(16)를 둘러싸는 외부 몸체(12), 및 내부 몸체(16)를 외부 몸체(12)에 탄상적으로 연결하는 엘라스토머 몸체(20)를 포함하는 축 베어링(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 몸체(20)는 감쇠 장치(2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 베어링
본 발명은 내부 몸체, 일정 거리에서 내부 몸체를 둘러싸는 외부 몸체, 및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를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엘라스토머 몸체를 포함하는 축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도입부에서 언급된 유형의 축 베어링은 차량의 카르단 축(cardan shaft)을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축 베어링은 시동 및 제동하면서 축 방향의 변위를 보상하고 운전 동안에 제 위치에 정확하게 카르단 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축 베어링은 소음을 차단하고, 카르단 축의 흔들리는 움직임 및 공진 주파수를 감쇠시킨다.
이를 위해, 축 베어링은 카르단 축의 진동이 축 베어링으로 입력되도록 내부 몸체를 통하여 카르단 축에 연결된다. 이로써, 엘라스토머 몸체는 진동하기 시작하고, 축 베어링으로 입력된 진동들을 감쇠 및/또는 격리된다. 축 베어링은 외부 몸체를 통하여 차량 구성부품, 특히 차량 몸체에 고정된다.
EP 2 690 305 B1에 개시된 축 베어링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축 베어링은 외부 몸체 및 외부 몸체에 대하여 동심원으로 배치된 내부 몸체를 가지며, 외부 몸체 및 내부 몸체는 링-형상의 탄성 스프링 부재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또한, 축 베어링은 DE 101 26 016 A1으로부터 명백해지며, 이 축 베어링은 보유 링에 의해서, 방사상 일정 거리에서, 외부 원주면의 측면에 동봉된 외부 몸체가 있는 롤링 베어링을 가지며,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에서 탄성 항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일정 거리에 의해서 형성된 간근에 배치된다. 외부 몸체는 외부 몸체에 대해 비-회전식으로 진동 흡수 장치에 연결된다.
엘라스토머 몸체가 관련 방향으로 더 큰 질량 움직임을 함유하는 가요성 자연 모드에서 진동하자마자 축 베어링의 동적 강성은 현저하게 증가한다. 이러한 증가된 강성은 고주파 범위에서 축 베어링의 디커플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강성을 갖는 축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축 베어링이 제안된다.
상기 축 베어링의 유리한 실시 예는 종속 청구항에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축 베어링은 내부 몸체, 일정 거리에서 내부 몸체를 둘러싸는 외부 몸체, 및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를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엘라스토머 몸체를 포함하는 축 베어링으로서, 엘라스토머 몸체(20)는 흡수 장치를 가진다.
만약 엘라스토머 몸체가 진동하게 자극되며, 흡수 장치는 업소버(absorber)로서 작동하고, 흡수 장치가 강하게 진동하는 동안 엘라스토머 몸체에서의 질량 운동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흡수 장치의 공진 주파수에 상응하는, 목표 주파수 범위에서 축 베어링의 강성(특히, 종적 강성)은 줄어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축 베어링은 고주파 범위에서도 충분한 디커플링 기능을 갖는다. 또한, 흡수 장치의 큰 질량을 고려하면, 동적 강성은 목표된 방식으로 원하는 주파수 범위에 자연 수준보다 낮아질 수 있어서, 동적 강성 곡선이 대략적으로 “베스튜브(bathtub)-형상”으로 형성된다. 축 베어링은 카르단 축 베어링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내부 몸체는 카르단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링 베어링의 외부 링 또는 내부 링일 수 있다. 내부 링으로서 구성된 내부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가황에 의해 엘라스토머 몸체로 통합된다. 엘라스토머 몸체는 내부 링에 의해서, 카르단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링 베어링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내부 링은 롤링 베어링에 균일한 표면 압력을 발생시키며, 따라서 롤링 베어링으로부터 축 베어링으로의 힘의 균일한 전달을 일으킨다. 내부 몸체가 롤링 베어링의 외부 링인 경우, 엘라스토머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물질-대-물질 연결(substance-to-substance connection)에 의해 내부 몸체에 접착된다.
외부 몸체는 베어링 지지대의 외부 링일 수 있다. 축 베어링은 베어링 지지대를 통하여 차량 구성부품에 부착된다. 외부 링으로 구성된 외부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가황에 의해 엘라스토머 몸체에 통합된다. 엘라스토머 몸체는 외부 링에 의해서 베어링 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다. 외부 몸체가 베어링 지지대인 경우, 엘라스토머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비-포지티브 방식(non-positive manner)으로 베어링 지지대에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엘라스토머 몸체는 고정 링에 의해 베어링 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 예에서, 흡수 장치는 단일-질량 오실레이터(single-mass oscillator)로 구성된다. 이로써, 흡수 장치는 엘라스토머 몸체에 추가 질량으로 작용하고, 엘라스토머 몸체가 진동할 때 단일-질량 오실레이터가 강하게 진동하는 동안 질량 운동을 감소시킨다.
유리한 실시 예에서, 흡수 장치는 물질-대-물질 연결에 의해서 엘라스토머 몸체에 연결된다. 이로써, 제품 판매 가격에서의 흡수 장치의 바람직한 재료 비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흡수 장치의 설치에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수 장치는 재료 균일성 및 일체성으로 엘라스토머 몸체에 연결된다.
유리한 실시 예에서, 엘라스토머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둘레로 연장하는 절첩부(fold)를 가지며, 흡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절첩부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절첩부는 외부 몸체에 대하여 내부 몸체의 축방향 및/또는 방사상 방향 휨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절첩부는 쉽게 변형 가능하며, 따라서 인장 또는 압축 응력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부재의 팽창 또는 압착 영역을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접첩부는 회전 대칭 또는 비-회전 대칭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 몸체는 2개의 절첩부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절첩부는 바람직하게는 둘레로 연장하는 공동을 형성한다. 또한, 범프 스톱(bump stop)은 공동에 배치될 수 있다. 범프 스톱에 의해서, 롤링 베어링은 베어링 지지대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 몸체가 두 개의 절첩부를 가진다면, 각각의 절첩부는 흡수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절첩부 중 하나만이 흡수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흡수 장치는 엘라스토머 몸체에 연결되어서 흡수 장치는 엘라스토머 몸체에서 발생하는 힘 흐름의 외부에 배치된다. 특히, 흡수 장치는 힘 흐름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흡수 장치는 힘 흐름 외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진동에 노출된 엘라스토머 몸체는 진동하는 흡수 장치에 의해서 진정된다. 엘라스토머 몸체에서 발생하는 힘의 흐름은 외부 몸체로 엘라스토머 몸체,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절첩부를 통하여 내부 몸체로부터 진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흠수 장치는 절첩부에서 발생하는 힘 흐름 외부에 배치되도록 절첩부와 연결된다.
유리한 실시 예에서, 흡수 장치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흡수 장치는 엘라스토머 몸체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엘라스토머 본체의 재료 비율이 낮아져 흡수 장치의 제조에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흡수 장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 예에서, 흡수 장치는 엘라스토머 몸체에 연결된 탭을 가진다. 탭은 다른 주파수 도는 방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다른 방식으로 튜닝될 수 있다. 증분 증가에 상응하는 튜닝 세트로 튜닝된다면, 흡수 장치의 광대역 특성이 탭에 의해서 증가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탭은 엘라스토머 몸체로부터 특히 수직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탭은 서로 등 간격으로 엘라스토머 몸체에 배치된다.
유리한 실시 예에서, 엘라스토머 몸체는 적어도 두 개의 방사상 웹을 가지며, 흡수 장치는 방사상 웹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탭은 각각의 방사상 웹에 연결된다. 방사상 웹은 방사상 외측의 엘라스토머 부분과 방사상 내측의 엘라스토머 부분을 연결한다.
유리한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질량 부재는 흡수 장치에 내장된다. 질량 부재의 내장으로 인해(이는 또한 인서트로 명명됨), 흡수 장치의 유효 질량은 생산 비용을 불균일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당히 증가할 수 있다. 질량 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다. 질량 부재는 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링으로 형성된 질량 부재는 환형 구조로 형성된 흡수 장치에 사용된다. 흡수 장치가 엘라스토머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몇 개의 탭으로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질량 부재가 각각의 탭에 또는 예컨대 매 두 번째 탭에서만 또는 단일 탭에서만 내장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 예에서, 엘라스토머 몸체는 물질-대-물질 연결 및/또는 비-포지티브 방식으로 내부 몸체 및/또는 외부 몸체에 연결된다. 따라서, 엘라스토머 몸체는 내부 몸체 및 외부 몸체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 몸체는 물질-대-물질 연결, 특히 가황에 의해서 부착됨으로써 내부 몸체의 외부로 방사상으로 결합될 수 잇다. 내부 슬리브 및/또는 외부 슬리브는 또한 가황에 의해서 엘라스토머 몸체에 통합될 수 있다. 물질-대-물질 연결의 경우에, 내부 슬리브 및/또는 외부 슬리브는 엘라스토머 몸체의 엘라스토머가 투과하는 개구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축 베어링 및 다른 특징과 이점들은 다음의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축 베어링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흡수 장치가 있는 엘라스토머 몸체의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흡수 장치가 있는 엘라스토머 몸체의 단면이다.
도 5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흡수 장치가 있는 엘라스토머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축 베어링, 제1 실시 예에 따른 흡수 장치가 있는 축 베어링,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흡수 장치가 있는 축 베어링에서 주파수에 따른 동적 강성의 곡선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축 베어링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축 베어링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축 베어링의 정면도이다.
도 1은 차량의, 도시되지 않은, 카르단 축(cardan shaft)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축 베어링(10)을 도시한다.
축 베어링(10)은 내부 링으로 구성된 내부 몸체(16)가 삽입되는 개구(14)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외부 몸체(12)를 가진다. 외부 몸체(12) 및 내부 몸체(16)는 엘라스토머 몸체(20)가 삽입될 환형 간극(18)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엘라스토머 몸체(20)는 탄성적으로 외부 몸체(12)와 내부 몸체(16)를 연결하여, 내부 몸체(16)는 외부 몸체(1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축 베어링(20)은 외부 원주의 측면 상에 외부 몸체를 둘러싸는 베어링 지지대(22)를 더 가진다. 축 베어링(100은 차량 구성부품(미도시), 특히 차량 몸체에 베어링 지지대(22)를 통하여 부착된다. 축 베어링(10)은 미도시된 카르단 축을 둘러싸는 롤링 베어링(24)을 더 가진다. 특히, 엘라스토머 몸체(20)는 내부 몸체(16)를 통하여 롤링 베어링(24) 상에 지지된다.
특히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었듯이, 엘라스토머 몸체(20)는 내부 몸체(16)에 연결된 방사상 내측 부분(26) 및 외부 몸체(12)에 연결된 방사상 외측 부분(28)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부분(26, 28)은 절첩부(3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내부 몸체(16) 및 외부 몸체(12)는 엘라스토머 몸체(20)에 내장, 특히 가황에 의해서 통합된다.
엘라스토머 몸체(20)는 흡수 장치(32)를 더 가지며, 흡수 장치는 특히 재료 균일성 및 일체성이 있는, 물질-대-물질 연결(substance-to-substance connection)에 의해서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흡수 장치(32)는 환형 구조로 형성되며, 이 경우에 단일-질량 오실레이터로 역할한다.
구동 동안에 카르단 축에 작용하는 진동은 엘라스토머 몸체(20) 상에 내부 몸체(16)에 의해서 전달되며, 절첩부(26)는 진동하기 시작한다. 흡수 장치(28)는 힘 흐름 외부에 엘라스토머 몸체(20)에 배치되며, 흡수 장치(28)는 강하게 공진하여서, 절첩부(26)에서 질량 운동을 줄인다. 그 결과, 목표 주파수 범위에서 축 베어링(10)의 강성은 상당히 줄어들 수 있으며, 디커플링 기능이 감소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축 베어링(10)은 고주파 범위에서도 상당한 디커플링 기능을 가진다. 또한, 흡수 장치(32)의 질량 및 주파수는 유한 요소법에 의해 축 베어링(10)의 엘라스토머 몸체(20)의 문제의 범위로 쉽게 튜닝될 수 있다. 또한, 흡수 장치(32)의 큰 질량을 고려하면, 동적 강성은 원하는 주파수 범위에서 자연 수준 미만으로 목표된 방법으로 낮아질 수 있어서, 동적 강성 곡선이 대략적으로 “베스튜브(bathtube)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수 장치(32)의 제2 실시 예는 도 4에 도시되며, 이는 질량 부재(36)가 흡수 장치(32)에 내장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 예와 상이하다. 질량 부재(36)는 링(38)으로 형성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흡수 장치의 유효 질량은 질량 부재(36)에 의해서 상당히 증가될 수 있어서, 증가된 생산량은 불균형하게 증가되지 않는다.
흡수 장치(28)의 제3 실시 예는 도 5에 도시되며, 이는 흡수 장치(28)가 엘라스토머 몸체(20)로부터 대략적으로 수직으로 도출하고 서로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탭들(40)을 가진다는 점에 다른 두 개의 실시 예와 상이하다. 탭(40)은 여러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어서 다른 주파수 및 방향이 흡수될 수 있다. 증분 증가에 해당하는, 튜닝 세트로서 일 튜닝을 고려하면, 흡수 장치(32)의 광대역 특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질량 부재(40)는 유효 질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각 탭(40)에 내장될 수 있다.
도 6은 특히 920Hz의 고주파수 범위에서 동적 강성의 곡선을 도시한다. K1으로 표시된 곡선은 토션 장치(32)가 없는 종래의 축 베어링의 경로를 도시한다. K2으로 표시된 곡선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장치가 있는 축 베어링(10)의 경로를 도시한다. K3으로 표시된 곡선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장치(32)가 있는 축 베어링(10)의 경로를 도시한다. 본 그래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토션 장치(32)가 있는 축 베어링(10)은 토션 장치가 없는 종래의 축 베어링에 비해 고주파수 범위, 특히 920Hz에서 더 낮은 동적 강성을 가지며, 이는 흡수 장치(32)가 엘라스토머 몸체(20)의 질량 운동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축 베어링(10)의 추가 실시 예들은 이하에 설명될 것이며, 이전에 사용된 도면 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에 사용될 것이다.
도 7은 축 베어링(19)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하며, 이는 엘라스토머 몸체(20) 및 외부 몸체(12)의 구성 및 외부 몸체(12)에 엘라스토머 몸체(20)의 부착에서 제1 실시 예와 상이하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몸체(12)는 베어링 지지대(22)를 형성하고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베어링 지지대(22)는 제1 베어링 지지쉘(48) 및 제2 베어링 지지쉘(50)을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엘라스토머 몸체(20)는 두 개의 절첩부(folds)(42a, 42b)를 가지며, 절첩부는 외부 몸체(12)와 함께 공동(44)를 정의한다. 환형 구조체(34)로서 구성된 흡수 장치(32)는 각 절첩부(42a, 42b)와 연결된다. 또한, 엘라스토머 몸체(20)는 공동(44)으로 돌출하는 둘레로 연장한 범프 스톱(bump stop)(46)을 가진다. 범프 스톱(46)은 베어링 지지대(22) 쪽으로 롤링 베어링(24) 및 내부 몸체(16)의 방사상 휨을 제한한다. 각각의 절첩부(42a, 42b)는 비-포지티브 방식(non-positive manner)으로 베어링 지지대(22)에 고정된다. 각각의 절첩부(42a, 42b)는 그 단부에서 비드 코어(bead core)가 잇는 비드 부분을 가지며, 비드 코어는 베어링 지지대(22)의 상응하는 함몰부(45)에 안착된다.
도 8은 축 베어링(10)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하며, 제3 실시 예는 외부 몸체(12) 및 엘라스토머 몸체(20)의 구성 및 외부 몸체(12)에 엘라스토머 몸체(20)의 부착이 제1 실시 예와 상이하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엘라스토머 몸채(20)는 대략적으로 U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비-포지티브 방식으로 베어링 지지대(22)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방사상 외측 부분(28)은 그 단부에 고정 부분(54)을 가지며, 엘라스토머 몸체(20)가 고정 부분을 통하여 베어링 지지대(22)에 고정된다. 고정 부분(54)은, 베어링 지지대(22)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60)가 안착하는 둘레로 연장하는 함몰부(56), 및 베어링 지지대(22)의 단부면(64)에 대항하여 접하며 방사상 방향에서 돌출하는 레그(62)로 구성된 칼라 부분(58)을 포함한다. 엘라스토머 몸체(20)가 환형 간극(18)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 링(66)이 고정 부분(54)에 클램프된다.
또한, 방사상 외측 부분(28)은 내부 몸체(16) 및 롤링 베어링(24)의 방사상 휨을 제한하는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립(lip)(68)을 가진다.
도 9는 축 베어링(10)의 제4 실시 예를 도시하며, 제4 실시 예는 엘라스토머 몸체(20)의 구성이 제1 실시 예와 상이하다.
도 9에 도시된 엘라스토머 몸체(20)에서, 방사상 내측 부분 및 외측 부분(26, 28)은 방사상 웹(7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베어링 지지대(22) 쪽으로 내부 몸체(16)의 방사상 휨을 제한하는, 스톱(72)은 방사상 웹(70) 사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방사상 웹(70)은 탭(40)으로 구성된 흡수 장치(32)와 구비된다.
10 축 베어링 / Shaft bearing
12 외부 몸체 / Outer body
14 수용 개구 / Accommodating opening
16 내부 몸체 / Inner body
18 환형 간극 / Annular gap
20 엘라스토머 몸체 / Elastomer body
22 베어링 지지대 / Bearing support
24 롤링 베어링 / Rolling bearing
26 방사상 내측 부분 / radially inner portion
28 방사상 외측 부분 / radially outer portion
30 절첩부 / Fold
32 흡수 장치 / Absorber device
34 환형 구조 / Annular structure
36 질량 부재 / Mass member
38 링 / Ring
40 탭 / Tab
42a 절첩부 / Fold
42b 절첩부 / Fold
43 비드 부분 / Bead portion
44 공동 / Cavity
45 함몰부 / Depression
46 범프 스톱 / Bump stop
48 제1 베어링 지지쉘 / First bearing support shell
50 제2 베어링 지지쉘 / Second bearing support shell
52 지지 암 / Supporting arm
54 고정 부분 / Fastening portion
56 함몰부 / Depression
58 칼라 부분 / Collar portion
60 돌출부 / Projection
62 레그 / Leg
64 단부면 / End face
66 설치 링 / Securing ring
68 립 / Lip
70 방사상 웹 / Radial web
72 스톱 / Stop
K1 종래의 축 베어링의 동적 강성의 곡선 / Curve of the dynamic stiffness of a conventional shaft bearing
K2 제1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장치가 있는 축 베어링의 동적 강성의 곡선 / Curve of the dynamic stiffness of a shaft bearing with a tors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K3 제2 실시 예에 따른 토션 장치가 있는 축 베어링의 동적 강성의 곡선 / Curve of the dynamic stiffness of a shaft bearing with a tors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Claims (10)

  1. 내부 몸체(16), 일정 거리에서 내부 몸체(16)를 둘러싸는 외부 몸체(18), 및 내부 몸체(16)와 외부 몸체(12)를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엘라스토머 몸체(20)를 포함하는 축 베어링(10)으로서,
    엘라스토머 몸체(20)는 흡수 장치(32)를 가지는 축 베어링.
  2.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 장치(32)는 단일-질량 오실레이터(single-mass ocsillator)로 구성되는 축 베어링.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흡수 장치(32)는 물질-대-물질 연결(substance-to-substance)에 의해서 엘라스토머 몸체(20)에 연결되는 축 베어링.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몸채(20)는 적어도 하나의 둘레로 연장하는 절첩부(30, 42a, 42b)를 가지며,
    흡수 장치(32)는 적어도 하나의 절첩부(30, 42a, 42b)에 연결되는 축 베어링.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장치(32)는 엘라스토머 몸체(20)에서 발생하는 힘 흐름의 외부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엘라스토머 몸체(20)에 연결되는 축 베어링.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장치(32)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축 베어링.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장치(32)는 엘라스토머 몸체(20)에 연결된 환형 구조(32)를 가지는 축 베어링.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장치(32)는 엘라스토머 몸체(20)에 연결된 탭(40)을 가지는 축 베어링.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죽어도 하나의 질량 부재(36)는 흡수 장치(32)에 내장되는 축 베어링.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 몸체(20)는 물질-대-물질 연결 및/또는 비-포지티브(non-positive) 방식에 의해서 내부 몸체(16) 및/또는 외부 몸체(12)에 연결되는 축 베어링.
KR1020197008589A 2016-09-26 2017-08-16 축 베어링 KR102373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8157.9A DE102016118157B4 (de) 2016-09-26 2016-09-26 Wellenlager
DE102016118157.9 2016-09-26
PCT/EP2017/070787 WO2018054620A1 (de) 2016-09-26 2017-08-16 Wellenla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860A true KR20190053860A (ko) 2019-05-20
KR102373696B1 KR102373696B1 (ko) 2022-03-14

Family

ID=5968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589A KR102373696B1 (ko) 2016-09-26 2017-08-16 축 베어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76574B2 (ko)
EP (1) EP3516260A1 (ko)
KR (1) KR102373696B1 (ko)
CN (1) CN109790893A (ko)
DE (1) DE102016118157B4 (ko)
WO (1) WO20180546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6324B4 (de) * 2017-07-19 2020-06-04 Vibracoustic Gmbh Wellenlager
KR20210064267A (ko) * 2018-10-01 2021-06-02 디티알 브이엠에스 리미티드 부시(bush)
DE102018130572B4 (de) * 2018-11-30 2021-06-10 Vibracoustic Gmbh Lager sowie Fahrzeugaufhängung umfassend solch ein Lager
DE102020130290A1 (de) 2020-11-17 2022-05-19 Vibracoustic Se Dämpfungsring
DE102021121236A1 (de) 2021-08-16 2023-02-16 Vorwerk Autotec Gmbh & Co. Kg Weiches Buchsenlager
WO2023120222A1 (ja) * 2021-12-20 2023-06-29 Nok株式会社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263A (ja) * 1991-12-06 1993-06-22 Bridgestone Corp 車両用プロペラシャフトの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0066A (en) * 1981-07-24 1984-02-07 Riv-Skf Officine Di Villar Perosa S.P.A. Resiliently supported connection unit for joining a transmission shaft to a transmission coupling element
DE3320760A1 (de) * 1983-06-09 1984-12-13 Uni-Cardan Ag, 5200 Siegburg Antriebswelle
DE4003601C1 (ko) 1990-02-07 1991-08-08 Loehr & Bromkamp Gmbh, 6050 Offenbach, De
DE4317062C2 (de) * 1993-05-21 1995-08-17 Freudenberg Carl Fa Kardanwellenlager
DE4320642C1 (de) 1993-06-22 1995-01-26 Daimler Benz Ag Gelenkwellenlager
JPH08159154A (ja) * 1994-12-02 1996-06-18 Nok Megurasutikku Kk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FR2735831B1 (fr) 1995-06-21 1997-08-22 Hutchinson Support elastique pour masse vibrante
US6422947B1 (en) * 2000-02-11 2002-07-2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riveshaft bearing assembly
DE10126016B4 (de) 2001-05-28 2006-03-02 Carl Freudenberg Kg Wellenlager
DE10215221B4 (de) 2002-04-06 2004-04-22 Carl Freudenberg Kg Lageranordnung
DE102004041426A1 (de) 2004-08-27 2006-03-30 Daimlerchrysler Ag Elastomerlager
JP5452199B2 (ja) * 2009-12-07 2014-03-26 株式会社ショーワ プロペラシャフト装置
JP5867685B2 (ja) * 2011-09-16 2016-02-24 Nok株式会社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JP2013142434A (ja) * 2012-01-10 2013-07-22 Showa Corp 軸受構造体
JP6008090B2 (ja) * 2012-04-26 2016-10-19 Nok株式会社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EP2690305B1 (de) 2012-07-26 2016-03-09 TrelleborgVibracoustic GmbH Kardanwellenlager
DE102014107477B4 (de) * 2014-05-27 2018-09-06 Vibracoustic Gmbh Kardanwellenla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263A (ja) * 1991-12-06 1993-06-22 Bridgestone Corp 車両用プロペラシャフトの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696B1 (ko) 2022-03-14
WO2018054620A1 (de) 2018-03-29
EP3516260A1 (de) 2019-07-31
DE102016118157A1 (de) 2018-03-29
DE102016118157B4 (de) 2019-02-07
CN109790893A (zh) 2019-05-21
US20190264739A1 (en) 2019-08-29
US10876574B2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3860A (ko) 축 베어링
KR102621534B1 (ko) 주파수 동조 댐퍼 및 그 댐퍼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
KR101303562B1 (ko) 에어 댐핑 마운트
US9388874B2 (en) Damper
US7600601B2 (en) Tunable mass damper for a drive shaft center support bearing
US10941808B2 (en) Shaft bearing
JPH05149386A (ja) 中空ドライブシヤフト用ダイナミツクダンパ
WO2007142215A1 (ja) 防振装置
JP6532367B2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US11560933B2 (en) Tuned mass-spring damper
US11143259B2 (en) Vibration absorber
JP200012076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976056B2 (ja) 防振装置
US20230174153A1 (en) A vibration damper assembly, a method of tuning such an assembl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vibration damper assemblies
US6863269B2 (en) Fluid 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JP4978843B2 (ja) 液体封入式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14020427A (ja) 防振グロメット
JP2000356243A (ja) 防振装置
JP2016008709A (ja) 防振装置
JP2009092174A (ja) 液体封入式防振装置
KR101787413B1 (ko)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JP4976080B2 (ja) 防振装置
JPH09210119A (ja) 防振支持装置
CN117231671A (zh) 液压阻尼轴承
JP5336321B2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