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413B1 -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 Google Patents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413B1
KR101787413B1 KR1020170049679A KR20170049679A KR101787413B1 KR 101787413 B1 KR101787413 B1 KR 101787413B1 KR 1020170049679 A KR1020170049679 A KR 1020170049679A KR 20170049679 A KR20170049679 A KR 20170049679A KR 101787413 B1 KR101787413 B1 KR 101787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extension
shaft
thickness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만
Original Assignee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산업(주),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한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04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 F16F15/14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masses freely rotating with the system, i.e. uninvolved in transmitting driveline torque, e.g. rotative dynamic dampers the rotation being limit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means
    • F16F15/1414Masses driven by elastic elements
    • F16F15/1435Elastomeric springs, i.e. made of plastic or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가의 상승을 방지하면서도 댐퍼를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밴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여러 고유 진동수를 갖는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샤프트가 통과하는 관통 공간을 형성하면서, 샤프트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면서 샤프트를 둘러싸는 연장부와, 몸체부와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장부를 둘러싸며 몸체부 및 연장부, 연결부를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고정부재에는 다른 영역의 두께 또는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진동수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 A dynamic damper for a shaft }
본 발명은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이한 복수의 다른 대역의 고유 주파수를 갖는 다이내믹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에서 전달된 구동력을 변속장치에서 휠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달하는 구동축으로 드라이브 샤프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드라이브 샤프트에는 양단부에 등속조인트가 마련되어 교차각이 발생되어도 구동력이 일정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주파수와 드라이브 샤프트의 회전수가 일치할 경우 공진으로 인해 진동,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진동과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라이브 샤프트에 설치되는 것이 다이나믹 댐퍼이다.
한국 등록 특허 10-1526981는 종래의 다이나믹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드라이브 샤프트를 중심으로 외주면을 따라 댐퍼부가 밀착되어 결합된다.
다이나믹 댐퍼는 대부분 드라이브 샤프트 상에 직접 장착 또는 삽입되며, 일정한 진동 주파수를 발생시켜 드라이브 샤프트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소거)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고무댐퍼 및 상기 고무댐퍼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매스댐퍼로 구성된다.
종래의 다이내믹 댐퍼는 하나의 고유 진동수를 가지는데, 이는 매스댐퍼의 중량과 고무 댐퍼의 탄력을 통해서 결정된다.
다만, 차량 운행 중 발생하는 복수의 고유진동수를 감쇠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갖는 다이내믹 댐퍼를 여러 개 설치하여야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 제작된 다이내믹 댐퍼가 갖는 고유 진동수와 다른 고유 진동수를 갖는 다이내믹 댐퍼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매스 댐퍼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서, 원가의 상승을 방지하면서도 댐퍼를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밴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여러 고유 진동수를 갖는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샤프트가 통과하는 관통 공간을 형성하면서, 샤프트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면서 샤프트를 둘러싸는 연장부와, 몸체부와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장부를 둘러싸며 몸체부 및 연장부, 연결부를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고정부재에는 다른 영역의 두께 또는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진동수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를 제공한다.
고정부재는 밴드로 구성되며, 진동수 발생부는 밴드 몸체부의 테두리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 연장부로 구성되되, 밴드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방향에 적어도 두개 이상이 마련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후방 방향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마련되며,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밴드 연장부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일한 특정 방향에 형성된 두 개의 밴드 연장부는 180도 위상 차이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가 연장부에 체결된 경우, 상기 밴드 연장부는 밴드 몸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 몸체부의 두께와 밴드 연장부의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밴드 몸체부의 내면과 밴드 연장부의 내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 몸체부의 두께는 밴드 연장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밴드 몸체부의 내면은 밴드 연장부의 내면보다 밴드 안쪽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 몸체부의 두께는 밴드 연장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상기 밴드 연장부의 내면은 밴드 몸체부의 내면보다 밴드 안쪽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 연장부는 밴드 연장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와, 상기 밴드 연장부의 단부를 형성하며 양 측면부의 끝을 연결하는 단면부를 형성하고, 단면부는 몸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밴드 연장부는 밴드에 대해서 단차진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서로 다른 영역의 고유 진동수가 발생하고, 이에 의하여 차량 운행중 발생하는 서로 다른 진동수를 갖는 진동을 상쇄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고 Hz의 고유 진동수와, 상대적으로 저 Hz의 고유 진동수를 모두 가짐으로써 상대적으로 고 Hz의 고유 진동수의 진동이 발생하거나, 상대적으로 저 Hz의 고유 진동수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하나의 다이내믹 댐퍼로 이러한 다양한 고유 진동수를 갖는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어서 차량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링형태로 마련되는 밴드의 형상 일부를 변형하고, 그 변형되는 형태를 다양하게 하되, 특히 밴드의 일부가 일측으로 연장됨으로써 구현되는 진동수 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고유 진동수와 관련된 진동을 상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다이내믹 댐퍼의 밴드 일부를 변형하여 진동수 발생부를 구현함으로써 위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구현하면서도 원가의 상승을 최소화 하거나 더 나아가 종래 기술의 제작 원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가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이내믹 댐퍼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이내믹 댐퍼의 평면도(또는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이내믹 댐퍼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재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며 진동수 발생부를 구비하는 밴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이내믹 댐퍼를 타격하여 고유 진동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6a와 도6b은 본 발명에 의한 다이내믹 댐퍼에 대해서 얻은 고유 진동수의 데이터이다.
도7a와 도7b는 종래 기술에서 얻은 고유 진동수의 데이터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a)와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100)는, 드라이브 샤프트(1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공간부(22)가 형성된 상태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탄성 댐퍼(rubber damper, 20), 상기 탄성 댐퍼(20)의 내주면에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탄성 댐퍼(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강체 댐퍼(mass damper, 30)가 마련된다.
여기서 탄성 댐퍼(20)는 고무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강체 댐퍼(30)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 댐퍼(20)는 드라이브 샤프트(1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강체 댐퍼(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강체 댐퍼(30)는 탄성 댐퍼(20)로부터 전달된 드라이브 샤프트(10)의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댐퍼(20)는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결합된다.
상기 탄성 댐퍼(20)는 몸체부(25)와, 그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6)가 마련된다.
몸체부(25)의 직경은 연장부(26)의 직경보다 크고, 몸체부(25) 내부에 파이프 형태의 강체 댐퍼(30)가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즉, 상기 고무댐퍼(20)는 외부에서 보았을 때 중앙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된 이중 튜브의 형태로 형성된다.
몸체부(25)는 몸체부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외면부(25a)와, 몸체부의 내면을 구성하는 내면부(25b), 그리고, 외면부(25a)의 전단부와 내면부의 전단부를 연결하며 몸체부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부(25c), 외면부(25a)의 후단부와 내면부(25b)의 후단부를 연결하며 몸체부(25)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부(25d)를 포함한다.
강체 댐퍼(30)는 외면부(25a)와, 내면부(25b), 전면부(25c), 후면부(25d)에 둘러싸여져 마련된다.
내면부(25b)의 내경은 샤프트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면부(25b)와 샤프트 사이에 공간부(22)이 형성되고, 그 공간부(22)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어 댐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강체 댐퍼(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벽을 가지며 원환 형태의 파이프 모양으로 구성된다.
연장부(26)는 몸체부(25)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며, 전방의 연장부(26)는 전면부(25c)와 내면부(25b)에서 연장되어 전방으로 배치되고, 후방의 연장부(26)는 후면부(25d)와 내면부(25d)에서 연장되어 후방으로 배치된다.
각각 연장부(26)에는 고정홈(28)이 마련되며, 고정홈(28)에는 밴드(60)로 구성되는 고정부재가 이를 조임으로써 다이내믹 댐퍼를 샤프트(10)에 고정시킨다.
고정홈(28)은 연장부(26)의 표면보다 샤프트 쪽으로 움푹 파여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한편, 연장부(26)와 몸체부(25) 사이에는 연결부(27)가 마련되는데, 연결부의 외경은 몸체부(25)에서 연장부(26)로 갈수록 감소되게 마련된다.
밴드(70)는 스웨이징 공법에 의하여 연장부(26)에 마련되는 고정홈(28)를 둘러싸며 장착된다.
밴드(70)는 몸체부(20)의 전방에 있는 연장부(26) 및 후방에 있는 연장부(26)에 각각 설치되며, 그 구성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밴드 몸체부(71)와, 밴드 몸체부(71)의 일부가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구체적으로는 댐퍼의 몸체부(2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 연장부(72)를 포함한다.
밴드 연장부(72)는 연장부(26)의 상면과 하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 측면 부분을 덮을 수도 있다.
당연한 말이지만, 밴드 연장부(72)가 있는 밴드의 폭은 밴드 몸체부(71)만 있는 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밴드 연장부(72)가 형성되는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이내믹 댐퍼가 복수의 고유 진동수를 가지도록 하여 차량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고유진동수에 대응하는 진동을 상쇄하기 위함이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 연장부(72)는 밴드 연장부(72)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721)와, 밴드 연장부(72)의 단부를 형성하며 양 측면부(721)의 끝을 연결하는 단면부(722)를 형성한다.
단면부(722)는 몸체부(25)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밴드 연장부(72)는 밴드 몸체부(71)에 대해서 단차진 형태로 연장된다.
다만, 도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밴드 연장부(72)의 측면부(721)가 밴드 몸체부(71)로부터 각진 형태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곡선형태로 점차적으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3은 다양한 형태의 밴드 연장부(72(72a, 72a, 72c))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밴드 연장부(72(72a, 72a, 72c))는 예를 들어 두 개가 형성되고,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나, 상호 이격되면서 하나의 밴드(71)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두 개의 밴드 연장부(72(72a, 72a, 72c))의 중심점은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가지게 되어 상호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주파수 발생부 역할을 하는 밴드 연장부(72(72a, 72a, 72c))가 서로 대각 방향을 이루어야 고유 주파수의 상쇄가 극대화 될 수 있다.
밴드 연장부(72(72a, 72a, 72c))는 밴드 몸체부(71)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되, 하나의 밴드(70)에서 복수의(특히 2개의) 밴드 연장부(72(72a, 72a, 72c))는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3(a)에 따른 밴드(70)의 제1실시예에서는 밴드 연장부(72a)의 두께가 밴드 연장부(72a)가 형성되지 않은 밴드 몸체부(71)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나타난다.
이에 의하여 밴드 몸체부(71)와 밴드 연장부(72a) 간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단차부는 밴드 몸체부(71)의 내면에서 밴드 연장부(72a)의 내면으로 상승하는 계단형태로 마련된다.
즉, 밴드 연장부(72a)의 내면이 밴드 몸체부(71)보다 안쪽으로 더 연장되거나 돌출되어 있다.
도3(b)에 따른 밴드(70)의 제2실시예에서는 밴드 연장부(72b)의 두께와 밴드 연장부(72b)가 형성되지 않은 밴드 몸체부(71)의 다른 부분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밴드 연장부(72b)의 내면과 밴드 연장부가 형성되지 않은 밴드 몸체부(71)의 다른 부분의 내면은 평평하게 연결되어 동일한 높이의 면을 이룬다.
도3(c)에 따른 밴드(70)의 제3실시예에서는 밴드 연장부(72c)의 두께가 밴드 연장부(72c)가 형성되지 않은 밴드 몸체부(71)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나타난다.
이에 의하여 밴드 몸체부(71)과 밴드 연장부(72c) 간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단차부는 밴드 몸체부(71)의 내면에서 밴드 연장부(72a)의 내면으로 하강하는 계단형태로 마련된다.
즉, 밴드 몸체부(71)의 내면이 밴드 연장부(72c)보다 안쪽으로 더 연장되거나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밴드 연장부(72a)와 밴드 몸체부(71)간에 두께 차이를 두어서 단차를 형성하는 경우(도3(a) 및 도3(c)) 나 두께 차이를 두지 않고 그 내면이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다이내믹 댐퍼에서 나타나는 복수의 고유진동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이내믹 댐퍼의 고유 진동수가 고 헤르쯔 영역과 저 헤르쯔 영역에서 나올 수 있는지 여부를 해머 시험기(미도시)로 검증하는 과정이다.
도4(a) 및 도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밴드 연장부(72)가 정면도 상에서 위 아래로 위치한 상태에서 댐퍼 몸체부(25)의 측면을 타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고유 진동수가 발생하고, 도4(b) 및 도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 연장부(72)가 평면도 상에서 좌우로 위치한 상태에서 댐퍼 몸체부(25)의 측면을 타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고유진동수가 발생한다.
여기서도 타격방향과 밴드 연장부(72)의 배열이 평행한 경우에는 밴드 연장부(72)가 일종의 추가적인 매스(mass)가 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고유 진동수가 발생하고, 타격방향과 주파수 발생부(60)의 배열 방향이 직교되는 경우에는 타격 방향에 추가적인 매스가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고유 진동수가 발생한다 .
그 결과는 도6에서 나타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이내믹 댐퍼를 도4(a) 및 도5(a)처럼 배열된 상태(즉, 타격 방향과 밴드 연장부 배열 방향이 직교하는 경우)에서 댐퍼의 측면을 타격하면, 도6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99.9Hz 의 고유진동수가 나타난다(도6(b) 그래프 결과).
본 발명에 의한 다이내믹 댐퍼를 도4(b) 및 도5(b)처럼 배열된 상태(즉, 타격 방향과 밴드 연장부 배열 방향이 평행한 경우)에서 댐퍼의 측면을 타격하면, 도10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73.5 Hz의 고유진동수가 나타난다(도6(a) 그래프 결과).
따라서, 차량 운행 중에 위에서 나타난 고 Hz 영역의 주파수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위에서 나타난 저 Hz 영역의 주파수의 진동이 나타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다이내믹 댐퍼에 의하여 그러한 진동이 상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발생부가 없는 경우에는, 도7a 및 도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격하는 경우 100.3 Hz 또는 99.9 Hz의 고유 진동수가 발생하여 고유진동수가 100Hz 내외의 거의 단일 영역에서 발생한다.
이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이내믹 댐퍼는 100Hz 내외의 좁은 영역의 고유진동수와 관련된 진동만 흡수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위에서 나타난 173.5 Hz와 같은 고 Hz 영역의 진동은 흡수할 수 없고 그러한 영역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보다 높은 고유 진동수를 갖는 다이내믹 댐퍼를 장착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샤프트 20: 탄성 댐퍼
22: 공간부 25: 몸체부
26: 연장부 27: 연결부
70: 밴드 71: 밴드 몸체부
72: 밴드 연장부 100: 다이내믹 댐퍼

Claims (7)

  1. 샤프트(10)가 통과하는 관통 공간을 형성하면서, 샤프트에 장착되는 몸체부(25)와,
    상기 몸체부(25)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면서 샤프트(10)를 둘러싸는 연장부(26)와,
    몸체부(25)와 연장부(26)를 연결하는 연결부(27)와,
    연장부(26)를 둘러싸며 몸체부(25) 및 연장부(26), 연결부(27)를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고정 부재는 밴드(70)로 구성되며, 고정부재에는 진동수 발생부가 마련되되,
    진동수 발생부는 밴드(70)의 몸체를 구성하는 밴드 몸체부(71)의 테두리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밴드 연장부(72)로 구성되며,
    밴드 연장부(72)의 두께 또는 폭은 밴드 연장부(72)가 형성되지 않은 밴드 몸체부(71)의 다른 영역의 두께 또는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밴드 연장부(72)는 상기 밴드 몸체부(71)의 전방방향에 적어도 두개 이상이 마련되거나, 상기 밴드 몸체부(71)의 후방 방향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마련되며,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밴드 연장부(72)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밴드 연장부(72)는; 밴드 연장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721)와, 상기 밴드 연장부(72)의 단부를 형성하며 양 측면부의 끝을 연결하는 단면부(722)를 형성하고,
    단면부(722)는 몸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밴드 연장부(72)는 밴드 몸체부(71)에 대해서 단차진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동일한 특정 방향에 형성된 두 개의 밴드 연장부(72)는 180도 위상 차이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70)가 연장부(26)에 체결된 경우, 상기 밴드 연장부(72)는 밴드 몸체부(71)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몸체부(71)의 두께와 밴드 연장부(72)의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밴드 몸체부(71)의 내면과 밴드 연장부(72)의 내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몸체부(71)의 두께는 밴드 연장부(7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밴드 몸체부(71)의 내면은 밴드 연장부(72)의 내면보다 밴드 안쪽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몸체부(71)의 두께는 밴드 연장부(7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상기 밴드 연장부(72)의 내면은 밴드 몸체부(71)의 내면보다 밴드(70) 안쪽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KR1020170049679A 2017-04-18 2017-04-18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KR101787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679A KR101787413B1 (ko) 2017-04-18 2017-04-18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679A KR101787413B1 (ko) 2017-04-18 2017-04-18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413B1 true KR101787413B1 (ko) 2017-10-18

Family

ID=6029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679A KR101787413B1 (ko) 2017-04-18 2017-04-18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4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3782A (ja) 2005-09-21 2007-05-10 Honda Motor Co Ltd ダイナミックダン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3782A (ja) 2005-09-21 2007-05-10 Honda Motor Co Ltd ダイナミックダン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9059B2 (ja) 中空ドライブシャフト用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7002787B2 (ja) 振動数調整されたダンパ及び当該ダンパの製造で使用する方法
US10006514B2 (en) Damper
JP6190651B2 (ja) 防振装置
US4223565A (en) Device for attenuating vibrations in a drive shaft of a motor vehicle
US8454449B2 (en) Drive shaft with array tuned absorber
US20050212274A1 (en) Air-bag module with floating gas generator diffuser
JP2014201205A (ja) 車両の車輪構造
BRPI1100157B1 (pt) guia de mola e unidade de amortecedor
KR20190053860A (ko) 축 베어링
JP2018052493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振動抑制器
US10422400B2 (en) Structure of steering wheel for vehicle
KR101787413B1 (ko)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JP6424160B2 (ja) 防振構造、及び防振構造を備える遮蔽体
JP2022524518A (ja) 周波数同調振動ダンパ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装置を含む振動ダンパアセンブリ
WO2020195833A1 (ja) フレキシブルフライホイール
KR101817998B1 (ko) 샤프트용 다이내믹 댐퍼
JP2004028125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20090057723A (ko) 차량의 다이나믹 댐퍼
JP7110829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2289833B1 (ko) 중공형 드라이브 샤프트용 가변 댐퍼
US20190383352A1 (en) Torsion damper and motor vehicle
JPH08177976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2004082897A (ja) ラジエータ支持構造
JP2007009961A (ja) 液封入式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