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711A -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711A
KR20190053711A KR1020170149874A KR20170149874A KR20190053711A KR 20190053711 A KR20190053711 A KR 20190053711A KR 1020170149874 A KR1020170149874 A KR 1020170149874A KR 20170149874 A KR20170149874 A KR 20170149874A KR 20190053711 A KR20190053711 A KR 2019005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group
compound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033B1 (ko
Inventor
김정은
박정은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49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033B1/ko
Priority to CN201880085688.4A priority patent/CN111556742A/zh
Priority to PCT/KR2018/013492 priority patent/WO2019093771A1/ko
Priority to TW107139759A priority patent/TWI780256B/zh
Publication of KR2019005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양전하를 띠는 오일을 통하여 무기 분체의 분산성을 높여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아민기를 함유하는 0.1 내지 2 중량%의 양전하 오일, 무기 분체가 함유된 5 내지 30 중량%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15 내지 80 중량%의 실리콘 오일과 탄화수소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상부; 및 물과 알코올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며, 유중수(W/O) 또는 유중수중유(O/W/O)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ultraviolet rays interception including positively charged oil}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전하를 띠는 오일을 통하여 무기 분체의 분산성을 높여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중수(W/O)형 자외선 차단제는, 수중유(O/W)형의 자외선 차단제에 비하여 내수성이 향상되고, 자외선 흡수제가 아닌 자외선을 산란시키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높은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제는 낮은 HLB(Hydrophilie-Lipophile Balance) 값을 갖는 계면활성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끈적이는 사용감이 동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제의 문제점(계면활성제의 사용으로 인한 끈적임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당업계에서는 유중수형의 자외선 차단제도 분체 유화(피커링 유화)제형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수십 ㎛ 수준의 큰 입자를 3차원 구조의 점증제 등으로 안정화 가능한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제와는 달리,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에는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의 사용이 제한적이어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및 알루미나 등의 금속염과, 스테아릭애씨드 등의 지방산으로 코팅된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알킬 벤조에이트와 같은 높은 극성의 에스터계 오일에 분산이 잘 되지만, 에스터계 오일은 잔여감과 끈적임이 있어 고함량으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이에, 가벼운 사용감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휘발성을 가지는 실리콘 오일이나, 탄화수소(hydrocarbon) 계열의 오일을 연속상에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분산성이 낮아, 분체(파우더) 간 응집 현상과 잘 섞이지 못한 오일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분산성 및 제형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가벼운 사용감을 가지는 오일과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가교 역할을 해주는 성분의 모색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4241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전하를 띠는 오일을 통하여 무기 분체의 분산성을 높여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아민기를 함유하는 0.1 내지 2 중량%의 양전하 오일, 무기 분체가 함유된 5 내지 30 중량%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15 내지 80 중량%의 실리콘 오일과 탄화수소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상부; 및 물과 알코올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며, 유중수(W/O) 또는 유중수중유(O/W/O)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양전하를 띠는 오일에 의해 무기 자외선 차단 분체의 분산성이 향상되고, 이를 통해, 분체 간 응집과 오일의 분리가 방지되어, 제형 안정성의 향상 및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아민기를 함유하는 0.1 내지 2 중량%의 양전하 오일, 무기 분체가 함유된 5 내지 30 중량%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15 내지 80 중량%의 실리콘 오일과 탄화수소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상부 및 물과 알코올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며, 유중수(W/O) 또는 유중수중유(O/W/O)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리콘 오일이나 비극성 탄화수소 계열의 오일만으로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분산시키는 경우, 낮은 분산성에 의해 이산화티타늄 등의 무기 분체(파우더)는 응집되고 오일은 상 분리되던 기존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개선한 것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양전하 오일을 포함시킴으로써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실리콘 오일이나 탄화수소계 오일 등에 잘 분산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무기 분체의 응집 현상 및 상 분리 현상이 방지되어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는, 지금까지는 찾아볼 수 없었던 고유의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양친매성을 가지는 무기 분체로 피커링 에멀전을 형성하는 경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양전하 오일에 의해 무기 분체가 계면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제형 안정성이 향상되므로, 기존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발생하였던 끈적임 현상은 줄이고, 불균일한 입자에 의한 합일 및 분리 현상은 억제함으로써,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큰 피커링 에멀전은 안정화되어, 전상감이 크고 쉽게 발리는 화장품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이 유중수(W/O) 또는 유중수중유(O/W/O)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water)과 알코올계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수상부 및 상기의 유상부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그리고, 계면활성제 및 자외선 차단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내부 유상부, 상기의 양전하 오일을 함유하는 외부 유상부 및 상기 내부 유상부와 외부 유상부 간에 위치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유중수중유 제형을 각각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를 구성하는 양전하 오일은 양전하를 띠며 분자 내 하나 이상의 아민기(-NH2)를 가지는 것으로서, 오일 내 아민기가 금속성의 무기 분체 표면과 오일의 사이에 배향되어, 무기 분체를 포함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리콘 오일 및 탄화수소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분산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수상과 유상의 계면에서 무기 분체가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양전하 오일로는 아민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디메치콘, dimethicone)계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aminopropyl dimethicone),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 아미노에칠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aminoethylaminopropyl dimethicone) 및 비스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bis-aminopropyl dimeth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양전하 오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로서, 상기 양전하 오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인 경우, 분산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무기 분체를 포함하는 자외선 산란제로서, 자외선을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제와 달리 자외선을 물리적으로 산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무기 분체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무기 분체를 오일에 분산시킨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무기 분체는 그 표면에 금속염 및 지방산을 코팅시킨 복합체일 수도 있다(필요에 따라, 실리카, 하이드로젠 디메치콘, 디메치콘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등의 분산제나 무기 분체의 사용 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코팅제 등을 더 포함). 이는, 나노 사이즈의 무기 분체가 가질 수 있는 촉매로서의 반응성은 줄이고(금속염), 오일 내의 분산성은 증가(지방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금속염으로는 알루미나,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및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릭애씨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및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금속염 및 지방산의 함량이나 코팅 두께 등 무기 분체의 표면 코팅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은 공지된 기술을 준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분체는 전이금속 산화물로서 티타늄디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 등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것을 1종 이상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7 중량%로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미만인 경우, 자외선 차단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함량 무기 분체가 제형에 충분히 분산되지 못하여 화장품으로서의 사용성이 좋지 않은(즉, 뻑뻑하게 발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실리콘 오일 및 탄화수소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무기 분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실리콘 오일 및 탄화수소 오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가벼운 사용감과 무기 분체의 분산성 향상을 위하여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과 비극성의 탄화수소 오일을 혼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것일 수 있고, 디실록산 및 트리실록산 등의 노르말 실록산, 아민기를 포함하지 않는 디메치콘계 화합물,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등의 사이클로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의 탄소수를 가지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극성 오일 또는 비극성 오일일 수 있고, 상기 극성 오일로는 C12-15의 알킬벤조에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데실코코에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비극성 오일로는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및 이소헥사데칸 등의 알칸계 화합물, 디카프릴릴에텔 등의 에테르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 및 탄화수소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로서,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상부는, 필요에 따라,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등의 점도 조절제, 실리카 등의 벌킹제(오일을 흡수하는 파우더),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등의 W/O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상부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안트라닐산계 화합물,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화합물,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신남산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p-아미노벤조산계 화합물, 호모살레이트, 폴리실리콘-15, 옥토크릴렌, 디에틸헥실부타노트리아존,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에틸헥실트리아존, 에틸헥실-디메틸 PABA, 드로메트리졸,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triazine),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및 디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benzoate) 등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예시할 수 있다(1종 이상 사용 가능).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다음으로, 상기 수상부는 물(water)과 알코올계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등의 물, 프로판디올, 페녹시에탄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등의 알코올계 화합물,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2NA) 등의 아세트산계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부는, 폴리아크릴레이트-3을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카보머계 화합물 및 당류계 화합물 등의 점도 증진제와,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메틸벤질리딘캠퍼 및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의 자외선 차단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유중수중유(O/W/O)의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수상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계면활성제 및 자외선 차단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내부 유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이때, 상기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는 외부 유상부라고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등의 스테아레이트계 화합물(O/W 제형을 형성할 수 있는 높은 HLB의 계면활성제), 메톡시피이지-114 폴리엡실론카프롤락톤 등의 락톤계 화합물(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부분을 모두 갖는 양친매성 고분자로, 유중수중유형 화장료에서 내부 유상의 친유성 성분들과 수상 사이의 계면에 위치하여 녹는점 이하에서 고체 상태로 변해 내부 유상의 응집 및 합일을 방지), PEG계 화합물,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 당류계 계면활성제 및 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트리아진,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디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벤조에이트, 안트라닐산계 화합물,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화합물,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신남산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p-아미노벤조산계 화합물, 호모살레이트, 폴리실리콘-15, 옥토크릴렌, 디에틸헥실부타노트리아존,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에틸헥실트리아존, 에틸헥실-디메틸 PABA 및 드로메트리졸 등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자외선 차단제 1종 이상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상부 및 내부 유상부의 함량은, 목적으로 하는 제형 등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일 예를 들면,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유중수형인 경우, 상기 수상부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유중수중유형인 경우, 상기 수상부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내부 유상부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먼저, 하기 표 1의 실시예 1 조성에 따라, 내부 유상 성분(내부 유상부)을 75 ℃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고, 외부 유상 성분(외부 유상부) 또한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이어서, 수상 성분(수상부)을 70 ℃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한 후, 교반 하에 상기 내부 유상 성분 혼합물을 투입하여 수중유형의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여기에, 상기 외부 유상 성분 혼합물을 교반 하에 투입하여, 유중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내부 유상 성분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7 0.7 0.7 0.7
메톡시피이지-114 폴리엡실론카프롤락톤 0.3 0.3 0.3 0.3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6.5 6.5 6.5 6.5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3 3 3 3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E.D.T.A.-2NA 0.02 0.02 0.02 0.02
프로판디올 8 8 8 8
페녹시에탄올 0.4 0.4 0.4 0.4
에칠헥실글리세린 0.05 0.05 0.05 0.05
폴리아크릴레이트-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20 0.24 0.24 0.24 0.24





외부 유상 성분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 4 4 4
피이지-10디메치콘 3 3 3 3
디메치콘 9 10 10 12
사이클로펜타실록산*사이클로헥사실록산 6 13 6 13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1 1 1 1
티타늄디옥사이드*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알루미나**스테아릭애씨드*C12-15알킬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탄 분산물 원료)
15 15
티타늄디옥사이드*알루미나*스테아릭애씨드
(분체 타입의 이산화티탄 원료)
6 6
징크옥사이드*사이클로펜타실로산 12 12 12 12
실리카 3 3 3 3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양전하 오일) 1
아모디메치콘(양전하 오일) 2
※ 단위: 중량%(wt%)
[실시예 2]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1의 실시예 2 조성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유중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1의 비교예 1 조성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유중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1의 비교예 2 조성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유중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를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광학 현미경(ECLIPSE 80i, Nikon사, 일본)으로 관찰하여 제형 안정성(분체 유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로서, 도 1의 A는 실시예 1에 해당하고, 도 1의 B는 실시예 2에 해당하고, 도 1의 C는 비교예 1에 해당하며, 도 1의 D는 비교예 2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각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관찰 평가한 결과, 양전하 오일(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 또는 아모디메치콘)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티탄 분체가 유상과 수상의 계면에 균일하게 배열되지 못한 반면, 양전하 오일을 사용한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이산화티탄 분체가 유상과 수상의 계면에 10 내지 20 ㎛ 크기의 입자에 균일하게 배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2의 경우, 입자 배열의 균일도가 외형적으로는 실시예 2와 유사해 보이나, 하기 표 2의 안정도 결과를 보면, 실시예 2는 실온, 45도, Cyc+Sh(Cycle+Shaking), Cycle 조건에서 안정하지만, 비교예 2는 분리가 빠르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제형 안정도 면에 있어서는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경도 및 항온 안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를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 및 항온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경도는 SUN RHEO METER COMPAC-100(SUN SCIENCTIFIC CO., LTD., 일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항온 안정도는 각 화장료 조성물을 특정 온도로 유지되는 항온조에 넣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하기 표 2에 있어서, Cyc+Sh(Cycle+Shaking)는 150 rpm의 회전 속도로 흔들리는 항온조에서 일정 사이클(-15 ℃ → 45 ℃로 가온하며 각 온도 별로 12 시간씩 반복)로 측정한 것이고, Cyc(Cycle)는 -15 ℃ → 45 ℃로 가온하며 각 온도 별로 12 시간씩 반복하며 측정한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경도
제조 직후 14 9 13 10
익일 경도 22 14 13 13
4주 22 15 11 10


안정도
실온 4주 양호 4주 양호 3일 분리 2주 분리
45도 4주 양호 4주 양호 2주 분리 4주 분리
Cyc+Sh 3 Cyc 양호 3 Cyc 양호 경도 하락, 분리 3 Cyc 분리
Cyc 2주 양호 2주 양호 1주 분리 1주 양호,
2주 분리
냉해동 4주 양호 4주 양호 4주 분리 4주 양호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전하 오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이나 비교예 2의 경우, 피커링 유화(분체 유화) 입자가 크고 균일하지 않아 입자 간 합일이 발생하여 4주 경과 후 경도가 하락하였으며, 또한, 대부분의 온도 조건 하에서 오일의 분리 현상이 나타나 항온 안정도에 있어서도 문제점을 나타내었다. 반면, 양전하 오일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에는, 피커링 유화(분체 유화) 입자가 작고 균일하여 4주가 경과한 후에도 경도가 하락 없이 유지되었고, 항온 안정도 또한 모든 온도 조건 하에서 우수함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해, 양전하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무기 분체가 외부 유상의 오일에 충분히 분산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실온 및 고온에서의 오일 분리 현상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오일 분리 현상과 함께, 무기 분체가 계면에 고르게 배열되지 못하여 큰 입자를 형성함으로써, 냉온에서 입자 합일이 발생하여 내상의 물 또한 분리되는 현상을 보였는데, 양전하 오일을 사용한 실시예 1에서는 분리 없이 냉온에서의 안정도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아민기를 함유하는 0.1 내지 2 중량%의 양전하 오일, 무기 분체가 함유된 5 내지 30 중량%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15 내지 80 중량%의 실리콘 오일과 탄화수소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상부; 및
    물과 알코올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며,
    유중수(W/O) 또는 유중수중유(O/W/O)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 오일은 아민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디메치콘)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 오일은 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aminopropyl dimethicone),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 아미노에칠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aminoethylaminopropyl dimethicone) 및 비스아미노프로필디메치콘(bis-aminoprop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분체는 티타늄디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전이금속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분체는 그 표면에 금속염 및 지방산을 코팅시킨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알루미나,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및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릭애씨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및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에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안트라닐산계 화합물, 살리실산계 화합물, 신남산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p-아미노벤조산계 화합물, 호모살레이트, 폴리실리콘-15, 옥토크릴렌, 디에틸헥실부타노트리아존,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에틸헥실트리아존, 에틸헥실-디메틸 PABA, 드로메트리졸,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트리아진,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및 디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노르말 실록산, 아민기를 포함하지 않는 디메치콘계 화합물, 사이클로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탄화수소 오일은 탄소수 3 내지 20의 극성 오일 또는 비극성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점도 조절제, 벌킹제, 계면활성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카보머계 화합물 및 당류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점도 증진제와,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4-메틸벤질리딘캠퍼 및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자외선 차단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수상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유상부를 더 포함하는 유중수중유(O/W/O)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상부는 계면활성제 및 자외선 차단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스테아레이트계 화합물, 락톤계 화합물, PEG계 화합물,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 당류계 계면활성제 및 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트리아진,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디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벤조에이트, 안트라닐산계 화합물, 살리실산계 화합물, 신남산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p-아미노벤조산계 화합물, 호모살레이트, 폴리실리콘-15, 옥토크릴렌, 디에틸헥실부타노트리아존,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에틸헥실트리아존, 에틸헥실-디메틸 PABA 및 드로메트리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49874A 2017-11-10 2017-11-10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874A KR102429033B1 (ko) 2017-11-10 2017-11-10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201880085688.4A CN111556742A (zh) 2017-11-10 2018-11-08 包括正电荷油的紫外线阻断用化妆料组合物
PCT/KR2018/013492 WO2019093771A1 (ko) 2017-11-10 2018-11-08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TW107139759A TWI780256B (zh) 2017-11-10 2018-11-09 包含帶正電油且用以阻斷紫外線的化妝品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874A KR102429033B1 (ko) 2017-11-10 2017-11-10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711A true KR20190053711A (ko) 2019-05-20
KR102429033B1 KR102429033B1 (ko) 2022-08-04

Family

ID=6643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874A KR102429033B1 (ko) 2017-11-10 2017-11-10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429033B1 (ko)
CN (1) CN111556742A (ko)
TW (1) TWI780256B (ko)
WO (1) WO201909377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861A (ko) *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8858A (ko) * 2019-10-24 2021-05-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4017A (ko) * 2020-05-21 2021-11-30 한국과학기술원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3238A (ko) 2021-11-01 2023-05-0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440A (ko) * 2000-09-11 2003-06-1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화장품 조성물
KR20090121848A (ko) * 2008-05-23 2009-11-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110293551A1 (en) * 2008-11-18 2011-12-01 Michael Molenda Water-in-oil emulsion composition for hair
KR20120033593A (ko) * 2010-09-30 2012-04-09 이스트힐(주) 자외선 차단용 복합분산액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42412A (ko) 2013-06-03 2014-12-12 (주)네오팜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1133A (ko) * 2013-12-18 2015-06-26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1407A1 (en) * 2007-10-04 2010-01-28 Tsotsoros Rhonda F Hair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UV absorbers and certain silicone derivatives
JP5567765B2 (ja) * 2008-03-06 2014-08-06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WO2012157694A1 (ja) * 2011-05-18 2012-11-22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化粧料
DE102013209927A1 (de) * 2013-05-28 2014-12-04 Beiersdorf Ag Stabile kosmetische Zubereitu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440A (ko) * 2000-09-11 2003-06-1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화장품 조성물
KR20090121848A (ko) * 2008-05-23 2009-11-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US20110293551A1 (en) * 2008-11-18 2011-12-01 Michael Molenda Water-in-oil emulsion composition for hair
KR20120033593A (ko) * 2010-09-30 2012-04-09 이스트힐(주) 자외선 차단용 복합분산액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42412A (ko) 2013-06-03 2014-12-12 (주)네오팜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1133A (ko) * 2013-12-18 2015-06-26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861A (ko) * 2019-07-18 2021-01-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8858A (ko) * 2019-10-24 2021-05-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4017A (ko) * 2020-05-21 2021-11-30 한국과학기술원 이중 피커링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3238A (ko) 2021-11-01 2023-05-0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033B1 (ko) 2022-08-04
WO2019093771A1 (ko) 2019-05-16
CN111556742A (zh) 2020-08-18
TWI780256B (zh) 2022-10-11
TW201922203A (zh) 201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93771A1 (ko)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TWI739765B (zh) 噴霧型防曬化妝料
JP6742911B2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EP2915524B1 (en) Sunscreen cosmetic
KR101860977B1 (ko)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US20090081142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EP2808008B1 (en) Water-in-oil-type emulsion skin cosmetic
JP5291729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WO2010070867A1 (ja) 酸化チタン分散体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6567755B1 (ja) 油中水型日焼け止め化粧料
JP5366468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5394638B2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料
JP2016135751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US11166887B2 (en) Water-in-oil emulsion cosmetic
JP5230954B2 (ja) 油中水乳化型日焼け止め料
JP7221108B2 (ja) 化粧料用組成物
WO2012132951A1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7387405B2 (ja) 日焼け止めエアゾール化粧料
JP7014904B2 (ja) 少なくとも1つのアクリルポリマー及び少なくとも1つの不溶性有機遮蔽剤を含む組成物
TW202037362A (zh) 外用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