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238A -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3238A KR20230063238A KR1020210148275A KR20210148275A KR20230063238A KR 20230063238 A KR20230063238 A KR 20230063238A KR 1020210148275 A KR1020210148275 A KR 1020210148275A KR 20210148275 A KR20210148275 A KR 20210148275A KR 20230063238 A KR20230063238 A KR 202300632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smetic composition
- dimethicone
- positively charged
- oil
- phase par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4205 dimethyl polysilox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5000013870 dimethyl polysiloxan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29940008099 dimethicon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1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125000003277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125000003545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8346 aqueous ph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XMSXQFUHVRWGNA-UHFFFAOYSA-N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Chemical compound C[Si]1(C)O[Si](C)(C)O[Si](C)(C)O[Si](C)(C)O[Si](C)(C)O1 XMSXQFUHVRWGN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6037 cross link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DTPCFIHYWYONMD-UHFFFAOYSA-N deca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CCOCCOCCOCCOCCOCCOCCOCCO DTPCFIHYWYONM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SZXQTJUDPRGNJN-UHFFFAOYSA-N di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OCCCO SZXQTJUDPRGNJ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KWLMIXQRALPRBC-UHFFFAOYSA-L hectorite Chemical compound [Li+].[OH-].[OH-].[Na+].[Mg+2].O1[Si]2([O-])O[Si]1([O-])O[Si]([O-])(O1)O[Si]1([O-])O2 KWLMIXQRALPRBC-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0271 hector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0913 palmit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H]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40057874 phenyl trimethico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UUJLHYCIMQOUKC-UHFFFAOYSA-N trimethyl-[oxo(trimethylsilylperoxy)silyl]peroxysilane Chemical compound C[Si](C)(C)OO[Si](=O)OO[Si](C)(C)C UUJLHYCIMQOUK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LINXHFKHZLOLEI-UHFFFAOYSA-N trimethyl-[phenyl-bis(trimethylsilyloxy)sil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Si](C)(C)O[Si](O[Si](C)(C)C)(O[Si](C)(C)C)C1=CC=CC=C1 LINXHFKHZLOLE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804 emulsify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150000002191 fatty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8000002874 Acne Vulgari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6010000496 acn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023 inorganic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3 white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970 Ephelid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351 Mela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5 la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88 persiste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45 silicone 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아민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다이메티콘, dimethicone)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양전하 오일을 함유하여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피부에 유해하지 않으면서 발림성, 색상 지속력(다크닝 적음), 보습력, 모공 커버력(끼임 없음), 원가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분산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크닝이 적어 균일한 색상을 유지하고 지속력을 높일 수 있어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기존의 분산제인 여드름 유발성분인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기존의 색소분산보다 더 나은 분산효과를 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전하를 띠는 오일을 이용함으로써 전하의 색소 분산성을 높여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에서 기미나 주근깨 잡티 등 피부의 결점을 커버하거나 얼굴전체의 피부색을 균일하게 정돈하는 기능은 필수적인 요소로, 이를 위해 화장품의 원료인 백색안료는 커버력과 부착력, 흡수성 및 감촉 등을 조정하여 피부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사용되며, 착색안료는 제품에 색감을 부여하고 색조를 조정하여 메이크업을 아름답게 완성하게끔 한다.
이러한 메이크업 화장품 관련하여, 장시간 화장이 들뜨거나 칙칙하거나 지워지지 않도록 하는 우수한 화장의 지속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품질적으로도 제품의 외관색이나 도포색의 차이가 없고 광원의 종류에 따라 도포색이 뚜렷하게 변하지 않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메이크업 화장품은 시간이 갈수록 피부에서 들뜨거나 지워져 도포부위를 칙칙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종래에는 실리콘 오일이나 비극성 탄화수소 계열 오일을 사용하여 안료를 분산시키고자 하였으나 분산성이 용이하지 않았고, 추가적으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로 이루어진 분산제를 사용하여 낮은 분산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여 왔으나 백색안료 또는 착색제의 함량이 높아지게 될 경우 분산제의 효과가 미비하여 분산제를 추가하는 것에 의미가 없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 밖에도 메이크업 화장품에서 백색안료와 착색안료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분산공정 이외에도 기존에 사용되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 계열의 분산제 원료는 여드름 유발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최근 성분에 대한 트랜드를 감안하더라도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분산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장시간 색상 지속력을 향상시키고자 많은 연구개발을 거듭한 결과 양전하를 띠는 오일을 이용하여 백색안료 및 착색제의 분산성을 높여 장시간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양전하 오일은 양전하를 띠며 분자 내 하나 이상의 아민기(-NH2)를 가지는 것으로, 오일 내 아민기가 금속성의 안료 표면과 오일 사이에 배향되어, 안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수상부와 유상부의 계면에서 백색안료 및 착색제 가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한다. 양전하 오일에는 아민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다이메티콘, dimethicone)계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aminopropyl dimethicone),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aminoethylaminopropyl dimethicone), 비스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bis-aminopropyl dimethicone) 및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다이메티콘(Bis(C13-15 Alkoxy) PG-Amodimeth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양전하 오일이 사용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3711호에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양전하를 띠는 오일을 통하여 분체 간 응집과 오일의 분리가 방지되어 무기 분체의 분산성을 높여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색상 지속력을 향상시키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00880호에는 우레탄계 폴리머와 실리콘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입술에 유연성있는 얇은 필름막을 형성하여 색상 지속력 및 내수성을 높이고 실리콘 파우더를 함유하여 끈적임 없는 사용감을 갖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전하를 띠는 오일을 이용함으로써 전하의 색소 분산성을 높여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산성이 향상되어 제조된 메이크업 화장료가 더 뛰어난 발색력을 가지면서 다크닝없이 장시간 피부의 색상을 유지시켜주므로 피부 도포시 피부에 안전하며 기존의 메이크업 화장품 보다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양전하 오일을 함유하여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양전하 오일 성분은 아민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다이메티콘, dimethicone)계 화합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전하 오일 성분은 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aminopropyl dimethicone),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aminoethylaminopropyl dimethicone), 비스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bis-aminopropyl dimethicone) 및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다이메티콘(Bis(C13-15 Alkoxy) PG-Amo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양전하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 0.1중량% 내지 3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1중량% 내지 1중량% 함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일의 함량이 0.1중량 % 미만이면 저함량의 무기안료가 5중량% 이하 포함된 화장료의 경우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무기안료가 5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화장료에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오일의 함량이 5중량% 초과일 경우 화장료의 끈적이는 사용감과 더불어 다른 유상부의 용매로 작용되는 오일의 사용감을 상쇄하여 메이크업 화장료 자체에 목적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상기한 범위 내에서 투입 중량%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1) 유상부 (A)를 진공 유화조내에 투입하고, 일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단계;
(2) 유상부 (B)를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상기 (1) 단계의 진공 유화조에 투입하여 유상부 (A)와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3) 수상부 (A)를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일정온도로 가온하는 단계;
(4) 상기 (2) 단계의 진공 유화조에 상기 (3) 단계의 수상부 (A)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의 진공 유화조에 수상부 (B)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재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1)단계의 유지 온도는 70 내지 80℃ 이고, 상기 (3)단계의 가온 온도는 70 내지 80℃ 이며, 상기 (4) 단계의 냉각 온도는 30 내지 35℃ 이다.
또한, 상기 (2)단계의 유상부 (B)는 양전하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단계의 유상부 (A)는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다이메티콘,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마이카, 피이지-10다이메티콘,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2)단계의 유상부 (B)는 티타늄디옥사이드, 페닐트라이메티콘, 산화철 및 양전하 오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단계의 수상부 (A)는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정제수로 구성되고, 상기 수상부 (B)는 방부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유해하지 않으면서 발림성, 색상 지속력(다크닝 적음), 보습력, 모공 커버력(끼임 없음), 원가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분산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크닝이 적어 균일한 색상을 유지하고 지속력을 높일 수 있어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외관이 깨끗하여 기존 코팅용기 대신 투명용기를 사용하여도 되기 때문에 단가절감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분산제인 여드름 유발성분인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기존의 색소분산보다 더 나은 분산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고 동일 함량을 적용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1 내지 2의 분산성 테스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고 동일 함량을 적용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비교예 2의 분산성 테스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오일을 분산제로 사용하고 함량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비교예 3의 분산성 테스트 사진.
도 4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오일을 분산제로 사용하고 함량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3 내지 6의 분산성 테스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오일을 분산제로 사용하고 함량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시험예 1의 비교예 3의 사진.
도 6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오일을 분산제로 사용하고 함량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시험예1의 실시예 3 내지 6의 사진.
도 7의 (a),(b),(c), 도 8의 (a),(b),(c)는 본발명에 따른 분산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고 동일함량을 적용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예 1의 메이크업 지속력 측정데이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고 동일 함량을 적용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비교예 2의 분산성 테스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오일을 분산제로 사용하고 함량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비교예 3의 분산성 테스트 사진.
도 4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오일을 분산제로 사용하고 함량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3 내지 6의 분산성 테스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오일을 분산제로 사용하고 함량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시험예 1의 비교예 3의 사진.
도 6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양전하 오일을 분산제로 사용하고 함량을 다르게 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시험예1의 실시예 3 내지 6의 사진.
도 7의 (a),(b),(c), 도 8의 (a),(b),(c)는 본발명에 따른 분산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고 동일함량을 적용하여 제조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중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예 1의 메이크업 지속력 측정데이터.
이하 본 발명의 정제형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성분과 함량(중량%)을 사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지방산 알코올 분산제를 사용한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과 양전하 오일을 분산제로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분산성을 비교하였다.
이때,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다이메티콘,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마이카, 피이지-10다이메티콘,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로 구성되는 유상부 (A), 티타늄디옥사이드, 페닐트라이메티콘, 산화철로 구성되는 유상부 (B),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정제수로 구성되는 수상부 (A)와 방부제로 구성되는 수상부 (B)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중 유상부 (B)에 분산제인 양전하 오일 중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다이메티콘을 함유한 것이고, 실시예 2는 유상부 (B)에 분산제인 양전하 오일 중 아모다이메티콘을 함유한 것이며, 비교예 1은 유상부 (B)에 더 추가되는 분산제가 없고, 비교예 2는 유상부 (B)에 지방산 알코올 분산제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를 함유한 것이다.
성분명(중량%) | 실시예1 | 실시예2 | 비교예1 | 비교예2 | |
유상부 (A) |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 17.00 | 17.00 | 17.00 | 17.00 |
다이메티콘 | 4.00 | 4.00 | 4.00 | 4.00 | |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 3.00 | 3.00 | 3.00 | 3.00 | |
세틸피이지/피피지-10/1 다이메티콘 |
3.00 | 3.00 | 3.00 | 3.00 | |
마이카 | 2.90 | 2.90 | 2.90 | 2.90 | |
피이지-10다이메티콘 | 2.50 | 2.50 | 2.50 | 2.50 | |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 1.00 | 1.00 | 1.00 | 1.00 | |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 0.60 | 0.60 | 0.60 | 0.60 | |
유상부 (B) |
티타늄디옥사이드 | 18.206 | 18.206 | 18.206 | 18.206 |
페닐트라이메티콘 | 3.00 | 3.00 | 3.00 | 3.00 | |
비스(C13-15알콕시)피지- 아모다이메티콘 |
1.00 | - | - | ||
아모다이메티콘 | - | 1.00 | - | ||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 - | 1.00 | |||
산화철 | 2.71 | 2.71 | 2.71 | 2.71 | |
수상부 (A) |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 3.00 | 3.00 | 3.00 | 3.00 |
부틸렌글라이콜 | 4.00 | 4.00 | 4.00 | 4.00 |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
수상부 (B)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이하,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유상부 (A)를 온도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 유화조내에 투입하고, 온도를 70 내지 80℃ 유지하면서 호모 믹서로 1,500 내지 2,000rpm의 속도로 5 내지 10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2) 유상부 (B)를 교반이 가능한 여분의 용해조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상기 준비된 진공 유화조에 투입하여 유상부 (A)와 균일하게 혼합한다.
(3) 여분의 용해조에 수상부 (A)를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온도를 70 내지 80℃ 로 가온시킨다.
(4) 진공 유화조에 수상부 (A)를 첨가하여 호모 믹서로 4,800 내지 5,00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여 유화시킨 후 30℃ 내지 35℃까지 냉각시킨다.
(5) 진공 유화조에 수상부 (B)를 첨가하여 호모 믹서로 4,800 내지 5,000rpm의 속도로 1 내지 2분간 재유화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분산성 측정>
분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각각 다른 분산제가 사용되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1일간 25℃ 인큐베이터에서 숙성 후 표면에 나타나는 컬러띠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육안 상 뚜렷하게 형성된 컬러띠가 관찰되는 경우 "△", 희미한 컬러띠가 관찰되는 경우 "○", 관찰되지 않을 경우 "◎"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2 | |
색소 분산성 테스트 (컬러띠 비교) |
◎ | ○ | △ |
△ : 육안상 뚜렷하게 형성된 컬러띠가 관찰됨 ○ : 육안상 희미한 컬러띠가 관찰됨 ◎ : 육안상 컬러띠가 관찰되지 않음 |
표 2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의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다이메티콘이 사용된 경우 색소 분산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메이크업 지속력 및 색차 측정(L-Value, △E)>
메이크업 지속력 및 색차 측정은 카메라로 피부를 촬영하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명도차로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실시예 1과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대한 결과들을 비교하여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직후에, 도포 전보다 전반적으로 메이크업 지속력(L-Value)이 증가하였고, 비교예 2보다 실시예 1, 실시예 2가 더 메이크업 지속력이 있으며, 측정값으로도 상대적으로 더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그래프에 나타난 색차 값(△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2는 도포 직후 색차 값은 7.11, 6시간 도포 전후 색차 값은 4.16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메이크업이 약 58.51% 유지되었고,
실시예 1은 도포 직후 색차 값은 9.02, 6시간 도포 전후 색차 값은 6.91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메이크업이 약 76.61% 유지되었으며,
실시예 2는 도포 직후 색차 값은 9.79, 6시간 도포 전후 색차 값은 7.21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메이크업이 약 73.65% 유지되었다.
즉, 도 8에서 나타낸 결과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가 비교예 2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메이크업 유지비율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3 내지 6, 비교예 3>
양전하 오일을 이용하여 색소 분산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양전하 오일의 적정 함량 설정을 하기 위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 성분과 함량 (중량 %)을 사용하여 상기 표 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분산성 테스트 역시 상기 표 2의 방법과 동일하다.
성분명(중량%) | 비교예3 | 실시예1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실시예6 | |
유상부 (A) |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 17.00 | 17.00 | 17.00 | 17.00 | 17.00 | 17.00 |
다이메티콘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
마이카 | 2.90 | 2.90 | 2.90 | 2.90 | 2.90 | 2.90 | |
피이지-10다이메티콘 | 2.50 | 2.50 | 2.50 | 2.50 | 2.50 | 2.50 | |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 0.60 | 0.60 | 0.60 | 0.60 | 0.60 | 0.60 | |
유상부 (B) |
티타늄디옥사이드 | 18.206 | 18.206 | 18.206 | 18.206 | 18.206 | 18.206 |
페닐트라이메티콘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다이메티콘 | - |
1.0 |
0.3 |
0.5 |
3.0 |
5.0 |
|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 | 0.3 | - | - | - | - | - | |
산화철 | 2.71 | 2.71 | 2.71 | 2.71 | 2.71 | 2.71 | |
수상부 (A) |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부틸렌글라이콜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
수상부 (B)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분산성 측정>
분산성 측정 결과는 표 4와 도 3, 도 4에 나타내었다.(육안 상 뚜렷하게 형성된 컬러띠가 관찰되는 경우 "△", 희미한 컬러띠가 관찰되는 경우 "○", 관찰되지 않을 경우 "◎"로 표시하였다)
비교예3 | 실시예1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실시예6 | |
색소 분산성 테스트 (컬러띠 비교) |
△ | ◎ | ◎ | ◎ | ○ | ○ |
△ : 육안상 뚜렷하게 형성된 컬러띠가 관찰됨 ○ : 육안상 희미한 컬러띠가 관찰됨 ◎ : 육안상 컬러띠가 관찰되지 않음 |
표 4와 도 3, 도 4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3 및 4의 0.3~1.0 중량%의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다이메티콘이 사용된 경우 색소 분산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1> 가혹 조건 테스트
상기 표 3의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3 내지 6의 화장료를 40ml vial에 옮겨 담아 155rpm의 회전 속도로 흔들리는 사이클 항온조(-20℃, 4℃, 25℃, 44℃ 각 온도 별로 12시간 씩 반복)에서 3일 간 보관 후 상온으로 환원하여 컬러띠를 관찰하였다. 상기 분산성 측정과 동일하게 육안상 뚜렷하게 형성된 컬러띠가 관찰되는 경우 "△", 희미한 컬러띠가 관찰되는 경우 "○", 관찰되지 않을 경우 "◎"로 표시하였다.
비교예3 | 실시예1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실시예6 | |
가혹 조건 테스트 (컬러띠 비교) |
△ | ◎ | ◎ | ◎ | ○ | ○ |
△ : 육안상 뚜렷하게 형성된 컬러띠가 관찰됨 ○ : 육안상 희미한 컬러띠가 관찰됨 ◎ : 육안상 컬러띠가 관찰되지 않음 |
표 5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3 및 4의 0.3~1.0 중량%의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다이메티콘이 사용된 경우 가혹조건에서도색소 분산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사용감 테스트(관능평가)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한 비교예 3의 컨실러 제품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3의 컨실러 제품을 매일 또는 자주 사용하는 20~40세의 여성 및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제로 사용하도록 한 후 제품의 효과를 비교하도록 하였다.
시험 항목은 밀착력, 발림성, 지속력(다크닝적음), 보습력, 및 모공 커버력(끼임 없음)으로 하였다. 각 항목에 대하여 품평을 한 후, 0~10의 점수를 주도록 하여 그 평균 점수를 내었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각각 5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평균 점수가 6미만이면 "△", 6.0~8.0이면 "○", 8.0 이상이면 "◎"로 표시하였다.
비교예 3 | 실시예 3 | |
밀착력 | ○ | ○ |
발림성 | ○ | ◎ |
색상 지속력 (다크닝 적음) |
△ | ○ |
보습력 | △ | ○ |
모공 커버력 (끼임 없음) |
△ | ○ |
△ : 평균점수 6.0 미만 ○ : 평균점수 6.0 ~ 8.0 ◎ : 평균점수 8.0 이상 |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양전하 오일을 이용한 색소 분산성 향상 화장료인 실시예 3은 양전하 오일을 이용하지 않은 비교예 3에 비해 발림성, 지속력(다크닝 적음), 보습력, 모공 커버력(끼임 없음)에서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밀착력 항목과 관련하여서는 양전하 오일을 이용한 색소 분산성 향상 화장료인 실시예 3과 양전하 오일을 이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은 동일한 밀착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10)
- 양전하 오일을 함유하여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 오일 성분은 아민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다이메티콘, dimethicone)계 화합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 오일 성분은 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aminopropyl dimethicone),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aminoethylaminopropyl dimethicone), 비스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bis-aminopropyl dimethicone) 및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다이메티콘(Bis(C13-15 Alkoxy) PG-Amo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5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1) 유상부 (A)를 진공 유화조내에 투입하고, 일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단계;
(2) 유상부 (B)를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상기 (1) 단계의 진공 유화조내에 투입하여 유상부 (A)와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3) 수상부 (A)를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일정온도로 가온하는 단계;
(4) 상기 (2) 단계의 진공 유화조에 상기 (3) 단계의 수상부 (A)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의 진공 유화조에 수상부 (B)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재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유지 온도는 70 내지 80℃ 이고,
상기 (3)단계의 가온 온도는 70 내지 80℃ 이며,
상기 (4)단계의 냉각 온도는 30 내지 3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 (B)는 양전하 오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하 오일 성분은 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aminopropyl dimethicone),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aminoethylaminopropyl dimethicone), 비스아미노프로필다이메티콘(bis-aminopropyl dimethicone) 및 비스(C13-15알콕시)피지-아모다이메티콘(Bis(C13-15 Alkoxy) PG-Amo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 (A)는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다이메티콘,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마이카, 피이지-10다이메티콘,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유상부 (B)는 티타늄디옥사이드, 페닐트라이메티콘, 산화철 및 양전하 오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 (A)는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정제수로 구성되고, 상기 수상부 (B)는 방부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8275A KR20230063238A (ko) | 2021-11-01 | 2021-11-01 |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8275A KR20230063238A (ko) | 2021-11-01 | 2021-11-01 |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3238A true KR20230063238A (ko) | 2023-05-09 |
Family
ID=8640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8275A KR20230063238A (ko) | 2021-11-01 | 2021-11-01 |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63238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9375A (ko) | 2009-11-05 | 2011-05-12 | (주)아모레퍼시픽 |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KR20190053711A (ko) | 2017-11-10 | 2019-05-20 | (주)아모레퍼시픽 |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KR20200000880A (ko) | 2018-06-26 | 2020-01-06 | 그린코스 주식회사 | 우수한 색상 지속력과 유연성을 가지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 |
-
2021
- 2021-11-01 KR KR1020210148275A patent/KR2023006323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9375A (ko) | 2009-11-05 | 2011-05-12 | (주)아모레퍼시픽 |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KR20190053711A (ko) | 2017-11-10 | 2019-05-20 | (주)아모레퍼시픽 |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KR20200000880A (ko) | 2018-06-26 | 2020-01-06 | 그린코스 주식회사 | 우수한 색상 지속력과 유연성을 가지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2678B1 (ko) |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 |
US11547643B2 (en) | Water-in-oil emulsion-type stick-shaped deodorant composition | |
CN102711725B (zh) | 包含疏水改性的乙烯基吡咯烷酮共聚物的防水化妆品配制剂 | |
KR102085801B1 (ko) | 우수한 색상 지속력과 유연성을 가지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 | |
KR102286653B1 (ko) |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
KR102153538B1 (ko) | 광택감과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631658B1 (ko) | 화장료 | |
KR20200134872A (ko) | 천연 유래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 |
KR20170001687A (ko) | 항산화 효과를 갖는 폴리다틴을 함유한 베이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 |
KR102273235B1 (ko) |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53335B1 (ko) | 고체 타입의 유중수형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61476A (ko) | 유중수 유화형 저점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
KR20230063238A (ko) |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 |
JP6997443B2 (ja) | 油性固形化粧料 | |
KR20200132547A (ko) |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 |
US20200315927A1 (en) | Solid cosmetic composition for eye make-up including fiber | |
KR101614086B1 (ko) | 알코올을 함유하는 글루타마이드 복합 겔화제를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 |
TW202237750A (zh) | 矽酮橡膠粒子的水分散物及化妝料 | |
KR102084418B1 (ko) | 성형성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
TW202128121A (zh) | 油中水型乳化化妝料 | |
KR102645137B1 (ko) | 화장료 조성물 | |
KR101922470B1 (ko) | 셀프태닝용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 |
JP7325629B2 (ja) | 化粧料 | |
KR102703187B1 (ko) |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102035A (ko) |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