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858A -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858A
KR20210048858A KR1020190133064A KR20190133064A KR20210048858A KR 20210048858 A KR20210048858 A KR 20210048858A KR 1020190133064 A KR1020190133064 A KR 1020190133064A KR 20190133064 A KR20190133064 A KR 20190133064A KR 20210048858 A KR20210048858 A KR 20210048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cosmetic composition
oil
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728B1 (ko
Inventor
정태령
최은주
서은주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3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7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분을 포함하는 유화 스틱(Stick)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성형성이 향상되어 안정하고 단단하게 제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지속력, 물이 갖는 시원한 사용감 및 뭉침 현상 없는 깔끔한 도포감을 가지므로, 색조 메이크업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Emulsified W/O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Formabil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브로우(Eyebrow) 및 립(Lip) 등의 메이크업 용도로 사용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종종 고형의 스틱(Stick) 제형이 요구된다.
이러한 스틱 제형은 별도의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없이 눈썹 및 입술에 직접 도포할 수 있어, 간편하고 손에 묻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틱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왁스류는 피지와 유사한 성분이기 때문에, 피부에 도포 시 수분감이 부족하고 및 지속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화형 화장료는 화장료 제조과정 중 고온 충진에 따른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수분을 적절히 함유하여 스틱 타입과 같은 특정 형태로 제형화가 용이한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33433호
본 발명자들은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유중수(W/O) 에멀전 제조 후 이를 유분산제와 혼합함으로써, 별도의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분을 포함하는 유화 스틱(Stick)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유중수(W/O) 에멀전 제조 후 이를 유분산제와 혼합함으로써, 별도의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분을 포함하는 유화 스틱(Stick)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은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상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는 제1 혼합물 제조 단계;
유분산제부를 혼합하는 제2 혼합물 제조 단계; 및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 혼합 단계.
일반적으로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 및 유상부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고온에 노출될 경우 상이 불안정하게 되어 스틱 형성(고형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먼저 수분을 에멀전 타입화하여 제1 혼합물(W/O 에멀전)을 제조하고, 이를 별도의 제2 혼합물(유분산제)와 혼합함으로써, 별도의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분을 포함하는 유화 스틱(Stick)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혼합물 제조 단계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혼합물은 "W/O(Water in Oil) 에멀전"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물(Water)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유상부는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은 제1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 중량%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성형성(formability)이 저하되어 제조하고자 하는 형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성형성"이란 조성물의 형상을 만들 때 용이한 정도를 지칭하는 것으로, 적은 힘으로 성형이 잘 되고 성형 과정에서 결함 발생이 적으면 성형성이 좋은 것이고, 만약 그렇지 않으면 성형성이 좋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디메치콘/PEG-10-/15 크로스폴리머(Cyclopentasiloxane/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Octyldodeceth-25, PEG-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라우릴 PEG-9 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라우릴 PEG-10 트라이메틸실록시 실릴에틸 디메치콘(Lauryl PEG-10 Tris(Trimethylsiloxy) silylethyl Dimethicone), 솔비탄 아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세틸 PEG/PPG-10/1 디메치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및/또는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제1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내지 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W/O 에멀전의 분산 정도에 따른 안정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점증제는 수용성 폴리머 및/또는 실리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카/메치콘(Silica/Methicon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증제는 제1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4 중량%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W/O 에멀전의 분산 정도에 따른 안정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1 혼합물은 글리세린, 1-3 BG 및/또는 PG 등의 방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 혼합물 제조 단계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2 혼합물은 "유분산제"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분산제부는 고형상의 합성왁스, 내추럴왁스, 실리콘왁스, 에스터오일 및/또는 실리콘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오조케라이트(Ozokerite), 합성 왁스/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Synthetic wax/Ethylene/Propylene Copolym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혼합물은 점증제, 피부컨디셔닝제 및/또는 색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폴리뷰텐(Polybuten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컨디셔닝제는 비스-디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 아이소노닐 아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다이아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다이페닐실록시 페닐 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및/또는 디메치콘/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Dimethicone Crosspolym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색소는 착색 안료, 체질 안료 또는 백색 안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착색 안료는 예를 들어, 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 적색산화철, 군청, 울트라마린블루, 울트라마린핑크, 울트라마린바이올렛, 크로뮴옥사이드 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체질 안료는 예를 들어, 실리카,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탤크,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마이카, 보론나이트라이드, 나일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백색 안료는 예를 들어,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색소는 예를 들어, (B)TiO2 C47-060 (-23/60%), (B)D&C Red #28 C14-6623 (-23/50%), (B)D&C Red #7 C19-011 (-23/33.3%), (B)I.O Red Soft-Tex C33-7775 (-23/50%), (B)I.O Yellow C33-8073 (-23/50%), (B)I.O.Black(S.TEX) C33-7734 (222/50%), 실리카(Silica) 및/또는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산 크로스폴리머(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색소는 제2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발색력이 좋지 않아서 메이크업에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함량 범위 초과로 포함될 경우 점도가 향상되어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혼합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호모믹서(Homo mixer)와 같은 혼합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및 혼합에서의 시간 및 속도(rpm) 등은 작업장의 주변온도 및 혼합기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교반 및 혼합은 당업자에게는 경험적으로나 또는 혼합기의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물을 제2 혼합물에 직접 투입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원하는 제형으로 성형하기에 적절한 성형성, 경도 및 사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 및 유분산제부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과 담체 성분 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한다.
본 발명은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분을 포함하는 유화 스틱(Stick)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성형성이 향상되어 안정하고 단단하게 제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지속력, 물이 갖는 시원한 사용감 및 뭉침 현상 없는 깔끔한 도포감을 가지므로, 색조 메이크업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제1 혼합물(W/O 에멀전)의 안정도를 평가한 사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제1 혼합물(W/O 에멀전)의 안정도 비교를 위하여 제조된 비교 제조예의 안정도를 평가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고형화 가능성을 평가한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제1 혼합물의 제조
유상부를 호머믹서 가마에 투입하고 온도를 60℃로 유지하면서 호모 믹서(HOMO mixer)로 교반(2000rpm, 10분)하여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수상부를 별도의 호머믹서 가마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호모 믹서로 교반(2000rpm, 10분)하여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상기 유상부를 수상부에 투입하고 호모 믹서로 교반(2000rpm, 10분)하여 제1 혼합물(W/O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성분 (중량%)
유상부 Caprylic Capric triglyceride 5.30
ISODODECANE 10.00
CETYL PEG/PPG-10/1 DIMETHICONE 3.00
CYCLOPENTASILOXANE/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3.70
Silica/Methicone 5.00
수상부 WATER 70.00
GLYCERIN 3.00
비교 제조예. 일부 성분 변화에 따른 제1 혼합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들의 함량 조성에 따라,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유상부 Caprylic Capric triglyceride 3.90
ISODODECANE 3.50
CETYL PEG/PPG-10/1 DIMETHICONE 3.00
CYCLOPENTASILOXANE/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3.70
Silica/Methicone 3.70
수상부 WATER 80.00
GLYCERIN 2.20
실험예 1. 제1 혼합물의 안정도 평가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제1 혼합물에 대하여 다양한 온도에서 상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각의 제1 혼합물을 4, 25, 37, 45 또는 50℃에서 3개월 동안 유지시킨 후 상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하나의 실험군(Cycle)은 3개월 동안 1일 주기(6시간씩 4Cycle)로 4가지 온도(-4, 25, 45 및 50℃)로 변화시키면서 상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1a 및 1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조예 1의 경우 전체 온도 범위에서 안정하게 상이 유지되었다(도 1a 참조).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상이 분리되거나 변색이 발견되었다(도 1b 참조).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유중수(W/O) 에멀전을 제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조예 2. 제2 혼합물의 제조
하기 표 3의 각 성분을 호머믹서 가마에 투입하고 온도를 80℃로 유지하면서 아지 믹서(AGI mixer)로 교반(2000rpm, 10분)하여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성분 (중량%)
OZOKERITE 7.00
SYNTHETIC WAX/ETHYLENE/PROPYLENE COPOLYMER 5.00
POLYETHYLENE 0.30
POLYBUTENE 3.00
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 13.00
ISONONYL ISONONANOATE 5.50
DIISOSTEARYL MALATE 8.50
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3.00
MICROCRYSTALLINE WAX 0.50
DIMETHICONE/DIMETHICONE CROSSPOLYMER 25.20
그 다음, 하기 표 4의 각 성분을 투입하고 85-90℃로 유지하면서 아지 믹서로 교반(2000rpm, 10분)하여 제2 혼합물(유분산제)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B)TiO2 C47-060 (-23/60%) 9.80
(B)D&C Red #28 C14-6623 (-23/50%) 3.20
(B)D&C Red #7 C19-011 (-23/33.3%) 1.20
(B)I.O Red Soft-Tex C33-7775 (-23/50%) 5.80
(B)I.O Yellow C33-8073 (-23/50%) 1.00
(B)I.O.Black(S.TEX) C33-7734 (222/50%) 1.00
SILICA 6.00
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 1.00
실시예 1 및 2.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먼저, 하기 표 5에 나타낸 함량비에 따라, 제1 혼합물(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 및 제2 혼합물(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을 제조하였다.
제2 혼합물을 호머믹서 가마에 투입하고 온도를 65℃로 유지하였다. 그 다음, 제1 혼합물을 상기 제2 혼합물에 투입하고 아지 믹서로 교반(2000rpm, 10분)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혼합물은 각각 5:5(실시예 1) 및 1:9(실시예 2)의 중량비(%)로 첨가되었다.
성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Caprylic Capric triglyceride 2.70 0.50
ISODODECANE 5.00 1.00
CETYL PEG/PPG-10/1 DIMETHICONE 1.50 0.30
CYCLOPENTASILOXANE/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1.90 0.40
Silica/Methicone 2.50 0.50
WATER 35.00 7.00
GLYCERIN 1.50 0.30
OZOKERITE 3.50 6.30
SYNTHETIC WAX/ETHYLENE/PROPYLENE COPOLYMER 2.50 4.50
POLYETHYLENE 0.15 0.30
POLYBUTENE 1.50 2.70
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 6.50 11.70
ISONONYL ISONONANOATE 2.75 5.00
DIISOSTEARYL MALATE 4.25 7.70
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1.50 2.70
MICROCRYSTALLINE WAX 0.25 0.50
DIMETHICONE/DIMETHICONE CROSSPOLYMER 12.60 22.70
(B)TiO2 C47-060 (-23/60%) 4.90 8.80
(B)D&C Red #28 C14-6623 (-23/50%) 1.60 2.90
(B)D&C Red #7 C19-011 (-23/33.3%) 0.60 1.10
(B)I.O Red Soft-Tex C33-7775 (-23/50%) 2.90 5.20
(B)I.O Yellow C33-8073 (-23/50%) 0.50 0.90
(B)I.O.Black(S.TEX) C33-7734 (222/50%) 0.50 0.70
SILICA 3.00 5.40
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 0.50 0.90
비교예. 일부 성분 변화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6에 나타낸 성분들의 함량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1 및 제2 혼합물은 6:4의 중량비(%)로 첨가되었다.
성분 (중량%)
Caprylic Capric triglyceride 3.20
ISODODECANE 6.00
CETYL PEG/PPG-10/1 DIMETHICONE 1.80
CYCLOPENTASILOXANE/DIMETHICONE/PEG-10/15 CROSSPOLYMER 2.20
Silica/Methicone 3.00
WATER 42.00
GLYCERIN 1.80
OZOKERITE 2.80
SYNTHETIC WAX/ETHYLENE/PROPYLENE COPOLYMER 2.00
POLYETHYLENE 0.12
POLYBUTENE 1.20
Bis-Diglyceryl Polyacyladipate-2 5.20
ISONONYL ISONONANOATE 2.20
DIISOSTEARYL MALATE 3.40
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1.20
MICROCRYSTALLINE WAX 0.20
DIMETHICONE/DIMETHICONE CROSSPOLYMER 10.08
(B)TiO2 C47-060 (-23/60%) 3.92
(B)D&C Red #28 C14-6623 (-23/50%) 1.28
(B)D&C Red #7 C19-011 (-23/33.3%) 0.48
(B)I.O Red Soft-Tex C33-7775 (-23/50%) 2.32
(B)I.O Yellow C33-8073 (-23/50%) 0.40
(B)I.O.Black(S.TEX) C33-7734 (222/50%) 0.40
SILICA 2.40
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 0.40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고형화 평가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수분이 함유된 스틱(Stick)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 스틱을 형성하지 못하고 세미 리퀴드(Semi Liquid)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9)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유상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는 제1 혼합물 제조 단계;
    유분산제부를 혼합하는 제2 혼합물 제조 단계; 및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물(Water)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는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제1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 중량% 내지 80 중량%로 포함된 것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산제부는 합성왁스, 내추럴왁스, 실리콘왁스, 에스터오일 및 실리콘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조 단계의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은 1:0.5 내지 10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인, 방법.
  6.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 및
    유분산제부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화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은 물(Water),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은 합성왁스, 내추럴왁스, 실리콘왁스, 에스터오일 및 실리콘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은 1:0.5 내지 10의 비율로 포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33064A 2019-10-24 2019-10-24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9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64A KR102309728B1 (ko) 2019-10-24 2019-10-24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64A KR102309728B1 (ko) 2019-10-24 2019-10-24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858A true KR20210048858A (ko) 2021-05-04
KR102309728B1 KR102309728B1 (ko) 2021-10-07

Family

ID=7591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064A KR102309728B1 (ko) 2019-10-24 2019-10-24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28A1 (ko) * 2021-09-27 2023-03-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카페인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유분산 고형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0410A1 (en) * 2021-12-15 2023-06-22 Unilever Ip Holdings B.V. A skin care compositio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984B2 (ja) * 1990-04-11 2001-08-27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親油性乳化剤を用いて成るo/wエマルション
KR100509852B1 (ko) * 1995-12-14 2006-07-0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O/w/o형복합에멀젼및그제조방법
KR20060080753A (ko) * 2005-01-06 2006-07-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고형 타입의 유중수형 부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692769B1 (ko) * 2016-07-29 2017-01-05 주식회사 나우코스 상전이 왁스를 함유하는 피부 쿨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138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 유화 조성물
KR20180033433A (ko) 2015-08-03 2018-04-03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중수형 유화 고형 화장료
KR101859674B1 (ko) * 2016-12-22 2018-05-18 (주)닥터글로덤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3711A (ko) * 2017-11-10 2019-05-20 (주)아모레퍼시픽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984B2 (ja) * 1990-04-11 2001-08-27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親油性乳化剤を用いて成るo/wエマルション
KR100509852B1 (ko) * 1995-12-14 2006-07-0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O/w/o형복합에멀젼및그제조방법
KR20060080753A (ko) * 2005-01-06 2006-07-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고형 타입의 유중수형 부분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3433A (ko) 2015-08-03 2018-04-03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유중수형 유화 고형 화장료
KR20180003138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 유화 조성물
KR101692769B1 (ko) * 2016-07-29 2017-01-05 주식회사 나우코스 상전이 왁스를 함유하는 피부 쿨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59674B1 (ko) * 2016-12-22 2018-05-18 (주)닥터글로덤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3711A (ko) * 2017-11-10 2019-05-20 (주)아모레퍼시픽 양전하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28A1 (ko) * 2021-09-27 2023-03-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카페인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유분산 고형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728B1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8541B1 (en) Gel-type cosmetic composition
JP2898232B2 (ja) 無水の耐水性化粧品組成物
JP4757950B2 (ja) 唇用化粧料
EP2729218B1 (en) Comfortable, long-wearing, transfer-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high gloss and a non-tacky feel
JP3604154B2 (ja) ベルベット様炭化水素ベース化粧用組成物
KR101815024B1 (ko) 수분 보급용 스틱형상 화장료
JPH0812524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CN101984953A (zh) 含硅酮改性的蜡的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化妆品制剂
US20160136083A1 (en) Personal Care Products That Do Not Contain Tetramer And/or Pentamer Cyclomethicones
KR102345708B1 (ko) 실리콘 레진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고광택 립 메이크업 조성물
KR20160077757A (ko)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09728B1 (ko)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383811B1 (en) Sunscreen emulsion comprising silane-treated oxide
KR102211896B1 (ko) 발림성이 우수한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3335B1 (ko) 고체 타입의 유중수형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7069A (ko) 젤 타입의 향수 화장료 조성물
US20200315927A1 (en) Solid cosmetic composition for eye make-up including fiber
US11931436B2 (en) Water-in-oil emulsion for skin or lip care or makeup
KR20220056687A (ko) 수중유화 겔 베이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671A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5829B1 (ko) 우수한 피부 밀착력을 가지는 컨실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9100B1 (ko) 실리콘 겔 엘라스토머 함량이 높은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US20110150801A1 (en) Coloured composition for concealing skin imperfections
WO2021148986A1 (en) Cosmetic composition
KR20230044824A (ko) 유분산 제형의 입술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