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674B1 -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674B1
KR101859674B1 KR1020160176259A KR20160176259A KR101859674B1 KR 101859674 B1 KR101859674 B1 KR 101859674B1 KR 1020160176259 A KR1020160176259 A KR 1020160176259A KR 20160176259 A KR20160176259 A KR 20160176259A KR 101859674 B1 KR101859674 B1 KR 10185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pill
skin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홍
Original Assignee
(주)닥터글로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닥터글로덤 filed Critical (주)닥터글로덤
Priority to KR1020160176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상과 유상을 혼합 및 유화한 후 24 내지 60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안정화하여 에멀전으로 제조하고, 상기 에멀전에 동결용매 및 왁스혼합물로 피막을 형성한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온에서 안정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여 그 자체로 보관 및 사용이 가능하고, 체온에 의해 용이하게 알약 형태가 파손되면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어 보습력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고, 또한, 알약의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화장품 사용자의 심미적 감성과 화장의 즐거움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of pill type}
본 발명은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상과 유상을 혼합 및 유화한 후 24 내지 60시간 숙성시켜 안정화하여 에멀전으로 제조하고, 상기 에멀전에 동결용매 및 왁스혼합물로 피막을 형성시킨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온에서 안정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여 그 자체로 보관 및 사용이 가능하고, 체온에 의해 용이하게 알약 형태가 파손되면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되어 보습력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고, 또한, 알약의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화장품 사용자의 심미적 감성과 화장의 즐거움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최근들어 화장품 산업은 제품 자체가 차별화되지 않으면 팔리지 않는 시대가 되어, 화장품 분야에서는 제품의 포장, 사용방법, 화장료 조성물 자체의 형태, 외관 등으로 소비자 시선을 집중시키려는 시도가 차별화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다양한 유화 제형을 이용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가용화 제형, 유화 제형, 분산 제형으로 분류되는데, 그중에서도 유화 제형은 화장품 산업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유화란 유상과 수상을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고르게 분산시켜 에멀전(emulsion)을 형성하는 것으로, 유화 제형은 일반적으로 에멀전이라고도 한다,
에멀전은 수상과 유상을 혼합한 후,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형의 안정도를 유지한다. 이러한 에멀전은 유화기술, 계면활성제,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입자 크기 등에 영향을 받아 물리화학적 특성이 달라지며, 유중수형, 수중유형, 다중형(유/수/유(W/O/W)형, 수/유/수(O/W/O)형) 등의 다양한 상태로 형성된다.
에멀전을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면, 매크로 에멀전(macroemulsion, 0.5~10 ㎛), 마이크로 에멀전(microemulsion, 10~50 ㎚), 나노 에멀전(nanoemulsion, 50~500 ㎚) 등이 있고,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멀전은 대략 0.5~10 ㎛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에멀전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유효성분이 피부 깊숙이 잘 스며드는 장점이 있어 에멀전의 입자 크기를 축소하려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 큰 입자 크기의 에멀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입자 크기가 큰 에멀전은 입자들을 직접 눈으로 관찰할 수 있어 일반 에멀전과는 차별화되는 외관을 가지게 되고, 산화되기 쉬운 유효성분을 입자 내에 포집할 경우, 유효성분이 공기 및 물과 접촉하는 것이 차단되어 유효 성분의 효능을 오래 유지하는 데에도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입자 크기가 큰 에멀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던 이유는 에멀전의 입자 크기가 커질수록 입자 간의 응집이 일어나기 쉬어 에멀전의 상(phase)안정도가 떨어지고 보관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 색상 및 질감 등을 변형시키려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있어왔다. 이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8875호가 있는데, 일회용 피부세안제 캡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비누, 샴푸, 린스 등의 세안제제를 캡슐 내부에 포장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다고 하나, 장기간 보관시 캡슐의 내용물과 캡슐이 반응하여 변질될 수 있고, 사용시 캡슐에 의한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233호가 있는데, 저온냉각에 의한 구슬형 에멀젼 비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에멀젼을 0 ℃이하 온도의 동결용매에 적하하여 고체상 구슬형 에멀젼 비드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구슬형 에멀전 비드는 영하의 조건 또는 용매에 담지된 상태에서 형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운반 또는 보관시 실온에서 비드가 액상으로 전환되어 상안정도 및 보관성이 떨어지고, 용매가 없는 상태에서는 구슬형 에멀전 비드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장기 보관성이 우수하면서도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동결용매로 1차 피막을 형성하기 전에, 24 내지 60시간 동안 에멀전을 숙성시킨 후 동결용매로 1차 피막을 형성시키고 왁스혼합물로 2차 피막을 형성시킨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실온에서 상안정도 및 보관성이 우수하고,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상과 유상을 혼합 및 유화한 후 안정화시켜 에멀전으로 제조하고, 상기 에멀전에 동결용매로 1차 피막을 형성한 후, 왁스혼합물로 2차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상과 유상을 혼합 및 유화한 후 24 내지 60시간 동안 숙성시켜 안정화하여 에멀전으로 제조하고, 상기 에멀전에 동결용매로 1차 피막을 형성한 후, 왁스혼합물로 2차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온에서 안정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여 그 자체로 보관 및 사용이 가능하고, 체온 및 전단응력(문지름)에 의해 용이하게 알약 형태가 파손되어 피부 도포시 보습력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과 유상을 혼합 및 유화한 후 24 내지 60시간 숙성시켜 안정화하여 에멀전으로 제조한 후, 동결용매로 1차 피막을 형성하고, 왁스혼합물로 2차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교반기에 유상을 투입하여 60 내지 80 ℃로 가온한 후, 수상을 투입하여 60 내지 80 ℃, 2,000 내지 4,000 rpm으로 10 내지 40분 동안 유화한 후, 실온에서 24 내지 60시간 동안 숙성하여 점도 및 상안정도를 향상시킨 에멀전을 수득한다. 상기 에멀전을 40 내지 50 ℃ 온도로 가열한 후, 직경 1mm인 노즐을 통해 1 내지 5mL/min 속도로 -4 내지 0 ℃로 냉각시킨 동결냉매에 투입하여 1차 피막을 형성한다. 상기 1차 피막이 형성된 에멀전에 60℃의 왁스혼합물을 분사하여 2차 피막이 형성된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에멀전은 실온에서 24 내지 60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안정화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멀전을 숙성하는 시간이 24시간 미만인 경우, 에멀전이 충분히 안정화되지 못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상안정도 및 보관성이 떨어지고, 숙성하는 시간이 60시간 초과인 경우, 시간의 증가 대비 에멀전의 상이 안정화되는 정도가 미미하다.
상기 에멀전은 20,000 내지 70,000 cps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멀전의 점도가 20,000cps 미만이면, 낮은 점도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의 상안정도 및 보관성이 떨어지고, 70,000cps초과이면, 에멀전의 유동성이 낮아 노즐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피부 도포시 사용감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에멀전은 40 내지 50 ℃ 온도로 가열한 후, 노즐을 통해 동결냉매에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멀전을 가열하는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에멀전의 유동성이 부족하여 에멀전이 노즐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에멀전의 유상과 수상의 유화안정도가 저해되어 화장료 조성물의 상안정도 및 보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동결용매는 실리콘오일 또는 미네랄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동결용매는 -4 내지 0 ℃에서 얼거나, 유속이 저해되지 않아 용이하게 분산되어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전이 노즐을 통과하는 속도는 1 내지 5 mL/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멀전이 노즐을 통과하는 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노즐을 통과하는 에멀전이 서서히 냉각되어 노즐을 막거나, 화장료 조성물의 입자에 함유된 에멀전의 함량이 미미하여 피부보습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에멀전에 동결냉매가 완전히 도포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의 상안정도 및 보관성이 떨어진다.
상기 왁스혼합물은 쉐어버터와 비즈왁스가 6 ~ 3 : 1 중량비로 혼합되어 70℃에 용해한 것이 바람직하다. 쉐어버터와 비즈왁스의 혼합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너무 높아져 피부도포시 화장료 조성물의 입자가 쉽게 깨지지 않아 발림성 및 피부보습력이 떨어지거나,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너무 낮아져 장기 보관시 화장료 조성물의 알약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200 내지 500 g/㎜2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200 g/㎜2 미만인 경우 낮은 경도로 인해 장기간 보관시 화장료 조성물의 알약 형태가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고, 500 g/㎜2 초과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높아 피부 도포시, 전단응력(문지름)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의 입자가 와해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2 내지 10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입자 크기가 2 mm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입자안에 함유된 에멀전의 함량이 미미하여 피부보습력이 떨어지고, 10mm초과이면, 화장료 조성물의 입자에 함유된 에멀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화장료 조성물의 상안정도 및 경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5>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교반기에 유상을 투입하여 70℃로 가온한 후, 수상을 투입하여 70℃를 유지하면서, 2,500rpm으로 30분 동안 유화한 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점도 및 상안정도를 향상시킨 에멀전을 수득하고, 수득한 에멀전을 40℃ 온도로 가열하여 직경 1mm인 노즐을 통해 3mL/min 속도로 0℃이하로 냉각시킨 미네랄오일에 투입하여 1차 피막을 형성한 다음, 1차 피막이 형성된 에멀전에 60℃의 왁스혼합물을 분사하여 2차 피막이 형성되도록 하고 구슬모양의 알약 형태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왁스혼합물은 쉐어버터와 비즈왁스를 3:1 중량비로 혼합하여 70℃에서 용해한 것을 사용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수상
(중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6 6 6 6 6
트리소디움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세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트리에탄올아민 0.2 0.3 0.4 0.4 0.5
1,2-헥산디올 1.5 1.5 1.5 1.5 1.5
카보머 0.1 0.25 0.35 0.55 1
유상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SE 1 1 1 1 1
스쿠알란 2 2 2 2 2
마카다미아씨오일 3 3 3 3 3
PPG-17 디올리에이트 1 1 1 1 1
세라마이드 3 0.5 0.5 0.5 0.5 0.5
에멀전의 점도(cps) 7980 20200 49590 70950 84060
< 비교예 >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교반기에 유상을 투입하여 70℃로 가온한 후, 수상을 투입하여 70℃를 유지하면서, 2,500rpm으로 30분 동안 유화한 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점도 및 상안정도를 향상시킨 에멀전을 수득하고, 수득한 에멀전을 40℃ 온도로 가열하여 직경 1mm인 노즐을 통해 3mL/min 속도로 0℃이하로 냉각시킨 미네랄오일에 투입하여 피막이 형성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수상
(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6
트리소디움이디티에이 0.05
세테아릴알코올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2-헥산디올 1.5
카보머 1
유상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SE 1
스쿠알란 2
마카다미아씨오일 3
PPG-17 디올리에이트 1
세라마이드 3 0.5
에멀전의 점도(cps) 84060
< 시험예 1>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 안정성 및 보관성 평가 1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 안정성 및 보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료를 용기에 넣고 하기 표 3 에서 제시한 온도 조건하에서 4주간 보관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알약 형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Cycle 평가의 경우 40℃ -> RT(25 ℃)-> -4℃의 범위 내에서 2일을 주기로 순환시키면서 관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리여부는 실온(25℃)에서 10주 보관한 후, 화장료 조성물의 상이 분리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40 ℃ 1 3 4 4 4 2
RT(25 ℃) 2 4 4 4 4 3
4 ℃ 3 4 4 4 4 4
-4 ℃ 3 4 4 4 4 4
Cycle 평가 1 3 4 4 4 2
분리여부(25℃)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평가기준 -
1 : 매우나쁨(형태가 완전히 무너짐), 2 : 나쁨(형태가 50%이상 무너짐), 3: 보통(미세한 균열, 형태 유지), 4: 좋음(형태 유지)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실온에서10주 보관 후에 화장료 조성물의 상이 분리됨을 알 수 있고, 실시예 2 내지 5와 비교예는 화장료 조성물의 상이 분리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은 실온에서 알약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40℃ 및 cylcle 평가에서 형태가 완전히 무너졌음을 알 수 있고, 실시예 2는 40℃와 cycle 평가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알약 형태에 미세한 균열이 있으나 형태가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내지 5는 모든 조건에서 알약 형태를 유지하여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고, 비교예는 40 ℃와 cycle 평가에서 알약형태를 유지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5를 비교해보면, 에멀전의 점도가 높아질수록 알약 형태의 유지와 화장료 조성물의 상안정도가 우수해짐을 알 수 있고, 에멀전의 점도가 20,000 cps이상일 때 화장료 조성물의 알약 형태가 우수하게 유지되고, 화장료 조성물의 보관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에멀전의 점도가 동일한 실시예 5와 비교예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5가 형태 안정성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미네랄 오일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공기에 의해 변질되어 화장료 조성물의 피막으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실시예 6 내지 10>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 2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6 내지 10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교반기에 유상을 투입하여 70℃로 가온한 후, 수상을 투입하여 70℃를 유지하면서 2,500rpm으로 30분 동안 유화한 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점도 및 상안정도를 향상시킨 에멀전을 수득하고, 수득한 에멀전을 40℃ 온도로 가열하여 직경 1mm인 노즐을 통해 3mL/min 속도로 0℃이하로 냉각시킨 미네랄오일에 투입하여 1차 피막을 형성한 다음, 1차 피막이 형성된 에멀전에 60℃의 왁스혼합물을 분사하여 2차 피막이 형성되도록 하고 구슬모양의 알약 형태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왁스혼합물은 표 4에 따라 쉐어버터와 비즈왁스를 혼합하여 70℃에서 용해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수상
(중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6 6 6 6 6
트리소디움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세테아릴알코올 1.5 1.5 1.5 1.5 1.5
트리에탄올아민 0.2 0.3 0.4 0.4 0.5
1,2-헥산디올 1.5 1.5 1.5 1.5 1.5
카보머 0.35 0.35 0.35 0.35 0.35
유상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SE 1 1 1 1 1
스쿠알란 2 2 2 2 2
마카다미아씨오일 3 3 3 3 3
PPG-17 디올리에이트 1 1 1 1 1
세라마이드 3 0.5 0.5 0.5 0.5 0.5
왁스 혼합물
(중량비)
쉐어버터 1 3 4 6 7
비즈왁스 1 1 1 1 1
< 시험예 2>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 안정성 및 보관성 평가 2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6 내지 10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 안정성 및 보관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경도 측정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SUN RHEOMETER사의 COMPAC-100 2ND를 이용하여 FULL SCALE 2KG의 압력, 2㎝ /2MIN scale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경도(g/mm2) 570 490 350 210 150
40 ℃ 4 4 4 3 1
RT(25 ℃) 4 4 4 4 3
4 ℃ 4 4 4 4 4
-4 ℃ 4 4 4 4 4
Cycle 평가 4 4 4 3 1
분리여부(25℃)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평가기준 -
1 : 매우나쁨(형태가 완전히 무너짐), 2 : 나쁨(형태가 50%이상 무너짐), 3: 보통(미세한 균열, 형태 유지), 4: 좋음(형태 유지)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6 내지 10은 실온에서 10주 보관 후에 화장료 조성물의 상이 분리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실시예 6 내지 8은 모든 온도 조건에서 알약 형태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9는 40℃와 cycle 평가에 화장료 조성물의 알약 형태에 미세한 균열이 있으나 알약 형태를 유지하였고, 실시예 10은 40℃와 cycle 평가에서 알약 형태를 유지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내지 10을 비교해보면, 쉐어버터 중량 대비 비즈왁스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높아지고, 모든 온도 조건에서 형태 안정성이 우수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비즈왁스 중량 대비 쉐어버터의 혼합비가 7이상이면, 화장료 조성물이 알약형태를 유지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화장료 조성물의 2차 피막인 왁스혼합물에 쉐어버터의 혼합비가 감소할수록, 쉐어버터의 물성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의 2차 피막이 영향을 받아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 및 열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 시험예 3> 사용감에 대한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의 화장료 조성물 중 형태 안정성 및 보관성이 우수한 실시예 2 내지 9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사용감을 알아보기 위해, 20~35세 여성 40명에게 실시예 2 내지 9의 화장료 조성물을 한 시료당 5일씩 총 40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도포시 발림성, 피부 자극 및 보습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도포시 발림성 5 5 4 2 1 3 5 5
피부자극 5 5 5 3 1 4 5 5
보습감 3 5 4 3 2 4 5 5
평가기준 - 1 : 매우나쁨, 2 : 나쁨, 3 : 보통, 4 : 좋음, 5 : 매우 좋음
상기 표 6에서 실시예 2 내지 5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3은 모든 평가 항목에서 가장 우수하고, 실시예 2는 도포시 발림성 및 피부자극은 우수하나 보습감이 보통이고, 실시예 5는 도포시 발림성이 가장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에멀전의 점도가 높아질수록 화장료 조성물의 유동성이 부족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알약 형태를 와해시켜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내지 9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8과 9는 모든 평가 항목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고,실시예 6은 모든 평가 항목에서 저조함을 알 수 있다. 즉, 화장료 조성물의 2차 피막인 왁스혼합물에 비즈왁스의 혼합비가 높아질수록 화장료 조성물의 2차 피막이 쉽게 와해되지 않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피부에 자극을 주고, 화장료 조성물의 2차 피막이 체온에 의해 녹지 않아 피부 보습감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4> 피부 보습의 평가
상기 시험예 3에서 평가가 저조한 실시예 5 및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외하고, 실시예 2 내지 4, 7 내지 9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피부보습력을 평가하였다. 피부보습력의 측정은 피부 질환이 없는 30~40대 성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험자의 상완부에 피부 손상, 과도한 털 또는 색조에 특별한 차이가 있는 부분을 피하여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의 측정 조건을 동일하게 하고자 시험 부위는 깨끗하고 마른 상태를 유지하였고, 최소 30분간 22±2℃, 습도 50±10%가 유지되는 곳에서 피부 안정을 취한 후 진행하였다. 보습 측정은Corneometer(CM825,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개의 값을 이용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사용 전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삼고,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곳을 대조군으로 삼아, 사용 1시간 후, 사용 3시간 후, 세안 30분 후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피부수분량의 증가율을 평가하고,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대조군
피부 수분량의 변화 - 1시간 후 12 23 36 24 44 55 -2
피부 수분량의 변화 - 3시간 후 8 17 28 17 34 43 -4
피부 수분량의 변화 - 세안 30분 후 4 9 13 8 18 23 -7
상기 표 7에서 실시예 2 내지 4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4가 피부 보습력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고, 실시예 7 내지 9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9가 피부 보습력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화장료 조성물의 에멀전이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에 도포된 후 수분을 유지하는 효과가 높아 보습력이 높은 것으로 여겨지고, 화장료 조성물의 2차 피막인 왁스혼합물에 쉐어버터의 혼합비가 높을수록, 쉐어버터가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유지시켜 피부보습의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Claims (5)

  1. 정제수, 글리세린, 트리소디움이디티에이, 세테아릴알코올, 트리에탄올아민, 1,2-헥산디올, 카보머로 이루어진 수상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스쿠알란, 마카다미아씨오일, PPG-17 디올리에이트, 세라마이드 3 로 이루어진 유상을 혼합 및 유화한 후 24 내지 60시간 동안 숙성시켜 안정화하여 에멀전으로 제조한 후, 상기 에멀전은 동결용매로 1차 피막을 형성시킨 다음, 쉐어버터와 비즈왁스가 혼합된 왁스혼합물로 2차 피막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전은 20,000 내지 70,000 cps의 점도를 갖는 것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혼합물은 쉐어버터와 비즈왁스가 6 ~ 3 :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2 내지 10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76259A 2016-12-22 2016-12-22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KR101859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259A KR101859674B1 (ko) 2016-12-22 2016-12-22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259A KR101859674B1 (ko) 2016-12-22 2016-12-22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674B1 true KR101859674B1 (ko) 2018-05-18

Family

ID=6245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259A KR101859674B1 (ko) 2016-12-22 2016-12-22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6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839A (ko) * 2018-09-11 2020-03-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이층상 구조의 고형 수분산 비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8858A (ko) * 2019-10-24 2021-05-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6344A (ko)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르제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53B1 (ko) * 2016-03-21 2016-10-26 (주)바이오제닉스 에멀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53B1 (ko) * 2016-03-21 2016-10-26 (주)바이오제닉스 에멀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839A (ko) * 2018-09-11 2020-03-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이층상 구조의 고형 수분산 비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54966A1 (ko) * 2018-09-11 2020-03-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이층상 구조의 고형 수분산 비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0297B1 (ko) * 2018-09-11 2020-07-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이층상 구조의 고형 수분산 비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8858A (ko) * 2019-10-24 2021-05-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9728B1 (ko) 2019-10-24 2021-10-07 코스맥스 주식회사 성형성이 향상된 유화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6344A (ko)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르제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5187A1 (en) Macro-sized lipid capsule emulsion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1081144B1 (ko) 물로 워시오프 할 수 있는 스틱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N108524479A (zh) 包含神经酰胺的皮肤外用组合物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9674B1 (ko) 알약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7883B1 (ko) 세라마이드 액정에 의한 크리스탈 외관을 가지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48847B1 (ko)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42412A (ko) 화장료용 복합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1475B1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JP2012036149A (ja) パック化粧料
KR102236418B1 (ko) 청량감을 갖는 세라마이드 함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0557B1 (ko) 세라마이드 함유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2171891A (ja) 皮膚外用剤
JP6907757B2 (ja) 医薬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01728B1 (ko)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6776B1 (ko) 유성 고체형태 화장료
KR102224314B1 (ko) 구형 입자를 포함하는 분산 제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1795A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7530166A (ja) 分散液中の化粧品および/または医薬組成物、皮膚を整えるための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JP6046882B2 (ja) 皮膚用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120058856A (ko) 발림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