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335A - Pad4의 헤테로아릴 억제제 - Google Patents

Pad4의 헤테로아릴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335A
KR20190045335A KR1020197010110A KR20197010110A KR20190045335A KR 20190045335 A KR20190045335 A KR 20190045335A KR 1020197010110 A KR1020197010110 A KR 1020197010110A KR 20197010110 A KR20197010110 A KR 20197010110A KR 20190045335 A KR20190045335 A KR 20190045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isease
mmol
independently selected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992B1 (ko
Inventor
라제쉬 데브라즈
그나나삼반담 쿠마라벨
크리스티나 레시
푸이 로케
미르코 메니코니
나트 몽크
칼 노스
마크 리질
헤더 타이
Original Assignee
패들락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패들락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패들락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4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quinolizines, naphthyridines, berberine, vinc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2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42-Quinolinones, e.g. carbosty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6Antibacterial agents for tubercul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3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uprarenal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63One oxygen atom
    • C07D213/64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or 6
    • C07D213/647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or 6 and having in the molecule an acyl radical containing a saturated three-membered ring, e.g. chrysanthemum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20Oxygen atoms
    • C07D215/22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 C07D215/227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or 4 only one oxygen atom which is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Neu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euro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docri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Vi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AD4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화합물, 그의 조성물, 및 PAD4-관련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PAD4의 헤테로아릴 억제제
PAD4는 펩티드 서열 내에서 아르기닌의 시트룰린으로의 시트룰린화를 촉매할 수 있는 효소의 펩티딜아르기닌 데이미나제 (PAD) 패밀리의 구성원이다. PAD4는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다양한 단백질의 탈이미노화 또는 시트룰린화를 담당하여, 다양한 질환에서 다양한 기능적 반응 결과를 갖는다 (Jones J.E. et al., Curr. Opin. Drug Discov. Devel., 12(5), (2009),616-627). 예시적인 질환의 예는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기전에 대한 호중구성 기여를 갖는 질환 (예를 들어, 혈관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궤양성 결장염)에 더하여 종양학 적응증을 포함한다. PAD4 억제제는 또한 후성적 메카니즘을 통해 인간 질환을 위한 도구 및 치료제로서 보다 넓은 적용성을 갖는다.
PAD4의 억제제는 류마티스 관절염 (RA)에 대해 유용성을 갖는다. RA는 인구의 대략 1%에 영향을 미치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Wegner N. et al., Immunol. Rev., 233(1) (2010), 34-54). 이는 골 및 연골의 쇠약화 파괴를 일으키는 관절의 염증을 특징으로 한다. 비록 일관되지는 않지만 다수의 집단 연구에서 PAD4 다형성과 RA에 대한 감수성 사이의 약한 유전적 연관을 시사하였다 (Kochi Y. et al., Ann. Rheum. Dis., 70, (2011),512-515). PAD4 (패밀리 구성원 PAD2와 함께)는 활막 조직에서 검출되었으며, 여기서 이것은 다양한 관절 단백질의 탈이미노화를 담당한다. 이 과정은 RA 관절에서 시트룰린화된 기질 예컨대 피브리노겐, 비멘틴 및 콜라겐에 대한 관용의 파괴, 및 그에 대한 면역 반응의 개시로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항-시트룰린화된 단백질 항체 (ACPA)는 질환 발병기전에 기여하고, 또한 RA에 대한 진단 시험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CCP2 또는 시클릭 시트룰린화된 단백질 2 시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증가된 시트룰린화는 또한 여러 관절 및 염증 매개체 (예를 들어, 피브리노겐, 항트롬빈, 다중 케모카인)의 기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그의 능력을 통해 질환 발병기전에 추가의 직접적인 기여를 제공할 수 있다. RA 환자의 보다 작은 하위세트에서, 항-PAD4 항체는 측정될 수 있고, 질환의 보다 더 미란성인 형태와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
PAD4 억제제는 또한 다양한 질환에서의 병리학적 호중구 활성의 감소에 유용하다. 연구는, 호중구가 병원체를 고정화 및 사멸시킬 수 있는 선천성 방어 메카니즘인 호중구 세포외 트랩 (NET) 형성의 과정이 히스톤 시트룰린화와 연관되고, PAD4 녹아웃 마우스에서 결핍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Neeli I. et al., J. Immunol., 180, (2008), 1895-1902 및 Li P. et al., J. Exp. Med., 207(9), (2010), 1853-1862). 따라서, PAD4 억제제는 조직에서의 NET 형성이 국부 손상 및 질환 병리상태에 기여하는 질환에 대한 적용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은 소혈관 혈관염 (Kessenbrock K. et al., Nat. Med., 15(6), (2009), 623-625), 전신 홍반성 루푸스 (Hakkim 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7(21), (2010), 9813-9818 및 Villanueva E. et al., J. Immunol., 187(1), (2011), 538-52), 궤양성 결장염 (Savchenko A. et al., Pathol. Int., 61(5), (2011), 290-7), 낭성 섬유증, 천식 (Dworski R.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127(5), (2011), 1260-6), 심부 정맥 혈전증 (Fuchs T.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7(36), (2010), 15880-5), 치주염 (Vitkov L. et al., Ultrastructural Pathol., 34(1), (2010), 25-30), 패혈증 (Clark S.R. et al., Nat. Med., 13(4), (2007), 463-9), 충수염 (Brinkmann V. et al., Science, 303, (2004), 1532-5) 및 졸중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NET가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예를 들어 피부 홍반성 루푸스 (Villanueva E. et al., J. Immunol., 187(1), (2011), 538-52) 및 건선 (Lin A.M. et al., J. Immunol., 187(1), (2011), 490-500)에서의 병리상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증거가 존재하므로, PAD4 억제제는 전신 또는 피부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경우에 NET 피부 질환을 다루는 데 이익을 나타낼 수 있다. PAD4 억제제는 호중구 내의 추가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호중구성 질환에 보다 넓은 적용성을 가질 수 있다.
연구는 콜라겐-유발된 관절염 (Willis V.C. et al., J. Immunol., 186(7), (2011), 4396-4404), 덱스트란 술페이트 나트륨 (DSS)-유발된 실험적 결장염 (Chumanevich A.A. et al.,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300(6), (2011), G929-G938), 척수 복구 (Lange S. et al., Dev. Biol., 355(2), (2011), 205-14) 및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 (EAE)을 포함한 질환의 다수의 동물 모델에서 도구 PAD 억제제 (예를 들어, 클로로-아미딘)의 효능을 입증하였다. DSS 결장염 보고는 또한 클로로-아미딘이 시험관내 및 생체내 둘 다에서 염증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한다는 것을 입증하며, 이는 PAD4 억제제가 광범위 염증성 질환에서 보다 일반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PAD4 억제제는 또한 암의 치료에 유용하다 (Slack.J.L. et al., Cell. Mol. Life Sci., 68(4), (2011), 709-720). PAD4의 과다-발현은 수많은 암에서 입증되었다 (Chang X. et al., BMC Cancer, 9, (2009), 40). PAD4가 세포 주기 정지 및 아폽토시스의 유도에 수반되는 p53-표적 유전자 예컨대 p21의 프로모터에서 히스톤 내 아르기닌 잔기를 시트룰린화시킨다는 관찰로부터, PAD4 억제제에 대한 항증식 역할이 제안되었다 (Li P. et al., Mol. Cell Biol., 28(15), (2008), 4745-4758).
히스톤 내 아르기닌 잔기를 탈이미노화시키는 데 있어서 상기 언급된 PAD4의 역할은 PAD4의 유전자 발현의 후성적 조절에서의 역할을 나타낼 수 있다. PAD4는 핵뿐만 아니라 세포질에 상주하는 것으로 관찰된 주요 PAD 패밀리 구성원이다. PAD4가 히스톤 데메틸이미나제뿐만 아니라 데이미나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초기 증거는 일관되지 않고, 입증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시트룰린으로의 전환에 의한 이용가능한 아르기닌 잔기의 고갈을 통해 간접적으로 히스톤 아르기닌 메틸화 (및 따라서 이 마크와 연관된 후성적 조절)를 감소시킬 수 있다. PAD4 억제제는 추가의 질환 환경에서 다양한 표적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후성적 도구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이러한 메카니즘을 통해, PAD4 억제제는 또한 줄기 세포에서 시트룰린화 수준을 제어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고, 따라서 배아 줄기 세포, 신경 줄기 세포, 조혈 줄기 세포 및 암 줄기 세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줄기 세포의 다능성 상태 및 분화 잠재력에 치료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PAD4-매개 장애의 치료를 위한 PAD4 억제제를 확인하고 개발하는 것에 대한 미충족 필요가 남아있다.
본 발명에 이르러, 화학식 I 및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PAD4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각각의 L, R1, R2, R3, R4, R5, Rx 및 Ry는 본원에 정의되고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공된 화합물은 PAD2에 대하여 PAD4에 대한 선택성을 입증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공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공된 화합물은 PAD4와 연관된 다양한 장애의 치료에 유용하다. 이러한 장애는 본원에 상세하게 기재되고,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혈관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궤양성 결장염, 암, 낭성 섬유증, 천식, 피부 홍반성 루푸스 및 건선을 포함한다.
1.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의 일반적 설명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화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가변기는 본원에 정의되고 실시양태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이러한 화합물은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2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지방족, 페닐,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임의로 치환된 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고;
L은 공유 결합 또는 C1-6 2가 탄화수소 쇄이며 여기서 L의 1 또는 2개의 메틸렌 단위는 임의로 및 독립적으로 -C(O)-, -C(O)NH-, -NHC(O)-, 또는 -S(O)2-에 의해 대체되고;
R3은 수소 또는 고리 A이고;
고리 A는 3-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카르보시클릭 고리, 페닐,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5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8-10원 비시클릭 헤테로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이고;
R4는 R 또는 -C(O)OR이고;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3개의 플루오린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고;
R5는 수소 또는 CN이거나, 또는:
R5 및 R4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5 및 R3은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고;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융합된 고리를 형성한다.
2. 정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원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고, 본원에 개시된 부류, 하위부류 및 종에 의해 추가로 예시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하기 정의가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화학 원소는 원소 주기율표, CAS 버전, 문헌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75th Ed.]에 따라 확인된다. 추가적으로, 유기 화학의 일반적 원리는 문헌 ["Organic Chemistry", Thomas Sorrell, University Science Books, Sausalito: 1999, 및 "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5th Ed., Ed.: Smith, M.B. and March, J., John Wiley & Sons, New York: 2001]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지방족" 또는 "지방족 기"는, 완전 포화이거나 또는 1개 이상의 불포화 단위를 함유하는 직쇄 (즉, 비분지형) 또는 분지형,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화수소 쇄, 또는 완전 포화이거나 또는 1개 이상의 불포화 단위를 함유하지만 방향족이 아니고 분자의 나머지에 대해 단일 부착 지점을 갖는 모노시클릭 탄화수소 또는 비시클릭 탄화수소 (또한 본원에서 "카르보사이클", "시클로지방족" 또는 "시클로알킬"로도 지칭됨)를 의미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지방족 기는 1-6개의 지방족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방족 기는 1-5개의 지방족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지방족 기는 1-4개의 지방족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지방족 기는 1-3개의 지방족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지방족 기는 1-2개의 지방족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시클로지방족" (또는 "카르보사이클" 또는 "시클로알킬")은, 완전 포화이거나 또는 1개 이상의 불포화 단위를 함유하지만 방향족이 아니고 분자의 나머지에 대해 단일 부착 지점을 갖는 모노시클릭 C3-C6 탄화수소를 지칭한다. 적합한 지방족 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알케닐, 알키닐 기, 및 그의 하이브리드 예컨대 (시클로알킬)알킬, (시클로알케닐)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알케닐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어 "헤테로원자"는 산소, 황, 질소, 인 또는 규소 (질소, 황, 인 또는 규소의 임의의 산화된 형태; 임의의 염기성 질소의 4급화된 형태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의 치환가능한 질소, 예를 들어 N (3,4-디히드로-2H-피롤릴에서와 같음), NH (피롤리디닐에서와 같음) 또는 NR+ (N-치환된 피롤리디닐에서와 같음) 포함) 중 1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불포화"는 모이어티가 1개 이상의 불포화 단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2가 C1-8 (또는 C1-6) 포화 또는 불포화,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쇄"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직쇄형 또는 분지형인 2가 알킬렌, 알케닐렌 및 알키닐렌 쇄를 지칭한다.
용어 "알킬렌"은 2가 알킬 기를 지칭한다. "알킬렌 쇄"는 폴리메틸렌 기, 즉 -(CH2)n-이며, 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1 내지 4, 1 내지 3, 1 내지 2, 또는 2 내지 3이다. 치환된 알킬렌 쇄는 1개 이상의 메틸렌 수소 원자가 치환기로 대체된 폴리메틸렌 기이다. 적합한 치환기는 치환된 지방족 기에 대해 하기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용어 "알케닐렌"은 2가 알케닐 기를 지칭한다. 치환된 알케닐렌 쇄는 1개 이상의 수소 원자가 치환기로 대체된, 적어도 1개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폴리메틸렌 기이다. 적합한 치환기는 치환된 지방족 기에 대해 하기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용어 "할로겐"은 F, Cl, Br, 또는 I를 의미한다.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아르알킬", "아르알콕시" 또는 "아릴옥시알킬"에서와 같이 더 큰 모이어티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아릴"은, 총 5 내지 14개의 고리원을 가지며, 여기서 계 내의 적어도 1개의 고리가 방향족이고, 계 내의 각각의 고리가 3 내지 7개의 고리원을 함유하는 것인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고리계를 지칭한다. 용어 "아릴"은 용어 "아릴 고리"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아릴"은, 페닐, 비페닐, 나프틸, 안트라실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1개 이상의 치환기를 보유할 수 있는 방향족 고리계를 지칭한다. 방향족 고리가 1개 이상의 비-방향족 고리에 융합된 기, 예컨대 인다닐, 프탈리미딜, 나프티미딜, 페난트리디닐 또는 테트라히드로나프틸 등이,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아릴"의 범주 내에 또한 포함된다.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더 큰 모이어티, 예를 들어 "헤테로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콕시"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는, 5 내지 10개의 고리 원자, 바람직하게는 5, 6, 또는 9개의 고리 원자를 갖고; 시클릭 배열 내에 공유된 6, 10, 또는 14개의 π 전자를 갖고; 탄소 원자에 더하여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기를 지칭한다. 용어 "헤테로원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을 지칭하고, 질소 또는 황의 임의의 산화된 형태, 및 염기성 질소의 임의의 4급화된 형태를 포함한다. 헤테로아릴 기는, 비제한적으로 티에닐, 푸라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인돌리지닐, 퓨리닐, 나프티리디닐, 및 프테리디닐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는 또한 헤테로방향족 고리가 1개 이상의 아릴, 시클로지방족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에 융합되며 여기서 라디칼 또는 부착 지점은 헤테로방향족 고리 상에 존재하는 것인 기를 포함한다. 비제한적 예는 인돌릴, 이소인돌릴, 벤조티에닐, 벤조푸라닐, 디벤조푸라닐,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티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4H-퀴놀리지닐, 카르바졸릴, 아크리디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페녹사지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및 피리도[2,3-b]-1,4-옥사진-3(4H)-온을 포함한다. 헤테로아릴 기는 모노- 또는 비시클릭일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용어 "헤테로아릴 고리", "헤테로아릴 기" 또는 "헤테로방향족"과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용어 중 임의의 것은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아르알킬"은 헤테로아릴에 의해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 및 헤테로아릴 부분은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릭 라디칼" 및 "헤테로시클릭 고리"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며,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이고 탄소 원자에 더하여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원자를 갖는 안정한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또는 7-10-원 비시클릭 헤테로시클릭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헤테로사이클의 고리 원자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용어 "질소"는 치환된 질소를 포함한다. 예로서, 산소, 황 또는 질소로부터 선택되는 0-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고리에서, 질소는 N (3,4-디히드로-2H-피롤릴에서와 같음), NH (피롤리디닐에서와 같음), 또는 +NR (N-치환된 피롤리디닐에서와 같음)일 수 있다.
헤테로시클릭 고리는 안정한 구조를 생성하는 임의의 헤테로원자 또는 탄소 원자에서 그의 펜던트 기에 부착될 수 있고, 고리 원자 중 임의의 것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이러한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데카히드로퀴놀리닐, 옥사졸리디닐, 피페라지닐, 디옥사닐, 디옥솔라닐, 디아제피닐, 옥사제피닐, 티아제피닐, 모르폴리닐, 및 퀴누클리디닐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 고리", "헤테로시클릭 기", "헤테로시클릭 모이어티" 및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은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또한 헤테로시클릴 고리가 1개 이상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시클로지방족 고리에 융합된 기, 예컨대 인돌리닐, 3H-인돌릴, 크로마닐, 페난트리디닐, 또는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을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릴 기는 모노- 또는 비시클릭일 수 있다. 용어 "헤테로시클릴알킬"은 헤테로시클릴에 의해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 및 헤테로시클릴 부분은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부분 불포화"는 적어도 1개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고리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용어 "부분 불포화"는 다수의 불포화 부위를 갖는 고리를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되나,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로 치환된" 모이어티를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어 "치환된"은 용어 "임의로"가 선행하든지 아니든지 간에, 지정된 모이어티의 1개 이상의 수소가 적합한 치환기로 대체된 것을 의미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임의로 치환된" 기는 기의 각각의 치환가능한 위치에서 적합한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임의의 주어진 구조 내의 1개 초과의 위치가 명시된 기로부터 선택되는 1개 초과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경우에, 치환기는 모든 위치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는 치환기의 조합은 바람직하게는 안정한 또는 화학적으로 실현가능한 화합물의 형성하는 것들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안정한"은, 화합물의 제조, 검출, 및 특정 실시양태에서 그의 회수, 정제, 및 본원에 개시된 목적 중 1개 이상을 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에 적용되는 경우에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임의로 치환된" 기의 치환가능한 탄소 원자에 대한 적합한 1가 치환기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CH2)0-4R; -(CH2)0- 4OR; -O(CH2)0-4R, -O-(CH2)0- 4C(O)OR; -(CH2)0-4CH(OR)2; -(CH2)0- 4SR; R로 치환될 수 있는 -(CH2)0- 4Ph; R로 치환될 수 있는 -(CH2)0-4O(CH2)0-1Ph; R로 치환될 수 있는 -CH=CHPh; R로 치환될 수 있는 -(CH2)0-4O(CH2)0-1-피리딜; -NO2; -CN; -N3; -(CH2)0- 4N(R)2; -(CH2)0- 4N(R)C(O)R; -N(R)C(S)R; -(CH2)0- 4N(R)C(O)NR 2; -N(R)C(S)NR 2; -(CH2)0- 4N(R)C(O)OR; -N(R)N(R)C(O)R; -N(R)N(R)C(O)NR 2; -N(R)N(R)C(O)OR; -(CH2)0- 4C(O)R; -C(S)R; -(CH2)0- 4C(O)OR; -(CH2)0- 4C(O)SR; -(CH2)0- 4C(O)OSiR 3; -(CH2)0- 4OC(O)R; -OC(O)(CH2)0-4SR-, SC(S)SR; -(CH2)0- 4SC(O)R; -(CH2)0- 4C(O)NR 2; -C(S)NR 2; -C(S)SR; -SC(S)SR, -(CH2)0- 4OC(O)NR 2; -C(O)N(OR)R; -C(O)C(O)R; -C(O)CH2C(O)R; -C(NOR)R; -(CH2)0- 4SSR; -(CH2)0- 4S(O)2R; -(CH2)0- 4S(O)2OR; -(CH2)0- 4OS(O)2R; -S(O)2NR 2; -(CH2)0- 4S(O)R; -N(R)S(O)2NR 2; -N(R)S(O)2R; -N(OR)R; -C(NH)NR 2; -P(O)2R; -P(O)R 2; -OP(O)R 2; -OP(O)(OR)2; SiR 3; -(C1-4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O-N(R)2; 또는 -(C1-4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C(O)O-N(R)2이며, 여기서 각각의 R는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소, C1-6 지방족, -CH2Ph, -O(CH2)0- 1Ph, -CH2-(5-6원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0-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이거나, 또는 상기 정의에도 불구하고, 2개의 독립적인 경우의 R는 그의 개재 원자(들)와 함께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0-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12-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모노- 또는 비시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R (또는 2개의 독립적인 경우의 R와 이들의 개재 원자에 의해 함께 형성된 고리)에 대한 적합한 1가 치환기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CH2)0-2R, -(할로R), -(CH2)0-2OH, -(CH2)0- 2OR, -(CH2)0- 2CH(OR)2; -O(할로R), -CN, -N3, -(CH2)0- 2C(O)R, -(CH2)0- 2C(O)OH, -(CH2)0- 2C(O)OR, -(CH2)0- 2SR, -(CH2)0- 2SH, -(CH2)0- 2NH2, -(CH2)0-2NHR, -(CH2)0- 2NR 2, -NO2, -SiR 3, -OSiR 3, -C(O)SR, -(C1-4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C(O)OR, 또는 -SSR이며, 여기서 각각의 R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가 선행하는 경우에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만 치환되고, 독립적으로 C1-4 지방족, -CH2Ph, -O(CH2)0- 1Ph,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0-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로부터 선택된다. R의 포화 탄소 원자에 대한 적합한 2가 치환기는 =O 및 =S를 포함한다.
"임의로 치환된" 기의 포화 탄소 원자에 대한 적합한 2가 치환기는 =O, =S, =NNR* 2, =NNHC(O)R*, =NNHC(O)OR*, =NNHS(O)2R*, =NR*, =NOR*, -O(C(R* 2))2-3O-, 또는 -S(C(R* 2))2-3S-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독립적인 경우의 R*는 수소,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는 C1-6 지방족,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0-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로부터 선택된다. "임의로 치환된" 기의 치환가능한 이웃자리 탄소에 결합되는 적합한 2가 치환기는 -O(CR* 2)2 -3O-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독립적인 경우의 R*는 수소,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는 C1-6 지방족,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0-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로부터 선택된다.
R*의 지방족 기에 대한 적합한 치환기는 할로겐, -R, -(할로R), -OH, -OR, -O(할로R), -CN, -C(O)OH, -C(O)OR, -NH2, -NHR, -NR 2, 또는 -NO2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R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가 선행하는 경우에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만 치환되고, 독립적으로 C1-4 지방족, -CH2Ph, -O(CH2)0- 1Ph,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0-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이다.
"임의로 치환된" 기의 치환가능한 질소에 대한 적합한 치환기는 -R, -NR 2, -C(O)R, -C(O)OR, -C(O)C(O)R, -C(O)CH2C(O)R, -S(O)2R, -S(O)2NR 2, -C(S)NR 2, -C(NH)NR 2, 또는 -N(R)S(O)2R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수소, 하기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는 C1-6 지방족, 비치환된 -OPh,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0-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이거나, 또는 상기 정의에도 불구하고, 2개의 독립적인 경우의 R는 그의 개재 원자(들)와 함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0-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치환된 3-12-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모노- 또는 비시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R의 지방족 기에 대한 적합한 치환기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R, -(할로R), -OH, -OR, -O(할로R), -CN, -C(O)OH, -C(O)OR, -NH2, -NHR, -NR 2, 또는 -NO2이며, 여기서 각각의 R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가 선행하는 경우에 1개 이상의 할로겐으로만 치환되고, 독립적으로 C1-4 지방족, -CH2Ph, -O(CH2)0- 1Ph,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0-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타당한 의학적 판단의 범주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 없이 인간 및 하등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합리적 이익/위험 비에 상응하는 이들 염을 지칭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에스. 엠. 베르그(S. M. Berge) 등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문헌 [J. Pharmaceutical Sciences, 1977, 66, 1-19]에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상세하게 기재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적합한 무기 및 유기 산 및 염기로부터 유래된 것들을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비독성 산 부가염의 예는 무기 산 예컨대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인산, 황산 및 과염소산을 사용하거나 또는 유기 산 예컨대 아세트산, 옥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숙신산 또는 말론산을 사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관련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른 방법 예컨대 이온 교환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된 아미노 기의 염이다. 다른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젠술포네이트, 벤조에이트, 비술페이트, 보레이트, 부티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르술포네이트, 시트레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술페이트, 에탄술포네이트, 포르메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글루코네이트, 헤미술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히드로아이오다이드, 2-히드록시-에탄술포네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락테이트, 라우레이트, 라우릴 술페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말로네이트, 메탄술포네이트, 2-나프탈렌술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올레에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펙티네이트, 퍼술페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포스페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숙시네이트, 술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p-톨루엔술포네이트, 운데카노에이트, 발레레이트 염 등을 포함한다.
적절한 염기로부터 유래된 염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및 N+(C1-4알킬)4 염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나트륨, 리튬,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을 포함한다. 추가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적절한 경우에, 반대이온 예컨대 할라이드, 히드록시드, 카르복실레이트,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저급알킬 술포네이트 및 아릴 술포네이트를 사용하여 형성된 비독성 암모늄, 4급 암모늄 및 아민 양이온을 포함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도시된 구조는 또한 구조의 모든 이성질체 (예를 들어,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기하 이성질체 (또는 형태 이성질체)) 형태; 예를 들어 각각의 비대칭 중심에 대한 R 및 S 배위, Z 및 E 이중 결합 이성질체, 및 Z 및 E 형태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단일 입체화학적 이성질체뿐만 아니라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기하 이성질체 (또는 형태 이성질체)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호변이성질체 형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추가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도시된 구조는 또한 단지 1개 이상의 동위원소 농축 원자의 존재만이 상이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수소의 중수소 또는 삼중수소에 의한 대체, 또는 탄소의 13C- 또는 14C-농축 탄소에 의한 대체를 포함한 본 발명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분석 도구로서, 생물학적 검정에서의 프로브로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측정가능한 친화도" 및 "측정가능하게 억제하다"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조성물 및 PAD4를 포함하는 샘플과 상기 화합물 또는 그의 조성물의 부재 하에 PAD4를 포함하는 동등한 샘플 사이의 PAD4 활성에서의 측정가능한 변화를 의미한다.
3. 예시적인 화합물의 설명
한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학식 I-i, I-ii, II-i, 또는 I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각각의 L, R1, R2, R3, R4, R5, Rx 및 Ry는 본원에 정의되고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공된 화합물은 I-69, I-76 또는 I-114 이외의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공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표 2에 도시된 화합물 이외의 것이다.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R1은 수소, 또는 지방족, 페닐,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임의로 치환된 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지방족 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S(CH3),
Figure pct00004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R2는 수소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메틸, 에틸,
Figure pct00005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L은 공유 결합 또는 C1-6 2가 탄화수소 쇄이며 여기서 L의 1 또는 2개의 메틸렌 단위는 임의로 및 독립적으로 -C(O)-, -C(O)NH-, -NHC(O)-, 또는 -S(O)2-에 의해 대체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L은 공유 결합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L은 C1-6 2가 탄화수소 쇄이며 여기서 L의 1 또는 2개의 메틸렌 단위는 임의로 및 독립적으로 -C(O)-, -C(O)NH-, -NHC(O)-, 또는 -S(O)2-에 의해 대체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L은
Figure pct00006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L은
Figure pct00007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L은
Figure pct00008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L은
Figure pct00009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L은
Figure pct00010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L은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R3은 수소 또는 고리 A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은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은 고리 A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은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리 A는 3-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카르보시클릭 고리, 페닐,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5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8-10원 비시클릭 헤테로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리 A는 3-7원 모노시클릭 포화 카르보시클릭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리 A는 임의로 치환된 3-7원 모노시클릭 부분 불포화 카르보시클릭 고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리 A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 고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리 A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리 A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리 A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5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8-10원 비시클릭 헤테로방향족 고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리 A는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리 A는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R4는 R 또는 -C(O)OR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R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메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C(O)OR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C(O)OCH3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3개의 플루오린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1-3개의 플루오린으로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은 메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은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R5는 수소 또는 CN이거나, 또는: R5 및 R4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5 및 R3은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5는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5는 CN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5 및 R4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5 및 R3은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5는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융합된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각각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융합된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13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14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15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16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17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18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19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20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21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22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23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24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25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26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27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28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029
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x 및 Ry와 이들의 개재 원자는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a 또는 II-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30
여기서 각각의 R1, R2, R4, R5, 고리 A, Rx, 및 Ry는 단독으로 및 조합으로 둘 다에서, 상기 정의되고 본원의 실시양태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II-a, III-b, III-c, III-d, III-e, III-f, III-g, III-h, IV-a, IV-b, IV-c, IV-d, IV-e, IV-f, IV-g 또는 IV-h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여기서 각각의 R1, R2, R3, R4, 및 R5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둘 다에서, 상기 정의되고 본원의 실시양태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표 1. 예시적인 화학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표 2. 화합물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및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단리된 형태의 상기 및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시스테인 잔기, Cys317을 갖는 PAD4를 포함하는 접합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Cys317은 PAD4의 억제가 유지되도록 억제제에 공유결합에 의해, 및 비가역적으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Cys317-개질기-억제제 모이어티
X
여기서:
Cys317은 PAD4의 시스테인 317이고;
개질기는 워헤드 기와 PAD4의 Cys317과의 공유 결합으로부터 생성된 2가 기이고;
워헤드 기는 PAD4의 Cys317에 공유 결합할 수 있는 관능기이고;
억제제 모이어티는 PAD4의 활성 부위에서 결합하는 모이어티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X의 접합체의 억제제 모이어티는 화학식 Y-a 또는 Y-b의 것이다.
Figure pct00065
여기서 파상 결합은 개질기를 통한 화학식 X의 접합체의 Cys317에 대한 부착 지점을 나타내고, 여기서 각각의 L, R1, R2, Rx, 및 Ry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a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66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 Rx, 및 Ry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b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67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및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c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68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d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69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e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70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f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71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g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72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I-a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73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 Rx, 및 Ry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I-b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74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및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I-c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75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I-d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76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I-e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77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I-f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78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XI-g의 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79
여기서 각각의 개질기, Cys317, L, R1, R2는 상기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다.
예시적인 개질기는 워헤드 기와 PAD4의 Cys317과의 공유 결합으로부터 생성된 임의의 2가 기를 포함한다. 하기 예시적인 개질기는 Cys317의 술프히드릴에 접합된 것으로 제시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표 3. Cys317에 접합된 예시적인
Figure pct00080
-L-개질기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Figure pct00085
4. 용도, 제제 및 투여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유도체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아주반트 또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화합물의 양은 생물학적 샘플 또는 환자에서 PAD4를 측정가능하게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정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화합물의 양은 생물학적 샘플 또는 환자에서 PAD4를 측정가능하게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정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조성물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 대한 투여를 위해 제제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자에 대한 경구 투여를 위해 제제화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대상체"는 용어 "환자"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 또는 환자는 인간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대상체 (또는 환자)는 수의학적 대상체 (또는 환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수의학적 대상체 (또는 환자)는 개, 고양이 또는 말 대상체이다.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아주반트 또는 비히클"은 그와 함께 제제화되는 화합물의 약리학적 활성을 파괴하지 않는 비-독성 담체, 아주반트 또는 비히클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아주반트 또는 비히클은 이온 교환체, 알루미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레시틴, 혈청 단백질, 예컨대 인간 혈청 알부민, 완충제 물질 예컨대 포스페이트, 글리신,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 글리세리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 예컨대 프로타민 술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염화나트륨, 아연 염, 콜로이드성 실리카, 삼규산마그네슘,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스계 물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양모 지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로, 비경구로, 흡입 스프레이에 의해, 국소로, 직장으로, 비강으로, 협측으로, 질로 또는 이식된 저장소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막내, 흉골내, 척수강내, 간내, 병변내 및 두개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경구로, 복강내로 또는 정맥내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멸균 주사가능한 형태는 수성 또는 유질 현탁액일 수 있다. 이들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멸균 주사가능한 제제는 또한 비-독성 비경구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 예를 들어 1,3-부탄디올 중 용액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 중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고정 오일은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포함한 임의의 무자극 고정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 및 그의 글리세리드 유도체는 주사제의 제조에 유용하고, 특히 그의 폴리옥시에틸화된 버전의 천연 제약상-허용되는 오일, 예컨대 올리브 오일 또는 피마자 오일도 유용하다. 이들 오일 용액 또는 현탁액은 또한 에멀젼 및 현탁액을 포함한 제약상 허용되는 투여 형태의 제제화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쇄 알콜 희석제 또는 분산제, 예컨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또는 유사한 분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예컨대 트윈(Tween), 스팬(Span) 및 다른 유화제,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고체, 액체 또는 다른 투여 형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생체이용률 증진제가 또한 제제화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또는 용액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경구로 허용되는 투여 형태로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사용을 위한 정제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는 락토스 및 옥수수 전분을 포함한다. 윤활제,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이 또한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캡슐 형태로의 경구 투여를 위해, 유용한 희석제는 락토스 및 건조 옥수수전분을 포함한다. 수성 현탁액이 경구 사용에 요구되는 경우에, 활성 성분은 유화제 및 현탁화제와 조합된다. 원하는 경우에, 특정 감미제, 향미제 또는 착색제가 또한 첨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은 실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체이며, 따라서 직장에서 용융되어 약물을 방출하는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작용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코코아 버터, 밀랍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또한, 특히 눈, 피부 또는 하부 장관의 질환을 포함한 치료 표적이 국소 적용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가능한 부위 또는 기관을 포함하는 경우에 국소로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국소 제제가 각각의 이들 부위 또는 기관에 대해 용이하게 제조된다.
하부 장관에 대한 국소 적용은 직장 좌제 제제 (상기 참조) 또는 적합한 관장제 제제로 실시될 수 있다. 국소-경피 패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국소 적용을 위해, 제공된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1종 이상의 담체 중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적합한 연고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국소 투여를 위한 담체는 미네랄 오일, 액체 페트롤라툼, 백색 페트롤라툼,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유화 왁스 및 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대안적으로, 제공된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중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적합한 로션 또는 크림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는 미네랄 오일,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세틸 에스테르 왁스, 세테아릴 알콜, 2-옥틸도데칸올, 벤질 알콜 및 물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안과 용도를 위해, 제공된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보존제 예컨대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등장성인 pH 조정된 멸균 염수 중 마이크로화 현탁액으로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등장성인 pH 조정된 멸균 염수 중 용액으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안과 용도를 위해,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연고로 예컨대 페트롤라툼 중에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또한 비강 에어로졸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제약 제제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되고, 벤질 알콜 또는 다른 적합한 보존제, 생체이용률을 증진시키기 위한 흡수 촉진제,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다른 통상적인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염수 중 용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해 제제화된다. 이러한 제제는 음식물과 함께 또는 음식물 없이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음식물 없이 투여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음식물과 함께 투여된다.
본 발명의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은 치료되는 감염의 중증도에 따라, 인간 및 다른 동물에게 경구로, 직장으로, 비경구로, 수조내로, 질내로, 복강내로, 국소로 (분말, 연고 또는 점적제에 의한 것으로서), 협측으로, 경구 또는 비강 스프레이 등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1일에 대상체 체중 기준 약 0.01 mg/kg 내지 약 50 mg/kg 및 바람직하게는 약 1 mg/kg 내지 약 25 mg/kg의 투여량 수준으로, 1일 1회 이상, 경구로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투여 형태는 제약상 허용되는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릭시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활성 화합물에 더하여, 액체 투여 형태는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예를 들어, 물 또는 다른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컨대 에틸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에틸 카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오일 (특히, 목화씨, 땅콩, 옥수수, 배아, 올리브, 피마자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그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도, 경구 조성물은 또한 아주반트 예컨대 습윤제, 유화제 및 현탁화제, 감미제, 향미제 및 퍼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가능한 제제, 예를 들어 멸균 주사가능한 수성 또는 유질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공지된 기술분야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멸균 주사가능한 제제는 또한, 비독성 비경구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 예를 들어 1,3-부탄디올 중 용액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 중에는 물, 링거액, U.S.P.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고정 오일이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포함한 임의의 무자극 고정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예컨대 올레산이 주사제의 제조에 사용된다.
주사가능한 제제는, 예를 들어 박테리아-보유 필터를 통한 여과에 의해, 또는 사용 전에 멸균수 또는 다른 멸균 주사가능한 매질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멸균 고체 조성물 형태에 멸균제를 혼입시킴으로써 멸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연장시키기 위해, 피하 또는 근육내 주사로부터의 화합물의 흡수를 늦추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이는 불량한 수용해도를 갖는 결정질 또는 무정형 물질의 액체 현탁액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화합물의 흡수 속도는 그의 용해 속도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또한 결정 크기 및 결정질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경구로 투여된 화합물 형태의 지연된 흡수는 화합물을 오일 비히클 중에 용해 또는 현탁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주사가능한 데포 형태는 생분해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락티드-폴리글리콜리드 중 화합물의 마이크로캡슐화 매트릭스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화합물 대 중합체의 비 및 사용되는 특정한 중합체의 성질에 따라, 화합물 방출의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생분해성 중합체의 예는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무수물)을 포함한다. 주사가능한 데포 제제는 또한 신체 조직과 상용성인 리포솜 또는 마이크로에멀젼 중에 화합물을 포획함으로써 제조된다.
직장 또는 질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주위 온도에서는 고체이지만 체온에서는 액체이며, 따라서 직장 또는 질강에서 용융되고 활성 화합물을 방출하는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 또는 담체 예컨대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좌제 왁스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좌제이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투여 형태는 캡슐, 정제, 환제, 분말 및 과립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체 투여 형태에서, 활성 화합물은 적어도 1종의 불활성,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 예컨대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인산이칼슘 및/또는 a) 충전제 또는 증량제 예컨대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글루코스, 만니톨 및 규산, b) 결합제 예컨대,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디논,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c) 함습제 예컨대 글리세롤, d) 붕해제 예컨대 한천--한천, 탄산칼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 실리케이트 및 탄산나트륨, e) 용해 지연제 예컨대 파라핀, f) 흡수 촉진제 예컨대 4급 암모늄 화합물, g) 습윤제 예컨대, 예를 들어, 세틸 알콜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h) 흡수제 예컨대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점토, 및 i) 윤활제 예컨대 활석,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및 그의 혼합물과 혼합된다. 캡슐, 정제 및 환제의 경우에, 투여 형태는 또한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유형의 고체 조성물은 또한 부형제 예컨대 락토스 또는 유당뿐만 아니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사용하여 연질 및 경질-충전 젤라틴 캡슐 내의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정제, 당의정, 캡슐, 환제 및 과립의 고체 투여 형태는 코팅 및 쉘 예컨대 장용 코팅 및 제약 제제화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다른 코팅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불투명화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고, 또한 활성 성분(들)을 단독으로, 또는 우선적으로, 장관의 특정 부분에서, 임의로, 지연된 방식으로 방출하는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포매 조성물의 예는 중합체 물질 및 왁스를 포함한다. 유사한 유형의 고체 조성물은 또한 부형제 예컨대 락토스 또는 유당뿐만 아니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사용하여 연질 및 경질-충전 젤라틴 캡슐 내의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은 또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부형제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캡슐화된 형태일 수 있다. 정제, 당의정, 캡슐, 환제 및 과립의 고체 투여 형태는 코팅 및 쉘 예컨대 장용 코팅, 방출 제어 코팅, 및 제약 제제화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다른 코팅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투여 형태에서 활성 화합물은 적어도 1종의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수크로스, 락토스 또는 전분과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형태는 또한 통상적인 실시와 같이, 불활성 희석제 이외의 추가의 물질, 예를 들어 정제화 윤활제 및 다른 정제화 보조제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미세결정질 셀룰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정제 및 환제의 경우에, 투여 형태는 또한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불투명화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고, 또한 활성 성분(들)을 단독으로, 또는 우선적으로, 장관의 특정 부분에서, 임의로, 지연된 방식으로 방출하는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포매 조성물의 예는 중합체 물질 및 왁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국소 또는 경피 투여를 위한 투여 형태는 연고, 페이스트, 크림, 로션, 겔, 분말, 용액, 스프레이, 흡입제 또는 패치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필요할 수 있는 경우에, 멸균 조건 하에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의 필요한 보존제 또는 완충제와 혼합된다. 안과용 제제, 점이제 및 점안제는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인 것으로 고려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화합물의 신체로의 제어 전달을 제공하는 부가된 이점을 갖는 경피 패치의 사용을 고려한다. 이러한 투여 형태는 화합물을 적절한 매질 중에 용해 또는 분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흡수 증진제는 또한 피부를 가로지르는 화합물의 유동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속도는 속도 제어 막을 제공하거나 또는 화합물을 중합체 매트릭스 또는 겔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조성물을 단일 투여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치료되는 숙주, 특정한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공된 조성물은 이들 조성물을 받는 환자에게 0.01 - 100 mg/kg 체중/일의 억제제의 투여량이 투여될 수 있도록 제제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의 다른 치료 화합물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가능한 조합 요법은 고정 조합물의 형태,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다른 치료 화합물을 교대로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투여하는 형태, 또는 고정된 조합물 및 1종 이상의 다른 치료 화합물의 조합 투여를 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게다가 또는 추가로, 특히 종양 요법을 위해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면역요법, 광선요법, 외과적 개입, 또는 이들의 조합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장기 요법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치료 전략과 관련하여 보조 요법과 동일하게 가능하다. 다른 가능한 치료는 종양 퇴행 후에 환자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요법,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위험이 있는 환자에서의 화학예방 요법이다.
이들 추가의 작용제는 다중 투여 요법의 일부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함유 조성물과 개별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 작용제는 단일 조성물로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혼합된 단일 투여 형태의 일부일 수 있다. 다중 투여 요법의 일부로서 투여되는 경우, 2종의 활성제는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서로 시간 기간을 두고, 통상적으로는 서로 5시간 이내에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조합", "조합된" 및 관련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제의 동시 또는 순차적 투여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 다른 치료제와 함께 개별 단위 투여 형태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또는 단일 단위 투여 형태로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추가의 치료제,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아주반트 또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단일 단위 투여 형태를 제공한다.
단일 투여 형태를 제조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추가의 치료제 둘 다의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추가의 치료제를 포함하는 이들 조성물 중) 양은 치료되는 숙주 및 특정한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0.01 - 100 mg/kg 체중/일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이 투여될 수 있도록 제제화되어야 한다.
추가의 치료제를 포함하는 이들 조성물에서, 그 추가의 치료제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승작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성물 중 추가의 치료제의 양은 오직 그 치료제만을 이용하는 단독요법에서 필요로 하는 것보다 더 적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추가의 치료제의 양은 그 치료제를 유일한 활성제로서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서 통상적으로 투여될 양 이하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 중 추가의 치료제의 양은 작용제를 유일한 치료 활성제로서 포함하는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양의 약 50% 내지 100% 범위일 것이다.
또한, 임의의 특정한 환자에 대한 구체적 투여량 및 치료 요법은 사용되는 구체적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전반적 건강, 성별, 식이, 투여 시간, 배출 속도, 약물 조합물, 및 치료 의사의 판단 및 치료되는 특정한 질환의 중증도를 포함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조성물 중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또한 조성물 중 특정한 화합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의 용도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및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PAD4의 억제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PAD4의 억제제로서 이용되는 화합물의 활성은 시험관내, 생체내 또는 세포주 내에서 검정될 수 있다. 시험관내 검정은 PAD4의 억제를 결정하는 검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PAD4의 억제제로서 이용되는 화합물을 검정하기 위한 상세한 조건은 하기 실시예에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공된 화합물은 PAD2에 비해 선택적으로 PAD4를 억제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 "치료하다" 및 "치료하는"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질환 또는 장애, 또는 그의 1종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의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그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1종 이상의 증상이 발생한 후에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증상의 부재 하에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는 증상의 발병 전에 (예를 들어, 증상의 병력에 비추어 및/또는 유전적 또는 다른 감수성 인자에 비추어) 감수성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치료는 또한 증상이 해결된 후에, 예를 들어 그의 재발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기 위해 계속될 수 있다.
제공된 화합물은 PAD4의 억제제이고, 따라서 PAD4의 활성과 연관된 1종 이상의 장애를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따라서,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PAD4-매개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AD4-매개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PAD4-매개 장애는 부적절한 PAD4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상태 또는 장애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PAD4-매개 장애는 류마티스 관절염, 혈관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궤양성 결장염, 암, 낭성 섬유증, 천식, 피부 홍반성 루푸스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부적절한 PAD4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는 류마티스 관절염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부적절한 PAD4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는 전신 루푸스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부적절한 PAD4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는 혈관염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부적절한 PAD4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는 피부 홍반성 루푸스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부적절한 PAD4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는 건선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혈관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궤양성 결장염, 암, 낭성 섬유증, 천식, 피부 홍반성 루푸스 또는 건선의 치료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그를 필요로 하는 인간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전신 루푸스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신 루푸스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혈관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혈관염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피부 홍반성 루푸스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홍반성 루푸스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건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선의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PAD4-매개 장애는 산-유발된 폐 손상, 여드름 (PAPA),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애디슨병, 부신 증식증, 부신피질 기능부전, 노화, AIDS, 알콜성 간염, 알콜성 간염, 알콜성 간 질환, 알레르겐 유발된 천식, 알레르기성 기관지폐, 아스페르길루스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탈모증, 알츠하이머병, 아밀로이드증,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및 체중 감소, 협심증, 혈관부종, 무한성 외배엽 이형성증-ID, 강직성 척추염, 앞 구역, 염증, 항인지질 증후군, 아프타성 구내염, 충수염, 관절염, 천식, 아테롬성동맥경화증, 아토피성 피부염, 자가면역 질환, 자가면역 간염, 벌 침-유발된 염증, 베체트병, 베체트 증후군, 벨 마비, 베릴륨중독증, 블라우 증후군, 골통, 세기관지염, 화상, 윤활낭염, 암, 심장 비대, 손목 터널 증후군, 이화 장애, 백내장, 뇌 동맥류, 화학적 자극-유발된 염증, 맥락망막염, 만성 심부전, 미숙아 만성 폐 질환,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결장염,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결합 조직 질환, 각막 궤양, 크론병, 크리오피린-연관 주기성 증후군, 크립토코쿠스증, 낭성 섬유증, 인터류킨-1-수용체 길항제의 결핍 (DIRA), 피부염, 피부염 내독소혈증, 피부근염, 미만성 내인성 뇌교 신경교종, 자궁내막증, 내독소혈증, 상과염, 적모구감소증, 가족성 아밀로이드성 다발신경병증, 가족성 한랭 두드러기, 가족성 지중해열, 태아 성장 지연, 녹내장, 사구체 질환, 사구체 신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이식편-대-숙주 질환, 장 질환, 두부 손상, 두통, 청각 상실, 심장 질환, 용혈성 빈혈, 헤노흐-쉔라인 자반증, 간염, 유전성 주기성 발열 증후군, 대상 포진 및 단순 포진, HIV-1, 호지킨병, 헌팅톤병, 유리질 막 질환, 고암모니아혈증, 고칼슘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회귀열을 동반한 고이뮤노글로불린혈증 D (HIDS), 형성부전성 및 다른 빈혈, 형성부전성 빈혈,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색소실조증, 감염성 단핵구증, 염증성 장 질환, 염증성 폐 질환, 염증성 신경병증, 염증성 통증, 곤충 교상-유발된 염증, 홍채염, 자극-유발된 염증, 허혈/재관류,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각막염, 신장 질환, 기생충 감염에 의해 유발된 신장 손상, 기생충 감염에 의해 유발된 신장 손상, 신장 이식 거부 프로필락시스, 렙토스피라증, 백혈병, 뢰플러 증후군, 폐 손상, 폐 손상, 루푸스, 루푸스, 루푸스 신염, 림프종, 수막염, 중피종, 혼합 결합 조직 질환, 머클-웰스 증후군 (두드러기 난청 아밀로이드증), 다발성 경화증, 근육 소모, 근육 이영양증, 중증 근무력증, 심근염, 균상 식육종, 균상 식육종, 골수이형성 증후군, 근염, 코 부비동염, 괴사성 소장결장염, 신생아 발병 다기관 염증성 질환 (NOMID), 신증후군, 신경염, 신경병리학적 질환, 비-알레르겐 유발된 천식, 비만, 안구 알레르기, 시신경염, 기관 이식, 골관절염, 중이염, 파제트병, 통증, 췌장염, 파킨슨병, 천포창, 심막염, 주기열, 치주염, 복막 자궁내막증, 백일해, 인두염 및 선염 (PFAPA 증후군), 식물 자극-유발된 염증, 폐렴, 폐장염, 폐포자충 감염, 덩굴 옻나무/ 우루시올 오일-유발된 염증, 결절성 다발동맥염, 다발연골염, 다낭성 신장 질환, 다발근염, 건선, 건선, 건선, 건선, 정신사회적 스트레스 질환, 폐 질환, 폐고혈압, 폐 섬유증, 괴저성 농피증, 화농성 무균 관절염, 신질환, 망막 질환, 류마티스성 심장염, 류마티스성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사르코이드증, 지루, 패혈증, 중증 통증, 겸상 적혈구, 겸상 적혈구성 빈혈, 실리카-유발된 질환, 쇼그렌 증후군, 피부 질환, 수면 무호흡, 고형 종양, 척수 손상,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졸중, 지주막하 출혈, 일광화상, 측두 동맥염, 건활막염, 혈소판감소증, 갑상선염, 조직 이식, TNF 수용체 연관 주기성 증후군 (TRAPS), 톡소플라스마증, 이식, 외상성 뇌 손상, 결핵,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궤양성 결장염, 두드러기, 포도막염 및 베게너 육아종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부적절한 PAD4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 혈관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궤양성 결장염, 암, 낭성 섬유증, 천식, 피부 홍반성 루푸스 또는 건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신 루푸스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혈관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 홍반성 루푸스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건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부적절한 PAD4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 혈관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궤양성 결장염, 암, 낭성 섬유증, 천식, 피부 홍반성 루푸스 또는 건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신 루푸스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혈관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 홍반성 루푸스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건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의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부적절한 PAD4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혈관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궤양성 결장염, 암, 낭성 섬유증, 천식, 피부 홍반성 루푸스 또는 건선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전신 루푸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혈관염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피부 홍반성 루푸스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공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건선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측면의 모든 특색은 모든 다른 측면에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적용한다.
본원에 기재된 발명이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실시예가 제시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 목적을 위한 것이고,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일반적 절차에 따라 제조된다. 일반적 방법이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의 합성을 도시하지만, 하기 일반적 방법 및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른 방법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모든 화합물 및 각각의 이들 화합물의 하위부류 및 종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정제용 HPLC 방법
염기성 HPLC 정제용 방법 A
칼럼: 엑스브리지(XBridge)™ 정제용 C18 10 um OBD™, 30 x 100 mm
이동상: 14분에 걸쳐 물 (0.2% 수산화암모늄) 중 5 - 95% 아세토니트릴 (0.2% 수산화암모늄)
유량: 40 ml/분
UV 검출: 215 및 254 nm
염기성 HPLC 정제용 방법 B
기기: 시마즈(Shimadzu) LC-20AP
칼럼: 페노메넥스 제미니(Phenomenex Gemini) C18 250 x 50mm x 10 μm
이동상: 28분에 걸쳐 물 (0.05% 수산화암모늄) 중 1 - 46% 아세토니트릴
유량: 120 ml/분
UV 검출: 220 및 254 nm
산성 HPLC 정제용 방법
칼럼: 선파이어(Sunfire)™ 정제용 C18 10 um OBD™, 30 x 100 mm
이동상: 14분에 걸쳐 물 (0.1% 포름산) 중 5 - 95%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
유량: 40 ml/분
UV 검출: 215 및 254 nm
분석용 LCMS 방법:
방법 A
MET/u-HPLC (저 pH MSQ1 7분 방법)
칼럼: 페노메넥스 키네텍스(Phenomenex Kinetex)-XB C18, 2.1 mm x 100 mm, 1.7 μm
유량: 0.6 ml/분
이동상: A, 포름산 (수성) 0.1% 및 B, 포름산 (MeCN) 0.1%
주입 부피: 3 μl
온도: 40℃
검출: 215 nm (공칭)
구배 시간 (분) -% B
0.00 - 5
5.30 - 100
5.80 - 100
5.82 - 5
방법 B
MET/CR/1600 (고 pH MS10 7분 방법)
칼럼: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2.0mm x 100mm, 3μm
유량: 0.5ml/분
이동상: A, HPLC 등급 물 pH10 중 2mM 중탄산암모늄
B, HPLC 등급 MeCN
주입 부피: 3 μl
온도: 50℃
검출: 215nm
구배 시간: (분) -%B
0.0 - 5
5.50 - 100
5.90 - 100
5.92 - 5
9.00 - 5
방법 C
METCR 1416 (저 pH 시마즈 7분 방법)
칼럼: 워터스 아틀란티스(Waters Atlantis) dC18, 2.1mm x 100mm, 3μm 칼럼
유량: 0.6 ml/분
이동상: A, 포름산 (수성) 0.1% 및 B, 포름산 (아세토니트릴) 0.1%
주입 부피: 3 μl
온도: 40℃
검출: 215 nm (공칭)
구배 시간 (분) -% B
0.00 - 5
5.00 - 100
5.40 - 100
5.42 - 5
방법 D
METCR 1410 (저 pH 시마즈 2분 방법)
칼럼: 키네텍스 코어-쉘(Kinetex Core-Shell) C18, 2.1mm x 50mm, 5μm 칼럼
유량: 1.2 ml/분
이동상: A, 포름산 (수성) 0.1% 및 B, 포름산 (아세토니트릴) 0.1%
주입 부피: 3 μl
온도: 40℃
검출: 215 nm (공칭)
구배 시간 (분) -% B
0.00 - 5
1.20 - 100
1.30 - 100
1.31 - 5
방법 E
MET/u-HPLC (고 pH MS16 7분 방법)
칼럼: 워터스 UPLC CSH C18, 2.1mm x 100mm 5μm 칼럼
유량: 0.6 ml/분
이동상: A, 수산화암모늄 (수성)으로 pH 10으로 조절된 2mM 중탄산암모늄, 및 B, 아세토니트릴
주입 부피: 3 μl
온도: 40℃
검출: 215 nm (공칭)
구배 시간 (분) -% B
0.00 - 5
5.30 - 100
5.80 - 100
5.82 - 5
방법 F
MET/CR/0990 (고 pH 3분 방법)
칼럼: 페노메넥스 제미니 C18, 2.0mm x 100mm, 3μm
유량: 1ml/분
이동상: A, HPLC 등급 물 pH10 중 2mM 중탄산암모늄
B, HPLC 등급 MeCN
주입 부피: 3 μl
온도: 60℃
검출: 215nm
구배 시간: (분) -%B
0.0- 1
1.80 - 100
2.10 - 100
2.30 - 1
방법 G
WUXIAB01.M
칼럼: 애질런트(Agilent) 5 TC-C18, 2.1*50mm, 5 μm
유량: 0.8 ml/분
이동상: A: 물 중 0.0375% TFA (v/v)
B: 아세토니트릴 중 0.01875% TFA (v/v)
온도: 50℃
검출: DAD (220 & 254 nm)
구배 시간 (분) -% B
0.0 - 10
0.40 - 10
3.40 - 100
3.90 - 100
3.91 - 10
4.00 - 10
4.50 - 10
방법 H
0-60AB_R_220&254.M
칼럼: 크로모리스(Chromolith)@플래쉬 RP-18E 25-2MM
유량: 1.5 ml/분
이동상: A: 물 중 0.0375% TFA (v/v)
B: 아세토니트릴 중 0.01875% TFA (v/v)
온도: 50℃
검출: DAD (220 & 254 nm)
구배 시간 (분) -% B
0.0 - 0
0.80 - 60
1.20 - 60
1.21 - 0
1.50 - 0
방법 I
5-95AB_R_220&254.M
칼럼: 크로모리스@플래쉬 RP-18E 25-2MM
유량: 1.5 ml/분
이동상: A: 물 중 0.0375% TFA (v/v)
B: 아세토니트릴 중 0.01875% TFA (v/v)
온도: 50℃
검출: DAD (220 & 254 nm)
구배 시간 (분) -% B
0.01 - 5
0.80 - 95
1.2 - 95
1.21 - 5
1.5 - 5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 내지 24에 따라 제조되었다.
실시예 1. 6-메틸-4-페닐-3-[(2E)-3-페닐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8의 합성
6-메틸-4-페닐-3-[(2E)-3-페닐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8) (EOAI3435746)을 반응식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Figure pct00086
반응식 1
Figure pct00087
2-벤조일-4-메틸아닐린 (EV-AS5441-001) - 단계 1
0℃에서 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 (CBME 중 1.6M, 14.2 ml, 22.7 mmol)의 용액에 THF (10 ml) 중 2-아미노-5-메틸벤조니트릴 (1 g, 7.6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용액을 실온으로 17시간에 걸쳐 천천히 가온되도록 하였다. 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의 추가의 부분 (CBME 중 1.6M, 7.0 ml, 11.3 m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갈색 용액을 빙조에서 냉각시키고, 수성 HCl 용액 (1M, 30 ml)으로 처리하고, 에테르 (2 x 25 ml)로 추출하였다. 생성물이 이제 전부 수성 층에 존재하므로 유기 추출물을 버렸다. 수성 추출물을 포화 NaHCO3 용액을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1.09 g (65%)의 2-벤조일-4-메틸아닐린 (EV-AS5441-001)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19분, M/z = 211.9 (M + 1).
3-아세틸-6-메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S5446-002) - 단계 2
DMF (2 ml) 중 2-벤조일-4-메틸아닐린 (EV-AS5441-001, 250 mg, 1.12 mmol)의 용액에 에틸 3-옥소부타노에이트 (213 μl, 1.69 mmol) 및 4A° 분자체 (60 m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고,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하에 16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베이지색 분말을 수득하였다. EtOAc를 사용하여 연화처리하고, Et2O로 세척하여 311mg (66%)의 3-아세틸-6-메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S5446-002)을 연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10분, M/z = 277.9 (M + 1).
6-메틸-4-페닐-3-[(2E)-3-페닐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8) (EV-AS5450-002) - 단계 3
0℃에서 EtOH/물 (2:1, 3 ml) 중 3-아세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S5446-002, 43 mg, 0.155 mmol)의 용액에 수산화칼륨 (85%, 256 mg, 9.015 mmol)을 첨가하고, 용액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벤즈알데히드 (16 μl, 0.15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고, 실온으로 2시간에 걸쳐 가온되도록 하였다. 현탁액을 아세트산 (0.25 ml)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밝은 황색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에 이어서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6 mg (74%)의 6-메틸-4-페닐-3-[(2E)-3-페닐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8) (EV-AS5450-002)을 연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54분, M/z = 366.1 (M + 1).
반응식 1에 대한 특수한 사례
실시예 2. 6-플루오로-4-페닐-3-[(2E)-3-(피리다진-4-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의 합성
6-플루오로-4-페닐-3-[(2E)-3-(피리다진-4-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 (EOAI3459010)을 반응식 1.1에 따른 대안적 알돌 조건을 사용하여 반응식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1
Figure pct00088
6-플루오로-4-페닐-3-[(2E)-3-(피리다진-4-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 (EV-AX1202-001) - 단계 1
무수 DCM (3 ml) 중 3-아세틸-6-플루오로-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2982-001, 120 mg, 0.43 mmol)의 차가운 (0℃) 현탁액에 TiCl4 (DCM 중 1M, 469.28 μl, 0.47 mmol)를 적가하여 암갈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DIPEA (85.46 μl, 0.49 mmol)를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였으며, 이때 혼합물이 연기를 내뿜고 진오렌지색으로 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무수 DCM (1 ml) 중 피리다진-4-카르브알데히드 (55.34 mg, 0.51 mmol)의 용액을 이어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밤새 가온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10 ml) 및 물 (1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수집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어서, 잔류물을 염기성 HPLC 정제용 방법 A에 의해 정제하고, 관련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10.3 mg (6.5%)의 6-플루오로-4-페닐-3-[(2E)-3-(피리다진-4-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 (EV-AX1202-001)을 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59분, M/z = 372.1 (M + 1).
실시예 3.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22의 합성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22) (EOAI3447163)을 반응식 1.2에 따른 대안적 알돌 조건을 사용하여 반응식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2
Figure pct00089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22) (EV-AR9068-002) - 단계 1
Ba(OH)2 (95%, 137 mg, 0.76 mmol)에 물 (120 μl), 및 메탄올 (2 ml) 중 피리미딘-5-카르브알데히드 (164.23 mg, 1.52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에 메탄올 (6 ml) 중 3-아세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R9030-002, 200 mg, 0.76 mmol)을 10분에 걸쳐 적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아세트산 (6 ml)으로 켄칭하고, DCM (60 ml)으로 희석하고, 물 (3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부를 DCM (2 x 6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부를 합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염기성 정제용 HPLC 방법 A에 의해 정제하고, 관련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120mg (45%)의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22) (EV-AR9068-002)을 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96분, M/z = 354.2 (M + 1).
실시예 4. 3-[(2E)-3-시클로헥실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27의 합성
3-[(2E)-3-시클로헥실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27) (EOAI3442130)을 반응식 1.3에 따른 대안적 알돌 조건을 사용하여 반응식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3
Figure pct00090
3-[(2E)-3-시클로헥실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27) (EV-AT8317-002) - 단계 1
시클로헥산카르브알데히드 (2 ml, 16.51 mmol) 중 3-아세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R9022-001, 100 mg, 0.38mmol)의 용액을 피롤리딘 (15.6 μl, 0.19 mmol)으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하에 150℃에서 75분 동안 가열하였다. 더 많은 피롤리딘 (15.6 μl, 0.1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갈색 용액을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EtOAc로 2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에 이어서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이동성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물질을 산성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고, 관련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3-[(2E)-3-시클로헥실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42 mg (31%) (I-127) (EV-AT8317-002)을 분홍색빛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86분, M/z = 358.2 (M + 1)
실시예 5. 6-메틸-4-페닐-3-(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3의 합성
6-메틸-4-페닐-3-(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3) (EOAI3440735)을 반응식 1.4에 따른 대안적 알돌 조건을 사용하여 반응식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4
Figure pct00091
6-메틸-4-페닐-3-(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R9018-002) - 단계 1
무수 THF (4 ml) 중 3-아세틸-6-메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100 mg, 0.36 mmol) 및 파라포름알데히드 (43.31 mg, 1.44 mmol)의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암모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77.61 mg, 0.36 mmol) 및 TFA (2.76 μl, 0.0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밀봉하고, 15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2 당량의 파라포름알데히드로 재처리하고, 150℃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산성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메틸-4-페닐-3-(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3) (EV-AR9018-002) (22 mg, 20%)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93분, M/z = 290 (M + 1).
실시예 6. 3-[(1E)-3-옥소-3-(2-옥소-4-페닐-1,2-디히드로-1,7-나프티리딘-3-일)프로프-1-엔-1-일]벤조니트릴, I-32의 합성
3-[(1E)-3-옥소-3-(2-옥소-4-페닐-1,2-디히드로-1,7-나프티리딘-3-일)프로프-1-엔-1-일]벤조니트릴 (I-32)을 반응식 1.5에 따른 대안적 알돌 조건을 사용하여 반응식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5
Figure pct00092
3-[(1E)-3-옥소-3-(2-옥소-4-페닐-1,2-디히드로-1,7-나프티리딘-3-일)프로프-1-엔-1-일]벤조니트릴 (EW3861-144) - 단계 1
MeOH (10.00 ml) 중 3-아세틸-4-페닐-1,2-디히드로-1,7-나프티리딘-2-온 (1.00 g, 3.78 mmol)의 용액에 3-포르밀벤조니트릴 (545.24 mg, 4.16 mmol) 및 소듐 메톡시드 (408.39 mg, 7.5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50 ml) 및 DCM (50 ml)을 용액에 첨가한 다음, DCM (2 x 5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염기성 HPLC 정제용 방법 B에 의해 정제하였다. 아세토니트릴을 진공 하에 제거한 후에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3-[(1E)-3-옥소-3-(2-옥소-4-페닐-1,2-디히드로-1,7-나프티리딘-3-일)프로프-1-엔-1-일]벤조니트릴 (EW3861-144) (217mg, 14%)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G): 체류 시간 2.74분, M/z = 378 (M + 1).
실시예 7.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1,6-나프티리딘-2-온, I-90의 합성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1,6-나프티리딘-2-온 (I-90) (EOAI3454392)을 반응식 1.6에 따라 합성된 3-벤조일피리딘-4-아민 (EV-AT1790-001)을 통해 반응식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6
Figure pct00093
3-벤조일피리딘-4-아민 (EV-AT1790-001) - 단계 1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4-아미노피리딘-3-카르보니트릴 (500 mg, 4.2 mmol), 페닐보론산 (1023.6 mg, 8.4 mmol), Pd(TFA)2 (69.8 mg, 0.2 mmol), 5,5'-디메틸-2,2'-비피리딘 (58 mg, 0.3 mmol), 메탄술폰산, 70% 수성 (70%, 5762.7 mg, 42 mmol), 2-메틸-THF (10 ml) 및 물 (5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N2 하에 8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 NaHCO3 (수성)으로 중화시키고, EtOAc (2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조 황색 오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 중 0-2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501 mg (60%)의 3-벤조일피리딘-4-아민 (EV-AT1790-001)을 백색 결정질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B): 체류 시간 1.40분, M/z = 199.2 (M + 1).
실시예 8. 4-(4-메틸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96의 합성
4-(4-메틸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96) (EOAI3452879)을 반응식 1.7에 따라 합성된 3-아세틸-4-(4-메틸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50-002)을 통해 반응식 1.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7
Figure pct00094
2-[비스(메틸술파닐)메틸리덴]-3-옥소-N-페닐부탄아미드 (EV-AT8342-001) - 단계 1
DMF (100 ml) 중 3-옥소-N-페닐부탄아미드 (CAS 102-01-2, 18 g, 101.58 mmol)의 교반 용액에 탄산칼륨 (42.12 g, 304.74 mmol)에 이어서 N,N,N-트리부틸부탄-1-아미늄 브로마이드 (2.85 ml, 10.16 mmol)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메탄디티온 (6.14 ml, 101.58 mmol)을 1 부분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메틸술페이트 (21.19 ml, 223.48 mmol)를 30분에 걸쳐 조금씩 첨가하고,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생성된 고체를 빙냉 메탄올 (2 x 30 ml)로 세척하면서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31g (정량적)의 2-[비스(메틸술파닐)메틸리덴]-3-옥소-N-페닐부탄아미드 (EV-AT8342-001)를 백색 결정질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06분, M/z = 282 (M + 1).
3-아세틸-4-(메틸술파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49-001) - 단계 2
오르토디클로로벤젠 (20 ml) 중 2-[비스(메틸술파닐)메틸리덴]-3-옥소-N-페닐부탄아미드 (EV-AT8342-001, 5.0 g, 17.8 mmol)의 교반 현탁액을 1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Et2O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49 g (84.2%)의 3-아세틸-4-(메틸술파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49-001)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88분, M/z = 234 (M + 1).
3-아세틸-4-(4-메틸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50-002) - 단계 3
무수 THF (5 ml) 중 3-아세틸-4-(메틸술파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49-001, 240 mg, 1.03 mmol), (4-메틸페닐)보론산 (95%, 161.95 mg, 1.13 mmol) 및 구리(I)-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97%, 262.91 mg, 1.34 mmol)의 교반 현탁액을 질소의 스트림을 통해 탈기시켰다.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59.44 mg, 0.0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의 스트림을 통해 추가로 탈기시킨 다음, 5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에테르 (30 ml) 및 수성 암모니아 (10%, 30 ml)로 희석하였다. 현탁액을 규조토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물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수성부가 무색이 될 때까지 추가의 수성 암모니아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EtOAc로 연화처리하여 105 mg (36.8%)의 3-아세틸-4-(4-메틸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50-002)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99분, M/z = 278 (M + 1).
실시예 9. 3-[(2E)-3-(4-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4-메틸-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2의 합성
3-[(2E)-3-(4-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4-메틸-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2) (EOAI3440972)을 반응식 1.8에 따라 합성된 3-아세틸-4-메틸-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R9022-001)을 통해 반응식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8
Figure pct00095
3-아세틸-4-메틸-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R9022-001) - 단계 1
DMF (15 ml) 중 1-(2-아미노페닐)에탄-1-온 (CAS 551-93-9, 899.28 μl, 7.4 mmol) 및 에틸 3-옥소부타노에이트 (1.4 ml, 11.1 mmol)의 혼합물에 4A 분자체 (230 mg, 23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80℃에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에틸 3-옥소부타노에이트 (0.5 ml, 36.9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80℃에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고체를 뜨거운 MeOH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이어서,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1.21 g (76.4%)의 3-아세틸-4-메틸-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R9022-00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99분, M/z = 202 (M + 1).
실시예 10. 3-[(2E)-3-(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4의 합성
3-[(2E)-3-(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34) (EOAI3440972)을 반응식 1.9에 따라 합성된 3-아세틸-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Q3892-001)을 통해 반응식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9
Figure pct00096
3-아세틸-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Q3892-001) - 단계 1
DMF (10 ml) 중 2-아미노벤즈알데히드 (CAS 529-23-7, 900 mg, 7.43 mmol), 에틸 3-옥소부타노에이트 (1409.48 μl, 11.14 mmol) 및 4A 분자체 (378 mg)의 용액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8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동안 베이지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생성된 현탁액을 에테르로 희석하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1300 mg (93.5%)의 3-아세틸-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Q3892-001)을 베이지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92분, M/z = 188 (M + 1).
실시예 11. (2E)-1-(4-페닐퀴놀린-3-일)-3-(피리딘-2-일)프로프-2-엔-1-온, I-147의 합성
(2E)-1-(4-페닐퀴놀린-3-일)-3-(피리딘-2-일)프로프-2-엔-1-온 (I-147) (EOAI3452072)을 반응식 1.10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10
Figure pct00097
에틸 4-페닐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EV-AV1518-001) - 단계 1
에틸 4-클로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CAS 13720-94-0, 450 mg, 1.91 mmol), 페닐보론산 (349.23 mg, 2.86 mmol) 및 탄산칼륨 (791.7 mg, 5.73 mmol)을 DMF (15 ml) 중에서 합하였다. 용액을 질소를 사용하여 철저히 탈기시킨 후, 1,1'-비스(디페닐포스파닐)페로센 디클로로팔라듐 (1:1) (139.72 mg, 0.19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11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물 및 EtOAc로 희석하고, 규조토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수성 상을 EtOAc로 세척하고, 합한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2-100% EtOAc/헵탄)에 의해 정제하여 370 mg (60.4%)의 에틸 4-페닐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EV-AV1518-001)를 담분홍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25분, M/z = 278 (M + 1).
4-페닐퀴놀린-3-카르복실산 (EV-AV1520-001) - 단계 2
수산화리튬 (270.70 mg, 11.08 mmol)을 THF (3 ml) 및 물 (3 ml) 중 에틸 4-페닐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320 mg, 1.10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1M 수성 HCl (12 ml)을 사용하여 산성화시켰으며, 이때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이어서, 반응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고체를 진공 오븐에서 17시간 동안 건조시켜 750 mg (정량적)의 4-페닐퀴놀린-3-카르복실산 (EV-AV1520-00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98분, M/z = 250 (M + 1).
N-메톡시-N-메틸-4-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EV-AV1522-002) - 단계 3
DMF (2 ml) 중 4-페닐퀴놀린-3-카르복실산 (EV-AV1520-001, 37%, 750 mg, 1.11 mmol), HATU (825.44 mg, 2.17 mmol) 및 DIPEA (465.39 μl, 2.67 mmol)의 교반 용액에 메톡시(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79.18 mg, 1.84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산성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고, 습윤 분획을 진공 하에 부분적으로 농축시켰다. 나머지 수성 혼합물을 NaHCO3 (수성)으로 중화시키고, DCM (3 x 1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수집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119 mg (36.6%)의 N-메톡시-N-메틸-4-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EV-AV1522-002)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06분, M/z = 293 (M + 1).
1-(4-페닐퀴놀린-3-일)에탄-1-온 (EV-AV1523-001) - 단계 4
0℃에서 질소 하에 무수 THF (3 ml) 중 N-메톡시-N-메틸-4-페닐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EV-AV1521-001 및 EV-AV1522-002, 152 mg, 0.52 mmol)의 교반 용액에 Et2O 중 3M 브로모(메틸)마그네슘 (173.32 μl, 0.5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Et2O 중 3M 브로모(메틸)마그네슘 (86.66 μl, 0.2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NaHCO3 (수성, 1 ml)으로 켄칭한 다음, EtOAc (50 ml) 및 물 (50 ml)로 희석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2 x 15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부를 염수 (2 x 50 ml)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2-100% EtOAc/헵탄)에 의해 정제하여 98.9 mg (76.1%)의 1-(4-페닐퀴놀린-3-일)에탄-1-온 (EV-AV1523-001)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14분, M/z = 248 (M + 1).
(2E)-1-(4-페닐퀴놀린-3-일)-3-(피리딘-2-일)프로프-2-엔-1-온 (I-147) (EV-AV1524-001) - 단계 5
MeOH (1 ml) 중 피리딘-2-카르브알데히드 (106.02 mg, 0.99 mmol)의 용액을 물 (0.08 ml) 중 바륨 디히드록시드 (95%, 71.41 mg, 0.4 mmol)의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MeOH (5 ml) 중 1-(4-페닐퀴놀린-3-일)에탄-1-온 (98.9 mg, 0.4 mmol)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pH 5.5로 산성화시키고, DCM 및 물로 희석하였다. 수성 층을 DCM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산성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분획을 밤새 동결 건조시켜 16.4 mg (11.6%)의 (2E)-1-(4-페닐퀴놀린-3-일)-3-(피리딘-2-일)프로프-2-엔-1-온 (I-147) (EV-AV1524-001)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23분, M/z = 337 (M + 1).
실시예 12. 1-(2-히드록시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71 및 (2E)-1-[2-(2-히드록시에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0의 합성
1-(2-히드록시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71) (EOAI3454965) 및 (2E)-1-[2-(2-히드록시에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0) (EOAI3454966)을 반응식 1.1에 따라 합성된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9700-001)을 통해 반응식 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
Figure pct00098
1-{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1541-001) 및 (2E)-1-(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EV-AV1541-002) - 단계 1
DMF (무수, 3 ml) 중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9700-001, 200 mg, 0.57 mmol)의 용액에 (2-브로모에톡시)(tert-부틸)디메틸실란 (145.72 μl, 0.68 mmol) 및 K2CO3 (93.86 mg, 0.6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60℃에서 2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25 ml)로 희석하고, EtOAc (25 ml)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수성 층을 EtOAc (3 x 25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헵탄 중 20 - 10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종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황색 고체로서의 145 mg (47.1%)의 1-{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1541-001).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43분, M/z = 512 (M + 1). 및 백색 고체로서의 38.5 mg (12.9%)의 (2E)-1-(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EV-AV1451-002).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57분, M/z = 512 (M + 1).
1-(2-히드록시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71)(EV-AV1546-001) - 단계 2
MeOH 중 0.5M 염화수소 (1500 μl)를 1-{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1541-001, 130 mg, 0.239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잔류물을 포화 NaHCO3을 사용하여 (pH 7.5로) 중화시킨 다음, 물 (60 ml)과 DCM (6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어서, 물질을 아세토니트릴: 물 (1:1, 4 ml)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 건조시켜 75 mg (77.4%)의 1-(2-히드록시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71)(EV-AV1546-001)을 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53분, M/z = 398 (M + 1).
(2E)-1-[2-(2-히드록시에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0) (EV-AV1547-002) - 단계 3
MeOH 중 0.5M 염화수소 (1500 μl)를 (2E)-1-(2-{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EV-AV1541-002, 38 mg, 0.072 mmol)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잔류물을 포화 NaHCO3을 사용하여 (pH 7.5로) 중화시킨 다음, 물 (30 ml)과 DCM (3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염기성 HPLC 정제용 방법 A에 의해 정제하고, 분획을 동결 건조시켜 5.2 mg (52.6%)의 (2E)-1-[2-(2-히드록시에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0) (EV-AV1547-002)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06분, M/z = 398 (M + 1).
반응식 2에 대한 특수한 사례
실시예 13. 3-{6-플루오로-2-옥소-4-페닐-3-[(2E)-3-(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1-일}프로판니트릴, I-22의 합성
3-{6-플루오로-2-옥소-4-페닐-3-[(2E)-3-(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1-일}프로판니트릴 (I-22) (EOAI3458671)을 반응식 2.1에 따른 대안적 알킬화 조건을 사용하여 반응식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1
Figure pct00099
3-{6-플루오로-2-옥소-4-페닐-3-[(2E)-3-(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1-일}프로판니트릴 (EV-AT8369-002) - 단계 1
탄산세슘 (123 mg, 0.38 mmol)을 DMF (1 ml) 중 6-플루오로-4-페닐-3-[(2E)-3-(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66-003, 50 mg, 0.1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60분 동안 교반한 후, 3-브로모프로판니트릴 (22.47 μl, 0.2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이어서 5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3-브로모프로판니트릴 (11 μl, 0.13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50℃에서 3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추가의 3-브로모프로판니트릴 (11 μl, 0.13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탄산세슘 (62 mg, 0.19 mmol) 및 3-브로모프로판니트릴 (11 μl, 0.13 mmol)로 재처리하고, 50℃에서 3시간 동안 계속해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 (x2)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갈색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7 mg (44%)의 3-{6-플루오로-2-옥소-4-페닐-3-[(2E)-3-(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1-일}프로판니트릴 (I-22) (EV-AT8369-002)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82분, M/z = 424.2 (M + 1).
실시예 14. 1-(2-메톡시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81 및 (2E)-1-[2-(2-메톡시에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4의 합성
1-(2-메톡시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81) (EOAI3454650) 및 (2E)-1-[2-(2-메톡시에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4) (EOAI3454651)을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를 통해 합성된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9700-001)을 통해 반응식 2.2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2
Figure pct00100
1-(2-메톡시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81) (EV-AV-1536-001) 및 (2E)-1-[2-(2-메톡시에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4) (EV-AV1536-002) - 단계 1
NaH (16.3 mg, 0.68 mmol)가 들은 플라스크에 무수 DMF (3 ml) 중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9700-001, 200 mg, 0.57 mmol)의 용액 및 1-브로모-2-메톡시에탄 (105 μl, 1.1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3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25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오렌지색 오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산성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오렌지색 고체 (EV-AV1536-001) 및 회백색 고체 (EV-AV1536-002)를 수득하였다. 생성물을 아세토니트릴/물 중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1-(2-메톡시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81) (EV-AV1536-001) (87.3 mg, 36.4%)을 연분홍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99분, M/z = 412 (M + 1). 및 회백색 고체로서의 (2E)-1-[2-(2-메톡시에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4)(EV-AV1536-002) (34.2 mg, 14.4%).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60분, M/z = 412 (M + 1).
실시예 15. (2E)-1-(2-메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딘-2-일)프로프-2-엔-1-온, I-145의 합성
(2E)-1-(2-메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딘-2-일)프로프-2-엔-1-온 (I-145) (EOAI3452070)을 반응식 1.2에 따라 합성된 4-페닐-3-[(2E)-3-(피리딘-2-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1787-002)을 통해 반응식 2.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3
Figure pct00101
(2E)-1-(2-메톡시-4-페닐퀴놀린-3-일)-3-(피리딘-2-일)프로프-2-엔-1-온 (I-145) (EV-AT1788-001) - 단계 1
무수 THF (2ml) 중 4-페닐-3-[(2E)-3-(피리딘-2-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100 mg, 0.28 mmol)의 현탁액에 메탄올 (34.44 μl, 0.85 mmol), 트리페닐포스핀 (0.22 g, 0.85 mmol) 및 DIAD (0.17 ml, 0.85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DCM (2 x 1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증발 건조시키고, 정제를 산성 HPLC 정제용 방법에 의해 수행하여 1-메틸-4-페닐-3-[(2E)-3-(피리딘-2-일)프로프-2-에노일]- 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45) (EV-AT1788-001) (17 mg, 16%)을 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13분, M/z = 367 (M + 1).
실시예 16. 1-메틸-4-페닐-3-[(2E)-3-(피리딘-2-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19의 합성
1-메틸-4-페닐-3-[(2E)-3-(피리딘-2-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19) (EOAI3447733)을 반응식 2.4에 따라 합성된 3-아세틸-1-메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R9073-001)을 통해 반응식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4
Figure pct00102
3-아세틸-1-메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R9073-001) - 단계 1
무수 아세토니트릴 (30 ml) 중 3-아세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1 g, 3.8 mmol)의 현탁액에 HMDS (500 μl, 2.39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3.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클로로(클로로메틸)디메틸실란 (500.42 μl, 3.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의 클로로(클로로메틸)디메틸실란 (100 μl, 0.76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반응물을 8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고체를 무수 2-메톡시에틸 에테르 (디글림) (30 ml) 중에 현탁시키고, 플루오린화세슘 (807.72 mg, 5.32 mmol)으로 처리하고, 1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빙조에서 냉각시키고, 물 (100 ml)로 켄칭하고, 빙조에서 밤새 정치되도록 두었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여 3-아세틸-1-메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R9073-001) (923 mg, 79%)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09분, M/z = 278 (M + 1).
실시예 17. 1-시클로프로필-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83의 합성
1-시클로프로필-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83) (EOAI3454648)을 반응식 1.1에 따라 합성된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9700-002)을 통해 반응식 2.5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5
Figure pct00103
1-시클로프로필-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83) (EV-AU9351-001) - 단계 1
DCE (2 ml) 중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100 mg, 0.28 mmol), 아세트산구리 (II) (55 mg, 0.3 mmol), 2,2'-비피리딘 (47.29 mg, 0.3 mmol), Na2CO3 (68.08 mg, 0.64 mmol) 및 시클로프로필보론산 (54.69 mg, 0.64 mmol)의 혼합물을 80℃에서 4.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15ml) 및 포화 수성 NH4Cl (10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수집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산성 HPLC 정제용 방법에 의해 정제하고, 목적 분획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1-시클로프로필-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83) (EV-AU9351-001) (54 mg, 48%)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07분, M/z = 394 (M + 1).
실시예 18. (2E)-1-[4-페닐-2-(프로프-2-엔-1-일옥시)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2의 합성
(2E)-1-[4-페닐-2-(프로프-2-엔-1-일옥시)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2) (EOAI3454809)을 반응식 1.1에 따라 합성된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9700-002)을 통해 반응식 2.6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6
Figure pct00104
(2E)-1-[4-페닐-2-(프로프-2-엔-1-일옥시)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2) (EV-AU9349-001) - 단계 1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50 mg, 0.14 mmol), 아이오딘화구리 (5.39 mg, 0.03 mmol), L-프롤린 (6.52 mg, 0.06 mmol) 및 K2CO3 (39.11 mg, 0.28 mmol)을 반응 용기에 첨가하였다. 용기를 질소 분위기 하에 두고, 무수 DMSO (1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90℃로 가열하고, 브로모시클로프로판 (22.6 μl, 0.2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90℃에서 6.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물 (3ml) 및 EtOAc (5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수집하고, 염수 (3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어서, 잔류물을 산성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목적 분획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2E)-1-[4-페닐-2-(프로프-2-엔-1-일옥시)퀴놀린-3-일]-3-(피리미딘-5-일)프로프-2-엔-1-온 (I-142) (EV-AU9349-001) (22 mg, 39.5%)을 연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95분, M/z = 394 (M + 1).
실시예 19. 6-플루오로-1-(2-메탄술포닐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2의 합성
6-플루오로-1-(2-메탄술포닐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2) (EOAI3458988)을 반응식 2.7에 따른 대안적 알킬화 조건을 사용하여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7
Figure pct00105
6-플루오로-1-(2-메탄술포닐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2) (EV-AV1589-002) - 단계 1
DMF (3 ml) 중 6-플루오로-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150 mg, 0.37 mmol)에 (메틸술포닐)에텐 (39 μL, 0.45 mmol) 및 탄산칼륨 (77 mg, 0.5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이어서 100℃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80℃로 다시 냉각시켰다. 추가의 (메틸술포닐)에텐 (20 μL, 0.22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메틸술포닐)에텐 (20 μL, 0.22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탄산칼륨 (38 mg, 0.28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물 (25 ml)을 사용하여 켄칭하고, 생성물을 DCM 중 10% MeOH (25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수성 상을 DCM 중 10% MeOH (3 x 25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플루오로-1-(2-메탄술포닐에틸)-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2) EV-AV1589-002) (10 mg, 5%)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80분, M/z = 478 (M + 1).
실시예 20. 6-플루오로-1-(2-히드록시-2-메틸프로필)-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1의 합성
6-플루오로-1-(2-히드록시-2-메틸프로필)-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1) (EOAI3458989)을 반응식 2.8에 따른 대안적 알킬화 조건을 사용하여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8
Figure pct00106
6-플루오로-1-(2-히드록시-2-메틸프로필)-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1) (EV-AV1590-003) - 단계 1
DMF (3 ml) 중 6-플루오로-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200 mg, 0.54 mmol)의 용액에 2,2-디메틸옥시란 (57.39 μL, 0.65 mmol) 및 탄산칼륨 (89.32 mg, 0.6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2,2-디메틸옥시란 (25 μ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2,2-디메틸옥시란 (25 μ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산성 정제용 HPLC를 사용하여 정제하여 6-플루오로-1-(2-히드록시-2-메틸프로필)-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1) (EV-AV1590-003) (5.1 mg, 2%)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94분, M/z = 444 (M + 1).
실시예 21. 3-[(2E)-3-{6-[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6-플루오로-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4의 합성
3-[(2E)-3-{6-[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6-플루오로-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4) (EOAI3459612)을 반응식 3에 따라 합성된 6-[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2012-001)를 통해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3
Figure pct00107
6-[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2012-001) - 단계 1
DMF (3 ml) 중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234.54 μL, 2.33 mmol)의 교반 용액에 KOtBu (285.38 mg, 2.5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6-클로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300 mg, 2.1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농축시킴으로써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 (20 ml)와 물 (2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20 ml)로 세척한 다음, 유기부를 합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헵탄 중 50-100% EtOAc에 이어서 EtOAc 중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6-[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2012-001) (347 mg, 67%)를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는 실행하지 않음.
실시예 22. 4-페닐-3-[(2E)-3-(4-{2-[2-(프로프-2-인-1-일옥시)에톡시]에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09의 합성
4-페닐-3-[(2E)-3-(4-{2-[2-(프로프-2-인-1-일옥시)에톡시]에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09) (EOAI3450857)을 반응식 4에 따라 합성된 4-{2-[2-(프로프-2-인-1-일옥시)에톡시]에톡시}벤즈알데히드 (EV-AV1503-001)를 통해 반응식 1.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4
Figure pct00108
1-클로로-2-[2-(프로프-2-인-1-일옥시)에톡시]에탄 (EV-AU9309-001) - 단계 1
수소화나트륨 (60%, 642.17 mg, 16.06 mmol)을 THF (25ml) 중에 현탁시키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0℃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2-(2-클로로에톡시)에탄-1-올 (847.46 μl, 8.03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78℃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3-브로모프로프-1-인 (1073.03 μl, 9.6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한 다음, 환류 하에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DCM (30ml)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이어서 물 (25ml)을 첨가하였다. 유기 층을 수집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갈색 액체를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DCM)에 의해 정제하여 1-클로로-2-[2-(프로프-2-인-1-일옥시)에톡시]에탄 (EV-AU9309-001) (630 mg, 47.3%)을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는 실행하지 않음.
4-{2-[2-(프로프-2-인-1-일옥시)에톡시]에톡시}벤즈알데히드 (EV-AV1503-001) - 단계 2
K2CO3 (452.68 mg, 3.28 mmol)을 실온에서 DMF (1 ml) 중 4-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200 mg, 1.64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1-클로로-2-[2-(프로프-2-인-1-일옥시)에톡시]에탄 (319.58 mg, 1.97 mmol)을 DMF (1 ml) 중에 용해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가열하고, 2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나머지 용액을 EtOAc 및 물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EtOAc로 1회 세척하고, 합한 유기 상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오렌지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정제를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하여 4-{2-[2-(프로프-2-인-1-일옥시)에톡시]에톡시}벤즈알데히드 (EV-AV1503-001) (312 mg, 77%)를 황색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03분, M/z = 249 (M + 1).
실시예 23. 2-({5-[(1E)-3-(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옥소프로프-1-엔-1-일]피리딘-2-일}옥시)아세토니트릴, I-5의 합성
2-({5-[(1E)-3-(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옥소프로프-1-엔-1-일]피리딘-2-일}옥시)아세토니트릴 (I-5) (EOAI3459416)을 반응식 5에 따라 합성된 2-[(5-포르밀피리딘-2-일)옥시]아세토니트릴 (EV-AX2009-001)을 통해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5
Figure pct00109
2-[(5-포르밀피리딘-2-일)옥시]아세토니트릴 (EV-AX2009-001) - 단계 1
헵탄 (10 ml) 중 6-히드록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300 mg, 2.44 mmol)의 교반 현탁액에 브로모아세토니트릴 (329.91 μL, 4.87 mmol)에 이어서 탄산은 (806.34 mg, 2.9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50℃에서 7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농축시킴으로써 제거한 다음, 이것을 규조토의 작은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EtOAc (2 x 25 ml)로 세척하고, 또한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헵탄 중 0-6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26 mg (31%)의 2-[(5-포르밀피리딘-2-일)옥시]아세토니트릴 (EV-AX2009-001)을 무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데이터는 기록되지 않음.
실시예 24. 6-플루오로-3-[(2E)-3-[6-(3-히드록시프로폭시)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43의 합성
6-플루오로-3-[(2E)-3-[6-(3-히드록시프로폭시)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43) (EOAI3460909)을 반응식 6에 따라 합성된 6-(3-히드록시프로폭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1229-001)를 통해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6
Figure pct00110
6-(3-히드록시프로폭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1229-001) - 단계 1
THF (5 ml, 무수) 중 6-히드록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200 mg, 1.63 mmol), 프로판-1,3-디올 (349.97 μL, 4.87 mmol) 및 PPh3 (553.93 mg, 2.11 mmol)의 차가운 (-20℃) 용액에 DIAD (415.82 μL, 2.11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생성된 잔류물을 물 (50 ml)과 EtOAc (50 ml) 사이에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수집하고, 수성 층을 EtOAc (2 x 5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헵탄 중 20-10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6-(3-히드록시프로폭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1229-001) (62 mg, 8%)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90분, M/z = 182 (M + 1).
실시예 25. 2-{5-[(1E)-3-(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옥소프로프-1-엔-1-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1-일}아세토니트릴, I-16의 합성
2-{5-[(1E)-3-(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옥소프로프-1-엔-1-일]-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1-일}아세토니트릴 (I-16) (EOAI3458842)을 반응식 7에 따라 합성된 2-[(5-포르밀피리딘-2-일)옥시]아세토니트릴 (EV-AU9388-001)을 통해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7
Figure pct00111
2-[(5-포르밀피리딘-2-일)옥시]아세토니트릴 (EV-AU9388-001) - 단계 1
질소 하에 DMF (10 ml) 중 6-히드록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250 mg, 2.03 mmol)의 교반 용액에 K2CO3 (561.31 mg, 4.06 mmol)에 이어서 클로로아세토니트릴 (153.95 μl, 2.44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 (30 ml)와 물 (25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추가로 EtOAc (2 x 15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부를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헵탄 중 0-6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5-포르밀-2-옥소-1,2-디히드로피리딘-1-일)아세토니트릴 (EV-AU9388-001) (164 mg, 44.8%)을 연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는 정치 시에 고체화되었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31분, M/z = 163 (M + 1).
실시예 26. 6-플루오로-3-[(2E)-3-{1-[2-(모르폴린-4-일)에틸]-6-옥소-1,6-디히드로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41의 합성
6-플루오로-3-[(2E)-3-{1-[2-(모르폴린-4-일)에틸]-6-옥소-1,6-디히드로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41) (EOAI3460911)을 반응식 8에 따라 합성된 1-[2-(모르폴린-4-일)에틸]-6-옥소-1,6-디히드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2039-001)를 통해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8
Figure pct00112
1-[2-(모르폴린-4-일)에틸]-6-옥소-1,6-디히드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2039-001) - 단계 1
질소 하에 DMF (5 ml) 중 6-히드록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250 mg, 2.03 mmol)의 교반 용액에 탄산세슘 (1984.94 mg, 6.09 mmol)에 이어서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1) (453.45 mg, 2.4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EtOAc (50 ml) 및 포화 NaHCO3 (50 ml)으로 희석하였다. 수성 상을 EtOAc (2 x 50 ml)로 세척하고, 합한 유기부를 물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연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DCM (25 ml)을 첨가하여 황색 용액 중 무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1-[2-(모르폴린-4-일)에틸]-6-옥소-1,6-디히드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2039-001) (438 mg, 64%)를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22분, M/z = 237 (M + 1).
실시예 27. 6-플루오로-3-[(2E)-3-[6-옥소-1-(프로프-2-인-1-일)-1,6-디히드로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60의 합성
6-플루오로-3-[(2E)-3-[6-옥소-1-(프로프-2-인-1-일)-1,6-디히드로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60) (EOAI3460132)을 반응식 9에 따라 합성된 6-옥소-1-(프로프-2-인-1-일)-1,6-디히드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2024-001)를 통해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9
Figure pct00113
6-(프로프-2-인-1-일옥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2024-001) - 단계 1
IPA (5 ml) 및 물 (0.5 ml) 중 6-히드록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CAS 106984-91-2, 300 mg, 3.66 mmol) 및 NaOH (116.96 mg, 2.92 mmol)의 용액을 8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3-브로모프로프-1-인 (407.15 μl, 3.66 mmol, 톨루엔 중 80%)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8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 (15 ml)와 물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10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부를 물 (15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헵탄 중 0-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39 mg (60.9%)의 6-옥소-1-(프로프-2-인-1-일)-1,6-디히드로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EV-AX2024-001)를 연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61분, M/z = 162 (M + 1).
실시예 28. 3-[(2E)-3-{4-[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1,7-나프티리딘-2-온, I-31의 합성
3-[(2E)-3-{4-[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1,7-나프티리딘-2-온 (I-31)을 반응식 10에 따라 합성된 4-[2-(디메틸아미노)에톡시]벤즈알데히드 (EW3861-140)를 통해 반응식 1.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0
Figure pct00114
4-[2-(디메틸아미노)에톡시]벤즈알데히드 (EW3861-140) - 단계 1
아세토니트릴 (8.00 ml) 중 화합물 3 (750.00 mg, 2.34 mmol)의 용액에 디메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229.07 mg, 2.81 mmol) 및 K2CO3 (1.62 g, 11.70 mmol, 5.00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PE:EA=1:1~DCM:MeOH=20:1)에 의해 정제하여 4-[2-(디메틸아미노)에톡시]벤즈알데히드 (EW3861-140) (260mg, 57%)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H): 체류 시간 0.36분, M/z = 194 (M + 1).
실시예 29. 3-[(2E)-3-[4-(2-메톡시에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1,7-나프티리딘-2-온, I-35의 합성
3-[(2E)-3-[4-(2-메톡시에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1,7-나프티리딘-2-온 (I-35) (EOAI3462950)을 반응식 11에 따라 합성된 4-(2-메톡시에톡시)벤즈알데히드 (EW3861-115)를 통해 반응식 1.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1
Figure pct00115
4-(2-메톡시에톡시)벤즈알데히드 (EW3861-115) - 단계 1
DMF (15 ml) 중 4-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500.00 mg, 4.09 mmol)의 용액에 1-브로모-2-메톡시-에탄 (682.16 mg, 4.91 mmol, 460.92 ul) 및 K2CO3 (1.13 g, 8.1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20 ml)에 부은 다음, EA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 (3 x 20 ml)로 세척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4-(2-메톡시에톡시)벤즈알데히드 (EW3861-115) (620 mg, 74%)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I): 체류 시간 0.62분, M/z = 181 (M + 1).
실시예 30. 4-페닐-3-[(2E)-3-(피리딘-2-일)부트-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15의 합성
4-페닐-3-[(2E)-3-(피리딘-2-일)부트-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15) (EOAI3449029)을 반응식 1에 따라 합성된 3-아세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R9057-002)을 통해 반응식 1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2
Figure pct00116
4-페닐-3-{1-[(트리메틸실릴)옥시]에테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U1158-001) - 단계 1
-78℃에서 무수 DCM (5 ml) 중 3-아세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R9057-002, 300 mg, 1.139 mmol)의 용액에 Et3N (317 μl, 2.279 mmol) 및 TMSOTf (227 μl, 1.25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Et3N (317 μl, 2.279 mmol) 및 TMSOTf (227 μl, 1.253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NaHCO3 (10 ml)으로 희석하고, 수성 층을 DCM (2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383 mg (80.2%)의 4-페닐-3-{1-[(트리메틸실릴)옥시]에테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U1158-001)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데이터는 기록되지 않음.
4-페닐-3-[(2E)-3-(피리딘-2-일)부트-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15) (EV-AU1156-002) - 단계 2
DCM (4 ml) 중 4-페닐-3-{1-[(트리메틸실릴)옥시]에테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U1158-001, 80%, 382 mg, 0.911 mmol)의 용액에 1M TiCl4 (2 ml, DCM 중)에 이어서 1-(피리딘-2-일)에탄-1-온 (121 mg, 1.002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TFAA (127 μl, 0.911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253 μl, 1.822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피리딘-2-일)에탄-1-온의 추가의 부분 (121 mg, 1.002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피리딘-2-일)에탄-1-온의 추가의 부분 (121 mg, 1.002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NH4Cl (10 ml)로 켄칭하고, 유기 층을 DCM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산성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28 mg (8.1%)의 4-페닐-3-[(2E)-3-(피리딘-2-일)부트-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115) (EV-AU1156-002)을 오렌지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22분, M/z = 367 (M + 1).
실시예 31. (2E)-2-[(E)-6-메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보닐]-3-(피리딘-3-일)프로프-2-엔니트릴, I-117의 합성
(2E)-2-[(E)-6-메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보닐]-3-(피리딘-3-일)프로프-2-엔니트릴 (I-117) (EOAI3447739)을 반응식 13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3
Figure pct00117
2-벤조일-4-메틸아닐린 (EV-AQ3873-001) - 단계 1
Et2O 중 3M 브로모(페닐)마그네슘의 용액 (22.7 ml)에 무수 THF (30 ml) 중 2-아미노-5-메틸벤조니트릴 (CAS 5925-93-9, 3 g, 22.7 mmol)의 용액을 0.5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빙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빙조에서 냉각시키고, 1M 수성 HCl (9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Et2O (4 x 100 ml)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1M 수성 HCl (40 ml), 물 (2 x 30 ml), 포화 NaHCO3 (40 ml) 및 염수 (40 ml)로 세척한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5008 mg (정량적)의 2-벤조일-4-메틸아닐린 (EV-AQ3873-001)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데이터는 기록되지 않음.
에틸 2-[(2-벤조일-4-메틸페닐)카르바모일]아세테이트 (EV-AQ3875-001) - 단계 2
에틸 3-클로로-3-옥소프로파노에이트 (1.45 ml, 11.36 mmol)를 DCM (15 ml) 중 2-벤조일-4-메틸아닐린 (EV-AQ3873-001, 2 g, 9.47 mmol) 및 DIPEA (1620.6 μl, 9.47 mmol)의 차가운 (0℃) 용액에 질소 분위기 하에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교반하고, 실온으로 1시간에 걸쳐 가온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켜 3.5 g (정량적)의 에틸 2-[(2-벤조일-4-메틸페닐)카르바모일]아세테이트 (EV-AQ3875-001)를 암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20분, M/z = 326 (M + 1).
에틸 6-메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EV-AQ3877-001 - 단계 3
EtOH (20 ml) 중 에틸 2-[(2-벤조일-4-메틸페닐)카르바모일]아세테이트 (EV-AQ3875-001, 3.08 g, 9.47 mmol)의 용액을 에탄올레이트 (95%, 898.04 mg, 18.93 mmol)로 처리하고,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로 켄칭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M 수성 HCl을 사용하여 pH 6으로 산성화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에 이어서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2.21 g (76%)의 에틸 6-메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EV-AQ3877-001)를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16분, M/z = 308 (M + 1).
3-(6-메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옥소프로판니트릴 (EV-AT8332-001) - 단계 4
질소 하에 THF (10 ml) 중 n-부틸리튬 (헥산 중 2.5M, 572.65 μl, 1.43 mmol)의 차가운 (-78℃) 용액을 아세토니트릴 (74.77 μl, 1.43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THF (5 ml) 중 에틸 6-메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EV-AQ3877-001, 194.17 μl, 0.65 mmol)의 용액을 1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78℃로 냉각시키고, n-부틸리튬 (2.5M, 572.65 μl, 1.43 mmol)으로 처리하고, 차가운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아세토니트릴 (74.77 μl, 1.43 mmol)을 첨가하였다. 교반을 -78℃에서 1시간 동안 계속한 다음, 실온으로 2시간에 걸쳐 가온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을 -78℃로 냉각시키고, n-부틸리튬 (2.5M, 572.65 μl, 1.43 mmol)으로 처리하고, 차가운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아세토니트릴 (74.77 μl, 1.4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밤새 천천히 가온되도록 하였다. 용액을 물로 켄칭하고, EtOAc로 2회 세척하였다. 수성부를 2M 수성 HCl을 사용하여 pH 1로 산성화시켜 침전물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에 이어서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30분 동안 건조시켜 135 mg (68.6%)의 3-(6-메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옥소프로판니트릴 (EV-AT8332-001)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13분, M/z = 303 (M + 1).
(2E)-2-[(E)-6-메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보닐]-3-(피리딘-3-일)프로프-2-엔니트릴 (I-117) (EV-AT8340-002) - 단계 5
DCM (1 ml) 중 3-(6-메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옥소프로판니트릴 (EV-AT8332-001, 49 mg, 0.17 mmol)의 용액을 피리딘-3-카르브알데히드 (1.5ml, 16.54 mmol)에 이어서 Et3N (2.31 μl, 0.02 mmol) 및 4A 분자체 (49.62 mg, 0.17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조 물질을 산성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분획을 동결 건조시켜 34.5 mg (53.3%)의 (2E)-2-[(E)-6-메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보닐]-3-(피리딘-3-일)프로프-2-엔니트릴 (I-117) (EV-AT8340-002)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04분, M/z = 392 (M + 1).
실시예 32. 2-옥소-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6-카르보니트릴, I-26의 합성
2-옥소-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6-카르보니트릴 (I-26) (EOAI3458414)을 반응식 14에 따라 합성된 3-아세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6-카르보니트릴 (EV-AU9376-001)을 통해 반응식 1.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4
Figure pct00118
3-아세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6-카르보니트릴 (EV-AU9376-001) - 단계 1
시안화구리 (26.17 mg, 0.29 mmol)를 NMP (1 ml) 중 3-아세틸-6-브로모-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 (EV-AU1553-002, 100 mg, 0.29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160℃에서 1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EtOAc (30 ml)로 희석하였다. 1M NaOH 중 EDTA의 10% 용액 (수성, 3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EtOAc (2 x 3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어서, 잔류물을 산성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28 mg (33.2%)의 3-아세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6-카르보니트릴 (EV-AU9376-001)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03분, M/z = 289 (M + 1).
실시예 33. 3-[(2E)-3-(5-아미노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28 및 3-[5-(5-브로모피리딘-3-일)-1H-1,2,3-트리아졸-4-카르보닐]-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27의 합성
3-[(2E)-3-(5-아미노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28) (EOAI3455783) 및 3-[5-(5-브로모피리딘-3-일)-1H-1,2,3-트리아졸-4-카르보닐]-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27) (EOAI3455886)을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를 통해 합성된 3-[(2E)-3-(5-브로모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1559-001)을 통해 반응식 15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5
Figure pct00119
3-[(2E)-3-(5-아미노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28) (EV-AT8363-002) 및 3-[5-(5-브로모피리딘-3-일)-1H-1,2,3-트리아졸-4-카르보닐]-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27) (EV-AT8363-003) - 단계 1
EtOH/물 (4 ml, 7:3) 중 3-[(2E)-3-(5-브로모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1559-001, 200 mg, 0.46 mmol)의 용액을 L-프롤린 (11.78 μl, 0.14 mmol), 수산화나트륨 (2.61 μl, 0.14 mmol), 아이오딘화구리(1+) (8.83 mg, 0.05 mmol) 및 아지드화나트륨 (32.66 μl, 0.93 mmol)으로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두고, 95℃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6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고,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부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조 물질을 염기성 정제용 HPLC 방법 A에 의해 정제하여 11 mg (6.5%)의 3-[(2E)-3-(5-아미노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28) (EV-AT8363-002)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1.95분, M/z = 368 (M + 1), 및 무색 고체로서의 6 mg (2.7%)의 3-[5-(5-브로모피리딘-3-일)-1H-1,2,3-트리아졸-4-카르보닐]-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27) (EV-AT8363-003).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99분, M/z = 472 및 474 (M + 1).
실시예 34. 6-플루오로-4-페닐-3-[(E)-2-(피리미딘-5-일)에텐술포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62의 합성
6-플루오로-4-페닐-3-[(E)-2-(피리미딘-5-일)에텐술포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62) (EOAI3459236)을 반응식 16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6
Figure pct00120
N-(2-벤조일-4-플루오로페닐)-2-메탄술포닐아세트아미드 (EV-AT8374-001) - 단계 1
THF (5 ml) 중 2-벤조일-4-플루오로아닐린 (EV-AT8373-001, 500 mg, 2.32 mmol) 및 (메틸술포닐)아세트산 (353.02 mg, 2.56 mmol)의 현탁액을 EtOAc 중 T3P 50% (3.4 ml, 5.81 mmol)에 이어서 DIPEA (1.01 ml, 5.81 mmol)로 처리하고, 생성된 적색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 (x2)로 추출하였다. 유기부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진공 하에 증발시켜 837 mg (정량적)의 N-(2-벤조일-4-플루오로페닐)-2-메탄술포닐아세트아미드 (EV-AT8374-001)를 황색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04분, M/z = 336 (M + 1).
6-플루오로-3-메탄술포닐-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75-001) - 단계 2
질소 분위기 하에 건조 메탄올 (4 ml) 중 N-(2-벤조일-4-플루오로페닐)-2-메탄술포닐아세트아미드 (EV-AT8374-001, 200 mg, 0.6 mmol)의 용액을 소듐 메탄올레이트 (0.06 g, 1.19 mmol)로 처리하고, 생성된 황색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HCl (1M, 0.6 ml, 0.6 mmol)로 처리하고,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116 mg (61.3%)의 6-플루오로-3-메탄술포닐-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75-00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01분, M/z = 318 (M + 1).
6-플루오로-4-페닐-3-[(E)-2-(피리미딘-5-일)에텐술포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79-001) - 단계 3
질소 분위기 하에 건조 THF (5 ml) 중 6-플루오로-3-메탄술포닐-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75-001, 200 mg, 0.63 mmol)의 차가운 (0℃) 용액을 1.6M n-부틸리튬 (1260.5 μl)으로 적가 처리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진적색 물질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디에틸 포스포로클로리데이트 (109 ul, 0.76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이것을 - 78℃로 냉각시키고, 고체로서의 피리미딘-5-카르브알데히드 (68.1mg, 0.63 mmol)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밤새 천천히 가온되도록 하였다. 용액을 NH4Cl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고, EtOAc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부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조 물질을 SCX-II 칼럼에 통과시키고 (암모니아 메탄올 중에 용리된 생성물), 잔류물을 산성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 분획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고체를 EtOAc로 연화처리하고,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11.2 mg (4.4%)의 6-플루오로-4-페닐-3-[(E)-2-(피리미딘-5-일)에텐술포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I-62)(EV-AT8379-001)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65분, M/z = 408 (M + 1).
실시예 35. 4-(피페리딘-1-일)-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93의 합성
4-(피페리딘-1-일)-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I-93) (EOAI3454070)을 반응식 17에 따라 합성된 4-페닐-3-[(2E)-3-(피리미딘-5-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V9700-002)을 통해 반응식 1.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7
Figure pct00121
3-아세틸-4-메탄술피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51-001) - 단계 1
아세트산 (25 ml) 중 3-아세틸-4-(메틸술파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44-001 (반응식 1.7), 500 mg, 2.14 mmol)의 현탁액을 과산화수소 (35%, 656 μl, 7.5 mmol)로 처리하고,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2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빙수 (40 ml)를 첨가하고, 반응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3회)으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포화 NaHCO3 (2회), 포화 티오황산나트륨 (2회)으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300 mg (56.1%)의 3-아세틸-4-메탄술피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51-001)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84분, M/z = 250 (M + 1).
3-아세틸-4-(피페리딘-1-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53-002) - 단계 2
피페리딘 (1 ml) 중 3-아세틸-4-메탄술피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51-001, 50 mg, 0.2 mmol)의 용액을 5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하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생성된 검을 에테르/헵탄으로 연화처리하여 38 mg (70.1%)의 3-아세틸-4-(피페리딘-1-일)-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T8353-002)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91분, M/z = 271 (M + 1).
실시예 36. 6-메틸-4-페닐-3-[(2E)-3-(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1,8-나프티리딘-2-온, I-47의 합성
6-메틸-4-페닐-3-[(2E)-3-(피리딘-3-일)프로프-2-에노일]-1,2-디히드로-1,8-나프티리딘-2-온 (I-47) (EOAI3458842)을 반응식 18에 따라 합성된 2-아미노-5-메틸피리딘-3-카르보니트릴 (EW4396-16-P1A)을 통해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8
Figure pct00122
2-아미노-5-메틸피리딘-3-카르보니트릴 (EW4396-16-P1A) - 단계 1
t-BuOH (40.00 ml) 및 H2O (40.00 ml) 중 3-브로모-5-메틸-피리딘-2-아민 (10.00 g, 53.46 mmol)의 용액에 K4[Fe(CN)6].3H2O (27.10 g, 64.15 mmol), DBU (4.07 g, 26.73 mmol, 4.03 ml) 및 Pd(PPh3)4 (3.09 g, 2.67 mmol)를 N2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로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CM (150 ml) 및 H2O (150 ml)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DCM (3 x 50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PE:EA=10:1~3:1)에 의해 정제하여 2-아미노-5-메틸피리딘-3-카르보니트릴 (3.80 g, 5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데이터는 기록되지 않음.
실시예 37. 4-페닐-3-[(2E)-3-(피리딘-2-일)프로프-2-에노일]-1H,2H,5H,6H,7H-시클로펜타[b]피리딘-2-온, I-149의 합성
4-페닐-3-[(2E)-3-(피리딘-2-일)프로프-2-에노일]-1H,2H,5H,6H,7H-시클로펜타[b]피리딘-2-온 (I-149) (EOAI3447589)을 반응식 19에 따라 합성된 3-아세틸-4-페닐-1H,2H,5H,6H,7H-시클로펜타[b]피리딘-2-온 (EV-AR9063-001)을 통해 반응식 1.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19
Figure pct00123
2-옥소-4-페닐-1H,2H,5H,6H,7H-시클로펜타[b]피리딘-3-카르보니트릴 (EV-AR9058-003) - 단계 1
DMF (10 ml) 중 시클로펜타논 (CAS 120-92-3, 2.11 ml, 23.78 mmol), 벤즈알데히드 (CAS 100-52-7, 4.85 ml, 47.55 mmol) 및 에틸 2-시아노아세테이트 (CAS 105-56-6, 5.06 ml, 47.55 mmol)의 혼합물에 아세트산암모늄 (6183.95 μl, 95.1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물 (100 ml) 및 DCM (200 ml)으로 희석하였다. 수성 층을 추가의 DCM (200 ml)으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헵탄 중 50-100% EtOAc에 이어서 EtOAc 중 0-4% MeOH)에 의해 정제하고, 생성된 고체를 진공 오븐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켜 2-옥소-4-페닐-1H,2H,5H,6H,7H-시클로펜타[b]피리딘-3-카르보니트릴 (EV-AR9058-003) (0.85 g, 15%)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01분, M/z = 237 (M + 1).
3-아세틸-4-페닐-1H,2H,5H,6H,7H-시클로펜타[b]피리딘-2-온 (EV-AR9063-001) - 단계 2
빙조에 들은 THF (10 ml) 중 2-옥소-4-페닐-1H,2H,5H,6H,7H-시클로펜타[b]피리딘-3-카르보니트릴 (EV-AR9058-003, 400 mg, 1.69 mmol)의 용액에 디에틸 에테르 중 3M 브로모(메틸)마그네슘 (1.13 ml)을 1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17시간에 걸쳐 가온되도록 하였다. 디에틸 에테르 중 추가의 3M 브로모(메틸)마그네슘 (1.13 ml)을 적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에틸 에테르 중 추가의 3M 브로모(메틸)마그네슘 (1.13 ml)을 적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빙조에서 냉각시키고, 1M HCl (30 ml)로 켄칭하고, 디에틸 에테르 (40 ml) 및 DCM (50 ml)으로 희석하였다. 수성 상을 DCM (2 x 50 ml)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3-아세틸-4-페닐-1H,2H,5H,6H,7H-시클로펜타[b]피리딘-2-온 (EV-AR9063-001) (270 mg, 63%)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00분, M/z = 254 (M + 1).
실시예 38. 3-[(2E)-3-(4-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피리딘-2-온, I-148의 합성
3-[(2E)-3-(4-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피리딘-2-온 (I-148) (EOAI3442255)을 반응식 20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0
Figure pct00124
3-아세틸-4-페닐-1,2-디히드로피리딘-2-온 (EV-AR9049-003) - 단계 1
THF (10 ml) 중 2-옥소-4-페닐-1,2-디히드로피리딘-3-카르보니트릴 (CAS 14045-37-5, 500 mg, 2.55 mmol)의 용액에 3M 브로모(메틸)마그네슘 이온 디에틸 에테르 (1.7 ml)를 1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1M 수성 HCl 10 ml로 켄칭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도록 두었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 (4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부를 1M HCl (100 ml), 물 (100 ml), 포화 NaHCO3 (100 ml) 및 염수 (100 ml)로 세척한 다음,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아세트산 (1 ml)을 함유하는 1:1 MeOH:1M HCl (30ml) 중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나머지 수성 부분을 DCM (2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380 mg (69.9%)의 3-아세틸-4-페닐-1,2-디히드로피리딘-2-온 (EV-AR9049-002)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90분, M/z = 214 (M + 1). 수성 층을 NaHCO3 (포화)을 사용하여 pH 7로 중화시키고, DCM (20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3-아세틸-4-페닐-1,2-디히드로피리딘-2-온 (EV-AR9049-003) (155 mg, 29%)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0.88분, M/z = 214 (M + 1).
3-[(2E)-3-(4-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피리딘-2-온 (I-148) (EV-AR9055-002) - 단계 2
EtOH (4 ml) 중 3-아세틸-4-페닐-1,2-디히드로피리딘-2-온 (EV-AR9049-003, 100 mg, 0.47 mmol)의 현탁액에 물 (3 ml) 중 수산화칼륨 (85%, 123.82 mg, 1.88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4-메톡시벤즈알데히드 (62.77 μl, 0.52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수산화칼륨 (85%, 650.06 mg, 9.85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약간 산성이 될 때까지 아세트산으로 켄칭한 다음, 5M HCl (2 ml, 수성)을 침전물이 형성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고체를 여과한 다음, 염기성 HPLC 정제용 방법 A에 의해 정제하였다. 분획을 동결 건조시켜 3-[(2E)-3-(4-메톡시페닐)프로프-2-에노일]-4-페닐-1,2-디히드로피리딘-2-온 (I-148) (EV-AR9055-002) (43mg, 33%)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70분, M/z = 332 (M + 1).
실시예 39. 5-[(1E)-3-{6-플루오로-1-[2-(모르폴린-4-일)에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옥소프로프-1-엔-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I-58의 합성
5-[(1E)-3-{6-플루오로-1-[2-(모르폴린-4-일)에틸]-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옥소프로프-1-엔-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I-58) (EOAI3460299)을 반응식 21에 따라 합성된 3-아세틸-6-플루오로-1-[2-(모르폴린-4-일)에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X2030-001)을 통해 반응식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1
Figure pct00125
3-아세틸-6-플루오로-1-[2-(모르폴린-4-일)에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X2030-001) 단계 1
DMF (5 ml) 중 3-아세틸-6-플루오로-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W8535-002, 500 mg, 1.78 mmol)의 교반 용액에 탄산세슘 (2027.1 mg, 6.22 mmol) 및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1) (496.16 mg, 2.67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의 탄산세슘 (868.76 mg, 2.67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3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물을 EtOAc (30 ml) 및 물 (30 ml)로 희석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3 x 25 ml)로 세척하고, 합한 유기부를 물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염기성 HPLC 정제용 방법 A에 의해 정제하여 3-아세틸-6-플루오로-1-[2-(모르폴린-4-일)에틸]-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X2030-001) (338 mg, 48%)을 무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03분, M/z = 395 (M + 1).
실시예 40. (2E)-N-(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페닐프로프-2-엔아미드, I-59의 합성
(2E)-N-(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페닐프로프-2-엔아미드 (I-59) (EOAI3460298)를 반응식 2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2
Figure pct00126
2-벤조일-4-플루오로아닐린 (EV-AX2021-001/-002) - 단계 1
2-메틸-THF (25 ml) 및 물 (25 ml) 중 2-아미노-5-플루오로벤조니트릴 (5000 mg, 36.73 mmol), 페닐보론산 (4926.41 mg, 40.4 mmol), 5,5'-디메틸-2,2'-비피리딘 (406.03 mg, 2.2 mmol) 및 메탄술폰산 (38.2 ml, 367.31 mmol)의 교반 용액을 질소로 15분 동안 플러싱하였다. 이어서, Pd(TFA)2 (488.44 mg, 1.47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수성 NaHCO3을 사용하여 pH 8 (~180 ml)로 켄칭하고, EtOAc (200 ml)를 첨가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3 x 75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부를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헵탄 중 0-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조일-4-플루오로아닐린 (EV-AX2021-001) (2305 mg, 29%)을 밝은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혼합된 분획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헵탄 중 0-30% EtOAc)에 의해 재정제하여 추가의 2-벤조일-4-플루오로아닐린 (EV-AX2021-002) (1377 mg, 17%)을 밝은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16분, M/z = 216 (M + 1).
tert-부틸 N-{[(2-벤조일-4-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메틸}카르바메이트 (EV-AX1245-001) - 단계 2
THF (2 ml, 무수) 중 2-벤조일-4-플루오로아닐린 (200 mg, 0.93 mmol) 및 N-(tert-부톡시카르보닐)글리신 (179.07 mg, 1.02 mmol)의 교반 현탁액에 EtOAc 중 T3P 50% (1368.87 μL, 2.32 mmol)에 이어서 DIPEA (404.66 μL, 2.32 mmol)를 첨가하여 진오렌지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25 ml) 및 EtOAc (25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수집하고, 수성 상을 EtOAc (25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부를 합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tert-부틸 N-{[(2-벤조일-4-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메틸}카르바메이트 (EV-AX1245-001) (EV-AX1245-001) (450 mg, 94%)를 오렌지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29분, M/z = 395 (M + 23).
tert-부틸 N-(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카르바메이트 (EV-AX1224-001) - 단계 3
MeOH (25 ml, 무수) 중 tert-부틸 N-{[(2-벤조일-4-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메틸}카르바메이트 (81%, 2930 mg, 6.37 mmol) 및 4Å 분자체의 교반 용액에 MeOH 중 0.5 M 소듐 메톡시드 (38.2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염화암모늄으로 처리하였으며, 이때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한 다음, DCM 중 20% MeOH (100 ml) 중에 용해시켰다. 고체 중 일부가 DCM 중 20% MeOH 중에 용해되지 않았으며, 그것은 생성물이 아니므로 버렸다.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tert-부틸 N-(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카르바메이트 (EV-AX1224-001) (2110 mg, 88%)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14분, M/z = 377 (M + 23).
3-아미노-6-플루오로-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X1234-001) - 단계 4
DCM (8 ml) 중 tert-부틸 N-(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카르바메이트 (430 mg, 1.21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M HCl (6067.02 μ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킨 다음, 잔류물을 DCM 중 10% MeOH (25 ml)와 포화 NaHCO3 (25 ml) 사이에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수집하고, 수성 상을 DCM 중 10% MeOH (25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3-아미노-6-플루오로-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X1234-001) (282 mg, 87%)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08분, M/z = 255 (M + 1).
(2E)-N-(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페닐프로프-2-엔아미드 (I-59) (EV-AX1231-001) - 단계 5
디옥산 (2 ml) 중 3-아미노-6-플루오로-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95%, 90 mg, 0.34 mmol)의 교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50.44 μL, 0.37 mmol)에 이어서 디옥산 (1 ml) 중 (2E)-3-페닐프로프-2-에노일 클로라이드 (53.03 μL, 0.37 mmol)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40℃로 가열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킨 다음, 생성된 잔류물을 물 (25 ml), 및 DCM 중 10% MeOH (25 ml) 중에 용해시켰다. 유기 상을 수집하고, 수성 상을 DCM 중 10% MeOH (25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산성 정제용 HPLC를 사용하여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2E)-N-(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3-페닐프로프-2-엔아미드 (I-59) (EV-AX1231-001) (32.2 mg, 25%)를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11분, M/z = 385 (M + 1).
실시예 41. 메틸 (2E)-4-[(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포름아미도]부트-2-에노에이트, I-38의 합성
메틸 (2E)-4-[(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포름아미도]부트-2-에노에이트 (I-38) (EOAI3461957)를 반응식 2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3
Figure pct00127
메틸 (2E)-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트-2-에노에이트 (EV-AX2086-001) - 단계 1
THF (30 ml) 중 수소화나트륨 (60%, 238.7 mg, 5.97 mmol)을 0℃로 냉각시키고, THF (10 ml) 중 메틸 (디에톡시포스포릴)아세테이트 (1254.26 mg, 5.97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THF (10 ml) 중 tert-부틸 (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95%, 1000 mg, 5.97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빙조를 제거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OAc (50 ml)와 물 (5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30 ml)로 세척하고, 합한 유기부를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헵탄 중 10-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2E)-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트-2-에노에이트 (EV-AX2086-001) (711 mg, 53%)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는 실행하지 않음.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틸 (2E)-4-아미노부트-2-에노에이트 (EV-AX2090-001) - 단계 2
TFA (4 ml)를 메틸 (2E)-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트-2-에노에이트 (95%, 700 mg, 3.09 mmo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톨루엔 (2 x 10 ml)과 공비혼합하였다. 고체 잔류물을 고진공 라인 상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MeOH (0.5 ml) 중에 용해시키고, 빙냉 디에틸 에테르 (1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오븐에서 40℃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틸 (2E)-4-아미노부트-2-에노에이트 (EV-AX2090-001) (657 mg, 92%)를 황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는 실행하지 않음.
에틸 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EV-AX1283-001) - 단계 3
NMP (3 ml) 중 2-벤조일-4-플루오로아닐린 (450 mg, 2.09 mmol) 및 디에틸 프로판디오에이트 (634.86 μl, 4.18 mmol)의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디에틸 프로판디오에이트 (634.86 μl, 4.18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DBU (46.81 μl, 0.31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잔류물을 소결 깔때기를 통해 여과하고,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세척하고, 진공 오븐을 사용하여 건조시켜 에틸 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EV-AX1283-001) (200 mg, 29%)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12분, M/z = 312 (M + 1).
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EV-AX1285-002) - 단계 4
THF (5 ml) 중 에틸 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95%, 210 mg, 0.64 mmol)의 용액에 물 (1 ml) 중 LiOH (76.73 mg, 3.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50℃로 가열하고, 3.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LiOH (38.37 mg, 1.6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추가의 LiOH (76.73 mg, 3.2 mmol)로 재처리하고,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농축시킴으로써 제거하고, 잔류물을 고진공 라인을 사용하여 건조시켜 814 mg (98.7%)의 리튬(1+) 이온 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EV-AX1285-001)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생성물이 유리 산으로서 요구되므로 잔류물을 물 중에 현탁시키고, pH 1로 산성화시켰다. 이어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Et2O로 세척하여 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EV-AX1285-002) (127 mg, 67%)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D): 체류 시간 1.04분, M/z = 284 (M + 1).
(2E)-4-[(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포름아미도]부트-2-에노에이트 (I-38) (EV-AX1290-001) - 단계 5
DMF (1 ml) 중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틸 (2E)-4-아미노부트-2-에노에이트 (95%, 85.16 mg, 0.35 mmol)의 용액에 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100 mg, 0.35 mmol) 및 DIPEA (181.3 μl, 1.06 mmol)에 이어서 HATU (147.66 mg, 0.3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시험 반응의 것 (EV-AX1289)과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산성 정제용 HPLC를 사용하여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메틸 (2E)-4-[(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3-일)포름아미도]부트-2-에노에이트 (I-38)(EV-AX1290-001) (77.8 mg, 48%)를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2.47분, M/z = 381 (M + 1).
실시예 42. 메틸 (2E)-4-(3-아미노-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1-일)부트-2-에노에이트, I-39의 합성
메틸 (2E)-4-(3-아미노-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1-일)부트-2-에노에이트 (I-39) (EOAI3461695)를 반응식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합성된 3-아미노-6-플루오로-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EV-AX1234-001)을 통해 반응식 2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하였다.
반응식 24
Figure pct00128
메틸 (2E)-4-(3-아미노-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1-일)부트-2-에노에이트 (EV-AX1282-001) - 단계 1
DMF (0.5 ml) 중 3-아미노-6-플루오로-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2-온 (93%, 50 mg, 0.18 mmol)의 용액에 THF 중 1M KHMDS (201.17 μ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메틸 (2E)-4-브로모부트-2-에노에이트 (42.96 μl, 0.37 mmo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산성 정제용 HPLC를 사용하여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메틸 (2E)-4-(3-아미노-6-플루오로-2-옥소-4-페닐-1,2-디히드로퀴놀린-1-일)부트-2-에노에이트 (I-39) (EV-AX1282-001) (10.2 mg, 15.4%)를 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방법 A): 체류 시간 3.51분, M/z = 353 (M + 1).
하기 표 3은 상기 기재된 LCMS 방법을 이용한 본 발명의 선택된 화합물에 대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측정법 (LCMS) 데이터를 보여준다. 화합물 번호는 표 1 및 2에서의 화합물 번호에 상응한다.
표 3.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측정법 (LCMS) 데이터
Figure pct00129
Figure pct00130
Figure pct00131
Figure pct00132
Figure pct00133
Figure pct00134
Figure pct00135
Figure pct00136
Figure pct00137
Figure pct00138
Figure pct00139
Figure pct00140
Figure pct00141
Figure pct00142
Figure pct00143
Figure pct00144
Figure pct00145
Figure pct00146
Figure pct00147
생물학적 검정
실시예 43. PAD4 검정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하기 기재된 검정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PAD4의 억제제로서 검정하였다.
화합물을 100% DMSO 중에 가용화시켜 100 mM 최종 화합물 농도를 달성하였다. 화합물 원액을 실온에서 저장하였다. 일련의 희석물을 DMSO 중에서 제조하고, 20 μL 혼합 부피로 8회 혼합하였다. 최종 검정 조건은 하기와 같았다:
반응 부피: 20 μl
검정 완충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음): 100 mM 트리스(Tris)-HCl (pH 7.6), 2 mM DTT, 1 mM CaCl2
최종 농도:
-100 nM hPAD4 효소
-50 μM (8배 서브-Km) 기질 펩티드
-0.5% DMSO
총 인큐베이션 시간: 37℃에서 65분
정지 용액: ACN 중 40 μl 5% TCA
화합물 용액 0.25 μL를 검정 완충제 (100 mM 트리스-HCl pH 7.6, 2 mM DTT) 중 200 nM PAD4 10 μL에 첨가하였다. 5분 후, 완충제 (100 mM 트리스-HCl pH 7.6, 2 mM DTT, 2 mM CaCl2) 중 100 μM의 기질 10 μ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37℃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효소적 반응물을 40 μl의 ACN 중 5% TCA (1.7% TCA 최종 농도) 정지 용액의 첨가에 의해 켄칭하였다. 아르기닌 함유 기질 및 시트룰린 함유 생성물 (+1 Da 질량 이동)을 애질런트 래피드파이어(Agilent RapidFire) (RF) 300 시스템 상에서 고체 상 추출에 적용하고, 정량화를 위해 다중 반응 모니터링 (MRM)의 적용 하에 커플링된 삼중 사중극자 애질런트 6460 QQQ 질량 분광측정법 (MS) 장치 상에서 검출하였다.
하기 표 4는 상기 기재된 PAD4 검정에서의 본 발명의 선택된 화합물의 활성을 보여준다. 화합물 번호는 표 1 및 2에서의 화합물 번호에 상응한다. "A"로 지정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은 0.1 - 3 μM의 IC50을 제공하고; "B"로 지정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은 3 - 20 μM의 IC50을 제공하고; "C"로 지정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은 20 - 100 μM의 IC50을 제공하고; "D"로 지정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은 > 100 μM의 IC50을 제공하였다. 용어 pIC50 = -log(IC50)이다. "E"로 지정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은 1 - 4의 pIC50을 제공하고; "F"로 지정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은 4 - 5의 pIC50을 제공하고; "G"로 지정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은 > 5의 pIC50을 제공하였다. "NA"는 "검정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MS (질량 분광측정법)를 사용한 공유결합성 개질 연구
실시예 44. PAD4 공유결합성 개질 검정
질량 분광측정법을 사용하여 선택된 억제제에 의한 단백질의 공유결합성 개질을 분석하였다. 재조합 인간 PAD4를 20 mM 트리스 pH7.6, 400 mM NaCl, 5 mM TCEP 중 4 mg/ml로 사용하였다. 적용가능한 경우에, 완충제를 5mM CaCl2로 보충하여 개질의 칼슘 감수성을 결정하였다. 억제제를 0.2 mM 내지 5 mM의 최종 농도로 DMSO 중에 용해시키고, 분석 전 27℃에서 16시간 동안 단백질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대조군 실험을 억제제의 부재 하에 단백질 및 DMSO로 수행하였다. 샘플을 실온에서 10000 rpm에서 15초 동안 원심분리한 직후에 0.1% 포름산에 의해 보충된 물 중 5%에서 80% 아세토니트릴의 이동상을 사용하는, 워터스 LCT-프리미어 TOF 질량 분광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불활성화 동역학
실시예 45. PAD4 불활성화 동역학
표적 효소에 대한 활성 화합물의 공유 결합은 효소 활성의 시간 의존성 상실로 이어진다. 불활성화의 속도는 억제제 농도 ([I])에 따라 달라지고, 유사-1차 조건 ([I]>>[hPAD4]) 하에 정량화될 수 있다.
불활성화 동역학 실험을 37℃에서 384-웰 폴리스티렌 플레이트에서 수행하였다. 화합물 (10 - 200 μM) 및 hPAD4 (4 μM) 용액을 37℃의 온도에 도달하도록 10분 동안 10 mM CaCl2 및 2 mM DTT를 함유하는 검정 완충제 (100 mM 트리스-HCl, pH 7.6) 중에서 사전-인큐베이션하였다. 화합물 및 hPAD4 용액의 동등 부피 (10 μl)를 0 내지 70분 사이의 다양한 시점에 혼합하였다. 70분 시점에, 불활성화 용액을 166.7 μM 펩티드 기질 (H-TSTGGRQGSHH-CONH2), 1.1 mM CaCl2 및 2 mM DTT를 함유하는 효소적 반응 완충제 (100 mM 트리스-HCl, pH 7.6) 중에서 10배 희석하였다.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효소적 반응물을 ACN 중 5% TCA 용액 중에서 3배 희석에 의해 켄칭하였다. 기질 펩티드 아르기닌 시트룰린화를 고체 상 추출 질량 분광측정법 (SPE-MS)에 의해 결정하였다. HILIC (H1) 카트리지가 구비된 애질런트 래피드파이어 300을 사용하여 P1에 대해 용매 H2O/ACN (20/80) 중 0.1% TFA로, 및 P2 및 P3에 대해 H2O/ACN (50/50) 중 0.1% TFA로 샘플링하였다. 기질 및 생성물 펩티드를 양이온 방식으로 각각 562.3/969.4 및 562.8/541에서 전이를 갖는 커플링된 애질런트 6460 QQQ 및 다중 반응 모니터링 (MRM)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불활성화 반응물의 DMSO 함량은 1%였다. Cl-아미딘 (100 mM, 효소 불활성화 반응 동안의 최종 농도) 및 1% DMSO를 각각 불활성화 반응의 양성 및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불활성화 반응의 유사-1차 속도 상수, kobs는 잔류 hPAD4 활성, Ares의 시간 의존성 상실을 방정식: Ares (t) = e- kobs *t로 피팅함으로써 결정하였다. 억제제의 몰 농도에 대한 유사-1차 속도 상수의 플롯은 동역학적 반응 상수: kinact - 무한대 [I]에서의 불활성화의 최대 속도; KI - 불활성화의 속도가 1/2kinact와 동등할 때, 억제제 농도; kinact/ KI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을 상기 기재된 절차에 따라 검정하였고, 그것이 PAD4를 공유결합에 의해 개질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기 표 4는 상기 기재된 공유결합성 개질 검정에서의 본 발명의 선택된 화합물의 활성을 보여준다. 화합물 번호는 표 1 및 2에서의 화합물 번호에 상응한다.
표 4. PAD4 활성
Figure pct00148
Figure pct00149
Figure pct00150
Figure pct00151
Figure pct00152
Figure pct00153
Figure pct00154
Figure pct00155
Figure pct00156
Figure pct00157
Figure pct00158
Figure pct00159
Figure pct00160
Figure pct00161
Figure pct00162
Figure pct00163
Figure pct00164
Figure pct00165
Figure pct00166
표 5. 공유결합성 개질 연구: 불활성화 동역학*
Figure pct00167
Figure pct00168
Figure pct00169
Figure pct00170
Figure pct00171
Figure pct00172
*hPAD4 이소형; Ca++ 농도 = 10 mM

Claims (29)

  1. PAD4를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 또는 생물학적 샘플에서 PAD4를 억제하는 방법.
    Figure pct00173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지방족, 페닐,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임의로 치환된 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고;
    L은 공유 결합 또는 C1-6 2가 탄화수소 쇄이며 여기서 L의 1 또는 2개의 메틸렌 단위는 임의로 및 독립적으로 -C(O)-, -C(O)NH-, -NHC(O)-, 또는 -S(O)2-에 의해 대체되고;
    R3은 수소 또는 고리 A이고;
    고리 A는 3-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카르보시클릭 고리, 페닐,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5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8-10원 비시클릭 헤테로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이고;
    R4는 R 또는 -C(O)OR이고;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3개의 플루오린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고;
    R5는 수소 또는 CN이거나, 또는:
    R5 및 R4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5 및 R3은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고;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융합된 고리를 형성한다.
  2. PAD4-매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에서 PAD4-매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
    Figure pct00174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지방족, 페닐,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임의로 치환된 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고;
    L은 공유 결합 또는 C1-6 2가 탄화수소 쇄이며 여기서 L의 1 또는 2개의 메틸렌 단위는 임의로 및 독립적으로 -C(O)-, -C(O)NH-, -NHC(O)-, 또는 -S(O)2-에 의해 대체되고;
    R3은 수소 또는 고리 A이고;
    고리 A는 3-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카르보시클릭 고리, 페닐,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5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8-10원 비시클릭 헤테로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이고;
    R4는 R 또는 -C(O)OR이고;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3개의 플루오린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고;
    R5는 수소 또는 CN이거나, 또는:
    R5 및 R4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5 및 R3은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고;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융합된 고리를 형성한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i, I-ii, II-i, 또는 II-ii 중 어느 하나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Figure pct00175
  4. 제3항에 있어서, R1은 -S(CH3),
    Figure pct00176
    인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R2는 H, 메틸, 에틸,
    Figure pct00177
    인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L은
    Figure pct00178
    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은 H,
    Figure pct00179
    Figure pct00180
    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H, CH3 또는 -C(O)OR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는 수소 또는 CN이거나, 또는: R5 및 R4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5 및 R3은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융합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표 1에 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인간 대상체인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수의학적 대상체인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PAD4-매개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산-유발된 폐 손상, 여드름 (PAPA),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애디슨병, 부신 증식증, 부신피질 기능부전, 노화, AIDS, 알콜성 간염, 알콜성 간염, 알콜성 간 질환, 알레르겐 유발된 천식, 알레르기성 기관지폐, 아스페르길루스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탈모증, 알츠하이머병, 아밀로이드증,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및 체중 감소, 협심증, 혈관부종, 무한성 외배엽 이형성증-ID, 강직성 척추염, 앞 구역, 염증, 항인지질 증후군, 아프타성 구내염, 충수염, 관절염, 천식, 아테롬성동맥경화증, 아토피성 피부염, 자가면역 질환, 자가면역 간염, 벌 침-유발된 염증, 베체트병, 베체트 증후군, 벨 마비, 베릴륨중독증, 블라우 증후군, 골통, 세기관지염, 화상, 윤활낭염, 암, 심장 비대, 손목 터널 증후군, 이화 장애, 백내장, 뇌 동맥류, 화학적 자극-유발된 염증, 맥락망막염, 만성 심부전, 미숙아 만성 폐 질환,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만성 폐쇄성 폐 질환, 결장염,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결합 조직 질환, 각막 궤양, 크론병, 크리오피린-연관 주기성 증후군, 크립토코쿠스증, 낭성 섬유증, 인터류킨-1-수용체 길항제의 결핍 (DIRA), 피부염, 피부염 내독소혈증, 피부근염, 미만성 내인성 뇌교 신경교종, 자궁내막증, 내독소혈증, 상과염, 적모구감소증, 가족성 아밀로이드성 다발신경병증, 가족성 한랭 두드러기, 가족성 지중해열, 태아 성장 지연, 녹내장, 사구체 질환, 사구체 신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이식편-대-숙주 질환, 장 질환, 두부 손상, 두통, 청각 상실, 심장 질환, 용혈성 빈혈, 헤노흐-쉔라인 자반증, 간염, 유전성 주기성 발열 증후군, 대상 포진 및 단순 포진, HIV-1, 호지킨병, 헌팅톤병, 유리질 막 질환, 고암모니아혈증, 고칼슘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회귀열을 동반한 고이뮤노글로불린혈증 D (HIDS), 형성부전성 및 다른 빈혈, 형성부전성 빈혈,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색소실조증, 감염성 단핵구증, 염증성 장 질환, 염증성 폐 질환, 염증성 신경병증, 염증성 통증, 곤충 교상-유발된 염증, 홍채염, 자극-유발된 염증, 허혈/재관류,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각막염, 신장 질환, 기생충 감염에 의해 유발된 신장 손상, 기생충 감염에 의해 유발된 신장 손상, 신장 이식 거부 프로필락시스, 렙토스피라증, 백혈병, 뢰플러 증후군, 폐 손상, 폐 손상, 루푸스, 루푸스, 루푸스 신염, 림프종, 수막염, 중피종, 혼합 결합 조직 질환, 머클-웰스 증후군 (두드러기 난청 아밀로이드증), 다발성 경화증, 근육 소모, 근육 이영양증, 중증 근무력증, 심근염, 균상 식육종, 균상 식육종, 골수이형성 증후군, 근염, 코 부비동염, 괴사성 소장결장염, 신생아 발병 다기관 염증성 질환 (NOMID), 신증후군, 신경염, 신경병리학적 질환, 비-알레르겐 유발된 천식, 비만, 안구 알레르기, 시신경염, 기관 이식, 골관절염, 중이염, 파제트병, 통증, 췌장염, 파킨슨병, 천포창, 심막염, 주기열, 치주염, 복막 자궁내막증, 백일해, 인두염 및 선염 (PFAPA 증후군), 식물 자극-유발된 염증, 폐렴, 폐장염, 폐포자충 감염, 덩굴 옻나무/ 우루시올 오일-유발된 염증, 결절성 다발동맥염, 다발연골염, 다낭성 신장 질환, 다발근염, 건선, 건선, 건선, 건선, 정신사회적 스트레스 질환, 폐 질환, 폐고혈압, 폐 섬유증, 괴저성 농피증, 화농성 무균 관절염, 신질환, 망막 질환, 류마티스성 심장염, 류마티스성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사르코이드증, 지루, 패혈증, 중증 통증, 겸상 적혈구, 겸상 적혈구성 빈혈, 실리카-유발된 질환, 쇼그렌 증후군, 피부 질환, 수면 무호흡, 고형 종양, 척수 손상,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졸중, 지주막하 출혈, 일광화상, 측두 동맥염, 건활막염, 혈소판감소증, 갑상선염, 조직 이식, TNF 수용체 연관 주기성 증후군 (TRAPS), 톡소플라스마증, 이식, 외상성 뇌 손상, 결핵,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궤양성 결장염, 두드러기, 포도막염 및 베게너 육아종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PAD4-매개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류마티스 관절염, 혈관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궤양성 결장염, 암, 낭성 섬유증, 천식, 피부 홍반성 루푸스 및 건선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7.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181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지방족, 페닐,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임의로 치환된 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고;
    L은 공유 결합 또는 C1-6 2가 탄화수소 쇄이며 여기서 L의 1 또는 2개의 메틸렌 단위는 임의로 및 독립적으로 -C(O)-, -C(O)NH-, -NHC(O)-, 또는 -S(O)2-에 의해 대체되고;
    R3은 수소 또는 고리 A이고;
    고리 A는 3-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카르보시클릭 고리, 페닐,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모노시클릭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헤테로시클릭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5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8-10원 비시클릭 헤테로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이고;
    R4는 R 또는 -C(O)OR이고;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3개의 플루오린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이고;
    R5는 수소 또는 CN이거나, 또는:
    R5 및 R4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5 및 R3은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고;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융합된 고리를 형성하며;
    단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I-69, I-76 또는 I-114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및 표 2에 도시된 화합물 이외의 것이다.
  18. 제17항에 있어서, 화학식 I-i, I-ii, II-i, 또는 II-ii 중 어느 하나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Figure pct00182
  19. 제17항에 있어서, R1은 -S(CH3),
    Figure pct00183
    인 화합물.
  20. 제17항에 있어서, R2는 H, 메틸, 에틸,
    Figure pct00184
    인 화합물.
  21. 제17항에 있어서, L은
    Figure pct00185
    인 화합물.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R3은 H,
    Figure pct00186
    Figure pct00187
    Figure pct00188
    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R4는 H, CH3 또는 -C(O)OR인 화합물.
  24.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R5는 수소 또는 CN이거나, 또는: R5 및 R4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R5 및 R3은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트리아졸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25.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6 지방족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26.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Rx 및 Ry는 이들의 개재 원자와 함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융합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
  27. 제17항에 있어서, 표 1에 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28. 제17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아주반트, 또는 비히클을 포함하는 제약상 허용되는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제와 조합된 조성물.
KR1020197010110A 2016-09-12 2017-09-11 Pad4의 헤테로아릴 억제제 KR102502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93209P 2016-09-12 2016-09-12
US62/393,209 2016-09-12
PCT/US2017/050886 WO2018049296A1 (en) 2016-09-12 2017-09-11 Heteroaryl inhibitors of pad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335A true KR20190045335A (ko) 2019-05-02
KR102502992B1 KR102502992B1 (ko) 2023-02-24

Family

ID=5995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110A KR102502992B1 (ko) 2016-09-12 2017-09-11 Pad4의 헤테로아릴 억제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026937B2 (ko)
EP (1) EP3510025B1 (ko)
JP (1) JP7118951B2 (ko)
KR (1) KR102502992B1 (ko)
CN (1) CN110248934B (ko)
ES (1) ES2924522T3 (ko)
MA (1) MA46193A (ko)
WO (1) WO2018049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70102T3 (es) 2016-02-23 2020-06-30 Padlock Therapeutics Inc Inhibidores de heteroarilo de PAD4
ES2828623T3 (es) 2016-07-27 2021-05-27 Padlock Therapeutics Inc Inhibidores covalentes de PAD4
CN112313223A (zh) * 2018-05-14 2021-02-02 阿瑞雅德制药公司 嘧啶衍生物的药用盐及治疗病症的方法
KR102089476B1 (ko) * 2018-07-11 2020-03-1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447080B2 (ja) 2018-08-08 2024-03-11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Pad4阻害剤としての置換チエノピロール
CA3108791A1 (en) 2018-08-08 2020-02-1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dole and azaindole inhibitors of pad enzymes
CN109467549B (zh) * 2018-12-07 2021-02-09 中国药科大学 喹啉取代查尔酮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BR112022021963A2 (pt) 2020-04-30 2022-12-13 Gilead Sciences Inc Inibidores macrocíclicos de peptidilarginina desiminases
EP4267562A1 (en) 2020-12-22 2023-11-01 Gilead Sciences, Inc. Inhibitors of peptidylarginine deiminases
CN115778930B (zh) * 2022-12-08 2024-02-27 陕西中医药大学 一种具有血管舒张活性的二硫缩醛类化合物在制备具有血管舒张活性药物方面的应用
US11731942B1 (en) 2023-01-12 2023-08-22 King Faisal University 3-substituted quinolin-2-one compounds as antibacterial agent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078A (ja) * 2001-06-12 2002-12-26 Sankyo Co Ltd キノリン誘導体及びキノロン誘導体
US20050165053A1 (en) * 2001-06-04 2005-07-28 Cytovia, Inc. Substituted4-aryl-3-(3-aryl-1-oxo-2-propenyl)-2(1h)-quinolinones and analogs as activators of caspases and inducers of apoptosis and the use thereof
JP2006273848A (ja) * 2005-03-02 2006-10-12 Sumitomo Chemical Co Ltd シンナモイル化合物の用途
WO2006132947A2 (en) * 2005-06-08 2006-12-14 Temple University-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3-acyl coumarins, thiochromones and quinolon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WO2014015905A1 (en) * 2012-07-26 2014-01-30 Glaxo Group Limited 2 - (azaindol- 2 -yl) benz imidazoles as pad4 inhibitors
WO2016140973A1 (en) * 2015-03-02 2016-09-09 Sanford-Burnham Medical Research Institute Quinolinones as inhibitors of translation initiation complex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876000A (en) 1999-02-10 2000-08-29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The Tyrosine 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2538960C (en) * 2003-09-17 2013-03-1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Cinnamoyl compound and use of the same
JP4815773B2 (ja) 2003-09-17 2011-11-16 住友化学株式会社 シンナモイル化合物及びその用途
EA012414B1 (ru) 2004-06-08 2009-10-30 Темпл Юниверсити Оф Дзе Коммонвелт Систем Оф Хайер Эдьюкейшн Гетероарилсульфоны и сульфонамиды и их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е применения
EP1857104A4 (en) 2005-03-02 2011-03-23 Sumitomo Chemical Co USE OF A CINNAMOYL COMPOUND
ES2431466T3 (es) 2006-06-30 2013-11-26 Sunesis Pharmaceuticals, Inc. Inhibidores de piridinonil pdk1
EP1987717A1 (de) * 2007-04-30 2008-11-05 Bayer CropScience AG Pyridoncarboxamide, diese enthaltende nutzpflanzenschützende Mitt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US20120190707A1 (en) 2008-04-25 2012-07-26 Ronai Ze Ev Selective inhibitors of akt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05315333A (zh) 2014-06-10 2016-02-10 首都医科大学 异喹啉-3-甲酰-RV-OBzl,其制备,纳米结构,活性和应用
US10407407B2 (en) 2015-05-21 2019-09-10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Benzoimidazole derivatives as PAD4 inhibitors
AR107030A1 (es) 2015-12-09 2018-03-14 Padlock Therapeutics Inc Inhibidores aza-bencimidazol de pad4
AR107032A1 (es) 2015-12-09 2018-03-14 Padlock Therapeutics Inc Inhibidores bicíclicos de pad4
ES2770102T3 (es) 2016-02-23 2020-06-30 Padlock Therapeutics Inc Inhibidores de heteroarilo de PAD4
CN105820058A (zh) 2016-03-01 2016-08-03 南开大学 精氨酸脱亚氨酶4的新型抑制剂
ES2828623T3 (es) 2016-07-27 2021-05-27 Padlock Therapeutics Inc Inhibidores covalentes de PAD4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5053A1 (en) * 2001-06-04 2005-07-28 Cytovia, Inc. Substituted4-aryl-3-(3-aryl-1-oxo-2-propenyl)-2(1h)-quinolinones and analogs as activators of caspases and inducers of apoptosis and the use thereof
JP2002371078A (ja) * 2001-06-12 2002-12-26 Sankyo Co Ltd キノリン誘導体及びキノロン誘導体
JP2006273848A (ja) * 2005-03-02 2006-10-12 Sumitomo Chemical Co Ltd シンナモイル化合物の用途
WO2006132947A2 (en) * 2005-06-08 2006-12-14 Temple University-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3-acyl coumarins, thiochromones and quinolone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WO2014015905A1 (en) * 2012-07-26 2014-01-30 Glaxo Group Limited 2 - (azaindol- 2 -yl) benz imidazoles as pad4 inhibitors
WO2016140973A1 (en) * 2015-03-02 2016-09-09 Sanford-Burnham Medical Research Institute Quinolinones as inhibitors of translation initiation complex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 Atmakuri et al., WORLD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EUTICAL SCIENCES, 2013, Vol.2, No.5, pp.3929-394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0025A1 (en) 2019-07-17
WO2018049296A1 (en) 2018-03-15
ES2924522T3 (es) 2022-10-07
US20190358216A1 (en) 2019-11-28
CN110248934B (zh) 2022-05-24
EP3510025B1 (en) 2022-06-29
JP2019526606A (ja) 2019-09-19
JP7118951B2 (ja) 2022-08-16
KR102502992B1 (ko) 2023-02-24
US11026937B2 (en) 2021-06-08
MA46193A (fr) 2019-07-17
CN110248934A (zh) 2019-09-17
US20210299115A1 (en)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2992B1 (ko) Pad4의 헤테로아릴 억제제
AU2020201792B2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targeted degradation of androgen receptor
US11897866B2 (en) Heteroaryl inhibitors of PAD4
US20230226035A1 (en) Small molecules against cereblon to enhance effector t cell function
CN108136044B (zh) 基于酰亚胺的蛋白水解调节剂和相关使用方法
TWI804003B (zh) Tlr7/8拮抗劑及其用途
US11337970B2 (en) Inhibitors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and methods of their use
JP2023175957A (ja) セレブロンリガンドおよび同リガンドを含む二機能性化合物
US9969710B2 (en) Heteroaryl compounds as IRAK inhibitors and uses thereof
TWI330081B (en) New compounds, their preparations and their use in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disease associated with glycogen synthase kinase-3
JP2023159166A (ja) 急速進行性線維肉腫ポリペプチドの標的分解のための多環式化合物および方法
JP2020505327A (ja) Egfrタンパク質分解標的化キメラ分子およびその関連する使用方法
KR20190035773A (ko) Pad4의 공유결합성 억제제
CN101790527A (zh) Rho激酶的苯并噻吩抑制剂
US20160016951A1 (en) Novel naphthyridines and isoquinolines and their use as cdk8/19 inhibitors
KR20180098574A (ko) Pad4의 비시클릭 억제제
BR112015009168B1 (pt) Composto de fórmula estrutural xi ou um sal do mesmo, uso de um composto e composição farmacêutica
CA3074813C (en) Imidazolidine compounds
KR20180098573A (ko) Pad4의 아자-벤즈이미다졸 억제제
JP2022505872A (ja) アデノシン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5-アザインダゾール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