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741A - 안내 장치, 안내 방법 및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안내 장치, 안내 방법 및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741A
KR20190042741A KR1020197010468A KR20197010468A KR20190042741A KR 20190042741 A KR20190042741 A KR 20190042741A KR 1020197010468 A KR1020197010468 A KR 1020197010468A KR 20197010468 A KR20197010468 A KR 20197010468A KR 20190042741 A KR20190042741 A KR 20190042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
information
cal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578B1 (ko
Inventor
히토시 요시자와
마사토 히라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2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6Indicators for guiding passengers to their assigned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Abstract

본 발명의 안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에 의해 복수의 카 중에서 선정되는 카의 호기의 승강장의 위치와, 엘리베이터의 카의 이동과 카의 도래 방향, 카가 호출층에 도착하고 도어가 개방되는 상황, 도어가 완전 개방되고 도어 폐쇄를 개시하는 상황, 그리고 도어가 폐쇄되는 상황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의 일련의 흐름을, 호출에 응하는 카에 대응하는 삼방 프레임 또는 삼방 프레임의 주변에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므로, 승강장의 이용자는 복잡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의 일련의 흐름을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내 장치, 안내 방법 및 엘리베이터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이나 카(car) 내의 상태를 엘리베이터 홀의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안내 장치, 안내 방법 및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에는,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등록하고 복수의 카로부터 호출에 응하는 카가 선정되며, 엘리베이터의 카가 이동하고, 카가 호출층에 도착해서 도어를 개폐한다는 상황을 포함한 일련의 흐름이 있다.
종래, 이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승강장의 이용자에게 알리는 기술은, 상하 버튼, 인디케이터(indicator), 홀 랜턴, 소리, 음성 안내 등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확인하려면, 상기와 같은 각각의 기기를 확인하고 판단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서는 벽면 및 바닥에 엘리베이터의 카의 이동 상황을 표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265947 호 공보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에는, 호출에 응하는 카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카가 어느 방향으로부터 이동해와서 지금 어느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는지, 그리고 카가 호출층에 도착하고, 도어가 개폐될 때까지의 여러 가지 운행 상황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나타난 정보만으로는, 복수의 카가 있는 경우의 호출에 응하는 카의 판단이나, 카가 도착했을 때의 도어의 개폐를 포함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안내에는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잡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의 일련의 흐름을 이용자에게 알기 쉽게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를 제어하는 카 동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에 응하는 카의 운행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개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출입구의 개구부에 설치된 삼방 프레임(three-sided frame) 또는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변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호출에 응하는 카의 운행 정보와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개폐 정보를 이용하여, 호출에 응하는 카에 대응하는 삼방 프레임 또는 삼방 프레임의 주변에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하므로, 복잡한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승강장의 이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기능 구성도이다.
안내 장치(1)는 제어 수단(2), 입력 수단(3), 표시 수단(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장치(1)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정보 등이 입력 장치(5)로부터 입력되고, 그 호출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카 동력 장치(6)로부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운행 정보와, 호출층의 승강장의 도어의 개폐 정보가 입력된다. 그러면, 호출에 응하는 카와 도어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호출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표시 장치(7)에 의해, 이 안내 정보를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과 도어에 표시한다.
또한, 호출에 응하는 카와 도어의 일련의 흐름이란, 호출에 응하는 카가 결정되고 나서, 그 카가 호출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카의 위치와 도래(到來) 방향, 카가 도착하고 나서 도어가 개폐될 때까지의 상황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5)는, 예컨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버튼, 카 내에 설치된 목적지 버튼, 빌딩 등의 입퇴실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승강장 등록기,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단말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 등의 엘리베이터에 호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카 내에 설치된 카메라, 카 내의 상황을 계측하는 센서, 및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ID(Identification) 태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이용자를 특정하는 정보가 입력되는 장치도 포함한다.
카 동력 장치(6)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정보가 입력되면 호출에 응하는 카를 결정하고, 카를 호출층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카가 호출층에 도착하면 호출층의 승강장의 도어의 개폐를 실행한다. 또한, 카 동력 장치(6)는, 이와 같은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와, 카의 운행 정보와, 도어의 개폐 정보를 안내 장치(1)로 출력한다. 또한, 카에 설치된 카메라의 정보, 카 내의 상황을 계측하는 센서의 정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정보를 카 동력 장치(6)에서 취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정보, 센서의 정보,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안내 장치(1)로 출력되어도 좋다.
표시 장치(7)는, 예컨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프로젝터로서, 삼방 프레임, 삼방 프레임의 상부의 벽, 도어 및 도어 앞의 바닥에 안내 정보를 투영하는 장치이다. 또한,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의 전면(全面), 삼방 프레임의 상부의 벽, 도어의 전면, 및 도어 앞의 바닥에 매립식으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라도 좋고, LED(Light Emitting Diode) 라이트, 조명 기기라도 좋으며, 삼방 프레임, 삼방 프레임의 상부의 벽, 도어, 및 도어 앞의 바닥에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면 좋다.
다음에, 안내 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수단(2)은, 입력 수단(3)을 거쳐서 입력 장치(5)로부터 입력된 엘리베이터의 호출 정보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와 위치, 도어의 개폐 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호출에 응했을 때의 카의 위치와 호출층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호출에 응하는 카의 상대적인 위치와, 카의 도래 방향을 구한다. 그리고, 호출에 응하는 카와 호출층과의 거리에 대한 카의 위치, 호출에 응하는 카의 도래 방향, 및 도어의 개폐 정보를 이용하여, 호출에 응하는 카의 상태와 승강장의 도어의 개폐 상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과 도어에 광으로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를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과 도어에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표시한다. 또한, 안내 정보에는, 삼방 프레임의 상부의 벽에 카의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것과, 도어 앞의 바닥의 영역에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삼방 프레임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양 측부를 덮는 한쌍의 수직 프레임과, 이들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개구부의 상부를 덮는 상부 프레임에 의해 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광은 명도, 채도, 색상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한 것이다.
입력 수단(3)은 안내 장치(1)와 입력 장치(5)의 입력 인터페이스이며, 표시 수단(4)은 안내 장치(1)와 표시 장치(7)의 출력 인터페이스이다.
다음에, 안내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안내 장치(1)는 프로세서(11), 메모리(12)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3)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안내 장치(1)의 제어 수단(2)은, 프로세서(11)가 메모리(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고,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입력 수단(3)과 표시 수단(4)은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다음에, 안내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안내 장치(1)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표시되는 안내 정보의 표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이다.
도 3의 (1)은 호출이 없을 때의 승강장의 상태이다. 승강장에는, 삼방 프레임(21), 도어(22), 삼방 프레임의 상부의 벽(23), 승강장의 도어(22) 앞의 바닥(24)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의해 호출 정보가 입력 장치(5)에 입력되면, 그 호출 정보가 입력 장치(5)로부터 안내 장치(1)와 카 동력 장치(6)에 송신된다. 그리고, 카 동력 장치(6)가 호출에 응하는 카를 선정한다.
그러면, 도 3의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정된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a)의 전면에, 제 1 광이 안내 정보로서 표시된다. 또한, 카의 도래 방향이 삼방 프레임(21)의 상부의 벽(23a)에 표시된다. 벽(23a)에 표시되는 카의 도래 방향의 정보는 제 1 광으로 표시되어도 좋고, 다른 광으로 표시되어도 좋다.
또한, 도 3의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삼방 프레임(21a)에 대응한 도어(22) 앞의 바닥(24a)의 영역에, 삼방 프레임(21a)과 마찬가지로 제 1 광이 안내 정보로서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도어(22) 앞의 바닥(24)에 표시함으로써, 멀리서부터 이동해 온 이용자에게도 직감적으로 호출에 응하는 카의 출입구를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카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도 3의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에 따라서 삼방 프레임(21)의 일부의 영역(21b)과 도어(22)의 일부의 영역(22b)에 제 2 광이 안내 정보로서 표시된다. 이때, 호출에 응하는 카가 승강장의 아래 방향으로부터 오는 경우는, 도어(22)의 높이 방향 아래로부터 서서히 제 2 광이 표시된다. 삼방 프레임(21)의 다른쪽의 영역(21a)과 도어(22)의 다른쪽의 영역(22a)에는 제 1 광이 표시된다. 즉, 카가 호출에 응했을 때부터 이동한 거리에 상당하는 영역이 제 2 광으로 표시되고, 현재 위치로부터 호출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거리가 제 1 광으로 표시되게 된다.
여기에서는, 카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도어(22)에도,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을 삼방 프레임(21)에 연동하여 제 2 광으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적어도 삼방 프레임(21)에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이 제 2 광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서는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연속적인 광으로 표시하는 예로 설명하지만, 삼방 프레임(21) 또는 삼방 프레임(21)의 주변에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이 연속적인 광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좋다. 삼방 프레임(21)의 주변이란, 삼방 프레임(21)의 외측 또는 내측 중 어느 하나 또는 쌍방, 삼방 프레임(21)의 주변의 바닥(도어(22) 앞의 바닥(24) 주변), 삼방 프레임(21)의 내측의 도어(22), 삼방 프레임(21)의 주변의 벽(23),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조합을 나타낸다. 또한, 호출에 응하는 카가 승강장의 위 방향으로부터 오는 경우는,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의 위로부터 서서히 제 2 광이 표시된다.
나아가, 카의 위치가 호출층에 가까워지면, 도 3의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 표시되는 제 2 광의 영역이 도 3의 (3a)보다 넓게 표시된다. 그리고, 카가 승강장에 도착하면, 도 3의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삼방 프레임(21)의 전면과 도어(22)의 전면이 제 2 광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카가 호출에 응했을 때의 위치와 호출층과의 거리에 대하여 이동하고 있는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이 삼방 프레임(21)의 영역(21b)과 도어(22)의 영역(22b)에 제 2 광으로 표시된다. 카가 호출층에 도착했을 때에, 삼방 프레임(21)의 전면과 도어(22)의 전면에 제 2 광이 표시되도록,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에 연동한 삼방 프레임(21)의 영역(21b)과 도어(22)의 영역(22b)이 제 2 광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카가 승강장에 도착하고 도어(22)가 개방되기 직전부터 도어가 개방되고 있는 동안(도어(22)가 개방될 때에), 제 2 광이 점멸하여 강조 표시된다. 또한, 벽(23)에 표시되어 있던 카의 도래 방향이 비표시가 된다. 제 2 광의 점멸은, 예컨대 도 3의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방 프레임(21c)의 전면과 도어(22c)의 전면에 제 2 광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와, 도 3의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광이 소등되어 있는 상태를 조합한 점멸의 동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 표시한 제 2 광을 점멸 표시시킴으로써,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승강장의 이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알릴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동영상이란 애니메이션도 포함하며, 또한 라이트나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동영상처럼 나타내는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삼방 프레임(21)에 설치한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삼방 프레임(21)에 제 2 광을 점멸 표시하는 대신에, 제 2 광을 표시하고 있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하여 팽창과 축소를 반복하도록 해서 나타내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에 의해 삼방 프레임(21)에 투영하고 있는 제 2 광을 삼방 프레임(21)의 주위의 도어(22), 벽(23), 바닥(24)의 영역까지 확장 또는 축소시키도록 투영함으로써 삼방 프레임(21)을 강조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삼방 프레임(21)에 제 2 광을 점멸하여 강조 표시하는 것, 또는 삼방 프레임(21)에 설치한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하는 것, 삼방 프레임(21)의 주위의 영역으로 제 2 광을 확장 또는 축소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하는 것에 의해, 승강장의 이용자에 대해 도어 개방의 개시시나 도어 개방 중에 주의를 촉구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22)가 완전 개방되면, 도 3의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d)에 제 3 광이 표시된다. 그리고, 도어(22)가 폐쇄되기 직전부터 도어(22)가 폐쇄되고 있는 동안에(도어(22)가 폐쇄될 때에), 삼방 프레임(21e)의 전면에 제 4 광이 점멸 표시된다. 제 4 광의 점멸은, 예컨대 도 3의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e)에 제 4 광을 점등하고 있는 상태와, 도 3의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광이 소등되어 있는 상태를 조합한 점멸의 동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 제 3 광을 표시함으로써, 도어(22)가 완전 개방되고 다음에 도어(22)가 폐쇄되기 시작하는 것을 승강장에서 카에 탑승하려 하고 있는 이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 제 4 광을 점멸 표시함으로써, 도어(22)가 폐쇄되고 있는 상황을 이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제 4 광을 점멸 표시하는 대신에, 제 4 광을 표시하고 있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고, 삼방 프레임(21)의 주위의 벽(23), 바닥(24)의 영역까지 제 4 광을 확장 또는 축소하여 투영시킴으로써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도 3의 (1) 내지 도 3의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위치와, 호출에 응하는 카의 상태와, 승강장의 도어의 개폐 상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 또는 삼방 프레임의 주변에 광으로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표시함으로써, 복잡한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승강장의 이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알릴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삼방 프레임의 주변이란, 삼방 프레임의 외측 또는 내측 중 어느 하나 또는 쌍방, 삼방 프레임의 주변의 바닥(도어 앞의 바닥 주변), 삼방 프레임의 주변의 벽, 삼방 프레임의 내측의 도어,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나타낸다.
이상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의 설명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카의 상대 위치와 도래 방향을 삼방 프레임(21) 또는 삼방 프레임(21)의 주변에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호출에 응했을 때부터 호출층에 도착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과 카의 위치로부터 환산하는 카의 대기 시간과 카의 도래 방향을 삼방 프레임(21) 또는 삼방 프레임(21)의 주변에 표시해도 좋다.
다음에, 흐름도를 이용하여 안내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의해 입력 장치(5)로부터 호출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장치(5)로부터 안내 장치(1)의 입력 수단(3)에 호출 정보가 입력된다(단계(이하 S로 나타냄)1). 이때, 동시에 입력 장치(5)로부터 카 동력 장치(6)에도 호출 정보가 입력된다.
그러면, 호출 정보에 의해 카 동력 장치(6)가 호출에 응하는 카를 선정하고,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와 카의 위치를 포함하는 카의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안내 장치(1)의 제어 수단(2)에 입력된다(S2).
그러면, 제어 수단(2)은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에 대응한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a)에 제 1 광을 표시하고, 삼방 프레임(21)의 상부의 벽(23a)에 카의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S3). 제어 수단(2)은, 호출층과 호출에 응하는 카의 위치로부터, 호출층에 대하여 카의 도래 방향을 구한다. 예컨대, 호출층이 3층이고, 호출에 응한 카 위치가 1층이면, 3층으로의 호출에 응하는 카의 도래 방향은 상향의 정보가 표시된다. 그 때문에, 제어 수단(2)이 생성하는 안내 정보는,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a)에 제 1 광을 표시하는 정보와, 호출에 응하는 카의 도래 방향을 벽(23a)에 표시하는 정보가 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로부터, 삼방 프레임(21a)과 벽(23a)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도 3의 (2a)).
또한, 제어 수단(2)은,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에 대응한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a)과 삼방 프레임(21)에 대응한 도어(22) 앞의 바닥(24a)에 제 1 광을 표시해도 좋다(도 3의 (2b)).
다음에, 호출에 응하는 카의 이동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카의 위치로서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호출에 응했을 때의 카의 위치와 호출층과의 거리에 대한 카의 상대 위치를 구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호출에 응했을 때의 카의 위치와 호출층과의 거리에 대한 카의 위치를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 제 2 광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카의 도래 방향을 벽(23a)에 나타내는 안내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 도어(22) 및 벽(23)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4)(도 3의 (3a) 및 도 3의 (3b)).
또한, 호출층의 위치는, 제어 수단(2)이 호출 정보로부터 산출해도 좋고, 호출 정보는 호출에 응하는 카의 정보와 함께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제 2 광으로 나타내는 일부의 영역은 카의 도래 방향의 정보도 포함하기 때문에, 예컨대, 카가 호출층의 아래 방향으로부터 오는 경우는, 삼방 프레임(21)의 하부의 영역으로부터 서서히 제 2 광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가 된다. 또한, 카가 호출층의 위 방향으로부터 오는 경우는, 삼방 프레임(21)의 상부의 영역으로부터 서서히 제 2 광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가 된다.
이와 같이 안내 정보는, 호출에 응했을 때의 카의 위치와 호출층과의 거리에 대한 카의 상대적인 위치와 카의 도래 방향에 관하여, 삼방 프레임(21)의 일부의 영역(21b)과 도어의 일부의 영역(22b)을 제 2 광으로 표시하는 정보이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다른쪽의 영역(21a)과 도어(22)의 다른쪽의 영역(22a)은 카의 현재 위치로부터 호출층까지의 거리를 제 1 광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로 되어 있다.
다음에, 카가 호출층에 도착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b)과 도어(22)의 전면(22b)을 제 2 광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b)과 도어(22b)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5)(도 3의 (3c)).
다음에, 카가 승강장에 도착하고 도어가 개방되기 직전(설정된 시간 전)부터, 도어가 개방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 표시하고 있는 제 2 광을 점멸하여 강조 표시하고(또는 점멸하는 동영상으로 강조 표시하고), 또한 벽(23)에 표시하고 있던 카의 도래 방향을 비표시로 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S6).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 표시하고 있는 제 2 광을 점멸하고, 벽(23)에 표시하고 있던 카의 도래 방향을 비표시로 한다(도 3의 (4a) 및 도 3의 (4b)).
또한,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에 제 2 광을 점멸 표시하는 대신에, 제 2 광을 표시하고 있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주위의 도어(22), 벽(23), 바닥(24)의 영역까지 제 2 광을 확장 또는 축소하도록 표시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다음에, 도어(22)를 완전 개방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제 3 광을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d)에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삼방 프레임(21)에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7)(도 3의 (5)).
다음에, 도어(22)를 폐쇄하기 직전(설정된 시간 전)부터, 도어(22)를 폐쇄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e)에 제 4 광으로 점멸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e)에 제 4 광을 점멸 표시한다(도 8)(도 3의 (6a) 및 도 3의 (6b)). 그리고, 도어(22)가 폐쇄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제 4 광을 비표시로 한다.
또한, 제어 수단(2)은, 제 4 광을 점멸 표시하는 대신에, 제 4 광을 표시하고 있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삼방 프레임(21)의 제 4 광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주위의 벽(23), 바닥(24)의 영역까지 제 4 광을 확장 또는 축소하도록 표시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이상의 안내 장치(1)의 각 처리가 안내 방법에 상당하며, 제어 수단(2)의 처리가 제어 단계, 제어 수단(2)으로부터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안내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처리가 표시 단계에 상당한다.
또한, 제어 수단(2)이 생성하는 안내 정보는, 도 3의 (1) 내지 도 3의 (6)과 같이 광으로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각각의 상태를 단속적 또는 단편적으로 광으로 표시해도 좋다.
이와 같이,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에 대응한 승강장의 위치, 호출에 응하는 카의 이동과 카의 도래 방향, 도어의 개폐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과 도어에 안내 정보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는 직감적으로 호출에 응하는 카의 상황과 도어의 개폐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삼방 프레임과 도어에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삼방 프레임에만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과 삼방 프레임의 외측과 내측 중 어느 하나 또는 쌍방을 포함하여, 도 3의 (1) 내지 도 3의 (6)과 같이 광으로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이 아니라, 출입구가 되는 삼방 프레임의 주변의 바닥(삼방 프레임의 내측의 도어 앞의 바닥 주변)에만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의 안내인 광을 연속하여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의 주변의 벽에만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의 안내인 광을 연속하여 표시해도 좋고, 삼방 프레임의 내측의 도어에만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의 안내인 광을 연속하여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 바닥, 삼방 프레임의 주변의 벽, 도어 중 어느 조합에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광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 또는 단편적으로 표시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호출에 응하는 카의 상대적인 위치와 도어의 개폐의 일련의 흐름을 적어도 삼방 프레임에 안내 정보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호출에 응하는 카의 이동에 관하여, 호출에 응했을 때부터 호출층에 도착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과 카의 위치로부터 환산하는 카의 대기 시간과, 카의 도래 방향을 적어도 삼방 프레임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안내 정보에, 삼방 프레임의 상부의 벽에 카의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한다고 해서 설명했지만, 카의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은 삼방 프레임의 주변의 벽이어도 좋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안내 정보에 상당하는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이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해도 좋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의한 호출에 대해,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위치와, 호출에 응하는 카의 상대적인 거리 또는 시간과, 도어의 개폐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삼방 프레임 또는 삼방 프레임의 주변에 광으로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실시형태 2는, 또한, 호출에 응한 카에 탑승하고 있는 이용자의 정보로부터 휠체어 이용자인 것을 알았을 경우에,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것을 도어와 승강장의 바닥에 표시하여 안내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 장치(1)의 기능 구성도와 하드웨어 구성도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이다.
도 5의 (1)은 호출이 없을 때의 승강장의 상태이다. 도 3의 (1)과 마찬가지로, 승강장에는, 삼방 프레임(21), 도어(22), 삼방 프레임의 상부의 벽(23), 승강장의 도어 앞의 바닥(24)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의해 호출 정보가 입력 장치(5)에 입력되면, 그 호출 정보가 입력 장치(5)로부터 안내 장치(1)와 카의 동력 장치(6)에 송신된다. 그리고, 카 동력 장치(6)가 호출에 응하는 카를 선정하면, 도 5의 (2a) 또는 도 5의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정된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a)의 전면 또는 삼방 프레임(21b)의 전면에, 제 1 광이 안내 정보로서 표시된다.
나아가, 센서나 이용자 등록에 의해, 카에 탑승하고 있는 이용자(탑승자)가 휠체어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안내 장치(1)에서 판정할 수 있으며, 이용자 등록의 이용자 정보에 의해, 호출층에서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하는 것을 안내 장치(1)에서 판정할 수 있는 경우, 도 5의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22)의 중앙에 휠체어 도안과, 「하차합니다」라는 문자의 안내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카의 도래 방향이 삼방 프레임(21a)의 상부의 벽(23a)에 표시된다. 또한, 도어(22)에의 표시는 삼방 프레임(21)과 동일한 제 1 광이어도 좋고, 다른 광이어도 좋다.
한편, 카에 탑승하고 있는 휠체어 이용자가 있으며, 휠체어 이용자가 호출층에서는 하차하지 않는 것을 안내 장치(1)에서 판정할 수 있는 경우, 도 5의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22)의 우측 상단에 휠체어 도안의 안내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카의 도래 방향이 삼방 프레임(21a)의 상부의 벽(23b)에 표시된다. 또한, 이용자의 정보의 표시는 삼방 프레임(21)과 동일한 광이어도 좋고, 다른 광이어도 좋다.
그리고, 카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도 5의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의 상대적인 위치와 도래 방향에 연동하여 삼방 프레임에 제 2 광이 표시된다. 이때, 도 5의 (2a) 또는 도 5의 (2b)에 도시한 휠체어 이용자의 안내 정보를 도어(22)에 표시한 상태에서 삼방 프레임에 제 2 광이 표시된다.
나아가, 카의 위치가 호출층에 가까워지고, 휠체어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경우, 도 5의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카가 가까워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도록, 휠체어 도안이 바닥(24)까지 이동하는 동영상의 안내 정보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표시함으로써, 승강장의 이용자는 호출층에서 휠체어 탑승자가 하차할 것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카가 호출층에 도착하고 도어(22)가 개방되기 직전에, 호출층에서 휠체어 탑승자가 하차하는 경우에는, 휠체어 탑승자가 하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표시와, 도어(22) 앞의 바닥(24a)에 휠체어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을 제 2 광으로 표시한다. 예컨대, 도 5의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휠체어 도안을 도어(22)로부터 도어(22) 앞의 바닥(24a)으로 이동하는 동영상과 함께, 휠체어가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바닥(24a)의 영역을 제 2 광의 안내 정보로 표시한다.
나아가, 도 5의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 탑승자가 승강장에 내리고 나서 이동하는 방향이 이용자의 정보에 포함되어 안내 장치(1)에 입력되어 있는 경우는,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과 동시에 이동 방향을 표시하여 해도 좋다.
그리고, 도어(22)가 개방되기 직전부터 완전 개방되고 폐쇄될 때까지의 안내 정보의 표시는, 도 3의 (4), 도 3의 (5) 및 도 3의 (6)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어(22)가 완전 개방되고 도어(22)가 폐쇄될 때까지와, 도어(22)가 폐쇄되고 나서 설정된 시간, 휠체어 이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바닥(24)에 표시해두어도 좋다.
휠체어 이용자의 목적지 정보는, 도어(22)가 개방될 때까지는, 승강장의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대한 표시가 되고, 도어(22)가 개방되고 나서는, 휠체어 이용자에게의 목적지의 안내가 된다. 승강장의 이용자에게는, 미리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하는 것이나 하차하고 나서 필요로 하는 도어 앞의 영역을 직감적으로 알릴 수 있고, 엘리베이터를 하차한 휠체어 이용자에게는, 목적지 방향을 안내하는 것에 의해, 방향을 잃는 일 없이 목적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의 설명이다.
다음에, 흐름도를 이용하여 안내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의해 입력 장치(5)로부터 호출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장치(5)로부터 안내 장치(1)의 입력 수단(3)에 호출 정보가 입력된다(S21). 이때, 입력 장치(5)로부터 카 동력 장치(6)에도 동시에 호출 정보가 입력된다.
그러면, 호출 정보에 의해 카 동력 장치(6)가 호출에 응하는 카를 선정하고,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와 카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안내 장치(1)의 제어 수단(2)에 입력된다(S22).
그러면, 제어 수단(2)은,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에 대응한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a)에 제 1 광을 표시하고, 벽(23a)에 카의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삼방 프레임(21a)과 벽(23a)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23).
또한, 제어 수단(2)에는, 입력 수단(3)을 거쳐서 입력 장치(5)로부터, 호출 정보와 함께 카에 탑승하고 있는 이용자의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며, 그 정보로부터 휠체어 이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4). 또한, 이용자의 정보는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어도 좋다.
그리고, 휠체어 이용자인 경우, 이용자의 정보로부터 호출층에서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5).
탑승자가 휠체어 이용자이며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경우, 제어 수단(2)은 도어(22)의 전면(22a)의 중앙에 휠체어 도안과 「하차합니다」라는 문자를 표시하는 것도 포함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이 안내 정보는, 휠체어 이용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것을 표시하는 내용이면 도 5의 (2a) 이외라도 좋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그 안내 정보를 도어(22)의 전면(22a)에 표시한다(S26)(도 5의 (2a)).
또한, 탑승자가 휠체어 이용자이며 호출층에서 하차하지 않는 경우(호출층에서 탑승하고 있는 상태일 때), 도어(22)의 우측 상단(22b)에 휠체어 도안을 표시하는 것도 포함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이 안내 정보도,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내용이면 도 5의 (2b) 이외라도 좋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그 안내 정보를 도어(22)의 우측 상단(22b)에 표시한다(S27)(도 5의 (2b)).
또한, 이용자의 정보에 휠체어 이용자가 없는 경우, 실시형태 1의 S3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며 도 3의 (2a) 및 도 3의 (2b)의 표시를 실행한다.
그리고, 카가 이동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입력된 카의 위치를 이용하여, 호출에 응했을 때의 카의 위치와 호출층과의 거리에 대한 상대적인 카의 위치를 구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호출에 응했을 때의 카의 위치와 호출층과의 거리에 대한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에 따라서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의 일부의 영역(21b)에 제 2 광으로 표시하고, 삼방 프레임(21)의 다른쪽의 영역(21a)에는 제 1 광으로 표시하고, 도어(22)에는 휠체어 이용자의 정보를 함께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28)(도 5의 (3a)).
다음에, 제어 수단(2)은, 카가 호출층의 직전에(호출 위치로부터 설정된 위치보다 가깝게) 온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입력되면, 이용자의 정보로부터 호출층에서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9). 그리고, 휠체어 이용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경우, 도어(22)에 표시하고 있는 휠체어 도안을 바닥(24)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영상을 도어(22b)에 표시하고, 삼방 프레임(21b)에는 카의 위치를 나타내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30)(도 5의 (3b)).
다음에, 카가 호출층에 도착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b)을 제 2 광으로 표시하고, 휠체어 도안을 도어(22)로부터 바닥(24)으로 이동하는 동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도어(22) 앞의 바닥(24)에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의 표시를 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와 도어(22) 앞의 바닥(24)에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31)(도 5의 (3c)).
휠체어 이용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지 않는 경우로서,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는, 도어(22)의 우측 상단(22b)에 휠체어 도안을 표시하고, 삼방 프레임(21)에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휠체어 이용자가 없는 경우에는, 삼방 프레임(21)에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카가 호출층에 도착했을 때에, 이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이나 승강장 등록기 등의 입력 장치(5)로부터 입력 수단(3)을 거쳐서 제어 수단(2)에, 휠체어 이용자의 목적지 정보를 얻은 경우는, S30에서의 바닥(24b)의 표시를 휠체어 이용자에게 필요한 영역과 함께, 휠체어 이용자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화살표의 표시로 안내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도 5의 (3d)).
다음에, 도어가 개방되기 직전(미리 설정된 시간 전)부터, 도어가 개방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삼방 프레임(21)에 표시하고 있는 제 2 광을 점멸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바닥(24)에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과 목적지의 표시를 하고 있는 경우는, 그 표시를 안내 정보에 포함한다. 또한, 벽(23a)에 표시하고 있던 카의 도래 방향의 표시를 비표시하는 안내 정보도 포함한다.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와 승강장의 출입구의 바닥(24)에 안내 정보를 표시하고, 벽(23a)의 안내 정보를 비표시로 한다(S32).
또한,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삼방 프레임(21)에 제 2 광을 점멸 표시하는 대신에, 제 2 광을 표시하고 있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주위의 도어(22), 벽(23), 바닥(24)의 영역까지 제 2 광을 확장 또는 축소하도록 표시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다음에, 도어(22)를 완전 개방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제 3 광을 삼방 프레임(21)의 전면에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바닥(24)에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과 목적지의 표시를 하고 있는 경우는, 그 표시를 안내 정보에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에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33).
다음에, 도어(22)가 폐쇄되기 직전(미리 설정된 시간 전)부터, 도어(22)가 폐쇄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의 전면에 제 4 광으로 점멸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바닥(24)에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과 목적지의 표시를 하고 있는 경우는, 그 표시를 안내 정보에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삼방 프레임(21)의 전면에 제 4 광을 점멸 표시한다(S34). 그리고, 도어(22)가 폐쇄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제 4 광을 비표시로 한다.
또한, 제 4 광을 점멸 표시하는 대신에, 제 4 광을 표시하고 있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삼방 프레임(21)의 제 4 광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주위의 벽(23), 바닥(24)의 영역까지 제 4 광을 확장 또는 축소하도록 표시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이와 같이,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위치, 카의 이동과 카의 도래 방향, 및 도어의 개폐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삼방 프레임에 표시하여 안내하는 동시에, 카 내에 휠체어 이용자가 있는 경우에, 도어에 그 정보를 안내하고,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할 때에는,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을 도어 앞의 바닥에 표시한다. 그 때문에, 승강장의 이용자는, 호출에 응하는 카에 휠체어 이용자가 있는 것을 호출된 카가 선정되었을 때부터 알 수 있어서,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영역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휠체어 이용자에게 하차 후의 이동 방향을 나타냄으로써, 휠체어 이용자는 하차한 후에 방향을 잃는 일 없이 목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어에 표시하는 휠체어 이용자의 안내 정보를 카가 선정되었을 때와, 카가 도착하려고 할 때, 또한 카가 도착했을 때에 필요한 휠체어 이용자의 정보를 표시한다고 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좋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2에서는, 호출에 응한 카가 선정되었을 때에, 그 카에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하고 있으면, 카의 이동과 도래 방향을 삼방 프레임(21)에 나타내는 동시에, 휠체어 이용자의 정보를 도어(22)와 도어(22) 앞의 바닥(24)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실시형태 3은, 카의 이동과 도래 방향에 연동하여 삼방 프레임(21)에 안내 정보를 나타내는 동시에, 이용자의 정보 또는 센서의 정보로부터 카에 탑승하고 있는 인원수 등의 혼잡 상황을 포함한 카 내의 정보를 도어(22)에 표시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 장치(1)의 기능 구성도와 하드웨어 구성도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이다.
도 7의 (1)은 호출이 없을 때의 승강장의 상태이다. 도 3의 (1)과 마찬가지로, 승강장에는, 삼방 프레임(21), 도어(22), 삼방 프레임(21)의 상부의 벽(23), 승강장의 도어(22) 앞의 바닥(24)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의해 호출 정보가 입력 장치(5)에 입력되면, 그 호출 정보가 입력 장치(5)로부터 안내 장치(1)와 카 동력 장치(6)에 송신된다. 그리고, 카 동력 장치(6)가 호출에 응하는 카를 선정한다. 그러면, 도 7의 (2a) 또는 도 7의 (2b1) 또는 도 7의 (2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출에 응하는 카에 대응한, 호출층의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a)에 제 1 광이 안내 정보로서 표시된다.
또한, 센서나 이용자 등록에 의해, 호출에 응하는 카의 탑승자의 정보가 안내 장치(1)에 입력된 경우, 그 이용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할지의 여부와, 승차하고 있는 인원수 등의 카 내의 혼잡 정보를 포함하는 카 내의 상황을 도어(22)에 표시한다. 또한, 카의 도래 방향을 삼방 프레임(21)의 상부의 벽(23)에 도안이나 동영상 등으로 표시한다.
도어(22)에 표시하는 탑승자의 정보의 표시는, 예컨대,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경우, 도 7의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22)의 중앙에 크게 사람의 도안 또는 실루엣과 「하차합니다」라는 문자, 또는 하차하는 동영상 등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표시함으로써,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이용자는, 카가 오는 것을 안 시점에, 호출에 응하는 카 내에 하차할 사람이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탑승자가 복수라도, 하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안에는 1명의 도안으로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하차하는 인원수를 합한 도안 또는 실루엣을 표시해도 좋고, 하차하는 것을 알 수 있는 표시이면 그 이외라도 좋다.
또한, 탑승자가 3명이며, 호출층에서는 하차하지 않는 경우, 도 7의 (2b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22)의 우측 상단에 작게 사람 도안을 표시한다. 또한, 탑승자가 2명이며, 호출층에서는 하차하지 않는 경우, 도 7의 (2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22)의 우측 상단에 작게 사람 도안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표시함으로써,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이용자는, 카가 오는 것을 안 시점에, 호출에 응하는 카 내에 탑승자가 있는 것과 혼잡 상황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그리고, 호출에 응하는 카가 이동하기 시작하고, 카의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는, 도 7의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22)의 중앙(22a)에 탑승자의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카의 상대적인 위치와 도래 방향에 연동하여 삼방 프레임(21b)에 제 2 광을 표시하고, 벽(23)에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도안을 제 2 광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도어(22)에 표시하는 탑승자의 정보는 삼방 프레임(21)과 동일한 광이어도 좋고, 상이한 광이어도 좋다.
또한, 카의 위치가 호출층에 가까워지면, 도 7의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22)에 탑승자의 정보를 표시한 상태에서, 카의 상대적인 위치와 도래 방향에 연동하는 삼방 프레임(21)의 영역을 제 2 광으로 표시하고, 벽(23)에 카의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도안을 제 2 광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카의 위치가 호출층에 가까워지면, 도어(22c)에는, 이용자의 정보에 의해, 하차하는 사람의 인원수 또는 하차하는 사람의 비율을 알 수 있는 도안 또는 실루엣 등이 표시된다. 또한, 이 하차하는 사람의 표시는 삼방 프레임(21)과 마찬가지로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에 연동하여 표시된다. 즉, 도어(22c)에는, 도어(22c)에 가까워지고 있는 카 내의 상황이 유사적으로 들여다보이는 듯한 안내 정보가 표시된다. 카가 도착했을 때에, 카 내의 사람의 인원수 또는 카 내의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는 도안 또는 실루엣이 바닥(24)에 서있는 위치가 되도록 동영상으로 표시되어, 승강장의 이용자는 하차할 탑승자의 상황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카의 위치가 호출층에 가까워졌을 때에, 호출층에서 내리지 않는 탑승자의 정보를 도어(22)에 함께 표시해도 좋다. 그 때에는, 도 7의 (3b)에 도시한 탑승자의 인원수 또는 비율을 나타내는 도안 또는 실루엣 중,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사람의 인원수 또는 비율을 나타내는 탑승자의 도안 또는 실루엣은 앞면에 진한색 광으로 표시하고, 호출층에서 하차하지 않는 사람의 인원수 또는 비율을 나타내는 탑승자의 도안 또는 실루엣은 깊이 방향으로 연한색 광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표시함으로써, 승강장의 이용자는, 호출에 응하는 카가 도착했을 때에, 내릴 사람이 어느 정도 있는지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는 동시에, 하차하지 않는 탑승자에 의한 카 내의 혼잡 상태의 상황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카의 위치가 호출층에 가까워졌을 때에, 도어(22)에 호출층에서 내리지 않는 탑승자의 정보를 도 7의 (2b1) 및 도 7의 (2b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2)의 우측 상단에 나타낸 채로 삼방 프레임(21)에 카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표시함으로써, 승강장의 이용자는 카 내의 혼잡 상태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그리고, 카가 호출층에 도착하면, 도 7의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카의 도래 방향이 아래 방향으로부터인 경우, 도어(22d)에 탑승자가 바닥 아래로부터 도착하고, 도어(22d)의 앞면에서 바닥(24)에 서있는 것처럼 표시되며, 삼방 프레임(21)에는 제 2 광이 전면에 표시된다.
또한, 도 7의 (3b)와 도 7의 (3c)에 도시한 도어(22)의 표시는, 하차하는 사람과 하차하지 않는 사람의 구별이 되는 표시이면 다른 표시라도 좋다.
그리고, 카가 호출층에 도착하고 도어(22)가 개방되기 직전부터 도어(22)가 개방되고 있는 동안에는, 실시형태 1의 도 3의 (4a)와 도 3의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방 프레임(21)의 제 2 광이 점멸 표시되는 동시에, 탑승자의 이용자의 정보와 카 내의 상황을 나타내는 안내 정보를 도어(22)에 표시한다.
도어(22)가 완전 개방되고 나서 도어(22)가 폐쇄될 때까지의 안내 정보의 표시는, 도 3의 (5) 및 도 3의 (6)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어가 완전 개방되고 나서 도어(22)가 폐쇄될 때까지의 도어(22)에 탑승하고 있는 카 내의 상황을 표시한 상태에서, 삼방 프레임의 표시를 도 3의 (5) 및 도 3의 (6)과 마찬가지로 해도 좋다.
이상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의 설명이다.
다음에, 흐름도를 이용하여 안내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의해 입력 장치(5)로부터 호출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장치(5)로부터 안내 장치(1)의 입력 수단(3)에 호출 정보가 입력된다(S41). 이때, 입력 장치(5)로부터 카 동력 장치(6)에도 동시에 호출 정보가 입력된다.
그러면, 호출 정보에 의해 카 동력 장치(6)가 호출에 응하는 카를 선정하고,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와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안내 장치(1)의 제어 수단(2)에 입력된다(S42).
그러면, 제어 수단(2)은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에 대응한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a)에 제 1 광을 표시하고, 벽(23)에 카의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삼방 프레임(21a)과 벽(23a)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43).
나아가, 제어 수단(2)은, 입력 수단(3)을 거쳐서 입력 장치(5)로부터 입력된 이용자의 정보, 또는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입력된 센서의 정보나 카 내의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호출에 응하는 카 내에 탑승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4). 이용자의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기도 한다. 또한, 카 내를 검지하는 센서의 정보나 카 내를 촬영하는 화상의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어, 제어 수단(2)이 카 내에 탑승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좋다.
또한, 제어 수단(2)은 추가로 이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5).
호출에 응하는 카에 탑승자가 있으며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경우, 도 7의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a)에 제 1 광을 표시하고, 벽(23a)에 카의 도래 방향을 표시하는 동시에, 도어(22)의 전면(22a)의 중앙에 사람의 도안 또는 실루엣의 표시와, 「하차합니다」 라는 문자를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도어(22)의 표시는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것을 알 수 있는 표시라면 좋고, 동영상이어도 좋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그 안내 정보를 삼방 프레임(21), 도어(22) 및 벽(23)에 표시한다(S46).
또한, 호출에 응하는 카에 탑승자가 있으며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지 않는 경우,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a)에 제 1 광을 표시하고, 벽(23a)에 카의 도래 방향을 표시하는 동시에, 도어(22)의 우측 상단에 탑승자의 인원수 또는 비율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탑승자가 3명이면, 도 7의 (2b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2)은, 도어(22)의 우측 상단(22b1)에 탑승자 3명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예컨대 탑승자가 2명인 경우, 도 7의 (2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2)은 도어의 우측 상단(22b2)에 탑승자 2명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그 안내 정보를 삼방 프레임(21), 도어(22) 및 벽(23)에 표시한다(S47). 도 7의 (2b)에서는, 카 내의 혼잡 상황을 탑승자의 인원수로 나타내고 있지만, 탑승자의 비율로 나타내도 좋다.
다음에, 호출에 응하는 카가 이동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카의 위치로서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호출에 응했을 때의 카의 위치와 호출층과의 거리에 대한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에 따라서, 삼방 프레임(21)의 일부의 영역(21b)은 제 2 광으로 표시하고 다른쪽의 영역(21a)은 제 1 광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벽(23a)에는 카의 도래 방향의 도안을 표시한 상태에서, 도어(22a)에는 탑승자의 정보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 도어(22) 및 벽(23)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48)(도 7의 (3a)).
다음에, 제어 수단(2)은, 이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9).
카가 호출층의 위치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온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고,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한다고 판정한 경우, 삼방 프레임(21)의 영역(21b)에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을 제 2 광으로 표시하고, 다른쪽의 영역(21a)에는 제 1 광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벽(23a)에는 카의 도래 방향을 표시하는 동시에,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에 연동하여 도어(22c)에 표시한 탑승자의 인원수 또는 비율을 나타내는 도안 또는 실루엣이 호출층에 도착하려고 하는 동영상에 의해 카 내의 상황을 강조한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와 벽(23)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50)(도 7의 (3b)). 또한, 카가 호출층에 가까워지고 있을 때에, 카 내의 탑승자의 인원수 또는 비율을, 카의 이동과 연동하여 동영상으로 표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정지 영상이어도 좋다.
다음에, 카가 호출층에 도착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고,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경우, 삼방 프레임(21b)의 전면에는 제 2 광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벽(23a)에는 카의 도래 방향을 표시하는 동시에, 도어(22)에 표시하고 있는 탑승자의 도안 또는 실루엣은 호출층에 도착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 바닥(24)에 서있는 것처럼 도어(22d)에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와 벽(23)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51)(도 7의 (3c)).
이때, 도어(22d)에 표시하는 안내 정보는, 도어(22)가 비쳐서 카 내의 탑승자의 상황이 보이는 것처럼 표시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그 이외, 카 내의 탑승자의 상황을 카의 도착 상황과 함께 안내할 수 있으면 다른 표시의 방법이어도 좋다. 적어도, 카 내의 탑승자의 상황을 안내할 수 있으면 다른 표시의 방법이어도 좋다.
또한,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지 않는 경우, 제어 수단(2)은, 실시형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에 연동하여 삼방 프레임(21b)의 영역에 제 2 광을 표시하고, 다른쪽의 영역(21a)은 제 1 광을 표시하고, 동시에 도어(22)에 표시를 한 탑승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안내 정보에는, 벽(23)에 표시하는 카의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안내 정보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삼방 프레임(21), 도어(22) 및 벽(23)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의 설명에서도 기재한 바와 같이, 하차하지 않는 탑승자의 상황을 포함한 카 내의 상황을 하차하는 탑승자와 함께 도어(22)에 표시해도 좋다.
그리고, 도어(22)가 개방되기 직전(미리 설정된 시간 전)부터, 도어(22)가 개방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삼방 프레임(21)에 표시하고 있는 제 2 광을 점멸하는 안내 정보와, 벽(23)의 카의 도래 방향의 표시를 비표시로 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로 삼방 프레임(21)을 제 2 광으로 점멸 표시하고, 벽(23)의 안내 정보를 비표시로 한다(S52).
또한,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삼방 프레임(21)에 제 2 광을 점멸 표시하는 대신에, 제 2 광을 표시하고 있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주위의 도어(22), 벽(23), 바닥(24)의 영역까지 제 2 광을 확장 또는 축소하도록 표시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다음에, 도어(22)를 완전 개방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제 3 광을 삼방 프레임(21)의 전면에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로 삼방 프레임(21)의 전면을 제 3 광으로 표시한다(S53).
다음에, 도어(22)가 폐쇄되기 직전(미리 설정된 시간 전)부터, 도어(22)가 폐쇄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의 전면에 제 4 광으로 점멸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내 정보로 삼방 프레임(21)의 전면을 제 4 광으로 점멸 표시한다(S54). 그리고, 도어(22)가 폐쇄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제 4 광을 비표시로 한다.
또한, 제 4 광을 점멸 표시하는 대신에, 제 4 광을 표시하고 있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의 제 4 광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주위의 벽(23), 바닥(24)의 영역까지 제 4 광을 확장 또는 축소하도록 표시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이와 같이,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위치, 카의 이동과 카의 도래 방향, 및 도어의 개폐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삼방 프레임에 표시하여 안내하는 동시에, 카에 탑승하고 있는 이용자의 정보로부터, 호출에 응하는 카 내에 탑승자가 있는지의 여부, 그 탑승자의 인원수 또는 비율로부터 혼잡 상황과,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할지의 여부, 등의 카 내의 정보를 도어에 표시함으로써, 호출층의 승강장의 이용자는, 카가 선정되었을 때부터, 카 내의 상황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카가 호출층에 가까워지면, 카 내의 상황을 도어에 강조 표시하기 때문에, 승강장의 이용자는 카의 이동 상황과 함께 카 내의 상황도 아울러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3에서는, 삼방 프레임(21)에 표시한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의 안내 정보에 연동하여, 이용자의 정보 또는 센서의 정보로부터 카에 탑승하고 있는 사람의 인원수 또는 비율 등의 혼잡 상황을 포함한 카 내의 상황을 도어에 표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실시형태 4는, 카에 탑승하고 있는 사람 등의 정보를 도어에 표시하고, 그 탑승하고 있는 사람이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것을 바닥(24)에도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다.
안내 장치(1)의 기능 구성도와 하드웨어 구성도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이다.
도 9의 (1)은 호출이 없을 때의 승강장의 상태이다. 도 3의 (1)과 마찬가지로, 승강장에는, 삼방 프레임(21), 도어(22), 삼방 프레임의 상부의 벽(23), 승강장의 도어(22) 앞의 바닥(24)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의해 호출 정보가 입력 장치(5)에 입력되면, 그 호출 정보가 입력 장치(5)로부터 안내 장치(1)와 카 동력 장치(6)에 송신된다. 그리고, 카 동력 장치(6)가 호출에 응하는 카를 선정한다. 그러면, 도 9의 (2a) 또는 도 9의 (2b1) 또는 도 9의 (2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출에 응하는 카에 대응하는,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a)에 제 1 광이 안내 정보로서 표시된다.
또한, 카가 선정되었을 때에, 센서나 이용자 등록에 의해, 호출에 응하는 카의 탑승자의 정보가 안내 장치(1)에 입력되어 있는 경우, 그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것이나, 승차하고 있는 사람의 인원수 또는 비율 등의 탑승자의 정보를 사람의 도안 또는 실루엣으로 도어(22)에 표시한다. 이 상황에서의 표시는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상부의 벽(23a)에는, 카의 도래 방향이 제 1 광으로 표시된다.
다음에, 카가 이동하기 시작하고,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경우, 도 9의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9의 (2a)에 도시한 탑승자의 안내 정보를 도어(22)의 중앙(22a)에 표시한 상태에서, 카의 상대적인 위치와 도래 방향이 삼방 프레임(21)의 영역(21b)에 제 2 광으로 표시된다. 또한, 삼방 프레임의 다른쪽의 영역(21a)에는, 제 1 광이 표시된다. 나아가, 카의 위치가 호출층에 가까워지면 도 9의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도어(22)에 표시한 사람의 도안 또는 실루엣을 바닥까지 이동하는 동영상을 안내 정보로서 표시한다.
그리고, 카가 호출층에 도착하면 도 9의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22)에 나타낸 사람의 도안 또는 실루엣이 도어(22)로부터 바닥(24a)으로 이동하도록 동영상으로 표시되고, 바닥(24a)에는, 탑승자가 하차할 영역도 표시되며, 삼방 프레임(21)에는 제 2 광이 전면에 표시된다. 또한, 카가 이동하여 호출층에 도착할 때까지, 삼방 프레임(21)의 상부의 벽(23a)에는, 카의 도래 방향이 제 1 광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22)가 개방되기 직전부터 완전 개방되고 폐쇄될 때까지의 안내 정보의 표시는, 삼방 프레임(21)의 표시는 도 3의 (4), 도 3의 (5) 및 도 3의 (6)과 마찬가지이며, 카 내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는, 도어(22)에 표시한 상태로 한다.
이상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표시예의 설명이다.
다음에, 흐름도를 이용하여 안내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안내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호출에 응하는 카에 대응하는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의 전면에 제 1 광을 표시하고, 벽(23)에 카의 도래 방향을 나타내며, 도어(22)에 카의 탑승자의 정보를 표시할 때까지의 동작은,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우선, 엘리베이터 이용자에 의해 입력 장치(5)로부터 호출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장치(5)로부터 안내 장치(1)의 입력 수단(3)에 호출 정보가 입력된다(S61). 이때, 입력 장치(5)로부터 카 동력 장치(6)에도 동시에 호출 정보가 입력된다.
그러면, 호출 정보에 의해 카 동력 장치(6)가 호출에 응하는 카를 선정하고,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와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안내 장치(1)의 제어 수단(2)에 입력된다(S62).
그러면, 제어 수단(2)은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에 대응한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a)에 제 1 광을 표시하고, 벽(23)에 카의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삼방 프레임(21a)과 벽(23a)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63).
또한, 제어 수단(2)은, 입력 수단(3)을 거쳐서 입력 장치(5)로부터 입력된 이용자의 정보, 또는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입력된 센서의 정보나 카 내의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호출에 응하는 카에 탑승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4). 이용자의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기도 한다.
또한, 추가로 제어 수단(2)은 이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5).
호출에 응하는 카에 탑승자가 있으며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경우, 도 9의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의 전면(21a)에 제 1 광을 표시하는 동시에, 도어(22)의 전면(22a)의 중앙에 사람의 도안 또는 실루엣의 표시와, 「하차합니다」라는 문자를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벽(23a)에 나타내는 카의 도래 방향의 표시도 안내 정보에 포함한다.
또한, 도어(22)의 표시는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것을 알 수 있는 표시이면 좋고, 동영상이어도 좋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그 안내 정보를 삼방 프레임(21), 도어(22) 및 벽(23)에 표시한다(S66).
또한, 호출에 응하는 카에 탑승자가 있으며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지 않는 경우, 도어(22)의 우측 상단에 탑승자의 인원수 또는 비율을 표시한다. 예컨대 탑승자가 3명이면, 도 9의 (2b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2)은 도어(22)의 우측 상단(22b1)에 탑승자 3명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예컨대 탑승자가 2명인 경우, 도 9의 (2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2)은 도어의 우측 상단(22b2)에 탑승자 2명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그 안내 정보를 도어(22)의 우측 상단(22b)에 표시한다(S67).
호출에 응하는 카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는 도어(22)에 표시를 하지 않고,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탑승자가 있는 경우는, S66 또는 S67에서 도어(22)에 표시한 탑승자를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포함하여,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호출에 응하는 카가 이동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카의 위치로서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호출에 응했을 때의 카의 위치와 호출층과의 거리에 대한 카의 위치와 카의 도래 방향에 따라서,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의 일부의 영역(21b)을 제 2 광으로 표시하고, 다른쪽의 영역(21a)을 제 1 광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카 내에 탑승자가 있으면 도어(22a)에 탑승자의 정보를 표시하고, 벽(23a)에는 카의 도래 방향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표시 수단(4)을 거쳐서 표시 장치(7)에 의해, 호출층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21), 도어(22) 및 벽(23)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68)(도 9의 (3a)).
다음에, 제어 수단(2)은, 이용자의 정보로부터,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9).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경우이며, 카가 호출층의 위치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온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탑승자를 나타내는 도안 또는 실루엣을 도어(22)의 중앙으로부터 바닥에 서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영상을 도어(22)에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영역(21b)에는 카의 위치를 제 2 광으로 표시하고, 벽(23a)에는 카의 도래 방향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와 벽(23)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70)(도 9의 (3b)).
그리고,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경우이며, 카가 호출층에 도착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도어(22)에 표시하고 있는 탑승자의 도안 또는 실루엣을 바닥(24)으로 이동시켜서, 바닥(24)에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과 함께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삼방 프레임(21b)의 영역(21b)에 나타내는 제 2 광을 전면에 표시하고, 벽(23a)에는 카의 도래 방향을 나타내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와 벽(23)에, 생성한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S71)(도 9의 (3c)).
탑승자가 있으며 호출층에서는 하차하지 않는 경우는, 도어(22)에 나타낸 탑승자의 표시를 한 상태에서, 카의 위치와 카의 도래 방향을 삼방 프레임(21)의 영역(21b)에 제 2 광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한다.
또한, 탑승자가 없는 경우는, 카의 위치와 도래 방향을 삼방 프레임(21)의 영역(21b)에 제 2 광으로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한다.
그리고, 도어(22)가 개방되기 직전(미리 설정된 시간 전)부터, 도어(22)가 개방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삼방 프레임(21)에 표시하고 있는 제 2 광을 점멸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S72).
또한,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삼방 프레임(21)에 제 2 광을 점멸 표시하는 대신에, 제 2 광을 표시하고 있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주위의 도어(22), 벽(23), 바닥(24)의 영역까지 제 2 광을 확장 또는 축소하도록 표시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다음에, 도어(22)를 완전 개방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제 3 광을 삼방 프레임(21)의 전면에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S73).
다음에, 도어(22)가 폐쇄되기 직전(미리 설정된 시간 전)부터, 도어(22)가 폐쇄되는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삼방 프레임(21)의 전면에 제 4 광으로 점멸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S74). 그리고, 도어(22)가 폐쇄된 정보가 카 동력 장치(6)로부터 제어 수단(2)에 입력되면, 제어 수단(2)은 제 4 광을 비표시로 한다.
또한, 제 4 광을 점멸 표시하는 대신에, 제 4 광을 표시하고 있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조정함으로써 삼방 프레임(21)과 도어(22)에의 제 4 광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21)의 주위의 벽(23), 바닥(24)의 영역까지 제 4 광을 확장 또는 축소하도록 표시하여 삼방 프레임(21)을 강조 표시해도 좋다.
이와 같이,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위치, 카의 이동과 카의 도래 방향, 도어의 개폐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삼방 프레임(21)에 표시하여 안내하는 동시에, 카에 탑승하고 있는 이용자의 정보로부터, 탑승자의 하차 상황을 도어와 도어 앞의 바닥에 표시함으로써, 호출층의 승강장의 이용자는, 카가 선정되었을 때부터, 호출에 응하는 카 내에 탑승자가 있는지의 여부, 그 탑승자가 하차할지의 여부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도어가 개방될 때에, 탑승자가 하차하고 승강장에 내릴 때에 필요한 영역을 바닥에 표시함으로써, 승강장의 이용자는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는 동시에, 승강장의 이용자가 서둘러 승차하려고 할 때에, 하차하려고 하는 탑승자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차하는 탑승자를 위해 영역을 비워 둘 필요가 있는 것을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 도어 안의 카의 상황은 승강장의 이용자가 알 수 없지만,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카 내의 상황을 미리 도어에 표시하여 알림으로써, 승강장의 이용자는 염려나 동정 등의 배려를 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카 내의 상황을 미리 도어에 표시하여 알림으로써, 승강장의 사람이 하차할 사람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행동할 수 있어서, 보다 원활하게 승하차를 할 수 있다.
또한,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위치와, 호출에 응하는 카의 상태와, 승강장의 도어의 개폐 상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 또는 삼방 프레임의 주변에 광으로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의 각각의 상태를 광에 의해 단속적 또는 단편적으로 표시해도 좋다.
또한, 안내 정보의 표시는, 삼방 프레임이 아니라, 출입구가 되는 삼방 프레임의 주변의 바닥에만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의 안내인 광을 연속하여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의 주변의 외측 또는 내측 중 어느 하나 또는 쌍방에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의 안내인 광을 연속하여 표시해도 좋고, 삼방 프레임의 주변의 벽에만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의 안내인 광을 연속하여 표시해도 좋으며, 삼방 프레임의 내측의 도어에만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의 안내인 광을 연속하여 표시해도 좋다. 또한, 삼방 프레임, 바닥면, 삼방 프레임의 주변의 벽, 도어의 어느 조합에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광으로 연속하여 표시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탑승자의 정보로서, 이용자의 정보로부터 휠체어 이용자의 유무나 이용자의 인원수 또는 비율, 호출층에서의 하차의 정보를 도어에 나타내는 것을 설명했지만, 유모차의 이용이나 애완동물을 동승한 이용, 큰 짐을 지니고 있는 상태에서의 이동 등, 이용자의 정보로부터 알 수 있는 카 내의 상황을 도어(22)에 나타내도 좋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장치는, 호출에 응하는 카의 호기에 대응한 승강장의 위치, 호출에 응하는 카의 위치와 카의 도래 방향, 도어의 개폐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승강장의 삼방 프레임에 안내 정보로 표시하므로, 이용자는 직감적으로 호출에 응하는 카의 상황과 도어의 개폐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휠체어 이용자의 유무, 탑승자의 유무,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할지의 여부와 같은 정보를 도어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승강장의 이용자는 카 내의 상황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카 내의 탑승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것을 도어와 도어 앞의 바닥에 표시함으로써, 승강장의 이용자는 하차하는 사람, 특히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1: 안내 장치, 2: 제어 수단, 3: 입력 수단, 4: 표시 수단, 5: 입력 장치, 6: 카 동력 장치, 7: 표시 장치, 11: 프로세서, 12: 메모리, 13: 입출력 인터페이스, 21: 삼방 프레임, 22: 도어, 23: 벽, 24: 바닥

Claims (14)

  1. 엘리베이터의 카(car)를 제어하는 카 동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에 응하는 카의 운행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개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출입구의 개구부에 설치된 삼방 프레임(three-sided frame) 또는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변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가 선정되면 상기 삼방 프레임 또는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변에 제 1 광을 표시하고, 상기 카가 이동하면 상기 호출에 응한 카의 위치로부터 상기 호출층까지의 상대적인 상기 카의 위치와 상기 카의 도래 방향을 상기 삼방 프레임 또는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변에 제 2 광으로 대응시켜 표시하고, 상기 호출에 응한 카가 상기 호출층에 도착하고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도어가 개방될 때에 상기 삼방 프레임 또는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변을 상기 제 2 광으로 강조 표시하고, 상기 도어가 완전 개방되면 상기 삼방 프레임 또는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변을 제 3 광으로 표시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에 상기 삼방 프레임 또는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변을 제 4 광으로 강조 표시하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제 4 광을 비표시로 하는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광과 상기 제 2 광과 상기 제 3 광과 상기 제 4 광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변은 상기 삼방 프레임의 내측의 도어, 또는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위의 바닥, 또는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위의 벽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을 등록한 이용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이용자의 정보로부터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도어에 상기 카 내의 상황을 판정하여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내의 상황으로서 상기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휠체어인 것을 판정하고,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가 선정되면,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도어에 상기 휠체어의 이용을 표시하는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내의 상황으로서 상기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휠체어이며 상기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것을 판정하고,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가 호출층에 도착할 때에,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도어에 상기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하는 표시의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내의 상황으로서 상기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휠체어이며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것을 판정하고,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가 호출층에 도착하면,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도어로부터 도어 앞의 바닥에, 상기 휠체어 이용자가 하차하는 모습과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휠체어가 하차하고 나서 이동할 방향을 표시하는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내의 상황으로서 상기 카 내의 인원수를 판정하고, 상기 카가 선정되면, 상기 호출에 응한 카에 대응하는 승강장의 도어에, 상기 카 내의 인원수 또는 비율을 포함하는 상황을 표시하는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1. 제 5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내의 상황으로서 상기 카에 탑승한 이용자가 호출층에서 하차하는 것을 판정하고,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가 호출층에 도착할 때에,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도어에, 상기 카 내의 하차할 이용자의 상황을 표시하는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2. 제 5 항 또는 제 10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 내의 상황으로서 상기 카의 탑승자가 하차한다고 판정하고,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가 호출층에 도착하면,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승강장의 도어로부터 도어 앞의 바닥에, 상기 카 내의 탑승자가 하차하는 모습과 하차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장치.
  13.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안내 장치의 안내 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카를 제어하는 카 동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에 응하는 카의 운행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개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출입구의 개구부에 설치된 삼방 프레임 또는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변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단계와,
    상기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단계,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방법.
  14. 엘리베이터의 카를 제어하는 카 동력 장치;
    상기 카 동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엘리베이터의 호출에 응하는 카의 운행 정보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도어의 개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에 응하는 카의 출입구의 개구부에 설치된 삼방 프레임 또는 상기 삼방 프레임의 주변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흐름을 표시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수단,
    을 구비한 안내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20197010468A 2016-10-24 2016-10-24 안내 장치, 안내 방법 및 엘리베이터 KR102081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1395 WO2018078681A1 (ja) 2016-10-24 2016-10-24 案内装置、案内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741A true KR20190042741A (ko) 2019-04-24
KR102081578B1 KR102081578B1 (ko) 2020-02-26

Family

ID=6032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468A KR102081578B1 (ko) 2016-10-24 2016-10-24 안내 장치, 안내 방법 및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52242B2 (ko)
JP (1) JP6229820B1 (ko)
KR (1) KR102081578B1 (ko)
CN (1) CN109843771B (ko)
DE (1) DE112016007243B4 (ko)
WO (1) WO2018078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5140B1 (en) * 2016-06-22 2020-05-26 Waymo Llc Various interior and exterior features for autonomous vehicles
EP3395740B1 (en) * 2017-04-28 2020-11-04 Otis Elevator Company Audio orientation systems for elevator cars
KR200493162Y1 (ko) * 2018-05-30 2021-02-08 (주)금영제너럴 엘리베이터용 진행표시장치
DE102018213573B4 (de) * 2018-08-13 2020-03-19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JP6806293B1 (ja) * 2019-02-19 2021-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乗場操作盤装置
CN110240029B (zh) * 2019-06-05 2021-08-2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的出入避让提醒系统及方法
KR102217759B1 (ko) * 2020-08-12 2021-02-22 주식회사 다지트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조립체 및 영상 처리 방법
CN114348821B (zh) * 2021-12-06 2023-09-12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电梯乘客的引导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721A (ja) * 1993-12-21 1995-07-11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4269217A (ja) * 2003-03-11 2004-09-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表示制御装置
JP2008265947A (ja) 2007-04-19 2008-11-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ホールの案内装置
JP2009096584A (ja) * 2007-10-16 2009-05-0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表示装置
JP2011046468A (ja) * 2009-08-26 2011-03-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6228B2 (ja) 1979-03-22 1985-1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防振金属材料の製造法
JPS642983A (en) 1987-06-23 1989-01-06 Hitachi Ltd Calling register of elevator
JPH01123677U (ko) 1988-02-15 1989-08-23
JPH0699099B2 (ja) 1988-09-20 1994-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情報案内制御システム
JP3544784B2 (ja) 1996-04-17 2004-07-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4587701B2 (ja) 2004-04-30 2010-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WO2011114489A1 (ja) * 2010-03-18 2011-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
JP5654958B2 (ja) * 2011-08-01 2015-01-1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出入り口用発光装置
MY185617A (en) * 2014-02-20 2021-05-25 Kone Corp Displaying information in elevator arrangement
JP6210921B2 (ja) * 2014-04-04 2017-10-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予測配車制御方法
JP6186599B1 (ja) * 2014-12-25 2017-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投影装置
EP3315443B1 (en) * 2016-10-26 2021-03-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virtual hall call panel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JP2020523713A (ja) * 2017-06-14 2020-08-06 ライティックス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建設現場において適応的な投影される現実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WO2020194368A1 (ja) * 2019-03-22 2020-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ホール照明装置兼誘導到着報知装置
WO2023073277A1 (en) * 2021-11-01 2023-05-04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jecting images on surfa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721A (ja) * 1993-12-21 1995-07-11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4269217A (ja) * 2003-03-11 2004-09-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表示制御装置
JP2008265947A (ja) 2007-04-19 2008-11-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ホールの案内装置
JP2009096584A (ja) * 2007-10-16 2009-05-0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表示装置
JP2011046468A (ja) * 2009-08-26 2011-03-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6007243T5 (de) 2019-06-27
US20190248623A1 (en) 2019-08-15
KR102081578B1 (ko) 2020-02-26
DE112016007243B4 (de) 2022-05-05
WO2018078681A1 (ja) 2018-05-03
US11952242B2 (en) 2024-04-09
CN109843771B (zh) 2021-01-05
JPWO2018078681A1 (ja) 2018-10-25
JP6229820B1 (ja) 2017-11-15
CN109843771A (zh)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2741A (ko) 안내 장치, 안내 방법 및 엘리베이터
KR1013352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
JP2016169096A (ja) エレベータ
JP5969090B1 (ja) エレベータ
JP201105732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525540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418295B2 (ja) 案内装置、案内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
JP201014368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呼び登録装置
JP201800236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5044674A (ja) エレベータ用案内システム
JP2014028696A (ja) エレベータ用表示装置
JP6827587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6545851B1 (ja) 2方向エレベータおよび2方向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6049819B1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内表示システム
JP201417734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US8674849B2 (en)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JP6253386B2 (ja) エレベータのアナウンス装置
JP671935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53650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利用者誘導システム
JP2019123581A (ja) エレベーター及びかご内乗客誘導方法
JP6495488B1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6643221B2 (ja) エレベーター案内装置
JP2021039582A (ja) 案内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案内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75134B1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7312277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