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714A - 조명등 제어 시스템 및 전환 유닛 - Google Patents

조명등 제어 시스템 및 전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714A
KR20190042714A KR1020197009441A KR20197009441A KR20190042714A KR 20190042714 A KR20190042714 A KR 20190042714A KR 1020197009441 A KR1020197009441 A KR 1020197009441A KR 20197009441 A KR20197009441 A KR 20197009441A KR 20190042714 A KR20190042714 A KR 20190042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current
switching unit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 요네다
나오키 모토야마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other areas of enviro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ndicate the vessel or parts thereof
    • H05B37/0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9Circuits providing for substitution of the light source in case of its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2045/0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comprising particular electr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채용한 항해등을 용이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고, 상기 광원을 갖는 항해등과, 상기 항해등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항해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항해등 제어 시스템이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광원으로 공급하는 광원 회로와, 상기 광원 회로에 접속한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고장을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항해등 제어 시스템, 조명등 제어 시스템 및 전환 유닛
본 발명은 항해등 제어 시스템, 조명등 제어 시스템 및 전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법률에 정하는 등화를 일몰부터 일출까지의 동안 표시해야만 한다는 것이, 해상 충돌 예방법에 정해져 있다. 이 법률에 정하는 등화, 소위 항해등으로서는, 마스트등이나 현등, 선미등 등이 있다. 야간에, 항해사는 다른 선박의 항해등을 보고, 당해 선박이 어느 정도의 크기이고, 어느 방향으로 항행하고 있는지 등의 상황을 판단한다. 이 때문에 고장 등에 의해 항해등이 소등되어 버리면, 당해 선박의 상황을, 다른 선박으로부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안전한 해상 교통의 방해가 되어 버린다. 그래서, 항해등의 광원이 고장에 의해 소등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제어나, 예비의 광원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항해등의 광원으로서는, 종래 전구가 사용되었지만, 전력 절약화 등을 위해, 근년 LED로 치환되게 되었다. 특허문헌 1에는 이와 같은 LED를 사용한 항해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650344호 공보
백열 전구를 광원으로 한 종래의 항해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현용계의 백열 전구와 예비계의 백열 전구를 릴레이를 통해 접속하고, 현용계의 백열 전구가 고장난 경우에 예비계의 백열 전구를 점등시키는 구성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용계의 백열 전구로의 전력의 공급로에 릴레이의 코일을 접속하고, 예비계의 백열 전구로의 전력의 공급로에 당해 릴레이의 B접점을 접속하고, 통상 시에는 현용계의 백열 전구로의 공급 전력에 의해 코일이 여자되어 B접점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고, 현용계의 백열 전구가 고장나서 공급 전력이 끊어지면, 상기 코일이 무여자로 되어 B접점이 폐쇄됨으로써, 예비계의 백열 전구를 점등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근년, 항해등의 광원이 전구로부터 LED로 변경되게 되었지만, LED를 광원으로 한 항해등으로 변경하는 경우, 제어 장치나 배선도 LED용으로 변경하게 되므로, 매우 많은 수고나 시간, 비용이 들게 되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LED를 광원으로 한 경우, 백열 전구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어지기 때문에, 백열 전구와 동일한 릴레이로 고장을 검지할 수 없어, 특허문헌 1과 같이 LED용으로 설계된 전용의 제어 장치에서 전환 신호에 기초하여 전환을 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채용한 등화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은,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고, 상기 광원을 갖는 항해등과,
상기 항해등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항해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하는 항해등 제어 시스템이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광원으로 공급하는 광원 회로와,
상기 광원 회로에 접속한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의 고장을 판정하는 판정부
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은, 고장 검출용의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광원의 고장을 검출하고, 이 전류값에 기초하여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LED)의 고장을 판정할 수 있고, 고장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거나 예비의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환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판정부 이외의 구성을 종래의 전구를 광원으로 채용한 시스템과 공통으로 할 수 있고, 용이하게 LED를 광원으로 채용한 항해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해등 제어 시스템은 상기 항해등이, 현용계의 상기 광원과 예비계의 상기 광원을 갖고,
상기 광원 회로가, 상기 현용계의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현용 회로와, 상기 예비계의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예비 회로를 갖고,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현용계의 광원이 고장났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예비계의 광원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은, 고장 검출용의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광원의 고장을 검출하고, 이 전류값이 고장을 나타내는 값이 된 경우에 예비계의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환을 행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판정부 이외의 구성을 종래의 전구를 광원으로 채용한 시스템과 공통으로 할 수 있어, 용이하게 LED를 광원으로 채용한 항해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해등 제어 시스템은, 상기 현용계의 광원이 복수 종류 마련되고, 상기 저항기가, 상기 광원의 종류마다 정해진 저항값을 가져도 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은, 광원의 종류마다 정한 적절한 조건에서 고장의 판정을 행할 수 있어, 고정밀도로 광원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광원의 고장을 판정하기 위한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도 상기 고장의 조건을 충족시킨 경우에 고장이라고 판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은, 전환부에 의한 인칭을 방지하여, 적절하게 예비계의 광원으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명등 제어 시스템은,
현용계의 광원 및 예비계의 광원을 갖는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현용계의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현용 회로와,
상기 예비계의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예비 회로와,
상기 현용 회로에 접속한 소정의 소자에 흐르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현용계의 광원의 고장을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현용계의 광원이 고장났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예비계의 광원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부
를 구비하는 조명등 제어 시스템이며,
상기 광원으로서, 전구와,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 가능하고,
상기 광원이 전구일 때는, 정상 시에 상기 현용계의 광원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소정의 소자로서의 코일을 여자하고, 상기 전환부로서의 스위치의 접점을 개방함으로써 예비계의 광원을 소등 상태로 하고, 고장에 의해 상기 현용계의 광원으로의 전력의 공급이 끊어져 상기 코일이 무여자로 되고, 상기 전환부로서의 스위치의 접점을 폐쇄함으로써 예비계의 광원을 점등 상태로 하고,
상기 광원이 발광 다이오드일 때는, 정상 시에 상기 현용계의 광원에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소정의 소자로서의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이 역치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전환부로서의 스위치의 접점을 개방함으로써 예비계의 광원을 소등 상태로 하고, 상기 현용계의 광원의 고장에 의해 상기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이 역치 미만이 된 경우에, 상기 전환부로서의 스위치의 접점을 폐쇄함으로써 예비계의 광원을 점등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등 제어 시스템은, 광원으로서, 전구와,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 가능하고, 광원으로서 전구를 선택한 경우든,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한 경우든, 현용계의 광원이 고장난 경우에 예비계의 광원을 점등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등 제어 시스템은,
상기 판정부와 상기 전환부를 구비한 전환 유닛을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광원으로서 상기 전구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판정부에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전구용의 전환 유닛을 상기 제어 장치에 장착하고,
상기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전구용의 전환 유닛 대신에 상기 판정부에 상기 저항기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용의 전환 유닛을 상기 제어 장치에 장착해도 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조명등 제어 시스템은,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전환 유닛을 전구용 대신에 발광 다이오드용을 장착하는 등의 용이한 수단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한 조명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은 선박의 신호 발신용으로 사용되는 항해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등 제어 시스템은, 항해등의 광원으로서 전구와,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 가능하게 해도, 용이하게 항해등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환 유닛은,
상기 조명등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때에 상기 제어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저항기를 포함하는 판정부와, 상기 전환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전환 유닛은, 상기 조명등 제어 시스템에 장착되었을 때, 광원으로서의 발광 다이오드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가능한 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채용한 등화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항해등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의 설명도이다.
도 2는 항해등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릴레이 유닛 및 소켓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소켓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전구용 릴레이 유닛의 내부의 회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광원에 LED를 채용한 항해등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LED용 릴레이 유닛의 내부의 회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LED용 릴레이 유닛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LED용 릴레이 유닛의 회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출력 회로에 의한 전환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기술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항해등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의 설명도, 도 2는 항해등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선박(9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항해등 제어 시스템(100)(도 2 참조)이 탑재되어 있다. 이 항해등 제어 시스템(100)은 제어 장치(10), 항해등(20), 전원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는 도 1에 도시하는 조타실(91)에 마련되고, 전원부(30)는 기관실(도시하지 않음)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100)은, 선박(90)에 탑재되는 조명등(등화)인 항해등의 제어를 행하는 조명등 제어 장치의 일 형태이다.
항해등(20)은, 예를 들어 전방부 마스트등(21)이나 우현등(22), 좌현등(23), 후방부 마스트등(24), 선미등(25) 등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각 항해등(21 내지 25)의 위치에 도시한 부채형은 각 등화의 표시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선박(90)에는 다종의 항해등(21 내지 25)을 구비하고 있지만, 공통된 사항의 설명에 대해서는, 이들을 포괄하여 항해등(20)이라고 칭한다. 또한, 이들 항해등(20)은 광원이 이중화(용장화)되어 있고, 각각 현용계의 광원 L1과 예비계의 광원 L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광원의 이중화는 하나의 항해등(20)이, 그 내부에 현용계의 광원 L1과 예비계의 광원 L2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두 항해등(20)을 구비하여, 한쪽을 현용계로 하고, 다른 쪽을 예비계로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어 장치(10)는 이들 광원 L1, L2 중, 통상 시에 현용계의 광원 L1만을 점등시키고, 현용계의 광원 L1이 고장난 경우에 예비계의 광원을 자동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장치(10)는 릴레이 유닛(12)이나, 표시등(13, 14) 및 경보 출력부(15)를 구비하고 있다.
경보 출력부(15)는 버저이고, 전력의 공급을 받은 경우에 버저 소리(경보의 일례)를 발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보 출력부(51)는 선원에게 경보를 통지할 수 있으면, 벨에 의한 벨 소리의 출력이나, 음성 메시지의 출력, 경고등의 점등, 디스플레이로의 경고 메시지의 표시, 다른 컴퓨터나 관리자 단말기로의 메시지 송신 등, 임의의 것이어도 된다.
표시등(13, 14)은 광원 L1, L2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광원 L1이 점등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등(13)이 점등되고, 광원 L2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등(14)이 점등된다.
커넥터(16)는 현용계의 광원 L1이 접속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16)와 릴레이 유닛(12)을 접속하는 배선(161)이나, 커넥터(16)와 전원부(30)를 접속하는 배선(162)이, 현용계의 광원 L1로의 전력의 공급로(현용 회로)이다.
커넥터(17)는 예비계의 광원 L2가 접속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17)와 릴레이 유닛(12)을 접속하는 배선(171)이나, 커넥터(17)와 전원부(30)를 접속하는 배선(172)이, 예비계의 광원 L2로의 전력의 공급로(예비 회로)이다.
릴레이 유닛(12)은 현용계의 광원 L1 및 예비계의 광원 L2와 접속되어, 현용계의 광원 L1이 고장난 경우에, 예비계의 광원 L2를 점등시키도록 전환을 행한다. 또한, 릴레이 유닛(12)은 표시등(13, 14) 및 경보 출력부(51)와 접속되어, 상기 현용계의 광원 L1이 고장난 경우에, 표시등(13)을 소등시키고 표시등(14)을 점등시켜, 경보 출력부(51)를 동작시킨다. 릴레이 유닛(12)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환 유닛의 일 형태이다.
릴레이 유닛(12)은 소켓(11)을 통해 제어 장치(10)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켓(11)이 제어 장치(10)의 기판에 고정되어 있고, 릴레이 유닛(12)이 소켓(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릴레이 유닛(12) 및 소켓(11)의 정면도, 도 4는 소켓(11)의 평면도이다. 릴레이 유닛(12)은 하우징(120)의 하단에 핀 단자(수단자) P1 내지 P8이 마련되고, 이 핀 단자 P1 내지 P8이 소켓(11)의 받침측 단자(암단자) J1 내지 J8에 삽입된다. 소켓(11)의 받침측 단자(암단자) J1 내지 J8은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내부의 배선에 의해 정면 및 배면의 단자 T1 내지 T8과 접속되어 있다. 즉, 소켓(11)에 삽입된 릴레이 유닛(12)의 핀 단자 P1 내지 P8은 소켓(11)의 단자 T1 내지 T8과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레이 유닛(12)에는 항해등(20)의 광원 L1, L2에 전구가 채용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하는 전구용 릴레이 유닛(12A)과, 광원 L1, L2에 LED가 채용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하는 LED용 릴레이 유닛(12B)이 있고, 광원 L1, L2의 종류에 따라 교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전구용 릴레이 유닛(12A)의 내부의 회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구용 릴레이 유닛(12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P1, P8 사이에 마련된 코일(121)의 여자에 의해, 단자 P2 내지 P4에 접속된 스위치(122)와 단자 P5 내지 P7에 접속된 스위치(123)의 접점을 이동시켜 ON/OFF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구용 릴레이 유닛(12A)에 있어서, 단자 P3, P4 사이 및 단자 P5, P6 사이는 코일(121)이 무여자일 때에 폐쇄하고, 여자되었을 때에 개방하는 b접점이고, 단자 P2, P3 사이 및 단자 P6, P7 사이는 코일(121)이 무여자일 때에 개방하고, 여자되었을 때에 폐쇄하는 a접점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용계의 광원 L1의 전력 공급로인 배선(161)은, 소켓(11)의 단자 T8에 접속되고, 단자 T1에 접속된 전원부(30)로부터의 전력이 코일(121)을 통해 공급된다. 이 때문에, 광원 L1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코일(121)이 여자되고, 단자 P2, P3 사이 및 단자 P6, P7 사이가 폐쇄되고, 단자 P3, P4 사이 및 단자 P5, P6 사이가 개방된다. 그렇게 하면, 소켓(11)의 단자 T7에 접속된 표시등(13)이 점등되고, 단자 T5에 접속된 예비계의 광원 L2 및 단자 T3에 접속된 표시등(14)은 소등되어 있다. 또한, 단자 T3에 접속된 경보 출력부(15)는 비동작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현용계의 광원 L1이, 전구 끊어짐 등의 고장에 의해 전력 공급로[배선(161)]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게 되면, 코일(121)이 무여자로 되어, 단자 P2, P3 사이 및 단자 P6, P7 사이가 개방되고, 단자 P3, P4 사이 및 단자 P5, P6 사이가 폐쇄된다. 이 때문에, 소켓(11)의 단자 T5에 접속된 예비계의 광원 L2 및 단자 T3에 접속된 표시등(14)이 점등되고, 경보 출력부(15)가 버저 소리를 출력한다. 또한, 단자 T7에 접속된 표시등(13)이 소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100)은 백열 전구 등의 전구를 광원 L1, L2로서 채용한 경우, 전구용 릴레이 유닛(12A)을 사용함으로써, 현용계의 광원 L1이 고장난 경우에 예비계의 광원 L2를 점등시키는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100)은, LED를 광원 L1, L2로서 채용한 경우, LED용 릴레이 유닛(12B)을 사용함으로써, 현용계의 광원 L1이 고장난 경우에 예비계의 광원 L2를 점등시키는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6은 광원에 LED를 채용한 항해등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경우, 도 2에 비해 소켓(11)의 단자 T2와 전원부(30)를 접속하는 배선(131)을 마련하고, 단자 T1, T2 사이에 전원부(30)를 접속한다.
도 7은 LED용 릴레이 유닛(12B)의 내부의 회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LED용 릴레이 유닛(12B)의 기능 블록도이다. LED용 릴레이 유닛(12B)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구용 릴레이 유닛(12A)의 코일(121) 대신에 저항기(129)를 단자 P1, P8 사이에 마련하고, 이 저항기(129)에 가해지는 전압의 변동에 의해 광원 L1의 상태를 검출하고, 단자 P3, P4에 접속된 스위치(124)와 단자 P5 내지 P7에 접속된 스위치(125)의 접점을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2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LED용 릴레이 유닛(12B)에 있어서, 단자 P3, P4 사이 및 단자 P5, P6 사이는, 통상 시에 개방된 상태(노멀 오픈)이며, 구동 회로(210)에 의해 구동된 경우에 폐쇄하는 a접점이다. 또한, LED용 릴레이 유닛(12B)에 있어서, 단자 P6, P7 사이는, 통상 시에 폐쇄된 상태(노멀 클로즈)이며, 구동 회로(210)에 의해 구동된 경우에 개방하는 b접점이다.
구동 회로(2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회로(211), 전류 검출용의 저항기(129), 판정 회로(212), 출력 회로(213), 코일(214)을 갖고 있다. 전원 회로(211)는 판정 회로(212)나 출력 회로(213)로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이고, 본 예에서는 단자 P1, P2에 접속된 전원부(30)로부터의 AC 전류를 판정 회로(212) 및 출력 회로(213)에서 사용하는 DC 전류로 변환하고 있다.
판정 회로(판정부)(212)는 전류 검출용의 저항기(129)를 통해 광원 L1로 흐르는 전류(이하, LED 전류라고도 칭함)에 기초하여 고장을 판정하고, 고장의 조건을 충족시킨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LED 전류가 역치 미만으로 된 경우에, 고장을 나타내는 신호를 판정 결과로서 출력한다.
출력 회로(213)는 현용계의 광원 L1이 고장난 것을 나타내는 판정 결과를 판정 회로(212)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코일(214)을 여자하고, 스위치(124, 125)의 접점을 구동하고, 단자 P3, P4 사이 및 단자 P5, P6 사이를 폐쇄하고, 단자 P6, P7 사이를 개방한다. 한편, 상기 고장을 나타내는 판정 결과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출력 회로(213)는 코일(214)을 여자하지 않으므로, 스위치(124, 125)의 접점은 노멀 상태, 즉 단자 P3, P4 사이 및 단자 P5, P6 사이가 개방되고, 단자 P6, P7 사이가 폐쇄된 상태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출력 회로(213) 및 스위치(124, 125)는 전환부의 일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124, 125)의 접점을 코일(214)로 구동하는 가동 접점형의 릴레이를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이리스터나 트라이악 등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채용한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를 채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100)은, LED를 광원 L1, L2로서 채용한 경우, LED용 릴레이 유닛(12B)을 사용하여, 저항기(129)에 흐르는 LED 전류에 기초하여 현용계의 광원 L1의 고장을 내고, 예비계의 광원 L2를 점등시키는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LED를 광원 L1, L2로서 채용한 경우, 광원 L1, L2는 LED뿐만 아니라, LED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당해 구동 회로는, 예를 들어 전원부(30)로부터 광원 L1, L2로 공급되는 전압이 AC100 내지 200V나 DC24V 등, 종래의 전구용이었던 경우에, 이것을 LED용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또한, 당해 구동 회로는 LED의 발광 시간을 누적하고, 소정의 누적 시간, 예를 들어 LED의 광량이 당초의 70% 이하가 된다고 추정되는 시간, 환언하면 LED의 수명으로서 설정한 시간에 도달한 경우, LED 전류를 역치 이하로 감소시키는 회로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의해, LED의 구동 회로는 LED가 수명을 다하였음을 제어 장치(10)에 고장으로서 검출시킬 수 있다.
도 9는 LED용 릴레이 유닛(12B)의 회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원 회로(211)는 다이오드 D1에서 반파 정류하고, 저항 R1, R2에서 분압함으로써, 릴레이의 동작 시(광원 L1의 고장 시)에 코일(214)의 양단 전압이 소정값, 예를 들어 릴레이의 허용 전압 이하에서 구동 전압 이상의 값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원 회로(211)는 트랜지스터 TR1과 제너 다이오드 D8에 의해, 판정 회로(212)에 소정의 전압이 가해지도록 정전압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저항기(129)는 정상적인 상태의 광원 L1에 대하여 LED 전류가 흘렀을 때에 당해 저항기(129)에 가해지는 전압이, 판정 회로(212)에서 비교하는 기준 전압과 일치하도록 저항값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에는 광원 L1이 복수 종류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광원 L1의 종류마다 저항기(129)의 저항값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필요한 시인 거리나 LED의 색에 따라, 광원 L1의 소비 전력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 광원 L1의 소비 전력에 따라 저항기(129)의 저항값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각 광원 L1까지의 배선의 길이나 구동 회로의 차이에 기초하여 저항기(129)의 저항값을 설정해도 된다.
판정 회로(212)는 저항기(129)에 LED 전류가 흐를 때에, 당해 저항기(129)에 가해지는 전압을 비교기 OP1에서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이 차분에 따른 전압을 판정 결과로서 출력한다. 즉, 저항기(129)에 가해지는 전압이 기준 전압과 상이한 경우에, 소정값의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광원 L1의 고장을 나타내는 신호를 판정 결과로서 출력한다.
출력 회로(213)는 판정 회로(212)의 출력에 따라, 코일(214)에 전력을 공급하여, 스위치(124, 125)의 접점을 구동시킨다. 또한, 출력 회로(213)는 콘덴서 C2를 구비하고, 판정 회로(212)의 출력이 당해 콘덴서 C2에 축적된 후에 비교기 OP2로 입력되도록 구성하고 있고, 비교기 OP2의 출력을 판정 회로(212)의 출력에 비해 지연시키고 있다. 즉, 콘덴서 C2와 비교기 OP2는 타이머 회로를 구성하여, 코일(214)에 의한 접점의 전환의 채터링을 방지하고 있다.
도 10은 출력 회로(213)에 의한 전환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회로(213)는 저항기(129)에 흐르는 LED 전류가, 역치를 하회한 타이밍 ta에서, 판정 회로(212)로부터 고장을 나타내는 신호를 받고, 이 타이밍 ta로부터 소정의 지연 시간 경과 후의 타이밍 tb에서, 단자 T3, T4 사이 및 단자 T5, T6 사이의 접점을 폐쇄하고, 단자 T6, T7 사이의 접점을 개방한다. 또한, 지연 시간은 고장으로부터 예비계의 광원 L2를 점등시킬 때까지 허용되는 시간(예를 들어, 1초) 이하이며, 채터링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간 이상이면 된다. 예를 들어, 0.3 내지 1초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0.68초이다. 또한, 광원 L1을 교환하거나 하여 LED 전류가 역치 이상으로 된 경우, 출력 회로(213)는 지연 없이 단자 T3, T4 사이 및 단자 T5, T6 사이의 접점을 개방하고, 단자 T6, T7 사이의 접점을 폐쇄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항해등 제어 시스템(100)에 의하면, 항해등(20)의 광원 L1, L2를 전구로부터 LED로 교환한 경우라도, 제어 장치(10)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전구용 릴레이 유닛(12A)을 LED용 릴레이 유닛(12B)으로 교체하고, 배선(131)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현용계의 광원 L1의 고장을 검출하고 예비계의 광원 L2를 점등시키는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즉, 항해등의 광원을 전구로부터 LED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항해등 제어 시스템(100) 등은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그 구성이나 동작 및 동작 방법 등을 변경할 수 있다.
10 : 제어 장치
11 : 소켓
12, 12A, 12B : 릴레이 유닛
13, 14 : 표시등
15 : 경보 출력부
16 : 커넥터
17 : 커넥터
20(21-25) : 항해등
30 : 전원부
51 : 경보 출력부
90 : 선박
91 : 조타실
100 : 항해등 제어 시스템
120 : 하우징
121 : 코일
122-125 : 스위치
129 : 저항기
131 : 배선
210 : 구동 회로
211 : 전원 회로
212 : 판정 회로
213 : 출력 회로
214 : 코일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현용계의 광원 및 예비계의 광원을 갖는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와,
    상기 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현용계의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현용 회로와,
    상기 예비계의 광원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예비 회로와,
    상기 현용 회로에 접속한 소정의 소자에 흐르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현용계의 광원의 고장을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현용계의 광원이 고장났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예비계의 광원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부
    를 구비하는 조명등 제어 시스템이며,
    상기 광원으로서, 전구와,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 가능하고,
    상기 광원이 전구일 때는, 정상 시에 상기 현용계의 광원에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소정의 소자로서의 코일을 여자하고, 상기 전환부로서의 스위치의 접점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예비계의 광원을 소등 상태로 하고, 고장에 의해 상기 현용계의 광원으로의 전력의 공급이 끊어져 상기 코일이 무여자로 되고, 상기 전환부로서의 스위치의 접점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예비계의 광원을 점등 상태로 하고,
    상기 광원이 발광 다이오드일 때는, 정상 시에 상기 현용계의 광원에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소정의 소자로서의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이 역치 이상이 된 경우에, 상기 전환부로서의 스위치의 접점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예비계의 광원을 소등 상태로 하고, 상기 현용계의 광원의 고장에 의해 상기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값이 역치 미만이 된 경우에, 상기 전환부로서의 스위치의 접점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예비계의 광원을 점등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와 상기 전환부를 구비한 전환 유닛을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광원으로서 상기 전구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판정부에 상기 코일을 포함하는 전구용 전환 유닛을 상기 제어 장치에 장착하고,
    상기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전구용의 전환 유닛 대신에 상기 판정부에 상기 저항기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용 전환 유닛을 상기 제어 장치에 장착하는 조명등 제어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선박의 신호 발신용으로 사용되는 항해등인 조명등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기재된 조명등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때에 상기 제어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저항기를 포함하는 상기 판정부와, 상기 전환부를 포함하는 전환 유닛.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복수 종류 설치되고, 상기 저항기가, 상기 광원의 종류마다 정해진 저항값을 갖는 항해등 제어 시스템.
  10. 제5항 내지 제7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광원의 고장을 판정하기 위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있어서도 상기 고장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고장이라고 판정하는 항해등 제어 시스템.
KR1020197009441A 2016-12-15 2017-10-26 조명등 제어 시스템 및 전환 유닛 KR201900427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3334 2016-12-15
JP2016243334A JP2018098092A (ja) 2016-12-15 2016-12-15 航海灯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灯制御システム
PCT/JP2017/038686 WO2018110111A1 (ja) 2016-12-15 2017-10-26 航海灯制御システム、照明灯制御システム及び切替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714A true KR20190042714A (ko) 2019-04-24

Family

ID=6255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441A KR20190042714A (ko) 2016-12-15 2017-10-26 조명등 제어 시스템 및 전환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99483B2 (ko)
EP (1) EP3557953A4 (ko)
JP (1) JP2018098092A (ko)
KR (1) KR20190042714A (ko)
CN (1) CN110089200A (ko)
TW (1) TWI637658B (ko)
WO (1) WO20181101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29B1 (ko) * 2022-05-30 2023-04-0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통합마스트 및 이의 설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4534B (zh) * 2018-10-22 2020-09-11 大陸商光寶電子(廣州)有限公司 控制裝置及號誌燈系統
JP7339002B2 (ja) 2019-03-19 2023-09-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および船舶用撮像装置
TWI716951B (zh) * 2019-08-01 2021-01-21 楊進斌 飛機航行燈光模擬系統
CN110621112A (zh) * 2019-11-08 2019-12-27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航行灯装置以及系统
DE202019106441U1 (de) * 2019-11-19 2020-02-27 Optonaval Gmbh Navigationsleuchte mit mehreren Lichtmodulen und Sockel mit Bajonettverschloss
DE202019106442U1 (de) * 2019-11-19 2020-03-26 Optonaval Gmbh Navigationsleuchte mit optischer Überwachung von LED Leuchtmitteln
CN114364085B (zh) * 2021-09-28 2023-08-29 浙江沪乐电气设备制造有限公司 Led航行灯控制系统及光源检测预警方法
CN114501730B (zh) * 2021-12-22 2024-05-03 珠海云洲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航行灯控制方法、航行灯控制装置及主控设备
CN114513876B (zh) * 2022-01-28 2024-05-17 上海康耐司信号设备有限公司 一种多光源的车灯自适应系统及方法
CN114554652B (zh) * 2022-03-04 2023-12-12 广州博路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于交通道路的智能灯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0344A (en) 1979-10-01 1981-05-07 Canon Inc Electrophotogtaph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4607D0 (en) * 1994-03-09 1994-04-20 Forest City Signs Limited Road sign lighting unit
JP3399844B2 (ja) * 1998-07-10 2003-04-21 株式会社マブチ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 照明瞬時切替装置
JP2000173786A (ja) * 1998-12-02 2000-06-23 Mabuchi System Engineering:Kk 熱放射型灯具を用いた照明システム
JP4623897B2 (ja) * 1999-06-24 2011-02-02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船の推進駆動システム
GB2383180B (en) * 2001-12-11 2005-05-04 Westinghouse Brake & Signal Signal lamps and apparatus
TW201018035A (en) 2008-10-21 2010-05-01 Jun-Lian Su Malfunction-current limitation device of ship electronics
JP5576638B2 (ja) 2009-11-06 2014-08-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点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前照灯点灯装置、前照灯、車輌
CN102256406B (zh) 2010-05-20 2014-03-26 中船重工远舟(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船用led航行灯、信号灯控制器
CN201893982U (zh) 2010-10-14 2011-07-06 镇江赛尔尼柯自动化有限公司 一种高度安全的船舶航行灯信号灯控制系统
CN201928485U (zh) 2010-12-11 2011-08-10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航行灯信号灯故障检测控制器
CN201951690U (zh) * 2011-04-20 2011-08-31 广州远洋通信导航有限公司 航行灯主备用灯自动切换装置
CN102810851B (zh) * 2012-08-07 2015-03-04 北京经纬恒润科技有限公司 过流保护电路和数字输出电路
JP6190124B2 (ja) * 2013-02-19 2017-08-30 ローム株式会社 Led異常検出装置、led照明装置、電子機器およびled異常検出方法
JP6302641B2 (ja) * 2013-10-09 2018-03-28 コイト電工株式会社 灯器、点灯監視装置およびその監視方法
CN203595796U (zh) * 2013-11-11 2014-05-14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Led驱动故障记录装置
JP5650344B1 (ja) 2014-04-17 2015-01-07 株式会社中国電機サービス社 船舶用灯具制御装置、船舶用灯具システム、及び船舶
CN203812186U (zh) * 2014-05-20 2014-09-03 浙江知祺电力自动化有限公司 一种自供电微机保护装置微处理器管理电路
JP6331223B2 (ja) * 2014-09-24 2018-05-30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04730341A (zh) * 2015-03-10 2015-06-24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阻抗检测电路、显示器检测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0344A (en) 1979-10-01 1981-05-07 Canon Inc Electrophotogtaphic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29B1 (ko) * 2022-05-30 2023-04-0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통합마스트 및 이의 설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9326A1 (en) 2019-08-01
EP3557953A1 (en) 2019-10-23
EP3557953A4 (en) 2020-08-05
TW201824955A (zh) 2018-07-01
JP2018098092A (ja) 2018-06-21
CN110089200A (zh) 2019-08-02
TWI637658B (zh) 2018-10-01
US10499483B2 (en) 2019-12-03
WO2018110111A1 (ja)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2714A (ko) 조명등 제어 시스템 및 전환 유닛
US11899052B2 (en) Trailer lighting outage detection circuit
EP2084687B1 (en) Lamp or led failure monitoring system
JP2004009825A (ja) 車両用灯具装置
US20080259625A1 (en) Vehicle headlight device
JP2009302295A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車両用照明装置
KR101642436B1 (ko) 화재 경보 기능을 갖춘 비상전원 자동공급 및 제어장치
US9850002B2 (en) Status indicating light unit and aircraft comprising the same
EP1916879A1 (en) Secure opto-electronic failure detection of high power LEDs
JP2011162008A (ja) ヘッドランプ用led点灯装置
US20070057676A1 (en) Pulse shunt that allows for the use of light emitting diodes in vehicles that have a pulsed lamp check function in their external lighting system and/or trailers connected thereto
JP2008024262A (ja) 車両用灯具装置
JP2005343409A (ja) 車両の灯具構造
JP6808415B2 (ja) 電源装置
JP4900338B2 (ja) オートライトシステム
JP2008130990A (ja) 断線検出方法
JP2012061952A (ja) 車両後部灯の発光制御装置
JP2003170829A (ja) Led信号灯器制御回路
JP2022148351A (ja) 車両用灯火器及び車両
KR200480205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DK0432623T3 (da) Kredsløb til funktionsovervågning af dobbelttrådslamper i lyssignalanlæg
PL212420B1 (pl) Układ sterowania i kontroli źródła światła w sygnalizatorze świetlnym
KR20170007023A (ko) Led 고장 경고 장치
JP2005116683A (ja) 複数のledによる表示灯装置
JPH0282497A (ja) 放電灯モニ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