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929U - 램프 고장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램프 고장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929U
KR19990024929U KR2019970037417U KR19970037417U KR19990024929U KR 19990024929 U KR19990024929 U KR 19990024929U KR 2019970037417 U KR2019970037417 U KR 2019970037417U KR 19970037417 U KR19970037417 U KR 19970037417U KR 19990024929 U KR19990024929 U KR 199900249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failure
driver
relay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929U/ko
Publication of KR19990024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929U/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램프 고장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자동차의 각종 램프가 고장나도 운전자가 이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여 고장을 방치한 채 운행하기 때문에 교통 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지(10)로부터 램프 릴레이(3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램프(40)의 정상 여부를 표시해 주는 장치로, 램프(40)가 고장나는 것을 감지하는 램프 고장 감지부(50, 60)와; 상기한 램프(40)가 고장나면 상기한 램프 고장 감지부(50, 60)에 의하여 점등되는 고장 표시등(70)으로 이루어져,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램프가 고장나면 계기판의 고장 표시등을 통하여 램프 고장 상태를 운전자에 알려 줌으로써, 운전자가 신속하게 고장 조치를 취하게 하여 보다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해 주는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램프 고장 표시장치
본 고안은 램프 고장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각종 램프가 고장나면 운전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램프를 신속하게 교환하여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램프 고장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등화 장치(각종 램프)는 두 가지의 기능별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대상물을 잘 보기 위하여 대상물에 빛을 조사해 주는 것과, 둘째로 다른 차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것으로 대별할 수 있는 것이다.
전조등과 안개등은 조명을 목적으로 한 등화 장치이고, 방향 지시등, 후미등. 제동등 따위는 상대방에게 신호를 보내기 위한 목적을 갖는 등화 장치인 것이다.
이를 다시 세분화하여 분류하면,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등화 장치에는 전조등 안개등, 후진등, 실내등, 계기등 등이 있으며, 표지용으로 사용되는 등화 장치에는 주차등, 차폭등, 후미등, 번호판등 등이 있다.
그리고, 신호용으로 사용되는 등화 장치에는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점멸표시등, 위험신호등 등이 있다.
이러한 다수의 등화 장치는 전원을 전지로부터 공급받아 점등되며, 이 등화 장치의 점멸 제어는 각종 스위치로 행하기 때문에 큰 전류가 공급되는 램프와 같은 경우에는 스위치로써 대용량의 전류 제어를 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이 별도의 릴레이를 채용하여 전원 단속을 행하고 있으며, 스위치는 이와 같은 릴레이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소용량의 전류를 제어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신호 기능을 가진 램프들은 구조상 일체로 된 것이 많은데, 이 것을 조합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후미등과 제동등은 일체로 조합되어 있다.
또한, 램프의 구조는 일반 백열등과 같은 구조로 된 백열 램프와, 할로겐 램프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오늘날에는 수명이 길고 효율이 좋은 할로겐 램프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램프가 고장난다는 것은 램프의 광원체인 필라멘트가 단선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램프의 필라멘트는 그 수명이 한정되어 있어서 사용하는 도중에 언제든지 고장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전조등과 같은 전방 주시를 위하여 사용하는 램프는 그 고장 현상이 운전자에게 쉽게 식별이 되지만, 후미등과 방향지시등, 제동등, 번호판등, 후진등 따위는 후방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운행하기 전에 별도로 점검을 하지 않는 경우 외에는 그 고장 유무를 확인할 길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후방에 위치한 각종 램프는 자기 차의 의사를 상대방에 전달하거나 위험 상태를 알리는데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램프가 고장난 상태로 차량을 운행한다는 것은 대형 교통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안고 운행을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것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각종 램프의 정상 또는 고장 상태를 운전자에게 간편하게 알려주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운행 전에 램프를 확인하는 습관을 갖고 있는 운전자 외에는 램프 고장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자동차의 각종 램프의 정상 여부를 운전자에게 간편하게 알려 줌으로써, 각종 램프를 항상 정상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램프 고장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지로부터 램프 릴레이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램프의 정상 여부를 표시해 주는 장치에 있어서, 램프가 고장나는 것을 감지하는 램프 고장 감지부과; 상기한 램프가 고장나면 상기한 램프 고장 감지부에 의하여 점등되는 고장 표시등으로 구성되므로서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램프의 정상 여부를 간편하게 운전자에 알려 줌으로써, 보다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해 주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 고장 표시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전지 20 : 휴즈
30 : 램프 릴레이 40 : 램프
50 : 저항 60 : 고장표시등 릴레이
70 : 고장 표시등 80 : 램프 스위치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 고장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지(10, battery)에서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해 주는 각각의 휴즈(fuze, 20)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램프 릴레이(30)와; 상기한 램프 릴레이(3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점멸하는 램프(40)와; 상기한 램프(40)를 점멸하기 위하여 상기한 램프 릴레이(30)를 조작해 주는 램프 스위치(8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램프 회로에 연결되어 램프 정상 여부를 알려 주는 고장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다.
상기한 램프(40)와 램프 릴레이(30)간의 전원선에 병렬 연결되는 저항(50)은 램프(40)가 정상적일 때에는 전지(1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램프(40) 쪽으로만 흐르게 해주는 것으로, 그 저항치는 램프(40)의 저항치보다 커야 한다.
예를 들어, 램프(40)가 30W일 경우에는 전지(10)의 공급 전압이 승용차의 경우에는 DC 12V이므로, 램프(40)의 저항치는 4.8Ω이므로, 이 이상이어야 하는 것이다. 이 때, 이 저항(50)의 저항치가 4.8Ω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면 이 저항(50)에 의하여 소모되는 전력량이 커지므로 이를 감안하여 설정해야 한다.
이 저항(50)에 연결된 고장표시등 릴레이(60)는 상기한 램프(40)가 고장 즉, 램프(40)의 필라멘트가 단선되어 저항(50) 쪽으로 전류가 흐르면 동작하는 것으로, 전지(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해 주는 역할을 한다.
고장 표시등(70)은 상기한 램프(40)의 필라멘트가 단선되면 저항(50)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동작하는 고장표시등 릴레이(60)가 전지(10)로부터 전류를 공급하여 점등되는 램프이다.
그리고, 이 고장 표시등(70)은 계기판(INSTRUMENT PANEL)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램프(40)의 고장 감지를 간편하게 저항(50)과 고장표시등 릴레이(60)를 이용하였지만, 램프(40)가 정상적일 경우에도 저항(50)과 고장표시등 릴레이(60)에는 미세하게 전류가 흘러서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램프(40)의 필라멘트가 단선되어 있는 동안만 동작하고 정상적인 경우에는 차단되는 회로를 채택하여 연결하면 전력 손실에 대한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램프 고장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램프(40)가 정상적일 경우 즉, 램프(40)의 필라멘트가 단선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점등될 경우에는 램프(40)의 저항치가 저항(50)의 저항치보다 작으므로 전지(10)로부터 램프 릴레이(3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는 램프(40) 쪽으로만 흐르게 된다. 따라서 램프(40)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고장 표시등(70)은 점등되지 않는다.
그러나 램프(40)의 필라멘트가 단선되면 램프(40)의 쪽의 저항치는 무한대에 이르게 되므로 전지(1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대부분이 저항(50) 쪽으로 흐르게 되어 고장표시등 릴레이(60)를 작동시키게 된다.
고장표시등 릴레이(60)가 작동되면 전지로부터(10) 공급되는 전류가 고장 표시등(70)에 전달되므로 고장 표시등(70)이 점등되는 것이다.
계기판에 설치된 고장 표시등(70)이 점등되면 운전자는 해당되는 램프를 교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 정상적으로 복구하면 고장 표시등(70)이 소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램프 고장 표시장치는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램프가 고장나면 계기판의 고장 표시등을 통하여 램프 고장 상태를 운전자에 알려 줌으로써, 운전자가 신속하게 고장 조치를 취하게 하여 보다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해 주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전지(10)로부터 램프 릴레이(30)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램프(40)의 정상 여부를 표시해 주는 장치에 있어서,램프(40)가 고장나는 것을 감지하는 램프 고장 감지부(50, 60)와; 상기한 램프(40)가 고장나면 상기한 램프 고장 감지부(50, 60)에 의하여 점등되는 고장 표시등(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고장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램프 고장 감지부(50, 60)는 램프 릴레이(30)와 램프(40)간의 전원선에 병렬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한 램프(40)의 저항치보다 큰 저항치를 갖는 저항(50)과; 상기한 저항(50)과 상기한 고장표시등(70)에 사이에 연결되는 고장표시등 릴레이(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고장 표시장치.
KR2019970037417U 1997-12-16 1997-12-16 램프 고장 표시장치 KR199900249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417U KR19990024929U (ko) 1997-12-16 1997-12-16 램프 고장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417U KR19990024929U (ko) 1997-12-16 1997-12-16 램프 고장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929U true KR19990024929U (ko) 1999-07-05

Family

ID=6969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417U KR19990024929U (ko) 1997-12-16 1997-12-16 램프 고장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92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580Y1 (ko) 차량용 제동등의 고장 알림장치
KR19990024929U (ko) 램프 고장 표시장치
KR100527952B1 (ko) 스톱 램프 고장 표시장치
KR100916585B1 (ko) 철도 차량의 외부등 점등 제어 및 소손 감지 장치
KR0171705B1 (ko) 자동차의 지시등 단선경고장치
KR19990040989A (ko) 자동차의 램프 고장 감지 장치
KR0135438Y1 (ko) 자동차 램프의 자동시험장치
KR0135143Y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장치
KR200321619Y1 (ko) 자동차 램프장치
JP2002193036A (ja) 車両用ランプ制御装置
KR19980017677U (ko) 자동차 제동등의 단선 경고장치
KR0144757B1 (ko) 스페어전구 자동점등장치
KR0165646B1 (ko) 자동차의 보조 제동 경고장치
KR960010030Y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KR200186522Y1 (ko) 자동차 좌, 우 회전 표시등(燈)
KR0146580B1 (ko) 차량의 제동등 단선경고회로
KR20040088272A (ko)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JPH027722Y2 (ko)
KR20090108939A (ko) 램프단선 알림장치
KR19980075072A (ko) 자동차의 예비 브레이크등 점등 장치
KR19980028418U (ko) 비상등 작동 상태에서의 방향 지시 장치
KR20030030484A (ko) 램프 점등 및 소멸 확인 플레셔유닛
KR19980031163U (ko) 제동등 진단장치
KR19980043107U (ko) 자동차용 비상등 회로구조
KR19990051952A (ko) 광감지식 자동차 미등 고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