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030Y1 -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030Y1
KR960010030Y1 KR2019940012382U KR19940012382U KR960010030Y1 KR 960010030 Y1 KR960010030 Y1 KR 960010030Y1 KR 2019940012382 U KR2019940012382 U KR 2019940012382U KR 19940012382 U KR19940012382 U KR 19940012382U KR 960010030 Y1 KR960010030 Y1 KR 960010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witch
indicator
terminals
direction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828U (ko
Inventor
이낙규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2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030Y1/ko
Publication of KR9500328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8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030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동스위치 20 : 비상등스위치
40 : 방향지시등스위치 51-54 : 방향지시등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동스위치를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방향지시등이 점멸되게 하여 잠시동안 차량이 정차해 있음을 표시하는 방향지시등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등화장치(Light System)는 대상물을 잘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이용자에게 자기차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신호기능이 있다.
이와같이 신호기능을 갖는 것중에 방향지시등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다른 차나 보행자에게 알리는 램프로써, 방향지시를 운전석에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하고, 작동에 이상이 있을경우에도 운전석에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점멸주기에 변화가 없어야 한다. 또한 비상점멸표시등은 부착되어 있는 방향지시 등을 비상시의 신호로 사용하는 것이며, 램프의 색, 확인방법, 점멸횟수 등은 방향지시 등의 보안기준과 동일하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 방향지시등은 자동차의 운행중에 운전자가 진행하고자하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하여 작동시키거나 차량의 비상사태시에 차량에 전방 및 후방의 좌우측에 장착된 다수의 방향지시 등을 모두 점멸시킴으로써 비상점멸표시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운전자가 도로의 갓길 등에 차량을 정차시켜 놓은 상태에서 잠시동안 일을 보기 위하여 자동차를 잠근상태에서 차량을 떠나게되면 불법주차나 장기주차 등으로 오인당할 우려가 있었다.
그러므로 차내에 시동키이를 꽂아둔 상태에서만 방향지시 등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대단히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동스위치의 작동과 무관하게 방향지시등을 직접 밧데리전원에 접속하여 연결함으로써 시동키이를 빼고 차를 떠나더라도 방향지시등이 작동되게 함으로써 자동차의 운용에 편의를 증대시킨 작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용 밧데리에 연결되어 비상등 스위치의 오프시에 오프라인을 통해 2번단자와 4번단자만 연결되고, 비상등 스위치의 온시에 온라인을 통해 3번단자와 4번단자 및 6,8,9번 단자가 연결되어 다수의 방향지시 등을 점멸시키고, 상기 비상등스위치가 온상태에서 방향지시등스위치의 선택에 의해 다수의 방향지시 등을 점멸시키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에 있어서, 시동스위치의 오프시에 비상등 스위치가 온(On)라인을 통해 3번 단자와 4번 단자 및 9번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9번 단자를 통해 방향지시등 스위치의 선택으로 밧데리 전원으로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등 작동장치에 관하여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동스위치(10)의 오프싱 비상등 스위치(20)가 온라인(16)을 통해 3번 단자와 4번 단자 및 9번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9번 단자를 통해 방향지시등 스위치(40)의 선택으로 밧데리 전원(5)으로 방향지시등(51-54)을 점멸시킬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방향지시등 작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행하다가 도로의 갓길 등에 자동차를 주차시켜 두기위하여 차량의 시동을 끈 다음, 방향지시등 스위치(40)를 작동시켜 놓으면 밧데리 전원(5)이 방향지시등(51-54)을 점시킨다. 즉, 방향지시등(51-54)은 비상시에 비상점멸용으로 사용될 때는 자동차의 전후 및 좌우에 장착된 방향지시등(51-54)전부가 점멸되게 되어있다. 그러나 방향지시등(51-54)은 운전자가 시동을 끄면 방향지시등 스위치(40)를 작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비상등 스위치(20)의 접점을 방향지시등 스위치(40)에 접속하여 방향지시등(51-54)을 작동할 수 있게 하였다.
즉, 비상등 스위치(40)에 접속된 밧데리 전원(5)을 방향지시등 스위치(40)에 접속한 것이다.
상기 비상점멸등 스위치(20)의 오프시에도 밧데리 전원(5)이 접속되므로 오프라인(15)에 접속되는 2번 단자와 4번 단자 외에도 9번 단자가 접속되게 연결하므로써 비상점멸등(51-54)의 작동과 같이 방향지시등(51-54)의 점멸을 유도한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도로의 갓길이나 도로상에 주정차를 시켜 놓은 상태에서 시동을 끄고 차를 떠나더라도 방향지시등(51-54)을 점멸시켜 잠시동안 운전작 차량을 떠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비상등 스위치(40)의 접점단자중에 비상등 스위치(40)의 오프라인(15)에 방향지시등 스위치(40)을 연결하여 시동스위치(10)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방향지시등(51-54)을 자동차의 좌우측에 장착된 방향지시등(51-54)의 어느 한쪽만 점멸시킬 수 있으므로 밧데리 전원(5)의 사용을 절반으로 줄일 수가 있으며, 운전자가 차량의 근처에 있음을 알릴 수있어 자동차의 운용에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차량용 밧데리에 연결되어 비상등 스위치의 오프시에 오프라인을 통해 2번 단자와 4번 단자만 연결되고, 비상등 스위치의 온시에 온라인을 통해 3번 단자와 4번 단자 및 6,8,9번 단자가 연결되어 다수의 방향지시 등을 점멸시키고, 상기 비상등 스위치가 온상태에서 방향지시등 스위치의 선택에 의해 다수의 방향지시 등을 점멸시키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에 있어서, 시동스위치(10)의 오프시에 비상등 스위치(20)가 온라인(16)을 통해 3번 단자와 4번 단자 및 9번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9번 단자를 통해 방향지시등 스위치의 선택으로 밧데리 전원(5)으로 방향지시 등을 점멸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KR2019940012382U 1994-05-31 1994-05-31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KR960010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382U KR960010030Y1 (ko) 1994-05-31 1994-05-31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382U KR960010030Y1 (ko) 1994-05-31 1994-05-31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28U KR950032828U (ko) 1995-12-16
KR960010030Y1 true KR960010030Y1 (ko) 1996-11-21

Family

ID=1938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382U KR960010030Y1 (ko) 1994-05-31 1994-05-31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0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28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1401A (en) High level rear brake lamp and alternating directional lamps
KR960010030Y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KR19980059190U (ko) 자동차의 방향전환지시 및 유턴지시 구별장치
US4638296A (en) Directional signal switch and alternating lighting of rear lamps
KR0143656B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및 비상등 구동장치
KR0166288B1 (ko) 자동차의 방향 표시등 장치
KR200321619Y1 (ko) 자동차 램프장치
JPS5925710Y2 (ja) トラクタ用灯火装置
JPS5839237Y2 (ja) 方向指示灯表示回路
KR0132132Y1 (ko) 자동차의 안개등 및 브레이크등을 이용한 비상등 구동장치
KR19980028418U (ko) 비상등 작동 상태에서의 방향 지시 장치
KR20230036885A (ko) 자동차 라이트 점등 제어 방법
KR100260148B1 (ko) 비상 점멸장치
KR920002465Y1 (ko) 자동차의 비상램프(Lamp) 점등시 방향전환지시램프(Lamp)점등장치
KR950007323Y1 (ko) 방향지시등 및 위험신호등 동시제어장치
KR0120293Y1 (ko)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KR200218247Y1 (ko) 주차 브레이크에 의한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100224215B1 (ko) 차량 검문용 스위치장치
CN2197251Y (zh) 汽车后灯故障电子指示器
KR19990034886A (ko) 비상등 스위치 엘이디의 구동제어장치
KR19990006271U (ko)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KR20090108939A (ko) 램프단선 알림장치
KR19980031735U (ko) 자동차의 후진등 및 비상등 동시 작동장치
KR19980046546A (ko) 자동차 안개등 점등 회로
KR19980020465A (ko) 자동차 미등을 이용한 방향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