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271U -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271U
KR19990006271U KR2019970019717U KR19970019717U KR19990006271U KR 19990006271 U KR19990006271 U KR 19990006271U KR 2019970019717 U KR2019970019717 U KR 2019970019717U KR 19970019717 U KR19970019717 U KR 19970019717U KR 19990006271 U KR19990006271 U KR 199900062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light
switch
turn
indicator
batte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9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271U/ko
Publication of KR199900062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271U/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상등의 점멸상태를 표시하는 비상등표시등(1a)이 구비되고 복수의 온 및 오프접점을 갖는 비상등스위치(1)와, 비상등스위치(1)의 온접점에 연결되어 배터리전원(B+)을 주기적 온 또는 오프시키는 블링크유니트(2)와, 상기 블링크유니트(2)에 연결되고 방향지시등(4a-4d)을 점멸시키는 방향지시등스위치(3)와, 상기 방향지시등스위치(3)의 접점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으로 점멸되는 복수의 방향지시등(4a-4d)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비상등 점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등스위치(3)의 접점(3a,3b)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에 의해 자화되는 코일부(10b)와, 상기 비상등스위치(1)의 온접점과 블링크유니트(2)의 일단에 연결되고 코일부(10b)의 자장에 의해 스위칭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에 의해 선택적으로 방향지시등(4a-4d)을 점멸시키는 릴레이(10)가 연결되어 비상등을 작동시킨 중에도 방향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비상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등을 점멸시킨 상태에서 방향지시등을 조작시켰을 때에 해당하는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키는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후미에 구비된 테일램프에는 좌우회전을 표시하는 좌우방향지시등과, 상기 좌우방향지시등을 동시에 점멸시켜 자동차의 비상상황을 표시하는 비상등과, 자동차의 후진을 표시하는 후진등과, 자동차의 제동을 표시하는 제동등 등이 있다.
종래에 진행하는 자동차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하거나 유-턴을 하고자 할 때에는 좌우측에 구비된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킴으로 후방의 자동차에게 전방의 자동차가 좌회전이나 우회전을 하려는 것임을 표시하였다. 또한, 비상상황이나 위급상황을 나타내기 위하여 비상등스위치를 온시켜 비상등을 점멸시켰다. 상기 비상등 및 방향지시등은 일정주기로 점멸되는데, 점멸되는 주기는 플래셔유닛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비상등 및 방향지시등의 점멸주기를 결정하는 플래셔유닛은 비상등 및 방향지시등이 하나의 플래셔유닛을 공용으로 사용하거나 각각의 플래셔유닛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낸 자동차용 방향지시등 및 비상등을 제어하는 전기배선도에서는 비상등의 점멸상태를 표시하는 비상등표시등(1a)이 구비되고 복수의 온 및 오프접점을 갖는 비상등스위치(1)와, 비상등스위치(1)의 온접점에 연결되어 배터리전원(B+)을 주기적 온 또는 오프시키는 블링크유니트(2)와, 상기 블링크유니트(2)에 연결되고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키는 방향지시등스위치(3)와, 상기 방향지시등스위치(3)의 접점(3a,3b)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으로 점멸되는 복수의 방향지시등(4a-4d)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방향지시등 및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작동은, 우선 방향지시등(4a-4d)을 점멸시킬 때에는 방향지시등스위치(3)를 제1 및 제2접점(3a,3b)중에 어느 한쪽으로 스위칭시키면, 블링크유니트(2), 비상등스위치(1)의 온 및 오프접점을 거쳐 배터리전원(B+)이 인가되고 배터리전원(B+)은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 방향지시등(4a-4d)을 선택적으로 점멸시킨다. 즉, 방향지시등스위치(3)가 제1접점(3a)으로 스위칭되면, 좌측의 방향지시등(4a,4b)이 점멸되고, 제2접점(3b)으로 스위칭되면, 우측의 방향지시등(4c,4d)이 점멸된다.
또한 비상등을 점멸시킬 경우에는 비상등스위치(1)를 온위치로 전환시키면, 배터리전원(B+)이 온접점(on)을 거쳐 블링크유니트(2) 및 방향지시등(4a-4d)으로 각각 인가되어 방향지시등(4a-4d)의 점멸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것이다. 즉, 방향지시등(4a-4d)이 모두 점멸될 경우에 비상등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 방향지시등 및 비상등의 경우에 각각 한가지의 작동만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즉, 어느 하나의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키는 경우에 비상등을 점멸시켰을 때에는 모든 방향지시등이 점멸상태가 되고, 비상등을 점멸시켰을 경우에는 비상등의 점멸상태를 오프상태로 한 다음에 방향지시등스위치를 조작시켜야 했다. 따라서,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행중에 비상상황에 의해 비상등을 점멸시킨 다음에 갓길로 자동차를 운행시킬 때에 방향지시등을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갓길로 가기 위한 별도의 방향지시를 하지 못해 비상등이 작동되고 있는 상황에서 후방의 자동차나 주위의 사람들에게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없어 운전자가 직접 수신호로 방향을 표시하거나 후방의 자동차나 주위의 사람에게 정확하게 방향지시를 하지 못하게 되면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상등이 점멸된 상태에서 방향지시등스위치를 조작하면 비상등의 점멸과 동시에 주행하려는 방향의 방향지시등이 점멸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비상등 및 방향지시등 점멸장치의 전기배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의 전기배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비상등스위치1a:비상등표시등
2:블링크유니트3:방향지시등스위치
4a-4b:방향지시등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비상등의 점멸상태를 표시하는 비상등표시등이 구비되고 복수의 온 및 오프접점을 갖는 비상등스위치와, 비상등스위치의 온접점에 연결되어 배터리전원을 주기적 온 또는 오프시키는 블링크유니트와, 상기 블링크유니트에 연결되고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키는 방향지시등스위치와, 상기 방향지시등스위치의 접점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으로 점멸되는 복수의 방향지시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비상등 점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등스위치의 접점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에 의해 자화되는 코일부와, 상기 비상등스위치의 온접점과 블링크유니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코일부의 자장에 의해 스위칭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에 의해 선택적으로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키는 릴레이가 연결된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의 전기배선도이다.
비상등스위치(1)는 운전석의 전면일측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비상상황때에 작동시키는 것으로, 비상등스위치(1)는 온 및 오프접점과 비상등표시등(1a)으로 구성된다. 온 및 오프접점은 배터리전원(B+)과 이그니션전원(IGN+)에 연결되고, 비상등표시등(1a)은 구동전원(V+)에 각각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비상등표시등(1a)과 비상등스위치(1)는 일체로 구성된다.
블링크유니트(2)는 비상등스위치(1)의 온 및 오프접점과 방향지시등스위치(3)에 연결되어 소정의 주기로 배터리전원(B+)을 공급 또는 차단시킨다.
방향지시등스위치(3)는 2개의 접점(3a,3b)으로 구성되고, 각 접점(3a,3b)에는 비상등스위치의 온접점과 블링크유니트(2)에 연결되며, 복수의 방향지시등(4a-4d)이 연결되어 있다.
릴레이(10)는 릴레이스위치(10a) 및 코일부(10b)로 이루어지고, 코일부(10b)는 방향지시등스위치(3)의 접점(3a,3b) 및 방향지시등(4a-4d)의 사이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으며, 릴레이스위치(10a)는 코일부(10b)와 대응되게 구성되어 코일부(10b)의 자장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관한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동차의 주행중에 비상상황에 의해 운전자가 비상등스위치(1)를 온시키면, 비상등스위치(1)의 온접점을 통해 배터리전원(B+)이 인가되고, 배터리전원(B+)은 블링크유니트(2)를 통해 방향지시등(4a-4d)으로 인가된다.
인가된 배터리전원(B+)은 복수의 방향지시등(4a-4d)을 일정의 주기로 점멸시켜 후방의 자동차 및 외부의 사람들에게 비상상황을 알리게 된다.
방향지시등(4a-4d)이 점멸되고 있을 때, 운전자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자동차를 운행하고자 할 때에는 비상등이 작동하고 있는 도중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방향지시등스위치(3)를 조작시키면, 좌측 또는 우측의 접점(3a,3b)이 온상태가 된다. 이때, 방향지시등스위치(3)의 접점(3a,3b)에 연결된 릴레이(10)의 코일부(10b)는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에 의해 자화되어 오프상태의 릴레이스위치(10a)를 온상태로 전환시킨다. 릴레이스위치(10a)가 온상태가 되면, 비상등스위치(1)의 온접점을 통해 배터리전원(B+)이 인가되고 배터리전원(B+)은 블링크유니트(2)를 통해 해당되는 방향지시등(4a-4d)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의도하는 방향의 방향지시등(4a-4d)이 점멸되어 진행하려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다.
방향지시등(4a-4d)을 원위치로 위치시키면, 비상등은 계속 점멸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비상등을 점멸시켜 둔 상태에서 방향지시를 하고자 할 때에 방향지시등스위치의 조작으로 해당하는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키므로 비상등을 오프시킬 필요없이 곧바로 방향지시를 할 수 있어 후방의 자동차나 주위의 사람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방향지시를 표시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자동차의 운용에 편의성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비상등의 점멸상태를 표시하는 비상등표시등이 구비되고 복수의 온 및 오프접점을 갖는 비상등스위치와, 비상등스위치의 온접점에 연결되어 배터리전원을 주기적 온 또는 오프시키는 블링크유니트와, 상기 블링크유니트에 연결되고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키는 방향지시등스위치와, 상기 방향지시등스위치의 접점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으로 점멸되는 복수의 방향지시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비상등 점멸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등스위치의 접점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에 의해 자화되는 코일부와,
    상기 비상등스위치의 온접점과 블링크유니트의 일단에 연결되고 코일부의 자장에 의해 스위칭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에 의해 선택적으로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키는 릴레이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KR2019970019717U 1997-07-25 1997-07-25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KR199900062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717U KR19990006271U (ko) 1997-07-25 1997-07-25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717U KR19990006271U (ko) 1997-07-25 1997-07-25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271U true KR19990006271U (ko) 1999-02-18

Family

ID=6968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717U KR19990006271U (ko) 1997-07-25 1997-07-25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27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1939A (en) Vehicle parking signaling device
KR19990006271U (ko)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KR0130146B1 (ko) 비상점멸등의 동작시에 표시되는 방향지시등
KR100260148B1 (ko) 비상 점멸장치
KR0166288B1 (ko) 자동차의 방향 표시등 장치
KR19980021759A (ko) 자동차용 방향지시등스위치
KR19980031735U (ko) 자동차의 후진등 및 비상등 동시 작동장치
KR0127894Y1 (ko) U턴 표시 및 비상등점멸시 방향표시를 할 수 있도록한 차량용 비상등 점멸회로
KR920002465Y1 (ko) 자동차의 비상램프(Lamp) 점등시 방향전환지시램프(Lamp)점등장치
KR960010030Y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KR19980028418U (ko) 비상등 작동 상태에서의 방향 지시 장치
KR0120293Y1 (ko)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KR100449824B1 (ko) 자동차비상등모드시의방향지시등작동장치
KR200218247Y1 (ko) 주차 브레이크에 의한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100187854B1 (ko) 자동차 비상등과 방향지시등의 작동모드 전환장치
JPS5839237Y2 (ja) 方向指示灯表示回路
KR0132132Y1 (ko) 자동차의 안개등 및 브레이크등을 이용한 비상등 구동장치
KR200369379Y1 (ko) 차량용 방향지시장치
KR950007323Y1 (ko) 방향지시등 및 위험신호등 동시제어장치
KR200405944Y1 (ko)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KR20020030159A (ko) 비상등 작동상태에서의 좌우회전 방향 시등 작동장치
KR19980083893A (ko) 자동차의 u턴 표시장치
JP2002067788A (ja) 車載用ハザードスイッチ装置
KR19990034886A (ko) 비상등 스위치 엘이디의 구동제어장치
KR19980049281U (ko) 차량의 비상등 점등시 방향 전환 지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