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944Y1 -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944Y1
KR200405944Y1 KR2020050028954U KR20050028954U KR200405944Y1 KR 200405944 Y1 KR200405944 Y1 KR 200405944Y1 KR 2020050028954 U KR2020050028954 U KR 2020050028954U KR 20050028954 U KR20050028954 U KR 20050028954U KR 200405944 Y1 KR200405944 Y1 KR 200405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
vehicle
pattern
moto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점수
Original Assignee
장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점수 filed Critical 장점수
Priority to KR2020050028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9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9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유턴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실내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유턴표시 버튼(10); 상기 유턴표시 버튼(10)이 온 됨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모터(20); 상기 모터(20)가 회전함에 따라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유턴패턴 톱니기어(30);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가 회전하면 상부 톱니부위와의 접촉 유무에 따라 일정 주기의 유턴패턴으로 전원이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판 스위칭부(40); 및 상기 각 부를 수용하는 하우징(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좌회전 표시장치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좌회전 방향지시등을 좌회전 점멸패턴과 구별되는 일정 주기의 유턴표시 패턴으로 점멸시켜 줌으로, 후방차량으로 하여금 현 차량의 진행방향이 유턴임을 명확히 인지하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후방차량의 신속한 자기방어가 가능하도록 해주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어줄 뿐만 아니라, 도로정체의 한 요인도 해결해 줄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차량, 방향표시장치, 유턴(U-Turn)표시, 방향등,

Description

차량의 유턴표시장치{APPARATUS OF INDICATING U-TURN SIGNAL IN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 좌/우회전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턴표시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차량의 유턴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차량의 유턴표시장치에서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턴표시 버튼 20 : 모터
30 : 유턴패턴 톱니기어 31 : 유턴패턴 구간
32 : 빈 구간 40 : 판 스위칭부
41 : 제 1 판스프링 42 : 제 2 판스프링
50 : 하우징
본 고안은 차량의 유턴(U-Turn)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좌회전 표시장치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좌회전 방향지시등의 점멸패턴을 좌회전 점멸패턴과 구별되도록 일정 주기의 유턴표시 패턴으로 점멸시켜 줌으로, 후방차량으로 하여금 현 차량의 진행방향이 유턴임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량의 유턴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일반적인 차량(승용차, 승합 자동차, 화물자동차 등)은 모두 운행중 자신의 운행방향을 후방 차량에 알려주기 위한 좌/우회전 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후방 차량으로 하여금 앞차의 운행방향을 명확히 인지하도록 하여 차량진행중 각종 위험요소로부터 자기방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이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종래의 차량 좌/우회전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부 전/후방 좌측에 각각 설치된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 차체의 외부 전/후방 우측에 각각 설치된 우회전 방향지시등(2a, 2b); 및 차량의 실내 운전석 핸들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 또는 우회전 방향지시등(2a, 2b)으로 전원공급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스위칭 레버(Switching Lever)(3)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차량 좌/우회전 표시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이 유턴 일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표시방법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운전자는 도로 교차로에서 유턴으로 진행하고자 할 때, 좌회전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킨 상태에서 차로의 안쪽차선(1차선)에 일렬로 대기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차량 좌/우회전 표시장치에 의하면, 후방차량은 전방차량의 현 진행방향이 유턴인지, 아니면 좌회전인지의 여부를 명확히 인지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해 자기방어를 취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 교통사고의 한 원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도로의 정체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좌회전 표시장치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좌회전 방향지시등의 점멸패턴을 좌회전 점멸패턴과 구별되도록 일정 주기의 유턴표시 패턴으로 점멸시켜 줌으로, 후방차량으로 하여금 현 차량의 진행방향이 유턴임을 명확히 인지하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후방차량의 신속한 자기방어가 가능하도록 해주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어줄 뿐만 아니라, 도로정체의 한 요인도 해결해 주기 위한 차량의 유턴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차량의 유턴표시장치는, 차체의 외부 전/후방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설치된 좌회전 방향지시등 및 우회전 방향 지시등과; 차량의 실내 운전석 핸들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 또는 우회전 방향지시등으로 전원공급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칭 레버로 구성된 차량의 운행방향 표시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따라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유턴표시 버튼;
상기 유턴표시 버튼이 온 됨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중심부가 일체형으로 부착됨과 동시에 일정 주기의 유턴패턴으로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유턴패턴 톱니기어;
상기 유턴표시 버튼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의 상부 톱니부위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모터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가 회전하면 상부 톱니부위와의 접촉 유무에 따라 일정 주기의 유턴패턴으로 전원이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판 스위칭부; 및
상기 모터, 유턴패턴 톱니기어 및 판 스위칭부를 보호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유턴표시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장치가 예시 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실시예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턴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턴표시장치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유턴표시장치는 유턴표시 버튼(10), 모터(Motor)(20), 유턴패턴 톱니기어(30), 판 스위칭부(40) 및 하우징(Housing)(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턴표시 버튼(10)은 차량의 실내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모터(20) 및 판 스위칭부(40)로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모터(20)는 상기 유턴표시 버튼(10)이 온 됨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됨으로,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는 상기 모터(20)의 회전축에 중심부가 일체형으로 부착됨과 동시에 일정 주기의 유턴패턴으로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20)가 회전함에 따라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톱니 간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유턴패턴 구간(31)과 톱니가 존재하지 않는 빈 구간(32)으로 구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판 스위칭부(40)는 상기 유턴표시 버튼(10)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상부 톱니부위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모터(20)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가 회전하면 상부 톱니부위와의 접촉 유무에 따라 일정 주기의 유턴패턴으로 전원이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판 스위칭부(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유턴표시 버튼(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상부 톱니부위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톱니와의 접촉 유무에 따라 상/하 운동을 수행하는 제 1 판스프링(41)과; 상기 제 1 판스트링(41)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판스프링(41)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제 1 판스프링(41)과의 접촉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상기 제 1 판스프링(41)을 통과한 전원을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으로 공급하는 제 2 판스프링(4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50)은 상기 모터(20), 유턴패턴 톱니기어(30) 및 판 스위칭부(40)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유턴표시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전자가 유턴으로 진행하기 위해 상기 유턴표시 버튼(10)을 누르면, 상기 모터(20) 및 판 스위칭부(40)로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모터(20)가 구동되어,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를 일정 속 도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톱니 간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유턴패턴 구간(31)과 톱니가 존재하지 않는 빈 구간(32)으로 구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판 스위칭부(40)의 제 1 판스프링(41)은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상부 톱니부위와 접촉되고, 이로써 상기 제 1 판스프링(41)은 상/하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판스프링(41) 및 제 2 판스프링(42)은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일정 주기 유턴패턴에 따라 접촉 및 떨어짐을 반복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제 1 판스프링(41)으로 인가된 전원이 상기 제 2 판스프링(42)을 통해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은 일정 주기마다 점멸 간격이 점차 빨라지다가 일정 간격 소등되는 유턴패턴으로 점멸된다.
하지만, 이러한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유턴패턴은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톱니를 어떻게 구현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유턴표시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좌회전 표시장치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좌회전 방향지시등의 점멸패턴을 좌회전 점멸패턴과 구별되도록 일정 주기의 유턴표시 패턴으로 점멸시켜 줌으로, 후방차량으로 하여금 현 차량의 진행방향이 유턴임을 명확히 인지하도록 해주고, 이로 인해 후방차량의 신속한 자기방어가 가능하도록 해주어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어줄 뿐만 아니라, 도로정체의 한 요인도 해결해 줄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체의 외부 전/후방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설치된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 및 우회전 방향지시등(2a, 2b)과; 차량의 실내 운전석 핸들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 또는 우회전 방향지시등(2a, 2b)으로 전원공급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칭 레버(3)로 구성된 차량의 운행방향 표시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유턴표시 버튼(10);
    상기 유턴표시 버튼(10)이 온 됨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면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모터(20);
    상기 모터(20)의 회전축에 중심부가 일체형으로 부착됨과 동시에 일정 주기의 유턴패턴으로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20)가 회전함에 따라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유턴패턴 톱니기어(30);
    상기 유턴표시 버튼(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상부 톱니부위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모터(20)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가 회전하면 상부 톱니부위와의 접촉 유무에 따라 일정 주기의 유턴패턴으로 전원이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판 스위칭부(40); 및
    상기 모터(20), 유턴패턴 톱니기어(30) 및 판 스위칭부(40)를 수용하는 하우징(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는, 톱니 간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유턴패턴 구간(31)과 톱니가 존재하지 않는 빈 구간(32)으로 구별되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유턴패턴에 따라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이 점멸되는 방법은, 일정 주기마다 점멸 간격이 점차 빨라지다가 일정 간격 정지되는 패턴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위칭부(40)는, 상기 유턴표시 버튼(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상부 톱니부위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턴패턴 톱니기어(30)의 톱니와의 접촉 유무에 따라 상/하 운동을 수행하는 제 1 판스프링(41); 및
    상기 제 1 판스트링(41)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판스프링(41)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제 1 판스프링(41)과의 접촉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상기 제 1 판스프링(41)을 통과한 전원을 상기 좌회전 방향지시등(1a, 1b)으로 공급하는 제 2 판스프링(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KR2020050028954U 2005-10-11 2005-10-11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KR200405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954U KR200405944Y1 (ko) 2005-10-11 2005-10-11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954U KR200405944Y1 (ko) 2005-10-11 2005-10-11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944Y1 true KR200405944Y1 (ko) 2006-01-11

Family

ID=4175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954U KR200405944Y1 (ko) 2005-10-11 2005-10-11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9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944Y1 (ko)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KR100831345B1 (ko) 차량용 방향지시장치
KR100378365B1 (ko) 후진등과 방향 지시등을 이용한 차량의 유턴표시장치
KR200400097Y1 (ko) 자동차용 유턴 표시 장치와 그 구동 장치
JPH11198719A (ja) 自動車の方向転換指示及びユーターン指示の区別装置
KR0138074Y1 (ko) 차량의 비상등구동시 방향표시회로
KR200170783Y1 (ko) 자동차의 유턴 표시장치
KR19980035639A (ko) 가변 타이머식 시그널 램프구조
KR200332032Y1 (ko) 차량의 사각지대 해소장치
KR950007323Y1 (ko) 방향지시등 및 위험신호등 동시제어장치
KR200369379Y1 (ko) 차량용 방향지시장치
KR19990006271U (ko) 자동차의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등 점멸장치
KR100500286B1 (ko) 자동차용 램프 스위치 장치
KR20230076990A (ko) 차량용 좌우회전 및 유턴 방향표시등 장치
KR0122621Y1 (ko) 자동차의 급회전 표시장치
KR200349244Y1 (ko) 차량용 표시등 장치
KR20020030159A (ko) 비상등 작동상태에서의 좌우회전 방향 시등 작동장치
KR200270302Y1 (ko) 자동차 방향지시등 자동작동 장치
KR19990049021A (ko) 차량 방향지시등 자동 점멸장치
KR20000075029A (ko) 자동차용 방향지시등 제어장치
JP2000025521A (ja) 車両の合図表示装置
KR980007483U (ko) 자동차의 유-턴식별용 테일램프 점멸장치
KR19990002192A (ko) 자동차 일행 표시장치
KR19980055230A (ko) 자동차의 비상시 방향표시장치
KR19980083893A (ko) 자동차의 u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