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8939A - 램프단선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램프단선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8939A
KR20090108939A KR1020080034298A KR20080034298A KR20090108939A KR 20090108939 A KR20090108939 A KR 20090108939A KR 1020080034298 A KR1020080034298 A KR 1020080034298A KR 20080034298 A KR20080034298 A KR 20080034298A KR 20090108939 A KR20090108939 A KR 20090108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 emitting
vehicle
voltage drop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홍
Original Assignee
남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홍 filed Critical 남기홍
Priority to KR102008003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8939A/ko
Publication of KR20090108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램프의 단선여부를 간단한 구성으로 쉽게 인지하도록 하기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빛을 내는 램프; 상기 전원과 램프 사이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소통시키는 스위치; 상기 램프와 병렬 배치되도록 연결되는 전압강하소자; 상기 전압강하소자와 직렬연결되되, 상기 램프의 단선 시 상기 전압강하소자를 거친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램프단선 알림장치를 제공한다.
램프단선 알림장치, 차량 램프

Description

램프단선 알림장치{apparatus for alarm lamp disconnection}
본 발명은 램프의 단선을 알리는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차량용 램프의 단선을 알리는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치가 접점되면 배터리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됨으로써 차량의 운행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램프가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에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스몰 램프, 헤드 램프, 포그 램프와 운전자의 의사를 알리는 방향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후진 램프, 비상 램프로 분류된다.
여기서, 상기 스몰 램프는 미등, 차폭등으로도 부르며, 낮은 조도상태에서 차량의 크기를 알려주고, 밤길에 일시 주정차를 할 때 차량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헤드 램프는 전조등이라고도 하며, 상향등과 하향등으로 구분되고, 차량의 램프 가운데 가장 밝은 빛을 내므로 야간에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포그 램프는 안개등으로 불리며 비, 눈, 안개지역에서의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도움을 주도록 헤드 램프의 아래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방향지시 램프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알리도록 사용되며 차량의 앞뒤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램프는 차량의 제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점등되어 후속 차량의 주의 및 경고를 위해 사용되며, 후진 램프는 차량의 후진시 주위 차량과 사람들에게 알리도록 사용되며, 비상 램프는 상기 방향지시 램프와 함께 사용되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같이 점등됨으로써 해저드 플래시(Hazard flash: 고장표시등 혹은 비상점멸등)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술한 차량용 램프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램프의 고유기능을 수행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운행의사를 표시하므로 운전자와 주위 차량의 운전자는 상호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어 안전하게 차량운행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고 점등되어 알리는 특성상 차내에서 운전하는 운전자가 램프의 단선으로 소등된 상태를 알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주차 시에 램프의 이상 유무를 체크 하기위해서는 배터리의 전원을 올린 상태에서 특정 위치의 램프를 켜도록 스위치를 접점시켜 램프를 일일이 확인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차량의 운행 중에는 후속차량 및 주위차량의 운전자는 상술한 램프 중의 어느 하나가 단선되어 소등된 상태로 운행되는 차량의 운전자의 의사표시를 확인 할 수 없고, 차량의 운행상태를 파악하지 못해 적당한 대처를 신속하게 못함으로써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는 램프의 단선여부를 쉽게 인지하여 즉각적인 조치를 함으로써 차량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램프단선 알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원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빛을 내는 램프; 상기 전원과 램프 사이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소통시키는 스위치; 상기 램프와 병렬 배치되도록 연결되는 전압강하소자; 상기 전압강하소자와 직렬연결되되, 상기 램프의 단선 시 상기 전압강하소자를 거친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램프단선 알림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압강하소자와 발광소자의 사이에 연결되되,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리미트스위치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전류의 ON/OFF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되, 전원과 상기 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회로부, 상기 감지회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부에 의하여 안내음을 송출하도록 제어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성표시장치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램프는 차량에 배치 되는 각종의 램프 중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각종의 램프와 각각 대응되어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조합을 이루는 어셈블리로서 제공되되, 상기 발광소자의 어셈블리는 차량형상을 갖는 차량표시패널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차량 램프의 단선 시에 램프와 연결되고 램프에 대응되는 위치로 계기표시패널에 점등되는 발광소자와 안내음을 송출하는 음성표시장치가 구비되므로, 차량의 운전자는 램프의 단선을 쉽게 인지하며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차량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전압강하소자와 발광소자가 구비되어 차량 램프의 단선을 쉽게 인지하므로 적은 부품으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간단한 구성으로 현실적으로 실현가능성이 우수하다.
셋째, 전압강하소자와 발광소자의 사이에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차량 램프가 단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가 소등되므로 운전자는 램프의 단선을 더욱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램프단선 알림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램프단선 알림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단선 알림장치는 램프(3), 전 원(1), 스위치(2), 전압강하소자(4), 발광소자(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램프(3)는 전원(1)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빛을 내며,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 지시 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램프(3)는 운행 중에 주위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 대해 운전자의 의사를 밝히는 것으로 헤드램프와 함께 안전 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정한 안전기준에 맞게 의무적으로 설치된다. 물론, 작동과 성능도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램프(3)는 전구와 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구의 내부에는 램프(3)의 광원이 되는 필라멘트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전구의 필라멘트가 끊어져 단선이 되면 필라멘트에 빛이 발생 되지 않아 상기 램프(3)가 단선된다. 물론, 상기 램프(3)는 전원(1)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빛을 내는 할로겐 램프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램프(3)는 전원(1)과 연결되는데, 상기 전원(1)은 배터리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상단에 양, 음극 단자가 돌출되며, 중앙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터리액을 보충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자동차의 엔진룸의 일측에 안착시킨 후 양, 음극단자를 소정의 케이블에 연결시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는 12V용이 차량에 많이 사용되며, 수명은 2~3년 정도이고, 주행중에는 차량발전기(알터네이터)로 발전을 하여 차량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와 램프(3)의 사이에는 스위치(2)가 연결되는데, 상기 스위치(2)는 램프(3)의 종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위치에 구비된다. 즉, 브레이크 램 프는 풋 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2)가 작동되고, 방향 지시 램프는 차량의 핸들의 측근에 구비되는 콤비네이션 스위치(2)로 작동되는 식이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2)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 선택적으로 접점되고, 상기 스위치(2)의 점접에 의해 상기 램프(3)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빛이 외부에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램프(3)와 병렬로 연결되는 전압강하소자(4)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압강하소자(4)는 내부의 저항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떨어뜨려 상기 전압강하소자(4)를 거친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는 소자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전압강하소자(4)는 상기 램프(3)와 병렬로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회로에 구비되므로 상기 전압강하소자(4)에는 상기 램프(3)에 공급되는 전압과 동일한 양의 전압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강하소자(4)는 공급되는 전원(1)의 전압을 강하시켜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므로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는 저항을 가지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압강하소자(4)는 그를 거친 전류가 극소량으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므로 내부에 상기 램프(3)의 저항보다 큰 저항이 구비되고, 일반적인 저항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강하소자(4)는 순수한 상태에서는 부도체와 비슷하지만 불순물의 첨가나 기타 조작에 의해 전기전도도가 늘어나 전원의 흐름으로 연결시켜주는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저항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압강하소자(4)를 거친 전류가 전달되도록 직렬로 연결되는 발광소자(5)가 구비되는데, 상기 발광소자(5)는 상기 램프(3)의 단선 시 상기 전압강하소자(4)를 거친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하여 식별가능하도록 발광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광소자(5)는 적색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광소자(5)는 상기 스위치(2)가 접점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3)가 단선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전압강하소자를 거친 극소량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약간의 발광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5)는 상기 스위치(2)가 접점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3)가 단선된 경우에는 상기 램프(3)와 전압강하소자(4)의 합성저항이 감소하여 상기 전압강하소자(4)를 통하는 전류의 양이 증가되므로 상기 램프가 단선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더욱 밝은 빛을 낸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5)는 상기 스위치(2)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램프(3)가 단선된 경우에는 상기 램프(3)가 단선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더욱 밝은 빛을 냄으로써 식별이 가능하여 차량의 운전자는 이러한 차이를 인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스위치(2)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램프(3)가 단선되어 소등된 상태를 상기 발광소자(5)의 식별가능한 발광으로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3)의 단선을 알리는 수단이 상기 전압강하소자(4)와 발광소자(5)가 추가된 구성으로 가능하여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램프단선 알림장치에 리미트스위치가 추가된 회로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전압강하소자(4)와 발광소자(5) 사이에 스위칭 기능을 하는 리미트스위치(21)가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로 흐르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압강하소자(4)와 발광소자(5)의 사이에 연결되는 리미트스위치(21)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리미트스위치(21)는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ON/OFF로 스위칭 되어 상기 발광소자(5)에 선택적으로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5)는 상기 램프(3)가 단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발광소자(5)에 흐르는 전류가 리미트스위치(21)에 의해 차단되어 소등되고, 상기 램프(3)가 단선된 경우에는 리미트스위치(21)의 접점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점등된다. 이를 통하여,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램프(3)의 단선여부를 상기 발광소자의 점등여부로 쉽게 인지하므로 상기 램프(3)의 단선을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미트스위치(21)는 회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하나의 컴온단자와 NC(항시 폐쇄(normal cross)) 및 NO(항시 개방(normal open)) 단자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3)가 단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21)는 NO 단자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3)가 단선된 경우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21)는 NC 단자에 연결되어 전류가 소통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리미트스위치(21)는 외부에서 일정 이상의 전류가 공급될 때에 스위치가 접점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리미트스위치(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상기 트랜지스터는 전류의 ON/OFF를 제어하는 스위칭 작용을 한다.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베이스(B), 에미터(E), 컬렉터(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스위칭 작용을 하는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베이스(B)에 전류가 ON/OFF 됨에 따라 컬렉터(C)에서 에미터(E)로 전류가 ON/OFF 된다.
즉, 베이스(B)에 전류가 ON 되어 흐르면 컬렉터(C)에서 에미터(E)로 전류가 ON 되어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B) 전류가 OFF 되는 경우는 전류가 없거나 극소량일 경우로 컬렉터(C)에서 에미터(E)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압강하소자(4)를 거친 전류가 베이스(B)에 전달되어 상기 베이스(B)에 전류가 ON/OFF 됨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5)로 전류가 ON/OFF 되도록 상기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회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전류의 ON/OFF를 제어하는 회로를 구성하여 리미트스위치(21)의 기능을 하는 회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램프단선 알림장치에 음성표시장치가 추가된 회로블럭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발광소자(5)와 병렬로 연결되는 음성표시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음성표시장치는 상기 스위치(2)의 접점여부와 상기 전압강하소자(4)를 거친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여 설정된 안내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음성표시장치는 감지회로부(31), 제어회로부(32) 및 출력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감지회로부(31)는 상기 스위치(2)의 접점과 상기 전압강하소자(4)를 거친 전류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회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감지회로부(31)는 상기 스위치(2)의 접점여부로 전원의 공급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전압강하소자(4)를 거친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여 상기 발광소자(5)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32)는 상기 감지회로부(31)에서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안내음을 송출하는 상기 출력부(33)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도록 회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출력부(33)는 운전공간의 내부에 운전자가 쉽게 인지하는 위치의 스피커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음성표시장치는 상기 감지회로부(31)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설정 저장된 상기 안내음이 소정의 시간만큼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어회로부(3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내음을 출력부(33)로 송출하여 운전자에게 상기 램프(3)의 단선을 알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음은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안내멘트, 부저 등으로 송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발광소자(5)의 점등과 함께 상기 음성표시장치에서 송출되는 안내음으로 상기 램프(3)의 단선을 안내받으므로 더욱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램프단선 알림장치의 발광소자가 계기표 시패널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램프(3)는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의 램프 중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소자(5)는 상기 각종의 램프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어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조합을 이루는 어셈블리로서 제공되며, 상기 발광소자(5)의 어셈블리는 차량형상을 가지는 차량표시패널(42)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램프(3)는 차량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램프, 테일 램프, 방향지시 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차량에 설치되는 모든 램프(3)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량표시패널(42)은 차량의 계기표시패널(41)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계기표시패널(41)과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운전자가 상기 발광소자(5)의 점등되는 위치로 단선된 상기 램프(3)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차량의 형상표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차량표시패널(42)은 별도로 제작되고 입체의 작은 차량표시모형으로 상기 계기표시패널(41)의 측근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가 접점된 상태에서 차량의 우측에 설치된 브레이크 램프(3)가 단선되면, 상기 계기표시패널(41)과 일체로 구비되는 차량표시패널(42)에 상기 브레이크 램프(3)와 일대일 대응되어 연결된 상기 발광소자(5)가 점등되어 운전자는 상기 브레이크 램프(3)의 단선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상기 음성표시장치가 같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5)의 점등과 상기 음성표시장치에서 송출되는 안 내음으로 안내하여 운전자는 차량 램프의 단선을 더욱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본 발명은 비행기의 램프(3)에도 적용가능하므로 차량에 한정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며,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램프단선 알림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램프단선 알림장치에 리미트 스위치가 추가된 회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램프단선 알림장치에 음성표시장치가 추가된 회로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램프단선 알림장치의 발광소자가 계기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원 2: 스위치
3: 램프 4: 전압강하소자
5: 발광소자 21: 트랜지스터
31: 감지회로부 32: 제어회로부
33: 출력부 41: 계기표시패널
42: 차량표시패널

Claims (5)

  1. 전원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빛을 내는 램프;
    상기 전원과 램프 사이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소통시키는 스위치;
    상기 램프와 병렬 배치되도록 연결되는 전압강하소자;
    상기 전압강하소자와 직렬연결되되, 상기 램프의 단선 시 상기 전압강하소자를 거친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램프단선 알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강하소자와 발광소자의 사이에 연결되되,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리미트스위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단선 알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전류의 ON/OFF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단선 알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와 병렬로 연결되되, 전원과 상기 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회로부, 상기 감지회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부에 의하여 안내음을 송출하도록 제어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성표시장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단선 알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차량에 배치되는 각종의 램프 중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각종의 램프와 각각 대응되어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조합을 이루는 어셈블리로서 제공되되, 상기 발광소자의 어셈블리는 차량형상을 갖는 차량표시패널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단선 알림장치.
KR1020080034298A 2008-04-14 2008-04-14 램프단선 알림장치 KR20090108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298A KR20090108939A (ko) 2008-04-14 2008-04-14 램프단선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298A KR20090108939A (ko) 2008-04-14 2008-04-14 램프단선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939A true KR20090108939A (ko) 2009-10-19

Family

ID=4155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298A KR20090108939A (ko) 2008-04-14 2008-04-14 램프단선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89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8091A (zh) * 2013-04-28 2013-07-31 南宁桂格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制动灯丝损坏报警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8091A (zh) * 2013-04-28 2013-07-31 南宁桂格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制动灯丝损坏报警系统
CN103228091B (zh) * 2013-04-28 2015-08-12 南宁桂格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制动灯丝损坏报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2039B2 (en) Trailer lighting outage detection circuit
KR20090064926A (ko) 안개 유도램프 장치
US8044790B2 (en) Retrofit circuitry for enhanced vehicle hazard warning lights
CN101648543A (zh) 一种汽车车灯的故障监测方法及装置
JP3137726U (ja) 自動車用ハイブリッド電球
KR20090108939A (ko) 램프단선 알림장치
CN101947932B (zh) 一种汽车转向灯的判断控制系统
JP2012061952A (ja) 車両後部灯の発光制御装置
EP3747699A1 (en) Wiring of front braking lights for vehicles
KR0166288B1 (ko) 자동차의 방향 표시등 장치
KR100916585B1 (ko) 철도 차량의 외부등 점등 제어 및 소손 감지 장치
KR20170003824U (ko)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
CN105365671A (zh) 一种刹车灯故障提醒电路
JP6808415B2 (ja) 電源装置
KR200411116Y1 (ko) 차량용 전조등의 점등제어장치
KR100471797B1 (ko) 자동차용램프단선경보회로
KR100517696B1 (ko) 자동차의 비상등과 전조등 자동점멸장치
KR20010065220A (ko) 정지등 회로 고장시 점등되는 비상등 회로
KR960010030Y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RU590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работы сигнальных ламп задних габарит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9980028418U (ko) 비상등 작동 상태에서의 방향 지시 장치
CN116811721A (zh) 一种内设有故障报警装置的大中型车辆用转向灯
KR0171705B1 (ko) 자동차의 지시등 단선경고장치
KR200215143Y1 (ko) 자동차의 실외등 진단표시 시스템
KR19980042398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이상 감지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