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24U -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824U
KR20170003824U KR2020160002334U KR20160002334U KR20170003824U KR 20170003824 U KR20170003824 U KR 20170003824U KR 2020160002334 U KR2020160002334 U KR 2020160002334U KR 20160002334 U KR20160002334 U KR 20160002334U KR 20170003824 U KR20170003824 U KR 201700038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ed
light
signal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455Y1 (ko
Inventor
정의경
Original Assignee
정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의경 filed Critical 정의경
Priority to KR2020160002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455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8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4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H05B33/0842
    • F21W210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듈화하여 품질이 우수하고 장착이 매우 용이하며 개성있는 LED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에 이용되는 하네스가 장착되고, 차량의 순정커넥터에 각각 접속되는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과,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 차량의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의 배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과,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에 각각 입력측과 출력측이 연결되되,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되지 않은 등이나 바이패스하고자 하는 신호선을 접속시키는 복수의 1자형 하네스; 방향지시등, 차량 경적신호(horn), 차량 실내등 및 비상등을 포함하는 외부입력신호포트와 일측이 접속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등에 접속되는 T형 하네스; 일측이 상기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에 접속되어 차량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고, 다른 일측은 PCB에 연결되는 전원입력부; 일측이 상기 PCB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입력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되며 전원공급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에 접속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외부입력신호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입력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입력된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형태의 제어신호가 저장되며, 분석된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차량의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된 등의 출력을 저장된 신호에 따라 제어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LED등 제어 컨트롤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LED lighting control module of the vehicle control}
본 고안은 차량의 LED 등(燈)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는 LED 등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품을 모듈화하여 품질이 우수하고 장착이 매우 용이하며 개성있는 LED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에 관한 것이다.
헤드 램프는 자동차의 배터리에 접속된 배선을 통해 전기를 인가받아 야간 주행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방 부위에 차폭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통상 헤드 램프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등은 광원으로서 벌브(Bulb)를 사용하고 있으나, 벌브는 사용 수명이 짧고 내충격성이 떨어지므로 근래에 들어 사용 수명이 길면서도 내충격성이 뛰어난 고휘도의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LED 전조등은 열손실이 크게 발생하여 이 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LED 전조등의 핵심 기술이 되었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LED 전조등의 방열 메카니즘은 전조등으로서의 광원 역할을 하는 LED 전조등과 전기적인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손실로 빠져 나가는 열을 넓은 면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과, 방열판에 존재하고 있는 열 에너지를 강제 대류 현상으로 방출하여 방열판의 온도를 저하시켜 LED 전조등의 안정적인 에너지 변환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열팬을 구비한다.
참고적으로, LED 전조등에는 LED 전조등에서 발산된 빔을 반사시키는 반사체와 이 반사체에서 반사된 빔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렌즈를 구비한다.
하지만, 기존의 자동차 좌우 LED 전조등의 경우, 방열장치와 복수개의 전자부품으로 인해 자체 부피가 크고, 동작 정격 전압에서 자동차 배터리가 방전하여 낮을 경우에 LED 모듈의 특성상 급속하게 밝기가 줄어들고, 과다한 전류를 사용하는 자동차 좌우 LED 전조등에서 발생하는 과열현상과 정전압, 정전류 부품자체에도 과열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따른 차량의 LED 제어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의 LED 제어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LED 제어 모듈은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도 1에서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따른 차량의 LED 제어모듈은 차량의 전원공급선과 LED 사이에 별도로 장착하고, 도 2에 나타낸 종래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의 LED 제어모듈은 차량의 브레이크 구동시 후미등의 브레이크를 점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지만 도 1에서와 같이 차량의 전원공급선과 LED 사이에 별도로 장착하고 있는데, 도 1 및 도 2 모두에서 LED 제어모듈을 차량의 전원공급선과 LED 사이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일부분을 탈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의 일부분을 탈피하고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는 장착이 어렵고, 합선 및 쇼트의 우려가 높으며, 작업시간 역시 약 20~30분이 소요되고, 차량 배선 커팅 후 장착하여 선 저항 및 복원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기, 전자와 차량의 배선도를 아는 전문 작업자가 장착 가능하고, 단순 전원 입력을 받아 출력하여 LED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브레이크와 같은 후미등의 구동에만 이용되어 LED를 이용한 구동이 단조로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24965호(좌우LED 전조등의 동일휘도를 제어시키는 자동차 좌우LED 전조등 동시컨트롤 모듈)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차량의 LED 등(燈) 제어를 위한 구성을 모듈화하여 품질이 우수하고 장착이 매우 용이하며 이를 빠른 속도로 등화, 소등 및 점멸하여 상대방 운전자 혹은 보행자가 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끔 LED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은 차량에 장착된 LED 등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에 있어서,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에 이용되는 하네스가 장착되고, 차량의 순정커넥터에 각각 접속되는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10)과,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 차량의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의 배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과,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에 각각 입력측과 출력측이 연결되되,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되지 않은 등이나 바이패스하고자 하는 신호선을 접속시키는 복수의 1자형 하네스; 방향지시등, 차량 경적신호(horn), 차량 실내등 및 비상등을 포함하는 외부입력신호포트와 일측이 접속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등에 접속되는 T형 하네스; 일측이 상기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에 접속되어 차량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고, 다른 일측은 PCB에 연결되는 전원입력부; 일측이 상기 PCB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입력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되며 전원공급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에 접속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외부입력신호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입력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입력된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형태의 제어신호가 저장되며, 분석된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차량의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된 등의 출력을 저장된 신호에 따라 제어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외부입력신호포트로부터 설정된 시간내에 입력된 외부신호입력횟수에 따라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된 등의 출력이 각기 선택적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은 일반자가용, 응급차량, 오토바이, 소, 중, 대형 트럭, 특수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LED등 제어 컨트롤 모듈은 차량 시동과 동시에 LED 안개등(미등)이 자동 활성화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은, 좌회전 신호, 우회전 신호 및 차량 경고음, 비상등, 실내등 온(ON)을 포함하는 외부입력신호발생이나 차량 시동 온(ON)의 경우에는 순간 점멸, 일정 시간 내에 점멸 혹은 무한 반복 점멸되도록 상기 출력신호 저장부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모듈화하여 품질이 우수하다.
둘째, 모듈화하여 장착이 매우 용이하여 장착 작업 시간 1개 기준 약 10초면 장착할 수 있다.
셋째, 오 작업으로 인한 합선 및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차량의 배선 탈피가 필요 없으므로 종래 구조에 비해 내구성이 향상된다.
다섯째, 모듈화되어 있으므로 전기, 전자의 기초 지식이 없이 간단한 도면 설명으로 장착이 가능하다.
여섯째, 전원 입력과 동시에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외부 신호 입력에 따른 제어 및 개성 있는 각각의 LED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하다.
일곱째, 자가용과 같은 일반차량은 물론 응급차량, 오토바이, 소, 중, 대형 트럭, 특수차량 등에서 LED 후미등은 물론 LED 전조등이나 LED 안개등에도 장착하여 좌회전이나 우회전, 비상등 점멸동작을 보조하여 이들 신호를 판단하기 쉽고 개성있게 표현할 수 있으므로 해당 차량의 동작을 후방차량은 물론 전방의 마주보는 차량이나 측면에서 진행중인 주변 차량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차량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보행자 역시도 차량의 주행변경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차량과 사람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청각장애인의 경우 차량의 경적음 발생시 LED 등이 개성있게 점멸하는 경우 주간은 물론 특히 야간에 이를 쉽게 인식함으로써 청각장애인에 대한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홉째, 차량에 장착 되어진 LED 벌브(bulb)를 사용하므로 상대방으로 하여금 눈에 피로를 주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따른 차량의 LED 제어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의 LED 제어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의 설계도이다.
도 7은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의 설계도이다.
도 8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고안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을 분해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의 설계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의 설계도이며, 도 8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은 도 3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10)과,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11), 복수의 1자형 하네스(20)와, 외부신호입력포트(30)에 적용하기 위한 T형 하네스(21), 전원입력부(40), 전원공급부(41), 제어모듈(50) 및 외부신호입력포트(30), 전원입력부(40), 전원공급부(41) 및 제어모듈(50)이 설치되는 PCB(60)로 구성된다.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10)과,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11)은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에 이용되는 하네스가 장착되고, 차량의 순정커넥터에 각각 접속된다.
복수의 1자형 하네스(20)는 기본적으로는 차량의 전조등(상향등, 하향등), 미등(후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의 배선과 접속되도록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10)과,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11)에 입력측과 출력측이 연결되되, 전조등(상향등, 하향등), 미등(후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되지 않은 등이나 바이패스하고자 하는 신호선을 접속시키는 용도로 이용된다. 여기서 차량으로는 일반자가용은 물론 응급차량, 오토바이, 소, 중, 대형 트럭, 특수차량 등 LED 등을 구비한 차량이라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T형 하네스(21)는 방향지시등, 차량 경적신호(horn), 차량 실내등 온 및 비상등 등의 외부입력신호포트(30)와 일측이 접속되고, 다른 일측은 LED 전조등(상향등, 하향등), LED 미등(후미등), LED 차폭등, LED 방향 지시등, LED 제동등, LED 비상등 및 LED 안개등 중 본 고안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부분에 접속된다.
전원입력부(40)는 일측이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10)에 접속되어 차량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고, 다른 일측은 PCB(60)에 연결된다.
전원공급부(41)는 일측이 PCB(60)에 연결되어 전원입력부(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고, 다른 일측은 LED 전조등(상향등, 하향등), LED 미등(후미등), LED 차폭등, LED 방향 지시등, LED 제동등, LED 비상등 및 LED 안개등 중 전원공급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11)에 접속된다.
제어모듈(50)은 입력신호 분석부(51), 출력신호 저장부(52) 및 제어부(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입력신호 분석부(51)는 외부입력신호포트(30)로부터 입력되는 방향지시등 신호입력, 상향등 점멸 신호 입력, 차량 경고음(경적신호 :horn)신호 입력, 차량 실내등 온(ON) 신호 입력 및 비상등 신호 입력 등의 외부입력신호를 분석한다.
출력신호 저장부(52)는 입력신호 분석부(51)에서 분석된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형태의 제어신호가 저장된다. 이러한 출력하고자 하는 제어신호는 순간 점멸, 일정 시간 내에 점멸 혹은 무한 반복 점멸하도록 설정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기본설정된 점멸신호가 1초에 약 2회 내지 3회정도 점멸하였다면 방향지시등과 같은 좌회전 신호, 우회전 신호의 외부입력신호나 차량 경적신호, 차량 실내등 온(ON) 및 비상등 온(ON) 등의 외부입력신호나 차량 시동 온(ON) 등이 입력된 경우에 초당 3회 내지 10회정도 빠르게 점멸하도록 하거나, 운전자가 상황에 따라 차량 경고음이나, 상향등을 발생시킨 경우 차량 경고음이나 상향등이 일정시간내 입력횟수에 따라 1-2초내에 1회 입력시에는 비상등 2-3회, 1-2초내 2회 입력시에는 비상등 4 내지 6회, 1-2초내 3회 입력시에는 비상등 무한반복 등으로 점멸하도록 미리 프로그램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LED 등으로는 LED 전조등(상향등, 하향등), LED 미등(후미등), LED 차폭등, LED 방향 지시등, LED 제동등, LED 비상등 및 LED 안개등 중에서 전원공급부(41)의 결선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제어부(53)는 입력신호 분석부(51)로부터 분석된 방향지시 신호, 차량 경적신호, 실내등 온(ON) 및 비상등 온(ON) 등의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차량의 LED 전조등(상향등, 하향등), LED 미등(후미등), LED 차폭등, LED 방향 지시등, LED 제동등, LED 비상등 및 LED 안개등의 출력을 출력신호 저장부(52)에 저장된 신호에 따라 제어되도록 전원공급부(41)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53)는 차량출시 시 설정된 기존의 스위치의 작동 횟수 혹은 재동작 시 이를 분석하여 작동되도록 한다.
PCB(60)는 외부신호입력포트(30), 전원입력부(40), 전원공급부(41) 및 제어모듈(5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LED 전조등(상향등, 하향등), LED 미등(후미등), LED 차폭등, LED 방향 지시등, LED 제동등, LED 비상등 및 LED 안개등의 등화 점멸을 빠르게 혹은 느리게 제어되도록 미리 설정하여 긴급 차량, 응급차량 출동 시 상대방으로 하여금 주의를 줄 수 있어 2차 사고 방지 및 안전사고 예방, 신속히 안전하게 주행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참고로, 전조등은 흔히 헤드라이트(headlight)라고 부르고, 미등은 테일 라이트(tail light), 테일 램프(tail lamp), 후미등이라고 부른다. 자동차의 전면에 부착된 전조등은 먼 곳을 비추기 위한 상향등, 가까운 곳을 비추기 위한 하향등 두 가지 모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조등 외에도 차폭등, 방향 지시등(노란색), 미등(흰색)이 차량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다. 차량에 따라 방향을 바꿀 때 사용하는 방향 지시등이 전조등과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자동차를 운행할 때 전조등은 하향등을 켜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앞차 그리고 반대 방향에서 오는 차량의 시야를 배려하기 위한 운전 예절이다. 단, 한적한 시골길이나 차량의 통행이 뜸한 길에서는 상향등(하이빔, hi-beam)을 켜고 달리는 것이 오히려 안전을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자동차의 뒤쪽에는 차량이 후진할 때 점등되는 후진등(백업 램프), 제동할 때 점등되는 제동등(브레이크 램프), 방향을 바꿀 때 점등되는 방향 지시등과 같이 여러 가지 목적의 전구가 함께 있어 콤비네이션 램프(combination lamp)라고 부른다. 이들 중 라이트를 켜면 들어오는 미등은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더 환하게 밝아지는 더블 전구를 사용하고, 제동등은 빨간색, 후진등은 하얀색, 방향 지시등은 노란색 전구를 기본으로 사용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전조등(상향등, 하향등), 미등(후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및 안개등 등을 포함하여 LED로 등을 구성하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LED 등에 대한 제어 컨트롤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야간 고속도로 주행 시 상대방에 주의 환기가 필요로 할 때 혼(클락션)과 같은 외부신호 입력시 고속 주행 중에는 풍절 음으로 일정거리 이상 일 때 듣지를 못할 수 있지만, 본 고안 모듈의 인터럽터 포트에 클락션의 신호를 입력하여 LED 동작 및 점멸하도록 미리 출력신호 저장부(52)에 저장한 경우 시각적으로 주의를 주어 주행 중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좌회전 신호, 우회전 신호의 경우에는 초당 3회 내지 10회 정도 점멸하도록 하며, 차량 경고음, 비상등, 실내등 온(ON) 등과 같은 외부입력신호 발생시에도 초당 3회 내지 10회 정도 점멸하도록 하는 경우 주행 중 안전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론 초당 3회 내지 10회정도 점멸하도록 하는 것은 하나의 예일 뿐, 순간 점멸, 일정 시간 내에 점멸 혹은 무한 반복 점멸 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안전을 위한 주행 주간등 등화 사용을 법규화 하는 추세인데, 년식이 오랜 시간이 지난 차량 중 LED 램프 미등을 적용 차량 혹은 LED 벌브(전구)를 교체 장착후 모듈을 장착하는 경우 차량 구동 시에는 LED 램프 미등(안개등)을 자동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출력신호 저장부(52)에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듈을 하네스화(커넥터화)함으로써 장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어 전기 전자의 기초이식이 없어도 누구나 장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차량의 배선을 탈피 혹은 커팅을 하지 않고 장착함으로써 전기적 안전성이 뛰어나고 부식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차량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등화에 관련하여 커넥터만을 교체하여 전조등, 후미등, 실내등, 안개등 및 모든 차량(이륜차포함)에 적용 가능하고, 청각 장애를 갖고 있거나 소리에 둔감한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주의를 줄 수 있으며, 기존의 순정 차량의 등화 단순 점등을 일정 시간동안 점멸 제어하여 방향 지시등과 같은 운전자의 표현을 상대방 운전자 혹은 보행자의 판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 램프 연동시에는 야간에 차량의 미등 및 전조등을 켜놓은 상태에서 좌우 방향 지시등 작동시 본인 차량과 거리가 있는 마주 오는 차량에 위치를 확인 및 좌우 가고자 하는 방향을 좀더 확실이 어필 할 수 있다.
또한 필라맨트 타입의 시그널 램프 수명이 다하여 작동 안될시에도 입력 신호만으로도 제어 모듈의 출력 등화 LED 등화 램프는 작동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Horn 신호 연동시에 Horn 신호 입력시 라이팅되도록 하므로 청각뿐만이 아니라 시각적으로 경각심을 줄 수 있으며 야간 고속 주행 중 앞 차량의 진로 변경 혹은 졸음 운전 등으로 Horn 사용시 근거리에서는 알맞지만 원거리는 그 효과가 미세하므로 이를 보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일정 시간 내에 Horn 횟수에 따라 그 점멸 기능을 달리하여 긴급 차량 및 응급 차량의 진로를 상대방으로 하여금 확보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제품 동작에 있어 여러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 기존의 제품은 물리적인 S/W를 따로 장착하여 구동을 하거나, 직접적으로 별도의 결선을 하여야 했지만 본 고안 모듈은 차량 순정 장착된 스위치로 제어 신호를 입력 또는 입력 횟수에 따라 구동하기에 추가적인 S/W가 필요치 않으며, 도 6이나 도 7과 같은 젠더 형태의 구조로 장착이 쉬운데, 종래의 제품 장착시 전문 장착자가 약 30분에서 1시간이 소요되나 본 고안 모듈은 10초 내에 장착 가능한데, 종래 제품은 전기, 전자 및 차량의 일반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작업 시 차량의 화재 혹은 파손의 우려가 있으나 본 고안 모듈은 헤드라이트의 위치만 알면 누구나 장착 가능하다.
그리고 차량의 순정 LED 사용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LED 혹은 차량의 등화 램프를 개조하지 않고 순정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차량에 장착 되어진 LED 벌브(bulb)를 사용하므로 상대방으로 하여금 눈에 피로를 주지 않는다.
본 고안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을 나타낸 도 8은 예를 들면 T형 하네스(21)와 외부신호입력포트(30)를 통해 하나의 외부입력신호를 입력받아, 하나의 전원공급부(41)를 통해 하나의 LED 등을 제어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것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본 고안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을 나타낸 도 9는 예를 들면 복수의 T형 하네스(21)와 복수의 외부신호입력포트(30)를 통해 복수의 외부입력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복수의 전원공급부(41)를 통해 복수의 LED 등을 각각 제어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것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의 경우 제어모듈(50)은 외부입력신호포트(30)로부터 설정된 시간내에 입력된 외부신호입력횟수에 따라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된 등의 출력이 각기 선택적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 20 :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
20 : 1자형 하네스 21 : T형 하네스
30 : 외부신호입력포트 40 : 전원입력부
41 : 전원공급부 50 : 제어모듈
51 : 입력신호 분석부 52 : 출력신호 저장부
53 : 제어부 60 : PCB

Claims (5)

  1. 차량에 장착된 LED 등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에 있어서,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에 이용되는 하네스가 장착되고, 차량의 순정커넥터에 각각 접속되는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과,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
    차량의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의 배선과 접속되도록 상기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과,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에 각각 입력측과 출력측이 연결되되,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되지 않은 등이나 바이패스하고자 하는 신호선을 접속시키는 복수의 1자형 하네스;
    방향지시등, 차량 경적신호(horn), 차량 실내등 및 비상등을 포함하는 외부입력신호포트와 일측이 접속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하고자 하는 등에 접속되는 T형 하네스;
    일측이 상기 입력측 커넥터 하우징에 접속되어 차량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고, 다른 일측은 PCB에 연결되는 전원입력부;
    일측이 상기 PCB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입력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고, 다른 일측은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되며 전원공급을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출력측 커넥터 하우징에 접속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외부입력신호포트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입력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입력된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형태의 제어신호가 저장되며, 분석된 외부입력신호에 따라 차량의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된 등의 출력을 저장된 신호에 따라 제어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LED등 제어 컨트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외부입력신호포트로부터 설정된 시간내에 입력된 외부신호입력횟수에 따라 상기 전조등, 미등, 차폭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비상등 및 안개등 중 LED 등으로 구성된 등의 출력이 각기 선택적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LED등 제어 컨트롤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일반자가용, 응급차량, 오토바이, 소, 중, 대형 트럭, 특수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LED등 제어 컨트롤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LED등 제어 컨트롤 모듈은 차량 시동과 동시에 LED 안개등(미등)이 자동 활성화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LED등 제어 컨트롤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은,
    좌회전 신호, 우회전 신호 및 차량 경고음, 비상등, 상향등, 실내등 온(ON)을 포함하는 외부입력신호발생이나 차량 시동 온(ON)의 경우에는 순간 점멸, 일정 시간 내에 점멸 혹은 무한 반복 점멸되도록 상기 출력신호 저장부(52)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LED등 제어 컨트롤 모듈.
KR2020160002334U 2016-04-29 2016-04-29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 KR200485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34U KR200485455Y1 (ko) 2016-04-29 2016-04-29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34U KR200485455Y1 (ko) 2016-04-29 2016-04-29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24U true KR20170003824U (ko) 2017-11-08
KR200485455Y1 KR200485455Y1 (ko) 2018-01-11

Family

ID=6040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34U KR200485455Y1 (ko) 2016-04-29 2016-04-29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4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2370A (zh) * 2019-10-29 2021-05-04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室内灯控系统及灯控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20A (ja) * 2001-02-07 2002-08-20 Yazaki Corp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WO2010050654A1 (ko) * 2008-10-31 2010-05-06 주식회사 우진엘이디 착탈식 led 조명 모듈 장치
KR101024965B1 (ko) 2010-06-11 2011-03-25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좌우led 전조등의 동일휘도를 제어시키는 자동차 좌우led 전조등 동시컨트롤 모듈
KR20120002405U (ko) * 2010-09-29 2012-04-06 (주)일산전자 조명기판과 전원모듈의 연결장치
KR20140002332U (ko) * 2014-04-04 2014-04-23 최창준 Led 광 소자 모듈 일체형 비상 조명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420A (ja) * 2001-02-07 2002-08-20 Yazaki Corp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WO2010050654A1 (ko) * 2008-10-31 2010-05-06 주식회사 우진엘이디 착탈식 led 조명 모듈 장치
KR101024965B1 (ko) 2010-06-11 2011-03-25 제이엠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좌우led 전조등의 동일휘도를 제어시키는 자동차 좌우led 전조등 동시컨트롤 모듈
KR20120002405U (ko) * 2010-09-29 2012-04-06 (주)일산전자 조명기판과 전원모듈의 연결장치
KR20140002332U (ko) * 2014-04-04 2014-04-23 최창준 Led 광 소자 모듈 일체형 비상 조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2370A (zh) * 2019-10-29 2021-05-04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室内灯控系统及灯控方法
CN112752370B (zh) * 2019-10-29 2024-02-02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室内灯控系统及灯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455Y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2371B1 (en) Vehicle-mounted load controller, vehicle-mounted headlight device, and vehicle-mounted taillight device
US10369924B2 (en) Vehicle warning light system
US8598735B2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as well as an 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with such a control unit
WO2004054843A1 (en) Emergency light signal
US8994524B2 (en) Pulsed indication unit for vehicle
KR100699690B1 (ko) Led를 이용한 자동차의 조명장치
US5856779A (en) Motorcycle brake light enhancement system
EP2566722B1 (en) Automotive lighting system.
KR200485455Y1 (ko) 차량의 led 등 제어 컨트롤 모듈
US10808900B1 (en) Automotive LED lighting module
KR20110092108A (ko) 차량용 통합 엘이디램프
JP2009283839A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及び照明装置
US10057957B2 (en) Vehicle light
CN202728072U (zh) 带can收发器的led尾灯
KR20100055222A (ko) 스탑램프
US10894512B2 (en) Side-facing side view mirror brake lights
KR200282037Y1 (ko) 자동차의 상향등 제어장치
KR200411116Y1 (ko) 차량용 전조등의 점등제어장치
KR20090108939A (ko) 램프단선 알림장치
KR20080000795U (ko) 차량의 외부 램프 제어장치
CN109466432A (zh) 一种驻车灯光系统及车辆
KR20110001547U (ko) 자전거 시그널램프
JP3109132U (ja) 車室内用照明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車室内用照明装置
KR0166288B1 (ko) 자동차의 방향 표시등 장치
KR19980701407A (ko) 오토모티브 차량의 헤드라이트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a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headlights of automotive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