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272A -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272A
KR20040088272A KR1020030022398A KR20030022398A KR20040088272A KR 20040088272 A KR20040088272 A KR 20040088272A KR 1020030022398 A KR1020030022398 A KR 1020030022398A KR 20030022398 A KR20030022398 A KR 20030022398A KR 20040088272 A KR20040088272 A KR 20040088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light
vehicle
microcomputer
light
dis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8272A/ko
Publication of KR20040088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27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미등의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미등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와,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에 따라 상기 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미등의 고장 여부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미등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따른 생성되는 전압을 통해 상기 미등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미등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는 차량의 계기판에 형성된 램프 또는 부저 등을 통해 운전자가 상기 미등의 단선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미등의 단선으로 인해 증가하는 차량 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Tail lamp breaking of wire sensing device for vehicle }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후미에 장착된 등화장치인 미등, 브레이크등 및 후진등이 하나라도 단선이 나면 운전석 계기판에 장착한 점검램프가 점등이 되거나 경보신호가 울리도록 하는 차량 후미 등화장치의 단선 판별회로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미등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주행 중 브레이크를 밟으면 점등되는 브레이크등(11), 차량 후진시 또는 주차시에 후미를 밝혀주어 접촉사고 및 추돌 사고를 방지하는 후진등(12) 및 차량의 주행 방향 변경시 점멸되는 방향 지시등(13)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터널 통과할 때나 해질무렵 같이 주변이 어두워질 때에는 브레이크등 등이 작동하지 않으면 후방의 상대방 차량과 추돌사고와 같은 교통사고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도 2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 미등 점등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미등 점등 장치는 브레이크등(11). 후진등(12), 방향 지시등(13) 등으로 이루어진 미등(10)의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20)와, 상기 브레이크등(11). 후진등(12), 방향 지시등(13)에 상기 동작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스위치(31, 32, 33)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스위치(31, 32, 33)를 온/오프시키는 마이컴(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등(11). 후진등(12), 방향 지시등(13) 중 어느 하나에 케이블 불량 또는 램프 불량이 발생한 경우 운전자는 불량 상태를 바로 알 수가 없고,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인식하게 되는 것을 일반적인 사례이다.
특히, 야간 주행시 미등 불량이나, 고속 주행중에 브레이크등 불량 또는 후진시에 후진등 불량을 운전자가 확인하지 않는 경우 대형사고를 일으키는 중요한 문제점이 된다.
또한, 상기 미등의 단선시에 차실의 운전자에게 경고되는 장치가 없었으므로, 상기 미등의 단선여부를 확인하려면 운전자가 하차하여 차의 후미를 직접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차량주행 중에 미등이 단선될 경우에는 운전자가 이를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항시 사고발생의 우려를 내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 후방에 설치된 미등에 단선 등의 불량이 발생한 경우 이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차량의 미등이 도시된 도면,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미등 점등 장치가 도시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미등 60: 전원 공급부
71, 72, 73: 스위치 80: 마이컴
90: 전류 감지부 100: 마이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미등의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미등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을 생성되는 전류 감지부와,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생성된 전압에 따라 상기 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미등의 고장 여부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등(51), 후진등(52), 방향 지시등(53) 등으로 이루어진 미등(50)의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부(60)와, 상기 브레이크등(51), 후진등(52), 방향 지시등(53)에 상기 동작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스위치(71, 72, 73)와, 상기 브레이크등(51), 후진등(52), 방향 지시등(53)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60)에서 브레이크등(51), 후진등(52), 방향 지시등(53)으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이 생성되는 전류 감지부(90)와, 상기 전류 감지부(90)에서 생성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미등(50)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80)과, 상기 마이컴(8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미등(10)의 단선 여부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도록 차량의 계기판에 형성되는 경고 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80)은 상기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스위치(71, 72, 73)가 선택적으로 온/오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류 감지부(90)는 상기브레이크등(51), 후진등(52), 방향 지시등(53)과 직렬 연결되는 다수개의 저항(R1, R2, R3)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레이크등(51), 후진등(52), 방향 지시등(53)로 인가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이 생성된다.
상기 마이컴(80)은 상기 전류 감지부(90)에서 생성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등(51), 후진등(52), 방향 지시등(53)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다수개의 저항(R1, R2, R3)으로부터 전압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등(51), 후진등(52), 방향 지시등(53)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압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브레이크등(51), 후진등(52), 방향 지시등(53) 중 전압이 생성되지 않은 부분에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경고 수단(100)은 상기 마이컴(80)에 의해 동작하는 램프 또는 부저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브레이크등(51), 후진등(52), 방향 지시등(53) 중 어느 하나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 이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미등 단선 장치의 동작은 먼저, 상기 운전자의 조작에 상기 다수개의 스위치(71, 72, 7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온되어 상기 브레이크등(51), 후진등(52), 방향 지시등(53)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점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운전자가 야간에 차량 후진시 상기 후진등(52)을 점등시킨 경우 상기 후진등(52)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후진등(52)과 연결된 저항(R2)에서 전압이 생성된다.
상기 생성된 전압은 상기 마이컴(80)으로 전달되고, 상기 마이컴(80)은 상기 전달된 전압을 통해 상기 후진등(52)이 정상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고 수단(100)을 동작시키기 않게 된다.
만일, 단선이 발생하여 상기 후진등(52)이 점등되지 않는 경우 상기후진등(52)에 연결된 저항(R2)에도 전압이 생성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마이컴(80)은 상기 후진등(52)에 단선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고 수단(100)을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고 수단(100)이 동작함에 따라 상기 차량의 계기판에 형성된 램프 또는 부저를 통해 운전자가 상기 후진등(52)에 단선이 발생한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 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는 미등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따른 생성되는 전압을 통해 상기 미등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미등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는 차량의 계기판에 형성된 램프 또는 부저 등을 통해 운전자가 상기 미등의 단선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미등의 단선으로 인해 증가하는 차량 사고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미등의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미등으로 인가되는 전류에 따른 전압이 생성되는 감지부와,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에 따라 상기 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미등의 고장 여부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미등의 단선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미등 사이에 연결되는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마이컴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미등의 단선 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의 유무에 따라 상기 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이 없을 경우 상기 미등에 고장이 발생된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미등의 단선 감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수단은 상기 차량의 계기판에 형성된 램프 또는 부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미등의 단선 감지 장치.
KR1020030022398A 2003-04-09 2003-04-09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KR20040088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398A KR20040088272A (ko) 2003-04-09 2003-04-09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398A KR20040088272A (ko) 2003-04-09 2003-04-09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272A true KR20040088272A (ko) 2004-10-16

Family

ID=3737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398A KR20040088272A (ko) 2003-04-09 2003-04-09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82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8268A (zh) * 2020-09-07 2022-03-08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车灯电源管理系统及其方法、车灯系统和车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8268A (zh) * 2020-09-07 2022-03-08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车灯电源管理系统及其方法、车灯系统和车辆
CN114148268B (zh) * 2020-09-07 2024-04-30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车灯电源管理系统及其方法、车灯系统和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8272A (ko) 차량의 미등 단선 감지 장치
KR0144761B1 (ko) 차량의 램프단선경고회로
KR100527952B1 (ko) 스톱 램프 고장 표시장치
KR0123503Y1 (ko) 차량용 제동등 회로
KR19990051952A (ko) 광감지식 자동차 미등 고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410864B1 (ko) 램프류 페일검출 및 자동 보완장치
KR0135438Y1 (ko) 자동차 램프의 자동시험장치
KR0146580B1 (ko) 차량의 제동등 단선경고회로
KR0121054Y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장치
KR20050093399A (ko) 자동차 제동등 오픈쇼트 감지장치
KR0171705B1 (ko) 자동차의 지시등 단선경고장치
KR0137822Y1 (ko) 보조램프를 갖는 차량용 2중램프 점등장치
KR19990040989A (ko) 자동차의 램프 고장 감지 장치
KR19980010782U (ko) 비상등 작동시 방향지시 장치
KR19980083894A (ko) 광감지식 자동차 제동등 고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7126A (ko) 차량의 안개등 구동제어장치
KR19980031163U (ko) 제동등 진단장치
KR19980038512A (ko) 차량의 주간 주행시 램프점등상태 경보장치
KR19980022322U (ko) 비상등/제동등 동시 점멸장치
KR19980028418U (ko) 비상등 작동 상태에서의 방향 지시 장치
KR20030030484A (ko) 램프 점등 및 소멸 확인 플레셔유닛
KR19980075072A (ko) 자동차의 예비 브레이크등 점등 장치
KR19980052777A (ko) 비상등 자동 점등장치
KR19980014502A (ko) 자동 경보등 점멸장치
KR20010091374A (ko) 자동차의 전후진시 접촉표시 및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