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802A - 대차 프레임, 대차 조립체 및 레일 차량 - Google Patents

대차 프레임, 대차 조립체 및 레일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802A
KR20190039802A KR1020197008280A KR20197008280A KR20190039802A KR 20190039802 A KR20190039802 A KR 20190039802A KR 1020197008280 A KR1020197008280 A KR 1020197008280A KR 20197008280 A KR20197008280 A KR 20197008280A KR 20190039802 A KR20190039802 A KR 20190039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beam
bogie
suspension
assembly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517B1 (ko
Inventor
다오린 리
후이위에 리우
즈청 탄
치화 펑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839741.8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809231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840410.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809232B/zh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61F5/52Bogi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04Bolster suppor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1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6Suspen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 프레임, 대차 조립체 및 레일 차량을 제공한다. 상기 대차 프레임은 대차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 몸체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끝과 끝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 빔, 제2 연결 빔, 제3 연결 빔 및 제4 연결 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빔은 상기 제3 연결 빔에 대향하고, 상기 제2 연결 빔은 상기 제4 연결 빔에 대향하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이 상기 제4 연결 빔에 형성되고, 상기 제4 연결 빔의 두께는 상기 제2 연결 빔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제1 연결 빔의 윗벽 및 상기 제3 연결 빔의 윗벽은 상기 제2 연결 빔의 윗벽과 상기 제4 연결 빔의 윗벽 사이에 원호 형태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대차 프레임, 대차 조립체 및 레일 차량
본 발명은 레일 차량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차 조립체를 갖는 대차 프레임, 대차 조립체 및 레일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레일 차량은 전기 조립체 및 대차 프레임을 포함하고, 대차 프레임에는 전기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이 제공된다. 대차 프레임의 모든 부분의 두께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구조적 강도가 나쁘고, 전기 조립체가 변형되기 쉽고, 전기 조립체의 고정 신뢰성이 나쁘다.
본 발명은 적어도 어느 정도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차 프레임을 제공하고, 대차 프레임은 높은 구조 강도를 가지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에서의 전기 조립체의 장착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차 조립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프레임은 대차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 몸체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끝과 끝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 빔, 제2 연결 빔, 제3 연결 빔 및 제4 연결 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빔은 상기 제3 연결 빔에 대향하고, 상기 제2 연결 빔은 상기 제4 연결 빔에 대향하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이 상기 제4 연결 빔에 형성되고, 상기 제4 연결 빔의 두께는 상기 제2 연결 빔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제1 연결 빔의 윗벽(the top wall) 및 상기 제3 연결 빔의 윗벽(the top wall)은 상기 제2 연결 빔의 윗벽(the top wall)과 상기 제4 연결 빔의 윗벽(the top wall) 사이에 원호 형태로 연결된다.([00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프레임은, 상기 제4 연결 빔에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4 연결 빔에 상기 전기 조립체가 장착된다. 상기 제4 연결 빔의 구조 강도는 상기 제4 연결 빔의 두께를 합리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향상되며, 따라서 상기 전기 조립체는 상기 제4 연결 빔에 의해 신뢰성있게 고정되어 상기 대차 조립체의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연결 빔의 윗벽은 상기 제2 연결 비임의 윗벽보다 높다는 조건하에 상기 제2 연결 빔의 윗벽과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전이되며, 따라서 상기 전기 조립체는 상기 대차 몸체에 의해 보다 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프레임은 또한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 빔, 상기 제2 연결 빔, 상기 제3 연결 빔 및 상기 제4 연결 빔의 바닥벽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빔, 상기 제2 연결 빔, 상기 제3 연결 빔 및 상기 제4 연결 빔은 외측벽 및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은 상기 윗벽과 상기 바닥벽 사이에 연결되며 외측 및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연결 빔 보강 리브가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사이에 더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 빔의 윗벽, 상기 제2 연결 빔의 윗벽 및 상기 제3 연결 빔의 윗벽은 분할 구조이고, 상기 제4 연결 빔의 윗벽은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두 개의 측면에 위치한 두 개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연결 빔의 윗벽의 두 개의 섹션은 상기 제1 연결 빔의 윗벽 및 상기 제3 연결 빔의 윗벽과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은 상기 대차 몸체에 연결되는 서스펜션 지지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는 실질적으로 수평 상태에 있고, 부드러운 전이가 상기 대차 몸체와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사이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가 상기 대차 몸체의 두 개의 대향 측면에 각각 배열되어 연결되고, 상기 대차 몸체와 함께 레일 리세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는 각각 상기 제2 연결 빔 및 상기 제4 연결 빔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 빔의 상면과 대응 서스펜션 지지 시트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480mm 내지 660mm이고, 상기 제4 연결 빔의 상면과 대응 서스펜션 지지 시트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620mm 내지 800mm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와 상기 대차 몸체 사이의 연결부의 하부면에는 이격된 복수의 연결 보강 리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은 수평 휠 장착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 프레임은 상기 수평 휠 장착 시트에 대응하는 수평 휠 장착 시트 보강 리브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은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는 상기 제4 연결 빔에 장착되며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을 덮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조립체는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조립체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프레임은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가지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추가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은 상기 대차 몸체에 연결된 서스펜션 지지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차 몸체에는 또한 주행 휠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빔 및 상기 제3 연결 빔에는 가이드 휠 장착 시트가 제공되며,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에는 안정 휠 장착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조립체는 상기 주행 휠 장착 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주행 휠;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에 장착되어 상기 주행 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전기 조립체;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에 장착된 서스펜션 시스템; 상기 가이드 휠 장착 시트에 장착된 가이드 휠; 상기 안정 휠 장착 시트에 장착된 안정 휠; 상기 대차 프레임과 차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차체를 견인하는 견인 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가 배열되며 각각 상기 제2 연결 빔 및 상기 제4 연결 빔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빔, 상기 제2 연결 빔, 상기 제3 연결 빔, 상기 제4 연결 빔 및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는 함께 상기 레일 리세스를 한정하며, 두 개의 서스펜션 시스템이 배열되며 상기 대차 프레임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와 일대일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축 방향 제한 부재 및 반경 방향 제한 부재가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 조립체는 상기 축 방향 제한 부재 및 상기 반경 방향 제한 부재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축 방향 제한 부재는 판형 구조이고 상기 전기 조립체의 축에 수직이며, 상기 축 방향 제한 부재는 실질적으로 U 자형이고, 상기 축 방향 제한 부재의 연장된 방향으로 복수의 장착 홀이 제공되며; 두 개의 반경 방향 제한 부재가 배열되며 각각은 판형 구조이고, 상기 두 개의 반경 방향 제한 부재는 각각 장착 홀이 제공되며 상기 전기 조립체의 두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은 차체 연결 시트, 탄성 부재, 가로 댐퍼 및 수직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차체 연결 시트는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위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차체 연결 시트와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가로 댐퍼는 상기 차체 연결 시트와 상기 대차 몸체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직 댐퍼는 상기 차체 연결 시트와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사이에 힌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차체 연결 시트는 상기 차체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웹 플레이트; 상기 웹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웹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차체와 마주하는 표면에는 버퍼 쿠션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웹 플레이트가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은 길이가 상이한 롱 웹 플레이트 및 쇼트 웹 플레이트이고, 상기 롱 웹 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가로 댐퍼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롱 웹 플레이트의 타단과 상기 쇼트 웹 플레이트의 일단은 모두 상기 수직 댐퍼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쇼트 웹 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롱 웹 플레이트의 타단에 인접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쇼트 웹 플레이트의 상기 롱 웹 플레이트와 반대측의 표면에는 서스펜션 멈춤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서스펜션 멈춤 부재는 고무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대차 몸체에는 가로 멈춤 장착 시트가 제공되고, 상기 가로 멈춤 장착 시트는 상기 서스펜션 멈춤 부재에 대응 및 정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은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은 상기 차체 연결 시트와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사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의 상단은 상기 차체 연결 시트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의 하단은 파스너를 통해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댐핑 쿠션이 상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댐핑 쿠션은 상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과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파스너는 상기 댐핑 쿠션을 관통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바닥벽의 상기 전기 조립체와 반대측의 단부면은 보강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 구조는 복수의 보강 리브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 리브는 수직 보강 리브 및 경사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보강 리브는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바닥벽에 수직이고, 상기 경사 보강 리브는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바닥벽에 대해 경사져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수직 보강 리브와 두 개의 경사 보강 리브가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수직 보강 리브는 상기 두 개의 경사 보강 리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경사 보강 리브는 각각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바닥벽의 두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 휠 조정 심이 상기 가이드 휠과 상기 가이드 휠 장착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안정 휠 조절 심이 상기 안정 휠과 상기 안정 휠 장착 시트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안정 휠의 높이는 상기 가이드 휠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안정 휠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휠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안정 휠의 중심축은 가이드 휠의 중심 축의 외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차량은 차체; 및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대차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차체는 상기 대차 조립체 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차량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조립체는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가지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조립체, 차체 및 레일 빔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조립체 및 레일 빔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대차 프레임의 3차원 도면이다.
도 5는 전기 조립체 및 대차 프레임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6은 대차 프레임 및 서스펜션 시스템의 3차원 도면이다.
도 7은 서스펜션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차체 연결 시트의 3차원 도면이다.
도 9는 대차 프레임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0은 대차 프레임의 3차원 도면이다.
도 11은 대차 프레임의 부분 구조 개략도이다.
도 12는 대차 프레임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영역 A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가이드 휠 및 가이드 휠 장착 시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은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가 있는 대차 프레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은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가 있는 대차 조립체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8은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가 있는 대차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보다는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 조립체(10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대차 조립체(1000)는 레일 차량에 적용될 수 있고, 레일 차량은 또한 차체(2000)를 포함하고, 차체(2000)는 대차 조립체(1000) 상에 장착되며, 레일 차량은 대차 조립체(1000)를 통해 단일-트랙 레일 빔(3000) 상에 걸쳐질 수 있고, 레일 차량 및 레일 빔(3000)은 레일 트래픽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조립체(1000)는 대차 프레임(100), 서스펜션 시스템(400), 주행 휠(200), 전기 조립체(300), 가이드 휠(500), 안정 휠(600) 및 견인 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대차 프레임(100)에는 레일 리세스(106)가 형성되고, 레일 리세스(106)는 레일 빔(3000)에 매칭된다.
대차 프레임(100)은 대차 몸체(110) 및 대차 몸체(110)에 연결되는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스펜션 시스템(400)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와 차체(2000) 사이에 장착될 수 있고, 대차 프레임(100)의 대차 몸체(110)에는 주행 휠 장착 홈(101)과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이 제공될 수 있다. 주행 휠(200)은 주행 휠 장착 홈(10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주행 휠(200)은 대차 프레임(100) 및 레일 빔(30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전기 조립체(300)는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에 장착되고, 전기 조립체(300)는 주행 휠(200)을 회전시켜 레일 차량의 주행을 실현한다. 전기 조립체(300)는 모터 조립체와 감속기를 포함하며, 모터 조립체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은 감속기를 통해 주행 휠(200)로 전달된다.
가이드 휠(500)은 대차 몸체(110)에 장착되며, 안정 휠(600)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에 장착된다. 복수의 가이드 휠(500)이 레일 빔(3000)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어 배열되고, 복수의 안정 휠(600)이 레일 빔(3000)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어배열되며, 가이드 휠(500)과 안정 휠(600)의 주연면은 레일 빔(3000)에 접촉한다. 즉, 레일 차량이 주행 상태에 있을 때, 가이드 휠(500)과 안정 휠(600)이 레일 빔(3000)에 대해 회전하고, 가이드 휠(500)은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안정 휠(600)은 레일 빔(3000) 상에서 레일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켜, 가이드 휠(500)과 안정 휠(600)이 레일 차량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견인 기구는 대차 프레임(100)과 차체(2000) 사이에 연결되고, 대차 프레임(100)은 견인 기구를 통해 차체(2000)가 움직이도록 견인할 수 있어서 레일 차량은 레일 빔(3000)상에서 주행할 수 있다.
먼저, 대차 프레임(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차 프레임(100)은 대차 몸체(110)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가 대차 몸체(110)의 두 개의 대향 측면에 배열되어 연결되고, 대차 몸체와 함께 레일 리세스(106)를 정의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몸체(11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대차 몸체(110)는 끝과 끝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연결 빔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연결 빔에 의해 정의된 중앙 영역은 주행 휠 장착 홈(101)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대차 몸체(110)는 끝과 끝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 빔(112), 제2 연결 빔(113), 제3 연결 빔(114) 및 제4 연결 빔(115)을 포함하고, 제1 연결 빔(112)과 제3 연결 빔(114)이 대향 배치되고, 제2 연결 빔(113)과 제4 연결 빔(115)이 대향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빔(112), 제2 연결 빔(113), 제3 연결 빔(114) 및 제4 연결 빔(115)에는 연결 빔 보강 리브(117)가 제공된다. 연결 빔 보강 리브(117)는 연결 빔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켜 대차 몸체(110)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고 대차 조립체(1000)의 구조적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은 제4 연결 빔(115)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은 제4 연결 빔(115)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상단은 개방되어 전기 조립체(300)가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에 편리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은 전기 조립체(300)와 주행 휠(200)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행 휠 장착 홈(101)과 연통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형상은 전기 조립체(300)의 하반부의 형상에 적합하다.
도 16,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 프레임(100)은 또한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150)를 포함하며,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150)는 제4 연결 빔(115)에 장착되고,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150)는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을 덮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에 전기 조립체(300)가 장착될 때,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150)는 전기 조립체(300)를 덮을 수 있어서,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150)가 효과적으로 전기 조립체(300)를 보호하여 전기 조립체(300) 위의 차체(2000)에서의 부재들이 전기 조립체(300)를 방해하거나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전기 조립체(300)의 작동 신뢰성이 보다 잘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에는 축 방향 제한 부재(103) 및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전기 조립체(300)는 축 방향 제한 부재(103) 및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조립체(300)의 축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전기 조립체(300)의 축 방향은 좌우 방향이며, 축 방향 제한 부재(103)는 전기 조립체(300)의 축 방향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고,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는 전기 조립체(300)의 반경 방향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다. 레일 차량이 레일 빔(3000)을 주행할 때, 전기 조립체(300)는 힘의 작용하에 대차 몸체(110)에 대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을 가지며, 축 방향 제한 부재(103) 및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는 대차 프레임(100)의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에 전기 조립체(300)의 장착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어 대차 조립체(1000)의 구조적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 제한 부재(103)는 판형 구조일 수 있고, 축 방향 제한 부재(103)는 전기 조립체(300)의 축에 수직이고, 축 방향 제한 부재(103)는 실질적으로 U 자형이며, U 자형 축 방향 제한 부재(103)는 전기 조립체(300)의 장착판에 대응하여 매칭되고, 축 방향 제한 부재(103)의 연장된 방향(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장착 홀이 분포되어 있다. 축 방향 제한 부재(103)는 파스너(fastener)를 통해 전기 조립체(300)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파스너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볼트는 전기 조립체(300)의 장착 홀 및 축 방향 제한 부재(103)의 장착 홀을 관통하여 너트와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축 방향 제한 부재(103)와 전기 조립체(300)는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축 방향 제한 부재(103)는 전기 조립체(300)의 축에 수직이기 때문에, 전기 조립체(300)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을 가질 때, 축 방향 제한 부재(103)는 늦지 않게 이러한 경향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에서의 전기 조립체(300)의 장착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는 판형 구조일 수 있고, 두 개의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가 배열되어 전기 조립체(300)의 두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에는 각각 장착 홀이 제공된다. 각각의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각각의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에는 상하로 이격된 두 세트의 장착 홀이 제공되고, 장착 홀의 각 세트의 수는 2이다. 판형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는 편리하게 전기 조립체(300)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는 전기 조립체(300)의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에서의 전기 조립체(300)의 장착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기 조립체(30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는 대차 프레임(100)의 상면을 넘어서 위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의 대차 프레임(100)의 상면을 넘어선 부분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차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의 대차 프레임(100)의 상면을 넘어선 부분에 연결된 반경 방향 제한 부재 보강 리브(105)가 제공된다. 반경 방향 제한 부재 보강 리브(105)는 판상으로 구성되고, 반경 방향 제한 부재 보강 리브(105)는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에 수직이며, 이에 따라 반경 방향 제한 부재 보강 리브(105)는 반경 방향 제한 부재(104)를 보다 잘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제4 연결 빔(115)의 두께는 제2 연결 빔(113)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이 제4 연결 빔(115)에 형성되기 때문에, 전기 조립체(300)는 제4 연결 빔(115)에 장착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제4 연결 빔(115)의 두께를 합리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제4 연결 빔(115)의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제4 연결 빔(115)이 전기 조립체(300)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대차 조립체(1000)의 구조적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가 배열되고 각각 제2 연결 빔(113) 및 제4 연결 빔(115) 아래에 연결되며, 제2 연결 빔(113)의 상면과 대응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480mm 내지 660mm이고, 제4 연결 빔(115)의 상면과 대응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620mm 내지 800mm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빔(113)의 상면과 대응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623mm이고, 제4 연결 빔(115)의 상면과 대응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759mm이다. 따라서, 차체(2000)의 바닥면은 주행 휠(200)의 회전축보다 낮아져 레일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연결 빔은 윗벽, 바닥벽, 외측벽 및 내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빔(112)을 예로 들면, 제1 연결 빔(112)은 윗벽(112a), 바닥벽(112b), 외측벽(112c) 및 내측벽 (112d)을 포함하고, 외측벽(112c)과 내측벽(112d)은 윗벽(112a)과 바닥벽(112b) 사이에 연결되고, 외측벽(112c)과 내측벽(112d)은 외측 및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고, 외측벽(112c)과 내측벽(112d) 사이에는 연결 빔 보강 리브(117)가 접속되어 있다. 외측벽(112c)과 내측벽(112d)은 윗벽(112a)과 바닥벽(112b) 사이의 연결 강도를 보장할 수 있어, 연결 빔의 구조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빔 보강 리브(117)는 연결 빔의 구조 강도를 더욱 향상시켜 대차 프레임(100)의 구조적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차 프레임(100)이 전기 조립체(300)를 보다 잘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빔(112)의 윗벽(112a)과 제3 연결 빔(114)의 윗벽은 제2 연결 빔(113)의 윗벽과 제4 연결 빔(115)의 윗벽 사이에 원호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연결 빔(115)의 윗벽이 제2 연결 빔(113)의 윗벽보다 높다는 조건하에 제4 연결 빔(115)의 윗벽은 제2 연결 빔(113)의 윗벽과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전이하며, 대차 몸체(110)는 전기 조립체(300)를 보다 양호하게 고정할 수 있고, 대차 몸체(110)는 동일한 재료 중량 하에서 강한 구조적 지지력 및 높은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빔(112), 제2 연결 빔(113), 제3 연결 빔(114) 및 제4 연결 빔(115)의 바닥벽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 도 6,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빔(112)의 윗벽(112a), 제2 연결 빔(113)의 윗벽 및 제3 연결 빔(114)의 윗벽은 분할 구조일 수 있으며, 제4 연결 빔(115)의 윗벽은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두 측면에 위치한 두 개의 섹션으로 분할되고, 제4 연결 빔(115)의 윗벽의 두 개의 섹션은 제1 연결 빔(112)의 윗벽(112a) 및 제3 연결 빔(114)의 윗벽과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체 대차 프레임(100)의 윗벽(112a)은 구조가 합리적이며, 대차 프레임(100)의 제조 어려움이 감소될 수 있고, 대차 조립체(1000)의 제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바닥벽의 전기 조립체(300)와 반대측의 단부면은 보강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 구조는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바닥벽의 구조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서,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은 전기 조립체(300)를 보다 양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구조는 복수의 보강 리브(107)일 수 있고,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복수의 보강 리브(107)는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복수의 보강 리브(107)는 수직 보강 리브(108) 및 경사 보강 리브(109)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직 보강 리브(108)는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바닥벽에 수직일 수 있고, 경사 보강 리브(109)는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바닥벽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보강 리브(108)는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바닥벽의 상하 방향의 구조적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경사 보강 리브(109)는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바닥벽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구조적 강도를 더 양호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서,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에 장착된 전기 조립체(30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직 보강 리브(108)와 두 개의 경사 보강 리브(109)가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두 개의 수직 보강 리브(108)는 두 개의 경사 보강 리브(109) 사이에 배치되고, 두 개의 경사 보강 리브(109)는 전기 조립체 장착 홈(102)의 바닥벽의 두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각각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프레임(100)에는 수평 휠 장착 시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수평 휠 장착 시트는 수평 휠을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수평 휠은 가이드 휠(500) 및 안정 휠(6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응하여, 수평 휠 장착 시트는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 및 안정 휠 장착 시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차 프레임(100)에는 또한 수평 휠 장착 시트에 대응하는 수평 휠 장착 시트 보강 리브(118)가 제공되고, 수평 휠 장착 시트 보강 리브(118)는 가이드 휠 장착 시트 보강 리브 및 안정 휠 장착 시트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에는 두 개의 가이드 휠 장착 시트 보강 리브가 배열되고, 두 개의 안정 휠 장착 시트 보강 리브가 안정 휠 장착 시트(140)에 배열된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몸체(110)에는 가로 멈춤 장착 시트(111)가 제공될 수 있고,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에 장착된 서스펜션 시스템 (400)에는 서스펜션 멈춤 부재(411)가 제공되며, 서스펜션 멈춤 부재(411)는 가로 멈춤 장착 시트(111)에 대응 및 정합하기에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가로 멈춤 장착 시트(111)와 서스펜션 멈춤 부재(411)는 대향하여 배치되어, 서스펜션 시스템(400)이 대차 몸체(110)를 향해 오프셋될 때, 서스펜션 멈춤 부재(411)가 가로 멈춤 장착 시트(111)에 맞닿아 서스펜션 시스템(400)과 대차 몸체(110)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고, 서스펜션 시스템(400)은 신속하게 리셋될 수 있으며, 레일 차량의 기울어짐 경향이 제거될 수 있고, 또한 대차 조립체(1000)의 구조적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대차 조립체(1000)의 서비스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는 실질적으로 수평 상태에 있고, 대차 몸체(110)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의 원활한 전이가 이루어져 대차 몸체(110)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의 전이가 자연스럽고, 대차 몸체(110)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의 연결이 신뢰성 있고, 또한 대차 프레임(100)의 구조적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의 하부에는 대차 몸체(110)의 바닥에 연결된 보강 판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대차 몸체(110)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의 원활한 전이로 인하여, 서스펜션 시스템(400)과 레일 빔(3000) 사이에 충분한 절연 갭을 형성하여 레일 빔(3000)과 도체 레일 사이의 절연에 사용함으로써 대차 조립체(1000)의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와 대차 몸체(110) 사이의 연결부의 하부면에는 이격된 다수의 연결 보강 리브(121)가 제공될 수 있다. 각 연결 보강 리브(121)는 대차 몸체(110)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 즉 대차 몸체(110)에서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까지의 연결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따라서 연결 보강 리브(121)는 대차 몸체(110)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의 연결 강도를 적어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대차 프레임(100)의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스펜션 시스템(400)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시스템(400)은 차체 연결 시트(410), 탄성 부재(420), 가로 댐퍼(430), 수직 댐퍼(440) 및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체 연결 시트(410)는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의 상방에 위치하고, 차체 연결 시트(410)는 차체(2000)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420)는 차체 연결 시트(410)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에 연결된다. 즉, 탄성 부재(420)의 상단은 차체 연결 시트(410)에 연결되고, 탄성 부재(420)의 하단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에 연결된다. 가로 댐퍼(430)는 차체 연결 시트(410)와 대차 몸체(110)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수직 댐퍼(44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수직 댐퍼(440)는 차체 연결 시트(410)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에 힌지 결합된다.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은 차체 연결 시트(410)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에 연결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420), 가로 댐퍼(430) 및 수직 댐퍼(440)는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과정에서 레일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서스펜션 시스템(400)은 댐핑 및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주행 과정에서 레일 차량의 진동이나 울퉁불퉁함이 감소될 수 있고, 레일 차량의 주행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로 댐퍼(430)와 대차 몸체(110) 사이의 힌지 모드, 가로 댐퍼(430)와 차체 연결 시트(410) 사이의 힌지 모드, 수직 댐퍼(440)와 차체 연결 시트(410) 사이의 힌지 모드 및 수직 댐퍼(440)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의 힌지 모드 각각은 구형 힌지(spherical hinge)이며, 따라서 서스펜션 시스템(400)의 감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응력 집중 현상을 방지하여 서스펜션 시스템(4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서스펜션 시스템(400)이 대차 프레임(100)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수평면에서, 하나의 서스펜션 시스템(400)을 대차 프레임(100)의 중심을 중심으로 180°회전시켜 다른 서스펜션 시스템(400)을 얻음으로써 차체(2000)가 수평면에서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중의 레일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스펜션 시스템(400)의 합리적인 구조 및 가로 댐퍼(430)와 수직 댐퍼(440)의 보다 양호한 작업을 위해, 가로 댐퍼(430) 및 수직 댐퍼(440)는 탄성 부재(42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대차 몸체(110)에는 가로 댐퍼(430)를 회피하기 위한 회피 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로 댐퍼(430)는 배치가 간단하고 합리적이며, 가로 댐퍼(430)는 차체 연결 시트(410)와 대차 몸체(110) 사이에 확실하게 연결된다.
또한,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은 차체 연결 시트(410)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은 파스너를 통해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에 체결 연결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상단부는 응력 집중 현상을 피하기 위해 차체 연결 시트(410)에 힌지 결합되며, 따라서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강성 파단이 방지되어 서스펜션 시스템(400)의 구조적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은 탄성 부재(42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탄성 부재(420)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따라서 탄성 부재(42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420)는 공기 스프링 또는 아워글래스 스프링(hourglass spring)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연결 시트(410)는 상부 플레이트(412), 하부 플레이트(413) 및 웹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웹 플레이트는 상부 플레이트(412)와 하부 플레이트(413)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부 플레이트(412)는 차체(2000)에 연결되는 것이 적합하고, 하부 플레이트(413)는 탄성 부재(42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적합하며, 차체(2000)와 마주하는 상부 플레이트(412)의 표면에는 버퍼 쿠션(414)이 제공된다. 버퍼 쿠션(414)은 차체(2000)와 서스펜션 시스템(400) 사이의 감쇠 및 완충 효과를 제공하여 주행 과정에서의 레일 차량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주행 과정에서 레일 차량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버퍼 쿠션(414)은 고무 쿠션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쿠션(414)의 형상은 상부 플레이트(412)의 형상과 동일하다. 따라서, 한편으로, 버퍼 쿠션(414)은 차체(2000)와 상부 플레이트(412) 사이의 신뢰성있는 완충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버퍼 쿠션(414)과 상부 플레이트(412)는 간단히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웹 플레이트는 서스펜션 시스템(400)의 다른 부품들과 연결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웹 플레이트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으로, 복수의 웹 플레이트는 상부 플레이트(412)와 하부 플레이트(413)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복수의 웹 플레이트는 서스펜션 시스템(400)의 다른 부품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웹 플레이트가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은 길이가 상이한 롱 웹 플레이트(415) 및 쇼트 웹 플레이트(416)이고, 롱 웹 플레이트(415)의 연장된 길이는 쇼트 웹 플레이트(416)의 연장된 길이보다 길고, 롱 웹 플레이트(415)의 일단(도 8의 후단)은 가로 댐퍼(430)에 힌지 결합되고, 롱 웹 플레이트(415)의 타단(도 8의 전단)과 쇼트 웹 플레이트(416)의 일단(도 8의 전단)은 모두 수직 댐퍼(440)에 힌지 결합되며, 롱 웹 플레이트(415)의 전단은 쇼트 웹 플레이트(416)의 전단에 인접한다. 따라서, 가로 댐퍼(430)와 수직 댐퍼(440) 및 차체 연결 시트(410)의 연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웹 플레이트(416)의 롱 웹 플레이트(415)와 반대측의 표면에는 서스펜션 멈춤 부재(411)가 제공된다. 차체가 좌우로 흔들리면, 서스펜션 멈춤 부재(411)와 가로 멈춤 장착 시트(111)가 서로 맞닿아 차체(2000)를 안정시킨다. 서스펜션 멈춤 부재(411)는 고무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고무 쿠션은 서스펜션 멈춤 부재(411)와 가로 멈춤 장착 시트(111) 사이의 충돌을 완충하여 대차 조립체(1000)의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 웹 플레이트(415)의 쇼트 웹 플레이트(416)와 반대측의 표면에는 제한 브래킷 장착 플레이트가 제공 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은 제한 브래킷 장착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플레이트(412), 웹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413)는 용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차체 연결 시트(410)의 구조적 완전성이 양호하고, 차체 연결 시트(410)의 장착 모드가 간단하며, 차체 연결 시트(410)의 장착 효율이 높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하단에는 댐핑 쿠션(451)이 제공될 수 있고, 댐핑 쿠션(451)과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는, 예를 들어, 파스너를 통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파스너는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와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댐핑 쿠션(45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댐핑 쿠션(451)과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댐핑 쿠션(451)을 배치함으로써,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와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 사이의 강성 충돌 및 충격이 감소될 수 있어, 대차 조립체(1000)의 구조적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와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 사이에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댐핑 쿠션(451)은 고무 쿠션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댐핑 쿠션(451)의 일부가 돌출되어 팽창부(bulge)를 형성하고, 팽창부와 일치하는 홈이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에 형성된다. 팽창부는 홈 내에 매칭될 수 있어서, 한편으로는,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댐핑 쿠션(451)과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의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댐핑 쿠션(451)의 감쇠 효과가 향상될 수 있어 대차 조립체(1000)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보다 잘 감소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은 대체로 삼각형일 수 있으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꼭지점은 차체 연결 시트(410)에 힌지 결합되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파스너가 관통하는 복수의 장착 홀이 제공된다.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하부 가장자리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의 연결 영역이 크기 때문에, 모든 부품의 응력이 균일하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과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의 연결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대차 조립체(1000)의 구조적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은 판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에는 파스너 회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스너는 대응하는 장착 홀 내로 편리하게 연장될 수 있고, 패스너 회피 홀은 또한 레일 차량이 경량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정도까지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은 제한 부재 몸체(452) 및 제한 부재 바닥판(4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 부재 몸체(452)의 상단은 차체 연결 시트(410)에 힌지 결합되고, 제한 부재 바닥판(453)은 제한 부재 몸체(452)에 연결되며, 제한 부재 바닥판(453)은 장착 홀을 구비한다. 제한 부재 바닥판(453)은 댐핑 쿠션(451)에 대응되므로, 댐핑 쿠션(451)은 제한 부재 바닥판(453)과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 사이의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부재 몸체(452)와 제한 부재 바닥판(453) 사이에 지지 칼럼(support column)이 연결된다. 지지 칼럼은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구조 강도를 적어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은 대차 몸체(110)로부터 떨어진 서스펜션 시스템(40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450)의 위치는 합리적이며, 따라서 서스펜션 시스템(400)의 구조적 완전성이 양호하고, 대차 조립체(100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수평 휠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수평 휠은 가이드 휠(500) 및 안정 휠(600)을 포함한다.
대차 프레임(100)에는 수평 휠 장착 시트가 제공되고, 수평 휠 장착 시트는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 및 안정 휠 장착 시트(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는 가이드 휠(500)에 대응하고, 안정 휠 장착 시트(140)는 안정 휠(600)에 대응한다.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는 대차 몸체(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는 제1 연결 빔(112) 및 제3 연결 빔(1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빔(112)에는 이격된 두 개의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3 연결 빔(114)에는 이격된 두 개의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가 제공될 수 있다. 안정 휠 장착 시트(140)는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각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는 하나의 안정 휠 장착 시트(140)에 대응한다.
수평 휠은 수평 휠 장착 시트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수평 휠은 파스너를 통해 대응하는 수평 휠 장착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수평 휠과 수평 휠 장착 시트 사이의 견고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복수의 파스너가 있을 수 있다.
도 2, 도 3,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조립체(1000)는 또한 조정 심(adjusting shim)을 포함할 수 있고, 조정 심은 수평 휠과 수평 휠 장착 시트 사이에 삽입된다. 조정 심은 가이드 휠 조정 심(510) 및 안정 휠 조정 심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 휠 조정 심(510)은 가이드 휠(500)과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 사이에 삽입되고, 안정 휠 조정 심은 안정 휠(600)과 안정 휠 장착 시트(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 차량의 주행에 따라, 안정 휠(600) 및 가이드 휠(500)의 주연면은 항상 레일 빔(3000)에 대해 접촉하며, 따라서 안정 휠(600)과 가이드 휠(500)은 안정 휠(600)과 레일 빔(3000) 사이 및 가이드 휠(500)과 레일 빔(3000) 사이에 각각 갭이 형성될 때까지 항상 마모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안정 휠(600)과 가이드 휠(500)의 영향은 감소되거나 심지어 점차적으로 손실되므로, 갭을 제거하기 위해 안정 휠(600)과 레일 빔(3000)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필요가 있고 또한 가이드 휠(500)과 레일 빔(3000)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해당 조정 심이 분리되어 안정 휠(600)의 중심과 레일 빔(3000)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고 또한 가이드 휠(500)의 중심과 레일 빔(3000)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안정 휠(600) 및 가이드 휠(500)이 각각 레일 빔(3000)과 접촉하여 안정 휠(600)과 가이드 휠(500)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조정 심이 있을 수 있고, 가이드 휠(500) 및 안정 휠(600)을 교체하지 않고 안정 휠(600) 및 가이드 휠(500)이 레일 빔(300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나의 조정 심이 각각의 조정 공정에서 분리될 수 있다.
장착 블록은 수평 휠 상에 배치되며 파스너를 통해 수평 휠 장착 시트 상에 고정되어 수평 휠을 수평 휠 장착 시트 상에 고정시키고, 파스너는 조정 심을 관통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 휠(500)에는 가이드 휠 장착 블록(52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안정 휠(600)에는 안정 휠 장착 블록(61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는 가이드 휠 장착 블록(520), 가이드 휠 조정 심(510) 및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이들을 함께 고정시키고, 따라서 가이드 휠(500)은 대차 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는 안정 휠 장착 블록(610), 안정 휠 조정 심 및 안정 휠 장착 시트(14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이들을 서로 고정시키고, 따라서 안정 휠(600)은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장착 블록에는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first pre-positioning component)가 제공될 수 있고, 수평 휠 장착 시트에는 제2 프리-포지셔닝 부재(second pre-positioning component)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는 제2 프리-포지셔닝 부재와 매치되기에 적합하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휠 장착 블록(520)을 예로 들면, 가이드 휠 장착 블록(520)에는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521)가 제공될 수 있고,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는 제2 프리-포지셔닝 부재(131)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521)는 제2 프리-포지셔닝 부재(131)와 매치되기에 적합하다. 가이드 휠(500)의 장착 과정에서,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521)는 제2 프리-포지셔닝 부재(131)와 미리 매칭되어 가이드 휠 장착 블록(520)과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 사이의 프리-포지셔닝(pre-positioning) 장착을 실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가이드 휠 장착 블록(520)과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가 파스너를 통해 편리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가이드 휠(500)의 장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안정 휠(600)의 장착 과정에서, 안정 휠 장착 블록(610)의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는 안정 휠 장착 시트(140)의 제2 프리-포지셔닝 부재(131)와 미리 매칭되어 안정 휠 장착 블록(610)과 안정 휠 장착 시트(140) 사이의 프리-포지셔닝 장착을 실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정 휠 장착 블록(610)과 안정 휠 장착 시트(140)가 파스너를 통해 편리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안정 휠(600)의 장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 및 제2 프리-포지셔닝 부재 중 하나는 팽창부이고, 다른 하나는 홈이며, 팽창부는 홈과 매치되기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휠 장착 블록(520)의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521)는 팽창부일 수 있고,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의 제2 프리-포지셔닝 부재(131)는 홈일 수 있으며, 팽창부가 미리 홈 내로 연장되어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의 가이드 휠 장착 블록(520)에 대한 상하 방향의 프리 포지셔닝을 실현할 수 있고, 가이드 휠 장착 블록(520)과 해당 가이드 휠 장착 시트(130)는 파스너를 통해 편리하게 고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안정 휠 장착 블록(610)의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 및 안정 휠 장착 시트(140)의 제2 프리-포지셔닝 부재도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파스너를 피하기 위한 회피 홈이 조정 심에 형성되어 있고, 회피 홈의 일단은 개구되어 있다. 조정 심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파스너는 장착 블록 및 수평 휠 장착 시트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필요는 없고, 파스너는 조정 심이 활성 갭을 갖도록 장착 블록과 수평 휠 장착 시트를 해제하기 위해 나사가 풀어질 수 있고, 따라서 작업자는 공구를 사용하여 복수의 조정 심 중 하나를 분리하고 파스너를 조일 수 있다. 조정 심 내에 회피 홈을 형성함으로써, 조정 심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될 수 있어서, 가이드 휠(500) 및 안정 휠(600)의 신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파스너는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가이드 휠 장착 블록(520)의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521) 및 안정 휠 장착 블록(610)의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의 위와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의 위와 아래의 조정 심의 수는 동일하다.
레일 빔(3000)의 일 측면에서, 안정 휠(600)은 두 개의 가이드 휠(500) 사이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레일 빔(3000)의 각각의 측면에는 하나의 안정 휠(600)과 두 개의 가이드 휠(500)이 제공될 수 있으며, 두 개의 가이드 휠(500)은 제1 연결 빔(112)과 제3 연결 빔(114)에 각각 배치되고, 안정 휠(600)은 제2 연결 빔(113) 또는 제4 연결 빔(115) 아래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120)에 위치하며, 따라서 전후 방향에서, 안정 휠(600)은 두 개의 가이드 휠 (500) 사이에 위치되고, 상하 방향에서, 안정 휠(600)은 두 개의 가이드 휠(500)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가이드 휠(500)과 안정 휠(600)의 합리적인 배열에 의해, 레일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안정 휠(600)의 직경은 가이드 휠(500)의 직경보다 클 수 있으며, 주행 및 선회 공정에서 차량의 차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정 휠(600)의 중심축은 가이드 휠(500)의 중심축의 외측에 위치하며, 외측부 및 내측부는 레일 빔(300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정의된다. 따라서, 안정 휠(600)과 가이드 휠(500)은 레일 빔(3000)에 밀착될 수 있고, 안정 휠(600)과 가이드 휠(500)은 대차 프레임(100)과 레일 빔(3000) 사이에 충분한 절연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절연 공간은 레일 빔(3000)과 도체 레일 사이의 절연을 보장하고, 도체 레일과 대차 프레임(100) 사이의 절연을 보장하여, 레일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가이드 휠(500)이 있을 수 있고, 두 개의 안정 휠(600)이 있을 수 있다. 네 개의 가이드 휠(500)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두 개의 안정 휠(600)은 레일 빔(3000)을 중심으로 다른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대칭으로 배열되며, 안정 휠(600)의 높이는 가이드 휠(500)의 높이보다 낮다. 따라서, 레일 차량의 구조적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네 개의 가이드 휠(500) 및 두 개의 안정 휠(600)이 레일 차량의 주행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차량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대차 조립체(10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는 실시예 또는 예시와 관련하여 기술된 특별한 특징, 구조, 재료, 혹은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용어의 예시적인 설명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특별한 특징들, 구조들, 재료들 또는 특성들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예들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호 모순이 아닌 경우에,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이한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 그리고 상이한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의 특징을 조합하거나 그룹화할 수 있다.
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들이 나타내어지고 기술되었지만, 상기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 사상 및 원리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간단한 개조가 이루질 수 있으며, 이러한 간단한 개조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함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0... 대차 조립체
100... 대차 프레임
101... 주행 휠 장착 홈
102... 전기 조립체 장착 홈
103... 축 방향 제한 부재(axial limiting component)
104... 반경 방향 제한 부재(radial limiting component)
105... 반경 방향 제한 부재 보강 리브(radial limiting component reinforcing rib)
106... 레일 리세스
107...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보강 리브
108... 수직 보강 리브
109... 경사 보강 리브
110... 대차 몸체
111... 가로 멈춤 장착 시트
112... 제1 연결 빔
113... 제2 연결 빔
114... 제3 연결 빔
115... 제4 연결 빔
116... 대차 몸체의 회피 홈
117... 연결 빔 보강 리브
118... 수평 휠 장착 시트 보강 리브
112a... 제1 연결 빔의 윗벽
112b... 제1 연결 빔의 바닥벽
112c... 제1 연결 빔의 외측벽
112d... 제1 연결 빔의 내측벽
120... 서스펜션 지지 시트
121... 연결 보강 리브
130... 가이드 휠 장착 시트
131... 가이드 휠 장착 시트의 제2 프리-포지셔닝 부재(second pre-positioning component)
140... 안정 휠 장착 시트
150...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
200... 주행 휠
300... 전기 조립체
400... 서스펜션 시스템
410... 차체 연결 시트
411... 서스펜션 멈춤 부재
412... 상부 플레이트
413... 하부 플레이트
414... 버퍼 쿠션
415... 롱 웹 플레이트(long web plate)
416... 쇼트 웹 플레이트(short web plate)
420... 탄성 부재
430... 가로 댐퍼
440... 수직 댐퍼
450...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
451... 댐핑 쿠션
452... 제한 부재 몸체
453... 제한 부재 바닥판
500... 가이드 휠
510... 가이드 휠 조정 심(shim)
520... 가이드 휠 장착 블록
521... 가이드 휠 장착 블록의 제1 프리-포지셔닝 부재(first pre-positioning component)
600... 안정 휠(steady wheel)
610... 안정 휠 장착 블록
2000... 차체
3000... 레일 빔

Claims (28)

  1. 대차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 몸체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며 끝과 끝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 빔, 제2 연결 빔, 제3 연결 빔 및 제4 연결 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빔은 상기 제3 연결 빔에 대향하고, 상기 제2 연결 빔은 상기 제4 연결 빔에 대향하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이 상기 제4 연결 빔에 형성되고, 상기 제4 연결 빔의 두께는 상기 제2 연결 빔의 두께보다 크며, 상기 제1 연결 빔의 윗벽 및 상기 제3 연결 빔의 윗벽은 상기 제2 연결 빔의 윗벽과 상기 제4 연결 빔의 윗벽 사이에 원호 형태로 연결되는 대차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빔, 상기 제2 연결 빔, 상기 제3 연결 빔 및 상기 제4 연결 빔의 바닥벽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대차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빔, 상기 제2 연결 빔, 상기 제3 연결 빔 및 상기 제4 연결 빔은 외측벽 및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은 상기 윗벽과 상기 바닥벽 사이에 연결되며 외측 및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연결 빔 보강 리브가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사이에 더 연결되는 대차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빔의 윗벽, 상기 제2 연결 빔의 윗벽 및 상기 제3 연결 빔의 윗벽은 분할 구조이고, 상기 제4 연결 빔의 윗벽은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두 개의 측면에 위치한 두 개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연결 빔의 윗벽의 두 개의 섹션은 상기 제1 연결 빔의 윗벽 및 상기 제3 연결 빔의 윗벽과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대차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몸체에 연결되는 서스펜션 지지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는 실질적으로 수평 상태에 있고, 부드러운 전이가 상기 대차 몸체와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사이에 적용되는 대차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가 상기 대차 몸체의 두 개의 대향 측면에 각각 배열되어 연결되고, 상기 대차 몸체와 함께 레일 리세스를 형성하는 대차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는 각각 상기 제2 연결 빔 및 상기 제4 연결 빔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 빔의 상면과 대응 서스펜션 지지 시트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480mm 내지 660mm이고, 상기 제4 연결 빔의 상면과 대응 서스펜션 지지 시트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620mm 내지 800mm인 대차 프레임.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와 상기 대차 몸체 사이의 연결부의 하부면에는 이격된 복수의 연결 보강 리브가 제공되는 대차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프레임은 수평 휠 장착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 프레임은 상기 수평 휠 장착 시트에 대응하는 수평 휠 장착 시트 보강 리브를 더 구비하는 대차 프레임.
  10.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조립체 보호 커버는 상기 제4 연결 빔에 장착되며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을 덮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대차 프레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차 프레임을 포함하는 대차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프레임은 상기 대차 몸체에 연결된 서스펜션 지지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차 몸체에는 또한 주행 휠 장착 홈이 제공되고, 상기 제1 연결 빔 및 상기 제3 연결 빔에는 가이드 휠 장착 시트가 제공되며,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에는 안정 휠 장착 시트가 제공되는 대차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휠 장착 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주행 휠;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에 장착되어 상기 주행 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전기 조립체;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에 장착된 서스펜션 시스템;
    상기 가이드 휠 장착 시트에 장착된 가이드 휠;
    상기 안정 휠 장착 시트에 장착된 안정 휠; 및
    상기 대차 프레임과 차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차체를 견인하는 견인 기구를 더 포함하는 대차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가 배열되며 각각 상기 제2 연결 빔 및 상기 제4 연결 빔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빔, 상기 제2 연결 빔, 상기 제3 연결 빔, 상기 제4 연결 빔 및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는 함께 상기 레일 리세스를 한정하며, 두 개의 서스펜션 시스템이 배열되며 상기 대차 프레임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 지지 시트와 일대일 대응하는 대차 조립체.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축 방향 제한 부재 및 반경 방향 제한 부재가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 조립체는 상기 축 방향 제한 부재 및 상기 반경 방향 제한 부재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대차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 제한 부재는 판형 구조이고 상기 전기 조립체의 축에 수직이며, 상기 축 방향 제한 부재는 실질적으로 U 자형이고, 상기 축 방향 제한 부재의 연장된 방향으로 복수의 장착 홀이 제공되며,
    두 개의 반경 방향 제한 부재가 배열되며 각각은 판형 구조이고, 상기 두 개의 반경 방향 제한 부재는 각각 장착 홀이 제공되며 상기 전기 조립체의 두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대차 조립체.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은 차체 연결 시트, 탄성 부재, 가로 댐퍼 및 수직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차체 연결 시트는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위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차체 연결 시트와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가로 댐퍼는 상기 차체 연결 시트와 상기 대차 몸체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직 댐퍼는 상기 차체 연결 시트와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대차 조립체.
  18. 제17항에있어서,
    상기 차체 연결 시트는:
    상기 차체에 연결되기에 적합한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웹 플레이트;
    상기 웹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웹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기 차체와 마주하는 표면에는 버퍼 쿠션이 설치되는 대차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두 개의 웹 플레이트가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은 길이가 상이한 롱 웹 플레이트 및 쇼트 웹 플레이트이고, 상기 롱 웹 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가로 댐퍼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롱 웹 플레이트의 타단과 상기 쇼트 웹 플레이트의 일단은 모두 상기 수직 댐퍼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쇼트 웹 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롱 웹 플레이트의 타단에 인접하는 대차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 웹 플레이트의 상기 롱 웹 플레이트와 반대측의 표면에는 서스펜션 멈춤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서스펜션 멈춤 부재는 고무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대차 몸체에는 가로 멈춤 장착 시트가 제공되고, 상기 가로 멈춤 장착 시트는 상기 서스펜션 멈춤 부재에 대응 및 정합하기에 적합한 대차 조립체.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시스템은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은 상기 차체 연결 시트와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사이에 연결되는 대차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의 상단은 상기 차체 연결 시트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의 하단은 파스너를 통해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댐핑 쿠션이 상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댐핑 쿠션은 상기 탄성 부재 제한 브래킷과 상기 서스펜션 지지 시트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파스너는 상기 댐핑 쿠션을 관통하는 대차 조립체.
  23.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바닥벽의 상기 전기 조립체와 반대측의 단부면은 보강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 구조는 복수의 보강 리브인 대차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수직 보강 리브 및 경사 보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보강 리브는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바닥벽에 수직이고, 상기 경사 보강 리브는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바닥벽에 대해 경사져있는 대차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두 개의 수직 보강 리브와 두 개의 경사 보강 리브가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수직 보강 리브는 상기 두 개의 경사 보강 리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경사 보강 리브는 각각 상기 전기 조립체 장착 홈의 바닥벽의 두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대차 조립체.
  2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가이드 휠 조정 심이 상기 가이드 휠과 상기 가이드 휠 장착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안정 휠 조절 심이 상기 안정 휠과 상기 안정 휠 장착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대차 조립체.
  2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휠의 높이는 상기 가이드 휠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안정 휠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휠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안정 휠의 중심축은 가이드 휠의 중심 축의 외측에 위치하는 대차 조립체.
  28. 차체; 및
    제1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차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는 상기 대차 조립체 상에 장착되는 레일 차량.
KR1020197008280A 2016-09-21 2017-02-28 대차 프레임, 대차 조립체 및 레일 차량 KR102168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40410.6 2016-09-21
CN201610839741.8 2016-09-21
CN201610839741.8A CN106809231B (zh) 2016-09-21 2016-09-21 转向架构架以及转向架总成
CN201610840410.6A CN106809232B (zh) 2016-09-21 2016-09-21 转向架总成以及轨道车辆
PCT/CN2017/075224 WO2018054017A1 (zh) 2016-09-21 2017-02-28 转向架构架、转向架总成以及轨道车辆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802A true KR20190039802A (ko) 2019-04-15
KR102168517B1 KR102168517B1 (ko) 2020-10-22

Family

ID=6169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280A KR102168517B1 (ko) 2016-09-21 2017-02-28 대차 프레임, 대차 조립체 및 레일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55282B2 (ko)
EP (1) EP3501936B1 (ko)
KR (1) KR102168517B1 (ko)
BR (1) BR112019005487A2 (ko)
MX (1) MX2019003215A (ko)
PH (1) PH12019500614A1 (ko)
WO (1) WO2018054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9003215A (es) * 2016-09-21 2019-09-05 Byd Co Ltd Mecanismo de tracción, un conjunto de bogie y un vehiculo de monoriel de tipo sobre viga.
CN106809229B (zh) * 2016-09-21 2017-12-0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悬挂系统以及具有其的转向架总成和轨道车辆
CN108725490A (zh) * 2018-05-28 2018-11-02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悬挂式空列转向架
CN110588694A (zh) * 2019-09-30 2019-12-20 中铁轨道交通装备有限公司 一种向心式导向的跨座式单轨转向架
WO2022109786A1 (zh) * 2020-11-24 2022-06-02 江苏金彭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车一体式后悬挂支承定位结构
CN113844770B (zh) * 2021-10-18 2023-03-14 青岛中车四方轨道车辆有限公司 转向架存储工装及转向架运输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96254Y (zh) * 2008-10-28 2009-08-26 南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铁路车辆转向架二系悬挂装置安装模板
KR20110017369A (ko) * 2008-04-28 2011-02-21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개선된 롤 움직임을 가지는 모노레일 보기
KR20130099469A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우진산전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안내륜 완충장치
CN204279635U (zh) * 2014-11-21 2015-04-22 湖南晟通天力汽车有限公司 车架与空气悬挂的连接装置
CN204978684U (zh) * 2015-09-21 2016-01-20 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两轴跨座式单轨列车动力转向架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735A (ja) 1997-03-19 1998-09-29 Hitachi Ltd モノレール車両用台車
JP2001260874A (ja) * 2000-03-17 2001-09-26 Hitachi Ltd モノレールカー
EP2488400A4 (en) * 2009-10-16 2013-10-30 Bombardier Transp Gmbh RAIL STAND WITH TRACTION / TILT CONTROL ASSEMBLY
CN201777260U (zh) 2010-08-06 2011-03-30 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100%低地板轻轨车动力转向架构架
CN201849478U (zh) 2010-08-26 2011-06-01 李咏洋 轻型列车转向架
CN201923162U (zh) 2010-12-27 2011-08-10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转向架构架
CN102358293A (zh) * 2011-08-08 2012-02-22 重庆交通大学 跨座式独轨交通车非粘着驱动结构
CN202294848U (zh) 2011-09-27 2012-07-04 宝鸡南车时代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铁路轨道车辆转向架构架
CN202879514U (zh) 2012-10-26 2013-04-17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轨道车辆动车转向架构架
CN103625493B (zh) * 2013-06-28 2016-12-28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大轴重轨道车辆转向架
CN203372254U (zh) 2013-06-29 2014-01-01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窄轨客车转向架构架
WO2015024745A1 (de) 2013-08-22 2015-02-26 Siemens Ag Österreich Drehgestellrahmen
CN203727402U (zh) 2013-10-25 2014-07-23 广州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八轴电力机车转向架中间构架
CN203580981U (zh) 2013-12-13 2014-05-07 齐齐哈尔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一种铁路货车转向架及其构架
CN104608788B (zh) 2015-01-16 2018-02-27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低地板轨道车辆转向架
CN204915705U (zh) 2015-07-16 2015-12-30 南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跨座式单轨列车及其转向架
CN105059307B (zh) 2015-08-31 2017-06-13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铁路货车自调高装置
CN105438211A (zh) * 2015-12-17 2016-03-30 中车洛阳机车有限公司 一种工程车转向架构架
CN105905120A (zh) 2016-05-10 2016-08-31 西南交通大学 跨座式独轨车辆单轴转向架传动装置
CN106809230B (zh) * 2016-09-21 2018-02-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转向架总成和跨座式单轨车辆
MX2019003215A (es) * 2016-09-21 2019-09-05 Byd Co Ltd Mecanismo de tracción, un conjunto de bogie y un vehiculo de monoriel de tipo sobre vig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369A (ko) * 2008-04-28 2011-02-21 봄바디어 트랜스포테이션 게엠베하 개선된 롤 움직임을 가지는 모노레일 보기
CN201296254Y (zh) * 2008-10-28 2009-08-26 南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铁路车辆转向架二系悬挂装置安装模板
KR20130099469A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우진산전 고무차륜 경량전철의 안내륜 완충장치
CN204279635U (zh) * 2014-11-21 2015-04-22 湖南晟通天力汽车有限公司 车架与空气悬挂的连接装置
CN204978684U (zh) * 2015-09-21 2016-01-20 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两轴跨座式单轨列车动力转向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48385A1 (en) 2019-08-15
EP3501936B1 (en) 2021-03-31
PH12019500614A1 (en) 2019-11-11
EP3501936A4 (en) 2019-09-11
MX2019003215A (es) 2019-09-05
US11155282B2 (en) 2021-10-26
BR112019005487A2 (pt) 2019-06-04
KR102168517B1 (ko) 2020-10-22
EP3501936A1 (en) 2019-06-26
WO2018054017A1 (zh)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9593A (ko) 서스펜션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대차 조립체 및 레일 차량
KR20190039802A (ko) 대차 프레임, 대차 조립체 및 레일 차량
CN112519820B (zh) 一种轨道车辆的转向架系统及轨道车辆
US20190210620A1 (en) Bogie assembly and straddle-type monorail vehicle having same
WO2018054020A1 (zh) 转向架总成以及轨道车辆
WO2022032807A1 (zh) 构架、转向架及轨道车辆
CN112519821B (zh) 一种用于轨道车辆的转向架舱及转向架系统
WO2018054005A1 (zh) 悬挂系统以及具有其的转向架总成和轨道车辆
CN111994109B (zh) 转向架及轨道车辆
EP3527464A1 (en) Vehicle body connecting base and suspension system having same
JP2002029419A (ja) 車両の車体弾性振動防止方法および同車体構造
JP7396217B2 (ja) 電動車両
CN111994113B (zh) 转向架及轨道车辆
KR102244859B1 (ko)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전기자동차의 액슬장치
JP3228314B2 (ja) 空気ばね式懸架装置
CN111376940B (zh) 转向架总成、轨道车辆和轨道交通系统
CN219838554U (zh) 转向架及轨道车辆
CN112776845B (zh) 转向架总成及轨道车辆
US20240010078A1 (en) Electric Truck
JP3488194B2 (ja) 車両の弾性振動防止用車体構造
CN213109333U (zh) 电机轴箱、转向架及轨道车辆
BR112019005356B1 (pt) Sistema de suspensão, montagem de truque e veículo sobre trilhos
JP2023104758A (ja) バス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BR112019005368B1 (pt) Selim de conexão de carroceria de veículo para um sistema de suspensão e sistema de suspensã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