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455A -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9455A KR20190039455A KR1020180110883A KR20180110883A KR20190039455A KR 20190039455 A KR20190039455 A KR 20190039455A KR 1020180110883 A KR1020180110883 A KR 1020180110883A KR 20180110883 A KR20180110883 A KR 20180110883A KR 20190039455 A KR20190039455 A KR 201900394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housing
- camera
- state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6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 H04N5/225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6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scenes from a transformed perspect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하우징이 접힌 경우에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의 주위의 상황을 오해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화상 표시 장치는, 차량(1)의 요 축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따른 소정 회전축(θL, θR) 주위로 회전 가능한 가도식의 하우징(15L, 15R)에 설치되고, 또한 차량의 후측방 영역(BL_area, BR_area)을 촬상 가능한 촬상 수단(11L, 11R)과,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외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14)을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는, 차량(1)의 요 축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따른 소정 회전축(θL, θR) 주위로 회전 가능한 가도식의 하우징(15L, 15R)에 설치되고, 또한 차량의 후측방 영역(BL_area, BR_area)을 촬상 가능한 촬상 수단(11L, 11R)과,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외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1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도식의 하우징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상한 차량의 외부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을, 차량의 탑승자에 대해 표시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는, 차량의 도어 미러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상한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주위를 감시하는 차량용 감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 밖에, 본원 발명과 관련된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을 들 수 있다.
도어 미러에 설치된 카메라(즉, 도어에 설치된 카메라)는, 통상 도어 미러 대신 사용된다. 즉, 도어 미러에 설치된 카메라는, 통상 전자 미러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카메라는, 차량의 후측방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즉, 카메라가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는 영역)을 촬상한다.
도어 미러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통상은, 외부로부터 받은 충격을 받아넘기듯이 접히는 것이 가능한 가도식의 도어 미러가 채용된다. 가도식의 도어 미러는, 통상, 차량의 요 축을 따른 회전축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접힌다. 도어 미러가 접히면, 도어 미러의 움직임에 맞추어, 도어 미러에 설치된 카메라의 방향(예를 들어, 광축의 방향)도 또한 바뀐다. 여기서, 전방으로부터 받은 충격을 받아넘기기 위해 도어 미러가 후방을 향해 접히면, 카메라는, 차량의 차체에 대향하게 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에는, 차량의 차체가 크게 찍힌 화상이 표시된다. 이 경우, 도어 미러가 접힌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차량의 탑승자라도, 디스플레이에 찍힌 화상이, 카메라가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는 영역이 찍힌 화상이라고 오해할 가능성은 작다. 한편, 후방으로부터 받은 충격을 받아넘기기 위해 도어 미러가 전방을 향해 접히면, 카메라는, 차량의 측방을 향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에는, 차량의 측방이 찍힌 화상이 표시된다. 이 경우, 도어 미러가 접힌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차량의 탑승자는, 디스플레이에 찍힌 화상이, 카메라가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는 영역이 찍힌 화상이라고 오해할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차량의 탑승자에게 있어서는, 카메라가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는 후측방 영역을 촬상한 화상은, 차량의 측방을 촬상한 화상과 일견하여 구별이 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도어 미러가 접힌 경우에는, 탑승자는, 차량의 후측방 영역의 상황을 오해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기술적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기술적 문제는, 카메라가 도어 미러에 설치된 경우뿐만 아니라, 카메라가 가도식의 하우징(역시, 도어 미러도 하우징의 일종에 상당함)에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적 문제는, 카메라가 후측방 영역을 촬상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카메라가 차량의 전측방 영역을 촬상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도식의 하우징에 설치된 촬상 수단이 촬상한 차량의 외부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이며, 하우징이 접힌 경우에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의 주위 상황을 오해하는 것을 방지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1 양태는, 차량의 요 축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따른 소정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가도식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또한 차량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을 촬상 가능한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외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2 양태는, 가도식의 하우징이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에 차량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을 촬상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외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하우징이 접혀 상기 제1 상태와는 상이한 제2 상태로 된 경우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경고 동작을 행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의 좌측 카메라 및 우측 카메라의 각각의 설치 위치 및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의 좌측 카메라의 설치 위치 및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의 우측 카메라의 설치 위치 및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카메라 하우징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좌측 카메라 및 우측 카메라의 각각의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는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을 도시하고, 도 6의 (b)는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을 나타낸다.
도 7의 (a) 및 도 7의 (b)의 각각은, 카메라 하우징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좌측 카메라의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을 도시하고, 도 8의 (b)는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경고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좌측 카메라 및 우측 카메라의 각각의 촬상 범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의 좌측 카메라 및 우측 카메라의 각각의 설치 위치 및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의 좌측 카메라의 설치 위치 및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의 우측 카메라의 설치 위치 및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카메라 하우징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좌측 카메라 및 우측 카메라의 각각의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는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을 도시하고, 도 6의 (b)는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을 나타낸다.
도 7의 (a) 및 도 7의 (b)의 각각은, 카메라 하우징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좌측 카메라의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을 도시하고, 도 8의 (b)는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경고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좌측 카메라 및 우측 카메라의 각각의 촬상 범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의 실시 형태가 탑재된 차량을 사용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1)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에 있어서의 좌측 카메라(11L) 및 우측 카메라(11R)의 각각의 설치 위치 및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에 있어서의 좌측 카메라(11L)의 설치 위치 및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에 있어서의 우측 카메라(11R)의 설치 위치 및 촬상 범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은, 후술하는 부기에 있어서의 「촬상 수단」의 일 구체예인 좌측 카메라(11L)와, 후술하는 부기에 있어서의 「촬상 수단」의 일 구체예인 우측 카메라(11R)와, ECU(Electrical Control Unit)(13)와, 후술하는 부기에 있어서의 「표시 수단」의 일 구체예인 디스플레이(14)를 구비한다.
좌측 카메라(11L)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의 좌측 도어(16L)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카메라 하우징(15L)에 설치(바꾸어 말하면, 수용)되어 있다. 카메라 하우징(15L)은, 예를 들어 도어 미러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마찬가지이거나 또는 유사한 외관을 갖는 좌측 카메라(11L)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카메라 하우징(15L)은, 가도식의 하우징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하우징(15L)은, 전방(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X측, 이하 동일함)으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에, 당해 충격을 받아넘기듯이 소정의 회전축 θL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후방(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X측, 이하 동일함)을 향해 접히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 하우징(15L)은,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에, 당해 충격을 받아넘기듯이 소정의 회전축 θL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전방을 향해 접히는 것이 가능하다.
좌측 카메라(11L)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카메라(11L)가 설치된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혀 있지 않은 상태(이후, 이 상태를 "접히지 않은 상태"라고 칭함)에 있는 경우(나아가, 좌측 도어(16L)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에, 차량(1)의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을 촬상한다. 반대로 말하면, 좌측 카메라(11L) 및 카메라 하우징(15L)은,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좌측 카메라(11L)가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을 촬상 가능하게 되도록 위치 정렬되어 있다.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은, 좌측 도어(16L)에 도어 미러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 좌측 도어(16L)가 폐쇄 상태에 있고, 또한 도어 미러가 접혀 있지 않은 상황하에서 당해 좌측 도어(16L)에 설치된 도어 미러에 비치는 영역에 상당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 카메라(11L)는, 좌측 도어(16L)에 설치되는 도어 미러를 대신하는, 이른바 전자 미러의 일부를 구성한다.
우측 카메라(11R)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의 우측 도어(16R)로부터 우측 측방으로 돌출된 카메라 하우징(15R)에 설치(바꾸어 말하면, 수용)되어 있다. 카메라 하우징(15R)은, 예를 들어 도어 미러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마찬가지이거나 또는 유사한 외관을 갖는 우측 카메라(11R)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카메라 하우징(15R)은, 가도식의 하우징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하우징(15R)은, 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에, 당해 충격을 받아넘기듯이 소정의 회전축 θR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전방을 향해 접히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 하우징(15R)은, 전방으로부터 충격을 받은 경우에, 당해 충격을 받아넘기듯이 소정의 회전축 θR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후방을 향해 접히는 것이 가능하다.
우측 카메라(11R)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카메라(11R)가 설치된 카메라 하우징(15R)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나아가, 우측 도어(16R)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에, 차량(1)의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을 촬상한다. 반대로 말하면, 우측 카메라(11R) 및 카메라 하우징(15R)은, 카메라 하우징(15R)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우측 카메라(11R)가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을 촬상 가능하게 되도록 위치 정렬되어 있다.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은, 우측 도어(16R)에 도어 미러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 우측 도어(16R)가 폐쇄 상태에 있고, 또한 도어 미러가 접혀 있지 않은 상황하에서 당해 우측 도어(16R)에 설치된 도어 미러에 비치는 영역에 상당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카메라(11R)는, 우측 도어(16R)에 설치되는 도어 미러를 대신하는, 이른바 전자 미러의 일부를 구성한다.
ECU(13)는, 차량(1)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ECU(13)는, 좌측 카메라(11L)가 촬상한 화상(이하, 이 화상을, "좌측 카메라 화상"이라고 칭함) 및 우측 카메라(11R)가 촬상한 화상(이하, 이 화상을, "우측 카메라 화상"이라고 칭함)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동작을 행한다. 표시 동작을 행하기 위해, ECU(13)는, ECU(13)의 내부에 논리적으로 실현되는 처리 블록으로서, 화상 취득부(131)와, 표시 제어부(132)를 구비한다. 화상 취득부(131)는, 좌측 카메라 화상 및 우측 카메라 화상을 취득한다. 표시 제어부(132)는, 화상 취득부(131)가 취득한 좌측 카메라 화상 및 우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를 제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4)는, 차량(1)의 차실 내에 설치되어 있고, 차실 내에 있는 차량(1)의 탑승자에 대해 좌측 카메라 화상 및 우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카메라 하우징(15L)이 가도식이기 때문에,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히는 움직임에 맞추어, 좌측 카메라(11L)의 방향이 바뀐다. 이 때문에,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힌 상태(이후, 이 상태를 "이미 접힌 상태"라고 칭함)에 있는 경우에는, 좌측 카메라(11L)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을 적절하게 촬상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좌측 카메라 화상은, 좌측 카메라(11L)가 원래 촬상해야 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던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은 아니게 되어 버린다. 즉, 좌측 카메라 화상은, 좌측 카메라(11L)가 원래 촬상해야 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이 되어 버린다. 그 결과,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의 좌측 카메라 화상과,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의 좌측 카메라 화상이, 차량(1)의 탑승자에게 있어서 일견하여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탑승자는,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좌측 카메라 화상이, 좌측 카메라(11L)가 원래 촬상해야 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상황을 나타내는 화상인 것을 알아차리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즉,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에 기인하여 좌측 카메라(11L)가 원래 촬상해야 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상황을 나타내는 좌측 카메라 화상이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탑승자는,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좌측 카메라 화상이,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이 찍힌 화상이라고 오해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탑승자는, 차량(1)의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의 상황을 오해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에 기인하여 좌측 카메라(11R)가 원래 촬상해야 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지 않았던 영역의 상황을 나타내는 우측 카메라 화상이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탑승자는,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우측 카메라 화상이,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이 찍힌 화상이라고 오해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탑승자는, 차량(1)의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의 상황을 오해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좌측 카메라 화상을 본 탑승자가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의 상황을 오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하우징(15L)의 회전축 θL은, 차량(1)의 요 축(즉,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며, Z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또한, 도 6의 (a)는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15L)을 도시하고, 도 6의 (b)는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15L)을 도시한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하우징(15L)의 회전축 θL이 차량(1)의 요 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 하우징(15L)의 상태가 접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이미 접힌 상태로 바뀌면, 좌측 카메라(11L)의 상태는, 좌 후측방 영역(BL-area)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지면(예를 들어, 차량(1)의 좌측 지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 바뀐다. 이때,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15L)은, 좌측 카메라(11L)의 촬상 범위에, 지평선에 상당하는 경계 영역(구체적으로는, 지면과 하늘의 경계나, 지면과 당해 지면 상에 존재하는 구조물의 경계에 상당하는 영역)이 포함되지 않게 될 때까지 접혀 있다. 반대로 말하면, 좌측 카메라(11L) 및 카메라 하우징(15L)은,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좌측 카메라(11L)가 지면을 촬상하는 한편, 경계 영역을 촬상하지 않도록 위치 정렬되어 있다. 그 결과,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나아가, 좌측 도어(16L)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에, 좌측 카메라(11L)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을 촬상하는 한편, 경계 영역을 촬상하지 않는다.
혹은, 카메라 하우징(15L)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는, 카메라 하우징(15L)의 상태가 접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이미 접힌 상태로 바뀌면, 좌측 카메라(11L)의 상태는, 좌 후측방 영역(BL-area)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하늘(예를 들어, 차량(1)의 좌측의 상공)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 바뀐다. 이때도,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15L)은, 좌측 카메라(11L)의 촬상 범위에, 경계 영역이 포함되지 않게 될 때까지 접혀 있다. 그 결과,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또한, 좌측 도어(16L)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에, 좌측 카메라(11L)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늘을 촬상하는 한편, 경계 영역을 촬상하지 않는다.
그 결과,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4)는, 지면 또는 하늘을 나타내는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탑승자에게 있어서는, 지면 또는 하늘을 촬상한 좌측 카메라 화상은,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을 촬상한 좌측 카메라 화상과 일견하여 구별이 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특히, 이 경향은, 지면 또는 하늘을 촬상한 좌측 카메라 화상에 경계 영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특히 강해진다. 왜냐하면,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을 촬상한 좌측 카메라 화상에는, 통상 경계 영역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힌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탑승자라도, 디스플레이(14)가 표시하고 있는 좌측 카메라 화상이, 좌측 카메라(11L)가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었던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이 찍힌 화상이 아니라고 인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바꾸어 말하면,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힌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탑승자라도, 디스플레이(14)가 표시하고 있는 좌측 카메라 화상이,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이 찍힌 화상이라고 오해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에 의하면,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힌 경우에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좌측 카메라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1)의 주위 상황(특히,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의 상황)을 오해해 버리는 것이 적절하게 방지된다.
카메라 하우징(15R)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우측 카메라 화상을 본 탑승자가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의 상황을 오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하우징(15R)의 회전축 θR은, 차량(1)의 요 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또한, 도 8의 (a)는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15R)을 나타내고, 도 8의 (b)는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15R)을 나타낸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하우징(15R)의 회전축 θR이 차량(1)의 요 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 하우징(15R)의 상태가 접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이미 접힌 상태로 바뀌면, 우측 카메라(11R)의 상태는, 우 후측방 영역(BR-area)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지면(예를 들어, 차량(1)의 우측의 지면) 또는 하늘(예를 들어, 차량(1)의 우측의 상공)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 바뀐다. 이때,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카메라 하우징(15R)은, 우측 카메라(11R)의 촬상 범위에, 지평선에 상당하는 경계 영역이 포함되지 않게 될 때까지 접혀 있다. 반대로 말하면, 우측 카메라(11R) 및 카메라 하우징(15R)은,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우측 카메라(11R)가 차량(1)의 우측의 지면을 촬상하는 한편, 차량(1)의 우측의 지면과 하늘의 경계를 촬상하지 않도록 위치 정렬되어 있다. 그 결과,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또한, 우측 도어(16R)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에, 우측 카메라(11R)는, 지면 또는 하늘을 촬상하는 한편, 경계 영역을 촬상하지 않는다.
그 결과,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4)는, 지면 또는 하늘을 나타내는 우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좌측 카메라 화상과 마찬가지로, 탑승자에게 있어서는, 지면 또는 하늘을 촬상한 우측 카메라 화상은,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을 촬상한 우측 카메라 화상과 일견하여 구별이 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카메라 하우징(15R)이 접힌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탑승자라도,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우측 카메라 화상이, 우측 카메라(11R)가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었던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이 찍힌 화상이 아니라고 인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바꾸어 말하면, 카메라 하우징(15R)이 접힌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탑승자라도, 디스플레이(14)가 표시하고 있는 우측 카메라 화상이,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이 찍힌 화상이라고 오해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에 의하면, 카메라 하우징(15R)이 접힌 경우에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우측 카메라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1)의 주위 상황(특히,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의 상황)을 오해해 버리는 것이 적절하게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좌측 카메라(11L)의 촬상 범위에는, 경계 영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좌측 카메라(11L)의 촬상 범위에 경계 영역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탑승자에게 있어서는, 지면 또는 하늘을 촬상한 좌측 카메라 화상이,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을 촬상한 좌측 카메라 화상과 일견하여 구별이 되기 쉬운 것에 변함은 없다. 이 때문에,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힌 경우에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좌측 카메라 화상을 본 탑승자가,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의 상황을 오해하는 것이 상응하게 방지되는 것에 변함은 없다.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우측 카메라(11R)의 촬상 범위에 경계 영역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2) 제2 실시 형태의 차량(2)
(2-1) 제2 실시 형태의 차량(2)의 구성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의 차량(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차량(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임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차량(2)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과 비교하여, 후술하는 부기에 있어서의 「검출 수단」의 일 구체예인 상태 센서(22)를 더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상태 센서(22)는, 카메라 하우징(15L 및 15R)의 각각의 상태를 검출한다. 특히, 상태 센서(22)는 카메라 하우징(15L 및 15R)의 각각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차량(2)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과 비교하여, ECU(13) 대신에 ECU(23)를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ECU(23)는, ECU(13)와 비교하여, 경고 제어부(233)를 더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제2 실시 형태의 차량(2)의 그 밖의 구성 요소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의 그 밖의 구성 요소와 동일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ECU(23)는, 화상 취득부(131) 및 표시 제어부(132)를 사용하여, 좌측 카메라 화상 및 우측 카메라 화상을 디스플레이(14)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동작을 행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경고 제어부(233)는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좌측 카메라 화상을 본 탑승자가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의 상황을 오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태 센서(2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동작 중에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탑승자에게 경고하는 경고 동작을 행하도록 디스플레이(14)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경고 제어부(233)는,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우측 카메라 화상을 본 탑승자가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의 상황을 오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태 센서(2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동작 중에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탑승자에게 경고하는 경고 동작을 행하도록 디스플레이(14)를 제어한다. 즉, 제2 실시 형태의 차량(2)은,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2)의 주위 상황을 오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ECU(23)의 제어가 사용된다고 하는 점에서,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1)의 주위 상황을 오해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카메라 하우징(15L 및 15R)의 구조(특히, 가도와 관련된 구조)가 사용되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1)과는 상이하다. 이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하우징(15L)의 회전축 θL은, 차량(1)의 요 축에 대해 경사져 있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하우징(15R)의 회전축 θR은, 차량(1)의 요 축에 대해 경사져 있지 않아도 된다. 단, 회전축 θL 및 θR 중 적어도 한쪽이, 차량(1)의 요 축에 대해 경사져 있어도 된다.
(2-2) ECU(23)가 행하는 표시 동작의 흐름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동작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고 제어부(233)는, 상태 센서(2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또한, 상태 센서(22)는, 카메라 하우징(15L 및 15R)의 각각의 상태를 검출 가능한 한은, 어떠한 센서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태 센서(22)는, 카메라 하우징(15L 및 15R)의 각각의 회전 각도를 검출 가능한 각도 센서여도 된다.
스텝 S11의 판정 결과,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1: "예"), 경고 제어부(233)는, 경고 동작(즉,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 동작, 이하, 스텝 S11 내지 스텝 S13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함)을 행하도록 표시 제어부(132)를 제어한다(스텝 S12).
경고 동작은,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한 채,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 화상을 표시하는 동작이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132)는, 좌측 카메라 화상과 함께 경고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를 제어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132)는 디스플레이(14)의 표시면 중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해야 할 제1 표시 영역에 있어서 좌측 카메라 화상과 함께 경고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를 제어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14)는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한 채, 경고 화상을 표시한다.
경고 동작은, 좌측 카메라 화상을 비표시로 한 후에,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 화상을 표시하는 동작이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132)는,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한편, 경고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를 제어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132)는, 디스플레이(14)의 표시면 중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해야 할 제1 표시 영역에 있어서 좌측 카메라 화상을 비표시로 한 후에, 경고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를 제어한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14)는,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하지 않고, 경고 화상을 표시한다.
경고 화상은,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탑승자에 대해 시각적으로 경고 가능한 한은, 어떠한 화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고 화상은,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도 11에 나타낸 예에서는, "카메라의 방향이 바르지 않습니다"라고 하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화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경고 화상은,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경고 화상은,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의 좌측 카메라 화상의 표시 양태와 비교하여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의 좌측 카메라 화상의 표시 양태를 바꾸기 위한 장식 표시를 포함하는 화상이어도 된다.
다시 도 10에 있어서, 한편, 스텝 S11의 판정 결과,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지 않다고(즉,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1: "아니오"), 경고 제어부(233)는, 경고 동작을 행하도록 표시 제어부(132)를 제어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표시 제어부(132)는, 경고 동작을 행하는 일 없이,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를 제어한다(스텝 S13). 그 결과, 디스플레이(14)는 경고 동작을 행하는 일 없이,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한다(스텝 S13).
스텝 S11 내지 스텝 S13의 처리와 서로 전후하여 또는 병행하여, 경고 제어부(233)는 상태 센서(2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1).
스텝 S21의 판정 결과,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21: "예"), 경고 제어부(233)는 경고 동작(즉,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 동작, 이하, 스텝 S21 내지 스텝 S23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함)을 행하도록 표시 제어부(132)를 제어한다(스텝 S22). 또한,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 동작은,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 동작과 동일해도 된다.
한편, 스텝 S21의 판정 결과,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지 않다고(즉,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21: "아니오"), 경고 제어부(233)는 경고 동작을 행하도록 표시 제어부(132)를 제어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표시 제어부(132)는 경고 동작을 행하는 일 없이, 우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4)를 제어한다(스텝 S23). 그 결과, 디스플레이(14)는 경고 동작을 행하는 일 없이, 우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한다(스텝 S23).
이러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로 된 경우에는,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는 좌측 카메라 화상의 표시와 함께,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 동작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좌측 카메라 화상이 표시되는 제1 표시 영역에 경고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좌측 카메라 화상을 확인하는 탑승자가, 경고 화상을 놓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탑승자는,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좌측 카메라 화상이, 좌측 카메라(11L)가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었던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이 찍힌 화상이 아닌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탑승자는,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좌측 카메라 화상이,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이 찍힌 화상이라고 오해할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의 차량(2)에 의하면,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로 된 경우에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 좌측 카메라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1)의 주위의 상황(특히,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의 상황)을 오해해 버리는 것이 적절하게 방지 가능해진다.
혹은,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로 된 경우에는,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는 좌측 카메라 화상을 표시하는 일 없이,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경고하는 경고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애당초 디스플레이(14)에 좌측 카메라 화상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로 된 경우에 있어서, 탑승자는,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이 찍힌 화상을 디스플레이(14)가 표시하고 있다고 오해할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로 된 경우에, 탑승자가 차량(1)의 주위 상황(특히,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의 상황)을 오해해 버리는 것이 적절하게 방지 가능해진다. 게다가, 디스플레이(14)가 경고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탑승자는, 디스플레이(14)의 이상에 의해 좌측 카메라 화상이 표시되고 있지 않다고 오해하는 일 없이,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에 있다고 적절하게 인식할 수 있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카메라 하우징(15R)이 이미 접힌 상태로 된 경우에 있어서도, 카메라 하우징(15L)이 이미 접힌 상태로 된 경우와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탑승자가 차량(1)의 주위의 상황(특히,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의 상황)을 오해해 버리는 것이 적절하게 방지 가능해진다.
(3)
변형예
상술한 설명에서는, 좌측 카메라(11L)는,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차량(1)의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을 촬상한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카메라(11L)는, 카메라 하우징(15L)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좌 후측방 영역(BL_area)에 추가로, 또는 대신하여, 차량(1)의 좌 전측방 영역(FL_area)을 촬상해도 된다. 즉, 좌측 카메라(11L)는, 좌 후측방 영역(BL_area)보다 전방에 있는 좌 전측방 영역(FL_area)을 촬상해도 된다. 이 경우라도, 탑승자가 좌 후측방 영역(BL_area)의 상황을 오해하는 것이 적절하게 방지되는 이유와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탑승자가 좌 전측방 영역(FL_area)의 상황을 오해하는 것이 적절하게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설명에서는, 우측 카메라(11R)는, 카메라 하우징(15R)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차량(1)의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을 촬상한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카메라(11R)는, 카메라 하우징(15R)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우 후측방 영역(BR_area)에 추가로, 또는 대신하여, 차량(1)의 우 전측방 영역(FR_area)을 촬상해도 된다. 즉, 우측 카메라(11R)는, 우 후측방 영역(BR_area)보다 전방에 있는 우 전측방 영역(FR_area)을 촬상해도 된다. 이 경우라도, 탑승자가 우 후측방 영역(BR_area)의 상황을 오해하는 것이 적절하게 방지되는 이유와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탑승자가 우 전측방 영역(FR_area)의 상황을 오해하는 것이 적절하게 방지된다.
(4) 부기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또한 이하의 부기를 개시한다.
(부기 1)
부기 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는, 차량의 요 축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따른 소정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가도식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또한 차량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을 촬상 가능한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외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다.
부기 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받아 하우징이 회전하여 접히면, 촬상 수단은, 촬상 수단이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는 전측방 영역 또는 후측방 영역을 촬상하는 상태로부터, 전측방 영역 및 후측방 영역과는 상이한 차량의 외부의 영역을 촬상하는 상태로 바뀐다. 여기서 특히, 부기 1에서는, 하우징의 회전축은, 차량의 요 축(즉, 연직 방향을 따른 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이 접히기 전에 전측방 영역 또는 후측방 영역을 촬상하고 있었던 촬상 수단은, 하우징이 접힌 후에, 지면 또는 하늘(예를 들어, 차량의 측방의 지면 또는 하늘)을 촬상 가능해진다. 그 결과, 표시 수단은, 지면 또는 하늘을 표시 가능해진다. 여기서, 차량의 탑승자에게 있어서는, 지면 또는 하늘을 촬상한 화상은,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을 촬상한 화상과 일견하여 구별이 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경우, 하우징이 접힌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차량의 탑승자라도, 표시 수단에 찍힌 화상이, 전측방 영역 또는 후측방 영역이 찍힌 화상이라고 오해할 가능성은 작다. 따라서, 화상 표시 장치는, 하우징이 접힌 경우에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의 주위 상황을 오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회전축이 차량의 요 축에 대해 직교하고 있으면, 하우징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받은 충격을 받아넘기듯이 접히는 것이 곤란하다. 그런데도, 부기 1에 의하면, 하우징의 회전축이 차량의 요 축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하우징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받은 충격을 적절하게 받아넘기듯이 접힐 수 있다.
(부기 2)
부기 2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태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소정 회전축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촬상 수단이 상기 차량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을 촬상 가능한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수단이 지면 또는 하늘을 촬상 가능한 제2 상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이다.
부기 2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는, 하우징이 접히기 전에 전측방 영역 또는 후측방 영역을 촬상하고 있었던 촬상 수단은, 하우징이 접힌 후에, 지면 또는 하늘을 확실하게 촬상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 표시 장치는, 하우징이 접힌 경우에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의 주위 상황을 오해하는 것을 더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부기 3)
부기 3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촬상 수단이 지면 또는 하늘을 촬상 가능한 한편, 지면과 하늘 사이의, 또는 지면과 지면 상의 구조물 사이의 경계를 촬상하지 않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하우징이 접혀 있지 않은 경우에 촬상 수단이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을 촬상하고 있는 경우에는, 촬상 수단은, 통상은, 지면과 하늘 사이의, 또는 지면과 지면 상의 구조물 사이의 경계(예를 들어, 지평선에 상당하는 기준선)를 촬상한다. 따라서, 하우징이 접힌 후에 촬상 수단이 지면과 하늘 사이의, 또는 지면과 지면 상의 구조물 사이의 경계를 촬상 가능한 상태에 있으면, 하우징이 접힌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탑승자는, 표시 수단에 찍힌 화상이, 전측방 영역 또는 후측방 영역이 찍힌 화상이라고 오해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커진다. 그런데도, 부기 3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이 접힌 후에 촬상 수단이 지면과 하늘 사이의, 또는 지면과 지면 상의 구조물 사이의 경계를 촬상하지 않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하우징이 접힌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탑승자라도, 표시 수단에 찍힌 화상이, 전측방 영역 또는 후측방 영역이 찍힌 화상이라고 오해할 가능성은 작아진다. 따라서, 화상 표시 장치는, 하우징이 접힌 경우에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의 주위 상황을 오해하는 것을 더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부기 4)
부기 4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경고 동작을 행하는 부기 2 또는 3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이다.
부기 4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이 제2 상태로 된 경우에는, 외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이 경고 동작을 행한다. 이 때문에, 하우징이 제2 상태로 되어 있는 상황에 있어서, 탑승자는, 촬상 수단이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었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이 찍힌 화상을 표시 수단이 표시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이 제2 상태로 되어 있는 상황에 있어서, 탑승자는, 촬상 수단이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었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이 찍힌 화상을 표시 수단이 표시하고 있다고 오해할 일은 없다. 이 때문에, 부기 4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는, 하우징이 접힌 경우에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의 주위 상황을 오해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부기 5)
부기 5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는, 가도식의 하우징이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에 차량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을 촬상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외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하우징이 접혀 상기 제1 상태와는 상이한 제2 상태로 된 경우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경고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다.
부기 5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이 접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된 경우에는, 외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이 경고 동작을 행한다. 이 때문에, 하우징이 제2 상태로 되어 있는 상황에 있어서, 탑승자는, 촬상 수단이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었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이 찍힌 화상을 표시 수단이 표시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이 제2 상태로 되어 있는 상황에 있어서, 탑승자는, 촬상 수단이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었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이 찍힌 화상을 표시 수단이 표시하고 있다고 오해할 일은 없다. 이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는, 하우징이 접힌 경우에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본 탑승자가 차량의 주위 상황을 오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기 6)
부기 6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경고 동작은, 상기 외부 화상을 표시한 채,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것을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게 경고하는 경고 화상을 표시하는 제1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 또는 5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이다.
부기 6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경고 화상을 시인한 탑승자는, 표시 수단에 표시된 외부 화상이, 촬상 수단이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었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이 찍힌 화상이라고 오해할 일은 없다.
(부기 7)
부기 7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경고 동작은, 상기 외부 화상을 비표시로 한 후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것을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게 경고하는 경고 화상을 표시하는 제2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 또는 5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이다.
부기 7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애당초 표시 수단에 외부 화상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이 제2 상태에 있는 상황하에서, 탑승자는, 촬상 수단이 원래 촬상할 영역으로서 의도되어 있었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이 찍힌 화상을 표시 수단이 표시하고 있다고 오해할 일은 없다. 게다가, 표시 수단이 경고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탑승자는, 표시 수단의 이상에 의해 외부 화상이 표시되고 있지 않다고 오해하는 일 없이, 하우징이 제2 상태에 있다고(즉, 접혀 있다고) 적절하게 인식할 수 있다.
(부기 8)
부기 8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이다.
부기 8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하우징의 상태가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검출된다. 따라서, 표시 수단은,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경고 동작을 적절한 타이밍에(즉, 하우징이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에)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화상 표시 장치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 2 : 차량
11L : 좌측 카메라
11R : 우측 카메라
13, 23 : ECU
131 : 화상 취득부
132 : 표시 제어부
233 : 경고 동작부
14 : 디스플레이
15L, 15R : 카메라 하우징
16L : 좌측 도어
16R : 우측 도어
22 : 상태 센서
BL_area : 좌 후측방 영역
BR_area : 우 후측방 영역
FL_area : 좌 전측방 영역
FR_area : 우 전측방 영역
θL, θR : 회전축
11L : 좌측 카메라
11R : 우측 카메라
13, 23 : ECU
131 : 화상 취득부
132 : 표시 제어부
233 : 경고 동작부
14 : 디스플레이
15L, 15R : 카메라 하우징
16L : 좌측 도어
16R : 우측 도어
22 : 상태 센서
BL_area : 좌 후측방 영역
BR_area : 우 후측방 영역
FL_area : 좌 전측방 영역
FR_area : 우 전측방 영역
θL, θR : 회전축
Claims (8)
- 차량의 요 축에 대해 경사진 방향을 따른 소정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가도식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또한 차량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을 촬상 가능한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외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태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소정 회전축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촬상 수단이 상기 차량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을 촬상 가능한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촬상 수단이 지면 또는 하늘을 촬상 가능한 제2 상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촬상 수단이 지면 또는 하늘을 촬상 가능한 한편, 지면과 하늘 사이의, 또는 지면과 지면 상의 구조물 사이의 경계를 촬상하지 않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경고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 가도식의 하우징이 제1 상태에 있는 경우에 차량의 후측방 영역 또는 전측방 영역을 촬상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촬상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외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하우징이 접혀 제1 상태와는 상이한 제2 상태로 된 경우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경고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동작은, 상기 외부 화상을 표시한 채,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것을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게 경고하는 경고 화상을 표시하는 제1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동작은, 상기 외부 화상을 비표시로 한 후에,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것을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게 경고하는 경고 화상을 표시하는 제2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경고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94309 | 2017-10-04 | ||
JP2017194309A JP6939368B2 (ja) | 2017-10-04 | 2017-10-04 | 画像表示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9455A true KR20190039455A (ko) | 2019-04-12 |
KR102091101B1 KR102091101B1 (ko) | 2020-03-19 |
Family
ID=6368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0883A KR102091101B1 (ko) | 2017-10-04 | 2018-09-17 | 화상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960821B2 (ko) |
EP (1) | EP3466765B1 (ko) |
JP (1) | JP6939368B2 (ko) |
KR (1) | KR102091101B1 (ko) |
CN (1) | CN10960626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125101B4 (de) | 2017-10-26 | 2021-03-25 | Mekra Lang Gmbh & Co. Kg | Halt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amera-Monitor-System |
CN111194279A (zh) * | 2017-11-29 | 2020-05-22 | 沃尔沃卡车集团 | 用于工业车辆驾驶室的摄像机组件 |
TWI693826B (zh) * | 2018-11-14 | 2020-05-11 | 明泰科技股份有限公司 | 具有調整環之盲區影像裝置 |
AU2019100431B4 (en) * | 2019-04-24 | 2019-07-18 | Brett, Jon MR | Improved video-based rear-view mirror system for vehicles including motorcycles |
EP4051539B1 (en) * | 2019-10-31 | 2023-10-18 | Gentex Corporation | Rotatable outside mirror with imager assembly |
US11958419B2 (en) | 2022-02-24 | 2024-04-16 | Stoneridge, Inc. | Collapsible vehicle camera arm assembly |
CN114633692B (zh) * | 2022-03-14 | 2023-10-03 | 深圳市艾为智能有限公司 | 一种偏心镜头在cms系统中的应用方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06670A (ja) | 2003-04-02 | 2004-11-04 | Toyota Motor Corp | 車両用画像表示装置 |
JP2005136561A (ja) | 2003-10-29 | 2005-05-26 | Denso Corp | 車両周辺画像表示装置 |
JP2008062914A (ja) * | 2006-08-08 | 2008-03-21 | Ichikoh Ind Ltd | 車両用監視カメラシステム |
US7538795B2 (en) * | 2003-03-25 | 2009-05-26 | Minolta Co., Ltd. | Monitor device for moving body |
JP2013001298A (ja) | 2011-06-20 | 2013-01-07 | Nissan Motor Co Ltd | 車両用監視装置 |
JP2013141904A (ja) * | 2012-01-11 | 2013-07-22 | Suzuki Motor Corp | 車両用ドアミラーの制御装置 |
JP2017039377A (ja) * | 2015-08-19 | 2017-02-23 | 株式会社石▲崎▼本店 | 車両用画像表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5900U (ja) * | 1993-04-07 | 1994-10-25 | 市光工業株式会社 | 車両後方視認装置 |
JP3599639B2 (ja) * | 2000-05-26 | 2004-12-08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DE60316247T2 (de) * | 2002-12-20 | 2008-05-29 | Murakami Corp. | Aussenspiegel |
JP2007008200A (ja) * | 2005-06-28 | 2007-01-18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車両周辺視認装置 |
KR100696392B1 (ko) * | 2005-12-07 | 2007-03-19 | 주식회사단해 | 차량 외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JP4855884B2 (ja) * | 2006-09-28 | 2012-01-18 | クラリオン株式会社 | 車両周辺監視装置 |
US8694195B2 (en) * | 2007-12-04 | 2014-04-08 | Volkswagen Ag | Motor vehicle having a wheel-view camera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heel-view camera system |
JP5420216B2 (ja) * | 2008-09-16 | 2014-02-19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両周囲監視装置 |
JP4951643B2 (ja) * | 2009-03-19 | 2012-06-13 | 株式会社村上開明堂 |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
JP2011095321A (ja) * | 2009-10-27 | 2011-05-12 | Toshiba Alpine Automotive Technology Corp | 車両用画像表示装置 |
US8930063B2 (en) * | 2012-02-22 | 2015-01-06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Method for determining object sensor misalignment |
WO2014027489A1 (ja) * | 2012-08-17 | 2014-02-2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運転支援装置 |
DE102013103744A1 (de) * | 2013-04-15 | 2014-10-16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Spiegelanordnung |
US20150042797A1 (en) * | 2013-08-06 | 2015-02-12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Motor vehicle rear side view display system |
JP6279282B2 (ja) * | 2013-10-08 | 2018-02-14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立体物確認装置及び立体物確認プログラム |
KR101565006B1 (ko) * | 2014-05-30 | 2015-1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용 어라운드뷰 제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
DE102014111068B4 (de) * | 2014-08-04 | 2023-11-23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Kraftfahrzeug |
US9403491B2 (en) * | 2014-08-28 | 2016-08-02 | Nissan North America, Inc. | Vehicle camera assembly |
JP6692120B2 (ja) * | 2014-12-10 | 2020-05-13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車両用視認装置 |
KR101683575B1 (ko) * | 2015-09-11 | 2016-12-07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자동차 사이드 카메라 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
US10097759B1 (en) * | 2015-09-30 | 2018-10-09 | Apple Inc. | 360 degree image presentation |
DE102015014799A1 (de) * | 2015-11-13 | 2017-05-18 | Mekra Lang Gmbh & Co. Kg | System und Verfahren zur Erfassung eines Heckbereiches eines Fahrzeugs |
US10315578B2 (en) * | 2016-01-14 | 2019-06-11 | Faraday&Future Inc. | Modular mirror assembly |
CN106585498A (zh) * | 2016-12-21 | 2017-04-26 |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 汽车后视镜折叠系统及控制方法 |
-
2017
- 2017-10-04 JP JP2017194309A patent/JP6939368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9-17 KR KR1020180110883A patent/KR1020911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24 EP EP18196197.0A patent/EP3466765B1/en active Active
- 2018-09-30 CN CN201811158379.3A patent/CN109606262B/zh active Active
- 2018-10-03 US US16/150,853 patent/US1096082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538795B2 (en) * | 2003-03-25 | 2009-05-26 | Minolta Co., Ltd. | Monitor device for moving body |
JP2004306670A (ja) | 2003-04-02 | 2004-11-04 | Toyota Motor Corp | 車両用画像表示装置 |
JP2005136561A (ja) | 2003-10-29 | 2005-05-26 | Denso Corp | 車両周辺画像表示装置 |
JP2008062914A (ja) * | 2006-08-08 | 2008-03-21 | Ichikoh Ind Ltd | 車両用監視カメラシステム |
JP2013001298A (ja) | 2011-06-20 | 2013-01-07 | Nissan Motor Co Ltd | 車両用監視装置 |
JP2013141904A (ja) * | 2012-01-11 | 2013-07-22 | Suzuki Motor Corp | 車両用ドアミラーの制御装置 |
JP2017039377A (ja) * | 2015-08-19 | 2017-02-23 | 株式会社石▲崎▼本店 | 車両用画像表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939368B2 (ja) | 2021-09-22 |
JP2019064526A (ja) | 2019-04-25 |
EP3466765B1 (en) | 2021-04-14 |
EP3466765A1 (en) | 2019-04-10 |
KR102091101B1 (ko) | 2020-03-19 |
CN109606262B (zh) | 2022-08-30 |
CN109606262A (zh) | 2019-04-12 |
US20190100148A1 (en) | 2019-04-04 |
US10960821B2 (en) | 2021-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39455A (ko) | 화상 표시 장치 | |
KR102057183B1 (ko) | 화상 표시 장치 | |
US11336839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US10053010B2 (en) | Dynamic perspective shifting system and method | |
JP6384322B2 (ja) | 車両用表示装置 | |
CN108473090B (zh) | 用于示出车辆的后向的外部区域的方法 | |
US20150085083A1 (en) | Image-capturing system with dual lens camera | |
JPH10299032A (ja) | 作業用走行車の視界改善装置および方法 | |
WO2007043452A1 (ja) | 車載撮影装置及び車載カメラの撮影可動範囲測定方法 | |
US10060098B2 (en) | Method of displaying a dead zone of a construction machin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 |
US20040212484A1 (en) |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view angle of rearview angle of outside camera in response to output of navigation system | |
CN104842872A (zh) | 车载拍摄装置 | |
JP2004173048A (ja) | 車載カメラシステム | |
US20180290595A1 (en) | Vehicle side mirror positioning method and assembly | |
JP6730612B2 (ja) |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制御システム、車両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WO2017154317A1 (ja) |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システム、車両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10312640B (zh) | 车辆监视设备 | |
CN107107823A (zh) | 显示控制装置及显示系统 | |
JP2019001325A (ja) | 車載用撮像装置 | |
EP3184364B1 (en) | Rear view device for a vehicle | |
TW202033389A (zh) | 車載鏡頭偏移檢測方法與車載鏡頭偏移檢測系統 | |
US11400861B2 (en) | Camera monitoring system | |
JP2019043539A (ja) | 画像表示装置 | |
CN111907409A (zh) | 倒车辅助装置以及倒车辅助方法 | |
JP6690311B2 (ja) |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システム、車両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