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186A - 록킹 플레이트 유닛 및 그러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록킹 플레이트 유닛 및 그러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186A
KR20190039186A KR1020197006426A KR20197006426A KR20190039186A KR 20190039186 A KR20190039186 A KR 20190039186A KR 1020197006426 A KR1020197006426 A KR 1020197006426A KR 20197006426 A KR20197006426 A KR 20197006426A KR 20190039186 A KR20190039186 A KR 20190039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late
fasteners
hexagonal
fastener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아스 티드룬드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19003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00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 B60B3/14Attaching disc body to hub ; Wheel adapters
    • B60B3/16Attaching disc body to hub ; Wheel adapters by bolts or the like
    • B60B3/165Attaching disc body to hub ; Wheel adapters by bolts or the like with locking devices for the fixing means, e.g. screw or nu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16B39/101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with a plate, spring, wire or ring holding two or more nuts or bolt heads which are mainly in the same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31Safety or security
    • B60B2900/3316Safety or security by indicating wear, failure or lo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1/00Rail joints
    • E01B11/02Dismountable rail joints
    • E01B11/36Fastening means for fishplates
    • E01B11/38Locking arrangements f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12)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으로, 상기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은 록킹 플레이트(20); 각각이 육각형 부분(32', 32")을 포함하는 제1 파스너(30') 및 제2 파스너(30")를 포함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록킹 플레이트(20)는 제1 단부 섹션(22'), 제2 단부 섹션(22") 및 두 단부 섹션들(22', 22") 사이에 중앙 섹션(24)을 포함한다. 파스너들(30', 30")이 제1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과 록킹 플레이트(20)의 제1 단부 섹션(22') 사이의 제1 부착 지점(50')과 제2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과 록킹 플레이트(20)의 제2 단부 섹션(22") 사이의 제2 부착 지점(50")에서 록킹 플레이트(20)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을 포함하는 차량(1)에도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록킹 플레이트 유닛 및 그러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본 발명은 록킹 플레이트 유닛 및 그러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장착하는 중에 록킹 플레이트 유닛 위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에 대응하게 구성된 록킹 플레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록킹 플레이트들이 일부 종류의 구조물에 부착되면 의도치 않게 느슨해지지 않도록 나사 이음부의 부품들을 록킹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록킹 플레이트들이 많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록킹 플레이트들은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2개의 나사/볼트 또는 너트를 고정시키게 적합하며, 일반적으로 나사/너트를 장착하는 중에 나사/너트들 사이에 배치된다. 많은 공지의 록킹 플레이트들은 나사 헤드나 너트 아래에 배치되어서, 나사/너트가 조여질 때 나사/너트 및 구조물 사이에서 클램핑된다. 그러나, 이는 나사/너트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물로부터 나사/너트가 더 돌출되게 하며, 이는 좁은 공간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허문헌 US720769 A호는 너트들 아래에 배치되어 클램핑되는 너트용 록킹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다. 록킹 플레이트들은 일반적으로 나사/너트를 조이는 동안에 나사/너트 위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에 대항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나사 이음부를 구조물에 부착할 때, 나사는 일반적으로 제1 방향으로부터 구조물 내 홀을 관통하며, 너트는 타 방향으로부터 나사 위에 배치되어 있다. 너트가 나사 위에서 조여질 때, 가해지는 회전 토크는 나사 헤드를 유지함으로써 대항되어야만 하며, 그렇지 않으면 나사가 돌기 시작한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토크에 대항하기 위해 툴을 장착하기 어려운 좁은 공간에서 나사 이음부를 배치할 때, 토크에 대항하는 록킹 플레이트가 유리할 수 있다.
록킹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목적과 관계없이 록킹 플레이트가 안고 있는 하나의 문제는, 록킹 플레이트를 분해하기가 어려워서 록킹 플레이트가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나사/너트를 분리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오로지 한 방향에서 분해가 수행될 수 있게 제한한다. 특허문헌 US3490508 A호는 포크-형상의 단부 부분을 구비하는 분리 가능한 록킹 플레이트로 구성된 너트 또는 볼트 리테이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록킹 플레이트는 굽힘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록킹 플레이트 아래에 힘을 가해 위쪽으로 구부려서 제거할 수 있다. 특허문헌 DE1143364 B호는 특정 유형의 육각 나사나 너트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M-형 시트 금속으로 구성된 록킹 플레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록킹 플레이트는 나사 헤드/너트 내의 슬롯 내에 조립되기에 적합하다. 록킹 플레이트의 레드들을 구부려서 록킹 플레이트를 분리시킬 수 있다.
당 업계에서 해법들이 주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축 방향에서 표준 나사 이음부를 쉽게 장착하고 분해할 수 있게 하는 록킹 플레이트를 개발해야 한다는 수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좁은 공간에서 구조물에 나사 이음부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좁은 공간에서 구조물에 나사 이음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어 있는 목적들은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록킹 플레이트 유닛 및 그러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물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이 제공된다. 록킹 플레이트 유닛은 록킹 플레이트; 각각이 육각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파스너 및 제2 파스너를 포함하고, 록킹 플레이트는 제1 단부 섹션, 제2 단부 섹션 및 두 단부 섹션들 사이에 중앙 섹션을 포함하고, 록킹 플레이트의 중앙 섹션은 파스너들의 육각형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어 파스너들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에 대항하여 파스너들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파스너들은 제1 파스너의 육각형 부분과 록킹 플레이트의 제1 단부 섹션 사이의 제1 부착 지점과 제2 파스너의 육각형 부분과 록킹 플레이트의 제2 단부 섹션 사이의 제2 부착 지점에서 록킹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있다.
제1 파스너와 제2 파스너는 나사, 볼트 또는 너트일 수 있으며, 구조물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나사의 일부인 것이 적절하다. 록킹 플레이트 유닛이 구조물에 부착될 때, 나사 이음부의 제2 파트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의 각 파스너와 체결되어 회전 토크가 파스너 상에 가해지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중앙 섹션이 두 파스너들의 육각형 부분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록킹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중앙 섹션이 회전 토크에 대항하고 록킹 플레이트의 중앙 섹션에 의해 힘들이 흡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작업으로 회전 토크에 대항할 필요가 없게 되며, 록킹 플레이트 유닛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록킹 플레이트와 파스너들이 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록킹 플레이트 유닛이 일체형 유닛으로 되어서 단지 단일 컴포넌트만을 취급하면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록킹 플레이트 유닛의 장착은, 한번에 3개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취급해야 하는 주지의 해법에 비해 용이해진다.
록킹 플레이트는 세장형으로 두 파스너들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다. 중앙 섹션도 세장형으로 두 파스너들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파스너와 제2 파스너는 그 사이가 중앙 섹션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파스너가 나사 또는 볼트인 경우, 육각형 부분은 나사 헤드/볼트 헤드인 것이 적절하다. 파스너가 너트인 경우, 육각형 부분은 너트 자체이다. 록킹 플레이트는 파스너들의 상부 면과 높이가 같게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따라 록킹 플레이트는 육각형 부분의 상부 면과 높이가 같게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스너들이 용융법(fusion)에 의해 록킹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파스너들은 용접에 의해 록킹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이 적절하다. 파스너들이 심 용접에 의해 록킹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스너들과 록킹 플레이트는 서로 견고하게 부착되어서 단일 유닛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파스너들은 접착제와 같은 접합제에 의해 록킹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단부 섹션은 제1 파스너의 육각형 부분 둘레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암 부분으로 구성되고, 제2 단부 섹션은 제2 파스너의 육각형 부분 둘레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암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 암 부분은 중앙 섹션의 한쪽 단측에서부터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고, 제2 암 부분은 중앙 섹션의 다른 쪽 단측에서부터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단부 섹션은 제1 파스너의 육각형 부분의 둘레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암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고, 제2 단부 섹션은 제2 파스너의 육각형 부분의 둘레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암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부착 지점은 제1 암 부분과 제1 파스너의 육각형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하고, 제2 부착 지점은 제2 암 부분과 제2 파스너의 육각형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암 부분들은, 암 부분들이 중앙 섹션의 길이 방향 사이드의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중앙 섹션에서부터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다. 암 부분들은 중앙 섹션의 양 사이드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파스너의 육각형 부분은 제1 사이드, 제1 사이드와 인접하고 있는 제2 사이드 및 제2 사이드와 인접하고 있는 제3 사이드를 구비하고, 제1 사이드는 중앙 섹션의 양쪽의 평행한 사이드들과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파스너의 육각형 부분은 제1 사이드, 제1 사이드와 인접하고 있는 제2 사이드 및 제2 사이드와 인접하고 있는 제3 사이드를 구비하고, 제1 사이드는 중앙 섹션의 단측과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스너들은, 파스너들의 제1 사이드들이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앙 섹션의 각 단측(short side)은 파스너의 제1 사이드와 연결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사이드는 내부 사이드로 정의될 수 있다. 파스너들의 제1 사이드들과 인접하는 중앙 섹션은 파스너들에 가해지는 어떠한 회전 토크에도 대항하여 파스너들이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육각형 부분들의 제2 사이드들은 서로를 향해 경사지게 향하는 것이 적절하다. 육각형 부분들의 제3 사이드들은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암 부분과 제2 암 부분은 각 육각형 부분들의 제2 사이드 및 적어도 제3 사이드의 일부를 따라 연장한다. 이에 따라, 록킹 플레이트는, 중앙 섹션이 육각형 부분의 제1 사이드와 인접하고, 각 암 부분은 제2 사이드 및 제3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형이며 컴팩트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이 얻어진다. 단부 섹션들의 제1 암 부분과 제2 암 부분은 각 육각형 부분의 제1 사이드와 각 육각형 부분의 제3 사이드의 적어도 절반을 따라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다. 암 부분들은 제3 사이드 전체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암 부분들은 제3 사이드와 인접하는 제4 사이드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단부 섹션들의 암 부분들은, 육각형 부분과 연결되게 배치되어 있는 사이드 위에서 단부 섹션들의 암 부분들이 파스너들의 육각형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중앙 섹션의 단측들과 함께 암 부분들은 절반 렌치-형 구조를 형성한다.
부착 지점들이, 육각형 부분들의 제3 사이드에서 각 파스너와 중앙 섹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따라, 용접부들은 육각형 부분들의 제3 사이드들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각 파스너와 록킹 플레이트 사이의 부착 지점은 파스너들에 가해지는 조임 회전 토크에 의해 야기되는 어떠한 힘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위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각 파스너와 록킹 플레이트 사이의 부착 지점은 조임 토크로부터 발생되는 힘이 최소로 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파스너들을 구조물에 부착하는 중에, 파스너들의 육각형 부분들은 중앙 섹션과 인접하여서, 파스너들과 록킹 플레이트 사이에 있는 어떠한 갭도 폐쇄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앙 섹션이 조임 토크에 의해 야기되는 힘의 대부분을 받게 된다. 단부 섹션들의 암 부분들의 폭은 중앙 섹션의 폭보다 작다. 이에 따라 중앙 섹션이 암 부분들보다 강인해져서 암 부분들에 비해 덜 변형된다. 중앙 섹션이 강인하기 때문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는 암 부분에서보다 중앙 섹션에서 더 큰 텐션을 야기한다. 육각형 부분들의 제3 사이드에서 파스너들을 록킹 플레이트에 부착시킴으로써, 각 부착부에서의 텐션이 방지되고, 회전 토크가 파스너 상에 가해질 때에도 부착부는 손상되지 않게 된다. 부착 지점들이 조임 토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비교적 약한 부착부가 사용되더라도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부착부를 약하게 함으로써, 수작업으로 록킹 플레이트에 힘을 가해서 록킹 플레이트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스너들과 록킹 플레이트 사이의 부착부는, 컴포넌트들이 단일 유닛으로 유지될 수 있지만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구조물에 부착할 때 록킹 플레이트 유닛 상에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게 구성될 필요는 없다. 록킹 플레이트 이에 따라 파스너들을 하나씩 분해하기 위해, 파스너들과 록킹 플레이트 사이의 부착부가 파괴되어야 한다. 이는 록킹 플레이트 아래쪽에서부터 힘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파스너들과 록킹 플레이트 사이의 부착부는 파스너들의 축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록킹 플레이트 상에 힘을 가함으로써 파괴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스너들이 개별적으로 록킹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록킹 플레이트는 각 단부 섹션에서 각 파스너의 일부를 둘러싸는 하나의 암 부분만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부착부가 파손되면 록킹 플레이트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록킹 플레이트를 파스너들의 회전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록킹 플레이트를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록킹 플레이트를 파스너들에 대해 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록킹 플레이트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는 록킹 플레이트 이에 따라 파스너들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부착 지점의 용접부는 3mm 미만의 유효 목두께를 구비한다. 각 부착 지점의 용접부의 유효 목두께가 2mm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접부는 컴포넌트들과 함께 단일 유닛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지만, 록킹 플레이트 아래에서 위로 향하게 힘을 가하면 쉽게 파손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록킹 플레이트는 중앙 섹션의 한쪽 길이 방향 사이드로부터 연장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리세스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이 부착되기에 적합한 구조물을 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리세스는 록킹 플레이트 아래쪽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스너들과 록킹 플레이트 사이의 부착부는, 리세스 내로 툴을 삽입하여 위쪽을 힘을 가함으로써 파손될 수 있다. 이 리세스는 단부 섹션들의 암 부분들을 포함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의 길이 방향 사이드 내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해지는 힘이 용이하게 부착부를 파손시킬 수 있게 되며, 록킹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 리세스는, 리세스가 슬롯형 나사 드라이버 헤드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지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사 드라이버가 록킹 플레이트를 분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록킹 플레이트의 두께가 파스너들의 육각형 부분들의 두께보다 작다. 이러한 방식으로, 록킹 플레이트와 록킹 플레이트 유닛이 부착되는 구조물 사이에는 항상 갭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의해 부착부를 파손시켜 록킹 플레이트를 분해하기 위해 툴이 록킹 플레이트 아래에 삽입될 수 있다. 록킹 플레이트의 두께는 약 6mm이다.
중앙 섹션은 세장형이고, 중앙 섹션의 길이는 파스너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 중앙 섹션의 길이 이에 따라 파스너들 사이의 거리는 파스너들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파스너들이 클수록 중앙 섹션의 길이가 길어진다. 중앙 섹션의 폭도 파스너들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파스너들이 클수록 중앙 섹션의 폭도 커진다. 록킹 플레이트의 중앙 섹션의 긴 사이드는 오목하고 짧은 단부는 직선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섹션은 허리부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중앙 섹션이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파스너들과 록킹 플레이트는 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파스너들과 록킹 플레이트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이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설명되어 있는 특정 사항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접근하는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분야에서 추가로 적용, 변형 및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록킹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록킹 플레이트 유닛의 록킹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더 충실한 이해 및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이점들의 이해를 위해서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야 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다양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아이템들을 지시한다.
도 1은 추진 유닛(2)을 포함하는 차량(1)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차량(1)은 섀시(10)를 포함한다. 차량한 또한 섀시 구조물 위에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 플레이트(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한다. 차량(1)은 예컨대 트럭 또는 버스인 중대형 차량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차량(1)은 승용차일 수 있다. 차량은 수작업으로 작동되거나 원격 작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은 구조물(12)에 부착되기에 적합하다. 구조물(12)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1) 내의 섀시(10)의 일부일 수 있다. 이는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은 록킹 플레이트(20); 각각이 육각형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파스너(30') 및 제2 파스너(30")를 포함하며, 록킹 플레이트(20)는 제1 단부 섹션(22'); 제2 단부 섹션(22") 및 두 단부 섹션들(22', 22") 사이에 중앙 섹션(24)을 포함하고, 록킹 플레이트(20)의 중앙 섹션(24)은 파스너들(30', 30") 중 어느 파스너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에 대항하여 파스너들(30', 30")이 회전하지 않도록 파스너들(30', 30")의 육각형 부분들(32', 32") 사이에 배치된다. 파스너들(30', 30")은 제1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과 제1 단부 섹션(22') 사이의 제1 부착 지점(50')에서 그리고 제2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과 제2 단부 섹션(22") 사이의 제2 부착 지점(50")에서 록킹 플레이트(20)에 부착되어 있다.
제1 파스너(30') 및 제2 파스너(30")는 나사, 볼트 또는 너트일 수 있다. 제1 파스너(30') 및 제2 파스너(30")는 이들 사이에 있는 록킹 플레이트(20)의 중앙 섹션(24)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파스너들(30', 30")이 나사/볼트일 때, 육각형 부분들(32', 32")은 너트 자체이다.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이 구조물(12) 위에 장착될 때, 나사 이음부의 제2 파트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의 각 파스너들(30', 30")과 체결되어서 파스너들(30', 30") 상에 회전 토크가 가해지는 것이 적절하다. 중앙 섹션(24)이 두 파스너들(30', 30")의 육각형 부분들(32', 32") 사이에 위치하도록 록킹 플레이트(20)를 배치함으로써, 중앙 섹션(24)이 회전 토크에 대항하게 되며, 록킹 플레이트(20)의 중앙 섹션(24)에 의해 힘들이 흡수된다. 또한, 록킹 플레이트(20)와 파스너들(30', 30")이 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은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하여 취급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스너들(30', 30")의 회전이 방지되어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파스너들(30', 30")은 용접으로 록킹 플레이트(20)에 부착되는 것이 적절하다. 파스너들(30', 30")이 심 용접에 의해 록킹 플레이트(20)에 부착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스너들(30', 30")과 록킹 플레이트(20)는 서로 견고하게 부착되어서 단일 유닛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파스너들(30', 30")은 금속 파트들 또는 플라스틱 파트들 사이를 접착시키기에 적당한 접착제(glue) 같은 접합제(adhesive)에 의해 록킹 플레이트(20)에 접착된다.
록킹 플레이트(20)는 세장형(elongated)이며, 두 파스너들(30', 30")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록킹 플레이트(20)의 중앙 섹션(24)은 세장형이며, 중앙 섹션(24)의 길이 L은 파스너들(30', 3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데, 이는 중앙 섹션(24)이 파스너들(30', 30")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앙 섹션(24)의 길이 L 및 이에 따른 파스너들(30', 30") 사이의 거리는 파스너들(30', 3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파스너들(30', 30")들이 클수록 중앙 섹션(24)의 길이가 길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중앙 섹션(24)은 오목한 길이 방향 사이드를 구비한다. 따라서 중앙 섹션(24)은 허리부분(waist)을 구비하게 된다.
제1 단부 섹션(22')은 제1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 원주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암 부분(26')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고, 제2 단부 섹션(22")은 제2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 원주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암 부분(26")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여기서, 제1 부착 지점(50')이 제1 파스너(30')의 제1 암 부분(26')과 육각형 부분(32')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부착 지점(50")은 제2 파스너(30")의 제2 암 부분(26")과 육각형 부분(32")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암 부분(26')은 중앙 섹션(24)의 하나의 단측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고, 제2 암 부분(26")은 중앙 섹션(24)의 반대편 단측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다. 암 부분들(26', 26")은, 암 부분들(26', 26")이 중앙 섹션(24)의 길이방향 사이드의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중앙 섹션(24)로부터 대칭으로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따라 중앙 섹션(24)의 제1 길이 방향 사이드(28)는 중앙 섹션(24)의 길이 L과 각 암 부분들(26', 26")의 길이를 포함하고, 록킹 플레이트의 제2 길이 방향 사이드(29)는 중앙 섹션(24)의 길이만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길이 방향 사이드(28)가 제2 길이 방향 사이드(29)보다 길다.
각 파스너들(30', 30")의 육각형 부분들(32', 32")은 제1 사이드(34', 34"), 제1 사이드(34', 34")와 인접하고 있는 제2 사이드(36', 36") 및 제2 사이드(36', 36")와 인접하고 있는 제3 사이드(38', 3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사이드(34', 34")는 록킹 플레이트(20) 중앙 섹션(24)의 단측과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스너들(30', 30")은, 파스너들(30', 30")의 제1 사이드(34', 34")가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섹션(24)의 단측 각각은 파스너들(30', 30")의 제1 사이드(34', 34")와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사이드(34', 34")와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는 중앙 섹션(24)의 단측은 제1 사이드(34', 34")와 길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1 사이드(34', 34")와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는 중앙 섹션(24)의 단측은 제1 사이드(34', 34")보다 길다. 제1 사이드(34', 34")는 내부 사이드로 정의될 수 있다. 육각형 부분들(32', 32")의 제1 사이드(34', 34")와 인접하고 있는 중앙 섹션(24)은 파스너들(30', 30")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에 대항하여, 파스너들(30', 30")이 회전하지 않게 한다. 단부 섹션들(22', 22")의 제1 암 부분(26')과 제2 암 부분(26")은 제2 사이드(36', 36") 및 각 육각형 부분들(32', 32")의 제3 사이드(38', 38")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암 부분(26')과 제2 암 부분(26")은 제2 사이드(36', 36")와 제3 사이드(38', 38")의 거의 절반을 따라 연장한다. 따라서, 록킹 플레이트(20)는, 중앙 섹션(24)이 육각형 부분들(32', 32")의 제1 사이드(34', 34")와 인접하고, 각 암 부분(26', 26")은 제2 사이드(36', 36")와 제3 사이드(38', 38")의 적어도 절반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암 부분(26', 26")이 제3 사이드(38', 38") 전체를 따라 연장할 수도 있다. 암 부분(26', 26")은, 암 부분(26', 26")이 파스너들(30', 30") 상의 육각형 부분들(32', 32")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섹션(24)의 단측들은 각 암 부분(26', 26")과 함께 파스너들(30', 30")의 육각형 부분들(32', 32") 형상에 대응되는 절반 렌치-형 부분을 형성한다.
각 파스너들(30', 30")과 록킹 플레이트(20) 사이의 부착 지점(50', 50")은 육각형 부분들(32', 32")의 제3 사이드(38', 38")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육각형 부분들(32', 32")의 제3 사이드(38', 38")에 용접부가 위치한다. 용접으로 파스너들(30', 30")을 록킹 플레이트(20)에 제3 사이드(38', 38")에서 부착시킴으로써, 용접부는, 용접부가 파스너들(30', 30") 상에 가해지는 어떠한 회전 토크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 않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앙 섹션(24)은 토크에 대항하고 힘들을 흡수함으로써 용접부가 손상되지 않게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스너들(30', 30")과 록킹 플레이트(20) 사이의 용접부가 비교적 약하게 될 수 있다. 용접부는 3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mm 미만의 유효 목두께(effective throat)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부는, 용접부가 컴포넌트들 모두를 단일 유닛(100)으로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다만, 단일 유닛(100)을 구조물(12)에 부착할 때, 단일 유닛(100)에 작용하는 힘들을 견딜 수 있게 구성될 필요는 없다. 파스너들(30', 30")과 록킹 플레이트(20) 사이의 용접부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면, 용접부를 파손시켜 록킹 플레이트(2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록킹 플레이트(20) 제거 방식에 대해서는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파스너들(30', 30")과 록킹 플레이트(20)는 강으로 제작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는 다르게, 파스너들(30', 30")과 록킹 플레이트(20)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은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록킹 플레이트(20)의 중앙 섹션(24)이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중앙 섹션(24)의 길이 방향 사이드가 오목하지 않고 직선형태로 되어 있다.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의 길이 방향 사이드들(28, 29)은 기본적으로 직선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은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명세서에서,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은 구조물(12) 위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파스너들(30', 30")은 나사/볼트이며, 육각형 부분들(32', 32")은 나사 헤드이다. 나사/볼트들(30', 30")은 길이가 유사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은 나사/볼트들(30', 30")이 구조물(12)의 한쪽 사이드에서부터 구조물(12) 내 홀들을 통과한 후 구조물(12)의 다른 쪽 사이드 위의 나사/볼트들(30', 30") 위에 너트들(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배치함으로써 장착되는 것이 적절하다. 너트들이 조여질 때, 록킹 플레이트(20)는 나사/볼트들(30', 3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록킹 플레이트(20)는 중앙 섹션(24)의 길이 방향 사이드에서 리세스(60)를 포함하는 것이 적절하다. 리세스(60)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물(12)을 향하기에 적합한 것이 적절하다. 리세스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의 제1 길이 방향 사이드(28)로부터 연장하는 것이 적절하다. 록킹 플레이트(20) 내에 리세스(60)를 형성하면, 툴을 리세스 내로 삽입하여 나사/볼트들(30', 30")의 축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나사/볼트들(30', 30")과 록킹 플레이트(20) 사이의 용접부가 파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록킹 플레이트(20)가 쉽게 분해될 수 있다. 리세스(60)는, 리세스가 슬롯형 나사 드라이버 헤드의 형성에 대응하도록 경사지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록킹 플레이트를 분해하기 위해 나사 드라이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록킹 플레이트(20)는 나사/볼트들(30', 30")의 육각형 부분들(32', 32")의 상부 면과 같은 높이로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록킹 플레이트(20)의 두께는 나사/볼트들(30', 30")의 육각형 부분들(32', 32")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록킹 플레이트(20)와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이 부착되는 구조물(12) 사이에는 항상 갭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의해, 용접부를 파손시켜 록킹 플레이트(20)를 분리시키기 위해, 툴이 록킹 플레이트(20) 아래로 삽입될 수 있다. 록킹 플레이트(20)의 두께는 약 6mm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의 록킹 플레이트(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록킹 플레이트(20)는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의 일부인 것이 적절하다. 여기서, 록킹 플레이트(20)의 아래쪽 즉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이 부착되는 구조물(12)을 향하기에 적합한 사이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리세스(60)는 리세스가 슬롯형 나사 드라이버 헤드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리세스(60)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의 제1 길이 방향 사이드(28)에서부터 반대편 길이 방향 사이드(29)까지 중앙 섹션(24)의 폭 전체를 통해 연장하고 있다. 또는, 리세스(60)는 중앙 섹션(24) 폭의 일부분을 따라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의 제1 길이 방향 사이드(28)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중앙 섹션(24)의 폭은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의 제1 길이 방향 사이드(28)에서부터 제2 길이 방향 사이드(29)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은 도 2a, 도 2b, 도 3 및 도 4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여기서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은 구조물(12)에 부착되어 있고, 도면은 파스너들(30', 30")과 록킹 플레이트(20) 사이의 접합부를 파손시키기 위해 록킹 플레이트(20) 아래로부터 힘을 가하는 데에 사용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툴(200)을 록킹 플레이트(20) 내 리세스(60) 내로 삽입함으로써, 힘이 파스너들(30', 30")의 축 방향에서 위쪽으로 가해지고, 파스너들(30', 30")과 록킹 플레이트(20) 사이의 접합부를 파손시키게 된다. 접합부는 가해지는 회전 토크에 의한 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접합부는  파스너들(30', 30")과 록킹 플레이트(20)가 함께 하나의 단일 유닛으로 유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강하게 그렇지만 파스너들(30', 30")의 축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수작업으로 파손될 수 있을 정도로 약하게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도해적이고 설명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 설명하였다. 전술한 형태들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 배타적이게 할 의도로 설명한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많은 변형과 변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와 실용적인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한 실시형태들을 선택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전문가라면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본 발명을 이해하고 의도하는 용도에 적합하게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구조물(12)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으로, 상기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은 록킹 플레이트(20); 각각이 육각형 부분(32', 32")을 포함하는 제1 파스너(30') 및 제2 파스너(30")를 포함하고, 록킹 플레이트(20)는 제1 단부 섹션(22'), 제2 단부 섹션(22") 및 두 단부 섹션들(22', 22") 사이에 중앙 섹션(24)을 포함하고, 록킹 플레이트(20)의 중앙 섹션(24)은 파스너들(30', 30")의 육각형 부분들(32', 32") 사이에 배치되어 파스너들(30', 30")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에 대항하여 파스너들(30', 3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에 있어서,
    파스너들(30', 30")이 제1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과 록킹 플레이트(20)의 제1 단부 섹션(22') 사이의 제1 부착 지점(50')과 제2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과 록킹 플레이트(20)의 제2 단부 섹션(22") 사이의 제2 부착 지점(50")에서 록킹 플레이트(2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파스너들(30', 30")이 용접에 의해 록킹 플레이트(2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단부 섹션(22')은 제1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 둘레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암 부분(26')으로 구성되고, 제2 단부 섹션(22")은 제2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 둘레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암 부분(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부착 지점(50')은 제1 암 부분(26')과 제1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부착 지점(50")은 제2 암 부분(26")과 제2 파스너(30")의 육각형 부분(32")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파스너들(30', 30")의 육각형 부분들(32', 32")은 제1 사이드(34', 34"), 제1 사이드(34', 34")와 인접하고 있는 제2 사이드(36', 36") 및 제2 사이드(36', 36")와 인접하고 있는 제3 사이드(38', 38")를 구비하고, 제1 사이드(34', 34")는 중앙 섹션(24)의 단측과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6. 제3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제1 암 부분(26')과 제2 암 부분(26")은 각 육각형 부분들(32', 32")의 제2 사이드(36', 36") 및 적어도 제3 사이드(38', 38")의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부착 지점들(50', 50")이, 육각형 부분들(32', 32")의 제3 사이드(38', 38")에서 각 파스너(30', 30")와 중앙 섹션(24)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8. 제2항에 있어서,
    각 부착 지점(50', 50")의 용접부는 3mm 미만의 유효 목두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플레이트(20)의 두께가 파스너들(30', 30")의 육각형 부분들(32', 32")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록킹 플레이트(20)는 중앙 섹션(24)의 한쪽 길이 방향 사이드로부터 연장하는 리세스(60)를 포함하되, 상기 리세스(60)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이 부착되기에 적합한 구조물(12)을 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리세스(60)는, 리세스가 슬롯형 나사 드라이버 헤드 형상에 대응되게 경사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12. 차량(1)으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록킹 플레이트 유닛(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플레이트 유닛.
KR1020197006426A 2016-08-22 2017-08-09 록킹 플레이트 유닛 및 그러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KR20190039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651122A SE541741C2 (en) 2016-08-22 2016-08-22 A locking plate unit comprising a locking plate and two adhered fasteners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locking plate unit
SE1651122-2 2016-08-22
PCT/SE2017/050804 WO2018038660A1 (en) 2016-08-22 2017-08-09 A locking plate unit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locking plate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186A true KR20190039186A (ko) 2019-04-10

Family

ID=6124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426A KR20190039186A (ko) 2016-08-22 2017-08-09 록킹 플레이트 유닛 및 그러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500762B1 (ko)
KR (1) KR20190039186A (ko)
CN (1) CN109642601B (ko)
BR (1) BR112019001832B1 (ko)
SE (1) SE541741C2 (ko)
WO (1) WO20180386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806A (en) * 1883-11-06 Screw or nut fastening for railway-bar joints
US720769A (en) * 1902-05-03 1903-02-17 William H Woodworth Spring-plate nut-lock.
US2707507A (en) * 1950-02-06 1955-05-03 Grip Nut Co Weld nut
DE1143364B (de) * 1961-02-04 1963-02-07 Porsche Kg Schraubensicherung
US3490508A (en) * 1968-03-14 1970-01-20 Blackhawk Co Nut or bolt retainer
US4329097A (en) * 1980-05-15 1982-05-11 Allis-Chalmers Corporation Adjustable positive means for locking studs and nuts having critical prestress value
US4893975A (en) * 1988-11-07 1990-01-16 Allied-Signal Inc. Locking device for engagement onto bolt heads
US5407310A (en) * 1993-10-19 1995-04-18 Agape Plastics, Inc. Mounting plate assembly
DE19519761A1 (de) * 1995-05-30 1996-12-05 Emhart Inc Bolzenschweißmutter mit einem umlaufenden, sich konisch verjüngenden Kragen
DE19545092A1 (de) * 1995-12-01 1996-12-19 Marius Joschko Schraubensicherungsblech
DE19640143C2 (de) * 1996-09-28 2001-08-02 O & K Mining Gmbh Schraubensicherung
GB2340575B (en) * 1998-08-10 2002-02-20 Rodney Alexander Palfreyman Retaining device
DE19908134A1 (de) * 1999-02-25 2000-08-31 Abb Alstom Power Ch Ag Sicherungsvorrichtung für eine Schraube oder eine Schraubenmutter
AU5749400A (en) * 1999-06-17 2001-01-09 Buschman Company, The Live conveyor roller axle lock assembly
US6543978B2 (en) * 2001-03-28 2003-04-0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Restraint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ed fasteners
US6811363B1 (en) * 2003-02-25 2004-11-02 Dana Corporation Floating cage nut assembly
GB0403686D0 (en) * 2004-02-19 2004-03-24 Rolls Royce Plc Nut retaining
JP4568012B2 (ja) * 2004-04-15 2010-10-27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ボルト締結構造
US9340065B2 (en) * 2014-03-05 2016-05-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urn limited wheel lug nut and nut cap
EP2993361A1 (en) * 2014-09-02 2016-03-09 Caterpillar Energy Solutions GmbH Method and device for locking scre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2601B (zh) 2022-04-01
EP3500762A4 (en) 2020-05-06
BR112019001832B1 (pt) 2022-10-11
BR112019001832A2 (pt) 2019-05-07
CN109642601A (zh) 2019-04-16
EP3500762B1 (en) 2023-08-09
EP3500762A1 (en) 2019-06-26
WO2018038660A1 (en) 2018-03-01
SE541741C2 (en) 2019-12-03
SE1651122A1 (en) 201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1053B2 (ja) H型鉄骨の上フランジ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組み付け用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組み付け方法
WO2009104425A1 (ja) ソケットレンチ用ソケット及び被締付け部材の固定方法
JP3718596B2 (ja) 振動溶着装置
WO2006018963A1 (ja) ネジ部品の回転防止具及びこれを使用して部品を取付けた鉄道車両用補助電源装置
JPH1143920A (ja) 防舷材受衝板のパッド固定構造
JP2006220210A (ja) 介在部材、締付具、及び被締付体
WO2015186264A1 (ja) 流体圧シリンダ用センサ取付装置
KR20190039186A (ko) 록킹 플레이트 유닛 및 그러한 록킹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KR20120078720A (ko) 시트들을 고정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3433726B2 (ja) 回転式締め付け具の回り止め機構、これに用いる第1及び第2の座金並びに当該機構の解除方法
KR20100038303A (ko) 겹쳐진 플레이트 및/또는 부품의 작업편 조립용 마운팅/조립 요소
JP6333453B1 (ja) 勾配座金供回り防止具及びチャンネル材への勾配座金及びボルトの取付方法
JP2006265837A (ja) グレーチングの固定具
JP4022123B2 (ja) 覆工板の締結装置
JP3111678U (ja) ネジ山修正ダイス
JP3121214U (ja) 回転阻止カバー付ワッシャを有する防犯連結ボルト装置
JP3433725B2 (ja) 回転式締め付け具の回り止め機構、これに用いる第1及び第2の座金並びに当該機構の解除方法
JP5044294B2 (ja) 接合方法
JP4133483B2 (ja) ボルト締結構造
JP5322540B2 (ja) フレーム
KR0126917Y1 (ko) 해체볼트
WO2004036062A1 (ja) 締結具
EP2132448B1 (en) Component joining
JP2007211461A (ja) 閉鎖断面柱及びこれを用いた接合構造
JP2009034733A (ja) ボルト/ナットの供回り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