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697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5697A KR20190025697A KR1020197003241A KR20197003241A KR20190025697A KR 20190025697 A KR20190025697 A KR 20190025697A KR 1020197003241 A KR1020197003241 A KR 1020197003241A KR 20197003241 A KR20197003241 A KR 20197003241A KR 20190025697 A KR20190025697 A KR 201900256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
- car
- details
- ascending
- elevator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체 위에서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는 쐐기 형상의 제동자를 갖고, 승강체의 현가체와 병행하게 승강로 내에 조속기 로프가 설치되며, 승강체가 이상하게 가속된 경우에 조속기에서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제동자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부와, 현가체의 파단시의 승강체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을 이용하여 제동자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제 2 부세부를 구비하고, 제 1 부세부와 제 2 부세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제동자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카와 균형추가, 승강로 상단 또는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에 설치된 권상기(卷上機)를 거쳐서 주(主) 로프로 두레박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권상기의 회전에 의해 카가 상하로 이동한다. 이 권상기에는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가 이상(異常)하게 가속된 경우 등의 이상을 검지하면, 권상기 브레이크가 동작하여, 카를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부가하여, 주 로프가 파단되거나, 권상기와 주 로프의 사이에서 미끄러짐 등이 발생하여, 권상기 브레이크가 작용하지 않고, 카가 하방으로 가속된 경우의 안전 장치로서, 카 위에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여 카를 감속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 비상 멈춤을 구동하기 위해서, 승강로 내에 주 로프와 병행(竝行)하게 조속기 로프가 상하 2개의 활차(滑車)에 의해 루프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비상 멈춤을 거쳐서 카와 접속되어 있으며, 통상 상태에서는, 카와 연동되어 상하하도록 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의 상단의 활차는 조속기(調速機)로 되어 있으며, 조속기에는 이상인 속도로 회전하면 조속기 로프의 이동을 제약하는 기구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카가 이상 속도에 달하면, 조속기 로프와 카 변위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 차이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가 동작하여 카가 감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승강로의 하단의 피트에는 완충기가 마련되며, 비상 멈춤으로 감속할 수 없었던 경우에 카를 감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통상의 조속기는, 카 위치에 따르지 않고 일정한 속도를 검출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정격 속도에 따라서, 완충기의 상정 충돌 속도가 증대되고 완충기가 대형화되어 승강로의 피트가 길어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조속기 로프 스스로가 갖는 관성력이 카의 가속도에 비례하여 커지는 것을 이용하여, 카가 자유 낙하할 때에 카 속도에 의하지 않고 비상 멈춤을 동작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가 있다. 이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카가 최하층 부근에 있을 때에 로프 파단에 의해 카가 낙하한 경우에, 정격 속도에 도달하기 전에 비상 멈춤이 동작하기 때문에 완충기의 상정 충돌 속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여, 완충기의 소형화, 피트의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고 여겨진다.
최하층 부근에서의 주 로프 파단시에 카 속도에 의하지 않고, 비상 멈춤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조속기의 관성력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비상 멈춤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조속기의 회전 관성을 이용하여 동작시키는 비상 멈춤은, 조속기 로프의 진동에 의해 관성력이 변동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승강 행정이 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이 영향이 현저하게 되어, 완충기의 단축이 어려운 조건도 있었다.
다른 방식으로서, 주 로프의 파단을 카의 낙하가 아닌, 카와 주 로프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장력 변화를 통해 검출하여 비상 멈춤을 동작시키는 구조(슬랙식)를 이용하는 것도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주 로프의 장력 저하를 검출하여 비상 멈춤을 동작시키는 방식은, 승강로가 짧은 엘리베이터에서 적용되는 예는 있었지만, 조속기계(調速機係)와 병용하는 경우, 장력 저하에 의한 비상 멈춤 인상시에 조속기계의 관성력이 인상 저항이 되어, 비상 멈춤이 동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비상 멈춤의 제동자를 구동하는 2종류의 부세 기구를 가지면서, 비상 멈춤이 동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체 위에서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는 쐐기 형상의 제동자를 갖고, 승강체의 현가체와 병행하게 승강로 내에 조속기 로프가 설치되며, 승강체가 이상하게 가속된 경우에 조속기에 있어서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제동자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부와, 현가체의 파단시의 승강체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을 이용하여 제동자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제 2 부세부를 구비하고, 제 1 부세부와 제 2 부세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제동자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 멈춤의 제동자를 구동하는 2종류의 부세 기구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에 의해, 조속기에 의한 부세 동작과 장력 검출에 의한 부세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동자가 인상될 때에, 다른 한쪽 부세 기구가 제동자와 분리되어, 저항으로서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로프 파단이 발생하고 나서, 비상 멈춤이 작용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도이다.
도 2는 통상 주행 중의 카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조속기 작동시의 카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로프가 파단되었을 때의 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2:1 로핑 구성으로 하는 경우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로프 밀어올리기 식의 로핑(underslung roping)으로 하는 경우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제동자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제동자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압축에 의해 카측 홈부의 블록을 변위시키는 구성의 부세부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압축에 의해 카측 홈부의 블록을 변위시키는 구성의 부세부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맞물림 기구를 갖는 부세부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맞물림 기구를 갖는 부세부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동작 제약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카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동작 제약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카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동작 제약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카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7에 있어서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7의 개변 형태에 있어서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8에 있어서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카가 자유 낙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조속기가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6은 실시형태 10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7은 실시형태 10에 있어서의 카가 자유 낙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실시형태 10에 있어서의 조속기가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실시형태 10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30은 실시형태 1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31은 실시형태 11에 있어서의 조속기가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통상 주행 중의 카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조속기 작동시의 카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로프가 파단되었을 때의 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2:1 로핑 구성으로 하는 경우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로프 밀어올리기 식의 로핑(underslung roping)으로 하는 경우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제동자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제동자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압축에 의해 카측 홈부의 블록을 변위시키는 구성의 부세부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압축에 의해 카측 홈부의 블록을 변위시키는 구성의 부세부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맞물림 기구를 갖는 부세부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맞물림 기구를 갖는 부세부 받이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동작 제약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카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동작 제약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카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동작 제약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카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7에 있어서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7의 개변 형태에 있어서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8에 있어서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카가 자유 낙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조속기가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6은 실시형태 10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7은 실시형태 10에 있어서의 카가 자유 낙하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실시형태 10에 있어서의 조속기가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실시형태 10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30은 실시형태 1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31은 실시형태 11에 있어서의 조속기가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3), 디플렉터 시브(deflector sheave; 4)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 시브와, 구동 시브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 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전자(電磁) 브레이크)를 갖고 있다.
권상기 브레이크는, 구동 시브와 동축으로 결합된 브레이크 휠(break wheel)(드럼 또는 디스크)과, 브레이크 휠에 접리되는 브레이크 슈와,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휠에 가압 제동력을 인가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브레이크 스프링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슈를 브레이크 휠로부터 개리(開離)시켜 제동력을 해제하는 전자 마그넷을 갖고 있다.
권상기(3) 및 디플렉터 시브(4)에는, 현가체(6)가 감겨있다. 현가체(6)로서는,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복수 개의 벨트가 이용되어 있다. 현가체(6)의 제 1 단부에는, 승강체로서의 카(7)가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6)의 제 2 단부에는, 승강체로서의 균형 추(8)가 접속되어 있다.
카(7) 및 균형 추(8)는, 현가체(6)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으며, 권상기(3)에 의해 승강로(1) 내가 승강된다. 제어 장치(5)는 권상기(3)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설정한 속도로 카(7)를 승강시킨다.
승강로(1) 내에는, 카(7)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쌍의 카 가이드 레일(9)과, 균형 추(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쌍의 균형 추 가이드 레일(10)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저부에는, 카(7)의 승강로 저부로의 충돌을 완충시키는 카 완충기(11)와, 균형 추(8)의 승강로 저부로의 충돌을 완충시키는 균형 추 완충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카(7)에는, 카 가이드 레일(9)에 결합하여 카(7)를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13)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13)로서는, 점진식(progressive type) 비상 멈춤 장치가 이용되어 있다(일반적으로, 정격 속도가 45m/min를 초과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점진식 비상 멈춤 장치가 이용된다).
또한, 카(7)에는, 현가체(6)와 카(7) 사이의 장력에 따라서 변화하는 탄성체를 이용한 장력 검출 기구(15)가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카(7)의 과속도 주행을 검출하는 조속기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는 조속기 시브(16a), 과속도 검출 스위치 및 로프 캐치 등을 갖고 있다. 조속기 시브(16a)에는, 조속기 로프(17)가 감겨있다.
조속기 로프(17)는 승강로(1) 내에 환상으로 부설되며, 카(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조속기 로프(17)는 승강로(1)의 하부에 배치된 텐션 시브(tension sheave; 18)에 감겨져 있다. 카(7)가 승강되면, 조속기 로프(17)가 순환 이동되고, 카(7)의 주행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조속기(16)의 조속기 시브(16a)가 회전된다.
조속기에서는, 카(7)의 주행 속도가 과속도에 도달한 것이 기계적으로 검출된다. 검출하는 과속도로서는, 정격 속도(Vo)보다 높은 제 1 과속도(Vos)와, 제 1 과속도보다 높은 제 2 과속도(Vtr)가 설정되어 있다.
카(7)의 주행 속도가 제 1 과속도(Vos)에 도달하면,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된다.
과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되면, 권상기(3)로의 급전이 차단되고, 권상기 브레이크에 의해 카(7)가 급정지된다.
카(7)의 하강 속도가 제 2 과속도(Vtr)에 도달하면, 로프 캐치에 의해 조속기 로프(17)가 파지되어, 조속기 로프(17)의 순환이 정지된다.
도 2는, 통상 주행 중의 카(7)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3은, 조속기 작동시의 카(7)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후술하는 도 4는, 제 1 부세부 또는 제 2 부세부가 동작했을 때의 비상 멈춤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기도 하다. 비상 멈춤(13)은, 쐐기 형상의 제동자(19)와 가이드(20)로 이루어지며, 제동자가 상방으로 변위되면,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레일측으로 압입되어, 레일을 파 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동자(19)는 카 내측에 마련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크(21)에 고정되어 있으며, 링크(21)의 회전과 제동자의 상하 변위는 연동된다.
이 링크에는, 제동자의 상방으로의 변위를 억제하도록, 스프링 정수가 낮은 진동 억제 스프링(22)이 카(9)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카 진동에 의한 제동자의 진동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제동자의 하부에는, 부세부가 접촉하도록 부세부 받이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부세부(24)는 조속기 로프(17)에 고정되며, 카와 오동작 방지 스프링(25)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오동작 방지 스프링(25)은, 비상 멈춤 내의 진동 억제 스프링(22)보다 높은 스프링 정수를 갖고 있으며, 제 1 부세부(24)를 미리 하방으로 부세하고, 조속기에 있어서 로프 캐치되어 조속기 로프의 순환이 정지되는 경우 이외는, 조속기 로프(17)와 카(7)가 일체로 상하 동작하도록 보지하고 있다.
현가체(6)와 카(7)의 접속부에 있어서는, 장력 검출 기구(15)가 마련되어 있으며, 현가체(6)의 종단부와 직접 접속되고 상하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스프링 보지부로서의 스프링 고정판(26)이 마련되며, 스프링 고정판(26)은, 탄성체(27)를 거쳐서 카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체의 작용을 받으면서, 현가체의 장력이 높을수록 스프링 고정판(26)은 상방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고정판(26)의 측방에, 스프링 고정판과 접하도록 장력 검출 링크(28)가 마련되어 있으며, 카 위의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장력 검출 링크(28)에 있어서의, 스프링 고정판(26)과의 접속측과 반대측에 제 2 부세부(29)가 마련되어 있으며, 현가체(6)의 파단시에, 탄성체의 작용에 의해 스프링 고정판이 하방으로 변위되면, 제 2 부세부(29)는 상방으로 변위된다.
제 1 부세부(24) 및 제 2 부세부(29)는, 제동자 아래의 부세부 받이부(23)와 접하는 위치에 병렬로 배치되며, 통상 상태에서는 모두 접촉 상태로 되어 있다.
어느 하나의 부세부가 상방으로 변위되면, 변위된 부세부와 제동자가 연동되어, 비상 멈춤이 작동한다. 그러나, 다른 한쪽의 부세부는, 제동자로부터의 힘의 작용이 없기 때문에, 제동자와는 떨어져 운동한다.
그 결과, 조속기에 있어서 카 속도의 이상을 검출하여, 로프가 파지된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제 1 부세부(24)가 상방으로 변위되어, 비상 멈춤이 동작한다. 이 때, 제 2 부세부(29)는, 비상 멈춤의 인상 동작에 관계하지 않으며, 제 2 부세부(29)의 관성력이 동작의 저항이 되는 일이 없다.
한편, 로프가 파단되어, 장력 검출 기구(15)의 스프링 고정판(26)이 하방으로 변위된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제 2 부세부(29)가 상방으로 변위되어, 비상 멈춤이 동작하고, 이 경우도 제 1 부세부(24) 및 조속기 로프(17)의 관성력이 동작의 방해가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세부(24) 및 제 2 부세부(29)와 접촉할 수 있는 부세부 받이부(23)는 제동자(19)의 하부에 마련하는 대신에, 제동자와 연동되는 링크(21)와 접촉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제동자의 진동을 억제하는 진동 억제 스프링(22)은, 제동자(19)에 직접 접속하도록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장력 검출 기구(15)의 스프링 고정판은, 복수 개 있는 현가체(6) 전체의 합계 장력에 따라서 변위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혹은, 현가체의 일부의 장력 변동에 따라서 변위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 고정판(26)은 로프 장력 저하에 의해 하방향으로 동작하는 구성이 아니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카 위에 활차를 마련하고, 로프 장력 저하에 의해 스프링 고정판(26)이 상방으로 동작하는 구성으로 하여, 직접, 제 2 부세부(29)를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 : 1 로핑(roping)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카 위의 서스펜션 시브(suspension sheave; 30)와 카 사이에 탄성체(27)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실현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 아래에 주 로프를 통과시키는 로프 밀어올리기식 엘리베이터(underslung elevator)라도, 카 아래의 서스펜션 시브(31) 사이의 현가체(6)로의 접촉부(32)를 마련하고, 스프링 고정판(26)과 연동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조속기계에 의한 비상 멈춤 동작과 로프 파단 검지나 가속도 검지에 의한 비상 멈춤 동작의 기구를 병용하는 경우에, 서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민첩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동자와 승강체 사이에 탄성체를 마련하여 통상 주행시에 제동자를 초기 위치에 유지하므로, 통상 주행 중의 제동자의 진동을 억제하여 오동작이나 소음의 발생을 저감하면서, 부세부에 의한 제동자 인상시에는, 저항이 되지 않도록 충분히 작은 스프링력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인상 동작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세부를 구동하는, 카의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은 현가체의 파단시에 발생하는 스프링 고정판의 운동이므로, 제 2 부세부로서 로프 장력 검출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로프 파단시에 비상 멈춤이 동작한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2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압축에 의해 링크 선단이 인입되는 구성의 부세부 받이부의 확대도이며, 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압축에 의해 링크 선단이 인입되는 구성의 부세부 받이부의 확대도이며, 로크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제동자와 연동되는 링크 상의 진동 억제 스프링(22)을 설치하는 대신, 부세부 받이부(23)의 내부에 로크 기구(33)를 마련하고, 제 1 부세부(24) 및 제 2 부세부(29)가 모두 초기 위치에 있는 경우는, 로크 기구(33)의 링크의 자중에 의해, 링크의 선단(34)은 돌출된 상태가 되어, 카 위의 홈(35)이 맞물린 상태가 된다. 이 때, 제동자(19)에 관성력이 생겨도, 홈(3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자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8과 같이, 제 1 부세부(24)가 상방으로 변위되면, 부세부의 상승 운동의 초기에서, 링크의 변형에 의해, 링크의 선단(34)이 카 가이드 레일(9)측으로 인입되어, 카 위의 홈(35)의 맞물림 상태가 해소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세부(29)가 상방으로 변위된 경우도, 부세부의 상승 운동의 초기에 로크 기구가 해제된다.
그 결과, 제동자(19)는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지고, 부세부의 작용에 의해 제동자는 더욱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비상 멈춤이 동작한다.
이 기구의 경우도, 부세부 받이부(23)를 제동자(19)의 저면에 마련하는 대신에, 제동자와 연동되는 링크의 하부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측 홈부의 블록을 변위시키는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압축에 의해 카측 홈부의 블록을 변위시키는 구성의 부세부 받이부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로크 상태를 도시하고, 도 10은 로크 해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측의 홈(35)을 탄성체(36)로 보지된 블록(37) 위에 마련하고, 홈 맞물림부(38)는 변화하지 않으며, 부세부의 접근에 의해 링크(39)가 변형되어, 블록(37)을 압입하여 홈(35)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구성 등, 부세부와 제동자 사이의 위치 변화를 이용하여 맞물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면, 어떠한 링크 구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동자를 초기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 기구에 의해, 통상 주행 중의 제동자의 진동을 억제하여 오동작이나 소음의 발생을 저감하면서, 부세부에 의한 제동자 인상시에는, 로크가 간단하게 해제되는 기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인상 동작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3은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형태 1 또는 2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11은, 실시형태 3의 부세부 받이부(23)의 확대도이며, 맞물림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3의 부세부 받이부(23)의 확대도이며, 조속기 로프측 인상시(맞물림 기구가 동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1의 제동자와 부세부의 접촉부에 있어서, 부세부에 홈(41)이 마련되고, 초기 상태에서는 부세부를 자유 자재로 변위할 수 있도록 보지된 링크(40)가 마련되며, 부세부가 한번 상방으로 변위되어, 제동자 받이 내에 침입하면, 링크(40)는 제동자 받이 위에서 회전하고, 부세부의 홈(41)과 맞물리는 것에 의해, 부세부와 제동자(19)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동자와 연결된 후에는, 부세부가 하방으로 변위되면, 연동되어 제동자도 하방으로 변위되도록 접속된다.
이 경우, 다른 한쪽의 부세부와 제동자 사이에서는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한쪽의 부세부가 제동자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제동자와 부세부가 연결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비상 멈춤이 동작한 후에, 비상 멈춤을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에, 구동한 부세부를 하방으로 변위시키면 제동자는 원활하게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승강로에 있어서, 비상 멈춤이 동작하는 위치를 지정하지 못하고, 복귀 작업을 실행할 때에, 비상 멈춤의 주위로부터의 액세스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때, 제동자와 제 1 부세부 및 조속기 로프가 연결되어 있으면, 조속기 로프에 강제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제동자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카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기구의 해제 작업(맞물림 상태의 해제 작업)은 주위로부터의 액세스 가능한 위치에 카를 이동시킨 후 실행하면 좋다.
또한, 연결 기구를, 조속기 로프측의 제 1 부세부(24)에만 마련한 경우는, 제 2 부세부(29)에 의해 카 정지 후에 조속기 로프(17)를 수동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제동자와 연결시키는 작업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복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 나타내는 제동자(19)와 부세부 사이의 상대 변위에 의해 제동자 동작 제약이 해제되는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동자와, 제 1 부세부 또는 제 2 부세부의 접촉부에 있어서, 제동자의 상승 동작이 개시된 경우에, 제동자를 상방으로 부세한 부세부와, 제동자를 연결하는 기구를 갖고 있으므로, 비상 멈춤 동작 후의 복귀 작업시에, 조속기 로프나 로프 장력 검지 기구를 인장하는 것에 의해 제동자를 초기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4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형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실시형태 4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동자(19)의 하방의 부세부 받이부(23)에 접하도록 제 1 부세부(24) 및 제 2 부세부(29)가 마련되며, 어느 하나가 상방으로 변위되면, 제동자(19)가 카 가이드 레일(9)을 파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장력 검출 기구(15)에 있어서, 스프링 고정판(26)이 하방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작 제약판(42)이 마련되어 있다. 동작 제약판(42)은 카 위의 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작 억제 링크(43)와 접속되며, 동작 억제 링크(43)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 고정판(26)의 상하 변위를 제약하지 않는 수평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동작 억제 링크(43)의 다른 한쪽 단부는, 카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승강로 위의 최하층 부근의 동작 제약 해제 위치(44)보다 하방에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돌기부(45)와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은, 동작 억제 링크(43)에 있어서의 카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가 돌기부(45)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며, 도 14는, 해당 단부가 돌기부(45)와 접촉한 상태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7)가 동작 제약 해제 위치(44)보다 하방에 도달하면, 동작 억제 링크(43)가 돌기부(45)와 접촉하여 동작 제약이 해제된다.
반대로, 카(7)가 최하층으로부터 상승 주행하여, 동작 제약 해제 위치(44)보다 상방으로 변위된 경우, 동작 억제 링크(43)는 중력에 의해 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프링 고정판(26)의 상하 방향의 변위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 구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카(7)가 최하층 부근에 있는 경우에만, 현가체(6)의 장력 저하에 의해 비상 멈춤이 동작하는 기구가 되어, 카 위치가 높은 경우의, 장력 검출에 의한 비상 멈춤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억제 링크(43)를 회전 전후의 위치에서 보지되는 구조로 하고, 승강로측 돌기부를 동작 제약 해제 위치의 전후에만 마련하여, 동작 제약 해제 위치를 통과할 때마다, 동작 억제 링크를 동작 제약 위치·해제 위치에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2 : 1 로핑의 엘리베이터에서, 카 위의 서스펜션 시브와 카 사이에 스프링을 마련한 경우, 카 아래에 주 로프를 통과시키는 로프 밀어올리기식 엘리베이터에서, 카 아래의 주 로프에 접하여, 장력에 의해 변위되는 구조를 마련하는 경우라도, 스프링 고정판을 마련하고, 승강로측 돌기부와의 접촉에 의해 변위되는 링크를 이용하여, 동작 제약 해제 위치보다 하방에서 스프링 고정판의 동작 제약을 해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로프 장력 검출 기구를 승강로의 하부에서만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오동작을 억제한다. 또한, 로프 장력 검출 기구가 동작 가능한 승강로의 하부를 정격 속도로부터의 감속 개시 위치 이하로 한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5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형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16은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카부 확대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가체(6)와 조속기 로프(17) 이외에, 승강로가 긴 엘리베이터에서는, 권상기의 양측 하중의 언밸런스를 억제하기 위해, 승강로의 하단에 설치된 균형 시브(compensating sheave; 47)를 거쳐서, 카(7)와 균형추(8)의 하방을 연결하도록 균형 로프(46)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균형 로프(46)는 카 위치가 최상층에 있는 경우는, 카측의 부위가 길어지기 때문에 카측에 걸리는 하중이 커지고, 카가 최하층에 있는 경우에는, 균형추측의 부위가 길어져서 카측에 걸리는 하중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카측이 매달림 위치(48)에 걸리는 장력은 카 위치에 따라서 변화한다. 실시형태 4에 있어서 승강로측의 돌기부를 마련하는 대신, 균형 로프(46)와 카(7) 사이의 장력을 이용하여 카 위에 활차를 마련하고, 장력 검출 기구(15) 내에 균형 로프 접속부(49)를 마련하고, 균형 로프 접속부(49)와 카 사이에 탄성체(50)를 마련하고, 상기 스프링 고정판(26)의 동작 제약판(42)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카가 동작 제약 해제 위치(44)보다 하방에 있는 경우에, 동작 제약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카 위치가 높고 균형 로프의 장력이 높을 때에 동작은 억제되어 있으며, 로프 장력 검출 기구를 승강로의 하부에서만 동작시킴으로써 오동작을 억제한다. 또한, 균형 로프의 장력을 이용하여 동작을 전환하기 때문에, 승강로측에 추가 기구를 마련하지 않고, 최하층에서만 로프 장력 저하 검출의 비상 멈춤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기구에서는, 승강로측에 돌기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도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균형 로프 대신에, 균형 시브를 갖지 않는 체인에 의해 언밸런스의 억제를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도 동일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전원 공급을 목적으로 하여, 건물측과 카 사이에 U자형으로 설치되는 제어 케이블을 균형 로프 대신 이용하여도, 마찬가지로 카 위치에 따라서 장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스프링 고정판(26)의 동작 제약 기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6은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형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17에 실시형태 6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실시형태 1 내지 5와 마찬가지로 제동자(19)는 상방으로 인상되면, 가이드(20)의 작용에 의해 카 가이드 레일(9)에 가압되어, 카 가이드 레일(9)과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카를 감속시킨다. 또한, 도 17에서는 도시 생략하지만, 실시형태 1 내지 5와 마찬가지로, 제동자(19)는 카 위의 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크(21) 위에 설치되고, 카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제동자가 상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와 링크 사이에 진동 억제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와 병행하게 조속기 로프(17)가 설치되고, 조속기(16)가 이상 속도를 검출하면, 조속기 로프(17)가 파지되어 제 1 부세부(24)가 상방으로 부세된다.
제 2 부세부(29)는 가속도 검출부(51)에 접속되어 있다. 가속도 검출부는 추(52)와 탄성체(53)로 이루어지며, 통상 상태에서는, 추(52)에 걸리는 중력에 의해 탄성체(53)가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2 부세부(29)는 추(52)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추(52)의 상하 변위에 연동되어 상하로 변위된다. 현가체(6)의 파단에 의해 카(7)가 자유 낙하할 때, 추(52)의 관성력에 의해, 추(52)는 카(7)에서 바라볼 때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변위된다. 이 동작에 의해 제 2 부세부(29)가 제동자(19)를 상방으로 부세한다.
제동자의 하방의 부세부 받이부(23)에 접하도록 제 1 부세부(24) 및 제 2 부세부(29)가 병렬로 배치되며, 통상 상태에서는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조속기(16)에서 로프 파지되어 제 1 부세부(24)가 상방으로 변위되면, 제 1 부세부와 제동자(19)가 연동되어 비상 멈춤이 작동한다. 이 때, 제 2 부세부(29)는 부세부 받이부(23)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제동자(19)의 인상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대로, 카의 가속도를 검출하여, 제 2 부세부(29)가 상방으로 변위될 때에는, 제 1 부세부(24) 및 제 1 부세부와 접속되어 있는 조속기 로프(17)의 관성력은 제동자(19)의 인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부세부는 제동자(19)의 자중과 제동자와 연동되는 링크(21)에 마련된 진동 억제 스프링(22)에 대한 힘을 부세하면 되므로, 다른 한쪽의 부세부에 의한 관성력이 동작의 방해가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부세부로서 스프링 보지추의 진동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카 가속도에 따라서 비상 멈춤이 동작할 때에, 조속기계의 관성이 저항이 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형태 2와 같이, 부세부 받이부(23) 내에 제동자(19)를 카에 고정하는 기구를 이용하여, 부세부의 변위에 의해 제동자(19)의 고정이 해제되는 기구를 맞추어 이용하여도 좋고, 실시형태 3과 같이, 부세부가 제동자를 밀어올리고 있을 때에, 제동자와 부세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추가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7은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형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18에 실시형태 7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실시형태 6과 마찬가지로, 제동자(19)의 하방의 부세부 받이부(23)에 접하도록 제 1 부세부(24) 및 제 2 부세부(29)가 마련되며, 어느 하나가 상방으로 변위되면, 제동자(19)가 카 가이드 레일(9)을 파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추(52)의 초기 위치로부터 상방으로의 변위를 억제하는 위치에 추 변위 억제판(54)이 마련되어 있으며, 추 변위 억제판(54)은 동작 억제 링크(43)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동작 억제 링크(43)의 다른 한쪽은 카의 외측에서, 승강로 위에 마련된 돌기부(45)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45)는, 최하층 정지 위치 부근에 마련된 동작 제약 해제 위치(44)보다 하방에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카(7)가 최상층으로부터 하강 주행하여 동작 제약 해제 위치(44)보다 하방으로 이동하면, 동작 억제 링크(43)가 회전하고, 추 변위 억제판(54)은, 추(52)의 상방으로의 변위를 제약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반대로, 카가 최하층 정지 위치로부터 상승 주행하여, 동작 제약 해제 위치(44)보다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동작 억제 링크(43)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고, 추 변위 억제판(54)이 추(52)의 상방으로의 변위를 제약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효과에 의해, 최하층 부근 이외에서는, 제 1 부세부에 접속된 조속기(16)에 의해 제 1 과속도 및 제 2 과속도를 검출하여 카를 감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최하층 부근에서는, 카(7)의 낙하 개시 후에 카가 제 1 과속도까지 가속되기 전에, 추(52)의 진동으로 가속도를 검출하여 제 2 부세부(29)에 의해 비상 멈춤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완충기로의 충돌 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본 예는, 추 진동식에서, 동작을 최하층 부근으로 한정하는 것에 의해 오동작의 확률을 낮춘다. 또한, 승강로 상부 돌기를 이용하여, 최하층 부근에서 동작을 전환시키는 것에 의해, 스프링 보지추식 비상 멈춤의 동작 범위를 한정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5와 마찬가지로, 균형 로프나 제어 케이블의 장력을 이용하여 추 변위 억제판(54)을 이동시키는 구조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균형 로프나 제어 케이블의 장력을 이용하여 최하층에서 동작을 전환하기 때문에, 승강로측에 추가 기기를 마련하지 않고, 스프링 보지추식 비상 멈춤의 동작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8.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8은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형태 1 내지 7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20에 실시형태 8의 엘리베이터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실시형태 1 내지 5와 마찬가지로 제동자(19)는 상방으로 인상되면, 가이드(20)의 작용에 의해 카 가이드 레일(9)에 가압되어, 카 가이드 레일(9)과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카를 감속시킨다. 또한, 도 20에서는 도시 생략하지만, 실시형태 1 내지 5와 마찬가지로, 제동자(19)는 카 위의 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링크(21) 위에 카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제동자가 상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와 링크 사이에 진동 억제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다.
제동자의 하방의 부세부 받이부(23)에 접하도록 제 1 부세부(24) 및 제 2 부세부(29)가 병렬로 배치되며, 통상 상태에서는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카와 병행하게 조속기 로프(17)가 설치되고, 조속기(16)가 이상 속도를 검출하면, 조속기 로프(17)가 파지되어 제 1 부세부(24)가 상방으로 부세된다.
제 2 부세부(29)는 액추에이터(55)에 접속되어 있다. 통상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55)는 초기 위치에 있는 제동자(19)와 제 2 부세부(29)가 접촉하는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카 위에 마련된 가속도 센서(56)에 의해 카의 가속도를 계산하여 이상인 가속도를 검출하면, 액추에이터(55)에 신호를 발하고, 액추에이터(55)는 신호를 받으면, 제 2 부세부(29)를 상방으로 변위시키도록 구동한다.
조속기(16)에서 로프 파지되어, 제 1 부세부(24)가 상방으로 변위되면, 제 1 부세부와 제동자(19)가 연동되어, 비상 멈춤이 작동하고, 제 2 부세부(29)는 부세부 받이부(23)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제동자(19)의 인상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대로, 제어 장치(5)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55)가 구동하고 제 2 부세부(29)가 상방으로 변위될 때, 제 1 부세부(24) 및 제 1 부세부와 접속되어 있는 조속기 로프(17)의 관성력은 제동자(19)의 인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부세부는 제동자(19)의 자중과 제동자와 연동되는 링크(21)에 마련된 진동 억제 스프링(22)에 대한 힘을 부세하면 되므로, 다른 한쪽의 부세부에 의한 관성력이 동작의 방해가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 2 부세부로서 가속도계로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액추에이터식과 조속기계를 병용하는 구성이어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신호는 카 위의 가속도계 이외에, 제어 장치(5)에서 취득되는 카(7)의 속도 또는 변위 정보로부터 가속도를 계산하거나, 카 위의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로 승강로 위의 고정점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는 것에 의해 취득되는 카의 절대 위치 정보로부터 가속도를 계산하거나, 카 위에서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롤러의 회전을 취득하는 등, 어떠한 센서를 이용하여 가속도를 계산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4나 실시형태 5와 같이, 액추에이터의 상방으로의 변위를 억제하는 판을 마련하고, 승강로 위의 돌기부와의 접촉이나, 균형 로프, 제어 케이블의 장력 변동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동작 제약 해제 위치보다 하방에 카가 있는 경우에만, 기계적인 기구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동작 제약이 해제되는 구성으로 하면, 센서 정보의 에러에 의해 비상 멈춤이 오동작될 가능성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실시형태 9.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대해, 도 21 내지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 내지 도 24는 실시형태 9의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통상시의 부세부와 제동자(19)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1은, 도 22에서 제동자(19)와, 카 가이드 레일(9)과, 조속기 로프(17)를 생략한 도면이다.
제 1 부세부(24)의 일단측은, 연결부(71)를 거쳐서 조속기 로프(17)에 고정되며, 타단측은, 연결부(60)를 거쳐서 가이드(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제 2 부세부(29)는 제 1 부세부(24)보다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부세부(29)의 일단측은, 연결부(65)를 거쳐서 연결봉(6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측은, 연결부(63)를 거쳐서 가이드(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봉(66)은, 제 1 부세부(24)에 마련한 가이드(61a, 61b)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연결봉(66)의 상단에는, U자 형상의 지지 기구(67)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기구(67)의 내부에는 롤러(68)가 배치되어 있으며, 롤러(68)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롤러(68)는 탄성체(53)와 접속되어 있으며, 탄성체(53)의 상단은 추(52)와 접속되어 있다. 탄성체(53)는 추(52)의 중력에 의해 압축되어 있으며, 가이드(20)에 고정된 지지판(69)에서 추(52)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69)에는, 탄성체(53)가 통과 가능한 구멍(70)이 형성되어 있다.
쐐기 형상의 제동자(19)는 연결부(72)를 거쳐서 제 2 부세부(2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제동자(19)는 가이드(20)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현가체(6)의 파단에 의해, 카(7)가 자유 낙하하는 경우의 거동을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카(7)가 자유 낙하를 하면, 추(52)가 관성으로 부상하여, 추(52)의 자중으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체(53)의 압축력이 개방된다.
제 2 부세부(29)는 통상, 연결봉(66)을 거쳐서, 탄성체(53)의 압축력을 받고 있다. 카(7)가 자유 낙하하는 것에 의해 탄성체(53)의 압축력이 개방되면, 제 2 부세부(29)는, 탄성체(64)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그러면, 제 2 부세부(29)는, 연결부(63)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 이동하고, 연결부(72)에 하단측이 연결된 제동자(19)는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제동자(19)가 가이드(20)를 따라서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제동자(19)와 카 가이드 레일(9)이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여, 카(7)의 자유 낙하를 제동한다.
이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제 1 부세부(24)는 제동자(19)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조속기 로프(17)도, 제동자(19)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부세부(24)와는 독립적으로, 제 2 부세부(29)가 작동하는 것에 의해, 현가체(6)의 파단시에, 바로 제동자(19)를 동작시켜서 카(7)의 자유 낙하를 제동할 수 있다.
다음에, 조속기(16)가 카(7)의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의 동작에 대해, 도 22 및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상태에 있어서, 추(52)는, 자중에 의해 지지판(69)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탄성체(53)는 압축되어 있다.
조속기(16)가, 카(7)의 이동 속도가 이상인 것을 검출하면, 조속기(16)에 의해 조속기 로프(17)가 파지되어, 조속기 로프(17)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러면, 연결부(60)와 연결부(71)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인 속도 변화가 발생하여,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세부(24)는 연결부(60)를 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 이동한다.
제 1 부세부(24)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연결봉(66)의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는 가이드(61a, 61b)의 위치가, 가이드(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봉(66)은 가이드(61a, 61b)로부터 수평 방향의 힘을 받아 가이드(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연결봉(66)이 가이드(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연결봉(66)의 상단에 마련한 지지 기구(67)도 가이드(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지지 기구(67)에 지지되어 있던 롤러(68)가, 지지 기구(67)로부터 탈락한다.
탈락한 롤러(68)는, 탄성체(53)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지만, 연결봉(66)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봉(66)에 탄성체(53)의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봉(66)을 거쳐서 제 2 부세부(29)에 작용하고 있던 탄성체(53)의 압축력이 해방되고, 탄성체(64)의 힘으로 제 2 부세부(29)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 2 부세부(29)의 연결부(72)에 하단측이 연결된 제동자(19)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카 가이드 레일(9)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이상 속도로 이동하는 카(7)를 제동한다. 이와 같이, 카(7)의 이상 속도를 검지한 경우에는, 추(52)의 동작과 관계없이, 제동자(19)를 작동시키고 있다.
실시형태 9에서는, 제동자(19)는 제 2 부세부(29)에만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제 2 부세부(29)는 탄성체(64)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동시에, 탄성체(53)에 의해 연결봉(66)을 거쳐서 눌려져 있다. 한편, 제 1 부세부(24)는 오동작 방지 스프링(25)에 의해 용이하게 상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부세되는 동시에, 조속기 로프(17)의 움직임에 의해 연결봉(66)에 작용하는 탄성체(53)의 압축력을 해방하는 기구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9에서는, 제 1 부세부(24)와 제 2 부세부(29)의 기구를 독립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카(7)가 자유 낙하한 경우와, 카(7)의 이동 속도가 이상인 경우에서, 제 1 부세부(24)와 제 2 부세부(29)를 독립적으로 기능시켜, 제동자(19)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부세부(24)에 마련한 가이드(61a, 61b) 대신,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석(75와 76)을, 각각 제 1 부세부(24)와 연결봉(66)에 서로 반발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연결봉(66)의 움직임을, 제 1 부세부(24)에 의해 비접촉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구 상의 오차, 위치 편차 등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탄성체(53)의 압축력을 해방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10.
다음에, 실시형태 10에 대해, 도 26 내지 도 2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0은 연결봉(73)이 탄성을 갖고 있으며, 압축 하중에 대하여 굽힘 변형을 일으키는 봉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점과, 연결봉(73)의 상단부가 연결부(74)를 거쳐서 상시, 탄성체(53)와 연결되어 있는 점이, 실시형태 9와는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9와 동일하다.
도 27은, 현가체(6)의 파단에 의해, 카(7)가 자유 낙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카(7)가 자유 낙하를 하면, 추(52)가 관성에 의해 부상하여, 추(52)의 자중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탄성체(53)의 압축력이 해방된다. 이에 의해, 제 2 부세부(29)가 들어올려지고, 제동자(19)가 카 가이드 레일(9)에 작용하여, 카(7)의 낙하를 정지시킨다.
도 28은, 조속기(16)가 카(7)의 이동 속도가 이상인 것을 검출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조속기 로프(17)의 움직임이 정지되고, 제 1 부세부(24)가, 가이드(20)에 고정된 연결부(60)를 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제 1 부세부(24)의 가이드(61a, 61b)는, 가이드(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연결봉(73)은, 가이드(61a, 61b)로부터 수평 방향의 힘을 받아서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굽힘 변형을 일으킨다.
연결봉(73)에 굽힘 변형이 생기면, 연결봉(73)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던 탄성체(53)로부터의 압축력을 다 지지할 수 없게 되어, 연결봉(73)에 좌굴 변형이 생긴다. 연결봉(73)이 좌굴 변형되면, 제 2 부세부(29)에 작용하고 있던 탄성체(53)로부터의 압축력이 저감되고, 제 2 부세부(29)는 탄성체(64)의 힘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제 2 부세부(29)가 들어올려지는 것에 의해, 제동자(19)가 들어올려지고, 카 가이드 레일(9)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카(7)의 이동을 제동한다.
실시형태 10에서는, 현가체(6)가 파단된 경우와, 조속기(16)에 의해 카(7)의 이동 속도가 이상인 것을 검출한 경우에서, 제 1 부세부(24)와 제 2 부세부(29)의 동작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상 내용에 따라서 제동자(19)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9에서는, 연결봉(66)과 탄성체(53)가 빠져 있는 구성인 것에 반해, 실시형태 10에서는, 항상 연결봉(73)과 탄성체(53)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동자(19)를 카 가이드 레일(9)로부터 떼어놓는 것만으로도, 통상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어서, 비상 정지 상태로부터의 복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세부(24)에 마련한 가이드(61a, 61b) 대신에,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석(75과 76)을, 각각 제 1 부세부(24)와 연결봉(73)에 서로 반발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연결봉(73)의 움직임을 제 1 부세부(24)에 의해 비접촉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구 상의 오차, 위치 편차 등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탄성체(53)의 압축력을 해방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11.
다음에, 도 30 및 도 31을 이용하여 실시형태 11을 설명한다. 도 30은, 통상시의 부세부와 제동자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형태 11은, 롤러(68)와 추(52)의 접속 기구, 및 제동자(19)와 제 1 부세부(24)가 접속되어 있는 점이 실시형태 9와는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9와 동일하다.
연결봉(66)은, 제 1 부세부(24)에 마련한 가이드(61a, 61b)로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연결봉(66)의 상단에는, U자 형상의 지지 기구(67)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기구(67)의 내부에는 롤러(68)가 배치되어 있으며, 롤러(68)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롤러(68)는 연결봉(79)을 거쳐서 추(52)와 접속되어 있다. 추(52)는 가이드(20)에 고정된 지지판(69)에, 탄성체(53)를 거쳐서 지지되어 있다. 탄성체(53)는 추(52)의 중력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69)에는, 연결봉(79)이 통과 가능한 구멍(70)이 형성되어 있다.
쐐기 형상의 제동자(19)는, 연결부(72)에 의해, 제 2 부세부(2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동자(19)는, 가이드(20)의 경사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동자(19)에는, 긴 구멍(77)이 형성되어 있으며, 긴 구멍(77)의 내부에는, 제 1 부세부(24)에 고정된 핀(78)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현가체(6)의 파단에 의해, 카(7)가 자유 낙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7)가 자유 낙하를 하면, 추(52)가 관성에 의해 부상한다. 그러면, 추(52)의 자중으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체(53)의 압축력이 해방된다.
통상, 제 2 부세부(29)는, 탄성체(53)의 압축력을 연결봉(66 및 79)을 거쳐서 받고 있다. 카(7)의 자유 낙하에 의해 탄성체(53)의 압축력이 해방되면, 제 2 부세부(29)는 추(52)와 일체가 되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제 2 부세부(29)가 연결부(63)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연결부(72)를 거쳐서, 제동자(19)도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제동자(19)가 가이드(20)를 따라서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카 가이드 레일(9)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하여, 카(7)의 자유 낙하가 제동된다.
이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제 1 부세부(24)는, 제동자(19)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조속기 로프(17)도, 제동자(19)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부세부(24)와는 독립적으로, 제 2 부세부(29)가 작동하는 것에 의해, 현가체(6)의 파단시에, 바로 제동자(19)를 동작시켜서 카(7)의 자유 낙하를 제동할 수 있다.
다음에, 조속기(16)가 카(7)의 이상 속도를 검출한 경우의 동작에 대해,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조속기(16)가 카(7)의 이동 속도가 이상인 것을 검출하면, 조속기(16)에 의해 조속기 로프(17)가 파지되어, 조속기 로프(17)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러면, 연결부(60)와 연결부(71)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인 속도 변화가 발생하고,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세부(24)는 연결부(60)를 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 이동한다.
제 1 부세부(24)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연결봉(66)의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는 가이드(61a, 61b)의 위치가 가이드(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봉(66)은, 가이드(61a, 61b)로부터 수평 방향의 힘을 받아 가이드(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연결봉(66)이 가이드(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연결봉(66)의 상단에 마련한 지지 기구(67)도 가이드(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지지 기구(67)에 지지되어 있던 롤러(68)가, 지지 기구(67)로부터 탈락한다. 롤러(68)와 함께 연결봉(79)이 빠지는 것에 의해, 연결봉(66)에는 탄성체(53)의 압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연결봉(66)을 개재한 탄성체(53)의 압축력이 해방되는 것에 의해, 제 2 부세부(29)와 제동자(19)는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 1 부세부(24)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핀(78)이 제동자(19)에 마련한 긴 구멍(77)의 상단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핀(78)과 제 1 부세부(24)가 일체가 되어, 제동자(19)를 인상한다. 그러면, 제동자(19)가 카 가이드 레일(9)과 접촉하여, 이상인 속도로 이동하는 카(7)를 제동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1에서는, 카(7)의 속도가 이상인 것을 검지하여 정지하는 조속기 로프(17)의 동작에 대하여, 추(52)의 움직임과는 관계없이, 제동자(19)에 의한 제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1에서는, 실시형태 9로 나타낸 탄성체(64)가 불필요해져서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 및 교시에 근거하여, 당업자이면, 여러 가지의 개변 태양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6 : 현가체
7 : 카(승강체)
9 : 카 가이드 레일(가이드 레일) 13 : 비상 멈춤 장치
15 : 장력 검출 기구 16 : 조속기
17 : 조속기 로프 19 : 제동자
20 : 가이드 21 : 링크
22 : 진동 억제 스프링(탄성체) 23 : 부세부 받이부
24 : 제 1 부세부 25 : 오동작 방지 스프링
26 : 스프링 고정판 27 : 탄성체
28 : 장력 검출 링크 29 : 제 2 부세부
46 : 균형 로프 50 : 탄성체
52 : 추 53 : 탄성체
55 : 액추에이터 56 : 가속도 센서
9 : 카 가이드 레일(가이드 레일) 13 : 비상 멈춤 장치
15 : 장력 검출 기구 16 : 조속기
17 : 조속기 로프 19 : 제동자
20 : 가이드 21 : 링크
22 : 진동 억제 스프링(탄성체) 23 : 부세부 받이부
24 : 제 1 부세부 25 : 오동작 방지 스프링
26 : 스프링 고정판 27 : 탄성체
28 : 장력 검출 링크 29 : 제 2 부세부
46 : 균형 로프 50 : 탄성체
52 : 추 53 : 탄성체
55 : 액추에이터 56 : 가속도 센서
Claims (16)
- 승강체 위에서 가이드 레일을 파지하는 쐐기 형상의 제동자를 가지며, 상기 승강체의 현가체와 병행하게 승강로 내에 조속기 로프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체가 이상하게 가속된 경우에 조속기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동자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부와,
상기 현가체의 파단시의 승강체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을 이용하여 상기 제동자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제 2 부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세부와 상기 제 2 부세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동자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자와 상기 승강체 사이에 탄성체를 마련하고, 통상 주행시에 상기 제동자를 초기 위치에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통상 주행시에는, 상기 제동자를 초기 위치에 로크하는 기구를 갖고,
상기 제 1 부세부 또는 상기 제 2 부세부가 상승할 때에, 상기 제동자의 인상 동작의 초기에 있어서, 부세부 받이부에 마련된 링크에 의해 로크가 해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자와, 상기 제 1 부세부 또는 상기 제 2 부세부의 접촉부에 있어서, 상기 제동자의 상승 동작이 개시된 경우에, 상기 제동자를 상방으로 부세하고 있는 상기 부세부와 상기 제동자를 연결하는 기구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와 상기 현가체의 접속부에, 상기 승강체와 상기 현가체 사이에 발생하는 장력에 따라서 변형되도록 마련된 탄성체의 변위에 따라서 상하하는 스프링 보지부를 갖고, 상기 제 2 부세부를 구동하기 위한, 상기 승강체의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은, 상기 현가체의 파단시에 발생하는 상기 스프링 보지부의 운동인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 위에, 상기 스프링 보지부가, 상기 현가체의 장력이 저하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제약하는 동작 제약 기구를 마련하고, 중간층에 마련된 동작 제약 해제 위치보다 하방에 상기 승강체가 있는 경우에, 상기 동작 제약 기구가 해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약 해제 위치는, 상기 승강체가 하강 주행시에 정격 속도로부터 감속되고, 최하층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동작 제약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승강체의 최하층 정지 위치까지의 일부 또는 전체 구간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에 설치된 링크와 접촉하는 평면 위치에 승강로측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승강체 위의 상기 링크가 상기 승강로측 돌기부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프링 보지부의 상기 동작 제약 기구가 해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로부터 하방으로 매달리는 균형 로프 또는 제어 케이블과 상기 승강체의 접속부에 걸리는 장력과 역 방향으로 부세하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제약 해제 위치보다 하방에 상기 승강체가 있는 경우에, 상기 스프링 보지부의 상기 동작 제약 기구가 해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세부를 구동하는 상기 승강체의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은, 상기 승강체 위에 탄성체를 거쳐서 상기 승강체 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된 추가, 미리 축적된 상기 탄성체의 탄성 에너지에 의해 상기 승강체의 가속도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되는 운동인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에 보지된 상기 추의 상승 방향의 동작을 제약하는 동작 제약 기구를 마련하고, 중간층에 마련된 동작 제약 해제 위치보다 하방에 상기 승강체가 있는 경우에, 상기 동작 제약 기구가 해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동작 제약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승강체의 최하층 정지 위치까지의 일부 또는 전체 구간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에 설치된 링크와 접촉하는 평면 위치에 승강로측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승강체 위의 상기 링크가 상기 승강로측 돌기부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추의 상기 동작 제약 기구가 해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로부터 하방으로 매달리는 균형 로프 또는 제어 케이블과 상기 승강체의 접속부에 걸리는 장력과 역 방향으로 부세되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제약 해제 위치보다 하방에 상기 승강체가 있는 경우에, 상기 추의 상기 동작 제약 기구가 해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나 권상기의 회전수의 데이터나 상기 승강체 위에 마련된 센서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승강체의 가속도가 이상값(異常値)인 것을 검지하여, 액추에이터에 의해 부세하는 운동을, 상기 제 2 부세부를 구동하는 상기 승강체의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 위에 보지된 추가, 상기 제 2 부세부와 탄성체를 거쳐서 접속되며, 또한 상기 제동자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2 부세부가, 상기 제 2 부세부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다른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제동자와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 1 부세부가, 상기 추를 접속하고 있는 상기 탄성체의 힘을 상기 제 2 부세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 위에 탄성체를 거쳐서 지지된 추가, 상기 제 2 부세부와 접속되며, 또한 상기 제동자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2 부세부 및 상기 제동자와 분리되어 있는 상기 제 1 부세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세부가, 상기 추를 지지하는 상기 탄성체의 힘을 상기 제 2 부세부로부터 제거하는 동시에, 상기 제동자를 밀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56292 | 2016-08-09 | ||
JPJP-P-2016-156292 | 2016-08-09 | ||
PCT/JP2017/027085 WO2018030155A1 (ja) | 2016-08-09 | 2017-07-26 | エレベーター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5697A true KR20190025697A (ko) | 2019-03-11 |
KR102276519B1 KR102276519B1 (ko) | 2021-07-12 |
Family
ID=6116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3241A KR102276519B1 (ko) | 2016-08-09 | 2017-07-26 | 엘리베이터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633208B2 (ko) |
KR (1) | KR102276519B1 (ko) |
CN (1) | CN109562910B (ko) |
DE (1) | DE112017004032T5 (ko) |
WO (1) | WO201803015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03561A1 (ja) * | 2016-05-23 | 2017-11-30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ー装置 |
CN110203792B (zh) * | 2019-06-21 | 2020-03-27 | 台州市椒江预提自动化设备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物料提升机的安全停靠设备 |
CN110371821B (zh) * | 2019-08-01 | 2020-12-15 | 北京实创电梯工程有限公司 | 一种高楼电梯用防坠落安全消防设备 |
EP3878789A1 (en) * | 2020-03-10 | 2021-09-15 | KONE Corporation | A method for releasing safety gears, and a stalling detector |
CN112279036B (zh) * | 2020-11-03 | 2024-08-30 | 无锡瑞吉德机械有限公司 | 一种集成式提升机松绳保护装置 |
KR102276971B1 (ko) * | 2020-11-23 | 2021-07-13 | 주식회사 신화리프트 |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
US11738971B2 (en) | 2021-06-25 | 2023-08-29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governor tension frame damper |
JP7256970B1 (ja) | 2021-10-08 | 2023-04-13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エレベータ |
JP7259911B1 (ja) | 2021-10-08 | 2023-04-18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かご装置及びエレベータ |
JP7169559B1 (ja) | 2021-11-04 | 2022-11-11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かご装置及びエレベータ |
CN114314247B (zh) * | 2022-01-04 | 2023-11-03 | 安徽舒马克电梯股份有限公司 | 一种电梯轿厢安全防护机构 |
JP7245455B1 (ja) * | 2022-01-28 | 2023-03-24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 |
JP7465315B2 (ja) | 2022-08-18 | 2024-04-10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の据付方法 |
JP7481684B2 (ja) | 2022-09-08 | 2024-05-13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かご装置及びエレベータ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4871A (en) * | 1980-06-06 | 1982-01-11 | Hitachi Ltd | Safety device for elevator |
JPH11209022A (ja) | 1998-01-19 | 1999-08-03 | Hitachi Ltd | 非常止め装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 |
KR200437138Y1 (ko) * | 2007-01-25 | 2007-11-06 | 케이알승강기 주식회사 |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장치 |
KR100903469B1 (ko) * | 2007-05-21 | 2009-06-18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 장치 |
JP2012162374A (ja) | 2011-02-09 | 2012-08-30 | Hitachi Ltd | 非常止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20344A (ja) * | 1974-08-13 | 1976-02-18 | Tokyo Shibaura Electric Co | Shokokyoanzensochi |
JPS5426995Y2 (ko) * | 1975-05-26 | 1979-09-04 | ||
JPS5393548A (en) * | 1977-01-26 | 1978-08-16 | Hitachi Ltd | Elevator |
JPS573775U (ko) * | 1980-06-06 | 1982-01-09 | ||
JPS57170371A (en) * | 1981-04-09 | 1982-10-20 | Hitachi Ltd |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
TW513374B (en) * | 2000-12-08 | 2002-12-11 | Inventio Ag | Safety brake with retardation-dependent braking force |
JP4209251B2 (ja) * | 2003-05-16 | 2009-01-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JP4292203B2 (ja) * | 2004-04-30 | 2009-07-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JP2011209022A (ja) | 2010-03-29 | 2011-10-20 | Ube Industries Ltd | モルタル又は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及びモルタル又はコンクリートの終局の断熱温度上昇量の予測方法 |
CN202829204U (zh) * | 2012-05-13 | 2013-03-27 | 安徽丰海起重设备制造有限公司 | 一种高可靠性的升降机吊笼防坠安全器 |
-
2017
- 2017-07-26 JP JP2018532926A patent/JP6633208B2/ja active Active
- 2017-07-26 WO PCT/JP2017/027085 patent/WO201803015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7-26 DE DE112017004032.9T patent/DE112017004032T5/de active Pending
- 2017-07-26 KR KR1020197003241A patent/KR10227651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7-26 CN CN201780048246.8A patent/CN109562910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4871A (en) * | 1980-06-06 | 1982-01-11 | Hitachi Ltd | Safety device for elevator |
JPH11209022A (ja) | 1998-01-19 | 1999-08-03 | Hitachi Ltd | 非常止め装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 |
KR200437138Y1 (ko) * | 2007-01-25 | 2007-11-06 | 케이알승강기 주식회사 |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장치 |
KR100903469B1 (ko) * | 2007-05-21 | 2009-06-18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 장치 |
JP2012162374A (ja) | 2011-02-09 | 2012-08-30 | Hitachi Ltd | 非常止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12017004032T5 (de) | 2019-05-02 |
CN109562910B (zh) | 2021-03-09 |
WO2018030155A1 (ja) | 2018-02-15 |
JP6633208B2 (ja) | 2020-01-22 |
KR102276519B1 (ko) | 2021-07-12 |
CN109562910A (zh) | 2019-04-02 |
JPWO2018030155A1 (ja) | 2018-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6519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1617572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6152964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1456403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5472311B2 (ja) |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 |
KR101706883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6465995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5774220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058176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US9764927B2 (en) | Elevator | |
JP6485664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188962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0627540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WO2018179182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WO2022172406A1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CN116829486A (zh) | 电梯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