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971B1 -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971B1
KR102276971B1 KR1020200158187A KR20200158187A KR102276971B1 KR 102276971 B1 KR102276971 B1 KR 102276971B1 KR 1020200158187 A KR1020200158187 A KR 1020200158187A KR 20200158187 A KR20200158187 A KR 20200158187A KR 102276971 B1 KR102276971 B1 KR 102276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module
elevator
c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리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리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리프트
Priority to KR1020200158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971B1/ko
Priority to KR1020210060676A priority patent/KR102382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93Suspension locking or inhibiting means to avoid movement when car is stopped at a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에 구비된 케이블의 장력 감지 결과에 따라 기구적으로 승강카를 승강기본체에 신속하게 고정시키고, 승강기의 점검을 위해 기설정된 높이에서 기구적으로 승강카를 승강기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승강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해당 층별로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 구비되는 승강기본체와,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고 승강기본체에서 승강 이동 가능한 승강카와, 승강기본체를 기준으로 승강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승강유닛에 포함되는 케이블의 장력 감지 결과에 따라 기구적으로 승강카를 승강기본체에 고정시키는 비상정지유닛과, 기설정된 높이에서 기구적으로 승강카를 승강기본체에 고정시키는 카고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EMERGENCY STOP DEVICE OF ELEVATOR AND ELEVATOR USED THIS}
본 발명은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기에 구비된 케이블의 장력 감지 결과에 따라 기구적으로 승강카를 승강기본체에 신속하게 고정시키고, 승강기의 점검을 위해 기설정된 높이에서 기구적으로 승강카를 승강기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균형추, 및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인장 부재(예를 들어, 로프(들), 벨트(들), 케이블 등)를 포함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중에, 인장 부재(들)에 가해지는 장력을 포함하여 전체 조립품의 여러 가지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최대 성능 하중과 같은 설계 하중을 초과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 카의 전체 하중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또한, 인장 부재가 엘리베이터 카의 부하 및 그 내부의 내용물(예를 들어, 승객)을 견디기 때문에, 인장 부재의 상태가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인장 부재(들)은 전기 전자적으로 모니터링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전기 전자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고정시키므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기구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고정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1171호 (발명의 명칭 :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2019. 03. 2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기에 구비된 케이블의 장력 감지 결과에 따라 기구적으로 승강카를 승강기본체에 신속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기의 점검을 위해 기설정된 높이에서 기구적으로 승강카를 승강기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승강기의 카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승강기의 카고정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승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는 사용자의 탑승을 위한 승강카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카에 연결된 케이블을 탄성 가압하는 피벗모듈; 상기 피벗모듈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승강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레일이 통과하는 파지모듈; 및 상기 피벗모듈과 마주보도록 상기 승강카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파지모듈에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파지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의 장력이 해지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벗모듈이 상기 파지구동모듈을 향해 피벗 운동하면, 상기 파지구동모듈은 상기 피벗모듈의 피벗 운동과 함께 피벗 운동하면서 상기 파지모듈에서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파지모듈과 상기 파지구동모듈 사이에서 상기 승강레일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피벗모듈은, 상기 승강카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축; 상기 피벗축의 피벗 운동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피벗축에 결합되는 피벗지지부; 상기 케이블에 지지되도록 상기 피벗지지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케이블지지부; 상기 파지구동모듈에 지지되도록 상기 피벗지지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피벗구동암부; 및 상기 케이블지지부가 상기 케이블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승강카를 기준으로 상기 피벗축 또는 상기 피벗지지부 또는 상기 케이블지지부 또는 상기 피벗구동암부를 탄성 지지하는 피벗탄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모듈은, 상기 승강레일과 마주보도록 상기 승강카에 결합되는 파지블럭; 상기 승강레일이 통과하도록 상기 파지블럭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레일관통부; 상기 케이블의 장력이 해지되면 상기 승강레일과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파지블럭에 결합되는 고정파지부; 및 상기 고정파지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파지블럭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파지부의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상기 파지구동모듈이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경사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구동모듈은, 상기 피벗모듈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승강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구동축; 상기 피벗모듈에 지지되도록 상기 파지구동축에 돌출 형성되는 파지구동암부; 상기 파지구동암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파지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전달암부; 및 상기 전달암부와 링크 결합되고, 상기 파지모듈에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의 장력이 해지되면, 상기 피벗모듈이 상기 파지구동암부를 밀어 냄에 따라 상기 파지구동축과 함께 상기 전달암부가 피벗 운동하고, 상기 구동파지부가 상기 파지모듈에서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파지모듈과 상기 구동파지부가 상기 승강레일에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는 상기 케이블에 지지되도록 상기 승강카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고정유닛은 승강기본체에 결합되는 제1고정브라켓;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서 이격되어 상기 승강기본체에 결합되는 제2고정브라켓;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샤프트; 상기 키샤프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로드; 상기 키샤프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로드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키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링크; 및 상기 승강기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제1고정브라켓이 회전되도록 하는 락킹키박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고정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상기 승강기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로드를 감지하는 브라켓감지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해당 층별로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 구비되는 승강기본체;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고, 상기 승강기본체에서 승강 이동 가능한 승강카; 및 상기 승강기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에 포함되는 케이블의 장력 감지 결과에 따라 기구적으로 상기 승강카를 상기 승강기본체에 고정시키는 비상정지유닛; 및 기설정된 높이에서 기구적으로 상기 승강카를 상기 승강기본체에 고정시키는 카고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정지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고정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카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카의 승강 이동을 위해 유압으로 상기 승강카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듈; 상기 승강카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승강카가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안내모듈; 상기 승강카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모듈이 결합되어 상기 승강카의 구동력으로 상기 승강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모듈; 상기 승강모듈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상기 승강기본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승강카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카의 이동에 대응하여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상기 승강모듈에서 이동 가능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를 상기 승강기본체에 결합시키는 제1지지모듈;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를 상기 승강기본체에 결합시키는 제2지지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카와 함께 승강 이동되는 승강제한모듈; 기준층의 위층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기본체 또는 상기 승강안내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제한모듈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승강제한모듈을 감지하는 상한감지부; 및 상기 기준층에 대응하여 상기 상한감지부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승강기본체 또는 상기 승강안내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제한모듈의 하강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승강제한모듈을 감지하는 하한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는 상기 승강기본체에서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출입개폐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에 따르면, 승강기에 구비된 케이블의 장력 감지 결과에 따라 기구적으로 승강카를 승강기본체에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벗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피벗모듈에서 케이블의 지지 상태를 명확하게 하고, 케이블의 장력이 해지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한 피벗모듈의 피벗 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레일관통부를 따라 승강레일이 안정되게 통과하도록 하고, 케이블의 장력이 해지됨에 따라 파지모듈과 파지구동모듈과 승강레일의 결합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구동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피벗모듈의 피벗 운동에 따라 구동파지부가 충분히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고, 구동파지부와 고정파지부가 승강레일에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력감지모듈을 통해 케이블에서 장력의 해지 여부를 전기 전자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고정유닛에 따르면, 승강기의 점검을 위해 기설정된 높이에서 기구적으로 승강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고정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외력을 안정되게 슬라이딩로드에 전달하고, 슬라이딩로드가 안정되게 승강카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감지모듈을 통해 슬라이딩로드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전기 전자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승강카의 구동력 및 승강카의 견인력을 향상시키고, 케이블의 장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승강카의 승강 이동을 명확하게 하고, 승강카의 승강 이동에 대하여 승강카를 출입문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개폐유닛의 부가 구성을 통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에 대하여 출입문의 개폐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에서 비상정지유닛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에서 비상정지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케이블의 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피벗모듈과 파지구동모듈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고, (b)는 케이블의 장력이 해지된 상태 피벗모듈과 파지구동모듈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에서 비상정지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케이블의 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파지모듈과 파지구동모듈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고, (b)는 케이블의 장력이 해지된 상태에서 파지모듈과 파지구동모듈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에서 승강유닛의 승강모듈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에서 승강유닛의 승강모듈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에서 승강유닛의 제1지지모듈과 제2지지모듈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에서 승강유닛의 승강제한모듈과 상한감지부와 하한감지부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에서 출입개폐유닛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요부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에서 카고정유닛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에서 카고정유닛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승강카가 승강 이동 가능한 정상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슬라이딩로드가 승강카를 고정시키는 고정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승강기의 카고정장치는 승강기의 구성요소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는 승강기본체(10)와, 승강카(20)와, 승강유닛(40)을 포함하고, 비상정지유닛(30)과, 카고정유닛(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며, 출입개폐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한다. 승강기본체(10)에는 승강카(20)가 승강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승강공간(11)이 형성된다. 승강기본체(10)에는 해당 층별로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12)이 구비된다. 승강기본체(10)에는 후술하는 승강유닛(40)의 유압모듈(41)에서 실린더(411)가 고정되는 실린더고정부(13)가 구비되므로, 유압모듈(41)에서 실린더(411)의 길이 및 피스톤(412)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카(20)의 상승에 대응하여 유압모듈(41)은 승강카(20)를 아래 쪽에서 밀어올리는 구조가 아니고 승강카(20)를 위 쪽에서 들어올리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본체(10)는 1층과 2층 사이에서 승강카(20)가 승강 이동되도록 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출입문(12)은 여닫이 방식으로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승강카(20)는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다. 승강카(20)는 승강기본체(10)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카(20)에는 후술하는 승강유닛(40)의 제2지지모듈(46)이 결합되는 유닛설치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카(20)에는 후술하는 승강유닛(40)의 승강안내모듈(42)을 감싸도록 안내가이드(22)가 구비되므로, 승강카(20)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기본체(10)에서 승강카(20)의 유동을 방지하고, 승강카(20)가 안정되게 승강안내모듈(42)을 따라 승강 이동되도로 한다.
비상정지유닛(30)은 승강유닛(40)에 포함되는 케이블(44)의 장력 감지 결과에 따라 기구적으로 승강카(20)를 승강기본체(10)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는 비상정지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상정지유닛(3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탑승을 위한 승강카(2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승강카(20)에 연결된 케이블(44)을 탄성 가압하는 피벗모듈(32)과, 피벗모듈(32)에서 이격 배치되고 승강카(2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레일이 통과하는 파지모듈(33)과, 피벗모듈(32)과 마주보도록 승강카(2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파지모듈(33)에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파지구동모듈(34)을 포함할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44)의 장력이 해지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피벗모듈(32)이 파지구동모듈(34)을 향해 피벗 운동하면, 파지구동모듈(34)은 피벗모듈(32)의 피벗 운동과 함께 피벗 운동하면서 파지모듈(33)에서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되어 파지모듈(33)과 파지구동모듈(34) 사이에서 승강레일이 고정되도록 한다.
피벗모듈(32)은 승강카(2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축(321)과, 피벗축(321)의 피벗 운동과 함께 회전되도록 피벗축(321)에 결합되는 피벗지지부(322)와, 케이블(44)에 지지되도록 피벗지지부(322)에서 돌출 형성되는 케이블(44)지지부(323)와, 파지구동모듈(34)에 지지되도록 피벗지지부(322)에서 돌출 형성되는 피벗구동암부(324)와, 케이블(44)지지부(323)가 케이블(44)을 탄성 가압하도록 승강카(20)를 기준으로 피벗축(321) 또는 피벗지지부(322) 또는 케이블(44)지지부(323) 또는 피벗구동암부(324)를 탄성 지지하는 피벗탄성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44)의 장력이 해지되면, 피벗탄성부(325)의 탄성력에 의해 피벗지지부(322)는 파지구동모듈(34)을 향해 회전하면서 파지구동모듈(34)을 밀어낸다.
피벗축(321)은 장력이 부여된 케이블(44)에서 이격된 상태로 수직을 이루도록 하고, 승강카(20)에서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피벗지지부(322)는 장력이 부여된 케이블(44)과 평행인 평면에서 피벗 운동되도록 하고, 피벗축(321)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케이블(44)지지부(323)는 장력이 부여된 케이블(44)과 수직을 이루도록 하고, 피벗지지부(322)와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피벗구동암부(324)는 케이블(44)지지부(323)와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일예로, 피벗탄성부(325)는 피벗축(321)에 권취되는 구조를 나타내어 승강카(20)를 기준으로 피벗축(32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벗탄성부(325)는 일단부가 피벗지지부(322) 또는 케이블(44)지지부(323) 또는 피벗구동암부(324)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승강카(20)에 연결되며, 피벗탄성부(325)는 탄성력으로 파지구동모듈(34)을 향해 피벗지지부(322) 또는 케이블(44)지지부(323) 또는 피벗구동암부(324)를 잡아당기는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피벗모듈(32)은 피벗탄성부(325)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승강카(20)에 고정되는 지지결합부(326)를 더 포함하고, 승강카(20)에 결합되고 지지결합부(326)가 고정되는 카결합부(3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모듈(33)은 승강레일과 마주보도록 승강카(20)에 결합되는 파지블럭과, 승강레일이 통과하도록 파지블럭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레일관통부(332)와, 케이블(44)의 장력이 해지되면 승강레일과 밀착 지지되도록 파지블럭에 결합되는 고정파지부(333)와, 고정파지부(333)에서 이격된 상태로 파지블럭에 결합되고 고정파지부(333)의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파지구동모듈(34)의 구동파지부(344)가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경사지지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관통부(332)를 통과하는 승강레일은 고정파지부(333)와 경사지지부(334) 사이를 통과하고, 케이블(44)의 장력이 해지되면, 파지구동모듈(34)의 구동파지부(344)가 경사지지부(334)를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파지구동모듈(34)의 구동파지부(344)와 고정파지부(333)가 승강레일에 밀착 고정된다.
파지모듈(33)은 파지블럭을 기준으로 고정파지부(333)를 위치를 이동시키는 고정위치조절부(3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위치조절부(335)는 승강레일과 고정파지부(33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승강카(2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하여 승강레일에 의해 고정파지부(333)가 마모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파지구동모듈(34)은 피벗모듈(32)의 피벗축(321)으로부터 이격되어 승강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구동축(341)과, 피벗모듈(32)의 피벗구동암부(324)에 지지되도록 파지구동축(341)에 돌출 형성되는 파지구동암부(342)와, 파지구동암부(342)에서 이격되어 파지모듈(33)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전달암부(343)와, 전달암부(343)와 링크 결합되고 파지모듈(33)의 경사지지부(334)에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파지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44)의 장력이 해지되면, 피벗모듈(32)의 피벗지지부(322)가 회전하면서 피벗구동암부(324)가 파지구동암부(342)를 밀어냄에 따라 파지구동축(341)과 함께 전달암부(343)가 피벗 운동하고, 구동파지부(344)가 파지모듈(33)의 경사지지부(334)에서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되어 파지모듈(33)의 고정파지부(333)와 구동파지부(344)가 승강레일에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파지구동축(341)은 피벗축(321)에서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도록 한다.
파지구동암부(342)는 파지구동축(341)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전달암부(343)는 파지모듈(33)을 향하도록 파지구동암부(342)의 돌출 방향과 다르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파지구동모듈(34)은 파지구동암부(342)가 피벗모듈(32)을 탄성 가압하도록 파지구동축(341) 또는 파지구동암부(342) 또는 전달암부(343) 또는 구동파지부(344)를 탄성 지지하는 구동탄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탄성부(미도시)의 탄성력은 피벗탄성부(325)의 탄성력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파지구동암부(342)가 피벗모듈(32)의 피벗구동암부(324)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케이블(44)의 장력 해지에 따라 피벗축(321)이 회전하면, 피벗구동암부(324)가 파지구동암부(342)를 간편하게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일예로, 구동탄성부(미도시)는 파지구동축(341)에 권취되는 구조를 나타내어 승강카(20)를 기준으로 파지구동축(34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탄성부(미도시)는 일단부가 파지구동암부(342) 또는 전달암부(343)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승강카(20)에 연결되며, 구동탄성부(미도시)는 탄성력으로 피벗모듈(32)을 향해 파지구동암부(342)를 잡아당기거나 탄성력으로 구동파지부(344)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파지구동모듈(34)은 구동탄성부(미도시)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승강카(20)에 고정되는 구동결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구동탄성부(미도시)는 파지모듈(33)의 경사지지부(334)를 기준으로 구동파지부(344)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구동탄성부(미도시)는 파지모듈(33)의 경사지지부(334)를 기준으로 구동파지부(344)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비상정지유닛(30)은 케이블(44)에 지지되도록 승강카(20)에 결합되고, 케이블(44)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모듈(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감지모듈(31)은 승강카(20)에 결합되는 장력감지베이스(311)와, 케이블(44)을 향해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장력감지베이스(311)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블(44)에 지지되어 케이블(44)을 감지하는 장력피벗감지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피벗감지부(312)는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케이블(44)에 지지됨에 따라 케이블(44)의 장력이 유지됨을 전기 전자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44)의 장력이 해지되면, 장력피벗감지부(312)는 케이블(44)을 향해 회전되고, 케이블(44)이 장력피벗감지부(312)에서 이격됨에 따라 장력피벗감지부(312)가 아이들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장력피벗감지부(312)의 회전량 또는 장력피벗감지부(312)의 아이들 상태에 대응하여 케이블(44)의 장력이 해지됨을 전기 전자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비상정지유닛(30)의 동작을 살펴보면, 케이블(44)의 장력이 해지되는 경우, 피벗탄성부(325)의 탄성력에 의해 피벗축(321)이 회전되면서 피벗지지부(322)가 피벗 운동하고, 케이블(44)지지부(323)가 장력이 해지된 케이블(44)을 밀어내며, 피벗구동암부(324)는 파지구동암부(342)를 밀어낸다. 그리고 파지구동암부(342)가 피벗 운동하면서 파지구동축(341)이 회전되고, 전달암이 피벗 운동하며, 구동파지부(344)가 경사지지부(334)를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구동파지부(344)와 고정파지부(333)는 승강레일에 밀착 지지되어 승강카(20)를 승강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수작업이 완료되어 케이블(44)에 장력이 부여되는 경우, 피벗탄성부(325)의 탄성력과 구동탄성부(미도시)의 탄성력으로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승강유닛(40)은 승강기본체(10)를 기준으로 승강카(20)를 승강 이동시킨다.
승강유닛(40)은 도 2 및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카(20)의 승강 이동을 위해 유압으로 승강카(20)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듈(41)과, 승강카(20)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하되 승강카(20)가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안내모듈(42)과, 승강카(20)에 결합되고 유압모듈(41)이 결합되어 승강카(20)의 구동력으로 승강카(20)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모듈(43)과, 승강모듈(43)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승강기본체(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승강카(20)에 결합되며 승강카(20)의 이동에 대응하여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승강모듈(43)에서 이동 가능한 케이블(44)과, 케이블(44)의 일단부를 승강기본체(10)에 결합시키는 제1지지모듈(45)과, 케이블(44)의 타단부를 승강기본체(10)에 결합시키는 제2지지모듈(46)을 포함할 수 있다.
유압모듈(41)은 승강기본체(10)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는 실린더(411)와, 실린더(411)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412)과, 실린더(411)에서 유압이 발생되도록 유체를 공급하는 승강펌핑부와, 승강카(20)의 승강 방향 또는 피스톤(412)의 승강 방향에 대응하여 실린더(411)의 유체 공급 위치를 선택하는 승강선택부(414)와, 유체가 저장되는 유압탱크(41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411)는 실린더고정부(13)에 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412)은 실린더(411)에 끼움 결합되고, 자유단부는 승강모듈(43)의 승강베이스(431)와 결합되도록 한다. 승강펌핑부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동으로 유체를 펌핑하는 유압펌핑부(413)와, 사용자가 수동으로 유체를 펌핑하는 수동펌핑부(4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선택부(414)는 서보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승강안내모듈(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본체(10)에 결합되는 승강기브라켓과, 승강기본체(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승강기브라켓에 결합되어 승강모듈(43)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모듈(43)은 승강카(20)에 결합되고 중심 부분에 유압모듈(41)의 피스톤(412)이 결합되는 승강베이스(431)와, 승강베이스(43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승강안내모듈(42)의 승강레일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안내슬라이더(432)와, 승강베이스(4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도르래(4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43a는 승강안내모듈(42)이 통과하도록 승강베이스(431)에 결합되어 승강안내모듈(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이탈방지부이다.
지지도르래(433)는 유압모듈(41)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이 유압모듈(41)의 피스톤(412)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승강베이스(431)에는 하부에서 지지도르래(433)를 감싸는 하부커버(431a)와, 상부에서 지지도르래(433)를 감싸는 상부커버(43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44)은 한 쌍의 지지도르래(433)에 대응하여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모듈(45)은 승강기본체(10) 또는 실린더고정부(13)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451)과, 케이블(44)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쇄기(452)와, 제1쇄기(452)에 결합되고 제1브라켓(451)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로드(453)와, 제1브라켓(451)으로부터 제1로드(453)의 자유단부 쪽으로 이격되어 제1로드(453)에 결합되는 탄성지지부재(455)와, 제1브라켓(451)을 기준으로 탄성지지부재(455)를 탄성 가압하는 지지탄성부재(45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케이블(44)에 외력이 작용하여 케이블(44)을 잡아당기는 경우, 지지탄성부재(454)가 수축하면서 제1로드(453)가 케이블(44)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44)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1지지모듈(45)은 제1브라켓(451)으로부터 탄성지지부재(455)를 향해 길게 형성되어 제1브라켓(451) 결합되는 제한로드(456)와, 제한로드(456)의 자유단부에 구비되어 탄성지지부재(455)를 감시하는 부재감지부(4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로드(453)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탄성지지부재(455)가 기설정된 상승위치와 같거나 높게 상승하면, 부재감지부(457)가 탄성지지부재(455)를 감지함에 따라 케이블(44)의 상태를 추적할 수 있다. 케이블(44)의 장력이 해지됨에 따라 탄성지지부재(455)가 기설정된 하강위치와 같거나 낮게 하강하면, 부재감지부(457)가 탄성지지부재(455)를 감지함에 따라 케이블(44)의 상태를 추적할 수 있다.
제2지지모듈(46)은 승강카(20) 또는 유닛설치부(21)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461)과, 케이블(44)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쇄기(462)와, 제2쇄기(462)에 결합되고 제2브라켓(461)에 관통 지지되는 제2로드(463)와, 제2브라켓(461)에 제2로드(463)를 고정시키는 브라켓고정부재(464)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제1지지모듈(45)은 제2지지모듈(46)의 세부 구성으로 치환되고, 제2지지모듈(46)은 제1지지모듈(45)의 세부 구성으로 치환될 수 있다.
승강유닛(40)은 승강카(20)에 결합되어 승강카(20)와 함께 승강 이동되는 승강제한모듈(47)과, 기준층의 위층에 대응하여 승강기본체(10) 또는 승강안내모듈(42)에 결합되고 승강제한모듈(47)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해 승강제한모듈(47)을 감지하는 상한감지부(48)와, 기준층에 대응하여 상한감지부(48)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승강기본체(10) 또는 승강안내모듈(42)에 결합되고 승강제한모듈(47)의 하강을 제한하기 위해 승강제한모듈(47)을 감지하는 하한감지부(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승강유닛(40)의 부가 구성을 통해 해당 층에서 승강카(20)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
승강제한모듈(47)은 승강기본체(10)에 결합되는 제한베이스(471)와, 상한감지부(48) 또는 하한감지부(49)와 접촉되도록 승강안내모듈(42)에 대응하여 제한베이스(471)의 단부에 결합되는 승강감지바(472)를 포함하고, 제한베이스(471)에서 승강감지바(472)의 위치를 조절하는 버튼위치조절부(4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한감지부(48)는 기준층의 위층에 대응하여 승강기본체(10) 또는 승강안내모듈(42)에 결합되고 승강제한모듈(47)의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제1감속리미트(481)와, 제1감속리미트(481)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승강기본체(10) 또는 승강안내모듈(42)에 결합되고 제1감속리미트(481)를 통과하는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상한리미트(482)를 포함하고, 상한리미트(482)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승강기본체(10) 또는 승강안내모듈(42)에 결합되고 상한리미트(482)를 통과하는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제1정지리미트(4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감속리미트(481)가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경우, 유압모듈(41)은 승강카(20)의 승강 속도를 감속시키고, 제1감속리미트(481)와 상한리미트(482) 중 적어도 상한리미트(482)가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경우, 유압모듈(41)은 승강카(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감속리미트(481)와 상한리미트(482)와 제1정지리미트(483) 중 적어도 제1정지리미트(483)가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경우, 승강카(20)의 상승 오류에 따라 별도의 알람부재가 알람을 발생시키고, 유압모듈(41)은 승강카(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하한감지부(49)는 기준층에 대응하여 승강기본체(10) 또는 승강안내모듈(42)에 결합되고 승강제한모듈(47)의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제2감속리미트(491)와, 제2감속리미트(491)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승강기본체(10) 또는 승강안내모듈(42)에 결합되고 제2감속리미트(491)를 통과하는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하한리미트(492)를 포함하고, 하한리미트(492)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승강기본체(10) 또는 승강안내모듈(42)에 결합되고 하한리미트(492)를 통과하는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제2정지리미트(4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2감속리미트(491)가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경우, 유압모듈(41)은 승강카(20)의 승강 속도를 감속시키고, 제2감속리미트(491)와 하한리미트(492) 중 적어도 하한리미트(492)가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경우, 유압모듈(41)은 승강카(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감속리미트(491)와 하한리미트(492)와 제2정지리미트(493) 중 적어도 제2정지리미트(493)가 승강감지바(472)를 감지하는 경우, 승강카(20)의 하강 오류에 따라 별도의 알람부재가 알람을 발생시키고, 유압모듈(41)은 승강카(2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출입개폐유닛(50)은 승강기본체(10)에서 출입문(12)을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출입문(12)은 여닫이 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출입개폐유닛(50)은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출입문(12)을 회전시키는 출입구동모듈(51)을 포함하고, 출입문(12)의 닫힘 상태를 확인하는 닫힘확인모듈(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입구동모듈(51)은 출입문(12)의 힌지부(121)에 대응하여 승강기본체(10)에 결합되어 출입문(12)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부(511)와, 구동모터부(511)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부(511)의 회전력으로 모터축과 함께 회전되는 센서접촉부(514)와, 출입문(12)의 닫힘에 대응하여 구동모터부(511)에 구비되고 센서접촉부(514)를 감지하는 닫힘센서(512)와, 출입문(12)의 열림에 대응하여 닫힘센서(512)에서 이격되어 구동모터부(511)에 구비되고 센서접촉부(514)를 감지하는 열림센서(513)와, 구동모터부(511)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부(511)의 회전력으로 모터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링크(515)와, 일단부는 제1링크(515)와 링크 결합되고 타단부는 출입문(12)에 링크 결합되는 제2링크(5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한감지부(48) 또는 하한감지부(49)의 동작과 연계하여 승강카(20)가 해당 층에 정위치되면, 구동모터부(511)가 정회전하므로, 제1링크(515)가 모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2링크(516)를 잡아당기고 출입문(12)은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닫혀 있던 출입문(12)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열림센서(513)가 센서접촉부(514)를 감지하면, 구동모터부(511)의 동작이 정지되어 출입문(12)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닫힘 명령이 구동모터부(511)에 전달되거나 기설정된 개방시간이 경과한 경우, 구동모터부(511)가 역회전하므로, 제1링크(515)가 모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2링크(516)를 밀어내고 출입문(12)은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개방된 출입문(12)이 닫히게 된다. 이대, 닫힘센서(512)가 센서접촉부(514)를 감지하면 구동모터부(511)의 동작이 정지되어 출입문(12)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닫힘확인모듈(52)은 개폐확인부와 고정확인부(5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확인부는 승강기본체(10)에 구비되는 제1확인부(521)와, 출입문(12)에 구비되는 제2확인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확인부(521)와 제2확인부(522)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1확인부(521)와 제2확인부(522) 중 어느 하나가 제1확인부(521)와 제2확인부(522) 중 다른 하나를 감지하면 출입문(12)의 닫힘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확인부(521)와 제2확인부(522)는 잠금 설정되어 출입문(12)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확인부(523)는 힌지부(121)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출입문(12)에 인접 배치되어 출입문(12)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출입문(12)이 개방됨에 따라 고정확인부(523)가 출입문(12)을 감지하면, 출입문(12)의 개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고정확인부(523)는 구동모터부(511)의 정지 동작을 유지시켜 출입문(12)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부호 524는 해당층에 대응하여 승강기본체(10)에서 승강카(20)를 감지하는 카확인부(524)이다. 카확인부(524)는 해당층에서 승강카(20)의 정위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카고정유닛(60)은 기설정된 높이에서 기구적으로 승강카(20)를 승강기본체(10)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카고정장치는 카고정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고정유닛(60)은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본체(10) 또는 실린더고정부(13)에 결합되는 제1고정브라켓(61)과, 제1고정브라켓(61)에서 이격되어 승강기본체(10) 또는 실린더고정부(13)에 결합되는 제2고정브라켓(62)과, 제1고정브라켓(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샤프트(63)와, 키샤프트(63)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2고정브라켓(6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로드(64)와, 키샤프트(63)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로드(64)에 링크 결합되고 키샤프트(63)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로드(64)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링크(65)와, 승강기본체(10)의 외부에서 제1고정브라켓(61)과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제1고정브라켓(61)이 회전되도록 하는 락킹키박스(6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브라켓(62)에는 슬라이딩로드(64)를 감싸 지지하는 오일리스부싱(621)이 구비되어 슬라이딩로드(64)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키샤프트(63)는 승강기본체(10)의 바닥에 대응하여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고정브라켓(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락킹키박스(67)는 승강기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카고정유닛(60)은 슬라이딩로드(64)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승강기본체(10)에 결합되고, 슬라이딩로드(64)를 감지하는 브라켓감지모듈(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감지모듈(66)은 승강기본체(10) 또는 실린더고정부(13)에 결합되는 고정감지베이스(661)와, 슬라이딩로드(64)를 향해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고정감지베이스(661)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로드(64)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로드(64)를 감지하는 고정피벗감지부(66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피벗감지부(662)는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로드(64)에 지지됨에 따라 슬라이딩로드(64)가 승강카(20)에서 이격되어 승강카(20)가 승강 이동 가능한 정상 상태임을 전기 전자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로드(64)가 승강카(20)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되면, 고정피벗감지부(662)는 슬라이딩로드(64)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슬라이딩로드(64)의 단부는 승강카(20)에 결합되어 승강카(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피벗감지부(662)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슬라이딩로드(64)가 승강카(20)를 고정시키는 고정 상태임을 전기 전자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카고정유닛(60)의 동작을 살펴보면, 아이들 상태에서 슬라이딩로드(64)가 승강카(20)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승강카(20)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승강카(20)가 기설정된 높이이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락킹키박스(67)를 조작하여 키샤프트(63)를 회전시키면, 연결링크(65)가 피벗 운동하면서 슬라이딩로드(64)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로드(64)는 승강카(20)와 결합됨에 따라 승강기본체(10)에서 승강카(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에 따르면, 승강기에 구비된 케이블(44)의 장력 감지 결과에 따라 기구적으로 승강카(20)를 승강기본체(10)에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피벗모듈(32)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피벗모듈(32)에서 케이블(44)의 지지 상태를 명확하게 하고, 케이블(44)의 장력이 해지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한 피벗모듈(32)의 피벗 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지모듈(33)의 세부 구성을 통해 레일관통부(332)를 따라 승강레일이 안정되게 통과하도록 하고, 케이블(44)의 장력이 해지됨에 따라 파지모듈(33)과 파지구동모듈(34)과 승강레일의 결합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지구동모듈(34)의 세부 구성을 통해 피벗모듈(32)의 피벗 운동에 따라 구동파지부(344)가 충분히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고, 구동파지부(344)와 고정파지부(333)가 승강레일에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력감지모듈(31)을 통해 케이블(44)에서 장력의 해지 여부를 전기 전자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고정유닛(60)에 따르면, 승강기의 점검을 위해 기설정된 높이에서 기구적으로 승강카(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기의 카고정유닛(6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외력을 안정되게 슬라이딩로드(64)에 전달하고, 슬라이딩로드(64)가 안정되게 승강카(20)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브라켓감지모듈(66)을 통해 슬라이딩로드(64)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전기 전자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승강유닛(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승강카(20)의 구동력 및 승강카(20)의 견인력을 향상시키고, 케이블(44)의 장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유닛(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승강카(20)의 승강 이동을 명확하게 하고, 승강카(20)의 승강 이동에 대하여 승강카(20)를 출입문(12)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출입개폐유닛(5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12)에 대하여 출입문(12)의 개폐 동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승강기본체 11: 승강공간 12: 출입문
121: 힌지부 13: 실린더고정부 20: 승강카
21: 유닛설치부 22: 안내가이드 30: 비상정지유닛
31: 장력감지모듈 311: 장력감지베이스 312: 장력피벗감지부
32: 피벗모듈 321: 피벗축 322: 피벗지지부
323: 케이블지지부 324: 피벗구동암부 325: 피벗탄성부
326: 지지결합부 327: 카결합부 33: 파지모듈
331: 파지블럭 332: 레일관통부 333: 고정파지부
334: 경사지지부 335: 고정위치조절부 34: 파지구동모듈
341: 파지구동축 342: 파지구동암부 343: 전달암부
344: 구동파지부 40: 승강유닛 41: 유압모듈
411: 실린더 412: 피스톤 413: 유압펌핑부
414: 승강선택부 415: 유압탱크 416: 수동펌핑부
42: 승강안내모듈 43: 승강모듈 43a: 이탈방지부
431: 승강베이스 431a: 하부커버 431b: 상부커버
432: 안내슬라이더 433: 지지도르래 44: 케이블
45: 제1지지모듈 451: 제1브라켓 452: 제1쇄기
453: 제1로드 454: 지지탄성부재 455: 탄성지지부재
456: 제한로드 457: 부재감지부 46: 제2지지모듈
461: 제2브라켓 462: 제2쇄기 463: 제2로드
464: 브라켓고정부재 47: 승강제한모듈 471: 제한베이스
472: 승강감지바 473: 버튼위치조절부 48: 상한감지부
481: 제1감속리미트 482: 상한리미트 483: 제1정지리미트
49: 하한감지부 491: 제2감속리미트 492: 하한리미트
493: 제2정지리미트 50: 출입개폐유닛 51: 출입구동모듈
511: 구동모터부 512: 닫힘센서 513: 열림센서
514: 센서접촉부 515: 제1링크 516: 제2링크
52: 닫힘확인모듈 521: 제1확인부 522: 제2확인부
523: 고정확인부 524: 카확인부 60: 카고정유닛
61: 제1고정브라켓 62: 제2고정브라켓 621: 오일리스부싱
63: 키샤프트 64: 슬라이딩로드 65: 연결링크
66: 브라켓감지모듈 661: 고정감지베이스 662: 고정피벗감지부
67: 락킹키박스

Claims (13)

  1. 사용자의 탑승을 위한 승강카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카에 연결된 케이블을 탄성 가압하는 피벗모듈;
    상기 피벗모듈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승강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승강레일이 통과하는 파지모듈; 및
    상기 피벗모듈과 마주보도록 상기 승강카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파지모듈에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파지구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의 장력이 해지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벗모듈이 상기 파지구동모듈을 향해 피벗 운동하면, 상기 파지구동모듈은 상기 피벗모듈의 피벗 운동과 함께 피벗 운동하면서 상기 파지모듈에서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파지모듈과 상기 파지구동모듈 사이에서 상기 승강레일이 고정되며,
    상기 파지구동모듈은,
    상기 피벗모듈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승강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구동축;
    상기 피벗모듈에 지지되도록 상기 파지구동축에 돌출 형성되는 파지구동암부;
    상기 파지구동암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파지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전달암부; 및
    상기 전달암부와 링크 결합되고, 상기 파지모듈에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모듈은,
    상기 승강카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축;
    상기 피벗축의 피벗 운동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피벗축에 결합되는 피벗지지부;
    상기 케이블에 지지되도록 상기 피벗지지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케이블지지부;
    상기 파지구동모듈에 지지되도록 상기 피벗지지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피벗구동암부; 및
    상기 케이블지지부가 상기 케이블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승강카를 기준으로 상기 피벗축 또는 상기 피벗지지부 또는 상기 케이블지지부 또는 상기 피벗구동암부를 탄성 지지하는 피벗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모듈은,
    상기 승강레일과 마주보도록 상기 승강카에 결합되는 파지블럭;
    상기 승강레일이 통과하도록 상기 파지블럭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레일관통부;
    상기 케이블의 장력이 해지되면 상기 승강레일과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파지블럭에 결합되는 고정파지부; 및
    상기 고정파지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파지블럭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파지부의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상기 파지구동모듈이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경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장력이 해지되면, 상기 피벗모듈이 상기 파지구동암부를 밀어 냄에 따라 상기 파지구동축과 함께 상기 전달암부가 피벗 운동하고, 상기 구동파지부가 상기 파지모듈에서 경사지게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파지모듈과 상기 구동파지부가 상기 승강레일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지지되도록 상기 승강카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
  6. 외관을 형성하고, 해당 층별로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이 구비되는 승강기본체;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고, 상기 승강기본체에서 승강 이동 가능한 승강카; 및
    상기 승강기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에 포함되는 케이블의 장력 감지 결과에 따라 기구적으로 상기 승강카를 상기 승강기본체에 고정시키는 비상정지유닛; 및
    기설정된 높이에서 기구적으로 상기 승강카를 상기 승강기본체에 고정시키는 카고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정지유닛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고정유닛은,
    승강기본체에 결합되는 제1고정브라켓;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서 이격되어 상기 승강기본체에 결합되는 제2고정브라켓;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샤프트;
    상기 키샤프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고정브라켓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로드;
    상기 키샤프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로드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키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링크; 및
    상기 승강기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제1고정브라켓과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제1고정브라켓이 회전되도록 하는 락킹키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고정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상기 승강기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로드를 감지하는 브라켓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카의 승강 이동을 위해 유압으로 상기 승강카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듈;
    상기 승강카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승강카가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안내모듈;
    상기 승강카에 결합되고 상기 유압모듈이 결합되어 상기 승강카의 구동력으로 상기 승강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모듈;
    상기 승강모듈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일단부는 상기 승강기본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승강카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카의 이동에 대응하여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상기 승강모듈에서 이동 가능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를 상기 승강기본체에 결합시키는 제1지지모듈; 및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를 상기 승강기본체에 결합시키는 제2지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카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카와 함께 승강 이동되는 승강제한모듈;
    기준층의 위층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기본체 또는 상기 승강안내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제한모듈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승강제한모듈을 감지하는 상한감지부; 및
    상기 기준층에 대응하여 상기 상한감지부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승강기본체 또는 상기 승강안내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제한모듈의 하강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승강제한모듈을 감지하는 하한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본체에서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출입개폐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158187A 2020-11-23 2020-11-23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KR102276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187A KR102276971B1 (ko) 2020-11-23 2020-11-23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KR1020210060676A KR102382050B1 (ko) 2020-11-23 2021-05-11 승강기의 카고정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187A KR102276971B1 (ko) 2020-11-23 2020-11-23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676A Division KR102382050B1 (ko) 2020-11-23 2021-05-11 승강기의 카고정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971B1 true KR102276971B1 (ko) 2021-07-13

Family

ID=768587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187A KR102276971B1 (ko) 2020-11-23 2020-11-23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KR1020210060676A KR102382050B1 (ko) 2020-11-23 2021-05-11 승강기의 카고정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676A KR102382050B1 (ko) 2020-11-23 2021-05-11 승강기의 카고정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6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5353A (zh) * 2021-12-28 2022-04-08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测试轿厢强度的装置
CN115352973A (zh) * 2022-08-05 2022-11-18 伊萨智能电梯有限公司 一种具有人脸识别功能的智能电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6142A (ja) * 1998-02-27 1999-09-14 Misawa Homes Co Ltd 昇降機の落下防止機構
KR200437138Y1 (ko) * 2007-01-25 2007-11-06 케이알승강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장치
KR200440345Y1 (ko) * 2006-12-22 2008-06-09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단방향 비상 정지장치
KR20190031171A (ko) 2017-09-15 2019-03-2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JP6633208B2 (ja) * 2016-08-09 2020-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6032A (ja) * 2010-06-11 2011-12-22 Nippon Kiki Kogyo Kk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6142A (ja) * 1998-02-27 1999-09-14 Misawa Homes Co Ltd 昇降機の落下防止機構
KR200440345Y1 (ko) * 2006-12-22 2008-06-09 덕 규 김 엘리베이터용 단방향 비상 정지장치
KR200437138Y1 (ko) * 2007-01-25 2007-11-06 케이알승강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장치
JP6633208B2 (ja) * 2016-08-09 2020-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190031171A (ko) 2017-09-15 2019-03-2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5353A (zh) * 2021-12-28 2022-04-08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测试轿厢强度的装置
CN115352973A (zh) * 2022-08-05 2022-11-18 伊萨智能电梯有限公司 一种具有人脸识别功能的智能电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050B1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971B1 (ko) 승강기의 비상정지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승강기
KR101412790B1 (ko) 카 도어 록
JP410772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05360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1537846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US20080127560A1 (en) Garage door opener
EP2760775B1 (en) Reducing over-traction in an elevator
CN109476458B (zh)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US1944772A (en) Elevator compensating rope sheave
KR101470271B1 (ko) 더블-데크 엘리베이터
JP3742750B2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US1132761A (en) Rope-drive elevator.
US7032714B2 (en) Automatic return mechanism for elevator escape device
JP200225546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非常停止装置
CA2561026C (en) Garage door opener
JP6580275B2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WO20051056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9720959B (zh) 调速器和电梯
JP2009263110A (ja) 油圧式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5238363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2226161A (ja) エレベーター用上開き引き戸装置
JP3561819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における保守用昇降機の落下防止装置
EP1157885A2 (en) Method of synchronising two hydraulic cylinders and device therefore
CN112390118B (zh) 电梯的门装置
KR100196206B1 (ko) 엘리베이터용 로우프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