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324A - 포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및 그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포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및 그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324A
KR20190020324A KR1020197001128A KR20197001128A KR20190020324A KR 20190020324 A KR20190020324 A KR 20190020324A KR 1020197001128 A KR1020197001128 A KR 1020197001128A KR 20197001128 A KR20197001128 A KR 20197001128A KR 20190020324 A KR20190020324 A KR 20190020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oam
screen
light transmissive
transmissiv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카즈 고바야시
다카아키 마스다
노부오 구보타
가오리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폴라 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폴라 파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폴라 파마
Publication of KR2019002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61K9/122Foams; Dry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61K9/124Aerosols; Foams characterised by the propel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한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이어도 양호한 거품을 나타내는 제품을 제공한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고, 공기층과 이것을 내포하는 포말 껍질로 이루어지는 포말로서, 상기 포말 껍질은 그 표면에 확대되는, 서로의 경계가 식별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고광 투과성 영역과, 그 고광 투과성 영역보다 광 투과성이 낮은 저광 투과성 영역을 갖고, 상기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 전체가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

Description

포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및 그 평가 방법
본 발명은, 포말, 그 포말을 형성하기 위한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폼제는, 폼이 가지고 있는, 피부 상에서의 사용시의 부드러움과, 거품이 가지고 있는 폐색 기능, 활성의 표면적이 매우 많은 등의 큰 이점이 있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을 참조). 폼제의 원형은, 표면 장력이 낮은 조성물을 액화 가스와 함께 토출시켜, 액화 가스의 기화, 체적 팽창에 의해 거품을 형성하는 제제이다. 당초 액화 가스로서 프레온 등의 불소 화합물이 이용되어 왔지만, 불소 가스는 오존 홀을 확대시킬 염려가 있는 점에서 이용할 수 없게 되어, 액화 천연 가스로 전환되었지만, 액화 천연 가스에는, 액화 천연 가스 자체가 피부에 대하여 자극을 나타내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를 참조), 가연 폭발물이기 때문에 취급이 번잡한 등의 문제가 있어, 실질적으로는 제품 응용이 어려운 상황이 되어 있다.
그러한 가운데, 발포용의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압력을 가하여 스크린을 통과시켜,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발포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세정제 등에 응용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를 참조). 이것은, 세정제 등에서는, 아니온 계면 활성제 등, 이온성의 계면 활성제가 세정제 겸 발포제로서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이온성의 계면 활성제에서는, 계면 활성제 소수기끼리를 내측을 향한 강한 구조의 이중막을 형성하고 (도 1 을 참조), 이에 의해 거품이 안정되어, 거품 발생이 양호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포말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경우, 거품 껍질의 이중막 구조가 보일 뿐이고, 포말 껍질을 표면의 확산 방향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구조체는 관찰되지 않는다. 1 장의 이중막이 닫히고, 닫힌 공간에 공기를 포함하여, 포말이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온성의 계면 활성제에 있어서는, 친수기의 친수성이 높고, 또한, 작은 것 및 소수기가 큰 것의 2 개의 이유에 의한 것이다. 거기에 비하여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에서는, 친수기의 친수성이 낮고, 부분적으로는 소수 부분도 갖고, 또한, 그 크기가 큰 것으로부터, 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같은 강고한 이중막 구조를 취할 수 없기 때문에, 거품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스크린 포머 정도의 기포 (起泡) 수단에서는 만족할 수 있는 기포성이 얻어지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은 세정제에 대한 응용만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한 상황하에 있어도, 스크린 포머로도 우수한 기포성을 갖는 조성물이 발견되어 왔지만 (예를 들어, 특허문헌 5, 특허문헌 6 을 참조),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고, 어떠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이용하면 우수한 기포성이 얻어지는가는 불명하고, 그 때문에, 세정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피부 외용제에 대한 응용은 막혀 있었다.
또한, 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소수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을, 스크린 포머를 통과시켜, 포말을 형성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것이지만,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말 형성 성분으로 하고, 계면 활성제 이외에는 모두 친수성 성분인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친수성 성분만으로 구성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에 보습 성분을 함유시키고, 스크린 포머를 통하여 포말 형성시켜, 거칠어진 피부 등, 자극을 느끼기 쉬운 피부 상에 물리적 자극감이 적게 투여하는 시도는, 요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1449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581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184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132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0830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77365호
본 발명의 과제는, 이와 같은 상황하 이루어진 것으로, 거칠어진 피부 등, 자극을 느끼기 쉬운 피부 상에 물리적 자극감이 적게 수용성 유효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신규의 포말, 및 이와 같은 포말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포말을 형성하는 스크린 포머용 조성물의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이 높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말 형성제로서 사용한 포말의 구조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포말의 표면에 고광 투과성 영역과 저광 투과성 영역을 갖고, 정치 (靜置) 조건하에서 시간 경과적으로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확장되고, 포말 표면 전체가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과 같은 성질을 갖는 포말에는, 양호한 지속성을 갖는 것을 알아냈다.
즉,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고, 공기층과 이것을 내포하는 포말 껍질로 이루어지는 포말로서,
상기 포말 껍질은 그 표면에 확대되는, 서로의 경계가 식별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고광 투과성 영역과, 그 고광 투과성 영역보다 광 투과성이 낮은 저광 투과성 영역을 갖고,
상기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 전체가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이다.
본 발명의 포말은, 안전성이 높고, 지속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말 껍질의 구조가, 2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다층 구조가,
상기 포말의 외기상에 접하는 수성 성분상과,
상기 포말의 내기상과 접하는 수성 성분상과,
이들 2 개의 수성 성분상에 끼워지고,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 및/또는 다가 알코올 중합물을 포함하는 액적상을 구비하는 2 상 3 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저광 투과성 영역에 있어서의 포말 껍질의 구조가 다층 구조인 포말은, 지속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말 형성제로서 포함하고, 스크린 포머에 의해 청구항 1 ∼ 3 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말을 형성 가능한, 가용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본 발명의 포말을 형성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조성물은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를 0.001 ∼ 5 질량% 함유한다.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인 조성물은, 형성한 포말의 저광 투과성 영역에 있어서의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가, 헤파린 유사 물질 및/또는 히알루론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1 ∼ 15 질량% 함유한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농도가 상기 범위인 조성물은, 본 발명의 포말을 형성하는 데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조성물은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 및/또는 다가 알코올 중합물을 10 질량% 이상 함유한다.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 및/또는 다가 알코올 중합물의 농도를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형성한 포말의 저광 투과성 영역에 있어서의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보습감 등의 사용 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모든 탄소 원자에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수 2 ∼ 6 의 다가 알코올을 0.001 ∼ 3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가 알코올의 농도를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형성한 포말의 저광 투과성 영역에 있어서의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보습감 등의 사용 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유기염 및/또는 무기염을 포함한다.
유기염 및/또는 무기염을 포함하는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포말을 형성하는 데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조성물은, 그 구성 성분을,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담점 이상에서 가용화함으로써 제조된다.
담점 이상에서 가용화함으로써 제조하여 얻어지는 조성물은, 본 발명의 포말을 형성하는 데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조성물은, 이것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하기 (A) 및 (B) 의 조건을 충족한다.
(A) 하기 (I) 또는 하기 (II) 의 처리 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 또는 거의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B) 하기 (I) 의 처리 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I) 상기 조성물을 개방계로 정치한다.
(II) 상기 조성물에 응력을 가한다.
상기 (A) 및 상기 (B) 의 조건을 충족하는 조성물은, 본 발명의 포말을 형성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조성물은, 또한, 하기 (C) 의 조건을 충족한다.
(C) 상기 (II) 의 처리 후에는, 그 처리 전보다도 많은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상기 (C) 의 조건을 충족하는 상기 조성물은, 발명의 포말을 형성하는 데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조성물은, 상기 (II) 의 처리로서, 상기 조성물에 원심 분리에 의해 응력을 가한 경우에, 상기 조건을 충족한다.
원심 분리에 의해 응력을 가한 경우에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조성물은, 발명의 포말을 형성하는 데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담점 이상에서 가용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포말을 형성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보다 적합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말 형성제로서 사용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스크린 포머에 통과시켜 포말을 형성시켰을 때,
상기 포말 껍질에 있어서, 그 표면에 확대되는, 서로의 경계가 식별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고광 투과성 영역과, 그 고광 투과성 영역보다 광 투과성이 낮은 저광 투과성 영역이 관찰되고,
상기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 전체가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인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상기 포말의 표면 전체가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을 이용하면,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한 조성물을 선택함으로써 기포성, 거품 지속성이 우수한 스크린 포머로 기포하는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고광 투과성 영역과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의 관찰을 광학 현미경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간편하게, 또는 정확하게,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되는 과정에 있어서 관찰되는, 상기 고광 투과성 영역의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차가 작을 수록,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별한다.
당해 기준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조성물을 스크린 포머에 통과시키지 않고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하기 (A) 및 하기 (B) 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별한다.
(A) 하기 (I) 또는 하기 (II) 의 처리 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 또는 거의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B) 하기 (I) 의 처리 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I) 상기 조성물을 개방계로 정치한다.
(II) 상기 조성물에 응력을 가한다.
이 형태의 평가 방법에 의하면,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한 조성물을 선택함으로써 양호한 거품을 나타내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당해 평가 방법은, 그것만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전술한 포말의 저광 투과성 영역의 양태를 지표로 하는 평가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추가로, 하기 (C) 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별한다.
(C) 상기 (II) 의 처리 후에는, 그 처리 전보다도 많은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당해 기준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C) 에 있어서, 관찰되는 미셀 이미지의 입경이 작을 수록,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별한다.
당해 기준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C) 에 있어서, 관찰되는 미셀 이미지의 입경의 균일성이 높을 수록,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별한다.
당해 기준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II) 의 처리가, 상기 조성물에 원심 분리에 의해 응력을 가하는 처리이다.
원심 분리에 의해 상기 조성물에 응력을 가한 후에 광학 현미경 관찰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미셀 이미지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정확하게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말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고, 신규의 구조이기 때문에 거품 지속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은, 기포성이 우수하고, 상기 포말을 형성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간편 또는 정확하게, 상기 포말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평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씻어내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는 피부 외용제로서 적용할 수 있는, 양호한 거품을 나타내는 신규의 폼 형태의 제제의 설계, 제조가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포말 (10) 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포말 껍질의 표면 전체가 저광 투과성 영역 (12) 에 의해 차지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포말 (10) 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되는 과정에 있어서의 고광 투과성 영역 (11) 의 형상의 차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종래의 지방산 비누를 포말 형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포말 (10) 의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포말 (10) 에 있어서, 시간 경과적으로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이 확장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포말 (10) 의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포말 (10) 의 막이, 다가 알코올의 층간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삼투압과 표면 장력을 길항함으로써 확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은 시험예 1 ∼ 3 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시험예 1 에 있어서 조성물 1 의 포말의 양태가 시간 경과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시간이 경과하고 있다.
도 8 은 조성물 1, 조성물 4 및 조성물 5 에 대하여 시험예 1 의 수법으로 포말의 형태를 비교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포말, 이것을 형성하기 위한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의 평가 방법의 순서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포말
본 발명에 있어서, 「포말」 이란, 집합체로서의 거품을 의미하고, 공기층과 이것을 내포하는 포말 껍질로 이루어진다.
<1-1> 포말의 구조
본 발명의 포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첨가한다. 본 발명의 포말 (10) 은, 이것을 구성하는 포말 껍질의 표면에 확대되는 고광 투과성 영역 (11) 및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을 구비한다 (도 1).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은 고광 투과성 영역 (11) 에 비하여 광 투과성이 낮다. 이 광 투과성의 차이에 의해, 저광 투과성 영역 (12) 과 고광 투과성 영역 (11) 의 서로의 경계는 식별할 수 있다. 저광 투과성 영역 (12) 에 있어서의 광 투과성은 대략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은,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했을 때에 회색 또는 흑색으로 보일 정도로 광 투과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말 (10) 은, 25 ℃ 하에 정치하면,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포말 (10) 의 표면 전체가 저광 투과성 영역 (12) 에 의해 차지된다 (도 1).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포말은 지속성이 우수하다.
또한, 포말 (10) 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포말 (10) 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되는 과정,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말 (10) 의 표면적의 절반 이상을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이 차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고광 투과성 영역 (11) 의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차가 작을 수록, 보다 지속성이 우수한 포말 (10) 이 된다.
예를 들어,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의 면적이 확대되는 과정에 있어서,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차가 큰 고광 투과성 영역 (11) 을 갖는 포말 (10) 과 비교하여,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차가 작은 고광 투과성 영역 (11) 을 갖는 포말 (10) 은, 지속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지방산 비누를 기포성 성분으로 하는 것과 같은 포말에 있어서는, 지방산염이 친수성 부분을 액상 (3) 을 향하고, 또한, 소수성 부분을 기상 (21, 22) 측을 향하여 배열된 1 장의 이중막 구조의 막으로 공기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한다 (도 3).
본 발명의 포말에 있어서의 고광 투과성 영역 (11) 에 있어서의 포말 껍질의 구조도, 이것과 동일하게 기액 계면에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배열한 1 장의 수성 성분상 (31) 으로 이루어지는 1 층 구조여도 된다 (도 4).
또한, 수성 성분상 (31) 에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 및/또는 다가 알코올 중합물을 포함하는 액적 (미셀) (33) 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광 투과성 영역 (12) 에 있어서의 포말 껍질의 구조는 다중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층 구조가 2 상 3 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광 투과성 영역 (12) 에 있어서의 포말 껍질의 구조는, 포말 (10) 의 외기상 (21) 에 접하는 수성 성분상 (31), 포말 (10) 의 내기상 (22) 과 접하는 수성 성분상 (31), 및 이들 2 개의 수성 성분상에 끼워진 액적상 (32) 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액적상 (32) 이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 및/또는 다가 알코올 중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에 나타내는 지방산 비누를 포말 형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포말 (10) 은, 표면 장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면서 이중막 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포말 (10) 에서는 표면 장력 그 자체는 감소시키지 않고, 다가 알코올의 층간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삼투압과 표면 장력을 길항시켜 막을 확대시킨다 (도 5 참조).
이와 같은 구조의 막을 형성함으로써, 표면 장력을 현저하게 감소시키지 않고 포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표면 장력의 현저한 저하에 의한 피부에 대한 자극을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말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은, 세정 공정을 포함하지 않고 사용하는 양태의 외용제의 기제로서 유용하다.
<1-2> 포말의 구성 성분
본 발명의 포말은, 상기 포말 껍질에 필수 성분으로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한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포말을 형성하는 작용을 갖는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포말의 표면에 저광 투과성 영역을 형성하는 한, 특별한 한정 없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HLB 치는, 바람직하게는 9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이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HLB 치는, 예를 들어 10 ∼ 19 이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소수기를 구성하는 탄소 사슬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다. 또한, 탄소수의 상한치로서 바람직하게는 22 이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이하의 X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X 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
그 중에서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를 포함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만을 함유시키는 형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에 더하여,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는 형태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와 조합하는 성분으로서, 특히,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가 바람직하고, 이들 양자를 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만을 사용하는 형태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를 구성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0 ∼ 24,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22 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로는,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에 있어서,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는 2 ∼ 50 이 바람직하고, 4 ∼ 45 가 보다 바람직하고, 4 ∼ 40 이 더욱 바람직하고, 6 ∼ 30 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8 ∼ 24,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18 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의,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는 5 ∼ 70 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65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55 이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2 ∼ 18 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모노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트리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테트라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는 10 ∼ 50 이 바람직하고, 5 ∼ 25 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에 있어서는, 폴리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가 30 ∼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를 구성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6 ∼ 24 이다.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로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세틸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의 평균 부가 몰수는 2 ∼ 30 이 바람직하고, 4 ∼ 2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프로필렌의 평균 부가 몰수는 10 ∼ 20 이 바람직하고, 6 ∼ 16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부분적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지방족 알칸올아미드형 계면 활성제로부터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선택하여,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지방족 알칸올아미드형 계면 활성제는, 외용 의약이나 화장품 등의 통상적인 피부 외용제에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정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 구체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코카미드 MEA),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코카미드 DEA),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라미드 MEA),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라우라미드 DEA), 라우르산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라우라미드 MIPA), 팔미트산모노에탄올아미드 (팔타미드 MEA), 팔미트산디에탄올아미드 (팔타미드 DEA), 야자유 지방산 메틸에탄올아미드 (코카미드메틸 MEA)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고,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팔미트산디에탄올아미드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알칸올아미드형 계면 활성제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1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혀 포함하지 않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포말은, 상기 HLB 치가 9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이외에, HLB 치가 5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HLB 치가 5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피부 외용제 등에 배합 가능하면 특별히 정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
상기 HLB 치가 5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모노미리스트산글리세릴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이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올레산소르비탄, 트리스테아르산소르비탄, 트리올레산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르산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소르비탄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이다.
상기 HLB 가 9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HLB 치가 5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조합의 예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HLB 가 9 이상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에 HLB 가 5 이하인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및/또는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을 조합하는 형태, HLB 치가 9 이상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에 더하여 HLB 가 9 이상인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화되어 있어도 되는 피마자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HLB 치가 5 이하인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및/또는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을 조합하는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말은, 이온성 계면 활성제 (단, 인지질을 제외한다) 를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안전성이 높은 포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포말은, 포말 껍질에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말에 있어서의 알코올이란, 1 가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총칭이다. 이러한 성분은, 물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는 성질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말에 있어서의 알코올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포말 껍질을 강고하게 한다.
본 발명의 포말에 있어서의 알코올은, 다가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1 가의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 3 의 알코올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1 가의 알코올은, 전술한 다층 구조에 있어서의 수성 성분상의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로는, 모든 탄소 원자에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수 2 ∼ 6 의 다가 알코올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에리트리톨, 글루코오스, 소르비톨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모든 탄소 원자에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수 2 ∼ 6 의 다가 알코올은, 전술한 다층 구조에 있어서의 수성 성분상의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헥실렌글리콜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은, 전술한 다층 구조에 있어서의 액적상의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 알코올 중합물도 친수기끼리가 회합함으로써, 포말에 있어서 전술한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과 동일한 작용을 갖는다. 그 때문에, 다가 알코올 중합물을 포함하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 중합물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다가 알코올 중합물은, 전술한 다층 구조에 있어서의 액적상의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로는,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에서 선택되는 1 종 내지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이다.
또한, 다가 알코올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말은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로는,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유도체 등의 히알루론산류, 콘드로이틴,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콘드로이틴황산류, 데르마탄황산, 헤파란황산, 헤파린, 헤파린 유사 물질, 케라탄황산 등의 무코 다당류, 키틴, 키토산 등의 폴리글루코사민 ; 잔탄 검, 숙시노글리칸, 카라기난, 구아 검, 로커스트 빈 검, 갈락탄, 아라비아 검, 트라간트 검, 타마린드 검, 한천, 아가로스, 만난, 커들란, 펙틴, 알긴산 및 그 염류, 전분, 덱스트린, 셀룰로오스류 등의 친수성 천연 고분자 ; 카르복시메틸스타치 및 그 염류, 아크릴산 그래프트 전분 및 그 염류 등의 전분 유도체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나 스테아릴기 등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유도체, 술폰화셀룰로오스 유도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류,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및 그 염류, 아세트산프탈산셀룰로오스, 염화 O-[2-하이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쿼터늄-10」 이라고도 한다) 등의 카티온화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클로르카르멜로스 및 그 염류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같은 친수성 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 중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유도체 등의 히알루론산류, 데르마탄황산, 헤파란황산, 헤파린, 헤파린 유사 물질, 케라탄황산 등의 무코 다당류, 키틴, 키토산 등의 폴리글루코사민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및 헤파린 유사 물질을 예시할 수 있다.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는 단 1 종을 함유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함유할 수도 있다.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는, 전술한 다층 구조에 있어서의 수성 성분상의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됨으로써, 분산적의 안정화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부차적 효과로서 보습 작용도 가져온다.
본 발명의 포말은, 유기염 및/또는 무기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포말은, 유기염 및/또는 무기염에 의해 액성이 조정되어, 강산성 ∼ 강알칼리성 (pH2 ∼ 12) 의 범위에 있어서 액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우수한 기포성, 거품 유지, 거품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기염 및/또는 무기염으로는, 염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숙신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소르브산, 락트산, 말레산, 황산, 인산, 말산, 아르기닌, 암모니아수,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및 수산화나트륨, 또는 그들의 염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포말은, 피부 외용 의약, 화장료 등의 외용 조성물로 사용되는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이나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류, 호호바유, 도데칸산올레일에스테르, 세틸이소옥타네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N-메틸-2-피롤리돈, N-에틸-2-피롤리돈 등의 N-알킬-2-메틸피롤리돈, 탄산에틸렌, 탄산프로필렌 등의 탄소수 2 ∼ 4 의 탄산알킬렌, 크로타미톤, 시트르산트리에틸, 디에틸렌글리콜의 에틸에테르, 트리아세틴,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에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등의 탄소수 5 ∼ 12 의 이염기산의 디에스테르, 벤질알코올 등의 용제류,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잔탄 검 등의 증점제, 파라벤, 클로르헥시딘글루코네이트 등의 살균제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임의 성분 중, 바람직한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말에 유효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폼제형의 의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로코르티손, 클로베타손, 덱사메타손 및 베타메타손, 그리고 그들의 유도체 등의 스테로이드류, 인도메타신, 수프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염화벤잘코늄 등의 살균제, 테르비나핀, 부테나핀, 비포나졸, 케토코나졸 등의 항진균제, 페니실린, 메티실린, 테트라사이클린, 콜리스틴메탄술폰산, 포스포마이신 등의 항생 물질, 날푸라핀 등의 항소양제, 비타민 A 류, 비타민 B 류, 비타민 C 류, 비타민 D 류, 비타민 E 류, 타크로리무스 등의 면역 억제제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항진균제로서, 나프틸아민계, 벤질아민계, 아졸계, 디티올란계의 항진균제를 함유하는 형태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은, 물에 대한 용해성에 따라, 저광 투과성 영역 및 고광 투과성 영역의 어느 영역에 있어서의 포말 껍질에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은, 전술한 다층 구조에 있어서의 수성 성분상 및 액적상의 어느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용제로는, 예를 들어, 이하 Y 군에서 선택되는 극성 용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Y 군)
N-알킬피롤리돈, 탄산알킬렌, 벤질알코올, 아디프산디에스테르, 세바스산디에스테르
상기 Y 군의 극성 용제는, 난용해성의 약제 (유효 성분) 의 용해성이 우수하여, 난용해성의 약제를 본 발명의 포말에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N-알킬피롤리돈으로는, 탄소수 1 ∼ 4 의 알킬 사슬을 갖는 N-알킬-2-피롤리돈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N-메틸-2-피롤리돈, N-에틸-2-피롤리돈이다.
상기 탄산알킬렌으로는, 탄산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디프산디에스테르로는, 아디프산디에틸,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바스산디에스테르로는, 세바스산디에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이 바람직하다.
상기 극성 용제는 단독으로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도 있고,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선택하여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말은, 인지질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지질로는, 외용 의약이나 화장품 등의 통상적인 피부 외용제에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 없이 적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대두나 노른자로부터 정제되는 레시틴, 레시틴의 주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 수산화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의 주사슬인 포스파티딘산, 수소 첨가 레시틴,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스핑고미엘린, 세레브로시드 및 이들의 리소체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시틴, 수소 첨가 레시틴이다.
상기 인지질은, 조성물의 거품질을 향상시키는 작용, 보습 작용이 우수한 것 외에, 기포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도포 후의 적당한 시간에 소포하기 때문에, 도포 및 연전시의 자극성이 낮고, 신장되기 쉽고, 거품이 남지 않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피부 배리어 기능이 저하한 피부에 대한 도포에 적합하다. 상기 인지질은, 단 1 종을 함유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함유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포말은, 상기 인지질에 더하여, 스쿠알렌,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왁스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모노글리세리드, 세라미드, 유리 지방산 등의 피지 성분, 세린, 글리신 등의 아미노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그 염, 우레아, 락트산 등의 천연 보습 인자, 히알루론산 등의 산성 무코 다당류 등도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포말은, 아미노카르복실산 유도체 및 그 염, 포스폰산 유도체 및 그 염, 페난트롤린 유도체 및 그 염, 피트산 유도체 및 그 염, 글루콘산 유도체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아미노산카르복실산 유도체로는,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니트릴로삼아세트산,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삼아세트산, 트리에틸렌테트라민헥사아세트산, 1,3-프로판디아민사아세트산, 1,3-디아미노-2-하이드록시프로판사아세트산, 하이드록시에틸이미노이아세트산, 디하이드록시에틸글리신, 글리콜에테르디아민사아세트산, 디카르복시메틸글루타민산, (S,S)-에틸렌디아민숙신산 및 이들의 염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및 그 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폰산 유도체로는, 하이드록시에틸리덴디포스폰산, 니트릴로트리스(메틸렌포스폰산), 포스포노부탄트리카르복시실릭 애시드,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및 이들의 염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에틸리덴디포스폰산 및 그 염이다.
이상 설명한 각 성분의 함유량 등, 바람직한 조성에 대해서는, <2> 본 발명의 스크린 포머용 조성물의 항에 있어서 설명하고, 그 조성이 본 발명의 포말에도 적용된다.
<1-3> 포말의 용도
본 발명의 포말은, 안전성이 높고, 거품 지속성을 갖기 대문에, 환부에 부담을 주지 않고,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질로부터, 본 발명의 포말은, 피부 질환에 대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의약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도포 후 제거하지 않고 사용된다.
<1-4> 포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포말은, 다음 항에서 설명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을 스크린 포머에 통과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포머란, 액체를 가압하여, 네트상의 스크린을 통과시킴으로써, 조성물을 공기와 혼합시키고, 발포시키는 기구의 것을 의미하고, 펌프 포머, 튜브 포머 등이 알려져 있고, 특히 펌프 포머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펌프 포머란 펌프로 퍼올린 내용물을, 거품상의 형태로 토출하는 기구이다. 이와 같은 스크린 포머를 구비한 용기는 공지이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4552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307478호를 참조), 시판품도 존재하기 때문에, 이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2> 본 발명의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본 발명의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 은, 전술한 본 발명의 포말의 조제에 사용되는 조성물이다.
<2-1> 조성물의 구성 성분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 설명을 첨가한다. 또한, 구성 성분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는, <1> 본 발명의 포말의 항의 기재가 적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말 형성제로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이외의 포말을 형성할 수 있는 성분 (전형적으로는, 이온성 계면 활성제) 을, 이것이 포말 형성능을 발휘하는 형태로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온성 계면 활성제 (단, 인지질을 제외한다)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조성물이 가용화 상태가 되는 양 배합한다.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1 ∼ 15 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 ∼ 12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1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 7 질량% 함유된다. 상기 소정의 HLB 치를 갖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차지하는 비율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다.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전체량을 HLB 치가 9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X 군에서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차지하는 비율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다.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전체량을 상기 X 군에서 선택되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가 차지하는 비율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이다. 이들 비율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9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를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에 더하여, 다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의 총함유량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케닐에테르 이외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총함유량에 대하여, 질량비로, 1 : 5 ∼ 5 : 1,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4 ∼ 4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 ∼ 3 :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알칸올아미드형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0.5 ∼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1 ∼ 5 질량% 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HLB 치가 5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상기 HLB 치가 9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조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질량비는, 1 : 3 ∼ 3 : 1 이 바람직하고, 1 : 2 ∼ 2 : 1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HLB 치가 9 이상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HLB 치가 5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모두 배합하는 경우에는, HLB 치의 가중 평균이 9 ∼ 16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 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5 ∼ 2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5 질량% 이다.
모든 탄소 원자에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수 2 ∼ 6 의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 ∼ 4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 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0 질량% 이다.
1 가 알코올 및 모든 탄소 원자에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수 2 ∼ 6 의 다가 알코올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그 총량은, 10 ∼ 45 질량% 가 바람직하고, 20 ∼ 4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과 다가 알코올 중합물의 함유량은, 총량으로,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1 ∼ 40 질량% 가 바람직하고, 5 ∼ 3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2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농도 범위로 함으로써, 안정적인 포괄 껍질을 갖는 포말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든 탄소 원자에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수 2 ∼ 6 의 다가 알코올,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 중합물의 함유량은, 총량으로,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10 ∼ 6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50 질량% 이다.
상기 알코올의 총함유량은,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10 ∼ 5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4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 30 질량%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알코올의 총함유량 중, 상기 다가 알코올을 1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4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코올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토출한 포말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보습감 등의 사용 실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형태로는, 이하를 들 수 있다.
1,3-부틸렌글리콜을 5 ∼ 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5 질량% 함유하는 형태.
상기 1,3-부틸렌글리콜에 더하여 다른 다가 알코올도 함유하는 형태.
전술한 알코올, 특히, 다가 알코올을 고농도로 함유함으로써,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공기와의 계면이 강화된 포말 껍질을 갖는 거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알코올을 고농도로 함유함으로써, 보습감을 실감할 수 있는 조성물이 된다.
본 발명의 포말은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다당류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 ∼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1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함유량은,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1 ∼ 3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 질량%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극성 용제의 함유량이, 난용해성의 약제 (유효 성분) 의 함유량의 20 ∼ 250 질량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200 질량배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극성 용제의 농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토출한 포말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유효 성분을 조성물에 안정적으로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극성 용제의 농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도포 및 연전시의 자극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기염 및/또는 무기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기염 및/또는 무기염에 의해 액성이 조정되어, 강산성 ∼ 강알칼리성 (pH2 ∼ 12) 의 범위에 있어서 액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우수한 기포성, 거품 유지, 거품질을 형성할 수 있다. 유기염 및/또는 무기염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는, <1> 본 발명의 포말의 항의 기재가 적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기염 및/또는 무기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함유량은, 조성물의 액성이 상기 pH 범위 (pH 2 ∼ 12) 로 조정되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은 유기염 및/무기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0.1 ∼ 1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칼리성에 있어서는 세정제 등으로서, 약산성에 있어서는, 피부에 대한 자극을 저감시킨 의약품, 화장품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약산성에 있어서는, 도포 후 제거하지 않는 형태로 사용되는 의약품이나 화장품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0.001 ∼ 1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인지질의 농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토출한 포말의 강도를 높임과 함께, 포말이 pH 의 영향을 받아 성상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도포 연전시의 사용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피부가 자극을 받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아미노카르복실산 유도체 및 그 염, 포스폰산 유도체 및 그 염, 페난트롤린 유도체 및 그 염, 페틴산 유도체 및 그 염, 글루콘산 유도체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도체 및 그 염은, 조성물의 전체량에 대하여 0.0001 ∼ 1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 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도체 및 그 염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유효 성분 또는 제제 성분의 분해, 변성 등을 억제하여, 제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성분 이외의 임의 성분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각각의 배합 목적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체로 0.1 ∼ 2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전성, 특히 민감 피부의 사람에 대하여, 자극이나 자극감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이하의 성분에 대해서는 그 사용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지질을 제외한 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의 총합은 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 알칸올아미드형 계면 활성제도 그 사용은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중,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은, 점막에 있어서 아나필락시스를 야기하는 점에서, 그 사용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사용량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에서 차지하는 비율로서,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함유하지 않는다.
또한, 실리콘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2-2> 조성물의 물성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을 함유하고, 가용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마이크로 에멀션 제형을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에멀션 제형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
(1) 조제 직후, 100 ∼ 1000 배의 배율로 현미경하 관찰해도 미셀은 확인되지 않는다.
(2) 원심 분리 등의 응력을 부가했을 때, 100 ∼ 1000 배의 배율로 현미경하 관찰하면, 미셀 (평균 입경 1 ∼ 10 미크론) 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의 원심 분리의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1000 ∼ 100000 g 으로 1 ∼ 5 분간 등의 조건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3) 슬라이드 글래스 상에 적하하여, 1 시간 실온 방치한 경우, 미셀을 거의 관찰하지 않거나, 미셀을 명확하게 관찰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O/W 형의 마이크로 에멀션이다. 이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 조성물이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알코올 +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물 + 알코올) 의 O/W 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에멀션 제형으로 하는 경우, 연속상 중에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 소수성 부분을 갖는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분산적을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산 형태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에멀션의 형태를 취하고, 원심 분리 등의 계에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마이크로 미셀이 합일하여 미셀을 형성하여, 통상적인 가용화 내지는 유화 상태로 천이한다.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조성물이 마이크로 에멀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에멀션 제형으로 하는 경우, 연속상은, 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탄소수 1 ∼ 3 의 단가 알코올, 모든 탄소 원자에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수 2 ∼ 6 의 다가 알코올,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크린 포머에 통과시킴으로써, 기포한다. 그리고, 발포 후의 포말은 지속성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결정 등을 석출하지 않고, 장기 보존에 있어서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계이다. 여기서, 수계란, 물이 기제로서 기능할 정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예를 들어, 그 함유량은 1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을 40 ∼ 8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8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75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물은 스크린 포머로 토출했을 때에 포말을 형성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의 양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기포성이나 거품 지속성이 보다 우수한 포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용시에, 도포하고 있는 동안 안정적으로 거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의 양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A) 의 조건을 충족한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A) 및 하기 (B) 를 충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A), 하기 (B) 및 하기 (C) 의 조건을 충족한다.
(A) 하기 (I) 또는 하기 (II) 의 처리 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 또는 거의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B) 하기 (I) 의 처리 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C) 하기 (II) 의 처리 후에는, 그 처리 전보다도 많은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I) 상기 조성물을 정치한다.
(II) 상기 조성물에 응력을 가한다.
이들 조건에 합치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은, 스크린 포머 용기에 충전하여 형성시킨 포말에 관해서는,
(1) 본 발명의 포말, 즉, 25 ℃ 정치 조건하에서 포말 껍질 표면 전체가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어 있는 포말이 된다.
(2) 저광 투과성 영역에 있어서의 포말 껍질은 미셀의 합일에 의해 형성된다.
(3) 조성물 자체의 표면 장력은 그다지 저하해 있지 않다.
라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I) 의 처리는,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개방계로 정치하는 처리이다. 또한, 상기 (I) 의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을 개방계로 1 시간 정치하는 처리이다. 조성물에 있어서는, 1 시간 슬라이드 글래스 상에 방치했을 때에, 명확하게 미셀이 확인되는 것이, 미셀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보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는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가 알코올의 상간 이동의 용이함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II) 의 응력을 가하는 처리로서, 예를 들어, 인장 응력, 압축 응력, 원심 분리에 의한 응력을 가하는 처리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II) 의 처리가 원심 분리에 의해 응력을 가하는 처리이다. 원심 분리의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10000 ∼ 20000 g, 1 ∼ 5 분간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셀 이미지의 관찰은, 100 ∼ 5000 배의 배율에서의 광학 현미경 관찰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찰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00 ∼ 2000 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1000 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400 배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형태를 정의하는 데에 있어서, 개방계로 정치하는 등의 시간 경과적 조건 혹은 응력 부하 조건을 가한 후에, 미셀을 관찰할 수 있는지 여부는 중요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 의약, 화장료 등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 후 제거하지 않는 양태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2-3>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구성 성분을 실온 이상에서 가용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술한 구성 성분을 50 ℃ 이상에서 가용화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담점 이상에서 가용화함으로써 제조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온 부근에서 가용화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지만,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담점 이상에서 가용화함으로써,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보다 적합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 (이하, 본 발명의 평가 방법) 에 대하여 설명을 첨가하지만, 설명에 있어서의 용어의 정의 등은 상기 <1> ∼ <2> 의 기재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말 형성제로서 포함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을 스크린 포머에 통과시켜 포말을 형성시켰을 때의 포말 껍질의 표면의 양태를 관찰하여 실시한다.
즉, 형성된 포말의 포말 껍질의 표면에 고광 투과성 영역 및 저광 투과성 영역이 관찰되고, 이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포말 껍질의 표면 전체가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별한다.
한편, 형성된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포말의 표면 전체가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다.
요컨대,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은,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부터 포말을 형성했을 때에, 그 포말의 표면에 있어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양태 변화가 관찰되었을 때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별한다.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이 형성하는 포말의 기포성 및 거품 지속성은, 제조 방법이나, 제조 순서 등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은, 이들 제조 방법이나, 제조 순서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성 및 거품 지속성의 차이를, 포말의 표면에 있어서의 저광 투과성 영역의 양태 변화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은, 포말의 표면에 형성되는 저광 투과성 영역 및 고광 투과성 영역의 관찰 방법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광학 현미경이나 전자 현미경에 의한 관찰, X 선 회절에 의한 구조의 특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은, 간편함, 정확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현미경에 의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은,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포말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되는 과정,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말의 표면적의 절반 이상을 저광 투과성 영역이 차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고광 투과성 영역의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차가 작을 수록, 보다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에 적합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의 면적이 확대되는 과정에 있어서,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차가 큰 고광 투과성 영역 (11) 이 관찰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차가 작은 고광 투과성 영역 (11) 이 관찰되는 경우가, 보다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에 적합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스크린 포머에 통과시키지 않고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하기 (A) 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별한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A) 및 (B) 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A), (B) 및 (C) 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별한다.
(A) 하기 (I) 또는 하기 (II) 의 처리 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 또는 거의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B) 하기 (I) 의 처리 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C) 하기 (II) 의 처리 후에는, 그 처리 전보다도 많은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I) 상기 조성물을 정치한다.
(II) 상기 조성물에 응력을 가한다.
각 처리, 그리고 관찰의 방법 및 조건의 바람직한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당해 평가 방법은, 조성물의 평가 방법으로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포말의 저광 투과성 영역에 관한 평가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을 첨가한다.
실시예 1
하기의 표 1 에 따라, 조성물 1 ∼ 3 을 조제하였다. 즉, 처방 성분인 헤파린 유사 물질부터 POE 경화 피마자유 60 까지를 칭량하여 넣고, 80 ℃ 에서 가열 가용화하고, 실온까지 교반 냉각시키고, 여기에 잔여의 성분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조성물 1 ∼ 3 을 얻었다. 그리고, 조성물 1 ∼ 3 에 대하여 이하의 시험예 1 ∼ 3 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Figure pct00001
<시험예 1> 포말의 관찰
조성물 1 ∼ 3 을 펌프 포머에 통과시켜, 포말을 형성시켰다. 상기 포말을 슬라이드 글래스에 올리고, 광학 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여, 기포성 및 거품 지속성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포말의 표면에 광의 투과성이 높은 고광 투과성 영역과, 광의 투과성이 낮은 저광 투과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 그리고 이들이 어떠한 양태의 변화를 보이는지 관찰하였다. 결과를 도 6 에 나타낸다. 도 6 에는 슬라이드 글래스 상에 올린 포말의 사진도 함께 게재한다. 또한, 조성물 1 에 대해서는 시간 경과적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을 도 7 에 나타낸다. 또한, 각각의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포말에 대하여, 기포성과 거품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시험예 2> 개방계로 정치 후의 조성물의 관찰
상기 조성물 1 ∼ 3 을, 조제 직후에 슬라이드 글래스 상에 올리고 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슬라이드 글래스 상에 1 시간 정치한 후에, 광학 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였다. 상기 조제 직후 및 대기하 1 시간 정치 후의 각각의 광학 현미경 관찰에 의해, 미셀의 형성을 확인하는지 여부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 6 에 나타냈다.
<시험예 3> 원심 분리 후의 조성물의 관찰
조성물 1 ∼ 3 을 각각 폴리에틸렌제의 원심 분리용 튜브에 100 ㎕ 넣고, 원심 분리 (15000 g, 1 분간) 를 실시하였다. 원심 분리 후, 조성물 1 ∼ 3 을 각각 슬라이드 글래스 상에 올리고, 광학 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여, 관찰되는 미셀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 6 에 나타냈다.
시험예 1 의 결과, 포말 형성 직후에는 그 표면에 저광 투과성 영역과 고광 투과성 영역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고, 서서히 포말 표면에서 차지하는 저광 투과성 영역의 비율이 증가해 가고, 최종적으로는 포말의 표면 전체가 저광 투과성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6 및 7).
또한, 저광 투과성 영역의 확장의 과정에 있어서 관찰되는 고광 투과성 영역의 형상에 관하여, 조성물 1 에 있어서는 최소 직경과 최대 직경의 차가 작은 섬상의 고광 투과성 영역이 관찰되는 데에 반하여, 조성물 3 에 있어서는 가늘고 길게, 최소 직경과 최대 직경의 차가 큰 고광 투과성 영역이 관찰되었다 (도 6).
이들 조성물 1 ∼ 3 으로부터 형성되는 포말은, 모두 기포성과 거품 지속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기포성과 거품 지속성에 관해서는, 조성물 1 > 조성물 2 > 조성물 3 의 순서로 양호하였다. 요컨대, 소수성 말단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인 1,3-부틸렌글리콜 (1,3 BG) 을 15 질량% 함유하고, 헤파린 유도체를 0.3 % 함유하는 조성물 1 이 양호한 포말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 의 결과는, 고광 투과성 영역과 저광 투과성 영역을 갖고,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포말 껍질의 표면 전체가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과 같은 특성을 갖는 포말은, 기포성과 거품 지속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저광 투과성 영역의 확장의 과정에 있어서 관찰되는 고광 투과성 영역의 형상에 관해서, 최소 직경과 최대 직경의 차가 작은 섬상의 고광 투과성 영역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보다 우수한 성질의 포말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의 결과, 조제 직후의 현미경 관찰에서는, 조성물 1 ∼ 3 모두 미셀이 관찰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기하 1 시간 정치 후에는, 조성물 1 ∼ 3 에서는 미셀이 관찰되었다. 미셀의 수는 조성물 1 > 조성물 3 > 조성물 2 의 순서로 많았다.
시험예 3 의 결과, 원심 분리 (15000 g, 1 분간) 후의 현미경 관찰에서는, 조성물 1 ∼ 3 의 어느 것에도 미셀의 출현이 확인되었다. 미셀의 출현 수는 조성물 2 > 조성물 1 > 조성물 3 의 순서로 컸다.
또한, 미셀의 크기는 조성물 3 > 조성물 2 > 조성물 1 의 순서로 컸다. 또한 미셀의 균일성은 조성물 1 > 조성물 2 > 조성물 3 의 순서로 높았다. 이 결과와 시험예 1 의 결과를 합치면, 원심 분리 후에 출현하는 미셀의 직경이 작을 수록, 양질의 포말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시험예 2 및 3 의 결과로부터, 조성물 1 ∼ 3 은 마이크로 에멀션 제형을 취하는 것이 추찰된다. 이 결과와, 시험예 1 의 관찰 결과를 합친 고찰을 도 4 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포말 표면에 있어서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이 확장되어 가는 현상은, 조성물 중에 분산되어 있던 미셀 (33) 이 합일하면서 포말 껍질에 융합해 가는 모습인 것으로 추찰된다 (도 4). 여기서, 고광 투과성 영역 (11) 은 미셀이 흡착·융합 과정에 있는 것이고, 흡착 후 진한 색으로 보이는 저광 투과성 영역 (12) 에 취입되는 점에서, 전상이 일어나 있는 것이 추측된다. 또한, 저광 투과성 영역 (12) 은 광학 현미경 관찰하에서 매우 진하게 보이는 점에서, 저광 투과성 영역 (12) 에 있어서의 포말 껍질의 구조는 다층 구조인 것이 추측되고, 포말 껍질의 최외층은 미셀 (액적) (33) 과 상이한 상인 것이 추측된다. 또한, 공기 계면에 동일한 상이, 층으로서 존재해야 하는 점에서, 최외층과 최내층은 액적 (33) 과는 상이한 상, 즉, 물을 포함하는 상, 즉 수성 성분상 (31) 인 것이 시사된다. 따라서, 포말 껍질은 2 상 3 층 구조 (수성 성분상 (31)-액적상 (32)-수성 성분상 (31) 의 3 층 구조) 인 것이 시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합치면, 조제 후의 현미경 사진으로 미셀을 확인할 수 없는 것을 확인하고, (1) 1 시간 슬라이드 글래스 상에서 방치하여 현미경 관찰하고, 미셀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마이크로 에멀션 제형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2) 원심 분리 조작을 실시하여, 발생하는 미셀에 균일성을 볼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3) 형성한 포말이 그 표면에, 고광 투과성 영역과 저광 투과성 영역을 갖고,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포말 껍질의 표면 전체가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과 같은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 도포 후, 세정·제거 조작의 필요가 없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1 시간 정도의 방치에 의해, 물의 증산으로 다가 알코올의 평형이 바뀌어, 미셀이 거대화하는데, 이 미셀의 형성이 포말 껍질의 형성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의 미셀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중요한 것으로 추찰한다. 또한, 15000 g 의 원심 등의 응력의 부가로, 어느 정도의 형상 유지와 거대화의 억제가 이루어지는 것이, 2 상 3 층 구조, 즉, 액적상이 상하를 연속상으로 샌드위치된 구조의 포말 껍질의 강도의 요인이 된다. 포말 껍질의 강도가 증가하면 통통한, 허리가 강한, 유지 시간이 긴 포말이 된다. 이것은, 표면 장력에 길항하는 삼투압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
조성물 1 과 동일한 처방이지만 제조 방법이 상이한 조성물 4 및 5 를 조제하였다.
즉, 조성물 4 는, 처방 성분인 헤파린 유사 물질부터 POE 경화 피마자유 60 까지를 칭량하여 넣고, 65 ℃ 에서 가열 가용화하고, 실온까지 교반 냉각시키고, 여기에 잔여의 성분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또한, 조성물 5 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이외의 성분을 미리 혼합 가용화해 두고, 여기에 65 ℃ 에서 용해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교반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조성물 1, 조성물 4 및 조성물 5 에 대하여 시험예 1 과 동일한 수법으로 포말의 형태를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를 도 8 에 나타낸다.
또한, 조성물 1, 조성물 4 및 조성물 5 에 대하여 시험예 2 와 동일한 수법으로 조성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조성물 1, 조성물 4 및 조성물 5 는 모두, 조제 직후에 있어서 미셀의 형성을 볼 수 없었다. 한편, 슬라이드 글래스 상에 1 시간 정치한 후에 있어서는 미셀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도 8 의 상단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성물 4 및 5 는 토출한 거품도 거칠고, 유지율도 낮았다. 또한, 조성물 4 및 5 로부터 형성된 포말의 표면은, 정치 후 여전히 고광 투과성 영역이 관찰되고,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포말의 표면 전체가 차지되지도 않아, 전체적으로 이미지가 하얗게 되어 있다. 또한, 저광 투과성 영역에 있어서의 포말의 구조, 즉 포말의 3 층 구조도 불완전하였다. 또한, 포말 껍질도 얇았다.
이 결과로부터, 포말을 정치한 후, 포말 전체가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 즉, 포말 껍질의 구조가 제대로 된 2 상 3 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지 여부가, 사용성이 양호한 포말을 형성하는지 여부에 상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는, 본 발명의 포말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동일한 처방의 조성물이어도, 제조 방법의 차이에 의해, 그 거품의 상태와 구조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조성물의 처방이 아니라, 거품의 구조를 정밀하게 평가함으로써, 우수한 외용제가 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담점 이상에서 가용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스크린 포머용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
10 포말
11 고광 투과성 영역
12 저광 투과성 영역
21 외기상
22 내기상
3 액상
31 수성 성분상
32 액적상
33 액적 (미셀)

Claims (23)

  1.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고, 공기층과 이것을 내포하는 포말 껍질로 이루어지는 포말로서,
    상기 포말 껍질은 그 표면에 확대되는, 서로의 경계가 식별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고광 투과성 영역과, 그 고광 투과성 영역보다 광 투과성이 낮은 저광 투과성 영역을 갖고,
    상기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 전체가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포말 껍질의 구조가, 2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가,
    상기 포말의 외기상에 접하는 수성 성분상과,
    상기 포말의 내기상과 접하는 수성 성분상과,
    이들 2 개의 수성 성분상에 끼워지고,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그리고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 및/또는 다가 알코올 중합물을 포함하는 액적상을 구비하는 2 상 3 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
  4.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말 형성제로서 포함하고, 스크린 포머에 의해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말을 형성 가능한, 가용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를 0.001 ∼ 5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화되어 있어도 되는 다당류가, 헤파린 유사 물질 및/또는 히알루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1 ∼ 15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수성 말단을 갖는 다가 알코올 및/또는 다가 알코올 중합물을 1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든 탄소 원자에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수 2 ∼ 6 의 다가 알코올을 0.001 ∼ 3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염 및/또는 무기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11.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담점 이상에서 가용화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12.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하기 (A) 및 (B) 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A) 하기 (I) 또는 하기 (II) 의 처리 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 또는 거의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B) 하기 (I) 의 처리 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I) 상기 조성물을 개방계로 정치한다.
    (II) 상기 조성물에 응력을 가한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C) 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C) 상기 (II) 의 처리 후에는, 그 처리 전보다도 많은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II) 의 처리가, 상기 조성물에 원심 분리에 의해 응력을 가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15.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말 형성제로서 포함하고, 스크린 포머에 의해 제 4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말을 형성 가능한, 가용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의 구성 성분을, 상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담점 이상에서 가용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말 형성제로서 사용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스크린 포머에 통과시켜 포말을 형성시켰을 때,
    상기 포말에 있어서, 그 표면에 확대되는, 서로의 경계가 식별 가능한, 광 투과성을 갖는 고광 투과성 영역과, 그 고광 투과성 영역보다 광 투과성이 낮은 저광 투과성 영역이 관찰되고,
    상기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 전체가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됨으로써, 상기 포말의 표면 전체가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차지되는 것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광 투과성 영역과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의 관찰을 광학 현미경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말을 25 ℃ 하에서 정치했을 때, 상기 포말 껍질의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상기 저광 투과성 영역의 면적이 시간 경과적으로 확장되는 과정에 있어서 관찰되는, 상기 고광 투과성 영역의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차가 작을 수록,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조성물을 스크린 포머에 통과시키지 않고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하기 (A) 및 하기 (B) 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
    (A) 하기 (I) 또는 하기 (II) 의 처리 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 또는 거의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B) 하기 (I) 의 처리 후에는,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I) 상기 조성물을 개방계로 정치한다.
    (II) 상기 조성물에 응력을 가한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기 (C) 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
    (C) 상기 (II) 의 처리 후에는, 그 처리 전보다도 많은 미셀 이미지가 관찰되는 상태에 있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C) 에 있어서, 관찰되는 미셀 이미지의 입경이 작을 수록,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C) 에 있어서, 관찰되는 미셀 이미지의 입경의 균일성이 높을 수록,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로서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
  2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I) 의 처리가, 상기 조성물에 원심 분리에 의해 응력을 가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의 평가 방법.
KR1020197001128A 2016-06-16 2017-06-09 포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및 그 평가 방법 KR201900203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0286 2016-06-16
JP2016120286 2016-06-16
PCT/JP2017/021515 WO2017217337A1 (ja) 2016-06-16 2017-06-09 泡沫、スクリーンフォーマー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評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324A true KR20190020324A (ko) 2019-02-28

Family

ID=6066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128A KR20190020324A (ko) 2016-06-16 2017-06-09 포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및 그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90234B2 (ko)
EP (1) EP3473243B1 (ko)
JP (5) JP6693910B2 (ko)
KR (1) KR20190020324A (ko)
CN (1) CN109310633B (ko)
AU (1) AU2017285599B2 (ko)
ES (1) ES2946759T3 (ko)
TW (1) TWI765893B (ko)
WO (1) WO20172173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46759T3 (es) * 2016-06-16 2023-07-25 Pola Pharma Inc Espuma y composición espumante de tamiz
JP2021028317A (ja) * 2019-08-09 2021-02-25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水溶性高分子を含有してなるスクリーンフォーマー用の組成物
JP6884441B1 (ja) * 2020-07-30 2021-06-09 アピ株式会社 外用組成物
JP2022060165A (ja) 2020-10-02 2022-04-14 花王株式会社 炭酸エアゾール皮膚外用剤
CN113018262B (zh) * 2021-03-12 2021-12-07 山东大学 一种聚多卡醇泡沫硬化剂稳定剂及其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122A (ja) 1996-11-28 1998-06-16 Pola Chem Ind Inc 噴射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組成物
JP2004277365A (ja) 2003-03-18 2004-10-07 Pola Chem Ind Inc ポンプフォーマー用の泡沫形成組成物
JP2005213230A (ja) 2004-02-02 2005-08-11 Neochemir Inc 起泡性洗浄料
JP2006083093A (ja) 2004-09-16 2006-03-30 Pola Chem Ind Inc 泡沫化粧料
JP2007314494A (ja) 2006-05-29 2007-12-06 Hideaki Shinkai 清拭剤
JP2014218470A (ja) 2013-05-10 2014-11-20 株式会社ノエビア 弱酸性透明洗浄料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928A (ja) * 2001-08-29 2003-03-05 Pola Chem Ind Inc 低気泡性化粧水組成物
JP4632338B2 (ja) * 2002-09-27 2011-02-16 株式会社資生堂 冷却皮膚外用剤
JP2005068084A (ja) * 2003-08-26 2005-03-17 Pola Chem Ind Inc フォーム状洗浄料
JP4722434B2 (ja) 2004-08-31 2011-07-13 株式会社ダイゾー 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CN1810256A (zh) * 2005-01-25 2006-08-02 山东京卫制药有限公司 聚甲酚磺醛泡沬气雾剂及制备工艺
JP5430601B2 (ja) 2011-04-01 2014-03-05 マルホ株式会社 非エアゾール式フォーム剤用組成物
CN102198078B (zh) * 2011-05-23 2014-02-12 昆明理工大学 一种含中药的泡沫型洗面奶及其制备方法
JP2013170145A (ja) 2012-02-21 2013-09-02 Kao Corp 皮膚化粧料組成物
JP6126825B2 (ja) 2012-11-22 2017-05-10 花王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6076080B2 (ja) 2012-12-25 2017-02-08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泡沫状化粧水
WO2015005419A1 (ja) 2013-07-11 2015-01-15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使用時泡状を呈する外用組成物
JP6396230B2 (ja) 2014-01-27 2018-09-26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使用時泡状を呈する外用医薬組成物
JP6396229B2 (ja) 2014-01-27 2018-09-26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使用時泡状を呈する外用医薬組成物
JP6396231B2 (ja) 2014-01-27 2018-09-26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使用時泡状を呈する外用医薬組成物
JP2015168654A (ja) 2014-03-07 2015-09-28 三笠製薬株式会社 NSAIDs含有泡沫化製剤用水性組成物
JP2015203029A (ja) 2014-04-16 2015-11-16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乾皮症又はアトピー皮膚炎用の医薬組成物及び医薬
JP5988406B2 (ja) 2014-04-30 2016-09-07 マルホ株式会社 起泡性組成物
JP2016121145A (ja) * 2014-12-24 2016-07-07 株式会社ポーラファルマ スクリーンフォーマー用の外用組成物
ES2946759T3 (es) * 2016-06-16 2023-07-25 Pola Pharma Inc Espuma y composición espumante de tamiz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122A (ja) 1996-11-28 1998-06-16 Pola Chem Ind Inc 噴射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組成物
JP2004277365A (ja) 2003-03-18 2004-10-07 Pola Chem Ind Inc ポンプフォーマー用の泡沫形成組成物
JP2005213230A (ja) 2004-02-02 2005-08-11 Neochemir Inc 起泡性洗浄料
JP2006083093A (ja) 2004-09-16 2006-03-30 Pola Chem Ind Inc 泡沫化粧料
JP2007314494A (ja) 2006-05-29 2007-12-06 Hideaki Shinkai 清拭剤
JP2014218470A (ja) 2013-05-10 2014-11-20 株式会社ノエビア 弱酸性透明洗浄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285599B2 (en) 2023-03-23
JP2017226654A (ja) 2017-12-28
JP2020059756A (ja) 2020-04-16
AU2017285599A1 (en) 2019-01-03
US11090234B2 (en) 2021-08-17
JP2019172703A (ja) 2019-10-10
ES2946759T3 (es) 2023-07-25
EP3473243A4 (en) 2020-01-15
JP2020019784A (ja) 2020-02-06
WO2017217337A1 (ja) 2017-12-21
CN109310633A (zh) 2019-02-05
EP3473243B1 (en) 2023-03-22
EP3473243A1 (en) 2019-04-24
CN109310633B (zh) 2021-10-22
JP7073050B2 (ja) 2022-05-23
US20190133894A1 (en) 2019-05-09
JP6693910B2 (ja) 2020-05-13
JP2017226653A (ja) 2017-12-28
JP6684384B2 (ja) 2020-04-22
TW201803543A (zh) 2018-02-01
TWI765893B (zh)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0324A (ko) 포말, 스크린 포머용의 조성물, 및 그 평가 방법
KR102572389B1 (ko) 스크린 포머용의 외용 조성물
CN107257680A (zh) 用于眼科药物递送的自乳化药物递送体系(sedds)
KR101587385B1 (ko) 사이클로스포린 함유 무자극성의 안약조성물 및 편리한 제조방법
JP6928760B2 (ja) 泡沫、スクリーンフォーマー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評価方法
Macwan et al. Development, optim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cular nanoemulsion of an antifungal agent using design of experiments
JP2024016720A (ja) 界面活性剤を含有す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