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080A - 피복선 피박기 - Google Patents

피복선 피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080A
KR20190020080A KR1020197001672A KR20197001672A KR20190020080A KR 20190020080 A KR20190020080 A KR 20190020080A KR 1020197001672 A KR1020197001672 A KR 1020197001672A KR 20197001672 A KR20197001672 A KR 20197001672A KR 20190020080 A KR20190020080 A KR 20190020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ating layer
guide body
wir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9259B1 (ko
Inventor
다모쓰 이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ublication of KR2019002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간단하고 쉬운 기구로, 벗겨진 피복층의 피박기 본체 등으로의 휘감김을 억제 가능한 피복선 피박기를 제공한다. 피복선 피박기는, 피박기 본체와, 피복선을 피복층과 선재로 분리하는 칼날체와, 가이드체를 구비한다. 피박기 본체는, 제1 홈이 형성된 제1 부재와, 제2 홈이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제1 부재는, 제2 부재에 대해,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 가능하다.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협동하여, 피복선의 일부를 수용하는 피복선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칼날체 및 가이드체는,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또, 가이드체는, 선재로부터 분리된 피복층을 안내 가능한 가이드 구멍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복선 피박기
본 발명은, 피복선 피박기에 관한 것이다. 피복선은, 예를 들면, 공중에 배선되는 절연 전선류(환언하면, 가공 배전선용 절연 전선류)이다. 절연 전선류로는, 예를 들면, 비닐 절연 전선, 폴리에틸렌 절연 전선, EP고무 절연 전선(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제 절연 전선), 고압 인하용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전선(PDC:Plane transformer Drop wire Crosslinked polyethylene, 이하, PD선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등이 예시된다.
PD선 등을 이용한 공사 시에, PD선 등의 피복층을 벗겨내는 피복선 피박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평 10-215512호 공보)에는, 피복박취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피복박취기는, 피복선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체를 구비한다. 한 쌍의 파지체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당해 한 쌍의 파지체의 내면에는, 나선형 줄이 형성된다. 또, 파지체의 내면에는, 피복선에 파고들도록 구성된 칼날체가 설치된다. 한 쌍의 파지체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로, 당해 한 쌍의 파지체를 피복선의 주위에 회전시키면, 피복선의 피복재가, 전선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박리된다. 박리된 피복재는, 배출구멍으로부터 파지체의 측방을 향해서 배출된다.
특허문헌 2(일본국 특허공개 2009-60753호 공보)에는, 피복선 박취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피복선 박취장치는, 피복박취구와 회전 구동구와, 피복박취구를 회전 구동구에 설치하기 위한 피복박취구 유지부를 구비한다. 피복선 박취장치는, 전선 유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유지 부재와 전선 유지부에 유지된 피복 전선을 향해서 돌출하며, 절연 피복을 벗겨내는 피박칼날을 가진다. 피복선 박취장치의 조작 시에는, 회전 구동구의 원격 조작봉을 당해 원격 조작봉의 길이 축 주위에 회전시킨다. 그 결과, 원격 조작봉에 대한 회전력이, 회전 전달부를 통하여 피복박취구에 전달되어, 피복박취구가 피복 전선의 주위를 회전한다. 당해 회전에 의해, 피박칼날이 피복 전선에 대해서 상대 회전해, 피복 전선의 절연 피복이 피박칼날에 의해서 벗겨진다.
특허문헌 3(일본국 특허공개 2006-251260호 공보)에는, 광케이블의 강철띠박취공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강철띠박취공구는, 심선부와 심선부의 외주에 둘러 감겨진 강철띠를 가지는 광케이블로부터, 강철띠를 벗겨내는 공구이다. 강철띠박취공구는, 접촉 이간 조작 가능한 한 쌍의 파지블록을 구비한다. 한 쌍의 파지블록의 대향면에는, 피복층이 벗겨진 광섬유를 유지하는 유지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파지블록의 한편에는, 강철띠의 이음매에 선단이 파고드는 칼날이 형성되고 있다.
일본 특개 평 10-215512호 공보 일본 특개 2009-60753호 공보 일본 특개 2006-251260호 공보
피복선 피박기의 사용 시에는, 벗겨진 피복층이, 피박기 본체 혹은 피박기 조작부에 휘감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쉬운 기구로, 벗겨진 피복층의 피박기 본체 등으로의 휘감김을 억제 가능한 피복선 피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피복선 피박기에 관한 것이다.
(1) 피복선을 유지 가능한 폐쇄 상태와, 상기 피복선을 수납 가능하고 또한 꺼내는 것이 가능한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상태 변화가 가능한 피박기 본체와,
상기 피복선을 피복층과 선재로 분리하는 칼날체와,
가이드체를 구비하고,
상기 피박기 본체는,
제1 방향으로 평행한 제1 홈이 형성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방향으로 평행한 제2 홈이 형성된 제2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피박기 본체가 상기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협동하여, 상기 피복선의 일부를 수용하는 피복선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칼날체 및 상기 가이드체는,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체는, 상기 선재로부터 분리된 상기 피복층을 안내 가능한 가이드 구멍을 가지는, 피복선 피박기.
(2) 상기 가이드체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양쪽에 대해서 수직인 제3 방향을 따라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피복선 피박기.
(3) 상기 피박기 본체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양쪽에 대해서 수직인 제3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칼날체의 칼끝과, 상기 가이드 구멍은, 서로 오버랩되어 있지 않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피복선 피박기.
(4) 상기 피박기 본체가 상기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된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제2 오목부는, 협동하여, 피복층 배출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박기 본체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양쪽에 대해서 수직인 제3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피복층 배출 구멍과, 상기 가이드 구멍은, 서로 오버랩되어 있지 않는,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복선 피박기.
(5) 상기 제1 부재의 측면 중, 상기 피복층이 배출되는 측의 측면을 배출측 측면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가이드체는, 상기 배출측 측면에서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복선 피박기.
(6) 상기 가이드체는,
가이드체 제1 부분과,
가이드체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체 제1 부분의 주면과, 상기 가이드체 제2 부분의 주면은, 동일 평면상에 없고,
상기 가이드체 제1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 제 1 부분과, 상기 가이드체 제2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 제2 부분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구멍이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복선 피박기.
본 발명에 의해, 간단하고 쉬운 기구로, 벗겨진 피복층의 피박기 본체 등으로의 휘감김을 억제 가능한 피복선 피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가이드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가이드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10은, 도면 대용 사진으로, 피박 작업 후에, 분리된 피복층이, 가이드체와 피박기 본체의 사이에서 유지되어 있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사용 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종의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달려져 있다. 그리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단 부재에 대해서, 반복이 되는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5는, 피복선 피박기(4)의 피박기 본체(5)가 폐쇄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2는, 피박기 본체(5)가 개방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의 가이드체(8)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피복선 피박기(4)는 피박기 본체(5)와 칼날체(7)와 가이드체(8)를 구비한다. 피복선 피박기(4)는 조작 기구(6)를 갖추고 있어도 된다.
(피박기 본체)
피박기 본체(5)는, 제1 부재(51)와 제2 부재(52)를 구비한다. 제1 부재(51)는 제2 부재(52)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다. 제1 부재(51)에는 제1 홈(5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부재(52)에는, 제2 홈(56)이 형성되어 있다. 피박기 본체(5)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즉, 제1 부재(51)와 제2 부재(52)가, 서로 접촉하고 있던가, 혹은, 서로 근접하고 있을 때, 피박기 본체(5)는, 피복선(1)을 유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박기 본체(5)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피복선(1)은, 제1 홈(55)과 제2 홈(56)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내에 유지된다. 환언하면, 피박기 본체(5)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1 홈(55) 및 제2 홈(56)은, 협동하여, 피복선(1)의 일부를 수용하는 피복선 수용 공간(50)을 형성한다(도 1을 참조).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피복선 수용 공간(50)은, 피박기 본체(5)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서, 피박기 본체(5)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는, 피복선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의 피복층을 벗겨내는 것이 가능하다. 피복층의 벗겨짐에 의해 노출된 선재는, 예를 들면, 다른 선재에 접속된다.
도 3 등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홈(55)이 연장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또, 제1 부재(51)가, 제2 부재(52)로부터 멀어져 가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대해서 수직이다. 또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방향을 「제3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피박기 본체(5)는, 피복선을 유지 가능한 폐쇄 상태(도 1을 참조)와 피복선을 수납 가능하고 또한 꺼내는 것이 가능한 개방 상태(도 2를 참조)의 사이에서, 상태 변화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51)를, 제2 부재(52)에 대해서, 제2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피박기 본체(5)는,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상태 변화가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피복선(1)을 제3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피박기 본체(5)는, 피복선(1)을 수납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피복선(1)을, 제3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박기 본체(5)에서 피복선(1)을 꺼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기재의 예에서는, 피박기 본체(5)에 설치된 조작 기구(6)의 조작부(61)를, 직접적으로 조작함으로써, 혹은, 피박기 본체(5)와는 별도의 원격 조작봉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제1 부재(51)는, 제2 부재(52)에 대해서 상대 이동한다.
피박기 본체(5)가 조작 기구(6)을 구비하는 경우, 조작 기구(6)는, 예를 들면, 제1 부재(51)의 암 나사부(510)에 결합하는 나사부(610)와 제2 부재(52)의 암 나사부(520)에 결합하는 역 나사부(62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조작부(61)를, 제2 방향에 따른 방향을 중심 축으로 하고,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부재(51)를, 제2 부재(5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조작부(61)를, 제1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부재(51)를, 제2 부재(5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부재(51)를 제2 부재(52)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키는 기구는,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기구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술한 특허문헌 3의 단락 0017 및 단락 0018에 개시되어 있는 기구가 채용되어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피박기 본체(5)에는, 제1 부재(51) 및 제2 부재(52)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가이드봉(63)이 설치되어 있다. 당해 가이드봉(63)은, 제1 부재(51)가 제2 부재(52)에 대해서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가이드봉(63)의 구성은 생략되어도 되고, 다른 상대 회전 방지 기구에 의해서 치환되어도 된다.
(칼날체)
칼날체(7)는, 나사 등의 임의의 설치 기구(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나사(11)를 참조)에 의해서, 피박기 본체(5)의 제1 부재(51)에 장착되어 있다. 칼날체(7)는, 피복선(1)을, 피복층(2)과 선재(3)로 분리하는 칼끝(71)을 가진다. 도 1에 나타나듯이 칼날체(7)의 칼끝(71)은, 피복선 수용 공간(50) 내에 돌출되어 있다. 칼끝(71)은, 선재(3)의 원주방향(접선방향)을 따르도록, 피복층 (2)으로 파고든다. 그 결과, 피복층(2)은, 선재(3)로부터 분리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피박기 본체(5)를, 피복선 수용 공간(50)에 수용된 피복선(1)의 주위에 회전시킴(R1방향으로 회전시킨다)으로써, 칼끝(71)이 피복층(2)으로 파고든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선재(3)로부터 분리된 피복층(2)은 화살표(F)에 의해서 제시되는 경로를 따라서 이동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재(3)로부터 분리한 피복층(2)이, 화살표(F)에 의해서 제시되는 경로를 따라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이 가이드체(8)이다.
(가이드체(8))
가이드체(8)는, 나사(12) 등의 임의의 설치 기구에 의해서, 피박기 본체(5)의 제1 부재(51)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체(8)는, 선재(3)로부터 분리된 피복층(2)을 안내 가능한 가이드 구멍(80)을 가진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구멍(80)의 형상은 임의이다. 도 4(가이드체(8)의 측면도)에는, 가이드 구멍(8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가이드체(8)는, 피박기 본체(5)로부터 배출된 피복층(2)을, 가이드체(8)의 외측을 향하여 안내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피복선 피박기(4)가 가이드체(8)를 구비함으로써, 피박기 본체(5)로부터 배출된 피복층(2)이 불규칙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피복층(2)이 피박기 본체(5) 등에 휘감기는 것이 억제된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선재(3)로부터 분리된 피복층(2)이, 피복선(1)으로부터 완전하게 떼내어진 경우여도, 당해 피복층(2)의 일부가, 가이드체(8)와 피박기 본체(5)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환언하면, 피복층(2)의 일부가, 가이드체(8)와 피박기 본체(5)의 사이에 끼워져 있음으로써, 피복층(2)의 낙하가 억제된다는 효과도 나타낸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여, 피복층(2)의 낙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가이드체(8)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가이드체의 배치에 관한 제1 조건)
가이드체의 배치에 관한 제1 조건은, 피박기 본체(5)를 제3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칼날체(7)의 칼끝(71)과 가이드 구멍(80)이, 서로 오버랩 되어 있지 않는다는 조건이다. 칼끝(71)과 가이드 구멍(80)이, 제3 방향에 있어서, 서로 오버랩 되어 있는 경우에는, 칼끝(71)에 의해서 분리된 피복층(2)이, 가이드 구멍(80)의 제1 방향 단부에 접촉하지 않고 배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피복층(2)이 피복선(1)으로부터 완전하게 떼어내진 경우에는, 피복층(2)은, 가이드체(8) 및 피박기 본체(5)에 의해서 유지되지 않고, 낙하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칼끝(71)에 의해서 분리된 피복층(2)의 일부는, 가이드 구멍(80)의 제1 방향 단부에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피복층(2)이 피복선(1)으로부터 완전하게 떼어내진 경우여도, 피복층(2)의 일부는, 가이드체(8)와 피박기 본체(5)의 사이에서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피복층(2)이 낙하하는 리스크가 저감된다.
(가이드체의 배치에 관한 제2 조건)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피박기 본체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1 부재(51)에 형성된 제1 오목부(571)와,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제2 오목부(572)가, 협동하여, 상기 피복층 배출구멍(57)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이드체의 배치에 관한 제2 조건은, 피박기 본체(5)를, 제3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피복층 배출구멍(57)과 가이드 구멍(80)이, 서로 오버랩 되어 있지 않는다는 조건이다.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칼끝(71)에 의해서 분리된 피복층(2)의 일부는, 가이드 구멍(80)의 제1 방향 단부에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피복층(2)이 피복선(1)으로부터 완전하게 떼어내진 경우여도, 피복층(2)의 일부는, 가이드체(8)와 피박기 본체(5)의 사이에서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피복층(2)이 낙하하는 리스크가 저감된다.
피복층(2)의 낙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제1 조건 및 제2 조건 중 어느 한 개를 만족시키면 된다. 또한, 피복층(2)의 낙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 상술한 제1 조건 및 제2 조건 모두를 만족시키면 된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51)의 제1 측벽면(515)과, 가이드체(8)(가이드체의 내벽면(81))가 서로 이격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제1 측벽면(515)과 가이드체(8)(가이드체의 내벽면(81))의 사이에는, 피복층(2)의 일부가 위치 가능한 공간(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면(515)과 가이드체(8)의 사이에 공간(9)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박기 본체(5)로부터 배출된 피복층(2)이, 가이드 구멍(80)을 향해서 보다 원활하게 안내된다. 또한, 가이드 구멍(80)의 내벽면(801)과, 상술의 피복층 배출구멍(57)의 내벽면(57a)의 사이에 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론적으로는, 공간(9)이 없어도, 피박기 본체(5)로부터 배출된 피복층(2)을 가이드 구멍(80)을 향해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박기 본체(5)로부터 배출된 피복층(2)을 보다 원활하게 안내한다는 관점에서는, 제1 측벽면(515)과 가이드체(8)의 사이에 공간(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1 측벽면(515)은, 제1 부재(51)의 측면 중, 피복층(2)이 배출되는 측의 측면, 즉, 배출측 측면이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는, 피박기 본체의 제1 부재에 장착된 가이드체를 구비하고, 당해 가이드체는, 선재로부터 분리된 피복층을 안내 가능한 가이드 구멍을 가진다. 그 결과,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는, 벗겨진 피복층의 피박기 본체 등으로의 휘감김을 억제 가능하다는 효과와, 벗겨진 피복층의 낙하을 억제 가능하다는 효과의 2개의 효과를 상승적으로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또한, 도 6은, 피복선 피박기(4)의 피박기 본체(5)가 개방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피박기 본체(5)가 폐쇄 상태에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또,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의 가이드체(8)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9의 상측에는, 가이드체(8)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9의 하측에는, 가이드체(8)의 개략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는, 피박기 본체(5)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피박기 본체(5)가 복수의 피복선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점(도 6을 참조), 가이드체(8)가 제3 방향을 따라서 위치 조정 가능한 점(도 8을 참조), 가이드 구멍(80)이 가이드체(8)의 가이드체 제1 부분(84)과 가이드체 제2 부분(85)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점(도 9를 참조) 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와 다르다. 또한, 가이드체 제1 부분(84)의 주면(면적이 가장 큰 면)과 가이드체 제2 부분(85)의 주면(면적이 가장 큰 면)은, 동일 평면상에 없다. 환언하면, 가이드체 제1 부분(84)의 주면과 가이드체 제2 부분(85)의 주면의 사이를 이루는 각도는, 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다. 가이드체 제1 부분(84)의 주면(면적이 가장 큰 면)과 가이드체 제2 부분(85)의 주면(면적이 큰 면)의 사이를 이루는 각도는, 예를 들면, 45도 이상 135도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도 이상 100도 이하이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는, 그 외의 점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와 동일하다.
도 6을 참조한다. 제1 부재(51)는, 제1 홈(55)에 더해 제3 홈(55a)을 구비한다. 또, 제2 부재(52)는, 제2 홈(56)에 더해 제4 홈(56a)을 구비한다. 제3 홈(55a)은, 제1 홈(55)과 평행하며, 제4 홈(56a)은, 제2 홈(56)과 평행하다. 피박기 본체(5)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피복선(1)은, 제1 홈(55)과 제2 홈(56)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내에 유지된다. 환언하면, 피박기 본체(5)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1 홈(55) 및 제2 홈(56)은, 협동하여, 피복선(1)의 일부를 수용하는 피복선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피박 대상의 피복선이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피복선일 때, 즉, 피복 대상의 피복선(1a)가 피복선(1)보다 지름이 클 때, 제3 홈(55a) 및 제4 홈(56a)이 이용된다. 피박기 본체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지름이 큰 피복선(1a)은, 제3 홈(55a)과 제4 홈(56a)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내에 유지된다. 환언하면, 피박기 본체(5)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3 홈(55a) 및 제4 홈(56a)은, 협동하여, 피복선(1a)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 피복선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4)는, 제2 칼날체(7a)와 제2 가이드체(8a)를 구비한다. 제2 칼날체(7a)는, 제1 부재(51)에 장착되어 있고, 피복선(1a)을 피복층(2a)과 선재(3a)로 분리한다. 제2 가이드체(8a)는, 제1 부재(51)에 장착되어 있다. 제2 가이드체(8a)는, 선재(3a)로부터 분리된 피복층(2a)을 안내 가능한 제2 가이드 구멍(80a)을 가진다. 가이드체(8)의 가이드 구멍(80)은, 제1 홈(55)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제1 측벽면(515)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2 가이드체(8a)의 제2 가이드 구멍(80a)은, 제3 홈(55a)가 배치되어 있는 측의 제2 측벽면(516)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피복선 수용 공간의 수는 2개이지만, 피박기 본체(5)가 구비하는 피복선 수용 공간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도 8을 참조한다. 가이드체(8)는, 제3 방향을 따라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제1 부재(51)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체(8)는, 제1 부재(51)의 정면(59)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체(8)는, 긴 구멍(83)을 구비하고, 당해 긴 구멍(83)에 나사(12) 등의 임의의 장착 부재가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면, 나사(12)를 제1 부재(51)로부터 느슨하게 하고 나서, 가이드체(8)를, 제3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그 후, 나사(12)를 제1 부재(51)에 단단히 조임으로써, 가이드체(8)가, 제1 부재(51)에 대해서 위치 조정된다. 또한, 가이드체(8)의 위치 조정 기구는, 도 8에 기재된 기구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이드체(8)의 위치 조정 기구로는, 임의의 기구를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부재(51)에 랙 톱니를 설치하고, 가이드체(8)에, 당해 랙 톱니에 결합 가능한 클로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체(8)는, 제1 부재(51)에 대해서 다단계식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배치되게 된다.
제1 부재(51)의 제1 측벽면(515)과 가이드체(8)(가이드체의 내벽면(81))의 사이의 간격(L1)은, 분리된 피복층(2)이 원활하게 안내되고, 또한, 분리된 피복층(2)의 일부가, 가이드체(8)와 제1 측벽면(515)의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층(2)의 두께, 혹은, 피복층(2)의 재질에 따라 간격(L)의 최적치는 변화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체(8)가, 제3 방향을 따라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제1 부재(51)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부재(51)의 제1 측벽면(515)과 가이드체(8)(가이드체의 내벽면(81))의 사이의 간격(L1)을 피복층(2)의 특성에 따라 최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가이드체(8a)도, 제3 방향을 따라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제1 부재(51)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가이드체(8a)는 긴 구멍(83a)을 구비하고, 당해 긴 구멍(83a)에 나사(12a) 등의 임의의 설치 부재가 삽입되도록 해도 된다. 제1 부재(51)의 제2 측벽면(516)과, 제2 가이드체(8a)(제2 가이드체의 내벽면)의 사이의 간격은, 분리된 피복층(2a)이 원활하게 안내되고, 또한, 분리된 피복층(2a)의 일부가, 제2 가이드체(8a)와 제2 측벽면(516)의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체(8)를, 제3 방향을 따라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제1 부재(51)에 장착하는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채용 가능한 구성이다.
이어서, 도 9을 참조해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이드체(8)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의 상측에는, 가이드체(8)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9의 하측에는, 가이드체(8)의 개략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체(8)는, 제1 부재(51)의 정면(頂面)(59)(제1 홈(55)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평행한 가이드체 제1 부분(84)과 제1 부재(51)의 측면(제1 측벽면(515))에 평행한 가이드체 제2 부분(85)을 구비하다. 즉, 가이드체(8)를 제1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경우, 가이드체(8)는, L자형상을 가진다(도 6을 참조). 또한,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체 제1 부분(84)은, 제1 부재(51)의 정면(59)에 평행이며, 가이드체 제2 부분(85)은, 제1 부재(51)의 측면에 평행이다. 대체적으로, 가이드체 제1 부분(84)은, 제1 부재(51)의 정면(59)에 대해서, 비평행이어도 된다. 또, 가이드체 제2 부분(85)은, 제1 부재(51)의 측면에 대해서, 비평행이어도 된다.
가이드체 제1 부분(84)은, 나사(12) 등의 임의의 설치 부재에 의해서, 제1 부재(51)에 장착된다.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체 제1 부분(84)에는, 나사(12) 등의 설치 부재를 받아들이는 구멍(예를 들면, 긴 구멍(83))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체(8)를 제1 부재(51)에 장착함으로써, 가이드체 제1 부분(84)은, 제1 부재(51)의 정면(59)에 밀착한다.
도 9의 상측의 도(평면도)로부터 파악되듯이, 가이드체 제1 부분(84)에는, 가이드 구멍 제1 부분(8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의 하측의 도(측면도)로부터 파악되듯이, 가이드체 제2 부분(85)에는, 가이드 구멍 제2 부분(820)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 제1 부분(810)과 가이드 구멍 제2 부분(820)은, 서로 연통하고 있다. 환언하면, 가이드 구멍 제1 부분(810)과 가이드 구멍 제2 부분(820)에 의해서, 1개의 가이드 구멍(80)이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체 제1 부분(84)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 제1 부분(810)과 가이드 구멍 제2 부분(85)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 제2 부분(820)에 의해서 가이드 구멍(80)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박기 본체(5)로부터 배출되는 피복층(2)을 기울기 위쪽을 향하여, 환언하면, 제1 부재(51)의 제1 측벽면(515) 및 제1 부재(51)의 정면(59)의 양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원활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선재(3)로부터 분리된 피복층(2)이, 피박기 본체 등에 휘감기는 것이,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긴 구멍(83)의 형상을 바꾸거나, 혹은, 긴 구멍(83)의 제1 방향의 폭과 나사(12)의 두부 및 나사부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가이드체(8)를 제1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가이드체(8)를, 제1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칼끝(71)에 의해서 분리된 피복층(2)의 일부와 가이드 구멍(80)의 제1 방향 단부의 접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난 가이드체(8)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채용 가능한 구성이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피복선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다른 직경의 피복선에 대해서, 동일한 피복선 피박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는, 가이드체가,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벗겨지는 피복층의 특성에 따라, 가이드체와 피박기 본체의 사이의 간격을, 최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선재로부터 완전하게 떼어내진 박리층의 낙하가,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에서는, 가이드 구멍이, 가이드체 제1 부분과 가이드체 제2 부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박기 본체(5)로부터 배출되는 피복층(2)을 기울기 위쪽을 향하여, 적합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피복층이, 피박기 본체 등에 휘감기는 것이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피복선을 나선상으로 벗겨내는 경우)
선재로부터 피복층을 나선상으로 벗겨내는 경우에는, 제1 홈(55) 및 제2 홈(56)에 의해서 구성되는 원통상의 표면에, 나조(나선상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나조의 구체적인 예는, 상술의 특허문헌 1의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한편, 선재로부터 피복층을 원주방향을 따라서 벗겨내는 경우에는, 제1 홈(55) 및 제2 홈(56)에 의해서 구성되는 원통 모양의 표면에, 나조 등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도 10은,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10은, 피박 작업 후에, 분리된 피복층이 가이드체와 피박기 본체의 사이에서 유지되어 있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피복선 피박기의 사용 형태의 제1 예)
도 1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 도이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피복선 피박기(4)에,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파지부(100)가 장착되어 있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작업자는 제1 파지부(101)를 한 손으로 들고, 제2 파지부(102)를 다른 한 손으로 든다. 그리고, 피복선 피박기(4)를 파지부(100)와 함께 피복선(1)의 주위에 회전시킴으로써(도 11에 있어서의, 화살표(R2)를 참조), 피복선의 피박이 실행된다.
(피복선 피박기의 사용 형태의 제2 예)
도 1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복선 피박기의 사용 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피복선 피박기(4)는, 동력 전달 기구(120)를 통하여, 회전 조작봉(110)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조작봉(110)을 R3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복선 피박기(4)가 R4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동력 전달 기구(120)로는, 베벨기어 등의 임의의 동력 전달 기구를 채용 가능하다. 도 12에 기재의 예에서는, 작업자의 위치로부터 먼 위치에 존재하는 피복선의 피복 작업을 실행 가능하다. 또한,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동에 의해 회전 조작봉(110)을 회전 조작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피복선 피박기(4)를 피복선(1)의 주위에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피복선 피박기를 이용하면, 피복선으로부터 분리한 피복층이 피박기 본체 등에 휘감기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피복 작업의 효율이 저하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피복선 피박기를 이용하면, 피복선으로부터 분리한 피복층의 낙하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그 결과, 낙하한 피복층을 모으는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피복선을 취급하는 업자, 예를 들면, 전선의 접속 공사 업자에게 있어서 유용하다.
1…피복선, 1a…피복선, 2…피복층, 2a…피복층, 1…선재, 3a…선재, 4…피복선 피박기, 5…피박기 본체, 6…조작 기구, 7…칼날체, 7a…제2 칼날체, 8…가이드체, 8a…제2 가이드체, 9…공간, 11…나사, 12…나사, 12a…나사, 50…피복선 수용 공간, 51…제1 부재, 52…제2 부재, 55…제1 홈, 55a…제3 홈, 56…제2 홈, 56a…제4 홈, 57…피복층 배출구멍, 57a…내벽면, 59…정면, 61…조작부, 63…가이드봉, 71…칼끝, 80…가이드 구멍, 80a…제2 가이드 구멍, 81…내벽면, 83…긴 구멍, 83a…긴 구멍, 84…가이드체 제1 부분, 85…가이드체 제2 부분, 100…파지부, 101…제1 파지부, 102…제2 파지부, 110…회전 조작봉, 120…동력 전달 기구, 510…암 나사부, 515…제1 측벽면, 516…제2 측벽면, 520…암 나사부, 571…제1 오목부, 572…제2 오목부, 610…나사부, 620…역 나사부, 801…내벽면, 810…가이드 구멍 제1 부분, 820…가이드 구멍 제2 부분

Claims (6)

  1. 피복선을 유지 가능한 폐쇄 상태와, 상기 피복선을 수납 가능하고 또한 꺼내는 것이 가능한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상태 변화가 가능한 피박기 본체와,
    상기 피복선을 피복층과 선재로 분리하는 칼날체와,
    가이드체를 구비하고,
    상기 피박기 본체는,
    제1 방향으로 평행한 제1 홈이 형성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방향으로 평행한 제2 홈이 형성된 제2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을 따라서 상대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피박기 본체가 상기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은, 협동하여, 상기 피복선의 일부를 수용하는 피복선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칼날체 및 상기 가이드체는,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체는, 상기 선재로부터 분리된 상기 피복층을 안내 가능한 가이드 구멍을 가지는, 피복선 피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양쪽에 대해서 수직인 제3 방향을 따라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피복선 피박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박기 본체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양쪽에 대해서 수직인 제3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칼날체의 칼끝과, 상기 가이드 구멍은, 서로 오버랩되어 있지 않는, 피복선 피박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박기 본체가 상기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된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제2 오목부는, 협동하여, 피복층 배출구멍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박기 본체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의 양쪽에 대해서 수직인 제3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피복층 배출 구멍과, 상기 가이드 구멍은, 서로 오버랩되어 있지 않는, 피복선 피박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측면 중, 상기 피복층이 배출되는 측의 측면을 배출측 측면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가이드체는, 상기 배출측 측면에서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피복선 피박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는,
    가이드체 제1 부분과,
    가이드체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체 제1 부분의 주면과, 상기 가이드체 제2 부분의 주면은, 동일 평면상에 없고,
    상기 가이드체 제1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 제 1 부분과, 상기 가이드체 제2 부분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 제2 부분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구멍이 구성되어 있는, 피복선 피박기.
KR1020197001672A 2016-07-26 2017-07-06 피복선 피박기 KR102139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46766 2016-07-26
JPJP-P-2016-146766 2016-07-26
PCT/JP2017/024837 WO2018020978A1 (ja) 2016-07-26 2017-07-06 被覆線皮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080A true KR20190020080A (ko) 2019-02-27
KR102139259B1 KR102139259B1 (ko) 2020-07-29

Family

ID=6101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672A KR102139259B1 (ko) 2016-07-26 2017-07-06 피복선 피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95114B2 (ko)
KR (1) KR102139259B1 (ko)
CN (1) CN109565161B (ko)
TW (1) TWI729171B (ko)
WO (1) WO2018020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3802B2 (ja) * 2018-03-30 2022-01-21 中国電力株式会社 被覆剥取器
JP6789546B1 (ja) * 2019-12-16 2020-11-25 株式会社カネカメディックス 被覆剥離装置
JP7361394B2 (ja) * 2020-05-29 2023-10-16 株式会社之一製作所 被覆線の被覆剥離具
WO2024009874A1 (ja) * 2022-07-06 2024-01-11 株式会社永木精機 皮剥器、皮剥装置、および、皮剥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302A (ja) * 1995-04-21 1996-11-05 Hitachi Cable Ltd 被覆材切削屑除去装置
JPH10215512A (ja) 1997-01-29 1998-08-11 Yurtec Corp 被覆剥取方法と被覆剥取器
JP3053261U (ja) * 1998-04-16 1998-10-23 株式会社フクダセイコー 電線被覆段剥ぎ用システム工具及びそのダイスストッパ
JP2004235045A (ja) * 2003-01-31 2004-08-19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被覆貫通型クランプ
JP2006251260A (ja) 2005-03-10 2006-09-21 Nagaki Seiki Co Ltd 光ケーブルの鋼帯剥取工具及び剥取工法
JP2009060753A (ja) 2007-09-03 2009-03-19 Nagaki Seiki Co Ltd 被覆剥取装置
JP2014176248A (ja) * 2013-03-12 2014-09-22 Shin Meiwa Ind Co Ltd 電線加工装置
KR20170000049U (ko) * 2016-03-25 2017-01-03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박리용 공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112U (ja) * 1983-08-06 1985-03-02 東芝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ワイヤストリッパの電線被覆屑収納器
DE4420050C1 (de) * 1994-06-08 1995-08-24 Weidmueller Interface Abisoliervorrichtung
TW582656U (en) * 2002-03-19 2004-04-01 Liang-Sheng Gau Stripper for out layer of cable
CN205282863U (zh) * 2016-01-08 2016-06-01 武汉里得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导线剥皮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302A (ja) * 1995-04-21 1996-11-05 Hitachi Cable Ltd 被覆材切削屑除去装置
JPH10215512A (ja) 1997-01-29 1998-08-11 Yurtec Corp 被覆剥取方法と被覆剥取器
JP3053261U (ja) * 1998-04-16 1998-10-23 株式会社フクダセイコー 電線被覆段剥ぎ用システム工具及びそのダイスストッパ
JP2004235045A (ja) * 2003-01-31 2004-08-19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被覆貫通型クランプ
JP2006251260A (ja) 2005-03-10 2006-09-21 Nagaki Seiki Co Ltd 光ケーブルの鋼帯剥取工具及び剥取工法
JP2009060753A (ja) 2007-09-03 2009-03-19 Nagaki Seiki Co Ltd 被覆剥取装置
JP5063263B2 (ja) * 2007-09-03 2012-10-31 株式会社永木精機 被覆剥取装置
JP2014176248A (ja) * 2013-03-12 2014-09-22 Shin Meiwa Ind Co Ltd 電線加工装置
KR20170000049U (ko) * 2016-03-25 2017-01-03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박리용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29171B (zh) 2021-06-01
JP6595114B2 (ja) 2019-10-23
WO2018020978A1 (ja) 2018-02-01
KR102139259B1 (ko) 2020-07-29
CN109565161A (zh) 2019-04-02
CN109565161B (zh) 2020-07-07
TW201836227A (zh) 2018-10-01
JPWO2018020978A1 (ja)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0080A (ko) 피복선 피박기
US20090100681A1 (en) Coaxial cable stripping tool with adjustable strip stop
JP6017202B2 (ja) ケーブル被覆剥取工具
KR102354242B1 (ko) 박리용 공구
US6618945B2 (en) Microcable stripping tool
JP2012016257A (ja) 電線被覆剥離工具
KR100990952B1 (ko) 급전선 절단기
KR20140146316A (ko) 전선 피복 제거 장치
US7150426B2 (en) Spooling apparatus
JP2017220977A (ja) 被覆線皮剥器、および、被覆線皮剥方法
US4557163A (en) Shield stripper for electrical wiring
US11305441B2 (en) Tool for removing a head assembly or a knot of a tie secured around an object
JP2018029445A (ja) ケーブル被覆剥離工具
US10625399B1 (en) Method to reclaim metal from insulated and/or shielded and/or jacketed power cables using waterjetting
KR102383957B1 (ko) 탈부착 방식의 탈피기 및 조립 방법과 탈피 방법
JP5783841B2 (ja) 被覆剥取具
US3548690A (en) Tool for removing cable insulation
RU2398332C2 (ru) Способ резки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JP2017028817A (ja) ケーブル外被除去器
US11527874B1 (en) Wire tool for stripping and terminating electrical wir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01327025A (ja) ケーブル外部半導電層切削工具
RU754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ки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JP2019193477A (ja) ケーブル被覆剥離工具
CN115940030A (zh) 一种电缆剥皮装置及剥皮方法
JPH03299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