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049U - 박리용 공구 - Google Patents

박리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049U
KR20170000049U KR2020160007268U KR20160007268U KR20170000049U KR 20170000049 U KR20170000049 U KR 20170000049U KR 2020160007268 U KR2020160007268 U KR 2020160007268U KR 20160007268 U KR20160007268 U KR 20160007268U KR 20170000049 U KR20170000049 U KR 201700000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mpression
peeling
peeling tool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806Y1 (ko
Inventor
다카유키 나가키
다모쓰 이와마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0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0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5Machine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Kniv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피복 부재의 박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고, 또한 날체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박리용 공구를 제공한다. 박리용 공구(10)는, 피복 전선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2a)를 가지는 파지체(22)를 설치한 박리용 공구 본체(12)와, 박리용 공구 본체(12)에, 파지체(22)를 향해 진퇴 이동 가능하게 나사삽입되는 압압축(14)과, 압압축(14)과 파지체(22)와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압압축(14)의 진퇴 이동에 따라 파지체(22)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날체 유지 부재(38)를 가지는 날체 유지체(16)와, 날체 유지 부재(38)에 유지된 날체(18)를 구비한다. 날체(18)는, 원통형의 피복 부재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하기 위한 축방향용 절단날(18a)과, 축방향용 절단날(18a)의 양단에 배치되고, 원통형의 피복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절단하기 위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이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박리용 공구{WIRE STRIPPER}
본 고안은, 피복 전선의 피복 부재를 박리(剝離)하기 위한 박리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가공(架空) 배전선(配電線)은, 꼰 전선, 알루미늄 전선이나 굵은 단선(單線)으로 이루어지는 구리 전선[심선(芯線)]을, 수지나 고무 등의 절연체인 피복 부재를 그 주위에 피복한 것(이하, 단지 피복 전선이라고 함)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피복 전선의 단부(端部)를 다른 전선과 접속하거나 슬리브 등을 체결하거나 하는 공사에 있어서는, 통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피복 전선의 필요 부분의 피복 부재를 벗겨내어 베이스부의 심선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작업자가 피복선의 피복재를, 나이프 등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벗겨내거나 박취기(剝取器)를 사용하여 벗겨내거나 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보수 공사에 있어서 가설(架設) 전선의 피복 부분을 박리하는 작업이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에 주목하고, 가설 전선의 피복 부분을 원격 조작에 의해 안전하고 간편하게 박리할 수 있는 공구(박취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평6-26143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공구를 사용한 박취 작업에서는, 이 공구에 배치한 날체(blade body)의 날끝(blade tip)이, 피복 전선의 피복 부재를 박취할 때, 심선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피복 부재의 두께보다 약간 적어지는 거리에, 날끝을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으므로, 피복재의 일부가 남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공구는, 가설 전선의 피복 부분을 박리하기 위한 날체의 날끝은, 피복 전선의 축 방향으로는 피복 부재에 절단할 수 있지만, 피복 전선에 대하여 공구를 회전시킬 때, 피복 전선의 원주 방향으로의 피복 부재의 절단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피복 부재의 박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고, 또한 날체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박리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원통형의 피복 부재에 의해 피복된 피복 전선의 피복 부재를 박리하기 위한 박리용 공구로서, 박리용 공구가, 피복 전선을 파지(把持)하기 위한 파지부를 가지는 파지체를 설치한 박리용 공구 본체와,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파지체를 향해 진퇴(進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압축(押壓軸)과, 압압축과 파지체와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압압축의 진퇴 이동에 따라 파지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날체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날체 유지체와, 날체 유지 부재에 유지된 날체를 구비하고, 날체는, 정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이며, 정면측의 표면이 평면형이며,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그 날의 두께가 가늘어지는 예각형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피복 부재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하기 위한 축방향용 절단날과, 축방향용 절단날의 양단에 배치되고, 정면에서 볼 때 쐐기형이며, 정면측의 표면이 평면형이며, 그 날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고, 원통형의 피복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절단하기 위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용 공구이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날체에 있어서, 축방향용 절단날과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압압축이, 압압축의 진퇴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압압축에 있어서, 날체 유지체가 장착된 측과는 반대측에, 제1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파지체와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압압축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암부(arm portion)를 가지고, 암부의 한쪽 끝측은 박리용 공구 본체와 접속되고, 암부의 다른 쪽 끝측에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날체 유지체가, 날체 유지 부재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가지고, 본체의 배면측으로서, 한 쌍의 가이드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봉형(棒形)의 가이드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이 박리용 공구가 구비하는 날체는, 축방향용 절단날과는 별도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박리용 공구를, 피복 전선을 지점(支点)으로 회전시켜 피복 부재의 박리를 행할 때, 원주 방향용 절단날에 의해 피복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피복 부재의 박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날체에 있어서, 축방향용 절단날과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날체를 교환함으로써, 축방향용 절단날과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동시에 교환할 수 있고, 날체를 박리용 공구에 장착할 때, 축방향용 절단날과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과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압압축의 진퇴시키는 이동 거리를 규제 부재에 의해 미리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피복 전선의 심선에 대하여 상흔이 생기는 일 없이, 피복 부재만을 박리하도록, 날체 유지체의 이동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피복 전선의 선 직경에 따라서, 심선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피복 전선에 대하여 날체를 파고드는 데 필요한 이동 거리(즉, 피복 부재의 두께의 크기에 대응)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그 필요한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압압축에서의 규제 부재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압압축에 있어서, 날체 유지체가 장착된 측과는 반대측에, 제1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파지체와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압압축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암부를 가지고, 암부의 한쪽 끝측은 박리용 공구 본체와 접속되고, 암부의 다른 쪽 끝측에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므로, 제1 걸어맞춤부 및 제2 걸어맞춤부를 조작봉의 선단 걸어맞춤부에 당겨 거는 것에 의해, 피복 전선을 지점으로 하여 조작봉에 의한 원격 조작에 의해, 박리용 공구를 용이하게 1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날체 유지체가, 날체 유지 부재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가지고, 본체의 배면측으로서, 한 쌍의 가이드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봉형의 가이드축을 가지므로, 날체가 바로 앞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날체가 피복 전선의 외주(外周)에 있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축방향용 절단날 및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확실하게 피복 부재에 파고들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피복 부재의 박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고, 또한 날체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박리용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선 A-A에서의 단면 도해도이다.
도 4의 (a)는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b)는, 암 보디(arm body)를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암부의 정면도이며, (b)는 그 좌측 단면도이며, (c)는 그 우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압압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규제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날체 유지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날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피복 전선에 박리용 공구를 장착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피복 전선에 박리용 공구를 장착한 후, 제1 걸어맞춤부를 조작봉에 의해 끌어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1 걸어맞춤부를 회전시켜 압압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날체를 피복 전선에 파고들게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b)는 날체가 피복 전선에 파고들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2 걸어맞춤부에 조작봉의 선단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2 걸어맞춤부를 끌어내린 후, 또한 우측 경사 상방향으로 밀어올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재차, 제1 걸어맞춤부에 조작봉의 선단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1 걸어맞춤부를 조작봉에 의해 끌어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1 걸어맞춤부를 회전시켜 압압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날체를 피복 전선 측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날체가 피복 전선으로부터 피복 부재를 박리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해도(圖解圖)이다.
도 20은 날체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날체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날체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날체의 저면도이다.
도 24는 날체의 우측면도이며, (a)는 우측면도이며, (b)는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날체의 도 20의 B-B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26은 날체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날체의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그 외의 부분을 파선(破線)으로 나타낸, 박리용(剝離用) 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날체의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그 외의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배면도이다.
도 29는 날체의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그 외의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날체의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그 외의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저면도이다.
도 31은 날체의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그 외의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32는 날체의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그 외의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33은 날체의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그 외의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34는 박리용 공구의 정면도이다.
도 35는 박리용 공구의 배면도이다.
도 36은 박리용 공구의 평면도이다.
도 37은 박리용 공구의 저면도이다.
도 38은 박리용 공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39는 박리용 공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40은 박리용 공구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고안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박리용 공구의 구성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선 A-A에서의 단면 도해도이다. 도 4의 (a)는,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4의 (b)는, 암 보디를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봉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원통형의 피복 부재에 의해 피복된 피복 전선의 피복 부재를 박리하기 위한 공구이다. 조작봉(S)은, 예를 들면, 절연봉(S1)을 포함하고, 그 절연봉(S1)의 선단에는, 갈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선단 걸어맞춤부(S2)가 설치된다. 또한, 피복 전선(W)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導電) 재료에 형성되는 심선(W1)을 포함하고, 그 심선(W1)을 덮도록 원통형의 피복 부재(W2)가 설치된다. 이 피복 부재(W2)의 재료는, 통상,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합성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용 공구(10)는, 박리용 공구 본체(12)와, 박리용 공구 본체(12)에 진퇴 이동 가능하게 나사삽입되는 압압축(14)과, 압압축(14)의 진퇴 이동에 따라 진퇴 이동하는 날체 유지체(16)와, 날체 유지체(16)에 유지된 날체(18)를 구비한다.
(a) 박리용 공구 본체
박리용 공구 본체(12)는, 본체부(20)를 포함한다. 본체부(20)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다.
본체부(20)에 있어서, 박리용 공구 본체(12)를 피복 전선에 장착했을 때, 이 피복 전선을 파지하는 측의 면을 정면으로 한다. 본체부(20)는, 박리용 공구 본체(12)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본체부(20)의 한쪽 끝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본체부(20)의 다른 쪽 끝부에 있어서, 본체부(20)로부터 바로 앞쪽을 향해 돌출된 파지체(22)가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파지체(22)의 바로 앞쪽에는, 파지체(2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22a)가 설치된다. 파지부(22a)의 상면(내측면)에는, 만곡면(22b)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22b)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아래쪽으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즉, 만곡면(22b)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22a)를 따라 본체부(20)의 다른 쪽 끝측을 향해 볼록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파지체(22)의 폭 방향의 길이는, 본체부(20)의 다른 쪽 끝부 측에서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파지체(22)의 폭 방향의 길이는, 날체(18)에 의해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를 박리할 때, 안정적으로 피복 전선(W)을 파지할 수 있는 길이가 확보되어 있다.
본체부(20)의 한쪽 끝부에 있어서, 파지체(22)의 파지부(22a)에 대향하도록, 본체부(20)로부터 바로 앞쪽을 향해 축지지부(24)가 돌출된다. 축지지부(24)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다. 축지지부(24)는, 파지체(22)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양 주면(主面)을 가진다. 축지지부(24)의 한쪽 주면에서의 대략 중앙에는, 압압축(14)을 나사삽입하기 위한 나사공(24a)이, 축지지부(24)의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에 관통하여 천설(穿設)되어 있다. 나사공(24a)은, 압압축(14)의 축 방향[즉,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파지체(22)에서의 배면측에는, 암 보디(26)가 설치된다.
암 보디(26)는, 암부 지지부(26a), 암부(26b) 및 제2 걸어맞춤부(26c)를 포함한다.
암부 지지부(26a)는, 파지체(22)가 본체부(20)에 대하여 돌출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압압축(14)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암부 지지부(26a)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암부 지지부(26a)의 측면에는, 고정용 구멍(26a1)이 천설되어 있다. 암부 지지부(26a)에는, 암부(26b)가 연장 형성된다.
암부(26b)는, 암부 본체부(26b1)와 접속부(26b2)를 포함한다. 암부 본체부(26b1) 및 접속부(26b2)는, 각각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암부 본체부(26b1)의 한쪽 끝측에 접속부(26b2)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암부 본체부(26b1)의 외경(外徑)은, 접속부(26b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접속부(26b2)에는, 그 중간부에 있어서, 암부 고정용 나사공(26b3)이 천설되어 있다. 암부 고정용 나사공(26b3)은, 압압축(14)의 축 방향 및 암부(26b)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는 암부(26b)의 접속부(26b2)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암부 지지부(26a)에 끼워넣어진다. 따라서, 접속부(26b2)의 외경은, 암부 지지부(26a)의 내경(內徑)과 대략 동일한 크기이다. 암부(6b)의 접속부(26b2)가, 암부 지지부(26a)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암부 지지부(26a)의 고정용 구멍(26a1)을 관통하고, 그리고, 접속부(26b2)의 암부 고정용 나사공(26b3)에, 고정용 부재(26a2)가 나사삽입되어, 암부 지지부(26a)와 암부(26b)가 고착된다.
암부 본체부(26b1)의 다른 쪽 끝측의 단면(端面)의 대략 중앙에는, 제2 걸어맞춤부(26c)와 연장 형성하기 위한 걸어맞춤부 연장 형성용 나사공(26b4)이 천설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연장 형성용 나사공(26b4)은, 암부 본체부(26b1)의 다른 쪽 끝측으로부터 한쪽 끝측을 향해[즉, 암부(26b)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암부(26b)의 다른 쪽 끝에는 제2 걸어맞춤부(26c)가 연장 형성된다.
제2 걸어맞춤부(26c)는, 링부(26c1), 베이스부(26c2) 및 접속축(26c3)을 포함한다. 링부(26c1)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26c2)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그 한쪽 면측에 링부(26c1)가 고착된다. 그리고, 베이스부(26c2)의 다른 방면측의 대략 중앙에, 접속축(26c3)이 형성된다. 접속축(26c3)이, 걸어맞춤부 연장 형성용 나사공(26b4)에 끼워져 삽입되고, 나사장착되어, 제2 걸어맞춤부(26c)와 암부(26b)가 연장 형성된다.
(b) 압압축
압압축(14)은,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압압축(14)은, 나사부(28), 피벗 장착부(30) 및 접속부(32)를 포함한다. 나사부(28)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나사부(28)의 측면에는, 나선형의 홈에 의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압압축(14)의 나사부(28)가, 축지지부(24)의 나사공(24a)에 나사삽입된다. 그리고, 나사부(28)가 회전함으로써, 압압축(14)은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압압축(14)을 이동시킬 수 있다. 나사부(28)의 한쪽 끝[파지체(22)에 대향하는 측]에는 피벗 장착부(30)가 설치되고, 다른 쪽 끝에는 접속부(32)가 설치된다.
피벗 장착부(pivotally attached portion)(30)는, 압압축(14)에 날체 유지체(16)를 피벗 장착하기 위해 설치된다. 피벗 장착부(30)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에 피벗 장착용 홈(30a)이 형성된다. 그리고, 피벗 장착용 홈(30a)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sandwich)하도록, 제1 지지부(30b) 및 제2 지지부(30c)가 설치된다.
접속부(32)에는, 제1 걸어맞춤부(34)가 고착되어 연장 형성된다. 접속부(32)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접속부(32)에는, 그 중간부에 있어서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32a)이 관통하여 천설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32a)은, 압압축(14)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걸어맞춤부(34)는, 링부(34a)와 베이스부(34b)를 포함한다. 링부(34a)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34b)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34b)의 한쪽측에는, 링부(34a)가 고착되고, 다른 쪽측은, 개구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34b)의 측면에는, 고정용 구멍(34b1)이 천설되어 있다. 그리고, 압압축(14)의 접속부(32)는 제1 걸어맞춤부(34)의 베이스부(34b)에 끼워넣어진다. 제1 걸어맞춤부(34)는, 압압축(14)의 접속부(32)가 제1 걸어맞춤부(34)의 베이스부(34b)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제1 걸어맞춤부(34)에서의 베이스부(34b)의 고정용 구멍(34b1) 및 접속부(32)의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32a)에 봉형의 고정용 부재(34c)가 끼워져 삽입되어, 제1 걸어맞춤부(34)와 압압축(14)의 접속부(32)가 고착된다.
이로써, 제1 걸어맞춤부(32)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걸어맞춤부(32)의 회전과 동시에 나사부(28)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걸어맞춤부(34)는, 링형으로 형성되는 링부(34a)를 가진다. 링부(34a)는, 예를 들면, 조작봉(S)의 갈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어맞추기 위해 설치된다.
압압축(14)의 나사부(28)에 있어서, 축지지부(24)와 제1 걸어맞춤부(32)와의 사이의 영역에는, 규제 부재(34)가 배치된다. 규제 부재(34)는, 압압축(14)이, 파지체(22)의 배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설치된다. 규제 부재(34)는, 도넛형으로 형성된다. 규제 부재(34)의 링의 내측면에는 자형(雌形)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압압축(14)의 나사부(28)에 나사삽입된다. 규제 부재(34)에는,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36a)이 천설되어 있다.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36a)은, 그 외측면에서의 4방향으로부터, 즉 각각의 방향이 90°로 간격을 두고, 링 중심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36a)에는, 규제 부재 고정용 부재(36b)가 나사삽입되어 있고, 규제 부재 고정용 부재(36b)를 압압축(14)의 나사부(28)에 접촉시킴으로써, 규제 부재(34)를 나사부(28)의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d) 날체 유지체
날체 유지체(16)는, 날체 유지 부재(38)를 포함한다. 날체 유지 부재(38)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다. 날체 유지 부재(38)는, 축지지부(24)에 대향하는 한쪽 주면과, 파지체(22)에 대향하는 다른 쪽 주면을 가진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양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면이며, 또한 본체부(20)에 대향하는 면인 양 측면을 가진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양 주면 및 양 측면에 대하여 수직인 면이며, 또한 본체부(20)에 대하여 수직인 면인 양 단면을 가진다.
날체 유지 부재(38)의 폭 방향[즉, 날체 유지 부재(38)의 양 단면을 연결하는 방향]의 길이는, 파지체(22)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날체 유지 부재(38)는, 그 전면(前面)의 하부측에 날체 장착부(38a)가 형성된다. 날체 장착부(38a)에는, 날체(18)를 장착하기 위해, 날체 유지 부재(38)의 한쪽측 면(전면)의 중간부로부터 다른 쪽 주면측(하단측)의 범위에 날체 장착면(38a1)이 형성된다. 이 날체 장착부(38a)에서의 날체 장착면(38a1)은, 날체 유지 부재(38)의 한쪽측 면(전면)으로부터 다른 쪽측 면(후면)을 향해, 날체(18)의 두께의 크기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두께만큼 단차(段差)가 형성된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의 한쪽 주면(상면)의 대략 중앙에는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이 형성된다.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은,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의 깊이는, 압압축(14)의 피벗 장착부(30)에서의 그 축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의 내경은, 압압축(14)의 나사부(28)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의 한쪽측 면(전면)의 상부 측에 있어서,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d)이 천설되어 있다.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d)은, 날체 유지 부재(38)의 전면(바로 앞쪽)으로부터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을 향해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의 다른 쪽 면(후면)의 상부 측에 있어서,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e)이 천설되어 있다.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e)은, 날체 유지 부재(38)의 배면(향후 측)으로부터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을 향해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탈 방지 부재(46)가,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d) 및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e)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나사삽입된다. 이탈 방지 부재(46)는,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d) 및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e)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이탈 방지 부재(46)의 선단이, 피벗 장착용 홈(30a)의 바닥면에 맞닿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의 양 단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이 천설되어 있다.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은, 예를 들면, 각각의 단면에 있어서 3개소씩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은, 각각의 단면으로부터,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을 향해 연장된다.
압압축(14)이 날체 유지체(16)에 피벗 장착될 때, 압압축(14)의 피벗 장착부(30)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d) 및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e)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 피벗 장착부(30)의 피벗 장착용 홈(30a)에 이탈 방지 부재(46)가 돌입(突入; penetrate)되어 있고, 각각의 이탈 방지 부재(46)는, 피벗 장착부(30)의 제1 지지부(30b)와 제2 지지부(30c)에 의해 협지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압압축(14)의 피벗 장착부(30)는, 날체 유지 부재(3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날체 유지체(16)는, 가이드(40, 42)를 포함한다.
가이드(40)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우측 단면에 장착된다. 가이드(40)는, 가이드 본체부(40a)를 포함한다. 가이드 본체부(40a)에는, 가이드 장착용 구멍(40a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장착용 구멍(40a1)에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우측 단면에 가이드(40)를 장착할 때, 가이드 장착 부재(40a2)가 관통되어 날체 유지 부재(38)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에 나사결합된다. 가이드 본체(40a)의 하단 측에는, 가압부(40a3)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본체부(40a)의 전부(前部)에 있어서, 탈락 방지부(40b)가 전방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본체부(40a)의 후부(後部)에 있어서, 가이드축 지지부(40c)가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42)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좌측 단면에 장착된다. 가이드(42)는, 가이드 본체부(42a)를 포함한다. 가이드 본체부(42a)에는, 가이드 장착용 구멍(42a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장착용 구멍(42a1)에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좌측 단면에 가이드(42)를 장착할 때, 가이드 장착 부재(42a2)가 관통되어 날체 유지 부재(38)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에 나사결합된다. 가이드 본체부(42a)의 하단 측에는, 가압부(42a3)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본체부(42a)의 전부(前部)에 있어서, 탈락 방지부(42b)가 전방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본체부(42a)의 후부에 있어서, 가이드축 지지부(42c)가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본체부(42a)의 하단 에지는, 수평형 가압부(40a3) 측의 하단 에지와, 상기 하단 에지보다 1단 올라 가이드축 지지부(40c) 측의 수평형 하단 에지가 연속되어 있다.
가이드(40)의 가이드축 지지부(40c)와 가이드(42)의 가이드축 지지부(42c)와의 사이에는, 가이드축(44)이 설치된다. 가이드축(44)은, 봉형으로 형성되고, 본체부(20)의 배면측에 설치된다.
(e) 날체
날체(18)는, 직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된다. 날체(18)의 폭 방향의 길이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폭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날체(18)의 한쪽 단면(상변) 측은, 날체(18)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날체 유지 부재(38)의 날체 장착부(38a)에 장착된다. 또한, 날체(18)는,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18b)을 포함한다. 날체(18)의 다른 쪽 단면(하변) 측에, 축방향용 절단날(18a)이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용 절단날(18a)의 양단에 각각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18b)이 형성된다. 따라서, 날체(18)에 있어서,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18b)이 일체로 형성된다.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원통형의 피복 부재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18b)은, 원통형의 피복 부재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인 원주 방향을 따라 절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날체(18)가 날체 유지 부재(36)에 장착되었을 때, 날체 유지 부재(38)의 다른 쪽 주면(하면)으로부터 파지부(22a)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정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이며, 정면측의 표면이 평면형이며,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그 날의 두께(표면측과 이면측 사이의 길이)가 가늘어지는 예각형이다.
한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는 정면에서 볼 때 쐐기형이며, 정면측의 표면이 평면형이며, 그 날의 두께(표면측과 이면측 사이의 길이)가 대략 균일하다.
좌단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과 우단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은, 대략 동일 형상이다.
날체(18)의 한쪽 단면(상변) 측에는, 날체 장착공(18c)이 형성되어 있다. 날체 장착공(18c)에는, 날체 유지 부재(38)에 날체(18)를 장착할 때, 날체 장착용 부재(18d)가 관통되어, 날체 유지 부재(38)의 날체 장착용 구멍(38b)에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날체(18)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날체 장착부(38a)에 장착된다.
날체 장착공(18c)은, 날체 장착용 부재(18d)를 나사삽입했을 때, 날체 장착용 부재(18d)가 돌출되지 않도록, 보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축방향용 절단날(18a)과는 별도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박리용 공구(10)를 피복 전선(W)을 지점으로 회전시켜 피복 부재(W2)의 박리를 행할 때,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에 의해 피복 부재(W2)를 원주 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피복 부재(W2)의 박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날체(18)의 축방향용 절단날(18a)과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날체 장착용 부재(18d)를 벗겨내는 것만으로, 날체 유지체(16)로부터 날체(18)를 분리해 낼 수 있다. 피복 부재(W2)를 박리하기 위해 필요한 날을 모두 교환할 수 있으므로, 날체(18)를 재차, 날체 유지체(16)에 장착하기 위한 조정이 용이하므로, 박리용 공구(1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규제 부재(36)가 있으므로, 피복 전선(W)의 직경에 따라 작업 전에 규제 부재(36)에 의해 압압축(14)의 진퇴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배치시켜 둠으로써, 심선(W1)에 대하여 상흔이 생기는 일 없이, 피복 부재(W2)만을 박리하도록, 날체 유지체(16)의 이동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피복 전선(W)의 선 직경에 따라 심선(W1)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피복 전선(W)에 대하여 날체를 파고드는 데 필요한 이동 거리(즉, 피복 부재의 두께의 크기에 대응)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그 필요한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나사부(28)에서의 규제 부재(36)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본체(20)에 있어서, 파지체(22)와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압압축(14)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암부(26b)를 가지고, 암부(26b)의 한쪽 끝측은 암부 지지부(26a)를 통하여 본체부(20)와 접속되고, 암부(26b)의 다른 쪽 끝측에는 제2 걸어맞춤부(26c)를 가지므로, 제1 걸어맞춤부(34) 및 암 보디(26)의 제2 걸어맞춤부(26c)를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에 당겨 거는 것에 의해, 조작봉(S)에 의한 원격 조작으로, 피복 전선(W)을 지점으로 하여 박리용 공구(10)를 용이하게 1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가이드축(44)을 구비함으로써, 날체(18)가 피복 전선(W)으로부터 피복 부재(W2)를 박리할 때, 날체(18)가, 바로 앞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날체(18)가 피복 전선의 외주에 있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이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를, 확실하게 피복 부재(W2)에 파고들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2. 박리용 공구의 조작 수순
다음에,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용 공구를 피복 전선(W)에 장착하고, 박리용 공구를 사용하여, 피복 전선(W)으로부터 피복 부재(W2)를 원격으로 박리하는, 박리용 공구의 조작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8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박리용 공구에 의해 피복 전선으로부터 피복 부재를 박리하기 위한 조작 수순을 나타낸다.
(1) 먼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1 걸어맞춤부(34)의 링부(34a)에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당겨 걸어, 조작봉(S)으로 박리용 공구(10)를 현수(懸垂)한다. 그리고, 조작봉(S)으로 현수 박리용 공구(10)에서의 파지부(22a)의 만곡면(22b)과 가이드(40, 42)와의 사이에 피복 전선(W)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피복 전선(W)에 박리용 공구(10)를 장착한다.
(2) 다음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전선(W)을 지점으로 하여,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1 걸어맞춤부(34)의 링부(34a)를 조작봉(S)으로 끌어내리고, 피복 전선(W)에 박리용 공구(10)를 매달아 지지한다.
(3) 이어서,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제1 걸어맞춤부(34)에 당겨 건 상태에서 제1 걸어맞춤부(34)를 압압축(14)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압압축(14)을 축 회전시키고, 이로써, 날체 유지체(16)를 피복 전선(W)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압압축(14)은, 압압축(14)의 나사부(28)에서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는 규제 부재(34)가 축지지부(24)에 맞닿기까지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체(18)의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이,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에만 파고든다.
(4) 다음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2 걸어맞춤부(26c)의 링부(26c1)로 바꾸어,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어맞춘다.
(5) 이어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2 걸어맞춤부(26c)의 링부(26c1)를, 피복 전선(W)을 지점으로 하여 조작봉(S)으로 끌어내리고, 또한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2 걸어맞춤부(26c)에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어맞춘 채, 우측 경사 상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이 단계에서, 박리용 공구(10)는, 피복 전선(W)을 축 중심으로 약 240°정도, 회전하고 있다.
(6) 다음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1 걸어맞춤부(34)의 링부(34a)로 바꾸어,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어맞춘다.
(7) 이어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1 걸어맞춤부(34)의 링부(34a)에 걸어맞춘 채, 피복 전선(W)을 지점으로 하여, 또한 제1 걸어맞춤부(34)의 링부(34a)를 조작봉(S)으로 끌어내린다. 이 때, 또한 박리용 공구(10)는, 피복 전선(W)의 축 중심으로 약 120°정도, 회전한다. 결과, 박리용 공구(10)는, 피복 전선(W)의 축 중심으로, 약 360°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피복 부재(W2)는, 피복 전선(W)으로부터 전체 주위에 걸쳐 박리된다.
(8)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제1 걸어맞춤부(34)에 당겨 건 상태에서 제1 걸어맞춤부(34)를 압압축(14)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압압축(14)을 축 회전시키고, 이로써, 날체 유지체(16)를 피복 전선(W) 측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피복 전선(W)으로부터 박리용 공구(10)를 제외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피복 전선(W)을 지점으로 하여 박리용 공구(10)를 1회전시킬 수 있다. 도 19는, 날체가 피복 전선으로부터 피복 부재를 박리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용 공구(10)가 1회전함으로써, 피복 부재(W2)는 피복 전선(W)으로부터 박리된다. 피복 부재(W2)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체(18)에 의해, 피복 부재가 피복 전선으로부터 박리된다.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체(18)를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에 파고들게 할 수 있으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부재(W2)에는, 날체(18)의 축방향용 절단날(18a)에 의해 피복 부재(W2)의 축 방향의 절단선 L1이 형성되고, 박리용 공구(10)를, 피복 전선(W)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에 의해 피복 부재(W2)의 원주 방향의 절단선 L2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상기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으로 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메카니즘, 형상, 재질, 수량, 위치 또는 배치 등에 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압압축이, 박리용 공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게 나사삽입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압축은, 박리용 공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면, 어떻게 박리용 공구 본체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규제 부재가 압압축에 나사삽입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규제 부재가 나사삽입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본체부의 배면측에 암 보디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가이드축이 본체부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가이드축을 갖지 않아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고안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예를 들면, 조작봉에 의한 원격 조작에 의해, 원통형의 피복 부재에 의해 피복된 전선으로부터 피복 부재를 박리되는 것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박리용 공구
12: 박리용 공구 본체
14: 압압축
16: 날체 유지체
18: 날체
18a: 축방향용 절단날
18b: 원주 방향용 절단날
18c: 날체 장착공
18d: 날체 장착용 부재
20: 본체부
22: 파지체
22a: 파지부
22b: 만곡면
24: 축지지부
24a: 나사공
26: 암 보디
26a: 암부 지지부
26a1: 고정용 구멍
26a2: 고정용 부재
26b: 암부
26b1: 암부 본체부
26b2: 접속부
26b3: 암부 고정용 나사공
26b4: 걸어맞춤부 연장 형성용 나사공
26c: 제2 걸어맞춤부
26c1: 링부
26c2: 베이스부
26c3: 접속축
28: 나사부
30: 피벗 장착부
30a: 피벗 장착용 홈
30b: 제1 지지부
30c: 제2 지지부
32: 접속부
32a: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
34: 제1 걸어맞춤부
34a: 링부
34b: 베이스부
34b1: 고정용 구멍
34c: 고정용 부재
36: 규제 부재
36a: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
36b: 규제 부재 고정용 부재
38: 날체 유지 부재
38a: 날체 장착부
38a1: 날체 장착면
38b: 날체 장착용 구멍
38c: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
38d: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
38e: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
38f: 가이드 장착용 구멍
40, 42: 가이드
40a, 42a: 가이드 본체부
40a1, 42a1: 가이드 장착용 구멍
40a2, 42a2: 가이드 장착용 부재
40a3, 42a3: 가압부
40b, 42b: 탈락 방지부
40c, 42c: 가이드축 지지부
44: 가이드축
46: 이탈 방지 부재
W: 피복 전선
W1: 심선
W2: 피복 부재
S: 조작봉
S1: 절연봉
S2: 선단 걸어맞춤부
L1: 축 방향의 절단선
L2: 원주 방향의 절단선

Claims (5)

  1. 원통형의 피복 부재에 의해 피복된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 부재를 박리(剝離)하기 위한 박리용(剝離用) 공구로서,
    상기 박리용 공구는,
    상기 피복 전선을 파지(把持)하기 위한 파지부를 구비하는 파지체를 설치한 박리용 공구 본체;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를 향해 진퇴(進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압축(押壓軸);
    상기 압압축과 상기 파지체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압압축의 진퇴 이동에 따라 상기 파지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날체(blade body)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날체 유지체; 및
    상기 날체 유지 부재에 유지된 날체;를 구비하고,
    상기 날체는,
    정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이며, 정면측의 표면이 평면형이며,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서 그 날의 두께가 가늘어지는 예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피복 부재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하기 위한 축방향용 절단날; 및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의 양단에 배치되고, 정면에서 볼 때 쐐기형이며, 정면측의 표면이 평면형이며, 그 날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피복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절단하기 위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구비하는,
    박리용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체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과 상기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이 일체로 형성되는, 박리용 공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축은, 상기 압압축의 진퇴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부재를 구비하는, 박리용 공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축에 있어서, 상기 날체 유지체가 장착된 측과는 반대측에, 제1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와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상기 압압축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암부(arm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암부의 한쪽 끝측은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와 접속되고, 상기 암부의 다른 쪽 끝측에는 제2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박리용 공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체 유지체는,
    상기 날체 유지 부재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배면측으로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봉형(棒形)의 가이드축을 구비하는, 박리용 공구.
KR2020160007268U 2016-03-25 2016-12-14 박리용 공구 KR2004878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6/059618 2016-03-25
PCT/JP2016/059618 WO2017163398A1 (ja) 2016-03-25 2016-03-25 剥離用工具
JP2016081469A JP6471115B2 (ja) 2016-03-25 2016-04-14 剥離用工具
JPJP-P-2016-081469 2016-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49U true KR20170000049U (ko) 2017-01-03
KR200487806Y1 KR200487806Y1 (ko) 2018-11-06

Family

ID=5990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68U KR200487806Y1 (ko) 2016-03-25 2016-12-14 박리용 공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71115B2 (ko)
KR (1) KR200487806Y1 (ko)
CN (1) CN206865032U (ko)
WO (1) WO20171633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080A (ko) * 2016-07-26 2019-02-27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피복선 피박기
KR20200020865A (ko) * 2017-07-20 2020-02-26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박리용 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6906A (zh) * 2018-11-19 2019-02-15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10千伏架空全绝缘线路不停电绝缘层剥削装置
JP7397826B2 (ja) 2020-09-02 2023-12-13 株式会社永木精機 剥離用工具
WO2022050240A1 (ja) * 2020-09-02 2022-03-10 株式会社永木精機 剥離用工具
CN114114541A (zh) * 2021-10-21 2022-03-01 上海坤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避免光纤内芯折断的光纤剥皮器
WO2024009874A1 (ja) * 2022-07-06 2024-01-11 株式会社永木精機 皮剥器、皮剥装置、および、皮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432A (ja) 1993-03-04 1994-09-16 Nagaki Seiki:Kk 電線被覆剥離用工具および電線被覆の遠隔剥離方法
JP2002238123A (ja) * 2001-02-07 2002-08-23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被覆層切断工具及びその工具に用いられる切断刃
KR100971071B1 (ko) * 2009-10-26 2010-07-20 지성훈 전선 피복 제거 장치
KR20110037599A (ko) * 2009-10-07 2011-04-13 (주)케이엠 디지텍 피복 절단수단 교환장치 및 이를 장착한 전선탈피장치
JP2015046988A (ja) * 2013-08-28 2015-03-12 中国電力株式会社 架線の被覆剥取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432A (ja) 1993-03-04 1994-09-16 Nagaki Seiki:Kk 電線被覆剥離用工具および電線被覆の遠隔剥離方法
JP2002238123A (ja) * 2001-02-07 2002-08-23 Hitachi Cable Ltd ケーブル被覆層切断工具及びその工具に用いられる切断刃
KR20110037599A (ko) * 2009-10-07 2011-04-13 (주)케이엠 디지텍 피복 절단수단 교환장치 및 이를 장착한 전선탈피장치
KR100971071B1 (ko) * 2009-10-26 2010-07-20 지성훈 전선 피복 제거 장치
JP2015046988A (ja) * 2013-08-28 2015-03-12 中国電力株式会社 架線の被覆剥取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080A (ko) * 2016-07-26 2019-02-27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피복선 피박기
KR20200020865A (ko) * 2017-07-20 2020-02-26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박리용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84592A (ja) 2017-10-05
CN206865032U (zh) 2018-01-09
WO2017163398A1 (ja) 2017-09-28
JP6471115B2 (ja) 2019-02-13
KR200487806Y1 (ko)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806Y1 (ko) 박리용 공구
US20090100681A1 (en) Coaxial cable stripping tool with adjustable strip stop
JP6934995B2 (ja) 剥離用工具
KR101804271B1 (ko) 케이블 피복층 제거 장치
US4945636A (en) Coaxial cable stripper
JP2012165508A (ja) 電線被覆剥取器
JP2009284722A (ja) 電線被覆剥離用工具
US4953428A (en) Tool for stripping cables, in particular constituted cables
KR20110037599A (ko) 피복 절단수단 교환장치 및 이를 장착한 전선탈피장치
GB2219696A (en) Cable shield stripping apparatus
KR100700710B1 (ko) 케이블 필러
CN102420407A (zh) 一种电缆剥皮器及其剥皮方法
JP7397826B2 (ja) 剥離用工具
KR20100084591A (ko) 급전선 절단기
JP2018196254A (ja) 被覆付ケーブルの被覆除去工具
JP4691463B2 (ja) 光ケーブル皮剥ぎ工具
KR101916589B1 (ko) 케이블 피복 절단 장치
CN210246153U (zh) 电缆去皮装置
JP5472954B1 (ja) 端末皮剥装置
KR20230058710A (ko) 박리용 공구
CN116890080B (zh) 一种屏蔽丝裁切机
JP2018102034A (ja) 被覆剥き具
CN220797655U (zh) 剥离用工具
KR20170028466A (ko) Hv 케이블 반도전층 피복제거용 공구
JP2006084949A (ja) 光ケーブル用支持線剥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