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242B1 - 박리용 공구 - Google Patents

박리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242B1
KR102354242B1 KR1020207001876A KR20207001876A KR102354242B1 KR 102354242 B1 KR102354242 B1 KR 102354242B1 KR 1020207001876 A KR1020207001876 A KR 1020207001876A KR 20207001876 A KR20207001876 A KR 20207001876A KR 102354242 B1 KR102354242 B1 KR 10235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blade
tool
pair
bla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865A (ko
Inventor
다카유키 나가키
다모쓰 이와마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2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and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 H02G1/1243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the cutting element being a wire or fila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복 부재의 박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고, 또한 날체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박리용 공구를 제공한다. 박리용 공구(10)는, 피복 전선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22a)를 가지는 파지체(22)를 설치한 박리용 공구 본체(12)와, 박리용 공구 본체(12)에, 파지체(22)를 향해 진퇴 이동 가능하게 나사삽입되는 압압축(14)과, 압압축(14)과 파지체(22)와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압압축(14)의 진퇴 이동에 따라 파지체(22)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날체 유지 부재(38)를 가지는 날체 유지체(16)와, 날체 유지 부재(38)에 유지된 날체(18)를 구비한다. 날체(18)는, 피복 전선의 피복 부재를 그 축 방향을 따라 절단하기 위한 축방향용 절단날(18a)과, 축방향용 절단날(18a)의 양단에 배치되고, 피복 전선의 피복 부재를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절단하기 위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이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박리용 공구
본 발명은, 피복 전선의 피복 부재를 박리(剝離; stripping)하기 위한 박리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가공(架空) 배전선(配電線)은, 트위스팅한(꼰) 구리 전선, 알루미늄 전선이나 굵은 단선(單線)으로 이루어지는 구리 전선[심선(芯線)]을, 수지나 고무 등의 절연체인 피복 부재를 그 주위에 피복한 것(이하, 단지 피복 전선이라고 함)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피복 전선의 단부(端部)를 다른 전선과 접속하거나 슬리브 등을 체결하거나 하는 공사에 있어서는, 통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피복 전선의 필요 부분의 피복 부재를 벗겨내 베이스부의 심선을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작업자가 피복선의 피복재를, 나이프 등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벗겨내거나, 박취기(剝取器)를 사용하여 벗겨내거나 하고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보수 공사에 있어서 가설(架設) 전선의 피복 부분을 박리하는 작업이 비교적 큰 웨이트를 차지하는 것에 주목하고, 가설 전선의 피복 부분을 원격 조작에 의해 안전하고 간편하게 박리할 수 있는 공구(박취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평6-26143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공구를 사용한 박취 작업에서는, 이 공구에 배치한 날체(blade body)의 날끝(blade edge)이, 피복 전선의 피복 부재를 벗겨낼 때, 심선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피복 부재의 두께보다 약간 적어지게 되는 거리에, 날끝을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으므로, 피복 부재의 일부가 남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공구에서는, 가설 전선의 피복 부분을 박리하기 위한 날체의 날끝은, 피복 전선의 축 방향으로는 피복 부재를 절단할 수 있지만, 피복 전선에 대하여 공구를 회전할 때, 피복 전선의 원주 방향으로 피복 부재를 절단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피복 부재의 박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고, 또한 날체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박리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피복 부재에 의해 전선을 피복한 피복 전선의 피복 부재를 박리하기 위한 박리용 공구로서, 박리용 공구가, 피복 전선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把持部; gripping part)를 가지는 파지체를 설치한 박리용 공구 본체와,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파지체를 향해 진퇴(進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압축(押壓軸; pressing shaft)과, 압압축과 파지체와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압압축의 진퇴 이동에 따라 파지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날체 유지 부재를 가지는 날체 유지체와, 날체 유지 부재에 박리용 공구 본체의 파지부에 파지된 피복 전선과 평행하게 유지된 날체를 구비하고, 날체는, 박리용 공구 본체의 파지부에 파지된 피복 전선을 향함에 따라 날(刃)이 두께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피복 전선의 축 방향을 따라 피복 부재에 파고들고(biting into), 그 후 박리하기 위한 축방향용 절단날과, 축방향용 절단날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한 쌍의 날이, 박리용 공구 본체의 파지부에 파지된 피복 전선을 향해 뻗고, 축방향용 절단날의 하단 에지보다 피복 전선을 향해 선단부가 돌출되고, 피복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피복 부재에 동시에 파고들고, 절단하기 위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가지고,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은, 그 날의 뻗는 방향이 축방향용 절단날의 뻗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피복 전선을 향함에 따라 날이 폭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축방향용 절단날과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용 공구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피복 부재에 의해 전선을 피복한 피복 전선의 피복 부재를 박리하기 위한 박리용 공구로서, 박리용 공구가, 피복 전선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가지는 파지체를 설치한 박리용 공구 본체와,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파지체를 향해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압축과, 압압축과 파지체와의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압압축의 진퇴 이동에 따라 파지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날체 유지 부재를 가지는 날체 유지체와, 날체 유지 부재에 박리용 공구 본체의 파지부에 파지된 피복 전선과 평행하게 유지된 날체를 구비하고, 날체는, 박리용 공구 본체의 파지부에 파지된 피복 전선을 향함에 따라 날이 두께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피복 전선의 축 방향을 따라 피복 부재에 파고들고, 그 후 박리하기 위한 축방향용 절단날과, 축방향용 절단날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한 쌍의 날이, 박리용 공구 본체의 파지부에 파지된 피복 전선을 향해 뻗고, 축방향용 절단날의 하단 에지보다 피복 전선을 향해 선단부가 돌출되고, 피복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피복 부재에 동시에 파고들고, 절단하기 위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가지고,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은, 그 날의 뻗는 방향이 축방향용 절단날의 뻗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피복 전선을 향함에 따라 날이 폭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축방향용 절단날과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압압축이, 압압축의 진퇴 이동을 규제(restriction)하기 위한 규제 부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압압축에 있어서, 날체 유지체가 장착된 측과는 반대측에, 제1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파지체가 돌출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압압축이 뻗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해 뻗는 암부(arm portion)를 가지고, 암부의 한쪽 끝 측은 박리용 공구 본체와 접속되고, 암부의 다른 쪽 끝 측에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날체 유지 부재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가지고, 한 쌍의 가이드는, 피복 부재가 박리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박리된 피복 부재를 일정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고, 박리된 피복 부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날체 유지 부재 측의 내면에 절곡부를 가지고, 절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의 각 탈락 방지부의 하단(下端)이, 절곡부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날체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마주하고, 또한 날체 유지 부재의 폭보다 각 탈락 방지부의 하단과의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박리용 공구 본체의 배면측으로서, 한 쌍의 가이드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배면측 가이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한 쌍의 가이드와, 박리용 공구 본체의 배면측으로서, 한 쌍의 가이드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배면측 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이 박리용 공구가 구비하는 날체는, 축방향용 절단날과는 별개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박리용 공구를, 피복 전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피복 부재의 박리를 행할 때, 원주 방향용 절단날에 의해 피복 부재를 원주 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피복 부재의 박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날체에 있어서, 축방향용 절단날과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날체를 교환함으로써, 축방향용 절단날과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동시에 교환할 수 있고, 날체를 박리용 공구에 장착할 때, 축방향용 절단날과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과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압압축의 이동 거리를 규제 부재에 의해 미리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피복 전선의 심선에 대하여 흠집이 생기는 일 없이, 피복 부재만이 박리되도록, 날체 유지체의 이동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피복 전선의 선 직경에 따라 심선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피복 전선에 대하여 날체를 파고드는 데 필요한 이동 거리(즉, 피복 부재의 두께의 크기에 대응)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그 필요한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규제 부재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압압축에 있어서, 날체 유지체가 장착된 측과는 반대측에, 제1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파지체가 돌출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압압축이 뻗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해 뻗는 암부를 가지고, 암부의 한쪽 끝 측은 박리용 공구 본체와 접속되고, 암부의 다른 쪽 끝 측에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므로, 제1 걸어맞춤부 및 제2 걸어맞춤부를 조작봉(operation rod)의 선단 걸어맞춤부에 당겨 거는 것에 의해, 피복 전선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봉에 의한 원격 조작에 의해, 박리용 공구를 용이하게 1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날체 유지 부재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가지고, 한 쌍의 가이드는, 피복 부재가 박리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박리된 피복 부재를 일정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고, 박리된 피복 부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날체 유지 부재 측의 내면에 절곡부를 가지고, 절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의 각 탈락 방지부의 하단이, 절곡부를 기점으로 하여, 날체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마주하고, 또한 날체 유지 부재의 폭보다 각 탈락 방지부의 하단과의 폭이 좁으므로, 박리된 피복 부재가 탈락 방지부의 하단의 사이에 머물고, 피복 부재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박리용 공구 본체의 배면측으로서, 한 쌍의 가이드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배면측 가이드를 가지므로, 날체가 바로 앞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날체가 피복 전선의 외주(外周)에 있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축방향용 절단날 및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확실하게 피복 부재에 파고들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에 의하면, 한 쌍의 가이드, 즉 우측의 가이드 및 좌측의 가이드와, 박리용 공구 본체의 배면측으로서, 한 쌍의 가이드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배면측 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날체가 바로 앞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날체가 피복 전선의 외주에 있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축방향용 절단날 및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확실하게 피복 부재에 파고들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가이드의 장착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면측 가이드를 별개의 부재로 접속하는 경우보다, 우측 가이드 및 좌측 가이드와, 배면측 가이드와의 접속부의 강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복 부재의 박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고, 또한 날체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박리용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선 A-A에서의 단면 도해도(斷面圖解圖)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b)는, 암 보디(arm body)를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암부의 정면도이며, (b)는 그 좌단면도이며, (c)는 그 우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압압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규제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날체 유지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정면에서 볼 때 우측의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그 우측면도이며, (c)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의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d)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날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피복 전선에 박리용 공구를 장착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피복 전선에 박리용 공구를 장착한 후, 제1 걸어맞춤부를 조작봉에 의해 끌어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1 걸어맞춤부를 회전시켜 압압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날체를 피복 전선에 파고들게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b)는 날체가 피복 전선에 파고들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2 걸어맞춤부에 조작봉의 선단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2 걸어맞춤부를 끌어내린 후, 또한 우측 경사 상방향으로 밀어올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재차, 제1 걸어맞춤부에 조작봉의 선단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1 걸어맞춤부를 조작봉에 의해 끌어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1 걸어맞춤부를 회전시켜 압압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날체를 피복 전선 측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날체가 피복 전선으로부터 피복 부재를 박리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해도(斜視圖解圖)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3의 (a)는 도 20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가이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며, (b)는 도 20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박리용 공구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선 A-A에서의 단면 도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4의 (b)는, 암 보디를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봉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피복 부재에 의해 피복된 피복 전선의 피복 부재를 박리하기 위한 공구이다. 조작봉(S)은, 예를 들면, 절연봉(S1)을 포함하고, 그 절연봉(S1)의 선단에는, 갈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선단 걸어맞춤부(S2)가 설치된다. 또한, 피복 전선(W)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導電) 재료로 형성되는 심선(W1)을 포함하고, 그 심선(W1)을 덮도록 피복 부재(W2)가 설치된다. 이 피복 부재(W2)의 재료는, 통상,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합성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용 공구(10)는, 박리용 공구 본체(12)와, 박리용 공구 본체(12)에 진퇴 이동 가능하게 나사삽입되는 압압축(14)과, 압압축(14)의 진퇴 이동에 따라 진퇴 이동하는 날체 유지체(16)와, 날체 유지체(16)에 유지된 날체(18)를 구비한다.
(a) 박리용 공구 본체
박리용 공구 본체(12)는, 본체부(20)를 포함한다. 본체부(20)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다.
본체부(20)에 있어서, 박리용 공구 본체(12)를 피복 전선(W)에 장착했을 때, 이 피복 전선(W)을 파지하는 측의 면을 정면으로 한다. 본체부(20)는, 박리용 공구 본체(12)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본체부(20)의 한쪽 끝 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본체부(20)의 다른 쪽 단부에 있어서, 본체부(20)로부터 바로 앞쪽(정면측)을 향해 돌출된 파지체(22)가 형성된다. 파지체(22)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파지체(22)의 바로 앞쪽에는, 파지체(22)의 폭 방향으로 뻗는 파지부(22a)가 설치된다. 파지부(22a)의 상면(내측면)에는, 만곡면(22b)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면(22b)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아래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즉, 만곡면(22b)은, 폭 방향으로 뻗는 파지부(22a)를 따라 본체부(20)의 다른 쪽 끝 측을 향해 볼록한 반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파지체(22)의 폭 방향의 길이는, 본체부(20)의 다른 쪽 단부 측에서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파지체(22)의 폭 방향의 길이는, 날체(18)에 의해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를 박리할 때, 안정적으로 피복 전선(W)을 파지할 수 있는 길이가 확보되어 있다.
본체부(20)의 한쪽 단부에 있어서, 파지체(22)의 파지부(22a)에 대향하도록, 본체부(20)로부터 바로 앞쪽을 향해 축지지부(24)가 돌출된다. 축지지부(24)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다. 축지지부(24)는, 파지체(22)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양 주면(主面), 즉 상하로 나누어진 주면을 가진다. 축지지부(24)의 한쪽 주면에서의 대략 중앙에는, 압압축(14)을 나사삽입하기 위한 나사공(24a)이, 축지지부(24)의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에 관통하여 천설(穿設)되어 있다. 나사공(24a)은, 압압축(14)의 축 방향[즉,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뻗는다.
파지체(22)에서의 배면측에는, 암 보디(26)가 설치된다.
암 보디(26)는, 암부 지지부(26a), 암부(26b) 및 제2 걸어맞춤부(26c)를 포함한다.
암부 지지부(26a)는, 파지체(22)가 본체부(20)에 대하여 돌출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압압축(14)이 뻗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암부 지지부(26a)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암부 지지부(26a)의 측면에는, 고정용 구멍(26a1)이 천설되어 있다. 암부 지지부(26a)에는, 암부(26b)가 연장 형성된다.
암부(26b)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 본체부(26b1)와 접속부(26b2)를 포함한다. 암부 본체부(26b1) 및 접속부(26b2)는, 각각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암부 본체부(26b1)의 한쪽 끝 측에 접속부(26b2)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암부 본체부(26b1)의 외경(外徑)은, 접속부(26b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접속부(26b2)에는, 그 중간부에 있어서, 암부 고정용 나사공(26b3)이 천설되어 있다. 암부 고정용 나사공(26b3)는, 압압축(14)의 축 방향 및 암부(26b)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다. 그리고,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는 암부(26b)의 접속부(26b2)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암부 지지부(26a)에 감입(嵌入)된다. 따라서, 접속부(26b2)의 외경은, 암부 지지부(26a)의 내경(內徑)과 대략 동일한 크기이다. 암부(26b)의 접속부(26b2)가, 암부 지지부(26a)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암부 지지부(26a)의 고정용 구멍(26a1)을 관통하고, 그리고, 접속부(26b2)의 암부 고정용 나사공(26b3)에, 고정용 부재(26a2)가 나사삽입되어, 암부 지지부(26a)와 암부(26b)가 고착된다.
암부 본체부(26b1)의 다른 쪽 끝 측의 단면(端面)의 대략 중앙에는, 제2 걸어맞춤부(26c)와 연장하기 위한 걸어맞춤부 연장 형성용 나사공(26b4)이 천설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연장 형성용 나사공(26b4)은, 암부 본체부(26b1)의 다른 쪽 끝 측으로부터 한쪽 끝 측을 향해[즉, 암부(26b)의 축 방향으로] 뻗어 있다.
암부(26b)의 다른 쪽 끝에는 제2 걸어맞춤부(26c)가 연장 형성된다.
제2 걸어맞춤부(26c)는, 링부(26c1), 베이스부(26c2) 및 접속축(26c3)을 포함한다. 링부(26c1)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26c2)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그 한쪽 면 측에 링부(26c1)가 고착된다. 그리고, 베이스부(26c2)의 다른 방면 측의 대략 중앙에, 접속축(26c3)이 형성된다. 접속축(26c3)가, 걸어맞춤부 연장 형성용 나사공(26b4)에 끼워져 삽입되고, 나사장착되어, 제2 걸어맞춤부(26c)와 암부(26b)가 연장 형성된다.
(b) 압압축
압압축(14)은,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압압축(14)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부(28), 피벗(pivot) 장착부(30) 및 접속부(32)를 포함한다. 나사부(28)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나사부(28)의 측면에는, 나선형의 홈에 의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압압축(14)의 나사부(28)가, 축지지부(24)의 나사공(24a)에 나사삽입된다. 그리고, 나사부(28)가 회전함으로써, 압압축(14)은,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상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나사부(28)의 한쪽 끝[파지체(22)에 대향하는 측]에는 피벗 장착부(30)가 설치되고, 다른 쪽 끝에는 접속부(32)가 설치된다.
피벗 장착부(30)는, 압압축(14)에 날체 유지체(16)를 피벗 장착하기 위해 설치된다. 피벗 장착부(30)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에 피벗 장착용 홈(30a)이 형성된다. 그리고, 피벗 장착용 홈(30a)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sandwich)하도록, 제1 지지부(30b) 및 제2 지지부(30c)가 설치된다.
접속부(32)에는, 제1 걸어맞춤부(34)가 고착되어 연장 형성된다. 접속부(32)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접속부(32)에는, 그 중간부에 있어서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32a)이 관통하여 천설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32a)은, 압압축(14)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다.
제1 걸어맞춤부(34)는, 링부(34a)와 베이스부(34b)를 포함한다. 링부(34a)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34b)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34b)의 한쪽 측에는, 링부(34a)가 고착되고, 다른 쪽 측은, 개구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34b)의 측면에는, 고정용 구멍(34b1)이 천설되어 있다. 그리고, 압압축(14)의 접속부(32)는 제1 걸어맞춤부(34)의 베이스부(34b)에 감입된다. 제1 걸어맞춤부(34)는, 압압축(14)의 접속부(32)가 제1 걸어맞춤부(34)의 베이스부(34b)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제1 걸어맞춤부(34)에서의 베이스부(34b)의 고정용 구멍(34b1) 및 접속부(32)의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32a)에 봉형(棒形)의 고정용 부재(34c)가 끼워져 삽입되고, 제1 걸어맞춤부(34)와 압압축(14)의 접속부(32)가 고착된다.
이로써, 제1 걸어맞춤부(34)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걸어맞춤부(34)의 회전과 동시에 나사부(2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걸어맞춤부(34)는, 링형으로 형성되는 링부(34a)를 구비한다. 링부(34a)는, 예를 들면, 조작봉(S)의 갈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어맞추기 위해 설치된다.
(c) 규제 부재
압압축(14)의 나사부(28)에 있어서, 축지지부(24)와 제1 걸어맞춤부(34)와의 사이의 영역에는, 규제 부재(36)가 배치된다. 규제 부재(36)는, 축지지부(24)와 접촉함으로써, 압압축(14)가, 파지체(22)의 배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restrict)하기 위해 설치된다. 규제 부재(36)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넛형으로 형성된다. 규제 부재(36)의 링의 내측면에는 자형(雌形)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압압축(14)의 나사부(28)에 나사삽입된다. 규제 부재(36)에는,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36a)이 천설되어 있다.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36a)은, 그 외측면에서의 4방향으로부터, 즉 각각의 방향이 90°로 간격을 두고, 링 중심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36a)에는, 규제 부재 고정용 부재(36b)가 나사삽입되어 있고, 규제 부재 고정용 부재(36b)를 압압축(14)의 나사부(28)에 접촉시킴으로써, 규제 부재(36)를 나사부(28)의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d) 날체 유지체
날체 유지체(16)는, 날체 유지 부재(38)를 포함한다. 날체 유지 부재(38)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다. 날체 유지 부재(38)는, 축지지부(24)에 대향하는 한쪽 주면(상측의 면)과, 파지체(22)에 대향하는 다른 쪽 주면(하측의 면)을 구비한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상기 양 주면에 대하여 수직인 면이며, 또한 박리용 공구 본체(12)의 본체부(20)에 대향하는 면인 양 측면, 즉 바로 앞쪽의 전면(前面) 및 향하는 측의 후면을 가진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양 주면 및 양 측면에 대하여 수직인 면이며, 또한 본체부(20)에 대하여 수직인 면인 양 단면, 즉 우측의 면 및 좌측의 면을 가진다.
날체 유지 부재(38)의 폭 방향[즉, 날체 유지 부재(38)의 양 단면을 연결하는 방향]의 길이는, 파지체(22)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날체 유지 부재(38)는, 그 전면의 하부측에 날체 장착부(38a)가 형성된다. 날체 장착부(38a)에는, 날체(18)를 장착하기 위해, 날체 유지 부재(38)의 한쪽 측 면(전면)의 중간부로부터 다른 쪽 주면 측(하단 측)의 범위에 날체 장착면(38a1)이 설치된다. 이 날체 장착부(38a)에서의 날체 장착면(38a1)은, 날체 유지 부재(38)의 한쪽 측 면(전면)으로부터 다른 쪽 측 면(후면)을 향하여, 날체(18)의 두께의 크기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두께만큼 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의 한쪽 주면(상면)의 대략 중앙에는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이 형성된다.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은,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뻗는다.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의 깊이는, 압압축(14)의 피벗 장착부(30)에서의 그 축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의 내경은, 피벗 장착부(3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의 한쪽 측 면(전면)의 상부 측에 있어서,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8d)이 천설되어 있다.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8d)은, 날체 유지 부재(38)의 전면(바로 앞쪽)으로부터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을 향해 관통하여 뻗어 있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의 다른 쪽 측 면(후면)의 상부 측에 있어서,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8e)이 천설되어 있다.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8e)은, 날체 유지 부재(38)의 배면(향하는 측)으로부터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을 향해 관통하여 뻗어 있다.
그리고, 이탈 방지 부재(46)가,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8d) 및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8e)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나사삽입된다. 이탈 방지 부재(46)는,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d) 및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8e)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이탈 방지 부재(46)의 선단이, 피벗 장착용 홈(30a)의 바닥면에 맞닿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의 양 단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이 천설되어 있다.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은, 예를 들면, 각각의 단면에 있어서 3개소씩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은, 각각의 단면으로부터,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을 향해 뻗는다.
압압축(14)이 날체 유지체(16)에 피벗 장착될 때, 압압축(14)의 피벗 장착부(30)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38c)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d) 및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36e)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 피벗 장착부(30)의 피벗 장착용 홈(30a)에 이탈 방지 부재(46)가 돌입(突入; penetrate)되어 있고, 각각의 이탈 방지 부재(46)는, 피벗 장착부(30)의 제1 지지부(30b)와 제2 지지부(30c)에 의해 협지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압압축(14)의 피벗 장착부(30)는, 날체 유지 부재(3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e) 날체
날체(18)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날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의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높이 방향은, 날체(18)가 날체 유지 부재(38)에 장착되었을 때, 장착될 때의 상단(上端) 에지와 그에 상대하는 하단 에지를 연결하는 방향이다. 또한, 폭 방향은, 높이 방향으로 직교하고, 또한 날체(18)의 좌측단 에지와 그에 상대하는 우측단 에지를 연결하는 방향이다. 또한, 두께 방향은, 높이 방향과 폭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고,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와 나사결합되는 방향이다.
날체(18)는,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을 포함한다.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축방향용 절단날(18a)을 그 사이에 개재하여, 정면에서 볼 때 우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과,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로 나누어져 있다. 날체(18)의 폭 방향의 길이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폭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날체(18)의 한쪽 끝 변(상변) 측은, 날체(18)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날체 유지 부재(38)의 날체 장착부(38a)에 장착된다. 날체(18)의 다른 쪽 끝 변(하변) 측에는,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가 형성되어 있다.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축방향용 절단날(18a)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한 쌍의 날이 박리용 공구 본체(12)의 파지부(22a)에 파지된 피복 전선(W)을 향해 뻗고, 축방향용 절단날(18a)보다 피복 전선(W)을 향해 선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의 뻗는 방향이, 축방향용 절단날(18a)의 뻗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날체(18)에 있어서,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이 일체로 형성된다.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박리용 공구 본체(12)의 파지부(22a)에 파지된 피복 전선(W)을 향함에 따라서, 또한 날이 하단을 향함에 따라 날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가늘어지고 있다. 즉, 날의 정면측과 배면측과의 길이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짧아지는 테이퍼형이다. 또한,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피복 전선(W)의 축 방향을 따라 피복 부재(W2)에 파고들고, 그 후 절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날체 유지 부재(38)에, 박리용 공구 본체(12)에 파지된 피복 전선(W)에 대하여, 날의 뻗는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장착되고, 날체(18)가 날체 유지 부재(38)에 장착되었을 때,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날체 유지 부재(38)의 다른 쪽 주면(하면)으로부터 박리용 공구 본체(12)에 파지된 피복 전선(W)을 향해 돌출된다. 그리고,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외날(片刀)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축방향용 절단날(18a)을 그 사이에 개재하여, 정면에서 볼 때 우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과,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로 나누어져 있다. 우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은, 평행하게 뻗어 있어도 된다. 우측단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단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은, 대략 동일 형상이다.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은, 선단부(18b1)와 지지부(18b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은, 선단부(18c1)와 지지부(18c2)를 가지고 있다. 선단부(18b1)와 (18c1)는, 축방향용 절단날(18a)의 하단 에지인 날끝보다 돌출한 부분이다.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의 지지부(18b2) 및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의 지지부(18c2)에 있어서, 축방향용 절단날(18a)과 연속되고,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우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은, 박리용 공구 본체(12)의 파지부(22a)에 파지된 피복 전선(W)을 향해 뻗고, 축방향용 절단날(18a)보다 피복 전선(W)을 향하여, 우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의 선단부(18b1) 및 좌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의 선단부(18c1)는, 피복 부재(W2)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길게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우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은,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과,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의 뻗는 방향이 축방향용 절단날(18a)의 뻗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우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의 선단부(18b1)와, 좌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의 선단부(18c1)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V자형의 앞이 뾰족한 칼끝이며, 측면에서 볼 때 대략 U자형(넘어진 コ자형)으로 전방측의 각부(角部)와 후방측의 각부가, 앞이 뾰족한 칼끝으로 되어 있고, 날끝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에 걸쳐 연속하는 직선형이다. 또한, 우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은, 피복 전선(W)의 원주 방향을 따라 피복 부재(W2)에 동시에 파고들고, 그 후 절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의 지지부(18b2) 및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의 지지부(18c2)는, 축방향용 절단날(18a)의 날끝에 대향하는 호(鎬)(18g)로부터 우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의 선단부(18b1) 및 좌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의 선단부(18c2)에 걸쳐 형성되고, 두께는 날체 지지부(18f)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같은 길이이다.
우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c)은,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를 피복하는 범위, 즉 피복 전선(W)의 축 방향에서의 길이를 규정한다. 그리고,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양 날인 것이 바람직하다.
날체(18)의 한쪽 끝 변(상변) 측에는, 날체 장착공(18d)이 형성되어 있다. 날체 장착공(18d)에는, 날체 유지 부재(38)에 날체(18)를 장착할 때, 날체 장착용 부재(18e)가 관통되고, 날체 유지 부재(38)의 날체 장착용 구멍(38b)에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날체(18)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날체 장착부(38a)에 장착된다. 날체 장착공(18d)은, 날체 장착용 부재(18e)를 나사삽입했을 때, 날체 장착용 부재(18e)가 돌출되지 않도록, 보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체 지지부(18f)는,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와 접속하여, 날체 장착공(18d)을 지지한다.
(f) 가이드
가이드(40) 및 가이드(42)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정면에서 볼 때 우측의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의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9의 (c)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의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의 (d)는 그 우측면도이다.
한 쌍의 가이드는, 피복 부재가 박리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박리된 피복 부재를 일정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고, 박리된 피복 부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가이드(40)와 가이드(42)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40)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우단면에 장착된다. 가이드(40)는, 가이드 본체부(40a)를 포함한다. 가이드 본체부(40a)에는, 가이드 장착용 구멍(40a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장착용 구멍(40a1)에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우단면에 가이드(40)를 장착할 때, 가이드 장착 부재(40a2)가 관통되고, 날체 유지 부재(38)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에 나사결합된다. 가이드 본체부(40a)의 하단 측에는, 가압부(40a3)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본체부(40a)의 전부(前部)에 있어서, 절곡부(40a4)를 기점으로 하여 날체(18)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 내측에 탈락 방지부(40b)가 전방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본체부(40a)의 후부(後部)에 있어서, 배면측 가이드 지지부(40c)가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42)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좌단면에 장착된다. 가이드(42)는, 가이드 본체부(42a)를 포함한다. 가이드 본체부(42a)에는, 가이드 장착용 구멍(42a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장착용 구멍(42a1)에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좌단면에 가이드(42)를 장착할 때, 가이드 장착 부재(42a2)가 관통되고, 날체 유지 부재(38)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에 나사결합된다. 가이드 본체부(42a)의 하단 측에는, 가압부(42a3)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본체부(42a)의 전부에 있어서, 절곡부(42a4)를 기점으로 하여 날체(18)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 내측에 탈락 방지부(42b)가 전방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본체부(42a)의 후부에 있어서, 배면측 가이드 지지부(42c)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부(40a4) 및 (42a4)에는, 절곡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가이드(40)의 탈락 방지부(40b) 및 가이드(42)의 탈락 방지부(42b)가, 전방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므로,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를 박리하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40)의 탈락 방지부(40b) 및 가이드(42)의 탈락 방지부(42b)가, 전방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므로, 박리한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를 일정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40)의 탈락 방지부(40b) 및 가이드(42)의 탈락 방지부(42b)가, 각각 절곡부(40a4) 및 (42a4)로부터 탈락 방지부(40b) 및 (42b)의 하단까지 날체(18)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마주함으로써, 날체 유지 부재(38)의 폭보다 탈락 방지부(40b)의 하단과 탈락 방지부(42b)의 하단과의 폭 쪽이 좁으므로, 박리된 피복 부재가 탈락 방지부(40b)의 하단과 탈락 방지부(42b)의 하단과의 사이에 머물고, 피복 부재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보면, 날체(18)가 가이드(40)의 탈락 방지부(40b) 및 가이드(42)의 탈락 방지부(42b)보다 박리용 공구 본체(12) 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를 날체(18)에 의해 박리시킬 때, 가이드(40)와 가이드(42)보다 먼저 한 쌍의 원주 방향 절단날(18b), (18c)을 피복 부재(W2)에 파고들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본체부(40a)의 하단 에지는, 수평 상태 가압부(40a3) 측의 하단 에지와, 상기 하단 에지보다 일단(一段) 상승하여 배면측 가이드 지지부(40c) 측의 수평 상태 하단 에지가 연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가이드 본체부(42a)의 하단 에지는, 수평 상태 가압부(42a3) 측의 하단 에지와, 상기 하단 에지보다 일단 상승하여 배면측 가이드 지지부(42c) 측의 수평 상태 하단 에지가 연속되어 있다.
가이드(40)의 배면측 가이드 지지부(40c)와 가이드(42)의 배면측 가이드 지지부(42c)와의 사이에는, 배면측 가이드(44)가 가설되어 있다. 배면측 가이드(44)는, 본체부(20)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별개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박리용 공구(10)를 피복 전선(W)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피복 부재(W2)의 박리를 행할 때,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에 의해 피복 부재(W2)를 원주 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피복 부재(W2)의 박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날체(18)의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날체 장착용 부재(18e)를 분리해내는(detach) 것만으로, 날체 유지체(16)로부터 날체(18)를 분리해낼 수 있다. 피복 부재(W2)를 박리하기 위해 필요한 날을 모두 교환할 수 있으므로, 날체(18)를 재차, 날체 유지체(16)에 장착하기 위한 조정이 용이하므로, 박리용 공구(10)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규제 부재(36)가 있으므로, 피복 전선(W)의 직경에 따라 작업 전에 규제 부재(36)에 의해 압압축(14)의 진퇴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배치시켜 둠으로써, 심선(W1)에 대하여 흠집이 생기는 일 없이, 피복 부재(W2)만이 박리되도록, 날체 유지체(16)의 이동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피복 전선(W)의 선 직경에 따라 심선(W1)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피복 전선(W)에 대하여 날체를 파고드는 데 필요한 이동 거리(즉, 피복 부재의 두께의 크기에 대응)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그 필요한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나사부(28)에서의 규제 부재(36)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본체부(20)에 있어서, 파지체(22)가 돌출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압압축(14)이 뻗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해 뻗는 암부(26b)를 가지고, 암부(26b)의 한쪽 끝 측은 암부 지지부(26a)를 통해 본체부(20)와 접속되고, 암부(26b)의 다른 쪽 끝 측에는 제2 걸어맞춤부(26c)를 가지므로, 제1 걸어맞춤부(34) 및 암 보디(26)의 제2 걸어맞춤부(26c)를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에 당겨 거는 것에 의해, 조작봉(S)에 의한 원격 조작에 의해, 피복 전선(W)을 중심으로 하여 박리용 공구(10)를 용이하게 1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날체 유지 부재(38)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40) 및 가이드(42)를 가지고, 한 쌍의 가이드(40) 및 가이드(42)는, 피복 부재(W2)의 박리하는 위치를 결정하고, 박리된 피복 부재(W2)를 일정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고, 박리된 피복 부재(W2)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날체 유지 부재(38) 측의 내면에 절곡부(40a4), (42a4)를 가지고, 절곡부(40a4), (42a4)를 기점으로 하여, 절곡부(40a4), (42a4)의 외측의 탈락 방지부(40b), (42b)를 날체(18)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마주하고, 또한 날체 유지 부재(38)의 폭보다 탈락 방지부(40b), (42b)의 하단의 사이의 폭 쪽이 좁으므로, 박리된 피복 부재(W2)가 탈락 방지부(40b), (42b)의 하단의 사이에 머물고, 피복 부재(W2)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배면측 가이드(44)를 구비함으로써, 날체(18)가 피복 전선(W)으로부터 피복 부재(W2)를 박리할 때, 날체(18)가, 바로 앞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날체(18)가 피복 전선의 외주에 있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가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에 확실하게 파고들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2. 박리용 공구의 조작 수순
다음에,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용 공구를 피복 전선(W)에 장착하고, 박리용 공구를 사용하여, 피복 전선(W)으로부터 피복 부재(W2)를 원격으로 박리하는, 박리용 공구의 조작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8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박리용 공구에 의해 피복 전선으로부터 피복 부재를 박리하기 위한 조작 수순을 나타낸다.
(1) 먼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1 걸어맞춤부(34)의 링부(34a)에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당겨 걸어, 조작봉(S)과 박리용 공구(10)를 현수(懸垂)한다. 그리고, 조작봉(S)에 의해 현수된 박리용 공구(10)에서의 파지부(22a)의 만곡면(22b)과 가이드(40, 42)와의 사이에 피복 전선(W)의 일부분을 사이에 두도록 하고, 피복 전선(W)에 박리용 공구(10)를 장착한다.
(2) 다음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전선(W)을 중심으로 하여,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1 걸어맞춤부(34)의 링부(34a)를 조작봉(S)으로 끌어내리고, 피복 전선(W)에 박리용 공구(10)를 현수 지지시킨다.
(3) 이어서,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제1 걸어맞춤부(34)에 당겨 건 상태에서 제1 걸어맞춤부(34)를 압압축(14)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압압축(14)을 축 회전시키고, 이로써, 날체 유지체(16)를 피복 전선(W)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압압축(14)은, 압압축(14)의 나사부(28)에서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는 규제 부재(36)가 축지지부(24)와 맞닿기까지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체(18)의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가,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에만 파고든다.
(4) 다음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2 걸어맞춤부(26c)의 링부(26c1)로 바꾸어,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어맞춘다.
(5) 이어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2 걸어맞춤부(26c)의 링부(26c1)를, 피복 전선(W)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봉(S)으로 끌어내리고, 또한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2 걸어맞춤부(26c)에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어맞춘 채, 우측 경사 상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이 단계에서, 박리용 공구(10)는, 피복 전선(W)을 축 중심으로 약 240°정도, 회전하고 있다.
(6) 다음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1 걸어맞춤부(34)의 링부(34a)로 바꾸어,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어맞춘다.
(7) 이어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박리용 공구(10)에서의 제1 걸어맞춤부(34)의 링부(34a)에 걸어맞춘 채, 피복 전선(W)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제1 걸어맞춤부(34)의 링부(34a)를 조작봉(S)으로 끌어내린다. 이 때, 또한 박리용 공구(10)는, 피복 전선(W)의 축 중심으로 약 120°정도 회전한다. 결과, 박리용 공구(10)는, 피복 전선(W)의 축 중심으로, 약 360°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피복 부재(W2)는, 피복 전선(W)으로부터 전체 주위에 걸쳐 박리된다.
(8)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봉(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제1 걸어맞춤부(34)에 당겨 건 상태에서 제1 걸어맞춤부(34)를 압압축(14)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압압축(14)을 축 회전시키고, 이로써, 날체 유지체(16)를 피복 전선(W) 측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피복 전선(W)으로부터 박리용 공구(10)를 제외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피복 전선(W)을 중심으로 하여 박리용 공구(10)를 1회전시킬 수 있다. 도 19는, 날체가 피복 전선으로부터 피복 부재를 박리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용 공구(10)가 1회전함으로써, 피복 부재(W2)는 피복 전선(W)으로부터 박리된다. 피복 부재(W2)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체(18)에 의해, 피복 부재가 피복 전선으로부터 박리된다.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체(18)를 피복 전선(W)의 피복 부재(W2)에 파고들게 하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 부재(W2)에는, 날체(18)의 축방향용 절단날(18a)에 의해 피복 부재(W2)의 축 방향의 절단선 L1이 형성되고, 박리용 공구(10)를, 피복 전선(W)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에 의해 피복 부재(W2)의 원주 방향의 절단선 L2이 형성된다.
3. 변형예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3의 (a)는, 도 20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가이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23의 (b)는, 도 20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 관한 박리용 공구(10A)는, 전술한 박리용 공구(10)와 비교하여, 좌우의 가이드와 배면측 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박리용 공구(10A)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이드(80)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박리용 공구(10)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마찬가지로 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가이드(80)는, 우측 가이드(82)와, 좌측 가이드(84)와, 본체부(20)의 배면측으로서, 우측 가이드(82)와 좌측 가이드(84)와의 사이에 접속된 배면측 가이드(86)를 포함한다. 가이드(80)는, 우측 가이드(82)와 배면측 가이드(86), 좌측 가이드(84)와 배면측 가이드(86)가, 각각 접속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대략 コ자형을 하고 있다.
우측 가이드(82)는, 가이드 본체부(82a)를 포함한다. 가이드 본체부(82a)에는, 가이드 장착용 구멍(82a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장착용 구멍(82a1)은, 날체 유지 부재(38)의 우단면에 가이드(80)를 장착할 때, 가이드 장착 부재(82a2)가 관통되고, 날체 유지 부재(38)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가이드 본체부(82a)의 전부에 있어서, 절곡부(82a3)를 기점으로 하여, 날체(18)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 내측에, 탈락 방지부(82b)가 전방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좌측 가이드(84)는, 가이드 본체부(84a)를 포함한다. 가이드 본체부(84a)에는, 가이드 장착용 구멍(84a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장착용 구멍(84a1)은, 날체 유지 부재(38)의 좌단면에 가이드(80)를 장착할 때, 가이드 장착 부재(84a2)가 관통되고, 날체 유지 부재(38)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8f)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가이드 본체부(84a)의 전부에 있어서, 절곡부(84a3)를 기점으로 하여, 날체(18)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 내측에, 탈락 방지부(84b)가 전방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부(82a3) 및 (84a3)에는, 절곡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가이드(8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날체(18)가 피복 전선(W)으로부터 피복 부재(W2)를 박리할 때, 날체(18)가, 바로 앞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날체(18)가 피복 전선(W)의 외주에 있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18b), (18c)을, 확실하게 피복 부재(W2)에 파고들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8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가이드의 장착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면측 가이드(86)를 별개의 부재로 접속하는 경우보다, 우측 가이드(82) 및 좌측 가이드(84)와, 배면측 가이드(86)와의 접속부의 강도가 증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기재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으로 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메카니즘, 형상, 재질, 수량, 위치 또는 배치 등에 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압압축이, 박리용 공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게 나사삽입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압축은, 박리용 공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면, 어떻게 박리용 공구 본체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규제 부재가 압압축에 나사삽입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규제 부재가 나사삽입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본체부의 배면측에 암 보디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배면측 가이드가 본체부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배면측 가이드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박리용 공구는, 예를 들면, 조작봉에 의한 원격 조작에 의해, 피복 부재에 의해 피복된 전선으로부터 피복 부재를 박리하는 데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10A: 박리용 공구
12: 박리용 공구 본체
14: 압압축
16: 날체 유지체
18: 날체
18a: 축방향용 절단날
18b: 우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
18b1: 선단부
18b2: 지지부
18c: 좌측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
18c1: 선단부
18c2: 지지부
18d: 날체 장착공
18e: 날체 장착용 부재
18f: 날체 지지부
18g: 호
20: 본체부
22: 파지체
22a: 파지부
22b: 만곡면
24: 축지지부
24a: 나사공
26: 암 보디
26a: 암부 지지부
26a1: 고정용 구멍
26a2: 고정용 부재
26b: 암부
26b1: 암부 본체부
26b2: 접속부
26b3: 암부 고정용 나사공
26b4: 걸어맞춤부 연장 형성용 나사공
26c: 제2 걸어맞춤부
26c1: 링부
26c2: 베이스부
26c3: 접속축
28: 나사부
30: 피벗 장착부
30a: 피벗 장착용 홈
30b: 제1 지지부
30c: 제2 지지부
32: 접속부
32a: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
34: 제1 걸어맞춤부
34a: 링부
34b: 베이스부
34b1: 고정용 구멍
34c: 고정용 부재
36: 규제 부재
36a: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
36b: 규제 부재 고정용 부재
38: 날체 유지 부재
38a: 날체 장착부
38a1: 날체 장착면
38b: 날체 장착용 구멍
38c: 압압축 피벗 장착용 구멍
38d: 제1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
38e: 제2 이탈 방지 부재 삽입용 구멍
38f: 가이드 장착용 구멍
40, 42: 가이드
40a, 42a: 가이드 본체부
40a1, 42a1: 가이드 장착용 구멍
40a2, 42a2: 가이드 장착용 부재
40a3, 42a3: 가압부
40a4, 42a4: 절곡부
40b, 42b: 탈락 방지부
40c, 42c: 배면측 가이드 지지부
44: 배면측 가이드
46: 이탈 방지 부재
80: 가이드
82: 우측 가이드
84: 좌측 가이드
82a, 84a: 가이드 본체
82a1, 84a1: 가이드 장착공
82a2, 84a2: 가이드 장착용 부재
82a3, 84a3: 절곡부
82b, 84b: 탈락 방지부
86: 배면측 가이드
W: 피복 전선
W1: 심선
W2: 피복 부재
S: 조작봉
S1: 절연봉
S2: 선단 걸어맞춤부
L1: 축 방향의 절단선
L2: 원주 방향의 절단선

Claims (7)

  1. 피복 부재에 의해 전선을 피복한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 부재를 박리(剝離)하기 위한 박리용 공구(stripping tool)로서,
    상기 박리용 공구는,
    상기 피복 전선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把持部; gripping part)를 구비하는 파지체를 설치한 박리용 공구 본체;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를 향해 진퇴(進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압축(押壓軸; pressing shaft);
    상기 압압축과 상기 파지체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압압축의 진퇴 이동에 따라 상기 파지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날체(blade body)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날체 유지체; 및
    상기 날체 유지 부재에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피복 전선과 평행하게 유지된 날체;
    를 포함하고,
    상기 날체는,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함에 따라 날이 두께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피복 전선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피복 부재에 파고들고(biting into), 그 후 박리하기 위한 축방향용 절단날; 및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한 쌍의 날이,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해 뻗고,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의 하단 에지보다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해 선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피복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피복 부재에 동시에 파고들고, 절단하기 위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은, 상기 원주 방향용 절단날의 날이 뻗는 방향이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의 뻗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함에 따라 날이 폭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과 상기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체 유지 부재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상기 피복 부재가 박리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박리된 상기 피복 부재를 일정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고, 박리된 상기 피복 부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날체 유지 부재 측의 내면에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각 탈락 방지부의 하단(下端)이, 상기 절곡부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상기 날체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마주하고, 또한 상기 날체 유지 부재의 폭보다 상기 각 탈락 방지부의 하단과의 폭이 좁은,
    박리용 공구.
  2. 피복 부재에 의해 전선을 피복한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 부재를 박리(剝離)하기 위한 박리용 공구(stripping tool)로서,
    상기 박리용 공구는,
    상기 피복 전선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把持部; gripping part)를 구비하는 파지체를 설치한 박리용 공구 본체;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를 향해 진퇴(進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압축(押壓軸; pressing shaft);
    상기 압압축과 상기 파지체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압압축의 진퇴 이동에 따라 상기 파지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날체(blade body)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날체 유지체; 및
    상기 날체 유지 부재에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피복 전선과 평행하게 유지된 날체;
    를 포함하고,
    상기 날체는,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함에 따라 날이 두께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피복 전선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피복 부재에 파고들고(biting into), 그 후 박리하기 위한 축방향용 절단날; 및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한 쌍의 날이,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해 뻗고,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의 하단 에지보다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해 선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피복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피복 부재에 동시에 파고들고, 절단하기 위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은, 상기 원주 방향용 절단날의 날이 뻗는 방향이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의 뻗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함에 따라 날이 폭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과 상기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체 유지 부재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상기 피복 부재가 박리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박리된 상기 피복 부재를 일정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고, 박리된 상기 피복 부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날체 유지 부재 측의 내면에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각 탈락 방지부의 하단이, 상기 절곡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날체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마주하고, 또한 상기 날체 유지 부재의 폭보다 상기 각 탈락 방지부의 하단과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의 배면측으로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배면측 가이드를 구비하는,
    박리용 공구.
  3. 피복 부재에 의해 전선을 피복한 피복 전선의 상기 피복 부재를 박리(剝離)하기 위한 박리용 공구(stripping tool)로서,
    상기 박리용 공구는,
    상기 피복 전선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把持部; gripping part)를 구비하는 파지체를 설치한 박리용 공구 본체;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를 향해 진퇴(進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압축(押壓軸; pressing shaft);
    상기 압압축과 상기 파지체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압압축의 진퇴 이동에 따라 상기 파지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날체(blade body)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날체 유지체; 및
    상기 날체 유지 부재에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피복 전선과 평행하게 유지된 날체;
    를 포함하고,
    상기 날체는,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함에 따라 날이 두께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피복 전선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피복 부재에 파고들고(biting into), 그 후 박리하기 위한 축방향용 절단날; 및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한 쌍의 날이,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의 상기 파지부에 파지된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해 뻗고,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의 하단 에지보다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해 선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피복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피복 부재에 동시에 파고들고, 절단하기 위한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은, 상기 원주 방향용 절단날의 날이 뻗는 방향이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의 뻗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피복 전선을 향함에 따라 날이 폭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용 절단날과 상기 한 쌍의 원주 방향용 절단날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체 유지 부재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상기 피복 부재가 박리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박리된 상기 피복 부재를 일정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고, 박리된 상기 피복 부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날체 유지 부재 측의 내면에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각 탈락 방지부의 하단이, 상기 절곡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날체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마주하고, 또한 상기 날체 유지 부재의 폭보다 상기 각 탈락 방지부의 하단과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와,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의 배면측으로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는 상기 배면측 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박리용 공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축은, 상기 압압축의 진퇴 이동을 규제(restriction)하기 위한 규제 부재를 구비하는, 박리용 공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축에 있어서, 상기 날체 유지체가 장착된 측과는 반대측에, 제1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가 돌출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상기 압압축이 뻗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향해 뻗는 암부(arm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암부의 한쪽 끝 측은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와 접속되고, 상기 암부의 다른 쪽 끝 측에는 제2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박리용 공구.
  6. 삭제
  7. 삭제
KR1020207001876A 2017-07-20 2018-07-19 박리용 공구 KR102354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1316 2017-07-20
JP2017141316 2017-07-20
PCT/JP2018/027034 WO2019017419A1 (ja) 2017-07-20 2018-07-19 剥離用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865A KR20200020865A (ko) 2020-02-26
KR102354242B1 true KR102354242B1 (ko) 2022-01-20

Family

ID=6501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876A KR102354242B1 (ko) 2017-07-20 2018-07-19 박리용 공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6764029B2 (ko)
KR (1) KR102354242B1 (ko)
CN (1) CN111095706B (ko)
WO (1) WO20190174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8887B2 (ja) * 2019-08-29 2022-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ケーブルの被覆除去方法およびケーブルの被覆除去装置
CN112331421B (zh) * 2020-10-29 2022-05-20 菏泽市牡丹区暄晫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耐酸铝合金电缆废料抽芯设备
KR102447946B1 (ko) 2021-08-19 2022-09-27 (주)소민전자 전선피복 박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5508A (ja) * 2011-02-04 2012-08-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被覆剥取器
JP2016123156A (ja) * 2014-12-24 2016-07-07 中国電力株式会社 電線被覆剥ぎ取り工具
JP2017099169A (ja) * 2015-11-25 2017-06-01 中国電力株式会社 電線被覆剥取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432A (ja) 1993-03-04 1994-09-16 Nagaki Seiki:Kk 電線被覆剥離用工具および電線被覆の遠隔剥離方法
JP4375628B1 (ja) * 2009-06-29 2009-12-02 大川三基株式会社 電線皮剥き装置
JP5534727B2 (ja) * 2009-07-15 2014-07-02 三桜工業株式会社 樹脂被覆金属管の金属管露出方法
GB2545883A (en) * 2015-11-04 2017-07-05 Hellermann Tyton Ltd A cable stripping tool for electrical cables
WO2017163398A1 (ja) * 2016-03-25 2017-09-28 株式会社永木精機 剥離用工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5508A (ja) * 2011-02-04 2012-08-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被覆剥取器
JP2016123156A (ja) * 2014-12-24 2016-07-07 中国電力株式会社 電線被覆剥ぎ取り工具
JP2017099169A (ja) * 2015-11-25 2017-06-01 中国電力株式会社 電線被覆剥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95706A (zh) 2020-05-01
JP2021007293A (ja) 2021-01-21
JPWO2019017419A1 (ja) 2020-01-23
JP6764029B2 (ja) 2020-09-30
JP6934995B2 (ja) 2021-09-15
WO2019017419A1 (ja) 2019-01-24
CN111095706B (zh) 2021-07-09
KR20200020865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242B1 (ko) 박리용 공구
JP6471115B2 (ja) 剥離用工具
KR101652663B1 (ko) 지중케이블용 수동 피박기 및 그 피박기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피박공법
KR101963635B1 (ko)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US9472927B2 (en) Wire stripping and cutting tool
KR101804271B1 (ko) 케이블 피복층 제거 장치
KR20190020080A (ko) 피복선 피박기
KR20220030158A (ko) 박리용 공구
US4953428A (en) Tool for stripping cables, in particular constituted cables
KR200452089Y1 (ko) 충실형 케이블 피복 탈피기
JP5002247B2 (ja) 皮剥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被覆電線の皮剥ぎ工法
CN209896593U (zh) 一种简易剥线器
WO2022050240A1 (ja) 剥離用工具
CN220797655U (zh) 剥离用工具
KR100290032B1 (ko) 광케이블외피탈피기
CN216564308U (zh) 一种电缆破皮装置
JP7397829B2 (ja) 剥離用工具
JPWO2022050240A5 (ko)
JP5964342B2 (ja) 電線防護管
JP5946851B2 (ja) 被覆脱落防止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線被覆剥取工具
CN209233333U (zh) 一种电力电缆外皮切剥装置
CN216530261U (zh) 一种电缆金属护套剥离器
US20220320838A1 (en) Cable stripping tool
CN221328478U (zh) 一种线缆保护套剥离装置
US3010205A (en) Stripping tools for electric c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