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158A - 박리용 공구 - Google Patents

박리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158A
KR20220030158A KR1020210097136A KR20210097136A KR20220030158A KR 20220030158 A KR20220030158 A KR 20220030158A KR 1020210097136 A KR1020210097136 A KR 1020210097136A KR 20210097136 A KR20210097136 A KR 20210097136A KR 20220030158 A KR20220030158 A KR 20220030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vering
wire
hold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쓰로 다케다
모토노리 구도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5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cl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7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Landscapes

  • Knives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대의 박리용 공구로 다종류의 피복선에 대응할 수 있는, 박리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하면,
박리용 공구는, 박리용 공구 본체(12)와, 피복선(W)을 향하여 진퇴 이동하는 날체 유지체(16)와, 날체 유지체에 유지된 날체(18)와, 피복선 유지체(100)를 포함하고,
박리용 공구 본체(12)의 본체부(20)의 한쪽 단부에 있어서, 본체부(20)로부터 바로 앞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피복선 유지체(100)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파지체(22)를 포함하고,
날체(18)는, 피복선(W)의 일면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날체(18)의 선단과 파지체(22)의 피복선 유지체(100)의 장착부 사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고,
피복선 유지체(100)는, 굵기가 상이한 피복선에 대응한 피복선 유지체를, 상기 개방 공간에 있어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박리용 공구{STRIPPING TOOL}
본 발명은, 피복선의 피복부를 박리(剝離)하기 위한 박리용 공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 들면, 피복선의 피복부를 심선(芯線)으로부터 박리하기에 적합한 박리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가공(架空) 배전선(配電線)은, 꼰 도전선(導電線), 알루미늄 전선이나 굵은 단선(單線)으로 이루어지는 구리전선(심선)을 수지나 고무 등의 절연체인 피복을 그 둘레에 피복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 피복선의 보수공사에 있어서, 가설(架設)된 피복선의 피복부를 박리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박리공구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6471115호 공보
그러나, 가설전선은, 지역이나 지방에 따라, 상이한 종류, 특히 그 굵기가 상이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이나 지방에 따라, 가설된 전선에 대응한 박리용 공구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재해의 복구 등에 있어서는, 한번에 다수의 박리용 공구를 필요로 하지만, 다른 지역이나 지방에 대응하는 박리용 공구에서는 그 종류가 상이하므로, 재해의 복구 현장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지역이나 지방 전반에 이용할 수 있는 박리용 공구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1대의 박리용 공구로 다종류의 피복선에 대응할 수 있는, 박리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용 공구는, 박리용 공구 본체와, 피복선을 향하여 진퇴(進退) 이동하는 날체(blade body) 유지체와, 날체 유지체에 유지된 날체와, 피복선 유지체를 포함하고,
박리용 공구 본체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한쪽 단부(端部)에 있어서, 본체부로부터 바로 앞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며, 피복선 유지체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파지체(把持體)를 포함하고,
날체는, 피복선의 일면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날체의 선단(先端)과 파지체의 피복선 유지체의 장착부 사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고,
피복선 유지체는, 굵기가 상이한 피복선에 대응한 피복선 유지체를, 상기 개방 공간에 있어서, 장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용 공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1대의 박리용 공구에 의해, 복수 종류의 피복선의 박리를할 수 있는 박리용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박리용 공구를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좌측면도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박리용 공구를 일례를 나타낸 배면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 종단면도해도이며, (A)는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피복선 유지체 탈착 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복선 유지체를 나타낸 도해도이며, (A)는 측면도해도이며, (B)는 정면도해도이며, (C)는 바닥면도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복선 유지체를 나타낸 사시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피복선 유지체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정면도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측면도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피복선 유지체를 나타낸 도해도이며, (A)는 측면도해도이며, (B)는 평면도해도이며, (C)는 바닥면도해도이며, (D)는 조립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피복선 유지체를 나타낸 사시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피복선 유지체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정면도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측면도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복선 유지체를 나타낸 도해도이며, (A)는 측면도해도이며, (B)는 정면도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피복선 유지체를 나타낸 사시도해도이다.
도 11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날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그 평면도이며, (C)는 그 측면도이다.
도 12a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정면에서 볼 때 우측의 날 가이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B)는 그 정면도이며, (C)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의 날 가이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D)는 그 정면도이다.
도 12b의 (A)는, 도 12a에 나타낸 날 가이드의 변형예의 정면에서 볼 때 우측의 날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그 측면도이며, (C)는, 도 12a에 나타낸 날 가이드의 변형예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의 날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D)는 그 측면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날체 유지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해도이며, (B)는 그 측면도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용 공구의 일례의 박리용 공구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해도이다.
도 15는 박리용 공구 본체에 피복선 유지체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해도이다.
도 16은 박리용 공구 본체에 피복선 유지체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해도이다.
도 17은 박리용 공구 본체에 피복선 유지체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해도이다.
도 18은 피복선의 피복부를 벗겨내는 상태를 나타낸 도해도이다.
도 19는 피복선의 피복부를 벗겨내는 상태를 나타낸 도해도이다.
도 20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피복선에 박리용 공구를 장착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0b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피복선에 날체를 파고들게 할 수 있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피복선에 박리용 공구를 장착한 후, 피복선으로부터 피복부를 박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2는 피복선 유지체에 의해 날개형의 피복선을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도해도다.
도 23은 날체 커버를 나타낸 도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측(위) 및 하측(아래)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0) 위에 형성된 파지체(22)의 측을 「상측(위)」라고 하고, 날체(18) 아래에 형성된 압압축(押壓軸)(14) 측을 「하측(아래)」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정면 측을, 앞, 앞쪽 또는 바로 앞쪽이라고 하고, 맞은편을 뒤 또는 뒤쪽이라고 한다. 도 1에 있어서, 우측을 우측이라고 하고, 좌측을 좌측이라고 한다.
1. 박리용 공구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용 공구의 일례를 나타낸 좌측면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종단면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복선 유지체를 나타낸 도해도이며, (A)는 측면도해도이며, (B)는, 정면도해도이며, (C)는 바닥면도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용 공구는,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기구(器具)(S)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피복부(W2)에 의해 피복된 피복선(W)의 피복재를 박리하기 위한 공구이다. 조작 기구(S)는, 예를 들면, 절연봉(S1)을 포함하고, 그 절연봉(S1)의 선단에는, 갈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선단 걸어맞춤부(S2)가 설치된다. 또한, 피복선(W)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導電) 재료로 형성되는 심선(W1)을 포함하고, 그 심선(W1)을 덮도록 피복부(W2)가 설치된다. 이 피복부(W2)의 재료는, 통상, 폴리염화비닐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합성 고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박리용 공구(10)는, 박리용 공구 본체(12)와, 피복선(W)을 향하여 진퇴 이동하는 날체 유지체(16)와, 날체 유지체(16)에 유지된 날체(18)와, 피복선 유지체(100)를 포함한다.
박리용 공구 본체(12)는, 본체부(20)와, 본체부의 한쪽 단부에 있어서, 본체부로부터 바로 앞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피복선 유지체(100)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파지체(22)를 포함한다.
날체(18)는, 피복선(W)의 일면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피복선 유지체(100)는, 날체(18)가 피복선(W)과 접하는 측과는 상이하며, 피복선(W)을 날체(18)와의 사이에 있어서 유지할 수 있는 영역에 배치되고, 피복선 유지체(100)의 피복선(W)의 외주면(外周面)에 대응한 면에 형성된 피복선 유지부(102)는, 날체(18)가 피복선(W)과 접하는 측과는 상이하며, 피복선(W)을 날체(18)와의 사이에 있어서 유지할 수 있는 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날체(18)의 선단과 파지체(22)의 피복선 유지체(100)의 장착부(20b) 사이는 개방되고, 피복선 유지체(100)는, 상기 개방 공간에 있어서, 피복선 유지부(102)가 날체(18)와 마주보도록, 장착부(20b)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박리용 공구(10)가 회전되어 날체(18)가 피복선(W)의 피복부(W2)를 박리하는 동안, 피복선 유지체(100)의 피복선 유지부(102)가 날체(18)에 의해 박리되기 전의 피복선(W)의 피복부(W2)의 외표면에 접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리용 공구(10)는, 박리용 공구 본체(12)에 진퇴 이동 가능하게 나사 삽입되는 압압축(14)을 구비하고, 날체 유지체(16)는, 압압축(14)의 진퇴 이동에 따라 진퇴 이동한다.
(a) 박리용 공구 본체
박리용 공구 본체(12)는, 본체부(20)를 포함한다. 본체부(20)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다.
본체부(20)에 있어서, 박리용 공구 본체(12)를 피복선(W)에 장착했을 때, 이 피복선(W)을 파지(把持)하는 측의 면을 정면으로 한다. 본체부(20)는, 박리용 공구 본체(12)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본체부(20)의 한쪽 단 측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본체부(20)는, 개재부(介在部)(20a)의 정면 측에 설치된 날체(18)와 대향하는 면(정면 측의 내측면)에, 피복선 유지체(10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면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0)의 장착면은, 파지체(22)의 하측에 이어지는, 날체(18)와 평행한 제2 장착면(부)(20b)이 형성되고, 또한 제2 장착면(부)(20b)의 하측에 이어지는, 본체부(20)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반원호형의 제3 장착부(20d)가 형성되고, 이 제2 장착면(부)(20b)과 제3 장착부(20d)에 의해, 피복선 유지체(100)의 제2 면(112)을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0)의 제2 장착면(부)(20b)에는, 제2 돌기부(20c)가 정면 측(날체(18)가 형성된 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14 도시).
본체부(20)의 다른 쪽 단부에 있어서, 본체부(20)로부터 바로 앞쪽(정면 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파지체(22)가 형성된다. 파지체(22)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된다. 파지체(22)의 바로 앞쪽에는, 파지체(22)의 폭 방향(피복선(W)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22a)가 설치된다. 파지부(22a)의 날체(18)에 마주보는 면(내측면)에는, 평면형의 장착면(제1 장착부(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지체(22)의 폭 방향의 길이는, 본체부(20)의 다른 쪽 단부 측에서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파지체(22)의 폭 방향의 길이는, 날체(18)에 의해 피복선(W)의 피복부(W2)를 박리할 때, 안정적으로 피복선(W)을 파지할 수 있는 길이가 확보되어 있다.
파지체(22)는, 파지부(22a)의 하측면(날체(18)와 마주보는 면)에 날체(18)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착부(22b)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장착부(22b)에 피복선 유지체(100)의 제1 면(110)이 접하고, 피복선 유지체(100)가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부(22a)의 중앙에, 제1 장착부(22b)의 아래쪽에 피복선 유지체(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돌기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돌기부(26)는, 돌기(26a)와, 버튼 부재(26b)와, 스프링 부재(26c)를 구비하고 있고, 평상시에는, 돌기(26a)가 스프링 부재(26c)의 탄발력에 의해 날체(18) 측으로 돌출하고, 피복선 유지체(100)의 장착 및 분리 시에, 제1 장착부(22b)보다 돌출한 돌기(26a)가 파지부(22a)의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14 도시)
(b) 피복선 유지체
피복선 유지체(100)는, 날체(18)의 선단과, 파지체(22)의 장착면(제1 장착부(22b)) 사이에 형성된 개방 공간에 있어서, 피복선 유지부(102)가 날체(18)와 마주보도록, 본체(20)의 장착부(20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블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체(18)는, 파지체(22)와는 반대 측인 피복선(W)의 하측면에 접하고, 피복선 유지체(100)는, 날체(18)가 접하는 면과는 상이한 피복선(W)의 상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지체(22)에 장착된 피복선 유지체(100)의 피복선 유지부(102)는,
피복선(W)의 날체(18)가 접하는 면과는 상이하고, 피복선(W)을 날체(18)와의 사이에 있어서 유지할 수 있는 영역에 있어서, 즉 파지체(22)와는 반대 측인 하측면에 접한 날체(18)와는 반대 측에 있어서, 피복선(W)의 파지체(22)와는 반대 측인 날체(18)가 접하는 면과는 상이한(반대 측인) 상측면에 접하고, 박리용 공구(10)가 회전되어 날체(18)가 피복선(W)의 피복부(W2)를 박리하는 동안, 피복선 유지체(100)의 피복선 유지부(102)가 날체(18)에 의해 박리되기 전의 피복선(W)의 피복부(W2)의 외표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복선 유지체(100)는, 평면형의 제1 면(110)과 평면형의 제2 면(112)이 직교하고 있고,
피복선 유지체(100)를 장착하는 파지체(22)에서의 장착면(제1 장착면(22b))은, 피복선 유지체(100)의 제1 면(110)과 밀접하는 평면형이며,
피복선 유지체(100)를 장착하는 본체부(20)(개재부(20a))에서의 장착면(제2 장착부(20b))은, 피복선 유지체(100)의 제2 면(112)과 밀접하는 평면형이다.
피복선 유지체(100)는, 본체부(20)(개재부(20a))의 한쪽 단부에 있어서 본체부(20)(개재부(20a))로부터 바로 앞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제2 돌기부(20c)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파지체(22)의 날체(18)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제1 장착부(22b)에 형성된 제1 돌기부(26)에 의해 고정되고,
피복선 유지체(100)의 피복선 접합부(102)는, 날체 유지체(16)에 대향하고, 피복선(W)을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복선 유지체(100)는, 복수 종류의 피복선 유지체(100)를 박리용 공구 본체(12)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피복선 유지부가 굵은 직경의 피복선(W)에 접하는 제1 피복선 유지부(102A)를 구비한 제1 피복선 유지체(100A)와, 피복선 유지부가 가는 직경의 피복선(W)에 접하는 제2 피복선 유지부(102B)를 구비한 제2 피복선 유지체(100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피복선 유지체(100A)는, 굵은 직경의 단면(斷面) 대략 반원형상의 제1 피복선 유지부(102A)가 형성되고,
제2 피복선 유지체(100B)는, 가는 직경의 단면 대략 반원형상의 제2 피복선 유지부(102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피복선 유지부(102A) 및 제2 피복선 유지부(102B)는, 피복선(W)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피복선 유지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복선 유지체(100)는, 피복선 유지부(102)와는 이격된 영역에, 날체 유지체(16)에 대향하는 파지체(22)에 접합되는 제1 면(110)과, 상기 제1 면(110)과는 상이한 영역에, 박리용 공구 본체(12)의 본체부(20)(개재부(20a))에 접합되는 제2 면(112)을 구비한다. 제1 면(110)과 제2 면(112)은, 직교하는 평면형이다
제1 피복선 유지체(100A)는, 제1 면(110)과는 반대 측의 제3 면(114) 및 제2 면(112)과는 반대 측의 제4 면(116)을 구비하고 있고, 제3 면(114)과 제4 면(116)에 걸쳐서 형성된 단면 대략 반원형상의 제1 피복선 유지부(102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피복선 유지체(100B)는, 제1 면(110)과는 반대 측의 제3 면(114) 및 제2 면(112)과는 반대 측의 제4 면(116)을 구비하고 있고, 제2 면(112)과는 반대 측의 제4 면(116)에 형성된 단면 대략 반원형상의 제2 피복선 유지부(102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피복선 유지체(100B)는, 피복선 유지체 본체(104)의 제4 면(116)에 제2 피복선 유지부(10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피복선 유지부(102A) 및 제2 피복선 유지부(102B)는, 피복선(W)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피복선 유지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피복선 유지체(100A)는, 제4 면(116)에서의, 긴 직경의 단면 대략 반원형상의 제1 피복선 유지부(102A)의 근방의 선단부가, 날체(18)의 선단을 향하여 날체(18)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피복선(W)을 협지하고 날체(18)에 접근했을 때, 제3 면(114)에서의, 상기 제1 피복선 유지부(102A) 측의 선단이, 날체(18)의 선단을 향하고 있다.
제2 피복선 유지체(100B)는, 제4 면(116)에서의, 가는 직경의 단면 대략 반원형상의 제2 피복선 유지부(102B)의 근방의 선단부가, 날체(18)를 향하여 날체(18)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피복선(W)을 협지하여 날체(18)에 접근했을 때, 제3 면(114)에서의, 상기 제(2) 피복선 유지부(102B) 측의 선단이 날체(18)의 선단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피복선 유지부(102A) 및 제2 피복선 유지부(102B)는, 피복선(W)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피복선 유지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피복선 유지체(100B)는,
제2 피복선 유지부(102B)가, 피복선(W)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2 피복선 유지체(100B)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피복선 유지체(100B)의 피복선 유지체 본체(104)의 좌우의 양단 측에 있어서, 좌우로 나누어진 제1 가이드체(120A)와 제2 가이드체(120B)가 장착되어 있다.
제1 가이드체(120A)와 제2 가이드체(120B)는, 판형체로 형성되고, 동일 형상이며,
제1 가이드체(120A) 및 제2 가이드체(120B)는, 가는 직경의 단면 대략 반원형상의 제2 피복선 유지부(102B)의 근방의 선단부가 날체(18)를 향하여 날체(18)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피복선(W)을 협지하여 날체(18)에 접근했을 때, 제3 면(114)에서의, 상기 제(2) 피복선 유지부(102B) 측의 선단이 날체의 선단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체(120A)는, 제1 가이드체의 제1 피복선 유지부(122A)가 제4 면(116) 측에 형성되고, 제2 가이드체(120B)는, 제2 가이드체의 제1 피복선 유지부(122B)가 제4 면(116) 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피복선 유지부(102A) 및 제2 피복선 유지부(102B)는, 제1 가이드체의 제1 피복선 유지부(122A) 및 제2 가이드체의 제1 피복선 유지부(122B)와 연속하여 피복선(W)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피복선 유지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피복선 유지체(100B)의 제1 가이드체(120A) 및 제2 가이드체(120B)는, 피복선 유지체 본체(104)의 양단에 고정되고, 피복선 유지체 본체(104)에 형성된 피복선 유지부(102)에 이어지는 피복선 유지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피복선 유지부(122)에 대향하도록, 피복선 덮음부(124)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체(120A)와 제2 가이드체(120B)는,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복선 유지체 본체(104)의 피복선 유지부(102)와 가이드체(120)의 피복선 유지부(122)는 연결되고, 이들이 먼저 피복선(W)의 표면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체(120)는, 피복선(W)의 꼬임이나 날체(18)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피복선(W)의 표면에, 눈의 부착을 방지하는 날개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피복선(W)의 피복부(W2)를 박리할 때 보다 유효하게 된다.
(c) 날체 유지체
날체 유지체(16)는, 날체 유지 부재(30)를 포함한다.
날체 유지 부재(3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다. 날체 유지 부재(30)는, 축지지부(24)에 대향하는 한쪽 주면(主面)(하측의 면)과, 파지체(22)에 대향하는 다른 쪽 주면(상측의 면)을 가진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0)는, 날체 유지 부재(30)의 상기 양 주면에 대하여 수직한 면이며, 또한 박리용 공구 본체(12)의 본체부(20)에 대향하는 면인 양 측면, 즉 바로 앞쪽의 전면 및 맞은편의 후면을 가진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0)는, 날체 유지 부재(30)의 양 주면 및 양 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면이며, 또한 본체부(20)에 대하여 수직한 면인 양 단면, 즉 우측의 면 및 좌측의 면을 가진다.
날체 유지 부재(30)의 폭 방향(즉, 날체 유지 부재(30)의 양 단면을 연결하는 방향)의 길이는, 파지체(22)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날체 유지 부재(30)는, 그 전면(前面)의 상부 측에 날체 장착부(30a)가 형성된다. 날체 장착부(30a)에는, 날체(18)를 장착하기 위하여, 날체 유지 부재(30)의 한쪽 측면(전면)의 중간부로부터 다른 쪽 주면 측 (상단 측)의 범위에 날체 장착면(30a1)이 설치된다. 이 날체 장착부(30a)에서의 날체 장착면(30a1)은, 날체 유지 부재(30)의 한쪽 측면(전면)으로부터 다른 쪽 측면(후면)을 향하고, 날체(18)의 두께의 크기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두께만큼 단차(段差)가 설치된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0)의 한쪽 주면(하면)의 대략 중앙에는 압압축 추착용(樞着用) 구멍(30c)이 형성된다. 압압축 추착용 구멍(30c)은,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압압축 추착용 구멍(30c)의 깊이는, 압압축(14)의 추착부(樞着部)(62)에서의 그 축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압압축 추착용 구멍(30c)의 내경은, 추착부(6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0)의 한쪽 측면(전면)의 하부 측에 있어서, 제1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30d)이 천설(穿設)되어 있다. 제1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30d)은, 날체 유지 부재(30)의 전면(바로 앞쪽)으로부터 압압축 추착용 구멍(30c)을 향하여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0)의 다른 쪽 측면(후면)의 하부 측에 있어서, 제2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30e)이 천설되어 있다. 제2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30e)은, 날체 유지 부재(30)의 배면(맞은편)으로부터 압압축 추착용 구멍(30c)을 향하여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빠짐방지부재(46)가, 제1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30d) 및 제2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30e)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나사 삽입된다. 빠짐방지부재(46)는, 제1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30d) 및 제2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30e)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있어서, 빠짐방지부재(46)의 선단이, 추착용 홈(62a)의 바닥면과 맞닿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한, 날체 유지 부재(30)의 양 단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0f)이 천설되어 있다. 가이드 장착용 구멍(30f)은, 예를 들면, 각 단면에 있어서 3개소씩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0f)은, 각 단면으로부터, 압압축 추착용 구멍(30c)을 향하여 연장된다.
압압축(14)이 날체 유지체(16)에 추착될 때, 압압축(14)의 추착부(62)는, 날체 유지 부재(30)의 압압축 추착용 구멍(30c)에 삽입되고 있다. 이 때, 제1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30d) 및 제2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30e)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 추착부(62)의 추착용 홈(62a)에 빠짐방지부재(46)가 돌입(突入)되어 있고, 각각의 빠짐방지부재(46)는, 추착부(62)의 제1 지지부(62b)와 제2 지지부(62c)에 의해 협지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압압축(14)의 추착부(62)는, 날체 유지 부재(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d) 날체
날체(18)에 대하여,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날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의 (B)는 평면도이다.
도 11의 (C)은, 그 측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높이 방향은, 날체(18)가 날체 유지 부재(30)에 장착되었을 때, 장착될 때의 상단 에지와 그것과 상대(相對)하는 하단 에지를 잇는 방향이다. 또한, 폭 방향은, 높이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날체(18)의 좌단 에지와 그것과 상대하는 우단 에지를 잇는 방향이다. 또한, 두께 방향은, 높이 방향과 폭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고, 또한 날체 유지 부재(30)와 나사 결합하는 방향이다.
날체(18)는,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을 포함한다.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축방향용 절단날(18a)을 그 사이에 개재하고, 정면에서 볼 때 우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과,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c)로 나누어져 있다. 날체(18)의 폭 방향의 길이는, 날체 유지 부재(30)의 폭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날체(18)의 한쪽 단변(端邊)(하변) 측은, 날체(18)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날체 유지 부재(30)의 날체 장착부(30a)에 장착된다. 날체(18)의 다른 쪽 단변(상변) 측에는,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이 형성되어 있다.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축방향용 절단날(18a)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한 쌍의 날이 박리용 공구 본체(12)의 파지부(22a)로 파지된 피복선(W)을 향하여 연장되고, 축방향용 절단날(18a)보다 피복선(W)을 향하여 선단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이 연장되는 방향이, 축방향용 절단날(18a)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날체(18)에 있어서,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이 일체로 형성된다.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박리용 공구 본체(12)의 파지부(22a)에 파지된 피복선(W)으로 향함에 따라, 또한, 날이 상단을 향함에 따라, 날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가늘어져 있다. 즉, 날의 정면 측과 배면 측의 길이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짧아지는 테이퍼형이다. 또한,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피복선(W)의 축 방향을 따라 피복부(W2)에 파고들고, 그 후 절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날체 유지 부재(30)에, 박리용 공구 본체(12)에 파지된 피복선(W)에 대하여, 날이 연장되는 방향이 평행하도록 장착되고, 날체(18)가 날체 유지 부재(30)에 장착되었을 때,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날체 유지 부재(30)의 다른 쪽 주면(상면)으로부터 피복선 유지체(100)의 피복선 유지부(102)에 파지된 피복선(W)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다. 그리고, 축방향용 절단날(18a)은 외날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축방향용 절단날(18a)을 그 사이에 개재하고, 정면에서 볼 때 우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과,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c)로 나누어져 있다. 우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우측단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단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은, 대략 동일 형상이다.
원주방향용 절단날(18b)은, 선단부(18b1)와 지지부(18b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은, 선단부(18c1)과 지지부(18c2)를 가지고 있다. 선단부(18b1과 18c1)는, 축방향용 절단날(18a) 상단 에지인 날끝(cutting edge)보다 돌출 설치한 부분이다. 원주방향용 절단날(18b)의 지지부(18b2) 및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의 지지부(18c2)에 있어서, 축방향용 절단날(18a)과 연속하고,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우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은, 박리용 공구 본체(12)의 파지부(22a)로 파지된 피복선(W)을 향하여 연장되고, 축방향용 절단날(18a)보다 피복선(W)을 향하고, 우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의 선단부(18b1) 및 좌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의 선단부(18c1)는, 피복부(W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길게 돌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우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은, 원주방향용 절단날(18b)과,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의 연장되는 방향이 축방향용 절단날(18a)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의 선단부(18b1)와, 좌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의 선단부(18c1)는, 정면에서 볼 때 대략 V자형의 끝이 뾰족한 칼끝이며, 측면에서 볼 때 대략 U자형(넘어진 コ자형)이며 전방측의 각부(角部)와 후방측의 각부가, 끝이 뾰족한 칼끝으로 되어 있고, 날끝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에 걸쳐 연속하는 직선형이다. 또한, 우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은, 피복선(W)의 원주 방향을 따라 피복부(W2)에 동시에 파고들고, 그 후 절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원주방향용 절단날(18b)의 지지부(18b2) 및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의 지지부(18c2)는, 축방향용 절단날(18a)의 날끝에 대향하는 경사면(칼날과 칼등 사이의 약간 볼록한 부분; 시노기(鎬))(18g)으로부터 우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의 선단부(18b1) 및 좌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의 선단부(18c2)에 걸쳐서 형성되고, 두께는 날체 지지부(18f)의 두께 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다.
우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과, 좌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c)은, 피복선(W)의 피복부(W2)를 박리하는 범위, 즉 피복선(W)의 축 방향에서의 길이를 규정한다. 그리고,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은, 양날인 것이 바람직하다.
날체(18)의 한쪽 단변(상변) 측에는, 날체 장착공(18d)이 형성되어 있다. 날체 장착공(18d)에는, 날체 유지 부재(30)에 날체(18)를 장착할 때, 날체 장착용 부재(18e)가 관통되고, 날체 유지 부재(30)의 날체 장착용 구멍(30b)에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날체(18)는, 날체 유지 부재(30)의 날체 장착부(30a)에 장착된다. 날체 장착공(18d)은, 날체 장착용 부재(18e)를 나사 삽입했을 때, 날체 장착용 부재(18e)가 돌출하지 않도록, 유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체 지지부(18f)는,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과 접속하고, 날체 장착공(18d)을 지지한다.
(e) 날 가이드
제1 날 가이드(40) 및 제2 날 가이드(42)에 대하여, 도 12a 및 12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정면에서 볼 때 우측의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2의 (B)는 그 측면도이다. 또한, 도 12의 (C)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에 사용되는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의 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2의 (D)는 그 측면도이다.
한 쌍의 날 가이드는, 피복부(W2)의 박리하는 위치를 정하고, 박리한 피복부(W2)를 일정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고, 박리한 피복부(W2)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제1 날 가이드(40)와 제2 날 가이드(42)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a의 제1 날 가이드(40) 및 제2 날 가이드(42)는, 전체가 평면형의 평판이지만, 도 12b의 제1 날 가이드(40) 및 제2 날 가이드(42)는, 굴곡된 판형체이다.
제1 날 가이드(40)는, 날체 유지 부재(30)의 우측 단면에 장착된다. 제1 날 가이드(40)는, 가이드 본체부(40a)를 포함한다. 가이드 본체부(40a)에는, 가이드 장착용 구멍(40a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장착용 구멍(40a1)에는, 날체 유지 부재(30)의 우측 단면에 제1 날 가이드(40)를 장착할 때, 가이드 장착 부재(40a2)가 관통되고, 날체 유지 부재(30)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0f)에 나사 결합된다. 가이드 본체부(40a)의 상단 측에는, 누름부(40a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본체부(40a)의 전부(前部)에 있어서, 절곡부(40a4)를 기점으로 하여 날체(18)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내측에 탈락 방지부(40b)가 전방 상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본체부(40a)의 후부(後部)에 있어서, 배면 측 가이드 지지부(40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2 날 가이드(42)는, 날체 유지 부재(30)의 좌측 단면에 장착된다. 제2 날 가이드(42)는, 가이드 본체부(42a)를 포함한다. 가이드 본체부(42a)에는, 가이드 장착용 구멍(42a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장착용 구멍(42a1)에는, 날체 유지 부재(30)의 좌측 단면에 제2 날 가이드(42)를 장착할 때, 가이드 장착 부재(42a2)가 관통되고, 날체 유지 부재(30)의 가이드 장착용 구멍(30f)에 나사 결합된다. 가이드 본체부(42a)의 상단 측에는, 누름부(42a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본체부(42a)의 전부에 있어서, 절곡부(42a4)를 기점으로 하여 날체(18)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내측에 탈락 방지부(42b)가 전방 상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본체부(42a)의 후부에 있어서, 배면 측 가이드 지지부(42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부(40a4 및 42a4)에는, 절곡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1 날 가이드(40)의 탈락 방지부(40b) 및 제2 날 가이드(42)의 탈락 방지부(42b)가, 전방 상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피복선(W)의 피복부(W2)를 박리하는 위치를 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날 가이드(40)의 탈락 방지부(40b) 및 제2 날 가이드(42)의 탈락 방지부(42b)가, 전방 상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박리한 피복선(W)의 피복부(W2)를 일정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1 날 가이드(40)의 탈락 방지부(40b) 및 제2 날 가이드(42)의 탈락 방지부(42b)가, 각각 절곡부(40a4 및 42a4)로부터 탈락 방지부(40b 및 42b)의 상단까지 날체(18)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내측을 마주보는 것에 의해, 날체 유지 부재(30)의 폭보다 탈락 방지부(40b)의 상단과 탈락 방지부(42b)의 상단의 폭 쪽이 좁으므로, 박리된 피복부(W2)가 탈락 방지부(40b)의 하단과 탈락 방지부(42b)의 하단 사이에 머무르고, 피복부(W2)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보면, 날체(18)가 제1 날 가이드(40)의 탈락 방지부(40b) 및 제2 날 가이드(42)의 탈락 방지부(42b)보다 박리용 공구 본체(12)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피복선(W)의 피복부(W2)를 날체(18)에 의해 박리시킬 때, 제1 날 가이드(40)와 제2 날 가이드(42)보다 먼저 한 쌍의 원주 방향 절단날(18b, 18c)을 피복부(W2)에 파고들게 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부(40a) 하단 에지는, 수평형 누름부(40a3) 측 하단 에지와, 상기 하단 에지로부터 더욱 내려가서 배면 측 가이드 지지부(40c) 측의 수평형 하단 에지가 연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가이드 본체부(42a) 하단 에지는, 수평형 누름부(42a3) 측 하단 에지와, 상기 하단 에지로부터 더욱 내려가서 배면 측 가이드 지지부(42c) 측의 수평형 하단 에지가 연속되어 있다.
제1 날 가이드(40)의 배면 측 가이드 지지부(40c)와 제2 날 가이드(42)의 배면 측 가이드 지지부(42c) 사이에는, 배면 측 가이드(44)가 가설되어 있다. 배면 측 가이드(44)는, 본체부(20)의 배면 측에 설치되고, 봉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축방향용 절단날(18a)과는 별도로 한 쌍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박리용 공구(10)를 피복선(W)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피복부(W2)의 박리를 행할 때,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에 의해 피복부(W2)를 원주 방향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피복부(W2)의 박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날체(18)의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날체 장착용 부재(18e)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날체 유지체(16)로부터 날체(18)를 분리할 수 있다. 피복부(W2)를 박리하기 위해 필요한 날을 모두 교환할 수 있으므로, 날체(18)를 재차, 날체 유지체(16)에 장착하기 위한 조정이 용이하므로, 박리용 공구(1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체부(20)의 한쪽 단부에 있어서, 파지체(22)의 파지부(22a)에 대향하도록, 본체부(20)로부터 바로 앞쪽을 향하여 축지지부(24)가 돌출 설치된다. 축지지부(24)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다. 축지지부(24)는, 파지체(22)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양 주면, 즉 상하로 나누어진 주면을 가진다. 축지지부(24)의 한쪽 주면에서의 대략 중앙에는, 압압축(14)을 나사 삽입하기 위한 나사공(24a)이, 축지지부(24)의 한쪽 주면으로부터 다른 쪽 주면으로 관통하여 천설되어 있다. 나사공(24a)은, 압압축(14)의 축 방향(즉,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f) 암부(arm portion)
파지체(22)에서의 배면 측에는, 암 보디(arm body)(50)가 설치된다. 암 보디(50)가, 암부 지지부(50a), 암부(50b) 및 제2 걸어맞춤부(50c)를 포함한다.
암부 지지부(50a)는, 파지체(22)가 본체부(20)에 대하여 돌출 설치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압압축(14)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다. 암부 지지부(50a)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암부 지지부(50a)의 측면에는, 고정용 구멍(50a1)이 천설되어 있다. 암부 지지부(50a)에는, 암부(50b)가 이어져 설치된다.
암부(50b)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 본체부(50b1)와 접속부(50b2)를 포함한다. 암부 본체부(50b1) 및 접속부(50b2)는, 각각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암부 본체부(50b1)의 한쪽 단측에 접속부(50b2)가 이어져 설치된다. 또한, 암부 본체부(50b1)의 외경은, 접속부(50b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접속부(50b2)에는, 그 중간부에 있어서, 암부 고정용 나사공(50b3)이 천설되어 있다. 암부 고정용 나사공(50b3)은, 압압축(14)의 축 방향 및 암부(50b)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는 암부(50b)의 접속부(50b2)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암부 지지부(50a)에 끼워넣어진다. 따라서, 접속부(50b2)의 외경은, 암부 지지부(50a)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이다. 암부(50b)의 접속부(50b2)가, 암부 지지부(50a)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암부 지지부(50a)의 고정용 구멍(50a1)을 관통하고, 그리고, 접속부(50b2)의 암부 고정용 나사공(50b3)에, 고정용 부재(50a2)이 나사 삽입되어, 암부 지지부(50a)와 암부(50b)가 고착(固着)된다.
암부 본체부(50b1)의 다른 쪽 단측의 단면의 대략 중앙에는, 제2 걸어맞춤부(50c)와 이어져 설치하기 위한 걸어맞춤부 연설용(連設用) 나사 구멍(50b4)이 천설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연설용 나사 구멍(50b4)은, 암부 본체부(50b1)의 다른 쪽 단측으로부터 한쪽 단 측을 향하여(즉, 암부(50b)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암부(50b)의 다른 쪽 단에는 제2 걸어맞춤부(50c)가 이어져 설치된다.
제2 걸어맞춤부(50c)는, 링부(50c1), 베이스부(50c2) 및 접속축(50c3)을 포함한다. 링부(50c1)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50c2)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그 한쪽 면 측에 링부(50c1)가 고착된다. 그리고, 베이스부(50c2)의 다른 쪽 면 측의 대략 중앙에, 접속축(50c3)이 형성된다. 접속축(50c3)이, 걸어맞춤부 연설용 나사 구멍(50b4)에 끼워져 삽입되고, 나사 장착되어, 제2 걸어맞춤부(50c)와 암부(50b)가 이어져 설치된다.
(g) 압압축
압압축(14)은,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압압축(14)은,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부(60), 추착부(62) 및 접속부(64)를 포함한다. 나사부(60)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나사부(60)의 측면에는, 나선형의 홈에 의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압압축(14)의 나사부(60)가, 축지지부(24)의 나사공(24a)에 나사 삽입된다. 그리고, 나사부(60)가 회전함으로써, 압압축(14)은, 파지체(22)와 축지지부(24)를 연결하는 방향(상 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나사부(60)의 한쪽단(파지체(22)에 대향하는 측)에는 추착부(62)가 설치되고, 다른 쪽 단에는 접속부(64)가 설치된다.
추착부(62)는, 압압축(14)에 날체 유지체(16)를 추착하기 위해 설치된다. 추착부(62)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부에 추착용 홈(6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추착용 홈(62a)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하도록, 제1 지지부(62b) 및 제2 지지부(62c)가 설치된다.
접속부(64)에는, 제1 걸어맞춤부(66)가 고착하여 이어져 설치된다. 접속부(64)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접속부(64)에는, 그 중간부에 있어서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64a)이 관통하여 천설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64a)은, 압압축(14)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걸어맞춤부(66)는, 링부(66a)와 베이스부(66b)를 포함한다. 링부(66a)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66b)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66b)의 한쪽 측에는, 링부(66a)가 고착되고, 다른 쪽 측은, 개구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66b)의 측면에는, 고정용 구멍(66b1)이 천설되어 있다. 그리고, 압압축(14)의 접속부(64)는 제1 걸어맞춤부(66)의 베이스부(66b)에 끼워넣어진다. 제1 걸어맞춤부(66)는, 압압축(14)의 접속부(64)가 제1 걸어맞춤부(66)의 베이스부(66b)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제1 걸어맞춤부(66)에서의 베이스부(66b)의 고정용 구멍(66b1) 및 접속부(64)의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64a)에 봉형의 고정용 부재(66c)가 끼워져 삽입되고, 제1 걸어맞춤부(66)와 압압축(14)의 접속부(64)가 고착된다.
이로써, 제1 걸어맞춤부(66)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걸어맞춤부(66)의 회전과 동시에 나사부(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걸어맞춤부(66)는, 링형으로 형성되는 링부(66a)를 가진다. 링부(66a)는, 예를 들면, 조작 기구(S)의 갈고리형으로 형성되는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어맞추기 위해 설치된다.
(h) 규제 부재
압압축(14)의 나사부(60)에 있어서, 축지지부(24)와 제1 걸어맞춤부(66) 사이의 영역에는, 규제 부재(68)가 배치된다. 규제 부재(68)는, 축지지부(24)와 접촉함으로써, 압압축(14)이, 파지체(22)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설치된다. 규제 부재(68)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너츠형으로 형성된다. 규제 부재(68)의 링의 내측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압압축(14)의 나사부(60)에 나사 삽입된다. 규제 부재(68)에는,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68a)이 천설되어 있다.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68a)은, 그 외측면에서의 4 방향으로부터, 즉 각 방향이 90도로 간격을 두고, 링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68a)에는, 규제 부재 고정용 부재(68b)가 나사 삽입되어 있고, 규제 부재 고정용 부재(68b)를 압압축(14)의 나사부(60)에 맞닿게 함으로써, 규제 부재(68)를 나사부(60)의 원하는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규제 부재(68)가 있는 것에 의해, 피복선(W)의 직경에 따라, 작업 전에 규제 부재(68)에 의해 압압축(14)의 진퇴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배치시켜 둠으로써, 심선(W1)에 대하여 손상을 입히지 않고, 피복부(W2)만을 박리하도록, 날체 유지체(16)의 이동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피복선(W)의 선 직경에 따라, 심선(W1)을 손상을 입히지 않을 정도로 피복선(W)에 대하여 날체를 파고들게 하는 데 필요한 이동 거리(즉, 피복부(W2)의 두께의 크기에 대응)는 미리 결정되어 있으므로, 그 필요한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나사부(60)에서의 규제 부재(68)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서는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본체부(20)에 있어서, 파지체(22)가 돌출 설치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서, 또한 압압축(14)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암부(50b)를 가지고, 암부(50b)의 한쪽 단측은 암부 지지부(50a)를 통하여 본체부(20)와 접속되고, 암부(50b)의 다른 쪽 단측에는 제2 걸어맞춤부(50c)를 가지므로, 제1 걸어맞춤부(66) 및 암 보디(50)의 제2 걸어맞춤부(50c)를 조작 기구(S)의 선단 걸어맞춤부(S2)에 거는 것에 의해, 조작 기구(S)에 의한 원격 조작에 의해, 피복선(W)을 중심으로 하여 박리용 공구(10)를 용이하게 1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날체 유지 부재(30)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날 가이드(40) 및 제2 날 가이드(42)를 가지고, 한 쌍의 제1 날 가이드(40) 및 제2 날 가이드(42)는, 피복부(W2)의 박리하는 위치를 정하고, 박리한 피복부(W2)를 일정 방향으로 출력하도록 안내하고, 박리한 피복부(W2)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2b에 나타낸 제1 날 가이드(40) 및 제2 날 가이드(42)는, 날체 유지 부재(30) 측의 내면에 절곡부(40a4, 42a4)를 가지고, 절곡부(40a4, 42a4)를 기점으로 하여, 절곡부(40a4, 42a4)의 외측의 탈락 방지부(40b, 42b)를 날체(18)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내측으로 마주보고, 또한 날체 유지 부재(30)의 폭보다 탈락 방지부(40b, 42b)의 하단 사이의 폭 쪽이 좁으므로, 박리된 피복부(W2)가 탈락 방지부(40b, 42b)의 하단 사이에 머무르고, 피복부(W2)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10)는, 배면 측 가이드(44)를 구비함으로써, 날체(18)가 피복선(W)으로부터 피복부(W2)를 박리할 때, 날체(18)가, 바로 앞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날체(18)가 피복선의 외주에 있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축방향용 절단날(18a) 및 한 쌍의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이 피복선(W)의 피복부(W2)에 확실하게 파고들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14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0)는, 기둥형체의 상단 부분에 있어서, 정면 측(날체(18) 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파지체(22)와, 기둥형체의 중간 부분에 있어서, 정면 측(날체(18) 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날체 유지체(16)를 구성하는 제1 날 가이드(40) 및 제2 날 가이드(42)와, 기둥형체의 하단 부분에 있어서, 정면 측(날체(18) 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축지지부(24)를 구비한다.
본체부(20)는, 정면 측에 있어서, 그것을 구성하는 기둥형체의 중앙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압압축(14)이 설치되어 있고, 압압축(14)은, 그것을 구성하는 나사부(60)가, 축지지부(24)에 형성된 나사공(24a)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압압축(14)의 상단에는, 날체 유지체(16)를 구성하는 날체 유지 부재(30)가 장착되어 있고, 날체 유지 부재(30)의 정면 측에는, 날체(18)가 장착되어 있다. 날체(18)가 장착된 날체 유지 부재(30)는, 압압축(14)의 상하 이동에 의해 파지체(22)를 향하여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20)는, 정면 측에 있어서, 파지체(22)와 날체 유지 부재(30) 사이에, 피복선 유지체(100)를 장착하기 위한 개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0)는, 개재부(20a)의 정면 측에 설치된 날체(18)와 대향하는 면(정면 측의 내측면)에, 피복선 유지체(100)를 장착하는 장착면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0)의 장착면은, 파지체(22)의 하측에 이어지는, 날체(18)와 평행한 제2 장착면(부)(20b)이 형성되고, 또한 제2 장착면(부)(20b)의 하측에 이어지는, 본체부(20)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반원호형의 제3 장착부(20d)가 형성되어, 피복선 유지체(100)의 제2 면(112)을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0)의 제2 장착면(부)(20b)에는, 제2 돌기부(20c)가 정면 측(날체(18)가 형성된 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지체(22)는, 측면에서 볼 때, 본체부(20)보다 수평 방향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판형체이며,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피복선(W)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 폭이 날체(18)의 폭 보다 긴 판형체이며, 측면에서 볼 때, 축지지부(24) 및 날체 유지체(16)의 본체부(2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분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날체 유지체(16)와의 사이에 피복선 유지체(100)를 배치하기 위한 개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날체 유지체(16)는, 정면 대략 사각형의 가로로 긴 기둥형체에 의해 구성되며,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날체(18)의 주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에서 볼 때, 본체부(2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본체부(20)와 평행하게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L자형의 기둥형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날체(18)는, 정면 측과 배면 측에 대략 평면의 주면을 구비하고 있고, 배면 측의 주면에 있어서, 날체 유지체(16)의 수직 방향으로의 기립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날체(18)의 날의 끝은, 측면에서 볼 때, 날체 유지체(16)의 평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분보다 위쪽을 향해 연장된 날본체의 선단(상단)에 위치하고 있고,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피복선(W)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판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날 가이드(40) 및 제2 날 가이드(42)는, 날체(18)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날체 유지체(16)에 배치된 판형이며,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나사부(60) 측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날 가이드(40)와 제2 날 가이드(42) 사이에 날체(18)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측면에서 볼 때 본체부(20) 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대략 L자형의 판형체이며, 본체부(20) 측으로부터 이격된 선단의 기립 부분(탈락 방지부(40b) 및 탈락 방지부(42b))이 날체(18)의 선단의 날끝보다 약간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판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압축(14)의 나사부(60)를 지지하는 축지지부(24)는, 본체부(20)로부터 돌출 설치된 대략 기둥형체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면에서 볼 때 본체부(2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록형체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지체(22)는, 파지체(22)와 본체부(20)에 지지된 날체 유지체(16)에 의해, 대략 U자형으로, 이들 사이에 피복선 유지체(100)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압축(14)이 파지체(22)를 향하여 연장되고, 날체(18)가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이며, 그 날끝이 파지체(22)를 향하여 돌출하여 피복선(W)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피복선 유지체(100)는, 파지체(22)에 고정되었을 때, 피복선 유지부(102)가 피복선(W)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날체(18)의 날끝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복선 유지부(102)는, 날체(18)가 접하는 피복선(W)의 반대 측에 있어서, 30% 이상 50% 이하 피복선(W)의 표면을 덮도록, 피복선(W)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복선 유지부(102)와 날체(18)에 의해, 피복선(W)을 협지하고, 날체(18)가 피복선(W)에 파고들고, 박리용 공구가 회전되어 날체(18)가 피복선(W)의 피복부(W2)를 박리하는 동안, 피복 유지부(102)는, 피복선(W)의 표면에 접하고, 피복선(W)의 표면을 미끄러지면서, 날체(18)가 파고들어간 피복선(W)의 피복부(W2)를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피복선 유지체(100A)는, 피복선 유지부(102)가, 제3 면(114)을 연장한 면과 제4 면(116)을 연장한 면이 교차하는 영역 즉 코너 부분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고, 날체(18)의 날끝 측에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피복선 유지체(100B)는, 피복선 유지부(102)가, 제3 면(114)의 아래쪽의 날체 유지체(16)의 탈락 방지부(40b)의 근방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고, 날체(18)의 날끝 측에 개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가이드체(120A) 및 제2 가이드체(120B)는, 제1 날 가이드(40) 및 제2 날 가이드(42)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날체(18)의 양단보다 외측에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피복선 유지체 본체(104)에 고정된 판형체이다.
제1 가이드체(120A) 및 제2 가이드체(120B)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파지체(22) 측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가이드체(120A)와 제2 가이드체(120B) 사이에 제1 날 가이드(40) 및 제2 날 가이드(42) 및 날체(18)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측면에서 볼 때 파지체(22) 측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대략 L자형의 판형체이며, 본체부(20) 측으로부터 이격된 선단의 피복선 덮음부(124)의 부분이 제1 날 가이드(40) 및 제2 날 가이드(42)의 선단 부분(탈락 방지부(40b) 및 탈락 방지부(42b))보다 약간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판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돌기부(26)는, 파지부(22a)에, 제1 장착면(부)(22b)의 표면에서 출몰(出沒)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피복선 유지체(100)의 피복선 유지체 본체(104)의 장착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돌기(26a)와, 돌기(26a)의 상부에 돌기(26a)를 상하 이동시키는 버튼 부재(26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버튼 부재(26b)는, 스프링 부재(26c)를 통하여 돌기(26a)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돌기부(26)는, 나사부(6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나사부(60)의 선단을 향하고, 파지부(22a)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돌기부(20c)는, 제2 장착부(20b)의 중앙에 있어서, 수평 방향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제1 돌기부(26)의 돌기(26a)와는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돌기부(20c)는, 날체(18)의 주면이 연장되는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돌기부(26)의 돌기(26a)는, 날체(18)의 주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복선 유지체(100)는, 파지체(22)에 장착되는 제1 면(110)에, 제1 돌기부(26)의 돌기(26a)가 끼워맞추어지는 고정 구멍(106)이 뚫어져 설치되어 있다.
고정 구멍(106)은, 대략 각기둥형체의 피복선 유지체 본체(104)의 제1 면(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피복선 유지체(100)를 파지체(22)에 고정했을 때, 피복선 유지체 본체(104)의 수직 방향의 선과 나사부(60)의 수직 방향의 축선과 제1 돌기부(26)의 돌기(26a)의 수직 방향의 중심선이 중첩되도록, 1직선형의 수직선(VL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피복선 유지체(100A)의 제1 피복선 유지부(102A) 및 제2 피복선 유지체(100B)의 제2 피복선 유지부(102B)는, 1직선형의 수직선(VL1)보다 날체(18) 측에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피복선 유지체(100A) 및 제2 피복선 유지체(100B)에 고정된 피복선(W)은, 1직선형의 수직선(VL1)보다 날체(18) 측에 치우치도록 박리용 공구(10)에 장착된다.
피복선 유지체(100)의 피복선 유지체 본체(104)는, 대략 각기둥형체이며, 본체부(20)의 제2 돌기부(20c)를 끼워맞추는 고정 구멍(108)이, 제2 면(112)에 뚫어져 설치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박리용 공구의 변형예인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주로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박리용 공구는, 상기 실시형태의 제1 피복선 유지체(100A)의 변형예인 제3 피복선 유지체(100C)를, 착탈 가능하게, 본체부(20)의 제2 장착부(20b)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피복선 유지체(100C)는, 긴 직경의 단면 대략 원호형의 제3 피복선 유지부(102C)가 형성되고,
본체부(20)의 개재부(20a)는, 제2 장착부(20b)에 이어서 제3 장착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착부(20b)는, 평면형이며,
제3 장착부(20d)는, 상기 제3 피복선 유지부(102C)와 동일한 직경의 원호형의 피복선 유지부(22c)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본체부(20)의 제2 장착부(20b)에 장착된 피복선 유지체(100C)의 제3 피복선 유지부(102C)에 이어서 단면 대략 반원호형의 피복선 유지부(22c)를 구성하도록, 제3 피복선 유지체(100C)를 장착하는 면에 뚫어져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3 피복선 유지체(100C)의 제3 피복선 유지부(102C)와 본체부(20)의 피복선 유지부(22c)를 합친 피복선 유지부를 가지고 피복선(W)을 유지할 수 있다.
제3 피복선 유지체(100C)의 제3 피복선 유지부(102C)는, 1직선형의 수직선(VL1)보다 본체부(20) 측에 조금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 피복선 유지체(100C)에 고정된 피복선(W)이 1직선형의 수직선(VL1)보다 본체부(20) 측에 조금 치우치도록 박리용 공구(10)는 피복선(W)에 장착된다.
2. 박리용 공구의 조작 수순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박리용 공구(10)를 피복선(W)에 장착하고, 박리용 공구(10)를 사용하여, 피복선(W)으로부터 피복부(W2)를 원격으로, 박리하는, 박리용 공구의 조작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1은,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박리용 공구에 의해 피복선으로부터 피복부(W2)를 박리하기 위한 조작 수순을 나타낸다.
먼저, 도 20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암부(50)을, 퀵이나 집게 등의 조작 기구(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로 파지하고, 피복선(W)의 뒤쪽으로부터, 퀵이나 집게 등의 조작 기구(S)로 매단 박리용 공구(10)에서의 파지체(22) 밑에 장착된 피복선 유지체(100)의 피복선 유지부(102)와 제1 날 가이드(40)와 제2 날 가이드(42) 사이에 피복선(W)의 일부분을 협지하도록 하여, 피복선(W)에 박리용 공구(1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피복선 유지체(100)의 피복선 유지부(102)에 피복선(W)의 표면을 맞추고, 제1 걸어맞춤부(66)에 조작 기구(S)의 절연봉(S1)의 선단에 설치된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어맞추고, 절연봉(S1)을 회전시켜 압압축(14)을 회전시킴으로써 날체 유지 부재(30)에 고정된 날체(18)를 피복선(W)에 파고 들어가게 한다.
다음으로, 제2 걸어맞춤부(50c)에, 퀵이나 집게 등의 조작 기구(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고, 제2 걸어맞춤부(50c) 측을 내리도록 회전시킨다(도 21의 (A)).
박리용 공구 본체(12)가 180도 회전된 상태가 되므로, 다음으로, 암 보디(50)에 조작 기구(S)를 압출하도록 회전시킨다(도 21의 (B)).
박리용 공구 본체(12)가 90도 더 회전된 상태가 되므로, 제1 걸어맞춤부(66)에 조작 기구(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걸고 끌어들이도록 회전시킨다(도 21의 (C)).
이상과 같이 하여, 박리용 공구 본체(12)를, 180도 + 90도 + 90도 회전시킴으로써, 피복선의 주위를 360도 회전시키면, 피복부(W2)가 전체 주위에 걸쳐 벗겨진 상태로 된다(도 21의 (D)).
조작 기구(S)의 선단 걸어맞춤부(S2)를 제1 걸어맞춤부(66)에 건 상태로 제1 걸어맞춤부(66)를 압압축(14)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압압축(14)을 축회전시키고, 이로써, 날체 유지체(16)를 피복선(W) 측으로부터 이겨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피복선(W)으로부터 박리용 공구(10)를 분리한다.
도 18 및 19은, 날체가 피복선으로부터 피복부(W2)를 박리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해도이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용 공구(10)가 1회전함으로써, 피복부(W2)는 피복선(W)으로부터 박리된다. 피복부(W2)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체(18)에 의해, 피복부(W2)가 피복선(W)으로부터 박리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체(18)를 피복선(W)의 피복부(W2)에 파고들게 하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부(W2)에는, 날체(18)의 축방향용 절단날(18a)에 의해 피복부(W2)의 축 방향의 절단선(L1)이 형성되고, 박리용 공구(10)를, 피복선(W)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원주방향용 절단날(18b 및 18c)에 의해 피복부(W2)의 원주 방향의 절단선(L2)이 형성된다.
날체(18)는, 박리용 공구(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날체 커버(90)를, 그 정면 측에 씌워서 보호하면 된다. 날체 커버(90)는, 거기에 배치된 마그넷을 가지고 고정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기재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매커니즘, 형상, 재질, 수량, 위치 또는 배치 등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압압축이, 박리용 공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 삽입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압압축은, 박리용 공구 본체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다면, 어떠한 박리용 공구 본체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규제 부재가 압압축에 나사 삽입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규제 부재가 나사 삽입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본체부의 배면 측에 암 보디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박리용 공구는, 배면 측 가이드가 본체부의 배면 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반드시 배면 측 가이드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리용 공구는, 예를 들면, 조작봉에 의한 원격 조작에 의해, 피복부(W2)에 의해 피복된 피복선으로부터 피복부(W2)를 박리하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박리용 공구
12: 박리용 공구 본체
14: 압압축
16: 날체 유지체
18: 날체
18a: 축방향용 절단날
18b: 우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
18b1: 선단부
18b2: 지지부
18c: 좌측의 원주방향용 절단날
18c1: 선단부
18c2: 지지부
18d: 날체 장착공
18e: 날체 장착용 부재
18f: 날체 지지부
18g: 경사면(칼날과 칼등 사이의 약간 볼록한 부분: 시노기(鎬))
20: 본체부
20a: 개재부
20b: 제2 장착면(부)
20c: 제2 돌기부
20d: 제3 장착부
22: 파지체
22a: 파지부
22b: 제1 장착부
22c: 피복선 유지부
24: 축지지부
24a: 나사공
26: 제1 돌기부
26a: 돌기
26b: 버튼 부재
26c: 스프링 부재
30: 날체 유지 부재
30a: 날체 장착부
30a1: 날체 장착면
30b: 날체 장착용 구멍
30c: 압압축 추착용 구멍
30d: 제1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
30e: 제2 빠짐방지부재 삽입용 구멍
30f: 가이드 장착용 구멍
40: 제1 날 가이드
42: 제2 날 가이드
40a, 42a: 가이드 본체부
40a1, 42a1: 가이드 장착용 구멍
40a2, 42a2: 가이드 장착용 부재
40a3, 42a3: 누름부
40a4, 42a4: 절곡부
40b, 42b: 탈락 방지부
40c, 42c: 배면 측 가이드 지지부
44: 배면 측 가이드
46: 빠짐방지 부재
50: 암 보디
50a: 암부 지지부
50a1: 고정용 구멍
50a2: 고정용 부재
50b: 암부
50b1: 암부 본체부
50b2: 접속부
50b3: 암부 고정용 나사 구멍
50b4: 걸어맞춤부 연설용 나사 구멍
50c: 제2 걸어맞춤부
50c1: 링부
50c2: 베이스부
50c3: 접속축
60: 나사부
62: 추착부
62a: 추착용 홈
62b: 제1 지지부
62c: 제2 지지부
64: 접속부
64a: 걸어맞춤부 고정용 구멍
66: 제1 걸어맞춤부
66a: 링부
66b: 베이스부
66b1: 고정용 구멍
66c: 고정용 부재
68: 규제 부재
68a: 규제 부재 고정용 구멍
68b: 규제 부재 고정용 부재
90: 날 커버
100: 피복선 유지체
100A: 제1 피복선 유지체
100B: 제2 피복선 유지체
100C: 제3 피복선 유지체
102: 피복선 유지부
102A: 제1 피복선 유지부
102B: 제2 피복선 유지부
102C: 제3 피복선 유지부
104: 피복선 유지체 본체
106, 108: 고정 구멍
110: 제1 면
112: 제2 면
114: 제3 면
116: 제4 면
120: 가이드체
120A: 제1 가이드체
120B: 제2 가이드체
122: 피복선 유지부
122A: 제1 가이드체의 제1 피복선 유지부
122B: 제2 가이드체의 제2 피복선 유지부
124: 피복선 덮음부
130: 제1 (에지)면
132: 제2(에지)면
134: 제3 (에지)면
136: 제4 (에지)면
W: 피복선
W1: 심선
W2: 피복부
S: 조작 기구
S1: 절연봉
S2: 선단 걸어맞춤부
L1: 축 방향의 절단선
L2: 원주 방향의 절단선
VL1: 수직선

Claims (1)

  1. 박리용 공구 본체와, 피복선을 향하여 진퇴(進退) 이동하는 날체(blade body) 유지체와, 상기 날체 유지체에 유지된 날체와, 피복선 유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용 공구 본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한쪽 단부(端部)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바로 앞쪽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상기 피복선 유지체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파지체(把持體)를 포함하고,
    상기 날체는, 상기 피복선의 일면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고,
    상기 날체의 선단(先端)과 상기 파지체의 상기 피복선 유지체의 장착부 사이에 개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피복선 유지체는, 굵기가 상이한 상기 피복선에 대응한 상기 피복선 유지체를, 상기 개방 공간에 있어서, 장착되도록 구성된, 박리용 공구.
KR1020210097136A 2020-09-02 2021-07-23 박리용 공구 KR202200301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47483 2020-09-02
JP2020147483 2020-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158A true KR20220030158A (ko) 2022-03-10

Family

ID=80629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136A KR20220030158A (ko) 2020-09-02 2021-07-23 박리용 공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97826B2 (ko)
KR (1) KR20220030158A (ko)
TW (1) TW2022115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3181561A1 (ko) * 2022-03-22 2023-09-28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1115B2 (ja) 2016-03-25 2019-02-13 株式会社永木精機 剥離用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728A (ja) 1999-04-08 2000-10-20 Nichifu Co Ltd 大径被覆電線の被覆剥離具。
JP7361394B2 (ja) 2020-05-29 2023-10-16 株式会社之一製作所 被覆線の被覆剥離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1115B2 (ja) 2016-03-25 2019-02-13 株式会社永木精機 剥離用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1572A (zh) 2022-03-16
JP7397826B2 (ja) 2023-12-13
JP2022042474A (ja) 202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7893E1 (en) Conduit connec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0487806Y1 (ko) 박리용 공구
US20070001157A1 (en) Conduit leader
KR20220030158A (ko) 박리용 공구
KR101804271B1 (ko) 케이블 피복층 제거 장치
KR102354242B1 (ko) 박리용 공구
EP1503026B1 (de) Punkthalter
KR102143127B1 (ko) 방호관 취부장치
GB2433048A (en) Hand tool with wedge-shaped recesses
EP3958406B1 (de) Abzweigsystem für elektrische leiter
KR20230058710A (ko) 박리용 공구
CN220797655U (zh) 剥离用工具
CN211183176U (zh) 一种中高压电缆剥皮器
KR102385425B1 (ko) 간접활선 커터용 전선그립
JP2018029445A (ja) ケーブル被覆剥離工具
CN112821295A (zh) 一种配网高压绝缘导线剥线器
US10682740B2 (en) Clamping device and method
CN210246153U (zh) 电缆去皮装置
CN220358688U (zh) 带电导线分配工具
DE202012000063U1 (de) Kabelfixiervorrichtung zum Fixieren zumindest eines Kabels sowie Klemmeinrichtung für eine solche
JP2023018495A (ja) 剥離用工具
KR20190098608A (ko) 전력 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전력 케이블 도체 접속장치
CN216564308U (zh) 一种电缆破皮装置
JPWO2022050240A5 (ko)
EP3454421B1 (en) Shearing screw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