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35B1 -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35B1
KR101963635B1 KR1020180068676A KR20180068676A KR101963635B1 KR 101963635 B1 KR101963635 B1 KR 101963635B1 KR 1020180068676 A KR1020180068676 A KR 1020180068676A KR 20180068676 A KR20180068676 A KR 20180068676A KR 101963635 B1 KR101963635 B1 KR 101963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insulator
bind
lin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수
임희일
Original Assignee
서광전기통신공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전기통신공사(주) filed Critical 서광전기통신공사(주)
Priority to KR1020180068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자에 전력선을 묶어 놓은 바인드를 커터작업봉에 의해 절단하는 단계; 상기 커터작업봉에 의해 절단된 바인드의 분할 부분을 집게작업봉으로 그립핑하여 상기 전력선이나 상기 애자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바인드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바인드의 분할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바인드 전체를 상기 애자와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선을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해 상기 애자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인드를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전력선의 단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류 둥지의 접촉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먼저 애자에 커버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버에 전력선을 삽입 및 고정시킴으로써, 전력선의 취급에 대한 어려움이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으며, 커버 또는 애자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위험을 줄이도록 개선된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커버 또는 애자의 교체 작업에 대한 효율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Method for fixing power line using bindless line post cover instead of bind}
본 발명은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인드를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전력선의 취급에 대한 어려움이나 위험성을 해소하고,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또는 애자의 교체시 작업 효율 및 안전성을 높이도록 하는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배전선로의 전주에는 쇠막대기인 완금이 설치되고, 완금 위에는 전주 위의 전력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기로 된 절연체에 해당하는 애자가 설치되며, 애자 위에 올려지는 전력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바인드를 사용하여 애자에 전력선을 묶게 된다.
종래의 바인드에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시안 제20-0188545호의 "정형 바인드"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반 도전성 심재의 표면에 부도체인 고무재질의 피복층을 형성함과 함께 내부에는 질긴 와이어가 삽입된 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감합이 용이한 코일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중심부에는 애자를 끼울 수 있는 애자협착부를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인드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바인드는 조류가 전주 위에 집을 짓기 위해 나뭇가지나 철사 등을 올려놓게 될 경우, 전주 위에 설치된 전력선과 완금의 접촉을 차단하지 못하여 불시에 정전이 발생하게 되고, 바인드의 피복 등의 손상으로 인해 전력선과 완금의 접촉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바인드는 철거시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하게 됨으로써, 바인드나 애자의 교체 작업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 역시 해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바인드에 의한 전력선의 고정 작업시, 전력선의 취급에 상당한 주의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시키는 새로운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의 개발 및 사용을 통해서 애자에 전력선을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고정시키도록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인드를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전력선의 단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류 둥지의 접촉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고, 먼저 애자에 커버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버에 전력선을 삽입 및 고정시킴으로써, 전력선의 취급에 대한 어려움이나 위험성을 해소하며, 커버 또는 애자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위험을 줄이도록 개선된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커버 또는 애자의 교체 작업에 대한 효율 및 안전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애자에 바인드로 묶인 전력선을 케이블지지장치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바인드를 커터작업봉에 의해 절단하는 단계; 상기 커터작업봉에 의해 절단된 바인드의 분할 부분을 집게작업봉으로 그립핑하여 당겨서 상기 전력선이나 상기 애자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바인드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바인드의 분할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바인드 전체를 상기 애자와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선을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해 상기 애자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바인드를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집게작업봉으로 상기 전력선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바인드를 쳐서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바인드를 상기 커터작업봉에 의해 절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터작업봉은, 상단에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에 조임볼트가 마련되는 연장봉;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조임볼트가 삽입되어 조여지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몸체; 상기 결합몸체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리드스크루; 상기 리드스크루에 나사 결합되는 이동블록; 상기 결합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가위날; 상기 이동블록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위날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가위날; 상기 리드스크루에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축결합부가 상단에 마련되어 회전지지부에 의해 상기 연장봉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연장봉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력전달부에 의해 회전조작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 대상의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는, 커버본체가 제 1 볼트와 너트부재의 나사 체결에 의해 클램프로 상기 애자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본체에 전력선이 가이드부에 의해 상측에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장착되는 장착부가 제 2 볼트와 너트부재의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전력선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력선을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해 상기 애자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애자의 상단에 설치되는 받침부의 양측에 상기 전력선이 장착되도록 상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장착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 각각에서 상방으로 개방되는 부분의 양단에 접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접합부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편이 고정되고, 상기 접합부의 상단에 상기 전력선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 각각의 하단에 고정부가 마련되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본체와, 상기 고정부 각각에 면접촉되기 위한 체결부가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애자의 목부 양측을 상기 클램프로 각각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와 그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체결부를 제 1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목부 양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클램프가 상기 커버본체를 상기 애자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전력선을 하강시켜서 상기 가이드부에 가이드되어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장착부 각각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를 제 2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나사결합편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대향되는 상기 접합부를 접합시켜서 상기 전력선이 상기 장착부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본체가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 상기 전력선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간이 길이방향과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상기 전력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기 장착공간에 일렬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내측과 상기 장착공간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전력선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접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측의 반대측에 상기 나사결합편이 삽입되도록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입구측에 상기 나사결합편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상기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볼트가 상기 나사결합편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끝단이 나사 체결되도록 머리가 인접하는 측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생략된 단순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볼트의 나사 결합은, 복스작업봉의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복스소켓에 의해 제 1 및 제 2 볼트를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스작업봉은, 상단에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에 조임볼트가 마련되는 연장봉;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조임볼트가 삽입되어 조여지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몸체; 상기 결합몸체에 일자 또는 ㄱ자 형태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볼트의 머리가 끼워지며, 상기 결합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결축과 함께 회전하는 복스소켓; 상기 연결축에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축결합부가 상단에 마련되어 회전지지부에 의해 상기 연장봉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연장봉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력전달부에 의해 회전조작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 의하면, 바인드를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전력선의 단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류 둥지의 접촉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먼저 애자에 커버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버에 전력선을 삽입 및 고정시킴으로써, 전력선의 취급에 대한 어려움이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으며, 커버 또는 애자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위험을 줄이도록 개선된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커버 또는 애자의 교체 작업에 대한 효율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서 바인드를 제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서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서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서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서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 사용되는 커터작업봉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 사용되는 복스작업봉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 사용되는 다른 예의 복스작업봉에 대한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은 먼저, 애자(1)에 바인드(10)로 묶인 전력선(2)을 케이블지지장치(20)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케이블지지장치(20)는 전주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모터나 핸드전동장치 또는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한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는 리드스크루 및 볼스크루 등의 운동전환장치에 의해 승강하는 지지봉(21)이 수직되게 마련될 수 있고, 지지봉(21)의 상단에 전력선(2)이 삽입되기 위한 프레임(22)이 결합되며, 프레임(22) 내에 전력선(2)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롤러(2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롤러(23)의 상측에 전력선(2)의 상부를 지지하는 스토퍼(24)가 프레임(22)에 마련되는 회전결합부(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스토퍼(24)가 회전 조작에 의해 전력선(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전력선(2)의 상부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력선(2)을 케이블지지장치(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다음, 바인드(10)를 커터작업봉(40)에 의해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바인드(10)를 절단하는 단계는 집게작업봉(30)으로 전력선(2)의 외측에 위치하는 바인드(10)를 쳐서 전력선(2)으로부터 이격되는 바인드(10)를 커터작업봉(40)에 의해 절단하도록 할 수 있다.
집게작업봉(30)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작업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봉(31)과, 고정봉(31)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정봉(31)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미도시)에 하단이 힌지 결합됨으로서, 레버의 조작에 의해 승강하는 가동봉(32)과, 고정봉(31)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핑거(33)와, 가동봉(32)의 상단에 힌지연결부(34a)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가동핑거(34)와, 고정핑거(33)와 가동핑거(34)를 서로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결합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를 상방으로 회전시, 가동봉(32)이 상승하여 가동핑거(34)가 고정핑거(33)로부터 오픈되도록 하고, 레버를 하방으로 회전시, 가동봉(32)이 하강하여 가동핑거(34)가 고정핑거(33)에 접하여 클로즈되도록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커터작업봉(40)은 상단에 결합부(41a)가 마련되고, 결합부(41a)에 조임볼트(41b)가 마련되는 연장봉(41)과, 결합부(41a)의 외측에 끼워지고, 조임볼트(41b)가 삽입되어 조여지도록 하는 결합홈(42a)이 형성되는 결합몸체(42)와, 결합몸체(42)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리드스크루(43)와, 리드스크루(43)에 나사 결합되는 이동블록(44)과, 결합몸체(42)에 제 1 힌지결합부(45a)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제 1 가위날(45)과, 이동블록(44)에 제 2 힌결합부(46a)로 힌지 결합되어 제 1 가위날(45)에 제 3 힌지결합부(46b)로 힌지 결합되는 제 2 가위날(46)과, 리드스크루(43)에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축결합부(47a)가 상단에 마련되어 회전지지부(47b)에 의해 연장봉(4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7)과, 연장봉(4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벨기어나 피니언 등과 같은 회전력전달부(48a)에 의해 회전조작에 의한 회전력을 회전축(47)에 전달하는 핸들(48)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48)의 양방향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력전달부(48a)를 통해서 회전축(47)과 함께 리드스크루(4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리드스크루(43)를 따라 이동블록(44)를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제 1 및 제 2 가위날(45,46)이 서로 오므러지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바인드(10)의 절단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가위날(45,46)이 새의 부리 형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애자(1)의 목부(1b)에 감겨진 바인드(10)의 커팅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바인드(10)를 커터작업봉(40)에 의해 절단하게 되면, 커터작업봉(40)에 의해 절단된 바인드(10)의 분할 부분(11)을 집게작업봉(30)으로 그립핑하여 당겨서 전력선(2)이나 애자(1)로부터 분리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인드를 절단하는 단계와 바인드의 분할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바인드(10) 전체를 애자(1)와 전력선(2)으로부터 제거한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바인드(10)의 해체에 의해 전력선(2)이 애자(1)로부터 분리되면, 전력선(2)에 남아 있는 바인드(10)를 집게작업봉(30)으로 그립핑하여 잡아당겨서 제거할 수 있다.
바인드(10) 전체를 애자(1) 및 전력선(2)으로부터 제거하면, 전력선(2)을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100; 도 7 내지 도 9 참조)에 의해 애자(1)에 고정시킨다.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1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실시례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나 종류의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력선(2)을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100; 도 7 내지 도 9 참조)에 의해 애자(1)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100)를 준비하는 단계와, 커버본체(110; 도 7 내지 도 9 참조)를 애자(1)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전력선(2)을 장착부(112; 도 7 내지 도 9 참조)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와, 접합부(113; 도 7 내지 도 9 참조)를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100)를 준비하는 단계에 의하면, 바인드(10)를 전력선(2)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100)를 준비한다. 여기서 설치 대상의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100)는 예컨대 커버본체(110)가 제 1 볼트(130)와 너트부재의 나사 체결에 의해 클램프(120)로 애자(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고, 커버본체(110)에 전력선(2)이 가이드부(115)에 의해 상측에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장착되는 장착부(112)가 제 2 볼트(140)와 너트부재의 나사 체결에 의해 상기 전력선(2)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너트부재는 제 1 볼트(130)의 경우 너트(123)일 수 있고, 제 2 볼트(140)의 경우 나사결합편(114)일 수 있다. 또한 장착부(112)는 접합부(113)에 제 2 볼트(140)와 너트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전력선(2)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클로즈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제 2 볼트(140)와 너트부재가 직접 체결됨으로써 전력선(2)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클로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100)는 커버본체(110)와 한 쌍의 클램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본체(110)는 애자(1)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태에서 전력선(2)이 상면에 위치하는 받침부(111)가 마련되고, 받침부(111)의 양측에 전력선(2)이 받침부(111)에 의해 애자(1)로부터 격리되어 장착되도록 상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장착부(112)가 각각 마련되며(도 8 내지 도 12 참조), 장착부(112) 각각에서 상방으로 개방되는 부분의 양단에 접합부(113)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수직되게 각각 마련되며, 마주보는 접합부(113) 각각에 서로 연결되도록 관통홀(113c)이 형성되며, 접합부(113)의 외측면에 관통홀(113c)을 통해서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결합편(114)이 고정되고, 접합부(113) 각각의 상단에 전력선(2)이 장착부(112)에 장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5)가 경사지게 마련되며, 장착부(112) 각각의 하단에 고정부(116)가 하방으로 수직되게 각각 마련되고, 절연을 위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커버본체(110)는 예컨대 PE 등과 같과 같은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나사결합편(114)의 경우, 예컨대 아세탈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세탈수지는 결정성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 하나로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및 내유성 등이 우수하다.
받침부(111)는 상면에 평면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조류집이 올려질 수 있도록 하여 조류와의 공존성을 유지하기 위한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평면을 대신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받침부(111)는 상면에 전력선(2)이 안착되는 안착홈(111a)이 후술하게 될 장착공간(112a)에 일렬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저면에 보강을 위한 격자 형태의 보강리브(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12)는 내측에 전력선(2)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간(112a)이 길이방향과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안착홈(111a)의 내측과 장착공간(112a)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전력선(2)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17)가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접합부(113)는 서로 마주보는 측의 반대측에 나사결합편(114)이 삽입되도록 결합홈(113a)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홈(113a)의 입구측에 나사결합편(114)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4b)에 걸리도록 걸림턱(113b)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113a)의 내측에 관통홀(113c)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3a)은 합성수지의 재질적 특성상 어느 정도 신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나사결합편(114)이 억지 끼움 등에 의해 결합홈(113a)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14b)가 걸림턱(113b)에 걸리게 됨으로써 결합홈(113a)으로부터 나사결합편(114)의 이탈을 억제한다.
접합부(113)는 장착부(112)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예컨대 2개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전력선(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부위를 차단시킴으로써 전력선(2)의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나사결합편(114)은 제 2 볼트(14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하여, 암나사에 해당하는 나사결합홀(114a)이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접합부(113)가 서로 마주보는 측의 반대측인 외측을 향하는 면에 마련되는 결합홈(113a)의 내측에 장착됨으로써 나사결합홀(114a)이 노출된 상태로 관통홀(113c)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115)는 서로 마주보는 측이 상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전력선(2)이 하방으로 쉽게 삽입되어 장착부(112)의 장착공간(112a) 내에 장착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고정부(116)는 장착부(112) 각각의 하부에 마련됨으로써 애자(1)의 목부(1b)를 감싸는 클램프(120)의 체결부(121)가 제 1 볼트(13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클램프(1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애자(1)의 목부(1b; 도 5 참조)에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고, 고정부(116) 각각에 면접촉되기 위한 체결부(121)가 양단에 각각 마련된다. 클램프(120)는 예컨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절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클램프(120)는 한 쌍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체결부(121) 각각에 너트(123)가 회전이 억제되도록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122)이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121)는 반원형태의 클램프(120) 양단에 각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 1 볼트(130)의 관통을 위하여 관통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볼트(130)는 고정부(116)의 관통홀(116a)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체결부(121)의 관통홀(124)을 각각 관통하여 너트(123)에 나사 결합됨으로써,,체결부(121)가 고정부(116)의 양측에 고정되도록 하여, 애자(1)의 목부(1b)를 양측에서 감싸는 클램프(120)가 커버본체(110)를 애자(1)의 고정부(1a)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제 1 볼트(130)는 너트(123)에 대한 원활한 나사 결합을 위하여, 머리가 인접하는 측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생략된 단순곡면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볼트(140)는 서로 대향되는 접합부(113) 각각의 관통홀(113c)을 관통하여 나사결합편(114)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접합부(113)가 서로 접합되도록 하여, 전력선(2)이 장착부(112)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 2 볼트(140)는 제 1 볼트(130)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절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제 2 볼트(140)는 나사결합편(114)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끝단이 나사 체결되도록 머리가 인접하는 측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생략된 단순곡면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커버본체(110를 애자(1)에 고정시키는 단계에 의하면, 애자(1)의 목부(1b) 양측을 클램프(120)로 각각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부(116)와 그 양측에 위치하는 체결부(121)를 제 1 볼트(130)가 관통하여 너트(123)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클램프(120)가 커버본체(110)를 애자(1) 상부의 고정부(1a)에 고정시켜서, 받침부(111)가 전력선(2)의 고정 이전에 애자(1)의 상단에 먼저 고정된 상태에서, 전력선(2)이 후속과정에 의해 장착부(112)에 삽입 및 고정시 받침부(111)에 의해 애자(1)에 격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볼트(130)의 나사 결합은 상기한 복스작업봉(50; 도 16 및 도 17 참조)의 핸들(55; 도 16 참조)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복스소켓(53; 도 16 및 도 17 참조)에 의해 제 1 볼트(130)를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본체(110)를 애자(1)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애자(1)를 완금(3; 도 1 참조)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수행한 후 애자(1)를 완금(3; 도 1 참조)에 다시 조립할 수도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복스작업봉(50)은 예컨대, 상단에 결합부(51a)가 마련되고, 결합부(51a)에 조임볼트(51b)가 마련되는 연장봉(51)과, 결합부(51a)의 외측에 끼워지고, 조임볼트(51b)가 삽입되어 조여지도록 하는 결합홈(52a)이 형성되는 결합몸체(52)와, 결합몸체(52)에 일자 또는 ㄱ자 형태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볼트의 머리가 끼워지며, 결합몸체(52)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결축(53a)과 함께 회전하는 복스소켓(53)과, 연결축(53a)에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축결합부(54a)가 상단에 마련되어 회전지지부(54b)에 의해 연장봉(51)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54)과, 연장봉(5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벨기어나 피니언 그 밖의 회전력전달부(55a)에 의해 회전조작에 의한 회전력을 회전축(54)에 전달하는 핸들(5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55)의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력전달부(55a)를 통해서 회전축(54)과 함께 연결축(53a) 및 복스소켓(53)을 회전시킴으로써, 복스소켓(53)에 끼워진 볼트(13)를 풀도록 한다. 이러한 예에서, 복스소켓(53)은 결합몸체(52)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본 실시례에서처럼 일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예로서 결합몸체(52)에 "ㄱ"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스소켓(53)이 결합몸체(52)에 "ㄱ"자 형태로 배치될 경우, 결합봄체(52)와 복스소켓(53) 사이에 연결축(53a)의 회전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환시켜서 복스소켓(53)에 전달하도록 하는 베벨기어나 피니언 등의 회전력 방향 전환을 위한 기어를 가지는 전환모듈(56)이 부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력선(2)을 장착부(112)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에 의하면, 커버본체(110)가 애자(1)의 고정부(1a)에 고정되면, 애자(1)의 상측으로 상승시킨 전력선(2)을 하강시켜서 가이드부(115)에 가이드되어 받침부(111)의 상면에 위치하면서 장착부(112) 각각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전력선(2)은 작업자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케이블지지장치(20; 도 1 참조)를 사용하여 전력선(2)의 하강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력선(2)은 받침부(111)의 상면에 위치시, 받침부(111)의 상면에 마련되는 안착홈(111a) 내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접합부(113)를 접합시키는 단계에 의하면, 전력선(2)이 받침부(111)의 상면에 위치하면서 장착부(112) 각각의 내측에 삽입되면, 접합부(113)를 제 2 볼트(140)가 관통하여 나사결합편(114)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대향되는 접합부(113)를 접합시켜서 전력선(2)이 장착부(112)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 볼트(140)의 나사 결합은 상기한 복스작업봉(50; 도 16 및 도 17 참조)의 핸들(55; 도 16 참조)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복스소켓(53; 도 16 및 도 17 참조)에 의해 제 2 볼트(140)를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에 따르면, 바인드를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전력선의 단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류 둥지의 접촉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먼저 애자에 커버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버에 전력선을 삽입 및 고정시킴으로써, 전력선의 취급에 대한 어려움이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으며, 커버 또는 애자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위험을 줄이도록 개선된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커버 또는 애자의 교체 작업에 대한 효율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애자 1a : 고정부
1b : 목부 2 : 전력선
3 : 완금 10 : 바인드
11 : 분할 부분 20 : 케이블지지장치
21 : 지지봉 22 : 프레임
22a : 슬릿 23 : 지지롤러
24 : 스토퍼 25 : 회전결합부
30 : 집게작업봉 31 : 고정봉
32 : 가동봉 33 : 고정핑거
34 : 가동핑거 34a : 힌지연결부
35 : 힌지결합부 40 : 커터작업봉
41 : 연장봉 41a : 결합부
41b : 조임볼트 42 : 결합몸체
42a : 결합홈 43 : 리드스크루
44 : 이동블록 45 : 제 1 가위날
45a : 제 1 힌지결합부 46 : 제 2 가위날
46a : 제 2 힌지결합부 46b : 제 3 힌지결합부
47 : 회전축 47a : 축결합부
47b : 회전지지부 48 : 핸들
48a : 회전력전달부 50 : 복스작업봉
51 : 연장봉 51a : 결합부
51b : 조임볼트 52 : 결합몸체
52a : 결합홈 53 : 복스소켓
53a : 연결축 54 : 회전축
54a : 축결합부 54b : 회전지지부
55 : 핸들 55a : 회전력전달부
56 : 전환모듈
100 : 설치 대상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110 : 커버본체 111 : 받침부
111a : 안착홈 111b : 보강리브
112 : 장착부 112a : 장착공간
113 : 접합부 113a : 결합홈
113b : 걸림턱 113c : 관통홀
114 : 나사결합편 114a : 나사결합홀
114b : 걸림돌기 115 : 가이드부
116 : 고정부 116a : 관통홀
117 : 지지돌기 120 : 클램프
121 : 체결부 122 : 장착홈
123 : 너트 124 : 관통홀
130 : 제 1 볼트 131 : 단순곡면부
140 : 제 2 볼트 141 : 단순곡면부

Claims (10)

  1. 애자에 바인드로 묶인 전력선을 케이블지지장치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바인드를 커터작업봉에 의해 절단하는 단계;
    상기 커터작업봉에 의해 절단된 바인드의 분할 부분을 집게작업봉으로 그립핑하여 당겨서 상기 전력선이나 상기 애자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바인드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바인드의 분할 부분을 분리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바인드 전체를 상기 애자와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선을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해 상기 애자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선을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해 상기 애자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애자의 상단에 설치되는 받침부의 양측에 상기 전력선이 상기 받침부에 의해 상기 애자로부터 격리되어 장착되도록 상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장착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 각각에서 상방으로 개방되는 부분의 양단에 접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접합부의 외측면에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편이 고정되고, 상기 접합부의 상단에 상기 전력선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 각각의 하단에 고정부가 마련되고,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본체와, 상기 고정부 각각에 면접촉되기 위한 체결부가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애자의 목부 양측을 상기 클램프로 각각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와 그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체결부를 제 1 볼트가 관통하여 너트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목부 양측을 각각 감싸는 상기 클램프가 상기 커버본체를 상기 애자에 고정시켜서, 상기 받침부가 상기 전력선의 고정 이전에 상기 애자의 상단에 먼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력선이 후속과정에 의해 상기 장착부에 삽입 및 고정시 상기 받침부에 의해 상기 애자에 격리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전력선을 하강시켜서 상기 가이드부에 가이드되어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장착부 각각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를 제 2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나사결합편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대향되는 상기 접합부를 접합시켜서 상기 전력선이 상기 장착부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 후 케이블지지장치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한 전력선 고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드를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집게작업봉으로 상기 전력선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바인드를 쳐서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바인드를 상기 커터작업봉에 의해 절단하도록 하는,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터작업봉은,
    상단에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에 조임볼트가 마련되는 연장봉;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조임볼트가 삽입되어 조여지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몸체;
    상기 결합몸체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리드스크루;
    상기 리드스크루에 나사 결합되는 이동블록;
    상기 결합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제 1 가위날;
    상기 이동블록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위날에 힌지 결합되는 제 2 가위날;
    상기 리드스크루에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축결합부가 상단에 마련되어 회전지지부에 의해 상기 연장봉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연장봉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력전달부에 의해 회전조작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핸들;
    을 포함하는,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본체가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 상기 전력선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간이 길이방향과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상기 전력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기 장착공간에 일렬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내측과 상기 장착공간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전력선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되는,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한 전력선 고정방법.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접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측의 반대측에 상기 나사결합편이 삽입되도록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입구측에 상기 나사결합편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볼트가 상기 나사결합편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에 끝단이 나사 체결되도록 머리가 인접하는 측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생략된 단순곡면부가 형성되는,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한 전력선 고정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볼트의 나사 결합은,
    복스작업봉의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복스소켓에 의해 제 1 및 제 2 볼트를 체결하도록 하는,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스작업봉은,
    상단에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에 조임볼트가 마련되는 연장봉;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조임볼트가 삽입되어 조여지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몸체;
    상기 결합몸체에 일자 또는 ㄱ자 형태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볼트의 머리가 끼워지며, 상기 결합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결축과 함께 회전하는 복스소켓;
    상기 연결축에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축결합부가 상단에 마련되어 회전지지부에 의해 상기 연장봉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연장봉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력전달부에 의해 회전조작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핸들;
    을 포함하는,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KR1020180068676A 2018-06-15 2018-06-15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KR101963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676A KR101963635B1 (ko) 2018-06-15 2018-06-15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676A KR101963635B1 (ko) 2018-06-15 2018-06-15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635B1 true KR101963635B1 (ko) 2019-03-29

Family

ID=6589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676A KR101963635B1 (ko) 2018-06-15 2018-06-15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968A (ko) * 2019-03-30 2020-10-0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바인드를 대신하여 전력선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KR20200115971A (ko) * 2019-03-30 2020-10-0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대신하여 전력선 고정장치를 이용한 전력선 고정방법
KR20200115969A (ko) * 2019-03-30 2020-10-0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애자 일체형 전력선 고정장치
KR20200115970A (ko) * 2019-03-30 2020-10-0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애자 장착형 전력선 고정장치
KR20210016895A (ko) * 2019-08-06 2021-02-17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204U (ko) * 1997-03-21 1998-11-05 이희구 전선보호 덮개
JP2003189433A (ja) * 2001-12-19 2003-07-04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配電線工事施工法とそれに使用する工具
JP2008042990A (ja) * 2006-08-02 2008-02-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巻付バインド着脱工具
KR200446357Y1 (ko) * 2009-07-23 2009-10-22 유정호 라인포스트 애자용 커버
JP2011254692A (ja) * 2010-06-03 2011-12-15 Yokichi Zaitsu 高所電線の切断工具
KR20120136953A (ko) * 2011-06-10 2012-12-20 한국전력공사 배전 철탑용 활선공구 세트
JP2013165586A (ja) * 2012-02-10 2013-08-22 Furukawa Electric Power Systems Co Ltd 電線絶縁カバ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204U (ko) * 1997-03-21 1998-11-05 이희구 전선보호 덮개
JP2003189433A (ja) * 2001-12-19 2003-07-04 Kyushu Electric Power Co Inc 配電線工事施工法とそれに使用する工具
JP2008042990A (ja) * 2006-08-02 2008-02-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巻付バインド着脱工具
KR200446357Y1 (ko) * 2009-07-23 2009-10-22 유정호 라인포스트 애자용 커버
JP2011254692A (ja) * 2010-06-03 2011-12-15 Yokichi Zaitsu 高所電線の切断工具
KR20120136953A (ko) * 2011-06-10 2012-12-20 한국전력공사 배전 철탑용 활선공구 세트
JP2013165586A (ja) * 2012-02-10 2013-08-22 Furukawa Electric Power Systems Co Ltd 電線絶縁カバ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968A (ko) * 2019-03-30 2020-10-0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바인드를 대신하여 전력선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KR20200115971A (ko) * 2019-03-30 2020-10-0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대신하여 전력선 고정장치를 이용한 전력선 고정방법
KR20200115969A (ko) * 2019-03-30 2020-10-0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애자 일체형 전력선 고정장치
KR20200115970A (ko) * 2019-03-30 2020-10-0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애자 장착형 전력선 고정장치
KR102187097B1 (ko) * 2019-03-30 2020-12-04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바인드를 대신하여 전력선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KR102187102B1 (ko) 2019-03-30 2020-12-04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애자 일체형 전력선 고정장치
KR102193977B1 (ko) * 2019-03-30 2020-12-22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대신하여 전력선 고정장치를 이용한 전력선 고정방법
KR102206709B1 (ko) * 2019-03-30 2021-01-25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애자 장착형 전력선 고정장치
KR20210016895A (ko) * 2019-08-06 2021-02-17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KR102372310B1 (ko) 2019-08-06 2022-03-10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635B1 (ko)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KR101978980B1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한 전력선 고정방법
KR101903344B1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100934083B1 (ko) 점퍼선 고정기구
JP5980844B2 (ja) 電線仮接続装置及び電線仮接続方法
KR102187097B1 (ko) 바인드를 대신하여 전력선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US9472927B2 (en) Wire stripping and cutting tool
KR102354242B1 (ko) 박리용 공구
JP2010093006A (ja) 変圧器用ブッシングカバー及び変圧器用ブッシングカバーの取り付け方法
JP6870854B2 (ja) 鳥害防止用索条の保持具
US8901429B2 (en) Dimensionally adjustable cover for conductors and insulators
JP5349509B2 (ja) 縁線接続方法
KR102182863B1 (ko) 송전선용 접지장치
JP2009177898A (ja) 接地短絡器具
KR100700710B1 (ko) 케이블 필러
JP4270671B2 (ja) 電線保持工具
KR102506253B1 (ko) 스마트 스틱용 클램프 헤드 및 클램프 헤드가 장착된 스마트 스틱
JP6892651B2 (ja) 防鳥用索条の張架方法
JP7138292B2 (ja) 鳥害防止具
JP7124636B2 (ja) 腕金用鳥害防止具
KR102193977B1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대신하여 전력선 고정장치를 이용한 전력선 고정방법
KR102485150B1 (ko) 전선 스페이서
CN220797655U (zh) 剥离用工具
US20180331520A1 (en) Clamping device and method
KR20120005002U (ko) 밴드케이블의 라운드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