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204U - 전선보호 덮개 - Google Patents

전선보호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204U
KR19980061204U KR2019970005407U KR19970005407U KR19980061204U KR 19980061204 U KR19980061204 U KR 19980061204U KR 2019970005407 U KR2019970005407 U KR 2019970005407U KR 19970005407 U KR19970005407 U KR 19970005407U KR 19980061204 U KR19980061204 U KR 199800612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re
bodies
wires
wire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옥
Original Assignee
이희구
세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구, 세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구
Priority to KR2019970005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204U/ko
Publication of KR19980061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204U/ko

Link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류클램프에 의해 각각 분리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압선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라인포스트애자(LP애자)에 받침되어 가선되는 전선을 보호 커버하기 위한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류클램프 사이에 가선되는 전선의 굴곡 형태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연결 접속하여 절연불량으로 인한 누전 또는 쇼트등의 전기(電氣)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선보호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라인포스트애자를 커버하고 있는 라인포스트애자 덮개와 동시에 연결되어지면서 이에 가선되는 전선을 보호 커버하기 위한 전선보호 덮개(1)를 형성함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형으로 상호 분할 조립되고, 지지관체(11)(21)의 양단으로는 크기가 다른 구면체의 홀더부(30)와 삽설부(40)를 형성하기 위한 반원관체(31, 32)(41, 42)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커버체(10)(20)와; 상기 한쌍의 커버체(10)(20)가 상호 조립시 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설부(40)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로만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진 다수의 걸림돌편(51)과 돌출편(52)으로 이루어진 로크수단(50)과; 상기 커버체(10)(20)를 상호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연결 지지하기 위하여 홀더부(30)를 구성하는 반원관체(31)(32)와의 사이에 연설된 연결띠(60)로 구성하여 줌으로써 가선되는 전선의 굴곡형태에 관계없이 간편 용이하게 절연 커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보호 덮개
본 고안은 인류클램프에 의해 각각 분리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압선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라인포스트애자(LP애자)에 받침되어 가선되는 전선을 보호 커버하기 위한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류클램프 사이에 가선되는 전선의 굴곡 형태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연결 접속하여 절연불량으로 인한 누전 또는 쇼트등의 전기(電氣)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선보호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선은 지면(地面)으로부터 일정높이 만큼 적정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각 전주들의 완금상에 세워지는 애자기구에 의해 지탱되게 가선되고, 또한 가선되는 고압선의 연결단부는 해당 전주의 완금상에 장착되는 각 인류클램프에 의해 상호 분리되게 고정 설치되어지며, 각 인류클램프 사이로는 별도의 접속용 전선을 가선하여 상호 도통되게 연결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각 인류클램프 사이에 가선되는 전선은 완금상에 고정된 절연체인 라인포스트 애자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일지점이 받침되게 피복전선과 같은 결속부재로 단단히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인류클램프 사이에 별도로 가선되는 전선은 피복전선에 의해 라인포스트애자에 강하게 조임됨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강한 압지력이나 바람 등의 마찰에 의래 의해 피복전선이 벗져질 수 있고, 또한 인류클램프와 전선 및 전주사이로는 일정한 설치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조류가 둥지를 짓거나 또는 나무가지가 걸쳐지는 등의 각종 외력에 의해 전선의 절연상태가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누전이나 숏트등 전기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것이어서 인류클램프 사이에 가선되는 전선을 각종의 장애요소들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덮개로 커버하여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라인포스트애자에 받침되는 상태로 인류클램프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을 별도로 커버하기 위한 덮개가 있었으나, 가선되는 전선의 양단부가 연결 구조상 굴곡되어지면서 가선되는 것이어서 단순히 직선상태의 전선을 커버하기에 용이하도록 제작되어진 합성수지재의 덮개 자체가 전선의 굴곡상태에 맞추어 잘 휘어지지 않게 되어 자연적으로 전선의 커버상태가 불량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사용도중 바람등의 각종 외력에 의해 덮개가 전선으로 부터 쉽게 이탈되거나 벗겨지게 되어 전선의 절연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압선의 연결단부가 고정되는 인류클램프 사이로 가선됨과 동시에 라인포스트애자에 받침되게 결속되는 전선의 굴곡상태에 맞추어 덮개를 간편 용이하게 굴곡 접속하여 전선을 안정적으로 커버하여 줌으로써 각종 외력에 의해서도 사용도중 쉽게 이탈되거나 벗겨지지 않게 되어 전선의 절연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전선보호 덮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의 개방상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의 설치상태를 보인 반 단면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덮개의 연결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선보호 덮개10, 20 : 커버체
30 : 홀더부40 : 삽설부
50 : 로크수단60 : 연결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 덮개의 특징은, 라인포스트애자를 커버하고 있는 라인포스트애자 덮개와 동시에 연결되어지면서 이에 가선되는 전선을 보호 커버하기 위한 전선보호 덮개를 형성함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형으로 상호 분할 조립되고, 지지관체의 양단으로는 크기가 다른 구면체의 홀더부와 삽설부를 형성하기 위한 반원관체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커버체와; 상기 한쌍의 커버체가 상호 조립시 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설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로만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진 다수의 걸림돌편과 돌출편으로 이루어진 로크수단과; 상기 커버체를 상호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연결 지지하기 위하여 홀더부를 구성하는 반원관체와의 사이에 연설된 연결띠로 구성되어진 점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삽설부 구면체는 이에 연속적으로 연결 접속되는 다른 전선보호 덮개의 홀더부와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삽설되기 위하여 상기 홀더부의 내주구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 덮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 덮개(1)의 구조를 보이기 위해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선보호 덮개(1)는 통상의 라인포스트애자에 가선되는 소정의 굵기를 갖는 전선을 감쌀 수 있도록 중공형의 내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호 대향되게 분할되어진 한쌍의 커버체(10)(2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한쌍의 커버체(10)(20)로는 조립시 원통형을 이루기 위한 반원상의 지지관체(11)(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지지관체(11)(21)의 일 측단으로는 구면(球面)체의 홀더부(30)를 형성하기 위한 반원상의 분할관체(31)(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 측단으로는 또 다른 구면(球面)체의 삽입부(40)를 형성하기 위한 반원상의 분할관체(41)(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부(40)를 형성하는 구면체의 크기는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연결 접속되는 동일한 형태를 갖는 또 다른 전선보호덮개의 홀더부가 삽입부(40)를 충분히 포감하여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 지지되는 점을 감안하여 예컨데 홀더부(30)의 내주 구면에 상호 밀착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각 커버체(10)(20)의 지지관체(11)(21)와, 삽입부(40)의 반원관체(41)(42)로는 분할면의 양단 내측으로 조립시 이들의 안정적인 받침을 위한 한쌍의 받침턱(14)과 받침리브(24)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커버체(10)(20)로는 커버시 이들이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크수단(50)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로크수단은 일측의 커버체(10)에 대향으로 형성되어지고 걸림턱(511)이 구비된 다수의 걸림돌편(51)과, 타측의 커버체(2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지고 걸림돌편(51)이 관통설치되는 끼움공(521)이 형성된 다수의 돌출편(5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로크수단(50)은 커버체(10)(20)의 지지관체(11)(21)와, 구면체의 홀더부(30)를 구성하는 반원관체(31)(32)의 분할면 양단 외주연을 따라서만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구면체의 삽설부(40)로는 다른 전선보호덮개의 홀더부가 연속적으로 연결 접속되는 점을 감안하여 이들의 접속시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자유자재로 유설되어 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한쌍의 커버체(10)(20)는 홀더부(30)의 반원관체(31)(32)와의 사이를 하나이상의 연결띠(60)로 상호 일체로 연결 지지되게 형성하여 줌으로서 운반 또는 설치시 각각 별도로 분할되지 않고 항상 일체로 연결되어 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 덮개(1)는 도 2와 같이 한쌍의 커버체(10)(20)를 상호 조립하면 일측의 커버체(10)로 형성된 로크수단(50)인 걸림돌편(51)이 타측 커버체(20)의 돌출편(52)에 형성된 끼움공(521)에 관통되어 짐과 동시에 걸림턱(511)이 돌출편(52)의 끼움공(521)에 상호 빠지지 않도록 걸림되어져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확실하게 체결되어 지는 것이며, 커버체(10)(20)의 양단으로는 하나의 구면체를 갖는 홀더부(30)와 삽입부(40)가 각각 형성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 덮개(1)의 설치 상태를 보인 반 단면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주(100)의 양측으로 연결 설치된 완금(101) 상으로는 하나의 라인포스트애자(103)가 세워지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완금(101)의 횡방향으로는 통사의 고압선을 연결 지지하기 위한 인류클램프(104)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인류클램프(104) 사이로는 단절되어 있는 고압선을 도통시키기 위한 전선(105)이 가선되어 지는 바, 전선(105)는 양단부가 가선 구조상 양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휘어지게 인류클램프(104)와의 사이에 상호 가선되어 있으며, 가선되는 전선(105)는 일지점이 라인포스트애자(103)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받침되고, 또한 미도시된 결속부재에 의해 단단히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라인포스트애자(103)로는 전선(105)이 양측으로 형성된 구면체의 돌출관(106)에 관통되는 상태로 라인포스트 덮개(107)가 씌워져 있고 이의 양측으로 가선되어진 가선(105)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 덮개(1)의 연결 접속에 의해 전선이 커버되어 있는 바, 라인포스트애자(103)에 받침되는 상태로 인류클램프(104) 사이에 가선되는 전선(105)을 커버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즉, 도 1과 같이 최초에 분할상태로 개방되어 있는 커버체(10)(20)를 일측의 홀더부(30)가 라인포스트애자 덮개(107)의 구면체인 연결관(106)을 감싸는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로크수단(50)을 이용하여 조립한 다음 라인포스트애자 덮개(107)에 이미 홀더부(30)가 연결된 전선보호 덮개(1)에 대하여 동일형상의 다른 전선보호 덮개의 홀더부를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전선보호 덮개(1)의 삽입부(40)를 도 4와 같이 포감하는 상태로 해당 덮개의 로크수단(50)을 조임하여 주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방법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덮개(1)는 연속적으로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호 순차적으로 연결 접속되는 각 전선보호 덮개(1)는 홀더부(30)와 삽입부(40)가 구면체로 형성되어 상호 접속되기 때문에 이들의 접속시 상호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구면으로 밀착되어지는 것이어서 설사 전선(105)이 휘어지게 가선된 부위로도 구면체로 이루어진 홀더부(30)와 삽입부(40)가 각기 구면접촉에 의한 구면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관계로 인하여 전선(105)의 가선상태에 따라 그 연결상태를 적절하게 굴곡 조절하면서 연속적으로 접속 커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홀더부(30)는 삽입부(40)에 대하여 구면상태로 감싸짐에 따라 임의의 위치로 접속위치를 조절하더라도 상호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더욱이 로크수단(50)들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지기 때문에 상호 연결 접속되어 있는 각 전선보호 덮개가 외력에 의해서도 전선으로부터 해탈되거나 분리될 염려없이 항상 전선의 절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 덮개에 의하면, 커버체의 양단으로 형성된 구면체의 홀더부와 삽설부에 의해 라인포스트애자에 가선되는 전선의 형태에 관계없이 자유자재로 간편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연결 접속하여 전선을 항상 안전하게 보호 커버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라인포스트애자를 커버하고 있는 라인포스트애자 덮개와 동시에 연결되어지면서 이에 가선되는 전선을 보호 커버하기 위한 전선보호 덮개(1)를 형성함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형으로 상호 분할 조립되고, 지지관체(11)(21)의 양단으로는 크기가 다른 구면체의 홀더부(30)와 삽설부(40)를 형성하기 위한 반원관체(31, 32)(41, 42)가 대향되게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커버체(10)(20)와;
    상기 한쌍의 커버체(10)(20)가 상호 조립시 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설부(40)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로만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진 다수의 걸림돌편(51)과 돌출편(52)으로 이루어진 로크수단(50)과;
    상기 커버체(10)(20)를 상호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연결 지지하기 위하여 홀더부(30)를 구성하는 반원관체(31)(32)와의 사이에 연설된 연결띠(60)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 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삽입부(40)의 구면체는 이에 연속적으로 연결 접속되는 다른 전선보호 덮개의 홀더부와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삽설되기 위하여 상기 홀더부(40)의 내주구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 덮개.
KR2019970005407U 1997-03-21 1997-03-21 전선보호 덮개 KR199800612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407U KR19980061204U (ko) 1997-03-21 1997-03-21 전선보호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407U KR19980061204U (ko) 1997-03-21 1997-03-21 전선보호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204U true KR19980061204U (ko) 1998-11-05

Family

ID=6969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407U KR19980061204U (ko) 1997-03-21 1997-03-21 전선보호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20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92B1 (ko) * 2007-03-13 2007-05-28 육지영 현수애자 안착형 분기슬리브
KR200446007Y1 (ko) * 2009-06-11 2009-09-17 김주찬 조류 집짓기 방지용 애자덮개
KR101963635B1 (ko) * 2018-06-15 2019-03-29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KR101978980B1 (ko) * 2018-06-15 2019-05-17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한 전력선 고정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92B1 (ko) * 2007-03-13 2007-05-28 육지영 현수애자 안착형 분기슬리브
KR200446007Y1 (ko) * 2009-06-11 2009-09-17 김주찬 조류 집짓기 방지용 애자덮개
KR101963635B1 (ko) * 2018-06-15 2019-03-29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바인드를 대신하여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를 이용하는 전력선 고정방법
KR101978980B1 (ko) * 2018-06-15 2019-05-17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에 의한 전력선 고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0087B2 (ja) 電源ケーブル接続器
US5817980A (en) Connector element for variably laying and protecting electrical cables
US7112745B2 (en) Protector cover for terminal group
US6227251B1 (en) Wire protecting structure
KR19980061204U (ko) 전선보호 덮개
PT1978616T (pt) Passa-muros e método de fabrico do mesmo
KR100582193B1 (ko) 지중매설용 전주 고압선지지대
US8299362B2 (en) Cable adapter and adapted system
JP4979541B2 (ja) ケーブル固定具の固定方法
KR10219382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JP2007282428A (ja) 架空絶縁電線の引留構造
CA2161452A1 (en) Variable phase positioning device
JP2007288884A (ja) 絶縁保護カバー、絶縁保護構造及び絶縁保護カバー取付方法
KR100713213B1 (ko) 고압케이블 접속안전튜브
JP6706863B2 (ja) ケーブル牽引構造及びケーブル端末
JP6706862B2 (ja) ケーブル端末牽引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JPS5812514Y2 (ja) 蛇管の取付け具
JPH0419171Y2 (ko)
JP3374928B2 (ja) 保護キャップ
JP3585521B2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02093517A (ja) 高圧ケーブルの中間コネクタ
KR101178797B1 (ko) 방수용 전선 접속 커넥터
CN213026669U (zh) 一种便于套接外壳的线束
JP200710478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分岐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0331234Y1 (ko) 전선 연결 멀티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