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566A -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566A
KR20190016566A KR1020197000719A KR20197000719A KR20190016566A KR 20190016566 A KR20190016566 A KR 20190016566A KR 1020197000719 A KR1020197000719 A KR 1020197000719A KR 20197000719 A KR20197000719 A KR 20197000719A KR 20190016566 A KR20190016566 A KR 20190016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portion
shaft
support shaft
suppor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303B1 (ko
Inventor
요이치 히라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90016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of foldable trays mounted on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2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sliding-contact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회동체에 소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한다. 이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는, 베이스 패널(20)에 형성된 내측 축받이부(22)와, 컵 홀더(40L)에 형성되어 내측 축받이부(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내측 지지축(45)을 구비한다. 내측 축받이부(22)는 베이스 패널(2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슬릿(24s, 26s)을 가진다. 이 슬릿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센터 커버(80)가 설치된다. 컵 홀더(40L)는, 베이스 패널(2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소정 이상의 하중을 받았을 때, 내측 지지축(45)이 슬릿(24s, 26s)을 통해서 내측 축받이부(22)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그 내측 지지축(45)이 센터 커버(80)를 내측으로부터 압압해서 센터 커버(80)가 내측 축받이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내측 축받이부(22)로부터 빠진다.

Description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축받이부와, 회동체에 형성되어 축받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을 구비하고,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회동체가 지지축 둘레에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회동되는 축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축지지 구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동 문헌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회동체인 홀더에 소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홀더의 지지축이 베이스 부재의 정면측으로 개구되는 가이드홈 단부의 돌기를 타고 넘어서 가이드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에 의해, 축지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 이하, 이러한 종류의 축지지 구조에 있어서, 축지지 부품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한 구조를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fail-safe structure)"라고도 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340241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에서는, 가이드홈 단부에 형성된 돌기만에 의해서 지지축의 빠짐을 방지하므로, 지지축이 가이드홈으로부터 빠질 때의 하중의 편차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그 편차의 정도에 따라서는 홀더의 지지축이 가이드홈으로부터 쉽게 빠져버리거나, 혹은 가이드홈으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동 문헌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회동체에 소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홀더 지지축 등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하는데 있어 검토의 여지가 있다.
또한, 동 문헌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가이드홈 단부가 정면측을 향해서 시각 확인 가능한 위치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축받이부의 홈이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외관이 좋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주목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회동체에 소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회동체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는,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축받이부와, 회동체에 형성되어 상기 축받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상기 회동체가 상기 지지축 둘레에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회동되는 축지지 구조로서, 상기 축받이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개구되는 슬릿과, 당해 슬릿에 대향하는 위치에 당해 슬릿을 덮도록 설치된 규제 부재를 가지며, 상기 회동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한 소정 이상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상기 지지축이 상기 슬릿을 통해서 상기 축받이부 내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그 이동을 한 상기 지지축이 상기 규제 부재를 내측으로부터 압압해서 상기 규제 부재가 상기 축받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축이 상기 축받이부로부터 빠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에 따르면, 상기 회동체가 베이스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한 소정 이상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지지축이 축받이부 내로부터 빠지므로, 회동체의 지지축 등의 부분의 파손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에 따르면, 회동체는, 지지축이 슬릿을 통해서 축받이부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그 이동을 한 지지축이 규제 부재를 압압해서 규제 부재가 축받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지지축이 축받이부 내로부터 빠지므로, 축받이부에 형성한 슬릿과, 이 슬릿을 덮도록 설치된 규제 부재와의 협동에 의해, 회동체의 지지축 등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이면,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가이드홈 단부에 형성된 돌기만에 의해서 지지축의 빠짐을 방지하는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에 비해서, 슬릿에 의한 구속력을 규제 부재의 유지력이 부담하는 분량만큼 작게 해서 슬릿으로부터 지지축을 빠지기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축이 슬릿을 통해서 축받이부로부터 빠질 때의 하중의 편차를 비교적 작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슬릿에 의한 구속력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지지축이 슬릿을 통해서 축받이부로부터 빠질 때의 슬릿 및 지지축이 받는 힘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는, 회동체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하는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로서 우수하다. 또한, 빠진 상태의 회동체를 정규의 장착 상태로 간단히 손으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에 따르면, 규제 부재는 슬릿에 대향하는 위치에 당해 슬릿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축지지부의 슬릿이 덮여 가려지기 때문에,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는, 베이스 부재에 동축(同軸)으로 형성되는 2개의 축받이부와, 회동체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축받이부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2개의 지지축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상기 회동체가 상기 2개의 지지축 둘레에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회동되는 축지지 구조로서, 상기 2개의 축받이부 중, 적어도 일측의 축받이부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규제부를 가지며, 타측의 축받이부측으로부터 상기 일측의 축받이부측으로 상기 회동체가 소정 이상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상기 회동체가 상기 일측의 축받이부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규제부가 탄성 변형함과 함께, 상기 타측의 축받이부에 대응하는 지지축이 상기 타측의 축받이부로부터 빠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에 따르면, 타측의 축받이부측으로부터 일측의 축받이부측으로 회동체가 소정 이상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타측의 축받이부에 대응하는 지지축이 타측의 축받이부로부터 빠지므로, 회동체의 지지축 등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에 따르면, 회동체는, 2개의 축받이부 중, 적어도 일측의 축받이부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규제부를 가지고, 타측의 축받이부측으로부터 일측의 축받이부측으로 회동체가 소정 이상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회동체가 일측의 축받이부측으로 이동하도록 규제부가 탄성 변형함과 함께, 타측의 축받이부에 대응하는 지지축이 타측의 축받이부로부터 빠지므로, 축받이부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규제부와, 이 규제부의 탄성 변형 시에 대응해서 축받이부로부터 빠지는 지지축과의 협동에 의해, 회동체의 측방으로부터 작용한 하중에 대해서, 회동체의 지지축 등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이면,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가이드홈 단부에 형성된 돌기만에 의해서 지지축의 빠짐을 방지하는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에 비해서, 타측의 축받이부에 의한 회동체의 지지축이 유지해야할 몫을, 규제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축 방향 이동량이 부담하는 분량만큼 작게 하면, 타측의 축받이부로부터 지지축을 빠지기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빠진 상태의 회동체를 정규의 장착 상태로 간단히 손으로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타측의 축받이부 내로부터 지지축이 빠질 때의 하중의 편차를 비교적 작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규제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축 방향에의 회동체의 이동 효과에 의해, 타측의 축받이부에 의한 구속력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타측의 축받이부 내로부터 지지축이 빠질 때의 타측의 축받이부 및 지지축이 받는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는, 회동체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하는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로서 우수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체에 소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회동체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접이식 테이블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동 도(a)는, 테이블 본체를 개방한 사용 자세를 나타내고, 동 도(b)는, 동 도(a)의 이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냄.
도 2는 도 1(a)에 나타내는 접이식 테이블의 컵 홀더의 축지지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a)는 베이스 패널 중앙의 커버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또한 도 2(b)는 동 도(a)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a)에 나타내는 접이식 테이블의 설명도이며, 도 3(a)는 정면 약간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 도 3(b)는 정면도.
도 4는 베이스 패널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컵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컵 홀더의 지지축부 페일 세이프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동 도(a)는 도 3(b)의 Z-Z 단면도, 도 5(b)는 도 3(b)의 Y-Y 단면도.
도 6은 컵 홀더의 지지축부 페일 세이프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동 도(a)는 사용 위치에 있어서의 평면도로서 주요부를 파단해서 나타내고, 동 도(b)는 (a)에서의 B부 확대도.
도 7은 베이스 패널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커버체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8은 컵 홀더의 지지축부에 소정 이상의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페일 세이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동 도(a)는 도 5(a)에 대응하고, 도 8(b)는 도 5(b)에 대응하는 페일 세이프 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냄.
도 9는 컵 홀더의 지지축부의 페일 세이프 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동 도(a)는 좌측(외측)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페일 세이프 상태를 나타내고, 동 도(b)는 우측(내측)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페일 세이프 상태를 나타냄.
도 10은 컵 홀더의 지지축부의 페일 세이프 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동 도(a)는 좌측(외측)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페일 세이프 상태를 나타내고, 도 도(b)는 그때의 중앙의 커버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동 도(c)는 동 도(b)의 C부 확대도를 나타냄.
도 11은 컵 홀더의 지지축부의 페일 세이프 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동 도(a)는 우측(내측)으로부터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페일 세이프 상태를 나타내고, 도 도(b)는 그때의 중앙의 커버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동 도(c)는 동 도(b)의 D부 확대도를 나타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는 차량용 시트의 백레스트(등받이)의 배면에 장착되는 접이식 테이블에 설치된 컵 홀더의 지지축부에 적용한 예이다.
또,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다. 따라서 두께와 평면 치수의 관계,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하며,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장치나 방법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구조, 배치 등을 하기의 실시형태로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접이식 테이블(10)은, 베이스 패널(20)과 테이블 본체(30)를 가진다. 베이스 패널(20)은 평면 보기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제의 부재이다. 베이스 패널(20)의 이면에는 보강 리브나 백레스트에 장착하기 위한 걸림부가 적당한 곳에 형성되어 있다(동 도(b) 참조). 베이스 패널(20)의 하부에는 차량 폭 방향이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CL)을 가지는 힌지 기구(5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백레스트의 배면에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의 백레스트 피니셔가 장착되고, 베이스 패널(20)은 이 백레스트 피니셔의 상부측의 오목부 부분을 덮도록 볼트나 고정구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서 적당한 곳이 고정된다.
테이블 본체(30)는 평면 보기에 있어서 베이스 패널(20)의 외형 형상과 대략 서로 비슷한 형상을 이루는 플라스틱제의 부재이다. 테이블 본체(30)는, 베이스 패널(20) 하부의 지지축(CL) 둘레에 자신의 기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테이블 본체(30)를 개방한 사용 자세(U)(동 도(a))로부터 테이블 본체(30)를 베이스 패널(20)측으로 폐쇄한 격납 자세(도시하지 않음)까지 회동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자세(U)에 있어서, 테이블 본체(30)는 테이블 얹음면(30m)이 대략 수평으로 되는 위치로 전개된다.
또, 테이블 본체(30)는, 차량용 시트의 백레스트가 약간 뒤쪽으로 기울임 작동된 통상의 기립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사용 자세(U)에서는 테이블 얹음면(30m)이 대략 수평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지만, 백레스트는 통상적으로 리클라이닝 기구에 의해 경사 자세를 조정 가능하므로, 사용 자세(U)에 있어서의 테이블 본체(30)의 수평 상태도 리클라이닝 각도에 대응해서 변동한다.
베이스 패널(20) 및 테이블 본체(30) 상호는, 테이블 본체(30)를 베이스 패널(20)측으로 폐쇄한 격납 자세 시에 상호의 부재에 설치된 맞물림 구조를 가지는 후크부(60)에 의해서 로크되어 격납 자세가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후크부(60)는 상기 상호의 부재에 설치된 맞물림 구조로서,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20)의 상측 가장자리부 중앙에 형성된 후크(61)와, 테이블 본체(30)의 상측 가장자리부 중앙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65)을 가진다. 테이블 본체(30)측에는 후크(61)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수동으로 내리누름 조작하는 누름 버튼(66)이 설치되어 있다.
후크부(60)는 격납 자세에 있어서는, 후크(61)를 걸어맞춤 구멍(65)에 탄성적으로 로크시켜서, 테이블 본체(30)의 회동 운동을 규제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자가 손으로 누름 버튼(66)을 내리누르면, 후크(61)가 내리눌려서 걸어맞춤 구멍(65)에 대한 로크 상태로부터 빠져 후크부(60)의 걸어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테이블 본체(30)는, 테이블 본체(30)를 베이스 패널(20)에 연결하는 힌지 기구(50)에 의해서 베이스 패널(20)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또한 복수의 자세의 유지 및 그 해제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힌지 기구(50)는 도 1(b)에 배면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구성 부재로서 쌍을 이루는 2세트의 캠체(51)와 코일스프링(53)을 가진다. 2세트의 캠체(51)는, 축 방향 양측의 좌우 대칭인 위치에 중앙의 코일스프링(53)에 의해 축 방향 외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대향 배치된다. 힌지 기구(50)의 구성 부재는 베이스 패널(20) 및 테이블 본체(30) 각각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케이스(70) 내에 그 배면측으로부터 조립된다.
이 힌지 기구(50)는, 베이스 패널(20)에 대해서 테이블 본체(30)를 탑승자가 수동으로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면, 코일스프링(53)에 의한 가압력이 각 세트의 캠체(51)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해, 양 캠체(51)가 서로 소정 각도까지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또한, 그 소정 각도에 때응한 위치에서 양 캠체(51)의 캠면에 형성된 요철 형상이 소정의 걸어맞춤 상태로 되어, 베이스 패널(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 자세로 테이블 본체(30)를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접이식 테이블(10)에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20)의 표면(21)에 접이 가능한 2세트의 컵 홀더(40L, 40R)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2세트의 컵 홀더(40L, 40R)의 사이에는 커버체인 센터 커버(8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컵 홀더(40L, 40R)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부의 좌우에 동축 상에 형성된 지지축(45, 46)을 각각 가진다. 센터 커버(80)는 각 컵 홀더(40L, 40R)의 중앙측의 내측 지지축(45)의 부분을 덮도록 장착되며, 베이스 패널(20)의 중앙 부분이 보기 좋게 유지된다.
각 컵 홀더(40L, 40R)는 좌우의 지지축(45, 46)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베이스 패널(20)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컵 홀더(40L, 40R)는, 베이스 패널(20)에 대해 좌우의 지지축(45, 46)의 축선(CLh)(도 3(a) 참조) 둘레에서, 제 1 위치인 접혀진 격납 위치(H)와 제 2 위치인 전개된 사용 위치(S)로 각각 개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 패널(20)의 표면(21)에는, 접이 시에 좌우의 컵 홀더(40L, 40R)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1L, 21R)가 대략 서로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컵 홀더(40L, 40R)는 격납 위치(H)에 있어서 좌우의 오목부(21L, 21R) 내에 수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의 컴팩트한 수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컵 홀더(40L, 40R)는 테이블 본체(30)의 사용 자세(U)에 있어서, 도 2(a)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 본체(30)의 테이블 얹음면(30m)과 대략 평행이 되는 사용 위치(S)까지 지지축(45, 46)의 축선(CLh) 둘레로 회동되어 종이컵, 캔 주스, 음료 용기 등의 컵류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좌우의 컵 홀더(40L, 40R)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 이외는 마찬가지인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하, 좌측의 컵 홀더(40L)에 대하여 설명하고, 우측의 컵 홀더(40R)에 대해서는 상세 구조의 도시 및 그 설명을 생략한다.
컵 홀더(40L)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아암(42)을 가지는 편평 형상의 홀더 본체(41)와, 홀더 본체(41)에 대해서 기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갈고리 형상의 회동 아암(43)을 가진다. 회동 아암(43)은 고정 아암(42)과의 사이에 컵류를 지지 가능한 소정 공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며, 그 소정 공간의 부분이 컵 삽입부(K)로 되어 있다. 회동 아암(43)은 기단부(43k)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용수철에 의해 고정 아암(42)측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컵 홀더(40L)는, 사용 위치(S)에서 컵 삽입부(K)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된 컵류의 크기에 대응해서 회동 아암(43)이 수평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이 컵 홀더(40L)에 의하면, 컵류를 컵 삽입부(K)에 삽입하면 크기, 형상 등이 다른 컵류를 컵 삽입부(K) 내에서 양호하게 파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홀더 본체(41)의 외측을 향한 좌측면에는 홀더 본체(41)의 폭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탄성 변형하는 걸어맞춤 돌기(41t)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패널(20)에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홀더(40L)가 수용되는 오목부(21L)의 내측면으로서, 격납 위치(H)에 있어서 걸어맞춤 돌기(41t)와 대향하는 위치에 걸어맞춤 돌기(41t)와 걸림/걸림해제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컵 홀더(40L)는, 격납 위치(H)에서 컵 홀더(40L)측의 걸어맞춤 돌기(41t)와 베이스 패널(20)측의 걸어맞춤 오목부(21d)가 서로 걸어맞춰져서 격납 위치(H)를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탑승자가, 격납 위치(H)에 있는 컵 홀더(40L)의 적당한 곳을 손으로 파지하고 걸어맞춤 돌기(41t)의 탄성 변형에 의한 유지력에 저항해서 전방으로 빼내는 것에 의해, 컵 홀더(40L)를 사용 위치(S)까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홀더(40L)에는, 홀더 본체(41)의 기단부의 후단면의 대략 중앙부에, 베이스 패널(20)측을 향해서 돌출 형성된 사용 위치 유지 걸이(41k)가 좌우로 이격해서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패널(20)에는 도 5(a)에 단면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홀더(40L)가 수용되는 오목부(21L)의 내측면의 하부에 사용 위치 유지 걸이(20k)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사용 위치 유지 걸이(20k)는 상기 사용 위치(S)에 있어서 사용 위치 유지 걸이(41k)와 대향하는 위치에 좌우로 이격해서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사용 위치 유지 걸이(20k)는 컵 홀더(40L)의 회동 위치에 대응해 사용 위치 유지 걸이(41k)와의 걸어맞춤 및 그 해제가 가능하게 상호의 대향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컵 홀더(40L)는, 사용 위치(S)에서 컵 홀더(40L)측의 사용 위치 유지 걸이(41k)와 베이스 패널(20)측의 사용 위치 유지 걸이(20k)가 서로 걸어맞춰져서 사용 위치(S)를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탑승자가 사용 위치(S)에 있는 컵 홀더(40L)의 적당한 곳을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 위치 유지 걸이(41k)의 탄성 변형에 의한 유지력에 저항해서 격납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컵 홀더(40L)를 격납 위치(H)에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컵 홀더(40L, 40R)는 소정 이상의 하중(모멘트)이 가해졌을 때, 각각의 축지지 구조에 축지지 부품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한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이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이하의 설명에서는, 컵 홀더(40L)에 대하여 도시 및 그 설명을 행하고 컵 홀더(40R)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한다.
컵 홀더(40L)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지지축(45, 46)으로서, 홀더 본체(41)의 좌측면에 형성된 외측 지지축(46)과, 우측면에 형성된 내측 지지축(45)을 가진다. 한편, 베이스 패널(20)측에는 2개의 지지축(45, 46)의 축선(CLh)과 동축으로 2개의 축받이부(22, 27)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지지축(45)은 축 방향 안쪽의 내측 축받이부(22)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고, 외측 지지축(46)은 축 방향 바깥쪽의 외측 축받이부(27)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패널의 표면(21)에는 도 6(b)에 확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1)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테이블 본체(30)쪽으로 팽출하는 팽륭부(膨隆部)(28)가 형성되고, 이 팽륭부(28)의 내측면에 외측 지지축(46)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구멍(29)이 형성되어 외측 축받이부(27)를 구성하고 있다. 외측 지지축(46)의 기단부에는 홀더 본체(41)의 좌측면에 원환 형상의 보스부(46t)가 형성되며, 내측 지지축(45)의 기단부에는 홀더 본체(41)의 우측면에 원환 형상의 보스부(45t)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외측 축받이부(27)에 대응하는 외측 지지축(46)은 내측 축받이부(22)에 대응하는 내측 지지축(45)보다도 축 방향의 길이가 짧게 되어 있으며, 외측 지지축(46)은 지지 구멍(29)의 개구부의 근방까지(지지 구멍(29)의 도중 부분까지) 지지 구멍(29)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외측 지지축(46)은, 소정 이상의 하중이 좌측면 방향으로부터 작용했을 때(도 1의 F2 참조)에는, 내측 축받이부(22)와의 협동에 의해 지지 구멍(29)과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걸림/걸림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소정 이상의 하중으로서는 예를 들면 24.5N∼49N 정도의 하중이 설정된다.
한편, 내측 축받이부(22)는 도 2(b)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지지축(45)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아암(23, 25)을 가지고 구성된다. 한 쌍의 지지 아암(23, 25)은 베이스 패널(20)의 표면(21)의 하부로부터 표면(2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캔틸레버 상태로 튀어나와 있다. 한 쌍의 지지 아암(23, 25) 중, 제 1 지지 아암(23)은 축 방향 외측(홀더 본체(41)측)에 형성되고, 제 2 지지 아암(25)은 축 방향 내측(홀더 본체(41)와는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아암(23)의 선단부에는 내측 지지축(45)의 기단측을 지지하는 제 1 축받이면(24)이 형성되고, 제 2 지지 아암(25)의 선단부에는 내측 지지축(45)의 선단측을 지지하는 제 2 축받이면(26)이 제 1 축받이면(24)과 동축이며 또한 동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지지 아암(23)의 두께(축 방향의 치수)는 제 2 지지 아암(25)의 두께(축 방향의 치수)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지지 아암(23)은, 소정 이상의 하중이 좌측면 방향으로부터 작용했을 때(도 1의 F2 참조)에는, 제 2 지지 아암(25)에 비해서 용이하게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 아암(23, 25)에는 슬릿(24s, 26s)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24s, 26s)은 베이스 패널(20)로부터 멀어지는 쪽에서 축 방향을 따라 각 축받이면(24, 26)의 주연부의 일부를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축받이면(24, 26)은 테이블 얹음면(30m)쪽을 향해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24s, 26s)의 개구 폭(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은 내측 지지축(45)의 직경보다 좁기 때문에,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는, 내측 지지축(45)은 각 축받이면(24, 26) 내에 지지되어 슬릿(24s, 26s)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그러나, 베이스 패널(20)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향한 소정 이상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는, 내측 지지축(45)의 압압에 의해 한 쌍의 지지 아암(23, 25)이 탄성 변형해서 슬릿(24s, 26s)의 개구 폭이 벌어져, 내측 지지축(45)이 슬릿(24s, 26s)을 통해서 각 축받이면(24, 26) 내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b)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아암(23)의 제 1 슬릿(24s)의 형성 위치(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는, 제 2 지지 아암(25)의 제 2 슬릿(26s)의 형성 위치(축 방향의 치수)보다도 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짧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슬릿(24s)에 의한 제 1 축받이면(24)의 개구 폭은 제 2 슬릿(26s)에 의한 제 2 축받이면(26)의 개구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지지 아암(23)은, 소정 이상의 하중이 위쪽으로부터 작용(도 1의 F1 참조)했을 때, 및 소정 이상의 하중이 좌측면 방향으로부터 작용(도 1의 F2 참조)했을 때, 그리고 소정 이상의 하중이 뒤쪽을 향해서 작용(도 1의 F3 참조)했을 때의 어느 경우여도, 내측 지지축(45)은 제 2 지지 아암(25)의 제 2 축받이면(26)에 비해서 제 1 축받이면(24)의 슬릿(24s)으로부터 빠지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센터 커버(80)는 도 6(b)에 주요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축받이부(22) 전체를 정면측으로부터 덮도록 장착된다. 센터 커버(80)의 이면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4개소의 위치에 대략 Ω자 형상을 이루는 수지제의 탄성 부재인 걸어맞춤 후크(82, 83)가 형성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 후크(82, 83)는, 도 2(a)에 나타내는 베이스 패널(20)의 표면(21)의 대향 위치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21u, 21d)에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2개의 하부 걸어맞춤 후크(82)는 팽출부(81)의 상부 근방에 형성되고, 2개의 상부 걸어맞춤 후크(83)는 센터 커버(80)의 상부 가장자리부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하부 걸어맞춤 후크(82) 상호의 이격 거리는, 2개의 상부 걸어맞춤 후크(83) 상호의 이격 거리보다도 넓게 설정되어 있다. 상부 걸어맞춤 후크(83)는 수지제 탄성 부재의 탄성 변위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 걸어맞춤 후크(82)는 탄성 변위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센터 커버(80)는, 2개의 상부 걸어맞춤 후크(83)에 비해서 2개의 하부 걸어맞춤 후크(82) 쪽이 베이스 패널(20)의 걸어맞춤 구멍(21d)으로부터 빠지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센터 커버(80)의 하부 걸어맞춤 후크(82)에 의한 유지력은, 소정 이상의 하중으로서 하중(F3)에 대응한 압압력에 의해 걸어맞춤 구멍(21d)으로부터 빠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센터 커버(80)는 장착 방향 전방측에 팽출 형성된 팽출부(81)를 좌우의 하부에 가진다. 팽출부(81)는 베이스 패널(20)에 장착되었을 때에 내측 축받이부(22)를 덮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81)의 이면에는 오목한 원호 형상을 이루는 내주면(81n)이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81)의 내주면(81n)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아암(23, 25)의 슬릿(26s)의 단부에 근소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베이스 패널(20)에 장착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컵 홀더(40L)는, 베이스 패널(20)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향한 소정 이상의 하중(도 1의 F1∼F4 참조)을 받았을 때에, 내측 지지축(45)이 슬릿(24s, 26s)을 통해서 내측 축받이부(22) 내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그 이동을 한 내측 지지축(45)은, 센터 커버(80)의 팽출부(81)의 내주면(81n)을 내측으로부터 압압해서 센터 커버(80)를 내측 축받이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센터 커버(80)가 내측 축받이부(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내측 지지축(45)이 내측 축받이부(22)로부터 빠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접이식 테이블(10)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접이식 테이블(10)은 상술한 후크부(60)와 캠체(51)를 가지는 힌지 기구(50)를 구비하므로, 탑승자가 후크부(60)에 의한 테이블 본체(30)의 유지를 해제하고, 테이블 본체(30)의 주연부 등에 손가락을 걸고 테이블 본체(30)를 백레스트의 뒤쪽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블 본체(30)를 대략 수평으로 되는 위치까지 회동시켜 도 1(a)에 나타내는 사용 자세(U)로 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는, 이 사용 자세(U)로부터 테이블 본체(30)를 전방으로 손으로 회동시켜 백레스트측으로 폐쇄한 격납 자세로 되돌리는 것에 의해, 후크부(60)에 의해 테이블 본체(30)가 베이스 패널(20)에 로크되므로 테이블 본체(30)를 폐쇄할 수 있다.
즉, 이 접이식 테이블(10)에 의하면, 탑승자가 수동으로 테이블 본체(30)를 폐쇄 방향 또는 개방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힌지 기구(50)가 구비하는 코일스프링(53)의 가압력과 2세트의 캠체(51)의 캠 작용에 의해, 그 후에는 자동적으로 테이블 본체(30)가 회동해서 테이블 본체(30)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 본체(30)가 개방된 사용 자세(U)의 상태를 코일스프링(53)의 가압력과 2세트의 캠체(51)의 캠 작용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래틀링(rattling) 없이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접이식 테이블(10)은 베이스 패널(20)의 표면(21)에 접이 가능한 2세트의 컵 홀더(40L, 40R)를 구비하므로, 테이블 본체(30)의 사용 자세(U)에 있어서, 탑승자는 각 컵 홀더(40L, 40R)를 손으로 회동시켜서 사용 위치(S)로 하면 컵류를 컵 삽입부(K) 내에서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접이식 테이블(10)은, 각 컵 홀더(40L, 40R)의 축지지 구조에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좌우의 지지축(45, 46)이 베이스 패널(20)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향한 소정 이상의 하중(F1∼F4)을 받았을 때에 지지축(45, 46)을 축받이부(22, 27)로부터 빼낼 수 있다. 따라서, 각 컵 홀더(40L, 40R)의 지지축(45, 46) 등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즉, 이 접이식 테이블(10)에 설치된 각 컵 홀더(40L, 40R)의 축지지 구조에 따르면,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작용한 하중(F1∼F4)에 대응해서, 각 컵 홀더(40L, 40R)의 지지축(45, 46) 등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빠진 상태의 각 컵 홀더(40L, 40R)를 정규의 장착 상태로 간단히 손으로 되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접이식 테이블(10)에 형성된 각 컵 홀더(40L, 40R)의 축지지 구조에 따르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홀더(40L)의 횡 방향 외측으로부터의 하중(F2)에 대해서는, 제 2 지지 아암(25)에 병설된 제 1 지지 아암(23)이 홀더 본체(41)에 의해 눌린다. 이것에 의해, 제 1 지지 아암(23)은 내측으로 탄성 변형해서 휘어지고, 이 휘어짐에 의해 동 도(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홀더(40L)가 내측 축받이부(22)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축받이부(27)의 지지 구멍(29)에 끼워맞춰지는 짧은 외측 지지축(46)이 지지 구멍(29)으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컵 홀더(40L)의 지지축(45, 46) 등의 축지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지지축(46)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외측 지지축(46)이 지지 구멍(29)으로부터 빠지는 타이밍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빠질 때의 하중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 아암(23)의 두께 등에 의해서 탄성 변형량의 조정도 용이하므로, 제 1 지지 아암(23)의 휘어짐량의 조정에 의해서도 빠질 때의 하중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접이식 테이블(10)에 설치된 각 컵 홀더(40L, 40R)의 축지지 구조에 따르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 홀더(40L)의 횡 방향 내측으로부터의 하중(F3)에 대해서는, 외측 축받이부(27)의 지지 구멍(29)에 끼워맞춰지는 짧은 외측 지지축(46)의 효과에 의해, 외측 지지축(46)이 지지점으로 되어 컵 홀더(40L)의 회전 방향의 작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컵 홀더(40L)의 내측 지지축(45)이 슬릿(24s, 26s)으로부터 빠지고, 다음으로, 내측 지지축(45)이 동 도(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지지축(45)의 축받이부(22)를 덮는 센터 커버(80)에 그 내측으로부터 맞닿는다. 센터 커버(80)의 하부 걸어맞춤 후크(82)에 의한 유지력은 하중(F3)에 대응한 압압력에 의해 걸어맞춤 구멍(21d)으로부터 빠지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 커버(80)하부의 하부 걸어맞춤 후크(82)가 걸어맞춤 구멍(21d)으로부터 빠진다.
이것에 의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지지축(45)이 축받이부(22)로부터 빠져서, 컵 홀더(40L)의 지지축(45, 46) 등의 축지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센터 커버(8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걸어맞춤 후크(82)의 걸어맞춤력을 조정(예를 들면 돌기의 걸림 형상이나 걸어맞춤량, 탄성 변형량 등의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도, 내측 지지축(45)이 축받이부(22)로부터 빠지는 타이밍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빠질 때의 하중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컵 홀더(40L)의 횡 방향 내측으로부터의 하중(F3)에 대해서는, 센터 커버(80)의 하부 걸어맞춤 후크(82)에 의한 유지력에 의해, 축받이부(22)로부터의 최종적인 내측 지지축(45)의 빠짐을 억제하려고 하므로, 내측 지지축(45)에 대한 슬릿(24s, 26s)에 의한 구속력을 센터 커버(80)의 하부 걸어맞춤 후크(82)의 유지력이 부담하는 분량만큼 작게 해서, 슬릿(24s, 26s)으로부터 내측 지지축(45)을 빠지기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의 빠질 때의 하중 조정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부 걸어맞춤 후크(82)의 걸어맞춤력을 조정함으로써 빠지는 타이밍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접이식 테이블(10)에 형성된 각 컵 홀더(40L, 40R)의 축지지 구조에 따르면, 횡 방향의 하중(F2, F3)에 부가해서, 컵 홀더(40L)의 위쪽으로부터의 하중(F1), 및 컵 홀더(40L)가 베이스 패널(20)로부터 멀어지는 후방측을 향한 하중(F4)에 대해서도, 상술한 좌우 비대칭인 축지지 구조에 의해 하중(F1, F4)의 지지축(45, 46)에 대한 작용점에 치우침이 생긴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사용 위치(S)로부터 하중(F1 내지 F4)이 각 컵 홀더(40L, 40R)에 작용한 경우, 하중(F2, F3) 중 어느 하나가 작용했을 때와 마찬가지의 작용 메커니즘에 의해서, 내측 지지축(45)이 슬릿(24s, 26s)으로부터 빠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기의 페일 세이프 동작이 작용해, 컵 홀더(40L)의 지지축(45, 46) 등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접이식 테이블(10)에 형성된 각 컵 홀더(40L, 40R)의 축지지 구조에 따르면, 내측 축받이부(22)의 2개의 지지 아암(23, 25)을 덮도록 센터 커버(8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접이식 테이블(10)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접이식 테이블(10)에 형성된 각 컵 홀더(40L, 40R)의 축지지 구조에 따르면, 각 컵 홀더(40L, 40R)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각 컵 홀더(40L, 40R)의 축지지 부품의 파손을 보다 확실히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으면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로서,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 이면에 장착되는 접이식 테이블(10)의 컵 홀더(40L, 40R)에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는, 접이식 테이블의 컵 홀더에 적용하는 경우이면, 예를 들면 차량 이외의 배, 전동차, 비행기 등에 탑재되는 이동수단용 시트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접이식 테이블의 컵 홀더로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축받이부와, 회동체에 형성되어 축받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을 구비하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회동체가 지지축 둘레에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회동되는 축지지 구조이면, 각종 축지지 구조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단, 회동체가 이동수단용 시트의 시트백에 장비되는 접이식 테이블의 컵 홀더이면, 이러한 종류의 컵 홀더는 탑승자의 손이 닿기 쉬운 부위이기 때문에, 필요성이 높아 축지지부 페일 세이프 구조를 채용하는 부위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컵 홀더(40L, 40R)는 2개의 축받이부(22, 27) 중, 내측 축받이부(22)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규제부로서 제 1 지지 아암(23)을 가지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제 1 지지 아암(23)은 2개의 축받이부(22, 27)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제 1 지지 아암(23)을 형성한 쪽과는 반대쪽의 축받이부에 대해, 당해 반대쪽의 축받이부로부터 이것에 대응하는 지지축이 빠지도록, 당해 지지축의 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이어도, 제 1 지지 아암(23)을 형성한 축받이부(22, 27)의 반대쪽으로부터 각 컵 홀더(40L, 40R)가 소정 이상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는, 각 컵 홀더(40L, 40R)가 제 1 지지 아암(23)을 형성한 쪽으로 이동하도록 제 1 지지 아암(23)이 탄성 변형해, 제 1 지지 아암(23)을 형성한 쪽과는 반대쪽의 축받이부로부터 당해 반대쪽의 축받이부에 대응하는 지지축을 빼낼 수 있다.
10 : 접이식 테이블 20 : 베이스 패널(베이스 부재)
21 : 베이스 패널의 표면 22 : 내측 축받이부(축받이부)
23 : 제 1 지지 아암(규제부) 24 : 제 1 축받이면
24s : 제 1 슬릿 25 : 제 2 지지 아암
26 : 제 2 축받이면 26s : 제 2 슬릿
27 : 외측 축받이부(축받이부) 28 : 팽륭부
29 : 지지 구멍 30 : 테이블 본체
30m : 테이블 얹음면 40L, 40R : 컵 홀더(회동체)
41 : 홀더 본체 42 : 고정 아암
43 : 회동 아암 44 : 자세 유지 걸이
45 : 내측 지지축(지지축) 46 : 외측 지지축(지지축)
50 : 힌지 기구 51 : 캠체 세트
53 : 코일스프링 60 : 후크부
61 : 후크 65 : 걸어맞춤 구멍
66 : 누름 버튼 70 : 힌지케이스
80 : 센터 커버(규제 부재, 커버체) 81 : 팽출부
82 : 하부 걸어맞춤 후크 83 : 상부 걸어맞춤 후크
CL : 지지축 CLh : 홀더 지지축
U : 사용 자세 K : 컵 삽입부

Claims (6)

  1.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축받이부와, 회동체에 형성되어 상기 축받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상기 회동체가 상기 지지축 둘레에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회동되는 축지지 구조로서,
    상기 축받이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개구되는 슬릿과, 당해 슬릿에 대향하는 위치에 당해 슬릿을 덮도록 설치된 규제 부재를 가지며,
    상기 회동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한 소정 이상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상기 지지축이 상기 슬릿을 통해서 상기 축받이부 내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그 이동을 한 상기 지지축이 상기 규제 부재를 내측으로부터 압압해서 상기 규제 부재가 상기 축받이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축이 상기 축받이부로부터 빠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축받이부를 덮는 커버체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3. 베이스 부재에 동축으로 형성되는 2개의 축받이부와, 회동체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축받이부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2개의 지지축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상기 회동체가 상기 2개의 지지축 둘레에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회동되는 축지지 구조로서,
    상기 2개의 축받이부 중 적어도 일측의 축받이부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규제부를 가지며,
    타측의 축받이부측으로부터 상기 일측의 축받이부측으로 상기 회동체가 소정 이상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상기 회동체가 상기 일측의 축받이부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규제부가 탄성 변형함과 함께, 상기 타측의 축받이부에 대응하는 지지축이 상기 타측의 축받이부로부터 빠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측의 축받이부 및 상기 규제부를 덮는 커버체를 더 가지는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측의 축받이부에 대응하는 지지축은 상기 일측의 축받이부에 대응하는 지지축보다도 축 방향의 길이가 짧은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이동수단용 시트의 시트백에 장비되는 접이식 테이블의 컵 홀더인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KR1020197000719A 2016-07-15 2017-06-20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KR102143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0679 2016-07-15
JP2016140679A JP6663318B2 (ja) 2016-07-15 2016-07-15 回動体の軸支構造
PCT/JP2017/022667 WO2018012218A1 (ja) 2016-07-15 2017-06-20 回動体の軸支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566A true KR20190016566A (ko) 2019-02-18
KR102143303B1 KR102143303B1 (ko) 2020-08-10

Family

ID=6095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719A KR102143303B1 (ko) 2016-07-15 2017-06-20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84409B2 (ko)
EP (1) EP3486509B1 (ko)
JP (1) JP6663318B2 (ko)
KR (1) KR102143303B1 (ko)
CN (1) CN109416073B (ko)
WO (1) WO2018012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6229B1 (en) * 2019-11-27 2021-06-29 Elizabeth Brooke Natwick Cup holder
US12043157B2 (en) * 2022-06-27 2024-07-23 B/E Aerospace, Inc. Deployable elastomeric bottle holster
CN115447460B (zh) * 2022-09-20 2024-05-24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桌板机构及车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417A (en) 1966-11-17 1968-09-24 Ordell R. Lund Paint applicator
JPS59199978A (ja) * 1983-04-27 1984-11-1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扉取り付け構造
JPH0545180U (ja) * 1989-04-21 1993-06-18 株式会社ケンウツド カセツトドア取付機構
JPH08318775A (ja) * 1995-05-25 1996-12-03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2002368444A (ja) * 2001-06-11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収容筐体の扉体蝶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2086A (en) * 1919-01-14 1920-02-24 Irving N Van Sickles Broom-holder
US3233277A (en) * 1963-05-29 1966-02-08 Jaylis Ind Inc Hinge
US3389496A (en) * 1965-12-28 1968-06-25 King Seeley Thermos Co Plastic axle bearings for use on toy vehicles
US3389497A (en) * 1965-12-28 1968-06-25 King Seeley Thermos Co Plastic axle bearings for use on toy vehicles
US3389498A (en) * 1965-12-28 1968-06-25 King Seeley Thermos Co Plastic axle bearings for use on toy vehicles
JPS5153498Y2 (ko) * 1974-05-09 1976-12-21
JPS58127315U (ja) 1982-02-23 1983-08-2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軸取付装置
JPH01142751U (ko) 1988-03-25 1989-09-29
JPH0628524Y2 (ja) * 1989-04-28 1994-08-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回動部材の軸支構造
US6116806A (en) * 1999-02-17 2000-09-12 Chang; Chin Pao Connection tightness and swing angle adjustable pivot
JP4615387B2 (ja) 2005-07-19 2011-01-1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ステー構造
TWM345150U (en) * 2008-06-12 2008-11-21 Protorsion Hinge Co Ltd Pivot structure for auxiliary positioning of washer
JP5577146B2 (ja) 2010-04-22 2014-08-20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
DE102010022442A1 (de) * 2010-06-01 2011-12-01 Volkswagen Ag Anbauvorrichtung für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JP6167980B2 (ja) * 2014-04-11 2017-07-2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JP6721441B2 (ja) * 2016-07-14 2020-07-15 株式会社ニフコ テーブル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417A (en) 1966-11-17 1968-09-24 Ordell R. Lund Paint applicator
JPS59199978A (ja) * 1983-04-27 1984-11-1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扉取り付け構造
JPH0545180U (ja) * 1989-04-21 1993-06-18 株式会社ケンウツド カセツトドア取付機構
JPH08318775A (ja) * 1995-05-25 1996-12-03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2002368444A (ja) * 2001-06-11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収容筐体の扉体蝶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16073A (zh) 2019-03-01
US20190232848A1 (en) 2019-08-01
US11084409B2 (en) 2021-08-10
EP3486509A1 (en) 2019-05-22
JP6663318B2 (ja) 2020-03-11
EP3486509B1 (en) 2021-04-14
WO2018012218A1 (ja) 2018-01-18
CN109416073B (zh) 2020-12-18
JP2018009681A (ja) 2018-01-18
EP3486509A4 (en) 2019-07-24
KR102143303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74146A1 (en) Adjustable mobile-device holder
KR20190016566A (ko) 회동체의 축지지 구조
JP5577146B2 (ja) カップホルダ
US9849819B2 (en) Hidden foldable tray table
US7789265B2 (en) Tab structure for controlling cups in vehicles
RU2619163C2 (ru) Кресл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снащенное съемным столиком
CN107757436B (zh) 儿童增高座椅
KR20120035880A (ko) 차일드 시트
JP6721441B2 (ja) テーブルユニット
CN108349420A (zh) 座椅锁定装置
EP1500550B1 (en) Seat device
KR101268179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JP2014121974A (ja) 車両座席用チャイルドシート
JP2016199068A (ja) 回動部材
KR10153452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KR20210072924A (ko) 히든 암레스트 및 확장형 볼스터를 갖는 자동차용 시트
JP6366191B2 (ja) 車両用チップアップシートおよびシートクッションの保持方法
JP7366768B2 (ja) 乗り物用シート
JP5053757B2 (ja) テーブル装置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206208B2 (ja) 車両用可動体の保持構造
JP7356405B2 (ja) テーブルユニット
JP2554307Y2 (ja) 車両用シートアームレスト
JP6167973B2 (ja)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JP6093420B1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230115637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