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497A -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발포체, 및 이를 이용하는 신발 - Google Patents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발포체, 및 이를 이용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497A
KR20190010497A KR1020180084996A KR20180084996A KR20190010497A KR 20190010497 A KR20190010497 A KR 20190010497A KR 1020180084996 A KR1020180084996 A KR 1020180084996A KR 20180084996 A KR20180084996 A KR 20180084996A KR 20190010497 A KR20190010497 A KR 20190010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styrene
foam
co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302B1 (ko
Inventor
시-신 시
휘수안-청 린
잉-핀 투
한-밍 차이
Original Assignee
티에스알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스알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에스알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1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1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3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ring system;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4N2 releasing, ex azodicarbonamide or nitroso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6CO2, N2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J24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J24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4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4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J24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4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ring system;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4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5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08L23/0823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cyclic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발포체, 및 발포체를 이용하는 신발이 제공된다.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은 3 내지 30 중량부의 제1 중합체와, 제2 중합체 및 제3 중합체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제1 중합체는 환식 올레핀 중합체(COP),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COC), 메탈로센계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mCOC), 완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다. 제2 중합체 및 제3 중합체의 총 중량은 70 내지 97 중량부이다. 제2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다. 제3 중합체는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 부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다. 제1 중합체와, 제2 중합체 및 제3 중합체 중 적어도 1종의 총 중량은 100 중량부이다.

Description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발포체, 및 이를 이용하는 신발{COMPOSITION FOR PREPARING A FOAM, FOAM AND SHOE EMPLOYING THE SAM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 가출원 제62/535,680호(출원일: 2017년 7월 21일)의 유익을 주장하며, 따라서 이 기초 출원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발포체(foam) 제조용의 조성물, 발포체, 및 이를 이용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고무/플라스틱 발포체는, 발포체의 원료 및 형성된 기포의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특성(예컨대, 열 차폐성, 단열성, 방음성, 흡음성, 진동 내성 또는 경량 편리성) 때문에 각종 용도(예컨대, 전기/기계 부품, 자동차 부품, 건축 자재, 포장 재료, 또는 일용 필수품)에 이용된다.
그러나, 통상의 발포체의 압축변형 및 기계적 강도(예컨대, 분할 인열 강도(split tear strength) 또는 인장 강도)가 따라서 발포체의 밀도의 감소와 함께 저감되므로, 그의 사용을 제한한다.
따라서, 앞서 기재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밀도 및 고강도 발포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이 제공된다. 해당 조성물은 3 내지 30 중량부의 제1 중합체와, 제2 중합체 및 제3 중합체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제1 중합체는 환식 올레핀 중합체(COP),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COC), 메탈로센계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mCOC), 완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제2 중합체와 제3 중합체의 총 중량은 70 내지 97 중량부이다. 제2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다. 제3 중합체는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 부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다. 제2 중합체와 제3 중합체 중 적어도 1종과 제1 중합체의 총 중량은 100 중량부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밀도 및 고강도 발포체가 제공된다. 해당 발포체는 전술한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포체의 비중에 대한 압축변형의 비는 450 미만이다. 발포체의 비중에 대한 분할 인열 강도의 비는 13.8 이상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발포체를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된다. 해당 신발은 갑피 뱀프(upper vamp), 중간창(midsole), 및 바닥창(outsole)을 포함한다. 중간창과 바닥창 중 적어도 한쪽은 본 발명의 발포체를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부여된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후속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를 읽음으로써 더욱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신발의 개략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을 수행하는 실시형태이다. 본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일반적인 원리를 예시할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제한의 의미로 취해져서는 안 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발포체, 및 발포체를 이용하는 신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정 중합체 성분들 및 이들의 함량을 포함한다. 조성물이 발포 공정(예컨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발포 공정)에 의해 발포체로 제조될 경우, 수득된 발포체는 저밀도 상태(예컨대, 이의 비중이 약 0.18 미만임) 하에서 비교적 낮은 압축변형 및 개선된 기계적 강도(예컨대, 분할 인열 강도 또는 인장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발포체는 각종 용도(예컨대, 전기/기계 부품, 자동차 부품, 건축 자재, 포장 재료, 또는 일용 필수품)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은 약 3 내지 30 중량부(예컨대, 5 내지 30 중량부, 5 내지 20 중량부, 10 내지 30 중량부 또는 20 내지 30 중량부)의 제1 중합체와 약 70 내지 97 중량부(예컨대, 70 내지 95 중량부, 80 내지 95 중량부, 70 내지 90 중량부 또는 70 내지 80 중량부)의 제2 중합체 및/또는 제3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합체, 제2 중합체 및 제3 중합체의 총 중량은 100 중량부이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3 내지 30 중량부의 제1 중합체와 70 내지 97 중량부의 제2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3 내지 30 중량부의 제1 중합체와 70 내지 97 중량부의 제3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제1 중합체, 제2 중합체 및 제3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합체의 중량은 3 내지 30 중량부이다. 제2 중합체와 제3 중합체의 총 중량은 70 내지 97 중량부이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3 내지 30 중량부의 제1 중합체와 70 내지 97 중량부의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3 내지 30 중량부의 제1 중합체와 70 내지 97 중량부의 제3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제1 중합체, 제2 중합체 및 제3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중합체의 중량은 3 내지 30 중량부이다. 제2 중합체와 제3 중합체의 총 중량은 70 내지 97 중량부이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제1 중합체, 제2 중합체 및 제3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중합체 대 제2 중합체의 중량비는 약 1:20 내지 약 1:5, 약 1:18 내지 약 1:5, 약 1:17 내지 약 1:5, 약 1:18 내지 약 1:7, 약 1:17 내지 약 1:7, 또는 약 1:20 내지 약 1:7의 범위이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중합체는 환식 올레핀 중합체(COP),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COC), 메탈로센계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mCOC), 완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0,000 내지 약 200,000, 예컨대, 약 40,000 내지 약 180,000, 약 40,000 내지 약 130,000, 약 50,000 내지 약 90,000, 또는 약 90,000 내지 약 120,000의 범위일 수 있다. 제2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0,000 내지 약 200,000, 예컨대, 약 40,000 내지 약 180,000, 또는 약 80,000 내지 약 120,000의 범위일 수 있다. 제3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10,000 내지 약 200,000, 예컨대, 약 50,000 내지 약 150,000, 또는 약 80,000 내지 약 120,000의 범위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식 올레핀 중합체(COP)는 치환 또는 비치환 노보넨계 단량체의 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보넨계 단량체는 노보넨, 에틸리덴 노보넨,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메타노 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렌,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치환된 노보넨계 단량체는 노보넨계 단량체의 적어도 1개의 수소(예컨대, 탄소 상의 수소)가 알킬기 또는 반응성 작용기(예컨대, 알켄일기)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COC)는 치환 또는 비치환 노보넨계 단량체와 올레핀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노보넨계 단량체는 노보넨, 에틸리덴 노보넨,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메타노 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렌,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올레핀계 단량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아이소프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사이클로부텐,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옥텐, 1,3-부타다이엔, 1,3-펜타다이엔, 3,4-다이메틸-사이클로펜텐, 3-메틸-사이클로헥센, 2-(2-메틸부틸)-1-사이클로헥센, 1,4-헥사다이엔, 4-메틸-1,4-헥사다이엔, 5-메틸-1,4-헥사다이엔, 7-메틸-1,6-옥타다이엔, 3,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 5,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 1,7-옥타다이엔, 3,7,11-트라이메틸-1,6,10-옥타트라이엔, 6-메틸-1,5-헵타다이엔, 1,6-헵타다이엔, 1,8-노나다이엔, 1,9-데카다이엔, 1,10-운데카다이엔,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노보넨계 단량체 대 올레핀계 단량체의 비는 약 30:70 내지 약 99:1, 예를 들어, 약 50:50 내지 약 97:3 또는 약 70:30 내지 약 95:5의 범위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중합체는, 예를 들어, ZEONEX(등록상표, Japan Zeon Co., Ltd. 제조), ZEONOR(등록상표, Japan Zeon Co., Ltd. 제조), ARTON(등록상표, JSR Co., Ltd. 제조), APEL(등록상표, Mitsui Chemicals Co., Ltd. 제조), 또는 TOPAS(등록상표, POLYPLASTICS Co., Ltd. 제품, 노보넨계 단량체와 에틸렌의 부가 중합체)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완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는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BS) 블록 공중합체,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BSBS) 블록 공중합체,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I/B)-S) 블록 공중합체,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I/B)-S-(I/B)-S) 블록 공중합체,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SIS) 블록 공중합체,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SISIS)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완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는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의 수소화에 의해 제조된다.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의 수소화 후에, 이의 이중 결합(비방향족 이중 결합과 방향족 이중 결합을 포함함)의 비율은 90% 이상, 예를 들어, 95% 이상, 97% 이상, 또는 99% 이상이다. 즉, 완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의 수소화 전환율은 90% 이상, 예를 들어, 95% 이상, 97% 이상, 또는 99% 이상이다. 예를 들어, 제1 중합체는 ViViOn(등록상표, USI Co., Ltd. 제조)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메탈로센계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mCOC)는 노보넨계 단량체 및 올레핀계 단량체를 메탈로센 화합물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메탈로센계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mCOC)는 노보넨계 단량체 및 올레핀계 단량체를 메탈로센 화합물 및 활성화 촉매와 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메탈로센 화합물로서, 이의 예는 JP1984-152396A(JP-S59-152396A), JP1986-151197A(JP-S61-151197A), JP1988-41484A(JP-S63-41484A), JP1990-249A(JP-H02-249A), JP1990-291A(JP-H02-291A), 및 JP1990-4705A(JP-H02-4705A)에 기재된 티타노센 화합물, 및 JP1989-304453A(JP-H01-304453A) 및 JP1989-152109A(JP-H01-152109A)에 기재된 철-아렌 착물을 포함한다. 티타노센 화합물의 구체예는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티타늄-다이클로라이드,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티타늄-비스-페닐,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티타늄-비스(2,3,4,5,6-펜타플루오로페닐),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티타늄-비스(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티타늄-비스(2,4,6-트라이플루오로페닐),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티타늄-비스(2,6-다이플루오로페닐),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티타늄-비스(2,4-다이플루오로페닐), 비스(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티타늄-비스(2,3,4,5,6-펜타플루오로페닐), 비스(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티타늄-비스(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 비스(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티타늄-비스(2,6-다이플루오로페닐),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피르-1-일)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4,6-트라이플루오로-3-(피르-1-일)페닐)티타늄, 및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4,6-트라이플루오로-3-(2-5-다이메틸피르-1-일)페닐)티타늄을 포함하되,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피르-1-일)페닐)티타늄이 바람직하다. 메탈로센 화합물의 구체예는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메틸설폰아마이드)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N-부틸바이아로일-아미노)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N-부틸-(4-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N-벤질-2,2-다이메틸펜타노일아미노)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N-(2-에틸헥실)-4-톨릴-설포닐아미노)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N-(3-옥사헵틸)벤조일아미노)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N-(3,6-다이옥사데실)벤조일아미노)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닐아미노)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트라이플루오로아세틸아미노)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2-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4-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N-(3,6-다이옥사데실)-2,2-다이메틸펜타노일아미노)페닐]티타늄,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N-(3,7-다이메틸-7-메톡시옥틸)벤조일아미노)페닐]티타늄, 및 비스(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비스[2,6-다이플루오로-3-(N-사이클로헥실벤조일아미노)페닐]티타늄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올레핀은 올레핀계 단량체(예컨대, α-올레핀계 단량체)의 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레핀계 단량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아이소프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사이클로부텐,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옥텐, 1,3-부타다이엔, 1,3-펜타다이엔, 3,4-다이메틸-사이클로펜텐, 3-메틸-사이클로헥센, 2-(2-메틸부틸)-1-사이클로헥센, 1,4-헥사다이엔, 4-메틸-1,4-헥사다이엔, 5-메틸-1,4-헥사다이엔, 7-메틸-1,6-옥타다이엔, 3,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 5,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 1,7-옥타다이엔, 3,7,11-트라이메틸-1,6,10-옥타트라이엔, 6-메틸-1,5-헵타다이엔, 1,6-헵타다이엔, 1,8-노나다이엔, 1,9-데카다이엔, 또는 1,10-운데카다이엔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올레핀 공중합체는 올레핀계 단량체(예컨대, α-올레핀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레핀 공중합체는 이하의 단량체 중 적어도 2종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아이소프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사이클로부텐,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옥텐, 1,3-부타다이엔, 1,3-펜타다이엔, 3,4-다이메틸-사이클로펜텐, 3-메틸-사이클로헥센, 2-(2-메틸부틸)-1-사이클로헥센, 1,4-헥사다이엔, 4-메틸-1,4-헥사다이엔, 5-메틸-1,4-헥사다이엔, 7-메틸-1,6-옥타다이엔, 3,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 5,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 1,7-옥타다이엔, 3,7,11-트라이메틸-1,6,10-옥타트라이엔, 6-메틸-1,5-헵타다이엔, 1,6-헵타다이엔, 1,8-노나다이엔, 1,9-데카다이엔, 1,10-운데카다이엔, 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비닐,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중합체는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α-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C), 폴리(에틸렌-α-올레핀), 폴리(에틸렌-옥텐), 폴리(에틸렌-헥센), 폴리(에틸렌-부틸렌), 폴리(에틸렌-헵텐),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BA), α-올레핀 중합체, 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은 전형적으로 약 0.94 내지 약 0.97g/cc의 밀도를 지닌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전형적으로 약 0.91 내지 약 0.94g/cc의 밀도를 지닌다. 또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만약 있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에 비해서 비교적 적은 양의 장쇄 분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2 중합체는, 예를 들어, AFFINITY(등록상표,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 ENGAGE(등록상표,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INFUSE(등록상표,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 ATTANE(등록상표, Dow Chemical Company), DOWLEX(등록상표,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 ELITE(등록상표, Dow Chemical Company), EXCEED(등록상표, Exxon Chemical Company), EXACT(등록상표, Exxon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 또는 TAFMER(등록상표, Mitsui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는 공액 다이엔 단량체와 비닐 방향족 단량체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공액 다이엔 단량체는 1,3-부타다이엔, 2,3-다이메틸-1,3-부타다이엔, 3-부틸-1,3-옥타다이엔, 아이소프렌, 1-메틸부타다이엔, 2-페닐-1,3-부타다이엔, 2-메틸-1,3-펜타다이엔 1,3-헥사다이엔, 4,5-다이에틸-1,3-옥타다이엔,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비닐 방향족 단량체는 스타이렌, 메틸스타이렌 및 이의 이성질체, 에틸스타이렌 및 이의 이성질체, 사이클로헥실스타이렌, 비닐 바이페닐, 1-비닐-5-헥실 나프탈렌, 비닐 나프탈렌, 비닐 안트라센, 4-tert-부틸스타이렌, 다이비닐 벤젠, 1,1-다이페닐 에틸렌, N,N-다이메틸-p-아미노에틸스타이렌, N,N-다이에틸-p-아미노에틸스타이렌,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는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BS)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SIS)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I/B)-S)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부분 수소화된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BS) 블록 공중합체(즉, 스타이렌-에틸렌-부틸렌-스타이렌(SEBS) 블록 공중합체), 부분 수소화된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SIS) 블록 공중합체(즉,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SEPS) 블록 공중합체), 부분 수소화된 스타이렌-(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I/B)-S) 블록 공중합체(즉, 스타이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SEEPS)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는,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의 선택적 수소화에 의해 제조된다.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의 선택적 수소화 후에, 그의 비방향족 이중 결합이 단일 결합으로 전환된 비율은 70% 이상, 예를 들어, 80%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8% 이상이다. 즉, 부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의 비방향족 이중 결합의 수소화 전환율은 70% 이상, 예를 들어, 80% 이상, 또는 90% 이상, 또는 95% 이상, 또는 98% 이상이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포 공정(예컨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발포 공정)을 이용하여 발포체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포체의 비중에 대한 압축변형의 비는 450 미만, 예를 들어, 449 내지 180, 445 내지 200, 445 내지 250, 350 내지 180, 350 내지 200, 또는 350 내지 250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포체의 비중에 대한 분할 인열 강도의 비는 13.8 이상, 예를 들어, 13.8 내지 20, 또는 13.8 내지 18이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포체가 화학적 발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경우, 본 발명의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은 0.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결합제 및 0.1 내지 25 중량부의 발포제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교결합제는 퍼옥사이드-유형 가교결합제 또는 황-유형 가교결합제이다. 예를 들어, 퍼옥사이드-유형 가교결합제는, 예컨대, 다이큐밀 퍼옥사이드(DCP), 퍼부틸 퍼옥사이드(PBP), 다이메틸-다이-tert-부틸퍼옥시 헥산, tert-부틸에틸헥실 카보네이트 모노퍼옥사이드, 다이-tert-부틸 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tert-부틸퍼옥시)헥산, 2,5-다이메틸-2,5-다이(tert-부틸퍼옥시)-3-헥신, 다이(tert-부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 1,1-다이-tert-부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 사이클로헥산, 부틸 4,4-비스(tert-부틸퍼옥시)펜타노에이트, 벤조일 퍼옥사이드, p-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2,4-di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ter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tert-부틸퍼옥시 아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다이아세틸 퍼옥사이드, 라우릴 퍼옥사이드, tert-부틸 큐밀 퍼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포제는 유기 열분해-유형 발포제, 예를 들어, N,N'-다이나이트로펜타메틸렌테트라민,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p,p'-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자이드), p-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 벤젠설포닐 하이드라자이드, 3,3'-다이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 다이페닐설폰, p-톨루엔설포닐 세미카바자이드, 트라이하이드라지노트라이아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발포제는 무기 열분해-유형 발포제, 예를 들어,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중탄산암모늄, 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 안정제, 광 안정제, 연화제, 가소제(예컨대, 시트르산 또는 시트르산 에스터), 염료, 안료,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충전제(예컨대, 탄산칼슘, 운모 또는 목질 섬유), 정전방지제, 충격 조절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포체가 물리적 발포 공정에 의해 형성될 경우, 초임계 유체가 발포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초임계 유체는 이산화탄소, 물, 메탄, 에탄, 부탄, 프로판, 펜탄, 헥산, 에틸렌, 프로필렌,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질소,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을 참조하면, 신발(10)이 또한 제공된다. 신발(10)은 갑피 뱀프(12), 중간창(14) 및 바닥창(1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창(14)과 바닥창(16) 중 적어도 한쪽은 개시된 발포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료하고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수개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가 다음과 같이 상세히 기술된다.
표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재료를 열거한다.
Figure pat00001
화학적 발포 공정
실시예 1
50 중량부의 EVA 7470, 25 중량부의 Infuse 9100, 10 중량부의 DF 110, 4.3 중량부의 DP6014, 0.7 중량부의 SBS 3206, 10 중량부의 TOPAS 8007, 1.6 중량부의 DCP-40 및 14.5 중량부의 AC D600을 혼합기에 넣었다. 120℃로 가열 후, 결과물이 완전히 융해될 때까지 혼합 공정을 계속하였다. 다음에, 결과물을 이축 압출기로 펠릿화하여, 펠릿을 수집하였다. 다음에, 펠릿을 발포체 인젝터에 배치하고 나서 사출하여 약 172℃의 금형 온도에서 시험편을 성형하였다. 성형 시간은 약 390초였다. 다음에, 시험편을 오븐 속에 넣고 나서 70 내지 75℃에서 45 내지 60분 동안 소성하였다. 시험편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 실온에서 1일 동안 정치시킨 후, 시험편에 금형(400㎜×305㎜×90㎜(길이×폭×높이)의 크기)를 이용하는 냉간-열간 압축 공정(cold-hot compression process)을 시행하여, 발포체 (I)을 수득하였다. 시험편의 표면은 가열했을 경우 138℃에 도달하였고, 시험편의 표면은 냉각시켰을 경우 20℃에 도달하였다.
다음에, 발포체 (I)의 비중, 압축변형 및 분할 인열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비중의 측정 방법은 ASTM D792에 기초하였다. 압축변형의 측정 방법은 ASTM D573에 기초하였다. 분할 인열 강도의 측정 방법은 ASTM D3574-95에 기초하였다.
실시예 2 내지 8 및 비교예 1
실시예 2 내지 8 및 비교예 1은, 실시예 1에서 이용된 것들을 표 2에 열거된 제1 중합체, 제2 중합체, 제3 중합체, 가교결합제 및 발포제의 성분과 함량으로 대체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행하여, 발포체 (II) 내지 (IX)를 수득하였다. 다음에, 발포체 (II) 내지 (IX)의 비중, 압축변형 및 분할 인열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중합체의 첨가가 없는 조성물(비교예 1)과 비교해서, 화학적 발포 공정을 통해서 제1 중합체가 첨가된 조성물(실시예 1 내지 8)로부터 제조된 발포체는 비교적 낮은 비중에 대한 압축변형의 비를 지닌다. 이의 비중에 대한 분할 인열 강도의 비도 동시에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9
90 중량부의 EVA 7470, 10 중량부의 ViViOn 1325, 0.8 중량부의 BIPB, 및 7.0 중량부의 AC D600를 혼합기에 넣었다. 120℃로 가열 후, 결과물이 완전히 융해될 때까지 혼합 공정을 계속하였다. 다음에, 결과물을 이축 압출기로 펠릿화하여, 펠릿을 수집하였다. 다음에, 펠릿을 발포체 인젝터에 배치하고 나서 사출하여 약 172℃의 금형 온도에서 시험편을 성형하였다. 성형 시간은 약 390초였다. 다음에, 시험편을 오븐 속에 넣고 나서 70 내지 75℃에서 45 내지 60분 동안 소성하였다. 시험편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 실온에서 1일 동안 정치시킨 후, 시험편에 금형(400㎜×305㎜×90㎜(길이×폭×높이)의 크기)를 이용하는 냉간-열간 압축 공정을 시행하여, 발포체 (X)을 수득하였다. 시험편의 표면은 가열했을 경우 138℃에 도달하였고, 시험편의 표면은 냉각시켰을 경우 20℃에 도달하였다.
다음에, 발포체(X)의 비중, 압축변형 및 분할 인열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은, ViViOn 1325를 TOPAS 6013으로 대체한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행하여, 발포체 (XI)을 수득하였다. 다음에, 발포체 (XI)의 비중, 압축변형 및 분할 인열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100 중량부의 EVA 7470, 0.8 중량부의 BIPB, 및 7.0 중량부의 AC D600을 혼합기에 넣었다. 120℃로 가열 후, 결과물이 완전히 융해될 때까지 혼합 공정을 계속하였다. 다음에, 결과물을 이축 압출기로 펠릿화하여, 펠릿을 수집하였다. 다음에, 펠릿을 발포체 인젝터에 배치하고 나서 사출하여 약 172℃의 금형 온도에서 시험편을 성형하였다. 성형 시간은 약 390초였다. 다음에, 시험편을 오븐 속에 넣고 나서 70 내지 75℃에서 45 내지 60분 동안 소성하였다. 시험편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 실온에서 1일 동안 정치시킨 후, 시험편에 금형(400㎜×305㎜×90㎜(길이×폭×높이)의 크기)를 이용하는 냉간-열간 압축 공정을 시행하여, 발포체 (XII)를 수득하였다. 시험편의 표면은 가열했을 경우 138℃에 도달하였고, 시험편의 표면은 냉각시켰을 경우 20℃에 도달하였다.
다음에, 발포체 (XII)의 비중, 압축변형 및 분할 인열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중합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비교예 1)과 비교해서, 화학적 발포 공정을 통해서 제1 중합체 및 제2 중합체가 첨가된 조성물(실시예 9 내지 10)로부터 제조된 발포체는 비교적 낮은 비중에 대한 압축변형의 비를 지닌다. 이의 비중에 대한 분할 인열 강도의 비도 동시에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 11
55 중량부의 EVA 7470, 25 중량부의 Infuse 9100, 15 중량부의 DF 840, 5.0 중량부의 TOPAS 8007, 1.7 중량부의 DCP-40, 및 8.2 중량부의 D600MT를 혼합기에 넣었다. 120℃로 가열 후, 결과물이 완전히 융해될 때까지 혼합 공정을 계속하였다. 다음에, 결과물을 이축 압출기로 펠릿화하여, 펠릿을 수집하였다. 다음에, 펠릿을 발포체 인젝터에 배치하고 나서 사출하여 약 172℃의 금형 온도에서 시험편을 성형하였다. 성형 시간은 약 390초였다. 다음에, 시험편을 오븐 속에 넣고 나서 70 내지 75℃에서 45 내지 60분 동안 소성하였다. 시험편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 실온에서 1일 동안 정치시킨 후, 시험편에 금형(400㎜×305㎜×90㎜(길이×폭×높이)의 크기)를 이용하는 냉간-열간 압축 공정을 시행하여, 발포체 (XIII)을 수득하였다. 시험편의 표면은 가열했을 경우 138℃에 도달하였고, 시험편의 표면은 냉각시켰을 경우 20℃에 도달하였다.
다음에, 발포체 (XIII)의 비중, 압축변형, 및 분할 인열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실시예 12는, 실시예 11에서 이용된 것을 표 4에 열거된 제1 중합체, 제2 중합체, 제3 중합체, 가교결합제 및 발포제의 성분과 함량으로 대체한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행하여, 발포체 (XIV)를 수득하였다. 다음에, 발포체 (XIV)의 비중, 압축변형 및 분할 인열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물의 제1 중합체의 함량(실시예 11 및 12에 기재됨)이 저감된 경우, 얻어지는 발포체 역시 450 미만의 비중에 대한 압축변형의 비를 지니고, 이의 비중에 대한 분할 인열 강도의 비가 15 이상이다.
물리적 발포 공정
실시예 13
90 중량부의 EVA 7470 및 10 중량부의 ViViOn 1325를 혼합기에 넣었다. 120℃로 가열 후, 결과물이 완전히 융해될 때까지 혼합 공정을 계속하였다. 다음에, 결과물을 이축 압출기로 펠릿화하여, 펠릿을 수집하였다. 다음에, 펠릿을 초임계 유체 발포 시스템의 탱크 속에 넣고 시스템 온도를 60℃ 이상(용융 상태에 도달하지 않음)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이 초임계 유체 발포 시스템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펠릿과 혼합하였다. 그 후, 시스템 압력을 1,000psi 이상으로 조절하여 이산화탄소의 초임계 유체와 펠릿의 단일상 용액을 형성시키고 이를 10분 초과 동안 유지시켰다. 다음에, 시스템 압력을 15psi로 조절하여 0.126의 비중을 갖는 발포체 (XV)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4는, ViViOn 1325를 TOPAS 6013으로 대체한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행하여, 0.133의 비중을 갖는 발포체 (XVI)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100 중량부의 EVA 7470를 초임계 유체 발포 시스템에 넣고, 시스템 온도를 펠릿이 용융 상태에 도달하지 않는 60% 이상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이 초임계 유체 발포 시스템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펠릿과 혼합하였다. 이어서, 시스템 압력을 1,000psi 이상으로 조절하여 이산화탄소의 초임계 유체와 펠릿의 단일상 용액을 형성시키고 이를 10분 초과 동안 유지시켰다. 다음에, 시스템 압력을 15psi로 조절하여 발포체 (XVII)을 수득하였다. 이때, 발포체 (XVII)이 심한 수축 현상을 겪은 것이 관찰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발포체 (XVII)은 매우 불량한 팽윤능을 나타낸다. 신발의 중간창 또는 바닥창으로서 제공되는 이러한 발포체 (XVII)은 이에 힘을 가할 경우 탄력성에 의해 제공된 피드백을 생성하지 못한다.
본 개시내용은 예로서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관점에서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각종 변형 및 유사한 배열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유사한 배열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발포체(foam) 제조용의 조성물로서,
    3 내지 30 중량부의 제1 중합체로서, 환식 올레핀 중합체(COP),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COC), 메탈로센계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mCOC), 완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중합체; 및
    제2 중합체 및 제3 중합체 중 적어도 1종으로서, 상기 제2 중합체와 상기 제3 중합체의 총 중량이 70 내지 97 중량부이고, 상기 제2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며, 상기 제3 중합체는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 부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상기 제2 중합체 및 제3 중합체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중합체와 상기 제3 중합체 중 적어도 1종과 상기 제1 중합체의 총 중량은 100 중량부인,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식 올레핀 공중합체는 노보넨계 단량체와 올레핀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보넨계 단량체는 노보넨, 에틸리덴 노보넨,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메타노 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렌,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아이소부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헥센, 4,4-다이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아이소프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사이클로부텐,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옥텐, 1,3-부타다이엔, 1,3-펜타다이엔, 3,4-다이메틸-사이클로펜텐, 3-메틸-사이클로헥센, 2-(2-메틸부틸)-1-사이클로헥센, 1,4-헥사다이엔, 4-메틸-1,4-헥사다이엔, 5-메틸-1,4-헥사다이엔, 7-메틸-1,6-옥타다이엔, 3,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 5,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 1,7-옥타다이엔, 3,7,11-트라이메틸-1,6,10-옥타트라이엔, 6-메틸-1,5-헵타다이엔, 1,6-헵타다이엔, 1,8-노나다이엔, 1,9-데카다이엔, 1,10-운데카다이엔,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 수소화된 공액 다이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는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BS) 블록 공중합체,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BSBS) 블록 공중합체,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I/B)-S) 블록 공중합체,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I/B)-S-(I/B)-S) 블록 공중합체,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SIS) 블록 공중합체, 완전 수소화된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SISIS)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C), 폴리(에틸렌-α-올레핀), 폴리(에틸렌-옥텐), 폴리(에틸렌-헥센), 폴리(에틸렌-부틸렌), 폴리(에틸렌-헵텐),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α-올레핀), 폴리부틸렌, 폴리펜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BA), α-올레핀 중합체, 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중합체는 스타이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BS)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부틸렌-스타이렌(SEBS)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SIS)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SEPS)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아이소프렌/부타다이엔)-스타이렌(S-(I/B)-S)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SEEPS)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은 상기 제1 중합체와 상기 제2 중합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은 상기 제1 중합체와 상기 제3 중합체로 이루어지나, 또는 상기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은 상기 제1 중합체, 상기 제2 중합체 및 상기 제3 중합체로 이루어진,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은 상기 제1 중합체, 상기 제2 중합체 및 상기 제3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중합체 대 상기 제2 중합체의 중량비가 1:20 내지 1:5의 범위인,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0.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결합제 및 0.1 내지 25 중량부의 발포제를 더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로 제조된 발포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의 비중에 대한 압축변형의 비가 450 미만인, 발포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의 비중에 대한 분할 인열 강도(split tear strength)의 비가 13.8 이상인,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14. 신발로서,
    갑피 뱀프(upper vamp);
    중간창; 및
    바닥창을 포함하되,
    상기 중간창과 상기 바닥창 중 적어도 한쪽은 제11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발포체를 포함하는, 신발.
KR1020180084996A 2017-07-21 2018-07-20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발포체, 및 이를 이용하는 신발 KR102203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35680P 2017-07-21 2017-07-21
US62/535,680 2017-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497A true KR20190010497A (ko) 2019-01-30
KR102203302B1 KR102203302B1 (ko) 2021-01-15

Family

ID=6301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96A KR102203302B1 (ko) 2017-07-21 2018-07-20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발포체, 및 이를 이용하는 신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9456B2 (ko)
EP (1) EP3431544A1 (ko)
JP (1) JP6929251B2 (ko)
KR (1) KR102203302B1 (ko)
CN (1) CN109280255A (ko)
TW (1) TWI7660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8947B (zh) * 2019-11-08 2023-10-27 台橡股份有限公司 高分子组合物及其所制的感压胶或薄膜
CA3105086A1 (en) * 2020-01-17 2021-07-17 Totes Isotoner Corporation Footwear sole, boot and sandal
WO2021202121A1 (en) * 2020-03-31 2021-10-0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of foaming cyclic olefin copolymer with a supercritical flu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339A (ja) * 2003-05-15 2004-12-02 Asahi Kasei Chemicals Corp 水添共重合体含有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シート、フィルム
KR20080023306A (ko) * 2005-05-19 2008-03-13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0287A (en) 1983-02-11 1986-05-20 Ciba-Geigy Corporation Fluorinated titanocenes and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containing same
US4713401A (en) 1984-12-20 1987-12-15 Martin Riediker Titanocenes and a radiation-polymeriz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se titanocenes
US4857654A (en) 1986-08-01 1989-08-15 Ciba-Geigy Corporation Titanocenes and their use
US5008302A (en) 1987-12-01 1991-04-16 Ciba-Geigy Corporation Titanocenes, the use thereof, and N-substituted pyrroles
US5026625A (en) 1987-12-01 1991-06-25 Ciba-Geigy Corporation Titanocenes, the use thereof, and n-substituted fluoroanilines
JPH01152109A (ja) 1987-12-09 1989-06-14 Toray Ind Inc 光重合性組成物
EP0334338A3 (en) 1988-03-24 1990-06-20 Dentsply International, Inc. Titanate initiators for light cured compositions
JP2757375B2 (ja) 1988-06-02 1998-05-25 東洋紡績株式会社 光重合性組成物
US5783629A (en) * 1993-02-10 1998-07-21 Solvay Engineered Polymers Thermoplastic polyolefins having improved paintability properties
US5869591A (en) 1994-09-02 1999-02-09 The Dow Chemical Company Thermoset interpolymers and foams
TW387904B (en) * 1994-12-28 2000-04-21 Hoechst Ag Cycloolefin copolymer composition
JPH09124818A (ja) 1995-11-01 1997-05-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からなる発泡体およびその製法
JPH09124819A (ja) * 1995-11-06 1997-05-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体
US6335095B1 (en) * 1996-05-15 2002-01-0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wdery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articles obtained by molding same
KR100474162B1 (ko) * 1996-12-20 2005-05-1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열가소성엘라스토머조성물,그의파우더또는펠릿,및그를포함하는성형체
US6262138B1 (en) * 1998-11-11 2001-07-17 Kaneka Corporation Extrusion-foamed board of resin blend comprising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and polystyrene resin
US6521705B1 (en) * 1999-06-04 2003-02-1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powder and molded article thereof
WO2001042342A1 (en) * 1999-12-07 2001-06-1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Hydrogenated vinyl aromatic polymer foams
JP2001197902A (ja) 2000-01-18 2001-07-24 Jsr Corp 履物底材
JP2002361768A (ja) 2001-04-05 2002-12-18 Sumitomo Chem Co Ltd 多層成形体
KR20040069949A (ko) * 2003-01-29 2004-08-06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분말 성형용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0439432C (zh) * 2003-04-10 2008-12-03 旭化成化学株式会社 含有氢化共聚物的聚合物泡沫
DE112004000558B4 (de) 2003-04-10 2012-08-30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Polymerschaum, der ein hydriertes Copolymer enthält, und Verwendung eines Materials zur Herstellung eines Polymerschaums
JP4300868B2 (ja) 2003-04-30 2009-07-22 東ソー株式会社 制振性発泡体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制振性発泡体
WO2004101269A1 (ja) * 2003-05-15 2004-11-25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水添共重合体含有積層体
US20060154998A1 (en) * 2003-06-27 2006-07-13 Mitsui Chemicals, Inc. Resin composition for foam and use thereof
EP1795552A1 (en) * 2005-12-06 2007-06-13 TSRC Corporation A thermoplastic elastomer foaming material and its processing
JP5502319B2 (ja) 2006-02-13 2014-05-2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水添ブロック共重合体、該水添ブロック共重合体含有樹脂組成物、それらの架橋体および架橋発泡体
US20070254971A1 (en) * 2006-05-01 2007-11-01 Synco De Vogel Foamable thermoplastic vulcanizate blends, methods, and articles thereof
US20080287614A1 (en) * 2007-05-15 2008-11-20 Sonoco Development, Inc. Polypropylene-Based Polymer Blend of Enhanced Melt Strength
JP5264420B2 (ja) 2008-11-06 2013-08-14 Dmノバフォーム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ES2682802T3 (es) 2008-12-22 2018-09-2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omposición reticulable y espumable, espuma reticulada y entresuela de zapato que las comprende
JP5721354B2 (ja) * 2010-07-20 2015-05-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JP5643018B2 (ja) 2010-07-27 2014-12-17 Dmノバフォーム株式会社 発泡体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WO2013047690A1 (ja) * 2011-09-29 2013-04-04 三菱化学株式会社 水素化ブロック共重合体、樹脂組成物、フィルム及び容器
JP2014101432A (ja) 2012-11-19 2014-06-05 Idemitsu Unitech Co Ltd 発泡体、成形体、および発泡体の製造方法
JP6200799B2 (ja) * 2012-12-27 2017-09-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レクトレットシート
JP2014141851A (ja) 2013-01-25 2014-08-07 Noboru Machii 緊急連絡記入欄付きスマートキーの保護具
US20170318901A1 (en) 2014-11-14 2017-11-09 Asics Corporation Outer sole and shoe
ES2816007T3 (es) 2017-01-25 2021-03-31 Tsrc Corp Composición termoplástica de elastómero para espuma entrecruzada y uso de la mism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339A (ja) * 2003-05-15 2004-12-02 Asahi Kasei Chemicals Corp 水添共重合体含有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シート、フィルム
KR20080023306A (ko) * 2005-05-19 2008-03-13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1544A1 (en) 2019-01-23
CN109280255A (zh) 2019-01-29
JP2019031661A (ja) 2019-02-28
US20190023884A1 (en) 2019-01-24
US11939456B2 (en) 2024-03-26
JP6929251B2 (ja) 2021-09-01
TWI766073B (zh) 2022-06-01
TW201908392A (zh) 2019-03-01
KR102203302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276B1 (ko)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0973375B1 (ko)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용도
FI106865B (fi) Menetelmä silloitettujen etyleenisten polymeerivaahtorakenteiden valmistamiseksi
KR101396097B1 (ko) 가교 발포용 조성물, 가교 발포체 및 이것을 이용한 구두용 미드솔
KR20190010497A (ko) 발포체 제조용의 조성물, 발포체, 및 이를 이용하는 신발
TW201404811A (zh) 衝擊吸收材及密封材
CN108342014B (zh) 交联发泡用热塑性弹性体组合物及其应用
JP6867034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部材、ウェザーシール、ウェザーシール用コーナー部材
KR20010023303A (ko) 중합체 및 그의 포움의 가교결합 방법
JPWO2017170907A1 (ja)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TW593470B (en) Composition for foamed product
JP2019059932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
JP4808324B2 (ja) 発泡性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10126577A (ja) 発泡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発泡成形品
JP4254434B2 (ja) 発泡体成形用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ジエン共重合ゴム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過酸化物架橋発泡体
JP6153788B2 (ja) 発泡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複合成形体
KR102301273B1 (ko) 중합체 조성물, 발포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