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280A -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그리고 유리판의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그리고 유리판의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280A
KR20190009280A KR1020187029961A KR20187029961A KR20190009280A KR 20190009280 A KR20190009280 A KR 20190009280A KR 1020187029961 A KR1020187029961 A KR 1020187029961A KR 20187029961 A KR20187029961 A KR 20187029961A KR 20190009280 A KR20190009280 A KR 20190009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lass plate
side end
cutting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032B1 (ko
Inventor
마사오 츠카다
사카에 우노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6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being suspended; Suspending devices, e.g. clamps, supporting to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유리 리본(G2)을 연속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유리 리본(G2)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유리 리본(G2)으로부터 유리 원판(G3)을 잘라내는 제 1 절단 공정과, 반송 장치(4)로 유리 원판(G3)을 세로 자세로 반송하는 반송 공정과, 반송 공정 중에서 반송 장치(4)의 반송 경로(D) 상에서 유리 원판(G3)의 제품부(G3a)와 그 측단부를 포함하는 비제품부(G3b)의 경계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여 유리 원판(G3)으로부터 비제품부(G3b)를 제거하는 제 2 절단 공정을 구비한다. 반송 장치(4)는 지지부(41)와,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의 두께보다 큰 규제 간극(C1)을 갖는 규제부(42)를 구비하고, 규제 간극(C1) 내에서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를 규제한 상태에서 지지부(41)로 유리 원판(G3)의 상단부(G3u)를 지지한다.

Description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그리고 유리판의 반송 장치
본 발명은 유리판의 제조 기술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유리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슬롯 다운드로우법, 리드로우법으로 대표되는 다운드로우법을 이용한 방법이나, 플로트법을 이용한 방법이 널리 채용되기에 이르고 있다. 이들 방법을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공정의 일례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우선, 장척인 유리 리본을 연속적으로 성형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 때, 유리 리본의 양측의 측단부(폭 방향의 양단부)는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의 중앙부와 비교해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이 통례이다. 유리 리본의 양측의 측단부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부분은 에지부라고 불릴 경우가 있다.
이어서, 유리 리본을 소정의 길이마다 폭 방향으로 절단하고,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판의 기원이 되는 유리 원판을 잘라낸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 유리 리본의 측단부에 에지부가 형성될 경우, 유리 원판의 측단부에도 에지부가 남는다.
그 후, 유리 원판을 절단하고, 유리 원판으로부터 에지부를 포함한 비제품부를 제거함으로써 유리 원판으로부터 제품부를 잘라낸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을 참조). 이 잘라내어진 제품부에 대하여 연마나 세정 등의 각종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품이 되는 유리판이 제조된다.
일본 특허공개 2014-12212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00517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024720호 공보
그런데,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등의 다운드로우법을 이용해서 유리판을 제조할 경우, 유리 리본은 세로 자세(예를 들면, 연직 자세 등)의 상태에서 성형된다. 그 때문에, 공간절약화의 관점 등으로부터 세로 자세의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원판을 잘라냄과 아울러, 잘라내어진 유리 원판을 세로 자세인 채로 반송하고, 그 반송 경로 상에서 유리 원판의 비제품부를 제거할 경우가 있다.
그러나, 유리 원판으로부터 비제품부를 제거할 때까지는 유리 원판의 양측의 측단부에는 상대적으로 두께의 두꺼운 에지부가 남은 상태이다. 그 때문에, 유리 원판을 세로 자세로 반송하면 유리 원판으로부터 비제품부를 제거할 때까지의 구간에서 측단부의 무게에 의해 유리 원판이 흔들리거나 절곡되거나 한다고 하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사태가 생기면, 유리 원판의 측단부 및 그 근방에 과도 한 굽힘응력이 작용하여 유리 원판이 반송 중에 갈라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은 최근의 유리판의 박판화에 따라 보다 현저하게 되고 있다. 이것은 유리판의 제품부를 박판화했다고 해도 에지부는 얇게 되지 않기 때문에, 유리 원판에 있어서 비제품부에 포함되는 측단부(에지부)와 제품부의 두께 차가 커져서 측단부의 무게가 제품부에 주는 영향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문제는 다운드로우법을 이용했을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로트법을 이용했을 경우라도 세로 자세의 유리 원판의 반송을 수반할 때에는 마찬가지로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세로 자세의 유리 원판의 반송을 수반할 경우라도 유리 원판이 반송 중에 갈라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유리 리본을 연속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유리 리본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고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원판을 잘라내는 절단 공정과, 반송 장치에서 유리 원판을 세로 자세로 반송하는 반송 공정을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반송 장치가 지지부와, 유리 원판의 측단부의 두께보다 큰 규제 간극을 갖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규제 간극 내에서 유리 원판의 측단부를 규제한 상태에서 지지부에서 유리 원판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 원판의 상단부를 지지부에서 지지하면서 유리 원판의 측단부를 규제부의 규제 간극 내에서 규제할 수 있다. 즉, 유리 원판의 측단부의 움직임은 규제 간극의 범위 내에 제한된다. 그 때문에, 유리 원판의 측단부에 흔들림이나 절곡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유리 원판을 세로 자세로 반송해도 유리 원판이 갈라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리 원판의 측단부를 표리 양측으로부터 직접 협지함으로써 유리 원판의 흔들림이나 절곡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측단부의 두께는 제조 조건 등에 따라 변동될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유리 원판의 측단부를 직접 협지하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 유리 원판의 측단부가 과도하게 압박되어서 오히려 유리 원판에 균열이 생기기 쉬워질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러한 지견 에 의거하여 유리 원판의 측단부를 직접 협지하는 구성이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원판의 측단부의 두께보다 큰 규제 간극 내에서 규제하는 구성으로 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반송 장치는 유리 원판을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표리면을 따르는 폭 방향으로 반송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반송 중에 유리 원판에 작용하는 공기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에, 유리 원판의 흔들림이나 절곡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규제 간극 내에서 유리 원판의 측단부의 상방 부분만을 규제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부와 규제부를 유리 원판의 상방 부분에 모을 수 있으므로 반송 장치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반송 공정 중에 반송 장치의 반송 경로 상에서 유리 원판의 제품부와 그 측단부를 포함하는 비제품부의 경계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고, 유리 원판으로부터 비제품부를 제거하는 제 2 절단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측단부를 포함하는 비제품부의 흔들림이나 절곡을 방지하면서 유리 원판으로부터 제품부를 잘라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지지부가 유리 원판의 상단부 중 제품부의 상단부만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부가 유리 원판의 상단부 중 비제품부의 상단부를 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 원판으로부터 비제품부를 절단 제거할 때에 지지부에 의한 지지가 방해될 일이 없다. 또한, 비제품부를 절단한 후는 지지부에서 제품부를 지지한 상태인 채로 제품부를 후속의 공정에 반송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반송 장치의 반송 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유리 원판의 측단부의 두께보다 큰 가이드 간극을 갖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반송 장치에 의해 유리 원판을 반송하면서 소정 위치에서 유리 원판의 하단부를 가이드 간극에 통과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반송 장치와는 다른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간극에 의해서 반송 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서 유리 원판의 하단부가 안내된다. 그 때문에, 유리 원판의 하단부의 위치를 반송 중에 수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가 유리 원판의 두께 방향에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면을 갖고, 한쌍의 가이드면 사이가 가이드 간극으로 됨과 아울러, 한쌍의 가이드면의 대향 간격이 반송 방향의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작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원판의 하단부를 한쌍의 가이드면의 사이에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유리 원판의 하단부의 위치를 무리없이 확실하게 수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2 절단 공정은 유리 원판의 제품부와 비제품부의 경계에 상하 방향으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스테이션과, 제 1 스테이션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유리 원판을 할단하기 위한 제 2 스테이션을 갖고, 가이드 부재는 제 1 스테이션 및 제 2 스테이션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제 1 스테이션과,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서 유리 원판을 할단하는 제 2 스테이션 중 적어도 한쪽에서, 유리 원판의 하단부가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된다. 그 때문에, 가이드 부재를 설치한 측의 스테이션에 있어서 유리 원판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원판에 대하여 가이드 부재를 설치한 측의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가공(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 및/또는 할단)을 정밀도 좋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장치는, 유리 리본을 연속 성형하는 성형 장치와, 유리 리본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고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원판을 잘라내는 절단 장치와, 유리 원판을 세로 자세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로서, 반송 장치가 유리 원판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유리 원판의 측단부의 두께보다 큰 규제 간극을 갖고, 규제 간극 내에서 유리 원판의 측단부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미 서술한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반송 장치의 반송 경로 상에서 유리 원판의 제품부와 그 측단부를 포함하는 비제품부의 경계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고, 유리 원판으로부터 비제품부를 제거하는 제2의 절단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미 서술한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유리판의 반송 장치는, 세로 자세의 유리판을 반송하는 유리판의 반송 장치로서, 유리판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유리판의 측단부의 두께보다 큰 규제 간극을 갖고, 규제 간극 내에서 유리판의 측단부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미 서술한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로 자세의 유리 원판의 반송을 수반하는 경우라도 유리 원판이 반송 중에 갈라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의 상류측 영역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에 포함되는 제 2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X-X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의 하류측 영역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Y-Y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Z-Z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의 제조 장치는 유리 리본(G2)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1)(도 1을 참조)와, 유리 리본(G2)으로부터 유리 원판(G3)을 잘라내는 제 1 절단 장치(2)(도 1을 참조)와, 제 1 절단 장치(2)로부터 유리 원판(G3)을 수취하는 운반 장치(3)(도 1을 참조)와, 운반 장치(3)로부터 유리 원판(G3)을 수취하여 반송하는 반송 장치(4)(도 2 참조)와, 반송 장치(4)로 반송 중인 유리 원판(G3)으로부터 불필요 부분을 절단 제거하는 제 2 절단 장치(5)(도 4를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 장치(1)는 유리 리본(G2)을 성형하는 성형로(11)와, 유리 리본(G2)을 서냉(어닐 처리)하는 서냉로(12)와, 유리 리본(G2)을 실온 부근까지 냉각하는 냉각로(13)와, 성형로(11), 서냉로(12) 및 냉각로(13)의 각각의 내부공간에서 상하 복수단으로 설치된 롤러쌍(14)을 구비하고 있다.
성형로(11)의 내부공간에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G1)로부터 유리 리본(G2)을 성형하는 성형체(15)가 배치되어 있다. 성형체(15)에 공급된 용융 유리(G1)는 성형체(15)의 탑부(15a)로부터 넘쳐 나오게 되어 있고, 그 넘쳐 나온 용융 유리(G1)가 성형체(15)의 단면 쐐기 형상을 하는 양 측면(15b)을 타고서 하단에서 합류함으로써 판 형상의 유리 리본(G2)이 연속적으로 성형되게 되어 있다. 성형되는 유리 리본(G2)은 세로 자세(바람직하게는 연직 자세)이다.
서냉로(12)의 내부공간은 하방을 향해서 소정의 온도 구배를 갖고 있다. 세로 자세의 유리 리본(G2)은 서냉로(12)의 내부공간을 하방을 향해서 이동함에 따라서 온도가 낮아지도록 서냉된다. 이것에 따라, 유리 리본(G2)의 내부 변형이 제거된다. 서냉로(12)의 내부공간의 온도 구배는, 예를 들면 서냉로(12)의 내면에 설치한 가열 장치 등의 온도 조정 장치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냉로(12)의 하방에서 유리 리본(G2)을 대기에 해방하고, 냉각로(13)를 생략해도 좋다.
복수의 롤러쌍(14)은 세로 자세의 유리 리본(G2)의 양측의 측단부를 표리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서냉로(12)의 내부공간 등에서는, 복수의 롤러쌍(14) 중에 유리 리본(G2)의 측단부를 협지하지 않는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롤러쌍(14)의 대향 간격을 유리 리본(G2)의 측단부의 두께보다 크게 하여, 롤러쌍(14)의 사이를 유리 리본(G2)이 통과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리본(G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롤러쌍(14)을 구성하는 개개의 롤러는, 로 밖으로 연장된 회전축에 의해서 지지된 캔틸레버 롤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성형 장치(1)에 의해서 제조된 유리 리본(G2)의 양측의 측단부는 성형 과정의 수축 등의 영향에 의해, 폭 방향의 중앙부에 비해서 두께가 크다. 즉, 유리 리본(G2)의 양측의 측단부의 각각은, 소위 에지부가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절단 장치(2)는 성형 장치(1)의 하방에서 세로 자세의 유리 리본(G2)을 소정의 길이마다 폭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유리 리본(G2)으로부터 유리 원판(G3)을 순차적으로 잘라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폭 방향은 유리 리본(G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이 실시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과 일치한다.
제 1 절단 장치(2)는 성형 장치(1)로부터 강하해 온 세로 자세의 유리 리본(G2)의 표면(G2x) 상을 주행함으로써 유리 리본(G2)의 폭 방향을 따라서 스크라이브 라인(S1)을 형성하는 휠 커터(도시생략)와, 스크라이브 라인(S1)이 형성된 영역에 이면(G2y)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이면 지지부(21)와, 절단 대상의 유리 원판(G3)에 대응하는 부분의 유리 리본(G2)을 지지한 상태에서 스크라이브 라인(S1) 및 그 근방에 굽힘응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동작을 행하는 측단부 지지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표면(G2x) 및 이면(G2y)은 서로 두께 방향에서 대향하는 주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리 리본(G2)의 어느 주표면을 표면(G2x)(또는 이면(G2y))으로 해도 된다. 이것은, 후술하는 유리 원판(G3)의 표리면에 대해서도 같다.
휠 커터는 강하 중의 유리 리본(G2)에 추종 강하하면서, 유리 리본(G2)의 폭 방향의 전폭 또는 일부에 스크라이브 라인(S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커지는 유리 리본(G2)의 측단부에도 폭 방향으로 스크라이브 라인(S1)이 형성된다. 또한, 스크라이브 라인(S1)은 레이저의 조사 등에 의해서 형성해도 좋다.
이면 지지부(21)는 유리 리본(G2)의 폭 방향을 따라 장척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강하 중의 유리 리본(G2)에 추종 강하하면서 유리 리본(G2)의 전폭 또는 일부와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측단부 지지부(22)는 유리 리본(G2)의 양측의 측단부를 표리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척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측단부 지지부(22)는 유리 리본(G2)의 양측의 측단부의 각각에 있어서 유리 리본(G2)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일방측의 측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측단부 지지부(22)는, 이것들 모두가 동일한 암(도시생략)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타방측의 측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측단부 지지부(22)도, 이것들 모두가 동일한 암(도시생략)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암의 동작에 의해 복수의 측단부 지지부(22)가 강하 중인 유리 리본(G2)에 추종 강하하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한 유리 리본(G2)을 이면 지지부(21)를 지점으로 해서 만곡시키기 위한 동작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S1) 및 그 근방에 굽힘응력을 부여하고, 유리 리본(G2)을 스크라이브 라인(S1)을 따라서 폭 방향으로 할단한다. 이 할단의 결과, 유리 리본(G2)으로부터 유리 원판(G3)이 잘라내어진다. 또한, 측단부 지지부(22)는 협지하는 지지 형태에 한하지 않고, 유리 리본(G2)(또는 유리 원판(G3))의 표리면의 어느 한쪽의 면만을 부압 흡착에 의해서 지지하는 것이라도 된다.
측단부 지지부(22)는 잘라내어진 유리 원판(G3)을 암의 이동에 따라서 반송 경로(B)를 따라서 제 1 위치(P1)까지 반송한 후, 운반 장치(3)에 유리 원판(G3)을 주고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운반 후에는, 측단부 지지부(22)가 유리 원판(G3)에 있어서의 측단부의 지지를 해제함과 아울러, 유리 리본(G2)으로부터 다음 유리 원판(G3)을 잘라내기 위해서, 암의 이동에 따라서 잘라내기를 개시하기 전의 위치로 돌아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반 장치(3)는 유리 원판(G3)을 매달아 지지하는 상단부 지지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상단부 지지부(31)는 유리 원판(G3)의 상단부(G3u)를 표리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척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단부 지지부(31)는 제 1 위치(P1)에 있어서, 제 1 절단 장치(2)의 측단부 지지부(22)로부터 세로 자세의 유리 원판(G3)을 수취한 후, 반송 경로(C)(도시예에서는 수평 방향)를 따라서 세로 자세의 유리 원판(G3)을 제 2 위치(P2)까지 두께 방향(표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단부 지지부(31)는 협지하는 지지 형태에 한하지 않고, 유리 원판(G3)의 표리면의 어느 한쪽의 면만을 부압 흡착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라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장치(4)는 유리 원판(G3)을 매달아 지지하는 상단부 지지부(41)와, 유리 원판(G3)의 폭 방향 양측의 각각에서 측단부(G3w)를 규제하는 측단부 규제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 2 위치(P2)에 있어서, 유리 원판(G3)은 제품부(G3a)와, 측단부(G3w)를 포함하는 비제품부(불필요 부분)(G3b)의 경계(BL)가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비제품부(G3b)는 제품부(G3a)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단부 지지부(41)는 유리 원판(G3)의 제품부(G3a)를 지지하고, 측단부 규제부(42)는 유리 원판(G3)의 비제품부(G3b)에 포함되는 적어도 측단부(G3w)를 규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비제품부(G3b)에 포함되는 측단부(G3w)는 제품부(G3a)에 비해서 두께가 크다(도 3을 참조).
상단부 지지부(41)는 유리 원판(G3)의 상단부를 표리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척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단부 지지부(41)는 유리 원판(G3)의 상단으로부터 20㎜ 이내의 범위에서 유리 원판(G3)을 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단부 지지부(41)는 유리 원판(G3)의 프레임 형상의 둘레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중앙측 영역에 형성되는 유효면(품질이 보증된 부분)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부 지지부(41)는 제 2 위치(P2)에 있어서 운반 장치(3)의 상단부 지지부(31)로부터 세로 자세의 유리 원판(G3)을 수취한 후, 세로 자세의 유리 원판(G3)을 반송 경로(D)(도 2에서는 수평 방향)를 따라 하류측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운반 장치(3)의 상단부 지지부(31)와 반송 장치(4)의 상단부 지지부(41)는 서로 유리 원판(G3)을 지지하는 위치가 다르다. 제 2 위치(P2)에서는, 우선 운반 장치(3)의 상단부 지지부(31)에서 유리 원판(G3)이 지지되고 있고, 그 상태에서 반송 장치(4)의 상단부 지지부(41)에서 유리 원판(G3)의 다른 위치가 지지된다. 그 후, 반송 장치(4)의 상단부 지지부(41)에서 유리 원판(G3)을 지지한 상태에서 운반 장치(3)의 상단부 지지부(31)에 의한 유리 원판(G3)의 지지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위치(P2)에서 운반 장치(3)로부터 반송 장치(4)로 유리 원판(G3)이 주고받아진다. 또한, 운반 장치(3)는 반송 장치(4)에 유리 원판(G3)을 주고받은 후, 제 2 위치(P2)로부터 제 1 위치(P1)로 돌아간다.
반송 장치(4)는 레일(43)과, 레일(43)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 1 이동체(44)를 구비하고 있고, 유리 원판(G3)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도시예는 2개)의 상단부 지지부(41)가 제 1 이동체(44)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상단부 지지부(41)가 1개의 제 1 이동체(44)에 부착되고, 제 1 이동체(44)의 이동에 따라서 복수의 상단부 지지부(41)가 일체적으로 레일(43)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레일(43)은 유리 원판(G3)의 폭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원판(G3)은 표리면을 따르는 폭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유리 원판(G3)을 두께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단부 지지부(41)는 유리 원판(G3)의 표리면의 어느 한쪽의 면만을 부압 흡착에 의해 지지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복수의 상단부 지지부(41)는 서로 접근 및 배반 가능하게, 각각 독립한 이동체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원판(G3)의 크기가 변경되었을 경우 등에서도 지지 위치의 조정이 간단하게 되거나, 유리 원판(G3)에 폭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할 수 있거나 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단부 규제부(42)는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의 두께보다 큰 규제 간극(C1)을 갖고, 규제 간극(C1) 내에서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를 규제하게 되어 있다. 즉, 측단부 규제부(42)는 규제 간극(C1) 내에 배치된 유리 원판(G3)을 직접 협지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의 상방 부분만이 규제 간극(C1) 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측단부 규제부(42)는 유리 원판(G3)의 상단로부터 20㎜ 이내의 범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단부 규제부(42)는 유리 원판(G3)의 유효면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단부 규제부(42)는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의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예를 들면 상방 부분, 중앙 부분 및 하방 부분의 3개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측단부 규제부(42)는 개폐 동작이 가능한 한쌍의 암(42a)을 구비하고 있고, 닫힌 상태에서 한쌍의 암(42a)의 사이에 규제 간극(C1)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즉, 측단부 규제부(42)는 유리 원판(G3)을 직접 협지하지 않는다고 하는 점 이외에는 척 기구에 준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위치(P2)에 있어서 운반 장치(3)의 상단부 지지부(31)로부터 반송 장치(4)의 상단부 지지부(41)로 유리 원판(G3)을 주고받는 동안에, 열린 상태의 측단부 규제부(42)가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에 접근한 후에 닫힌 상태로 되고,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가 규제 간극(C1) 내에 배치된다(도 2 및 도 3을 참조). 또한, 측단부 규제부(42)는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를 규제하는 규제 간극(C1)을 갖고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은 개폐 기구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장치(4)는 제 1 이동체(44)와 같은 레일(43)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 2 이동체(45)를 구비하고 있고, 측단부 규제부(42)가 제 2 이동체(45)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이동체(45)는 제 1 이동체(44)의 움직임에 동기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단부 지지부(41)와 측단부 규제부(42)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바뀌지 않고, 상단부 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된 유리 원판(G3)이 이동해도 측단부 규제부(42)는 유리 원판(G3)에 추종하게 되어 있다. 또한, 측단부 규제부(42)는 상단부 지지부(41)와 공통의 이동체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단부 규제부(42)의 암(42a)의 유리 원판(G3)과 대면하는 부분에는, 유리 원판(G3)이 흔들려서 접촉했을 경우에 유리 원판(G3)에 상처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무 등의 탄성체(42b)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 간극(C1)의 유리 원판(G3)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L1)은 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규제 간극(C1)의 유리 원판(G3)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깊이(L2)는 5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규제 간극(C1) 내에 배치되는 유리 원판(G3)의 폭 방향 치수(L3)는 3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측단부 규제부(42)의 규제 간극(C1) 내에서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의 움직임을 규제하면, 유리 원판(G3)의 반송 중에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에 흔들림이나 절곡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유리 원판(G3)을 세로 자세로 반송해도 측단부(G3w)를 포함하는 비제품부(G3b)를 절제하기 전에 유리 원판(G3)이 갈라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절단 장치(5)는 유리 원판(G3)의 제품부(G3a)와 비제품부(G3b)의 경계(BL)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스크라이브 라인(S2)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스테이션(ST1)과, 제 1 스테이션(ST1)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스크라이브 라인(S2)을 따라서 유리 원판(G3)을 할단하기 위한 제 2 스테이션(ST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4)에 의해 반송되는 유리 원판(G3)은 제 1 스테이션(ST1)과 제 2 스테이션(ST2)에서 일시 정지하고, 각각의 스테이션에서 가공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절단 장치(5)는 제 1 스테이션(ST1)에 있어서 유리 원판(G3)의 스크라이브 라인(S2)이 형성되는 영역에 이면(G3y)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이면 지지부(51)와, 스크라이브 라인(S2)을 유리 원판(G3)의 표면(G3x)측에 형성하는 휠 커터(52)를 구비하고 있다. 휠 커터(52)는 유리 원판(G3) 상하 방향의 전역 또는 일부에 스크라이브 라인(S2)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원판(G3)의 상단부(G3u)와 하단부(G3d)를 제외한 상하 방향의 일부에 스크라이브 라인(S2)이 형성된다. 또한, 스크라이브 라인(S2)은 레이저의 조사 등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절단 장치(5)는 제 2 스테이션(ST2)에 있어서 스크라이브 라인(S2)과 간격을 두고서 스크라이브 라인(S2)과 평행하게 제품부(G3a)의 이면(G3y)측에 접촉하는 이면 지지부(53)와, 스크라이브 라인(S2)과 간격을 두고서 스크라이브 라인(S2)과 평행하게 비제품부(G3b)의 표면(G3x)측에 접촉하는 압박부(5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면 지지부(53) 및 압박부(54)는 유리 원판(G3)에 접촉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판 형상체(정반)이다. 또한, 이면 지지부(53) 및 압박부(54)는 접촉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환봉 형상체 등이라도 된다.
압박부(54)는 비제품부(G3b)를 이면(G3y)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유리 원판(G3)을 이면 지지부(53)를 지점으로 해서 만곡시킨다(도 6의 화살표 E를 참조). 이것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S2) 및 그 근방에 굽힘응력을 부여하고, 유리 원판(G3)을 스크라이브 라인(S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할단한다. 이 할단의 결과, 유리 원판(G3)으로부터 비제품부(G3b)가 제거되고, 제품부(G3a)가 잘라내어진다. 이 때, 압박부(54)에 의한 유리 원판(G3)의 밀어넣음 동작을 저해하지 않도록, 측단부 규제부(42)는 열린 상태로 되어서 유리 원판(G3)으로부터 떨어져 있다(도 4를 참조). 상세하게는, 제 2 스테이션(ST2)까지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의 움직임을 측단부 규제부(42)로 규제하면서 유리 원판(G3)을 반송한 후, 압박부(54)로 유리 원판(G3)을 압박하기 전에 측단부 규제부(42)를 유리 원판(G3)으로부터 떨어뜨려서 측단부(G3w)의 규제를 해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품부(G3a)는 할단 전후에 있어서 상단부 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할단된 제품부(G3a)는 상단부 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후속의 공정으로 반송되게 되어 있다. 상단부 지지부(41) 및 측단부 규제부(42)는, 미리 정해진 후속의 공정(예를 들면 검사 등)까지 이동한 후, 운반 장치(3)로부터 유리 원판(G3)을 수취하는 제 2 위치(P2)까지 되돌아온다.
한편, 비제품부(G3b)는 할단 후에 지지하지 않으면, 제품부(G3a)의 근방에서 낙하 회수되게 된다. 또한, 제품부(G3a)의 근방에서의 비제품부(G3b)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할단 전후에서 비제품부(G3b)를 지지하고, 제품부(G3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비제품부(G3b)를 회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비제품부(G3b)의 지지에는, 예를 들면 로봇 암의 선단에 비제품부(G3b)의 이면(G3y)을 흡착 가능한 진공 컵을 구비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4)의 반송 경로(D) 상의 소정 위치에는, 유리 원판(G3)의 하단부(G3d)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부재(6)는 제 1 스테이션(ST1)에 있어서의 각 스크라이브 라인(S2)의 형성 위치의 직상류, 제 2 스테이션(ST2)에 있어서의 각 할단 위치의 직상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6)의 높이 위치는 적당하게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6)는 유리 원판(G3)의 두께 방향에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면(61)을 갖는다. 한쌍의 가이드면(61) 사이에는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의 두께보다 큰 가이드 간극(C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간극(C2)을 갖는 한쌍의 가이드면(61)의 대향 간격은,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작게 되어 있다. 즉, 가이드 간극(C2)은 가이드 부재(6)의 상류단에 있어서 크고, 그 하류단에 있어서 작게 되어 있다. 반송 장치(4)에 의해 유리 원판(G3)을 반송하면서, 유리 원판(G3)의 하단부(G3d)를 가이드 부재(6)의 한쌍의 가이드면(61)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간극(C2)에 통과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리 원판(G3)의 상단부(G3u)만을 지지하고 있을 경우라도 유리 원판(G3)의 하단부(G3d)의 위치를 바르게 수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스테이션(ST1)에서 유리 원판(G3)에 정확하게 스크라이브 라인(S2)을 형성하거나, 제 2 스테이션(ST2)에서 유리 원판(G3)을 스크라이브 라인(S2)을 따라서 정확하게 할단하거나 할 수 있다.
한쌍의 가이드면(61)은 유리 원판(G3)의 하단으로부터 20㎜의 범위 내에서 유리 원판(G3)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쌍의 가이드면(61)은 유리 원판(G3)의 유효면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가이드면(61)은 유리 원판(G3)이 상처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끄럼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된다. 한쌍의 가이드면(61)의 유리 원판(G3)의 표리면에 대한 경사각도(θ)는 1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쌍의 가이드면(61)의 하류단에 있어서의 대향 간격(L4)은 3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판유리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판유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 장치(1)에 의해 유리 리본(G2)을 연속 성형한다(성형 공정). 이어서, 성형 장치(1)의 하방 위치에 있어서 제 1 절단 장치(2)에 의해 유리 리본(G2)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고, 유리 리본(G2)으로부터 유리 원판(G3)을 잘라낸다(제 1 절단 공정). 그 후, 운반 장치(3)를 사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잘라내어진 유리 원판(G3)을 반송 장치(4)에 주고받음과 아울러 반송 장치(4)에서 유리 원판(G3)을 세로 자세로 반송한다(반송 공정).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장치(4)는 유리 원판(G3)의 반송 중, 측단부 규제부(42)의 규제 간극(C1) 내에서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의 움직임을 규제한 상태에서, 상단부 지지부(41)에서 유리 원판(G3)의 상단부(G3u)를 지지한다. 그리고,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장치(4)의 반송 경로(D) 상에서 제 2 절단 장치(5)에 의해 유리 원판(G3)의 제품부(G3a)와 그 측단부(G3w)를 포함하는 비제품부(G3b)의 경계(BL)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고, 유리 원판(G3)으로부터 비제품부를 제거한다(제 2 절단 공정). 잘라내어진 제품부(G3a)는 상단부 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후속의 공정으로 반송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유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리본을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외에, 슬롯 다운드로우법, 리드로우법, 플로트법 등에 의해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리본(G2) 및 유리 원판(G3)을 스크라이브 할단할 경우를 설명했지만, 유리 리본(G2) 및/또는 유리 원판(G3)의 절단에는 레이저 등에 의한 열응력 할단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운반 장치(3)를 사용할 경우를 설명했지만, 운반 장치(3)를 생략하고, 제 1 절단 장치(2)의 측단부 지지부(22)에 의해 지지된 유리 원판(G3)을 반송 장치(4)의 상단부 지지부(41)에 직접 주고받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대상이 되는 유리 원판(G3)의 측단부(G3w)가,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에지부로 형성될 경우를 설명했지만, 반송 대상의 유리판은 측단부에 있어서 에지부를 갖지 않고, 폭 방향에서 두께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것이어도 된다. 즉, 반송 장치(4)에 의해서 에지부를 갖지 않는 유리판의 상단부를 상단부 지지부(41)에서 지지하면서, 그 측단부를 측단부 규제부(42)의 규제 간극(C1) 내에서 규제한 상태에서 에지부를 갖지 않는 유리판을 반송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품부(G3a)는 할단 전후에 있어서 상단부 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할단된 제품부(G3a)는 상단부 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후속의 공정에 반송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송 장치(4)는 각 스테이션 사이에서 1피치씩 유리 원판(G3)을 반송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장치(4)는 각 스테이션에 별도 구비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파지 부재에 유리 원판(G3)의 운반과 수취를 차례로 행하는 형태(반송 장치(4)가 1피치 이동→스테이션의 파지 부재에 유리 원판(G3)을 운반→반송 장치(4)가 1피치 되돌아옴→스테이션의 파지 부재로부터 유리 원판(G3)을 상단부 지지부(41)가 수취함)라도 좋다. 이 경우, 측단부 규제부(42)는 비제품부(G3b)가 제거되어 있지 않은 제 2 절단 장치(5)까지의 반송 장치(4)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성형 장치 11 : 성형로
12 : 서냉로 13 : 냉각로
14 : 롤러쌍 15 : 성형체
2 : 제 1 절단 장치 21 : 이면 지지부
22 : 측단부 지지부 3 : 운반 장치
31 : 상단부 지지부 4 : 반송 장치
41 : 상단부 지지부 42 : 측단부 규제부
43 : 레일 44 : 제 1 이동체
45 : 제 2 이동체 5 : 제 2 절단 장치
51 : 이면 지지부 52 : 휠 커터
53 : 이면 지지부 54 : 압박부
6 : 가이드 부재 61 : 가이드면
C1 : 규제 간극 C2 : 가이드 간극
G1 : 용융 유리 G2 : 유리 리본
G3 : 유리 원판 S1 : 스크라이브 라인
S2 : 스크라이브 라인

Claims (11)

  1. 유리 리본을 연속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유리 리본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원판을 잘라내는 절단 공정과, 반송 장치로 상기 유리 원판을 세로 자세로 반송하는 반송 공정을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장치가 지지부와, 상기 유리 원판의 측단부의 두께보다 큰 규제 간극을 갖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간극 내에서 상기 유리 원판의 상기 측단부를 규제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유리 원판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유리 원판을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표리면을 따르는 폭 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간극 내에서 상기 유리 원판의 상기 측단부의 상방 부분만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공정 중에 상기 반송 장치의 반송 경로 상에서 상기 유리 원판의 제품부와 그 측단부를 포함하는 비제품부의 경계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고, 상기 유리 원판으로부터 상기 비제품부를 제거하는 제 2 절단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유리 원판의 상기 상단부 중 상기 제품부의 상단부만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의 상기 반송 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유리 원판의 상기 측단부의 두께보다 큰 가이드 간극을 갖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유리 원판을 반송하면서 상기 소정 위치에서 상기 유리 원판의 하단부를 상기 가이드 간극에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유리 원판의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면을 갖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면 사이가 상기 가이드 간극으로 됨과 아울러, 상기 한쌍의 가이드면의 대향 간격이 반송 방향의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단 공정은 상기 유리 원판의 상기 제품부와 상기 비제품부의 경계에 상하 방향으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스테이션과, 상기 제 1 스테이션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상기 유리 원판을 할단하기 위한 제 2 스테이션을 갖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스테이션 및 상기 제 2 스테이션 중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9. 유리 리본을 연속 성형하는 성형 장치와, 상기 유리 리본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원판을 잘라내는 절단 장치와, 상기 유리 원판을 세로 자세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반송 장치가 상기 유리 원판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유리 원판의 측단부의 두께보다 큰 규제 간극을 갖고 상기 규제 간극 내에서 상기 유리 원판의 상기 측단부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의 반송 경로 상에서 상기 유리 원판의 제품부와 그 측단부를 포함하는 비제품부의 경계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하여 상기 유리 원판으로부터 상기 비제품부를 제거하는 제 2 절단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장치.
  11. 세로 자세의 유리판을 반송하는 유리판의 반송 장치로서,
    상기 유리판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유리판의 측단부의 두께보다 큰 규제 간극을 갖고 상기 규제 간극 내에서 상기 유리판의 상기 측단부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반송 장치.
KR1020187029961A 2016-05-18 2017-04-20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그리고 유리판의 반송 장치 KR102246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9546 2016-05-18
JP2016099546A JP6631838B2 (ja) 2016-05-18 2016-05-18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ガラス板の搬送装置
PCT/JP2017/015877 WO2017199681A1 (ja) 2016-05-18 2017-04-20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ガラス板の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280A true KR20190009280A (ko) 2019-01-28
KR102246032B1 KR102246032B1 (ko) 2021-04-29

Family

ID=6032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961A KR102246032B1 (ko) 2016-05-18 2017-04-20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그리고 유리판의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31838B2 (ko)
KR (1) KR102246032B1 (ko)
CN (1) CN109071310B (ko)
WO (1) WO2017199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9866B2 (ja) 2017-11-15 2021-06-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WO2020060829A1 (en) * 2018-09-19 2020-03-26 Corning Incorporated Glas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10104797A (ko) * 2018-12-21 2021-08-25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JP7276654B2 (ja) 2019-04-22 2023-05-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7366344B2 (ja) * 2019-10-09 2023-10-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GB202012506D0 (en) * 2020-08-11 2020-09-23 Gs Mr Glass And Stone Machinery And Robotics Uk & Ireland Ltd Sheet handling process
JP2022075174A (ja) * 2020-11-06 2022-05-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22097132A (ja) * 2020-12-18 2022-06-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割断装置
CN112960898A (zh) * 2021-03-02 2021-06-15 甘肃光轩高端装备产业有限公司 玻璃分离设备和方法
JPWO2022219922A1 (ko) 2021-04-13 2022-10-20
JP2023166753A (ja) * 2022-05-10 2023-11-2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ガラス板及びガラス板梱包体
JP2023166755A (ja) * 2022-05-10 2023-11-2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ガラス板及びガラス板梱包体
JP2024014408A (ja) * 2022-07-22 2024-02-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原板、ガラス原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原板梱包体
JP2024024968A (ja) * 2022-08-10 2024-02-2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056A (ja) * 1982-08-18 1984-02-28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材運搬具の板材位置決め機構
JP3135359U (ja) * 2007-07-02 2007-09-13 ホーエイテック株式会社 ハンドリング装置
JP2013187389A (ja) * 2012-03-08 2013-09-1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基板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JP2014005170A (ja) 2012-06-25 2014-01-1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2014024720A (ja) 2012-07-27 2014-02-0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4122124A (ja) 2012-12-20 2014-07-0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WO2014139594A1 (en) * 2013-03-15 2014-09-18 Applied Materials, Inc. Carrier for a substrate and method for carrying a substrate
JP2014205579A (ja) * 2013-04-10 2014-10-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保持部付ガラス基板、ガラス基板の熱処理方法、及びガラス基板支持ユニット
JP2016026968A (ja) * 2014-06-30 2016-02-18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板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01065C (de) * 1938-03-18 1941-01-08 Libbey Owens Ges Fuer Maschine Vorrichtung zum Halten von Flachglasplatten beim Haerten
JP3135359B2 (ja) 1992-05-26 2001-02-1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電気信号接続システム
JPH11246046A (ja) * 1998-03-02 1999-09-14 Sony Corp 基板搬送装置
JP2006056610A (ja) * 2004-08-17 2006-03-02 Kyokuhei Glass Kako Kk ガラス基板の移送用把持具および該把持具を用いた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への収納方法
JP2014125376A (ja) * 2012-12-26 2014-07-0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基板支持ユニット、ガラス基板支持方法、及びガラス基板熱処理方法
JP2014201449A (ja) * 2013-04-01 2014-10-2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搬送装置及びガラス板搬送方法
CN105319224B (zh) * 2014-06-30 2019-11-15 安瀚视特控股株式会社 玻璃板制造方法以及玻璃板制造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6056A (ja) * 1982-08-18 1984-02-28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材運搬具の板材位置決め機構
JP3135359U (ja) * 2007-07-02 2007-09-13 ホーエイテック株式会社 ハンドリング装置
JP2013187389A (ja) * 2012-03-08 2013-09-1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基板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JP2014005170A (ja) 2012-06-25 2014-01-1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2014024720A (ja) 2012-07-27 2014-02-0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4122124A (ja) 2012-12-20 2014-07-0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WO2014139594A1 (en) * 2013-03-15 2014-09-18 Applied Materials, Inc. Carrier for a substrate and method for carrying a substrate
JP2014205579A (ja) * 2013-04-10 2014-10-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保持部付ガラス基板、ガラス基板の熱処理方法、及びガラス基板支持ユニット
JP2016026968A (ja) * 2014-06-30 2016-02-18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板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1838B2 (ja) 2020-01-15
CN109071310B (zh) 2022-03-08
JP2017206407A (ja) 2017-11-24
WO2017199681A1 (ja) 2017-11-23
CN109071310A (zh) 2018-12-21
KR102246032B1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9280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그리고 유리판의 반송 장치
CN111356659B (zh) 玻璃板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JP6924379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786091B2 (ja) 薄板ガラス材の分断装置
CN109311736B (zh) 玻璃膜的制造方法
KR20220008779A (ko) 초박형 유리의 길이 절단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JP2018062432A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4302865A (zh) 板玻璃的制造方法以及板玻璃的制造装置
JP5953092B2 (ja) 帯状ガラス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WO2022219922A1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
WO2022113885A1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CN114728753A (zh) 玻璃膜的制造方法以及玻璃膜的制造装置
WO2021149519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4125419A (ja) ガラス板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板製造方法
WO2023228788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装置
KR102166605B1 (ko) 소재 절단장치
CN114761364A (zh) 玻璃膜的制造方法、玻璃卷的制造方法以及玻璃膜的制造装置
JP2000191333A (ja) ガラス板の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TW202134195A (zh) 玻璃膜的製造方法及玻璃膜的製造裝置
KR20230078952A (ko) 유리 롤의 제조 방법
TW202142505A (zh) 用於線內處理期間修整玻璃基板邊緣的方法及裝置
JP2016166126A (ja) ガラス板の位置決め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