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513A -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513A
KR20190005513A KR1020170086271A KR20170086271A KR20190005513A KR 20190005513 A KR20190005513 A KR 20190005513A KR 1020170086271 A KR1020170086271 A KR 1020170086271A KR 20170086271 A KR20170086271 A KR 20170086271A KR 20190005513 A KR20190005513 A KR 20190005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ound source
information
adjusting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392B1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준 filed Critical 이상준
Priority to KR1020170086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3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a And Coffe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는,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외주연부의 접선 방향으로 교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전류지지부, 상기 전류지지부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전류지지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교류 전류의 극성 변화에 의해 상기 전류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되는 자기진동부, 상기 자기진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을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유체로 전달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만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 및 외부 음원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는 진동조정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TEA DRINK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DJUSTABLE ULTRASONIC VIBRATIO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수용액이 담긴 용기에 가해지는 음파 진동을 조정할 수 있는 차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茶)는 좁은 의미로 차나무 어린잎을 따서 볶음 가공이나 건조 가공을 통해서 제조하여 물에 우려낸 음료를 칭하는 것으로, 가공되는 방법이나 잎의 재배 시기에 따라 녹차, 황차, 백차, 홍차, 우롱차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운다.
또한, 차는 넓은 의미로 곡류로 만든 율무차, 옥수수차, 여러 식물의 잎으로 만든 두충차, 감잎차 등, 과실류로 만든 유자차, 모과차, 꽃이나 뿌리 또는 껍질 등으로 만든 국화차, 인삼차, 귤피차, 약재로 만든 쌍화차 등과 같이 기호음료 전체를 칭하기도 한다.
상술된 차의 대표적인 종류인 녹차는 오랜 전부터 기호 및 보건성 음료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연구결과에서 녹차에 함유된 아미노산, 비타민, 폴리페놀류, 카페인, 미네랄 등의 성분들에 대한 여러 가지 약리효과 즉, 항산화작용, 혈압상승억제작용, 항당뇨작용, 항암작용, 소취작용 등의 효과가 밝혀지면서 음용 및 이용되는 분야가 폭넓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녹차 시장은 다이어트와 건강, 미용 등에 도움이 되는 저칼로리 웰빙(wellbeing)음료로 변화되었고, 기존의 녹차와는 새로운 맛을 추구하게 되었다.
상술된 넓은 의미의 기호식품으로서의 차는 건강을 보조하는 보조식품적인 성격인 건강차, 다이어트와 같이 특정 기능을 강조하는 기능차, 각종 한방 재료가 포함된 한방차, 및 인삼을 우려낸 인삼차 등이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술된 효능에 따라 메밀, 뽕잎, 산수유, 둥글레, 결명자, 구기자, 율무, 영지, 치커리, 옥수수, 버섯류, 대맥, 상황, 인삼 등의 재료를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추출 또는 침출하여 제조된 음료를 말한다.
상술된 차음료는 사용자의 음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물에 우려낼 수 있는 티백 형태나, 물에 탈 수 있는 가루 형태로 제조되어 판매됨에 따라 사용자가 구매하여 물에 침지하여 우려내 음용할 수 있다.
이런, 종래의 차 음료는 티백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물에 직접 티백을 넣어서 우려서 음용하도록 제조하는 것으로, 최적으로 제시된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의 물에서 티백을 우려내는 경우에는 제시된 침지 시간보다 길어져야 하고, 높은 온도의 물에 티백을 우려내는 경우 침지 시간보다 짧아져야 하나, 정확한 시간을 맞추기 어렵고, 티백이 덜 우러나게 되면 차 음료의 향취와 맛을 즐길 수 없고, 티백이 과도하게 우러나면 맛이 변질되어 떫은 맛이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 음료를 가루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가루 형태로 가공된 차가 물에 희석되면서 진한 향과 맛을 느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물에 용해되지 않고 침전물이 발생되어 음용 시 이물감을 느낄 수 있고, 하부로 침전되어 음용 중 마지막 부분의 맛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커피의 제조 방법을 응용하여 고온의 물을 이용하여 압력에 의해 차의 추출에 의해 차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캔이나 PET 병에 담아서 차음료를 제조함으로써,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편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에, 고온으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차 음료를 고속으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나, 은은한 맛을 내면서 특유의 향취를 가지는 차는 강한 맛과 향을 가지는 커피와 달라 맛이 변질되거나, 차의 특유한 향이 없어짐으로써, 차 음료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향신료나 차맛을 내는 제재를 더 포함하여 제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우려내는 차음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통상적으로 가열된 물로 우려내는 차음료와 비교하여, 쓴맛이 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어, 최근에는 차음료를 상온의 물로 우려내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상온의 물로 우려내는 차음료는 제조방식에 따라 점출식 및 침출식 으로 나뉘어진다. 점출식 차음료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물을 분쇄된 차원료에 떨어뜨려 투과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침출식 차음료는 분쇄된 차원료를 물이 담긴 용기에서 우려냄으로써 제조된다. 다만, 차음료는 어떠한 제조방식에 의하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 상업적 용도로 판매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상술된 점출식 차음료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물의 량이 정해져 있고, 침출식 차음료는 차원료가 실온의 물에서 우려냄에 있어 모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차음료의 추출되는 시간을 단축하면서,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실온에서 차음료를 제조하는 장치의 발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차음료 수용액이 담긴 용기에 가해지는 음파 진동을 조정함으로써, 현대인들의 차음료 문화를 고려하여 시간적인 측면 및 감성적인 측면에서 차음료추 추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는,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외주연부의 접선 방향으로 교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전류지지부, 상기 전류지지부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전류지지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교류 전류의 극성 변화에 의해 상기 전류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되는 자기진동부, 및 상기 자기진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을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유체로 전달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만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 및 외부 음원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는 진동조정회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동조정회로는, 상기 외부 음원으로부터 음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원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조정회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원 정보 각각에 포함된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상기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동조정회로는, 상기 외부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외부 음원으로부터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음원처리부, 및 상기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통해 자기진동부의 진동을 조정하는 진동조정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원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조정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자기진동부의 진동의 진폭이,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진폭과 상기 음원 정보에 포함된 진폭을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원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조정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자기진동부의 진동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주파수와 상기 음원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를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는, 상업적인 용도로 설치되어 실시되는 경우, 설정정보 및 차음료의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음원을 기초로 하여, 차음료가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는, 차음료의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음원을 재생함과 동시에 실시됨으로써, 차음료의 구매자가 시간적인 측면 및 감성적인 측면에서 향상된 차음료 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는, 차음료를 추출하기 위해서 용기에 담겨지는 유체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체의 중량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여 추출을 실시함으로써, 유체의 중량이 차이가 있어도 진동수 조절에 의해 설정된 동일한 시간으로 추출됨에 따라 생산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외형도로서,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음료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음료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의 (a)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여,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내부에 포함된 주요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체부에 포함된 구성으로서, 자기진동부의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진동조정회로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체부의 작동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설정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c) 및 (d)는 각각 음원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음료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음료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를 참조하면, 차음료 제조장치(1)는 차음료 수용액이 담긴 용기에 진동을 가하여 단시간에 차음료를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음료 제조장치(1)는 본체부(10) 및 플레이트부(30)를 포함할 수 있고, 본체부(10)는 표시부(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체부(10)의 상면에 플레이트부(30)가 배치되고, 본체부(10)의 정면에 표시부(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70)가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와 플레이트부(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표시부(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70) 또한 본체부(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본체부(10)와 원격으로 통신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진동을 생성하고, 생성된 진동을 플레이트부(30)로 전달함으로써, 플레이트부(30)가 그 상면에 놓인 용기에 음파 진동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부(30)의 상면에는 유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유체를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 실시예에 따라 분쇄된 차원료와 물이 섞인 차음료수용액을 담을 수 있다.
본체부(10)는 생성된 진동을 플레이트부(3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용기에 음파 진동을 가하고, 이로써 상기 분쇄된 차음료가 상기 물에 보다 용이하게 용해되도록 하여, 차음료의 추출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부(30)의 일측에는 상면에 위치하는 용기에 담겨진 유체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31)를 설치하여 본체부(10)에서 생성된 진동이 유체의 중량에 따라 세기가 조절되도록 유체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체부(10)는 진동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a)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여,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내부에 포함된 주요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단면도이다.
본체부(10)는 전류지지부(110), 자기진동부(130), 가이드부(150), 및 베이스부(17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냉각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류지지부(110)는 교류 전류를 입력받아 전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자기진동부(130)는 상기 전기장과 동일 영역에 자기장을 생성하고, 상기 전기장의 세기의 변화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전류지지부(110)는 상기 전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권취된 보이스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진동부(130)는 상기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마그넷 및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은 영구자석으로, 상기 패널은 자성체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플레이트부(30)와 베이스부(170) 사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플레이트부(30)와 베이스부(170)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플레이트부(30)와 베이스부(170)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해, 샤프트, 리니어부싱 베어링, 탄성스프링, 및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가이드부(150)는 플레이트부(30)와 베이스부(170) 사이에서 충격을 완충하도록 자기진동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탄성스프링(151), 볼 부쉬(152), 및 샤프트(153)를 포함한다.
탄성스프링(151)은 베이스부(17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플레이트부(30)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자기진동부(13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자기진동부(130)의 작동에 의해 플레이트부(30)의 상하로 진동 시에 탄성에 의해 진동을 완충하여 진동이 플레이트부(30)에 안치되어 있는 용기 내 유체에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볼 부쉬(152)는 베이스부(170)에 일측이 고정되고 내부에 상하로 직선 왕복 운동을 지지하도록 볼이 복수로 구비되어 자기진동부(130)와 탄성스프링(151) 사이 위치인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샤프트(153)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베어링 형태로 구비된다.
샤프트(153)는 일측이 플레이트부(30)에 고정되고, 타측이 볼 부쉬(152)에 상하로 직선 운동되도록 삽입 지지되어 자기진동부(130)의 양측에서 플레이트부(30)에 고정된 샤프트(153)가 볼 부쉬(152)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면서 가이드함에 따라 상하 진동에 의해 플레이트부(30)가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베이스부(170)는 내부에 포함된 냉각부(190)와 함께 전류지지부(110) 및 자기진동부(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베이스부(170)는 상기 열의 신속한 방출을 위해,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표시부(50)는 본체부(10) 내부로부터 생성된 진동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50)는 본체부(10)의 작동모드(510), 상기 진동의 주파수(530), 세기(550), 및 진동 시간(570)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50)는 플레이트부(30)가 그 상면에 놓인 용기에 가하는 음파 진동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는 본체부(10)가 진동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정보를 본체부(10)로 전달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30)는 본체부(10)가 생성한 진동을, 그 상면에 놓인 용기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는 전류지지부(110)에 입력되는 상기 교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전류지지부(110)가 생성하는 전기장을 제어하고, 나아가, 상기 전기장의 세기의 변화에 따라 진동하는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을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류지지부(110)는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본체부(10)는 전류지지부(110)의 외주연부의 접선 방향으로 교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자기진동부(130)는 전류지지부(110)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고, 전류지지부(11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교류 전류의 극성 변화에 의해 전류지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상기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의 조정을 위해 진동조정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의 조정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체부에 포함된 구성으로서, 자기진동부의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진동조정회로의 구성블록도이다.
진동조정회로(1000)는 진동조정부(1200), 음원처리부(1400), 및 메모리(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조정부(1200)는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진동조정부(1200)는 본체부(10)의 작동모드(이하 '작동모드'라 함; md)에 따라,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작동모드(md)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진동조정부(1200)는, 작동모드(md) 이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70)로부터 설정 정보(pred_info)를 입력받고, 음원처리부(1400)로부터 음원 정보(vc_info)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음원 정보(vc_info)는 음원처리부(1400)에 의해 메모리(1600)에 저장된 다양한 형태의 음향 신호(이하 '외부 음원'이라 지칭함; ex_vc)로부터 추출된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진동조정부(1200)는 작동모드(md), 설정 정보(pred_info), 및 음원 정보(vc_info)를 이용하여,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ac_cont)를 통해,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신호(ac_cont)는 전류지지부(110)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진동조정부(1200)가 작동모드(md)에 따라,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을 조정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a) 내지 (c)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체부의 작동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10)는 복수(2 이상)의 작동모드 하에서 작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0)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 하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진동조정부(120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0)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pred_info)만을 기초로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을 조정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pred_info) 및 외부 음원(ex_vc)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a) 내지 (c)에서, 진동조정부(120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설정정보(pred_info)만을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즉, 도 4의 (a)의 경우, T1; 도 4의 (b)의 경우, T3; 도 4의 (c)의 경우, T3-1) 동안 작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3분 이상 30분 이하의 범위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a) 내지 (c)에서, 진동조정부(120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설정정보(pred_info) 및 외부 음원(ex_vc)을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즉, 도 4의 (a)의 경우, T1; 도 4의 (b)의 경우, T3; 도 4의 (c)의 경우, T3-1) 동안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상기 외부 음원(ex_vc)의 재생시간보다 큰 경우, 진동조정부(1200)는 복수의 외부 음원을 기초로 하여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조정부(1200)는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외부 음원(즉, 도 4의 (a)의 경우, '외부음원'; 도 4의 (b)의 경우 '외부음원1')을 기초로 하여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외부 음원들(즉, 도 4의 (c)의 경우, '외부음원1, 외부음원2, 및 외부음원3')을 기초로 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진동조정부(1200)가 설정정보(pred_info) 및/또는 외부 음원(ex_vc)을 기초로 하여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a) 내지 (d)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5의 (a) 및 (b)는 각각 설정정보(pred_info)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의 (c) 및 (d)는 각각 음원 정보(ex_vc)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설정정보(pred_info) 및 음원 정보(vc_info)는 각각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음원 정보(vc_info)는 음원처리부(1400)에 의해 메모리(1600)에 저장된 외부 음원(ex_vc)으로부터 추출된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부 음원(ex_vc)으로부터 진폭 및 주파수를 추출하기 위해, 소정의 주파수 대역이 선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런, 외부 음원(ex_vc)으로부터 추출된 주파수 대역은 3~60Hz 대역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조정부(120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설정정보(pred_info)에 포함된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진동조정부(120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설정정보(pred_info) 및 음원 정보(vc_info) 각각에 포함된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진동조정부(120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의 진폭이, 설정정보(pred_info)에 포함된 진폭(즉, 도 5의 (a))과 음원 정보(vc_info)의 진폭(즉, 도 5의 (c))을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진동조정부(120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자기진동부(130)의 진동의 주파수가, 설정정보(pred_info)에 포함된 주파수(즉, 도 5의 (b))와 음원 정보(vc_info)의 주파수(즉, 도 5의 (d))를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제어신호(ac_cont)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체부(10)는 복수의 작동모드 하에서 작동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모드에서 작동하는 경우, 설정정보(pred_info) 뿐만 아니라, 외부 음원(ex_vc)을 기초로 하여, 자기진동부(1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가, 상업적인 용도로 설치되어 실시되는 경우, 설정정보(pred_info) 및 차음료의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음원(ex_vc)을 기초로 하여, 차음료가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는, 차음료의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음원(ex_vc)을 재생함과 동시에 실시됨으로써, 차음료의 구매자가 시간적인 측면 및 감성적인 측면에서 향상된 차음료 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조정부(1200)는 플레이트부(30)에 설치된 중량센서(31)에서 측정된 유체의 중량 신호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중량 별로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한 진폭 및 주파수로 중량별 진동 정보를 생성한다. 이런, 중량별 진동 정보는 유체의 중량이 달라지면 진동의 진폭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진동의 세기를 조절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차음료를 추출하도록 생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시간을 설정하고, 유체의 중량이 무거우면 진동수를 높이고, 유체의 중량이 가벼우면 진동수를 낮추면서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차음료를 추출함에 따라 중량에 상관없이 동일한 시간에 추출된 차음료를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중량별 진동 정보와 차음료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음원(ex_vc)에 추출한 음원 정보에 포함된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본체부(10)는 복수의 작동모드 하에서 작동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중량별 진동 정보뿐만 아니라, 외부 음원(ex_vc)을 기초로 하여, 자기진동부(1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음료 제조장치
10: 본체부
30: 플레이트부 31 : 중량센서
50: 표시부
7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7)

  1.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외주연부의 접선 방향으로 교류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는 전류지지부;
    상기 전류지지부의 일단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전류지지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교류 전류의 극성 변화에 의해 상기 전류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동되는 자기진동부;
    상기 자기진동부와 결합되어 상기 진동을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유체로 전달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정보만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고,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 및 외부 음원을 기초로 하여 상기 진동을 조정하는 진동조정회로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음원으로부터 추출된 주파수 대역은 3~60Hz 대역으로 추출하는,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조정회로는,
    상기 외부 음원으로부터 음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원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조정회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원 정보 각각에 포함된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상기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조정회로는,
    상기 외부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외부 음원으로부터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음원처리부; 및
    상기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통해 자기진동부의 진동을 조정하는 진동조정부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원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조정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자기진동부의 진동의 진폭이,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진폭과 상기 음원 정보에 포함된 진폭을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 및 상기 음원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조정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자기진동부의 진동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주파수와 상기 음원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를 합산한 값으로 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유체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조정회로는,
    상기 외부 음원으로부터 음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중량센서로부터 측정된 유체의 중량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 내에 추출되는 진동수로부터 중량별 진동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중량별 진동 정보 및 상기 음원 정보 각각은 진폭 및 주파수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조정회로는,
    상기 중량센서에서 측정된 유체의 중량에 따른 상기 중량별 진동 정보와 상기 음원 정보에 포함된 진폭 및 주파수에 따라, 상기 진동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KR1020170086271A 2017-07-07 2017-07-07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KR102061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71A KR102061392B1 (ko) 2017-07-07 2017-07-07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71A KR102061392B1 (ko) 2017-07-07 2017-07-07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513A true KR20190005513A (ko) 2019-01-16
KR102061392B1 KR102061392B1 (ko) 2019-12-31

Family

ID=6528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271A KR102061392B1 (ko) 2017-07-07 2017-07-07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3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80A1 (ko) * 2020-07-06 2022-01-13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20220077769A (ko) * 2020-12-02 2022-06-09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20220169095A (ko) 2021-06-18 2022-12-27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3311B2 (en) 2004-10-22 2007-01-16 Kramer James F Foodware having visual sensory stimulating or sensing means
ES2338683T3 (es) 2006-01-24 2010-05-11 Rhea Vendors S.P.A. Aparato y metodo para controlar maquinas dispensadoras de bebidas.
CN102858211B (zh) 2010-04-27 2016-11-16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具有一体的超声波收发器的饮料机
CA2928946A1 (en) 2013-11-07 2015-05-14 Thermos L.L.C.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a container or its contents
KR101630262B1 (ko) * 2015-07-13 2016-06-14 이상준 음파 진동을 이용한 콜드 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1669950B1 (ko) * 2016-06-02 2016-11-01 주식회사코이시스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80A1 (ko) * 2020-07-06 2022-01-13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20220005181A (ko) * 2020-07-06 2022-01-13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20220077769A (ko) * 2020-12-02 2022-06-09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20220169095A (ko) 2021-06-18 2022-12-27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392B1 (ko)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62B1 (ko) 음파 진동을 이용한 콜드 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20190005513A (ko)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US20160345769A1 (en) Method for Mixing a Powder with a Liquid, and Capsule and Mixing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A2554348C (en)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foam, froth or crema under low pressure
PT1658796E (pt) Máquina de café e método para produzir uma bebida quente
US8230776B2 (en)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foam, froth or crema under low pressure
CN111357391A (zh) 成分控制装置、成分控制方法、输送方法、烹调方法及程序
EP1749462B1 (en)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foam, froth, or crema under low pressure
RU2011101455A (ru) Пенообраз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JP6588166B2 (ja) 音響信号に基づいて音波振動を調整するコールドブリューコーヒー抽出装置
ES2085392T3 (es) Metodo de produccion de alimentos madurados o fermentados utilizando vibraciones.
KR101964524B1 (ko)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JPH04253691A (ja) ビール超音波泡付け装置と方法
KR102356832B1 (ko)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1840569B1 (ko) 음파 진동을 이용한 콜드 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1843713B1 (ko) 음악을 이용한 콜드브루 커피 추출장치
EP0477583B1 (e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quid foods
KR200440656Y1 (ko) 기호음료 제조장치
CN109156561A (zh) 一种乌龙奶茶
KR102483246B1 (ko)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JP3222650U (ja) 電磁調理器
CN202807453U (zh) 金属容器
JP6465918B2 (ja) 緑茶抽出用ティーバッグ
CN206659684U (zh) 一种养生泡茶器
JP3222651U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