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656Y1 - 기호음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기호음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656Y1
KR200440656Y1 KR2020070003442U KR20070003442U KR200440656Y1 KR 200440656 Y1 KR200440656 Y1 KR 200440656Y1 KR 2020070003442 U KR2020070003442 U KR 2020070003442U KR 20070003442 U KR20070003442 U KR 20070003442U KR 200440656 Y1 KR200440656 Y1 KR 200440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extraction member
storage container
main disk
pre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정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영 filed Critical 정우영
Priority to KR2020070003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6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6Means to produce beverage with a layer on top, e.g. of cream, foam or fr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기호음료 제조장치는 추출부재, 기포생성부 및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부재는 원료물질을 수납하고 상기 원료물질로부터 기호음료를 추출한다. 상기 기포생성부는 상기 추출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메인디스크와, 상기 메인디스크 내에 배치되고 상기 기호음료를 분사하여 거품을 제조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추출부재 및 상기 메인디스크를 수납하고, 상기 노즐부를 노출한다. 따라서, 기호음료의 향미와 심미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기호음료 제조장치 {Device For Preparing Hot Beverag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호음료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기포생성부, 추출부재 및 수납용기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생성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포생성부 110 : 메인디스크
120 : 지지부 130 : 노즐부
132 : 관통홀 131 : 진동부
140 : 추출부재 150 : 수납용기
155 : 제1 고정부 162 : 하우징
164 : 손잡이 165 : 제2 고정부
170 : 가압수 공급유닛 180 : 컵
본 고안은 기호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향미가 향상되는 기호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비성 기호음료인 커피, 차 등에서, 특유의 향기는 상기 기호음료의 선호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상기 향기는 추출된 기호음료가 공기중에 노출되는 경우, 상기 기호음료 내에 존재하는 방향성분이 공기중으로 확산되어 그 향미가 급속히 저하된다.
또한, 상기 기호음료는 소정의 온도범위에서 호감도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커피의 경우, 65℃ 내지 75℃의 온도범위에서 가장 깊은 맛과 향을 갖는다.
그러나, 공기와 상기 기호음료의 경계면에서, 상기 기호음료의 열이 급속히 발산되어 식어버리기 때문에 상기 기호음료의 향미를 즐기는 시간이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기호음료의 향미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호음료 자체를 이용하여 미세포말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연구되어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 미세포말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호음료 제조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생성된 미세포말의 양이 적어서, 상기 기호음료의 향미를 유지하는 시간이 감소한다.
더욱이, 상기 기호음료를 제조한 이후에, 상기 기호음료의 제조장치를 청소하는 것이 불편해서 위생상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은 향미가 향상되는 기호음료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른 기호음료 제조장치는 추출부재, 기포생성부 및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부재는 원료물질을 수납하고 상기 원료물질로부터 기호음료를 추출한다. 상기 기포생성부는 상기 추출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탄성체 고유의 탄성계수에 의한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기호음료를 분사하여 거품을 제조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추출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노즐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기포생성부를 고정한다.
상기 기포생성부는 상기 추출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용기 내에 수납되는 메인디스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메인디스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포생성부는 상기 메인디스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메인디스크를 상기 추출부재와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의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관통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호음료가 통과함에 따라 진동하여 상기 거품을 생성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노즐부는 복수개의 진동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고무, 합성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는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호음료 제조장치는 상기 수납용기의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수납용기를 수직방향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L형상의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호음료 제조장치에 따르면, 풍부한 미세거품을 포함하여 향미가 오래가고 자체보온기능이 있는 기호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음료는 상기 미세거품에 의해 특유의 부드러운 느낌 및 심미성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 기호음료 제조장치의 분해 및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인 기호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호음료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기포생성부, 추출부재 및 수납용기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호음료 제조장치는 가압수 공급유닛(170), 추출부재(140), 기포생성부(100), 수납용기(150) 및 하우징(162)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수 공급유닛(170)은 온수 또는 냉수를 가압하여 상기 추출부재(140)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수 공급유닛(170)은 보일러(도시되 지 않음) 및 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압수 공급유닛(170)이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압수 공급유닛(170)은 상기 온수 또는 상기 냉수를 1기압 내지 15기압으로 가압하여 상기 추출부재(140)로 공급한다.
상기 추출부재(140)는 상기 가압수 공급유닛(17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수 공급유닛(170)에서 공급된 가압수를 이용하여 기호음료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부재(140)는 바닥판(145) 및 측벽(147)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147)은 상기 바닥판(145)으로부터 돌출되어 원료수납공간(142)을 형성한다. 상기 원료수납공간(142) 내에 원두커피분말, 찻잎 등의 고형물(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된다.
상기 바닥판(145) 내에는 복수개의 추출홀들(141)이 형성되어, 상기 고형물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고형물로부터 추출된 기호음료를 통과시킨다. 상기 가압수 및 상기 추출부재(140)를 이용하여 상기 기호음료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고형물 내에 존재하는 비수용성 성분까지 추출되기 때문에 보다 깊고 미묘한 향미를 느낄 수 있다.
상기 기포생성부(100)는 상기 추출부재(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추출된 기호음료를 이용하여 미세거품을 제조한다. 상기 기포생성부(100)는 메인디스크(110) 및 노즐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기포생성부(100)는 탄성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포생성부(100)의 상기 메인디스크(110) 및 상기 노즐부(130)는 고무, 합성고무, 탄성플라 스틱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노즐부(130)만 상기 탄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디스크(110)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디스크(110)는 상기 추출부재(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추출홀들(141)을 통과한 기호음료를 상기 노즐부(130)로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디스크(110)는 상기 기호음료를 보다 용이하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하부로 돌출된 원추형상을 가지며, 상기 추출부재(140)의 상기 바닥판(145)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메인디스크(110)가 상기 추출부재(140)의 상기 바닥판(145)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노즐부(130)는 상기 메인디스크(1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디스크(110)에 의해 가이드된 기호음료를 분사하여 미세거품을 제조한다.
상기 메인디스크(110)에 의해 가이드된 기호음료는 상기 노즐부(130)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한다. 상기 노즐부(130)를 통과한 기호음료는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미세거품을 형성한다.
상기 노즐부(130)는 관통홀(132) 및 진동부(1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홀(132)의 하부의 직경은 상기 관통홀(132)의 상부의 직경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홀(132)의 상부 및 하부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진동부(131)는 상기 관통홀(13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호음료가 통과함에 따라 진동하여 상기 미세거품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부(131)에 의해 상기 미세거품의 양이 증가하고, 그 크기가 감소한다.
이론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노즐부(130)가 상기 탄성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노즐부(130)를 통과하는 물질의 물리적인 특성(즉, 지방성분, 미세분말입자의 유무, 유속, 압력 등)에 의해 상기 진동부(131)가 진동하고 상기 진동부(131)의 개구의 크기가 변화한다. 상기 진동부(131)의 상기 개구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 상기 기호음료가 다양한 강도로 분사되어 상기 분사된 기호음료가 공기와 보다 용이하게 혼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형물이 원두커피분말인 경우, 상기 미세거품인 끄레마(Crema)가 형성된다. 상기 끄레마는 커피의 지방성분과 증기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커피의 향미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 미세거품의 양이 많고, 크기가 작을수록 질 좋은 커피를 얻을 수 있으며, 황금색에 가까운 옅은 갈색의 끄레마가 생성된다.
상기 노즐부(130)의 상기 진동부(131)는 탄성체 고유의 탄성계수에 의한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거품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수 공급유닛(170)이 간헐적인 펌핑에 의해 상기 가압수를 공급하여, 상기 기포생성부(100)의 진동을 보조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포생성부(100)는 상기 메인디스크(110)로부터 상기 추출부재(140)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디스크(110)를 상기 추출부재(140)와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지지부(12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노즐부(13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지지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지지돌기들의 높이는 상기 메인디 스크(110)의 주변부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진다.
상기 수납용기(150)는 상기 추출부재(140) 및 상기 기포생성부(100)를 수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용기(150)는 배출구(151)를 통하여 상기 노즐부(130)를 노출한다.
상기 추출부재(140)는 상기 수납용기(150)와 결합하여, 상기 기포생성부(100)를 가압한다. 상기 기포생성부(100)의 상기 메인디스크(110)는 상기 수납용기(150)의 바닥판에 밀착하여, 상기 기포생성부(100)와 상기 수납용기(150)의 사이로 상기 기호음료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기호음료의 추출이 완료된 후에, 상기 고형물의 교환, 청소 등의 목적으로 상기 추출부재(140)를 상기 수납용기(15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배출구(151)를 통하여 노출된 상기 노즐부(130)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한 분해가 가능하다. 즉, 상기 노출된 노즐부(130)를 상부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추출부재(140)를 밀어올림으로서 상기 추출부재(140)를 상기 수납용기(1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150)는 외면 상에 배치된 제1 고정부(155)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155)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62)은 상기 수납용기(150)와 결합되어, 상기 수납용기(150) 내에 배치된 상기 추출부재(140) 및 상기 기포생성부(100)를 보호한다.
상기 하우징(162)은 상기 제1 고정부(155)와 결합하여 상기 수납용기(150)를 수직방향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부(16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고정부(165)는 상기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와 결합되는 L형상의 고정홀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155)는 상기 제2 고정부(165)와 끼워맞춤결합을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부(155)와 상기 제2 고정부(165)가 후크결합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노즐부(130)에 의해 상기 미세거품이 생성된 기호음료는 상기 하우징(162)의 하부에 배치된 컵(180)에 모아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62)의 측면 상에 손잡이(164)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64)는 상기 하우징(16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6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기호음료를 추출한 후에, 상기 추출부재(140) 내에 배치된 잔류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62)을 뒤집는 경우, 상기 제1 고정부(155)와 상기 제2 고정부(165)가 상기 수납용기(150)의 수직이동을 구속한다. 따라서, 상기 수납용기(150) 및 상기 수납용기(150) 내면 상에 고정된 상기 추출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62)에 고정되고, 상기 추출부재(140)의 상기 원료수납공간(142) 내에 배치된 상기 잔류고형물만이 쏟아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부(130)에 의해 풍부한 미세거품이 생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부(130)의 하부에 상기 진동부(131)가 형성되어 상기 미세거품의 양과 질이 향상된다.
더욱이, 상기 노즐부(130)가 상기 수납용기(150)의 상기 배출구(151)를 통하 여 노출되어 상기 추출부재(140)를 상기 수납용기(15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150) 및 상기 하우징(162)이 상기 제1 고정부(155) 및 상기 제2 고정부(165)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잔류고형물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상기 기호음료 제조장치의 분해 및 청소가 용이해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포생성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포생성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포생성부(200)는 메인디스크(210), 지지부(220) 및 노즐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230)는 하나의 관통홀(132) 및 상기 관통홀(132)에 연결된 복수개의 진동부들(231)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부들(231)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호작용을 통해 더욱 풍부한 미세거품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커피, 차 등의 기호음료에서 카페인함량은 추출시간에 비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부(230)가 상기 복수개의 진동부들(231)을 포함하여 기호음료의 추출속도가 증가하므로, 카페인함량을 보다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량의 기호음료를 생산해야 하는 커피전문점 같은 영업장에서, 보다 빠른 시간에 양질의 기호음료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풍부한 미세거품을 포함하여 향미가 오래가 고 자체보온기능이 있는 기호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호음료 제조장치의 상기 기포생성부의 구조가 단순하여, 분해 및 청소가 용이하고 위생적인 기호음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진동부의 수를 변경하여, 보다 빠른 시간에 양질의 저카페인 음료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원료물질을 수납하고 상기 원료물질로부터 기호음료를 추출하는 추출부재;
    상기 추출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탄성체 고유의 탄성계수에 의한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기호음료를 분사하여 거품을 제조하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일체로 형성되는 기포생성부; 및
    상기 추출부재를 수납하고, 상방으로부터 상기 기포생성부를 수납하고 상기 노즐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기포생성부를 고정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기호음료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질은 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갖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음료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생성부는 상기 노즐부를 포위하고 상기 수납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디스크; 및
    상기 메인디스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메인디스크를 상기 추출부재와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호음료 제조장치.
KR2020070003442U 2007-03-02 2007-03-02 기호음료 제조장치 KR200440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442U KR200440656Y1 (ko) 2007-03-02 2007-03-02 기호음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442U KR200440656Y1 (ko) 2007-03-02 2007-03-02 기호음료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656Y1 true KR200440656Y1 (ko) 2008-06-24

Family

ID=4365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442U KR200440656Y1 (ko) 2007-03-02 2007-03-02 기호음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6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227Y1 (ko) * 2010-12-17 2011-12-09 컨벡스코리아(주)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거품발생부재
KR101351782B1 (ko) * 2011-12-13 2014-01-15 컨벡스코리아(주) 거품발생수단이 구비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EP3850996A1 (en) * 2020-01-16 2021-07-21 Tsann Kuen (Zhangzhou) Enterprise Co., Ltd. Coffee extraction assembly and coffee box for coffee machin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227Y1 (ko) * 2010-12-17 2011-12-09 컨벡스코리아(주)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거품발생부재
WO2012081946A2 (ko) * 2010-12-17 2012-06-21 컨벡스코리아 주식회사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거품발생부재
WO2012081946A3 (ko) * 2010-12-17 2012-10-11 컨벡스코리아 주식회사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거품발생부재
CN103747714A (zh) * 2010-12-17 2014-04-23 康威克斯韩国有限公司 意大利特浓咖啡机的泡沫生成部件
KR101351782B1 (ko) * 2011-12-13 2014-01-15 컨벡스코리아(주) 거품발생수단이 구비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EP3850996A1 (en) * 2020-01-16 2021-07-21 Tsann Kuen (Zhangzhou) Enterprise Co., Ltd. Coffee extraction assembly and coffee box for coffee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165B1 (ko) 음료의 준비를 위한 카트리지
KR101329527B1 (ko) 저압 하에서 거품, 포말 또는 크레마를 준비하기 위한 추출장치
KR101464692B1 (ko) 카트리지 및 음료의 제조 방법
US7228790B2 (en) Spoon brewing apparatus
US20110005400A1 (en) Coffee making kettle using venturi
US20160255987A1 (en) Adapter for use in a coffee machine
CN103025626A (zh) 用于在高压下在食物制备机器中制备食品的胶囊
JP2007502643A (ja) 泡立て部材を具える飲料製造装置
JP2007503247A (ja) 消費に適する飲料の調製
CN100502743C (zh) 低压条件下制造泡沫、浮沫或克丽玛的冲泡设备
KR200440656Y1 (ko) 기호음료 제조장치
JP2007501639A (ja) 飲料を作ることができるある程度泡立ち可能な液体入りパッケージ
JP2023179794A (ja) コーヒーを高い収率で泡立てる方法及び装置
JP2009517164A (ja) 改善された集液チャンバを有する茶を調整する装置
KR101651939B1 (ko) 휴대용 더치커피 추출 장치
CN113226127A (zh) 起泡装置及其方法
KR101228579B1 (ko) 커피머신의 거품발생장치
US20060000364A1 (en) Coffee machine with creme production facility
JP5303812B2 (ja) 液体を活性化させる作用をもったドリッパー
KR20100060583A (ko) 젓개를 겸한 거품 발생기가 포함된 커피잔
CN208211914U (zh) 一种饮料制备装置的出液结构
KR20160088984A (ko) 마이크로 버블수를 이용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US20070028784A1 (en) Brewing apparatus for preparing foam, froth, or crema under low pressure
CN219688025U (zh) 一种液体喷射装置
KR20080103035A (ko) 교반컵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