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524B1 -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524B1
KR101964524B1 KR1020170109330A KR20170109330A KR101964524B1 KR 101964524 B1 KR101964524 B1 KR 101964524B1 KR 1020170109330 A KR1020170109330 A KR 1020170109330A KR 20170109330 A KR20170109330 A KR 20170109330A KR 101964524 B1 KR101964524 B1 KR 10196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ound wave
unit
extraction contain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488A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준 filed Critical 이상준
Priority to KR1020170109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5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피 분말이 포함된 수용액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콜드브루 방식의 추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이 추출을 위해 수납된 상태로 안치되도록 받친 상태에서 상기 수용액의 공급량을 측정하는 추출용기부; 상기 추출용기부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추출용기부의 상기 수용액이 수납되는 있는 부분의 하부면으로 자력과 극성이 변환되는 전자기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음파진동부; 상기 음파진동부와 상기 추출용기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파진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추출용기부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진동수가 상기 추출용기부로 가이드한 상태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 상기 진동전달부의 측면에서 하부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의 하부와 측면을 지지하면서 측면을 이중벽 구조로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음파진동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완충하면서 측면으로 유입되는 물이 이중벽 구조의 내부에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진동지지부; 및 상기 추출용기부에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파진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Sonic Vibration Cold Brew Coffee Extractor Having Double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동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수용액이 담긴 용기에 가해지는 진동을 조절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전달하고, 외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면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벽 구조를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을 방지하면서 진동 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추출 방식은 사람의 손에 의존하던 터키식 침출법에서부터 핸드드립, 기계드립, 모카포트, 프렌치 프레스, 사이폰 등 개별적인 추출기구들과 더불어, 레버식, 피스톤식, 스프링식 등의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에 이어 오늘날에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전자동 커피머신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커피 분말에 뜨거운 물을 부어 커피 성분이 물에 녹는 시간을 기다렸다가 추출하는 침지식(침출식) 추출법과 커피가 담긴 여과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커피액을 추출하는 드립여과커피 추출법은 간단한 도구를 통해 간편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는 있지만 차가운 물로 추출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포트에 커피를 담은 후 고압상태로 고온의 물을 통과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을 이용한 추출법 역시 고가의 기계를 구입해야 하는 단점과 차가운 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다량의 커피 분말이 충전된 용기에 소량의 찬물을 장시간 투과시켜 커피를 추출하는 콜드 브루(Cold Brew) 추출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콜드 브루 추출법은 더치 커피(Dutch coffee), 워터드립(Water Drip) 추출법이라고도 하며, 용해도가 떨어지는 저온 상태에서 커피를 추출하므로 고온 상태의 추출법에 비해 추출시간 대비 용출되는 카페인은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커피를 음미할 수 있는 성분의 추출량 또한 적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저온의 추출 커피의 농도와 품질을 유지하면서 추출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대량의 커피를 짧은 시간에 추출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커피수용액을 담은 용기에 진동을 전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래 기술의 진동을 이용한 커피 추출장치는 커피수용액이 담겨진 용기에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에 의해 전달된 진동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 진동발생장치의 위치에 따라 진동이 강도와 세기가 차이가 있어 용기 내부에서 추출되는 비율에 차이가 있음에 따라 균일한 품질의 커피를 추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된 종래 기술의 진동을 이용한 커피 추출장치는 커피 추출을 위해서 진동발생장치의 작동하게 되면 진동을 전달하는 수단이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정위치를 벗어나거나, 외부로 진동이 전달되어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술된 종래 기술의 진동을 이용한 커피 추출장치는 진동의 발생되는 위치로 물이나 습기가 흐르게 되면 내부로 유입되어 물기에 의한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수용액이 담긴 용기에 가해지는 진동을 조절하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전달하고, 외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면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벽 구조를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을 방지하면서 진동 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는 커피 분말이 포함된 수용액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콜드브루 방식의 추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이 추출을 위해 수납된 상태로 안치되도록 받친 상태에서 상기 수용액의 공급량을 측정하는 추출용기부; 상기 추출용기부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추출용기부의 상기 수용액이 수납되는 있는 부분의 하부면으로 자력과 극성이 변환되는 전자기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음파진동부; 상기 음파진동부와 상기 추출용기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파진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상기 추출용기부로 가이드하면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 상기 진동전달부의 측면에서 하부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의 하부와 측면을 지지하면서 측면을 이중의 벽구조로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음파진동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완충하면서 측면으로 유입되는 습기를 보관하는 진동지지부; 및 상기 추출용기부에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파진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용기부는, 상기 수용액에서 커피를 추출하도록 수납되는 추출공간을 가지도록 용기 형태로 구비된 추출용기; 및 상기 추출용기가 안치되는 받침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안치된 상기 추출용기의 하부면이 개방되고, 상기 음파진동부와 상기 진동전달부가 위치하여 상기 추출용기에 음파진동이 전달되는 공간 형태의 받침공간이 형성된 용기받침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파진동부는, 상기 진동전달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통형상으로 외주연에 전자기력이 발생되도록 지지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상부에 외주연으로 권취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전력의 공급에 따라 극성이 변화하는 교류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 형태로 전자기력이 발생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보빈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극성을 가지는 자석 형태로 구비된 마그넷; 상기 마그넷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마그넷의 하부에서 자화되는 자성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을 중심으로 하는 균일한 자기장을 형성하는 내측패널;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마그넷의 상부에서 자화되는 자성체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마그넷의 상부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내측패널의 외주연부와 마주보도록 굴절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용되는 상기 보빈과 상기 보이스코일의 일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외측패널; 및 상기 외측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상기 마그넷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이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 진동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추출용기부와 상기 음파진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파진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면서 상기 추출용기부에 수납된 상기 수용액에 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전달플레이트; 상기 전달플레이트의 하부에 탄성 지지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지지부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로 돌출된 축 형태의 탄성지지축;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 사이에 탄성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축에 삽입되어 상기 음파진동부의 작동으로 상하로 진동되는 상기 전달플레이트의 진동을 상기 추출용기부에 접촉되는 면에 균일하게 전달하면서 상기 진동지지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스프링; 상기 전달플레이트의 하부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가이드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지지부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지지하도록 내부에 볼이 구비되어 축이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하는 볼부쉬체; 및 상기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 사이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가이드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전달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볼부쉬체에 구름 지지되도록 삽입되어 상하 진동 시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진동을 전달하는 부쉬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볼부쉬체와 상기 부쉬지지축은 상기 음파진동부의 중앙 위치와 상기 음파진동부의 양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상기 전달플레이트의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양측에 위치한 상기 볼부쉬체와 상기 부쉬지지축의 각각 떨어진 양측 위치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상기 탄성지지축과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부쉬체와 상기 부쉬지지축은 상기 음파진동부의 중앙 위치와 상기 음파진동부의 양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상기 전달플레이트의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음파진동부를 감싸는 복수 위치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상기 탄성지지축과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부쉬체와 상기 부쉬지지축은 상기 음파진동부의 중앙 위치와 중앙 위치를 무게 중심으로 하는 삼각형상의 각 꼭지점 부분에 각각 상기 전달플레이트의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음파진동부의 중앙을 무게 중심으로 하는 역삼각 형상의 각 꼭지점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상기 탄성지지축과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볼부쉬체와 상기 부쉬지지축은 상기 음파진동부의 중앙 위치와 중앙 위치를 무게 중심으로 하는 마름모형상의 각 꼭지점 부분에 각각 상기 전달플레이트의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음파진동부를 감싸는 복수 위치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상기 탄성지지축과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진동지지부는, 상기 진동전달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음파진동부가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진동전달부의 진동을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구성이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지지공간을 가지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바깥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의 진동이 발생되는 위치까지 돌출되어 상기 지지공간의 측면을 폐쇄하는 내측벽; 및 상기 내측벽에 바깥 둘레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감싸고 있으며, 상기 내측벽과 떨어진 완충공간을 가지도록 이중벽 형태로 구비하고, 상부 방향으로 외측에서 습기가 유입되도록 개방된 유입구를 가지는 외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 사이에 형성된 상기 완충공간에는 완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완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상온 또는 저온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함으로써, 용출되는 카페인의 양을 저감할 수 있으며, 커피 분말이 포함된 수용액에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조절하면서 음파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음파 진동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켜 커피 추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커피 수용액이 담겨진 용기를 진동을 실시하는 진동수단을 음파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용기에 진동을 전달하는 전달플레이트에 진동이 전체적인 면에 균등하게 전달되도록 지지수단과 탄성수단을 효과적으로 배열하여 진동 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용기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을 보호하도록 감싸도록 형성된 진동지지부의 측벽을 내부에 완충공간을 가지는 이중벽 구조로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바깥 방향으로 유입구를 형성하여 외부의 물이나 습기를 일차적으로 완충공간에서 유입 차단하여 진동수단을 외부 충격이나 습기에서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음파진동부, 진동전달부, 및 진동지지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음파진동부, 진동전달부, 및 진동지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진동전달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진동전달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진동전달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진동전달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음파진동부, 진동전달부, 및 진동지지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음파진동부, 진동전달부, 및 진동지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100)는 커피 분말이 포함된 상온 또는 저온의 수용액에서 추출하는 콜드 브루 방식을 사용함에 있어, 수용액에 복수 위치에 음파 진동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전달하여 추출 시간을 단축하고, 커피 분말이 뭉침 없이 골고루 추출되어 추출 효율이 향상되는 장치이다.
이런,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100)는 커피 분말이 포함된 수용액이 추출을 위해서 수납되는 추출용기부(110), 음파진동부(120), 진동전달부(130), 및 진동지지부(140), 및 제어부(150)을 포함한다.
추출용기부(110)는 커피분말이 포함된 수용액이 수납되는 추출용기(111), 및 용기받침체(113)를 포함한다.
추출용기(111)는 수용액에서 커피를 추출하도록 수납되는 추출공간(112)을 가지도록 용기 형태로 구비된다. 추출공간(112)은 추출용기(111)의 내부에 커피분말이 포함된 수용액이 추출을 위해서 수납되는 공간형태로 형성된다.
용기받침체(113)는 추출용기(111)가 안치되는 받침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안치된 추출용기(111)의 하부면이 개방되고, 음파진동부(120)와 진동전달부(130), 및 진동지지부(140)가 위치하여 추출용기(111)에 음파진동이 전달되는 공간 형태의 받침공간(114)이 형성된다. 용기받침체(113)는 수용액이 수납되는 추출용기(111)가 안치된 상태에서 진동지지부(140)의 내부에 설치된 음파진동부(120)의 작동에 의해 진동전달부(130)로 전달되는 음파진동을 추출용기(111)에 수납된 수용액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음파진동부(120)는 전자기력이 발생하도록 지지하는 보빈(121), 보이스코일(122), 마그넷(123), 내측패널(124), 외측패널(125), 및 연결체(126)를 포함한다.
보빈(121)은 용기받침체(113)의 받침공간(114)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통형상으로 외주연에 전자기력이 발생되도록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보빈(121)은 진동전달부(130)의 내부에 원통형상으로 상부 위치에 연장 형성되며, 상부에는 보이스코일(122)이 권취되어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보이스코일(122)은 보빈(121)의 상부에 외주연으로 권취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전력의 공급에 따라 극성이 변화하는 교류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 형태로 전자기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보이스코일(122)은 원통형상의 보빈(121)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교류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권취되는 횟수와 권취되는 형상에 의해 기설정된 크기의 전기력을 보빈(121)의 외주연부의 접선 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마그넷(123)은 보빈(121)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보빈(12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극성을 가지는 자석 형태로 구비된다. 마그넷(123)은 균일한 자기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영구자석으로 마련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형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마그넷(123)은 네오디뮴(Neodymium Magnet)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마그넷(123)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영구적인 자성을 갖는 물질이라면 그 어떠한 물질이 사용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내측패널(124)은 마그넷(123)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마그넷(123)의 하부에서 자화되는 자성체 재질로 구비되어 마그넷(123)의 하부로 연장되어 마그넷(123)을 중심으로 하는 균일한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외측패널(125)은 마그넷(123)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마그넷(123)의 상부에서 자화되는 자성체 재질로 구비되고, 마그넷(123)의 상부로 연장되어 끝단이 내측패널(124)의 외주연부와 마주보도록 굴절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용되는 보빈(121)과 보이스코일(122)의 일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외측패널(125)은 마그넷(123)의 상면으로부터 "ㄷ"자 형상으로 연장 굴절 형성되어 끝단이 내측패널(124)의 외주면을 향함으로써, 외측패널(125)로부터 내측패널(124) 또는 내측패널(124)로부터 외측패널(125)로 향하는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외측패널(125)이 "ㄷ"자 형상으로 이격되어 내측패널(124)을 향함으로써, 내측패널(124)을 향하는 자기장의 크기는 여타 부분의 자기장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패널(125)과 내측패널(124)이 다른 극성으로 마주보게 형성됨으로써, 마그넷(123)의 외주연부의 접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외측패널(125)의 끝단과 내측패널의 외주면 사이의 자기장 영역에는 보빈(121)의 상부에 권취된 보이스코일(122)의 상단이 인입되어 형성된 자기장 내에 전기력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이스코일(122)이 권취된 보빈(121)에 의해 접선 방향으로의 전기력이 형성되고, 외측패널(125)과 내측패널(124)에 의해 접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자기장이 형성됨으로써,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보빈(121)의 중심축을 따라 전자기력이 생성된다. 또한, 인가되는 교류 전류에 의해 전자기력은 중심축을 따라 주기적으로 변하는 상하 방향의 전자기력이 형성됨으로써, 음파진동부(120)를 진동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진동전달부(130) 역시 진동할 수 있다.
덧붙여, 외측패널(125)의 끝단과 내측패널(124)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접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정밀한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외측패널(125)은 내측패널(124)과 최대한 이격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마그넷(123)으로부터 전달되는 자기력의 손실을 고려하여 이격 거리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체(126)는 외측패널(125)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전달부(130)의 상부와 연결되어 보이스코일(122)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마그넷(123)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이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 진동을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진동전달부(130)는 용기받침체(113)의 받침공간(114) 내부에 음파진동부(120)에서 발생된 음파를 전달하도록 설치된 전달플레이트(131), 탄성지지축(132), 탄성스프링(133), 볼부쉬체(134), 및 부쉬지지축(135)을 포함한다.
전달플레이트(131)는 용기받침체(113)의 받침공간(114)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체(126)의 상부에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음파진동부(120)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면서 추출용기(111)에 수납된 수용액에 음파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전달플레이트(131)는 외측패널(125) 및 연결체(126)로부터 전달되는 자기력을 수용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지지축(132)은 전달플레이트(131)의 하부에 탄성 지지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지지부(14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로 돌출된 축 형태로 구비된다. 탄성지지축(132)은 진동지지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달플레이트(131)의 음파진동부(120)에서 발생시킨 진동을 전체적으로 균일한 면으로 전달하면서 진동을 완충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위치에 탄성스프링(133)이 삽입지지되는 축형태로 구비된다.
탄성스프링(133)은 전달플레이트(131)와 진동지지부(140) 사이에 탄성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탄성지지축(132)에 삽입되어 음파진동부(120)의 작동으로 상하로 진동되는 전달플레이트(131)의 진동을 추출용기부(110)에 접촉되는 면에 균일하게 전달하면서 진동지지부(1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볼부쉬체(134)는 전달플레이트(131)의 하부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가이드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진동지지부(14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지지하도록 내부에 볼이 구비되어 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다. 이런, 볼부쉬체(134)는 동마찰과 정마찰의 차가 작아 시동, 정지의 반복 동작이 빈번한 왕복 운동부에서 동력 및 전달 기구를 작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구름 베어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쉬지지축(135)은 전달플레이트(131)와 진동지지부(140) 사이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가이드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전달플레이트(131)에 고정되고, 하부가 볼부쉬체(134)에 구름 지지되도록 삽입되어 상하 진동 시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부쉬지지축(135)은 전달플레이트(131)의 하부에 음파진동부(1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바깥 둘레까지 전달되도록 탄성스프링(133)의 위치를 고려하여 선정된 복수 위치에 고정되어 베어링 형태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볼부쉬체(134)에 삽입 지지됨에 따라 전달플레이트(131)의 전체적인 면에 진동을 전달하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진동전달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볼부쉬체(134)와 부쉬지지축(135)은 음파진동부(120)의 중앙 위치와 음파진동부(120)의 양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전달플레이트(131)를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양측에 위치한 볼부쉬체(134)와 부쉬지지축(135)의 각각 떨어진 양측 위치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탄성지지축(132)과 탄성스프링(133)이 전달플레이트와 진동지지부(140)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진동부(120)의 중앙과 양측에 각각 볼부쉬체(134)가 삽입된 부쉬지지축(135)으로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진동을 양측으로 전달하도록 구비하고, 부쉬지지축(135)의 양측으로 각각 탄성스프링(133)이 설치되어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여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진동전달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볼부쉬체(134)와 부쉬지지축(135)은 음파진동부(120)의 중앙 위치와 음파진동부(120)의 양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전달플레이트(131)를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음파진동부(120)를 감싸는 복수 위치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탄성지지축(132)과 탄성스프링(133)이 전달플레이트(131)와 진동지지부(140)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진동부(120)의 중앙과 양측에 각각 볼부쉬체(134)가 삽입된 부쉬지지축(135)으로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진동을 양측으로 전달하도록 구비하고, 전달플레이트(131)의 바깥 둘레에 복수로 각각 탄성스프링(133)이 설치되어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여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진동전달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볼부쉬체(134)와 부쉬지지축(135)은 음파진동부(120)의 중앙 위치와 중앙 위치를 무게 중심으로 하는 삼각형상의 각 꼭지점 부분에 각각 전달플레이트(131)를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음파진동부(120)의 중앙을 무게 중심으로 하는 역삼각 형상의 각 꼭지점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탄성지지축(132)과 탄성스프링(133)이 전달플레이트(131)와 진동지지부(140)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진동부(120)의 중앙과 중앙을 무게중심으로 하는 삼각형의 꼭지점 위치에 부쉬지지축(135)을 각각 구비하여 중앙과 삼각형태로 진동을 전달하고, 역삼각 형태로 설치된 탄성스프링(133)을 설치하여 완충함으로써, 중앙에서 삼각 방향으로 진동을 전달하고, 대응되는 반대 형태인 역삼각 방향으로 완충하여 전달 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진동전달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볼부쉬체(134)와 부쉬지지축(135)은 음파진동부(120)의 중앙 위치와 중앙 위치를 무게 중심으로 하는 마름모형상의 각 꼭지점 부분에 각각 전달플레이트(131)를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음파진동부(120)를 감싸는 복수 위치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탄성지지축(132)과 탄성스프링(133)이 전달플레이트(131)와 진동지지부(140)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진동부(120)의 중앙과 중앙을 무게중심으로 하는 마름모형의 꼭지점 위치에 부쉬지지축(135)을 각각 구비하여 중앙과 마름모형태로 진동을 전달하고, 전달플레이트(131)의 바깥 둘레의 복수 위치에서 완충하여 전달 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진동전달부(130)의 실시예들은 음파진동부(120)의 진동을 전달하는 다양한 전달 형태를 실시예 형태로 제시한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형태와 수량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진동지지부(140)는 음파진동부(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141), 내측벽(143), 외측벽(145), 및 완충체(147)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141)는 전달플레이트(13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음파진동부(120)가 중앙에 위치하고, 탄성지지축(132)과 볼부쉬체(134)가 복수 위치에 고정되어 음파진동부(120)에서 발생된 진동을 전달하면서 가이드하도록 설치되는 지지공간(142)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41)의 바깥둘레에는 내측벽(143)과 외측벽(145) 사이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배출공(141a)이 형성되어 내측벽(143)과 외측벽(145) 사이로 유입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내측벽(143)은 베이스플레이트(141)의 바깥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전달플레이트(131)의 진동이 발생되는 면까지 돌출되어 지지공간(142)의 측면을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외측벽(145)은 내측벽(143)에 바깥 둘레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감싸고 있으며, 내측벽(143)과 떨어진 완충공간(144)을 가지도록 이중벽 형태로 구비하고, 상부 방향으로 외측에서 습기가 유입되도록 개방된 유입구(146)를 가지도록 전달플레이트(131)와의 간격을 유지하여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외측벽(145)은 내측벽(143)과 완충공간(144)을 구비하여 외부의 충격을 완충하면서 내부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에 물기와 습기를 유입구(146)를 통해서 완충공간(144)으로 유입되면 하부로 흘러서 베이스플레이트(141)의 바깥 둘레에 형성된 배출공(141a)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완충체(147)는 내측벽(143)과 외측벽(145) 사이에 형성된 완충공간에는 완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설치된다. 완충체(147)는 완충되는 모든 소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는 고무, 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용기받침체(113)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음파진동부(120)에서 발생되는 진동수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추출 장치 110 : 추출용기부
111 : 추출용기 112 : 추출공간
113 : 용기받침체 114 : 받침공간
120 : 음파진동부 121 : 보빈
122 : 보이스코일 123 : 마그넷
124 : 내측패널 125 : 외측패널
126 : 연결체 130 : 진동전달부
131 : 전달플레이트 132 : 탄성지지축
133 : 탄성스프링 134 : 볼부쉬체
135 : 부쉬지지축 140 : 진동지지부
141 : 베이스플레이트 141a : 배출공
142 : 지지공간 143 : 내측벽
144 : 완충공간 145 : 외측벽
146 : 유입구 147 : 완충체
150 : 제어부

Claims (10)

  1. 커피 분말이 포함된 수용액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콜드브루 방식의 추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이 추출을 위해 수납된 상태로 안치되도록 받친 상태에서 상기 수용액의 공급량을 측정하는 추출용기부;
    상기 추출용기부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추출용기부의 상기 수용액이 수납되는 있는 부분의 하부면으로 자력과 극성이 변환되는 전자기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음파진동부;
    상기 음파진동부와 상기 추출용기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파진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상기 추출용기부로 가이드하면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
    상기 진동전달부의 측면에서 하부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의 하부와 측면을 지지하면서 측면을 이중벽 구조로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음파진동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완충하면서 측면으로 유입되는 물이 이중벽 구조의 내부에 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진동지지부; 및
    상기 추출용기부에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파진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지지부는,
    상기 진동전달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음파진동부가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진동전달부의 진동을 전달하면서 가이드하는 구성이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지지공간이 형성되고, 바깥 둘레에 통공 형태로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바깥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의 진동이 발생되는 위치까지 돌출되어 상기 지지공간의 측면을 폐쇄하는 내측벽; 및
    상기 내측벽에 바깥 둘레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감싸고 있으며, 상기 내측벽과 떨어진 위치에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완충공간을 가지도록 이중벽 형태로 구비하고, 상부 방향으로 외측에서 습기가 유입되도록 개방된 유입구를 가지는 외측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기부는,
    상기 수용액에서 커피를 추출하도록 수납되는 추출공간을 가지도록 용기 형태로 구비된 추출용기; 및
    상기 추출용기가 안치되는 받침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안치된 상기 추출용기의 하부면이 개방되고, 상기 음파진동부와 상기 진동전달부가 위치하여 상기 추출용기에 음파진동이 전달되는 공간 형태의 받침공간이 형성된 용기받침체;를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진동부는,
    상기 진동전달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통형상으로 외주연에 전자기력이 발생되도록 지지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상부에 외주연으로 권취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전력의 공급에 따라 극성이 변화하는 교류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 형태로 전자기력이 발생되는 보이스코일;
    상기 보빈의 중심축과 일치되는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극성을 가지는 자석 형태로 구비된 마그넷;
    상기 마그넷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마그넷의 하부에서 자화되는 자성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마그넷을 중심으로 하는 균일한 자기장을 형성하는 내측패널;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마그넷의 상부에서 자화되는 자성체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마그넷의 상부로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내측패널의 외주연부와 마주보도록 굴절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용되는 상기 보빈과 상기 보이스코일의 일단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외측패널; 및
    상기 외측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상기 마그넷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이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 진동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연결체;를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추출용기부와 상기 음파진동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파진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면서 상기 추출용기부에 수납된 상기 수용액에 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전달플레이트;
    상기 전달플레이트의 하부에 탄성 지지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지지부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로 돌출된 축 형태의 탄성지지축;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 사이에 탄성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축에 삽입되어 상기 음파진동부의 작동으로 상하로 진동되는 상기 전달플레이트의 진동을 상기 추출용기부에 접촉되는 면에 균일하게 전달하면서 상기 진동지지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스프링;
    상기 전달플레이트의 하부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가이드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지지부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지지하도록 내부에 볼이 구비되어 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볼부쉬체; 및
    상기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 사이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가이드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전달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볼부쉬체에 구름 지지되도록 삽입되어 상하 진동 시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진동을 전달하는 부쉬지지축;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쉬체와 상기 부쉬지지축은 상기 음파진동부의 중앙 위치와 상기 음파진동부의 양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상기 전달플레이트를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양측에 위치한 상기 볼부쉬체와 상기 부쉬지지축의 각각 떨어진 양측 위치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상기 탄성지지축과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쉬체와 상기 부쉬지지축은 상기 음파진동부의 중앙 위치와 상기 음파진동부의 양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상기 전달플레이트를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음파진동부를 감싸는 복수 위치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상기 탄성지지축과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쉬체와 상기 부쉬지지축은 상기 음파진동부의 중앙 위치와 중앙 위치를 무게 중심으로 하는 삼각형상의 각 꼭지점 부분에 각각 상기 전달플레이트를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음파진동부의 중앙을 무게 중심으로 하는 역삼각 형상의 각 꼭지점 부분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상기 탄성지지축과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쉬체와 상기 부쉬지지축은 상기 음파진동부의 중앙 위치와 중앙 위치를 무게 중심으로 하는 마름모형상의 각 꼭지점 부분에 각각 상기 전달플레이트를 정위치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음파진동부를 감싸는 복수 위치에 진동을 전달하면서 탄성에 의해 완충되는 상기 탄성지지축과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기 전달플레이트와 상기 진동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 사이에 형성된 상기 완충공간에는 완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설치된 완충체를 더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KR1020170109330A 2017-08-29 2017-08-29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KR101964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30A KR101964524B1 (ko) 2017-08-29 2017-08-29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30A KR101964524B1 (ko) 2017-08-29 2017-08-29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488A KR20190023488A (ko) 2019-03-08
KR101964524B1 true KR101964524B1 (ko) 2019-04-01

Family

ID=6580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330A KR101964524B1 (ko) 2017-08-29 2017-08-29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832B1 (ko) * 2020-07-06 2022-01-28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2470213B1 (ko) * 2020-12-02 2022-11-23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262B1 (ko) * 2015-07-13 2016-06-14 이상준 음파 진동을 이용한 콜드 브루 커피 추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262B1 (ko) * 2015-07-13 2016-06-14 이상준 음파 진동을 이용한 콜드 브루 커피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488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62B1 (ko) 음파 진동을 이용한 콜드 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1964524B1 (ko)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JP5417719B2 (ja) 振動型電磁発電機
RU2003134189A (ru) Устройство с магнитным контуром для измерительн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CN104937823A (zh) 振动发电装置
KR20120139524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CN207968951U (zh) 微型扬声器
US20180332996A1 (en) Cold brew coffee extraction device for adjusting sonic vibration based on sound signal
KR101783645B1 (ko) 진동 응답속도가 향상된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CN205793329U (zh) 一种新型动铁单元
US20220381319A1 (en) A sound isolation suspension system
KR101840599B1 (ko)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KR102356832B1 (ko)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20190005513A (ko)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KR20130125945A (ko) 진동발생장치용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JP2013200076A (ja) 流体搬送装置
US20180066247A1 (en) Biological tissue grinding container
JP5438990B2 (ja) スロッシング抑制装置及びタンク
KR101397816B1 (ko) 진동발생장치
JP2017011947A (ja) 振動式発電装置
KR20010047380A (ko)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WO2006057427A1 (ja) 音響発生装置
KR102283551B1 (ko) 탄성부재, 이를 구비한 선형 진동발생장치
KR20220066453A (ko)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파 진동을 이용해 저온의 물로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CN109708386A (zh) 压缩机承载装置及具有该压缩机承载装置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