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950B1 -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950B1
KR101669950B1 KR1020160068762A KR20160068762A KR101669950B1 KR 101669950 B1 KR101669950 B1 KR 101669950B1 KR 1020160068762 A KR1020160068762 A KR 1020160068762A KR 20160068762 A KR20160068762 A KR 20160068762A KR 101669950 B1 KR101669950 B1 KR 101669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unit
coffee
contai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형준
편동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이시스
황형준
편동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이시스, 황형준, 편동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이시스
Priority to KR102016006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950B1/ko
Priority to PCT/KR2017/005453 priority patent/WO20172094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8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를 위생적으로 동시에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더치커피 추출기는 주파수와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입력부와;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감지부와; 입력부의 설정내용과 감지부의 측정된 무게를 전달받아 진동의 세기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용 교류전원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주파수와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교류전원에 의해 상하진동을 발생시키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DUTCH COFFEE EXTRACTOR AND THE VESSEL FOR USEIN IT}
본 발명은 찬물이나 상온의 물로 커피를 내릴 수 있게 하는 커피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더치커피를 위생적으로 동시에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사용되는 전용커피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치커피(Dutch coffee)는 콜드 브류(Cold blew)의 일종으로, 일본식 명칭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나, 근래 이용이 많이 늘면서 찬물로 우려낸 커피의 통상적인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원두를 UT분쇄한 커피가루에 찬물을 한방울씩 떨어뜨리는 점적식, 또는 용기에 커피가루를 넣은 뒤 찬물을 부어 상시간 실온으로 숙성시킨 다음 찌꺼기를 걸러내는 침출식에 의해 추출된다.
이와 같이 추출된 더치커피는 농도가 매우 진하여, 물, 어름, 시럽, 우유 등을 첨가하거나, 뜨거운 커피로 마시는 등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마실 수 있을 뿐 아니라, 향이 독특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이 있고, 장시간 경과에도 항과 맛이 변질되지 않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특히 2010년 이후 그 애용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 뜨거운 물로 우려내는 일반적인 커피와는 달리 차가운 물로 우려내기 때문에 커피액의 추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끓이는 등의 살균과정 없이 장시간 놓여지는 물은 세균의 번식을 용이하게 하여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음파를 이용하여 커피의 추출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미공개)한 바 있다.
상기의 음파를 이용한 더치커피의 추출방식은 스피커의 음파생성 원리를 이용하여 음파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커피 가루와 물의 혼합이 보다 용이하게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음파의 발생은 앰프와 같은 증폭장치를 반드시 필요로 하여 추출장치의 규모가 커질 수 밖에 없을 뿐 아니라, 이러한 증폭장치는 에너지를 많이 소모시키고 열을 발산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냉각부를 구비시켜야 하는 등 경제성에 문제가 있다. 이와 함께 음파를 증폭함에 있어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아날로그 방식이 사용될 수 밖에 없어 자동제어 방식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KR 10-1597969 B1 KR 10-1558895 B1 KR 20-0470316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짧은 시간에 위생적으로 다량의 더치커피를 경제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가루의 양과 요구되는 커피액의 농도에 따라 주파수와 진동의 세기를 정밀 자동제어할 수 있으며, 진동 이상 등 비정상적인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을 자동으로 멈출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더치커피가 추출되고 장치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더치커피 추출기를 제공함에도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상기의 더치커피 추출기에 전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전용커피용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주파수와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입력부와;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감지부와; 입력부의 설정내용과 감지부의 측정된 무게를 전달받아 진동의 세기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용 교류전원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주파수와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교류전원에 의해 상하진동을 발생시키는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에는 작동부의 이상진동 여부와 누수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작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기능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작동부는 상하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를 고정시키면서 하부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바닥판 및, 상기 진동부의 상하진동을 안내하는 진동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부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과, 상기 보빈 내에 위치하는 영구자석 및, 영구자석의 상부에 위치하여 용기수용판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진동봉의 상단은 진동판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은 하우징 하부의 공간에 수용되며, 진동판과 지지부 사이에는 진동봉의 상단부가 삽입된 제1스프링이 설치되고, 하우징 하부의 공간에는 진동봉의 하단부가 삽입된 제2스프링이 설치되도록 하여 진동부의 진동을 부드럽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더치커피 추출기에 사용되는 전용용기로서, 커피가루와 물이 충진되는 것으로서 개구측에 제1나사체결부가 구비되어 있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서 우려나온 커피액을 받아내는 것으로서 개구측에 제2나사체결부가 구비되어 있는 제2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2나사체결부에 각각 체결되는 제3,4나사체결부가 구비되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일체화시키는 것으로서, 제3나사체결부와 제4나사체결부 사이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필터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커피용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에는 필터의 양면 중 제2수용부 쪽으로 깔대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버터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필요한 주파수와 진동의 세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에너지로 다양한 맛과 향의 더치커피를 다량으로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정밀한 자동제어와 원격조정이 가능하므로 추출장치의 사용을 매우 간편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그 규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가루 등의 무게와 요구되는 농도에 따른 주파수별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용기의 이탈이나 흔들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아니하며, 이상 진동 또는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추출기의 작동이 자동으로 멈추게 되므로 안전성 및 장치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기의 작동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더치커피 추출기의 작동부에 대한 전체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작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작동부 중 진동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용커피용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전용커피용기에서 제1수용부를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전용커피용기에서 제2수용부를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각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작동시스템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기는 진동을 이용하여 커피가루와 물의 접촉 활동을 극대화시켜 짧은 시간으로 커피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하게 요구되는 맛과 향의 커피액이 추출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의 정도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와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입력부(100)와, 커피와 물이 담겨진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감지부(400)와, 진동의 세기를 결정하는 제어부(200)와, 주파수와 전압을 변화시키는 변환부(300) 및, 상하진동을 발생시키는 작동부(500)로 이루어진다.
커피액의 추출 농도는 진동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단위 시간당 진동수가 많은 경우에는 커피가루와 물의 접촉활동이 많아지면서 진한 농도의 커피액이 추출된다. 또 커피가루의 입자크기와, 우려내는 시간의 정도도 커피의 추출농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입력부(100)에서는 필요한 주파수를 설정하고, 커피가루의 종류 및 분쇄된 정도에 따라 작동시간을 설정하게 함으로써, 계획된 농도의 커피액이 추출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입력부(100)에 입력되는 주파수는 5Hz에서 35Hz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체에는 질량의 크기와 관련한 고유의 진동수가 있는데, 그와 동일한 진동수를 가지는 외력이 가해지면 공진현상에 의해 물체의 진동은 점차 커지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커피가루와 물이 담겨진 용기는 그 무게에 따라 설정된 주파수와 공진하면서, 용기수용판(600)으로 부터 흔들리거나 이탈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게에 따라 각 주파수 별로 진동의 최대 세기가 자동으로 제어되게 함으로써,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고 흔들림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즉 감지부(400)는 로드셀(411)을 이용하여 커피와 물이 담겨진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여 제어부(200)에 전달하고, 제어부(200)는 입력부(100)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와 감지부(400)로부터 전달받은 무게를 비교 검토하여 해당 무게에서 최대로 설정할 수 있는 진동의 세기를 산출한다.
아래의 표 1은 15kg을 기준으로 하여 각 주파수별로 진동의 세기를 설정한 예를 예시한 것이다.
무게 주파수 진동의 세기



15KG


5Hz 99
10Hz 80
15Hz 60
20Hz 55
25Hz 40
30Hz 30
35Hz 25
또 감지부(400)에는 작동부(500)의 이상진동 여부와 누수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된 진동의 세기를 넘어선 진동이 감지되거나, 깨진 용기를 잘못 사용하거나, 용기의 셋팅 잘못 또는 오작동에 의해 커피가루와 물이 담겨진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져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감지부(40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하여금 작동부(500)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함과 더불어 장치를 보호하고, 재료 및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낭비되지 않게 한다.
변환부(300)는 인가받은 상용 교류전원을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주파수와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의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부(310)와, 변환된 직류전원을 다시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면서 주파수 및 전압을 변화시키는 인버터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버터부(310)는 3상 전파정류회로와 평활회로로 구성되며, 상용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평활회로를 통해 평활하게 하여 맥동분이 적은 직류전원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인버터부(320)는 컨버터부(310)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을 다시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면서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을 통해 입력부(100)와 제어부(200)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및, 감지부(400)와 제어부(200)에 의해 설정된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는 전압을 가지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변환부(300)를 통해 인가된 교류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작동부(500)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상기 작동부(500)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상기 작동부(500)의 구성 중 진동부(51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동부(50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510)와, 진동부(510)가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520)과, 상기 하우징(520)이 고정되는 바닥판(530) 및, 상기 진동부(510)의 상하진동을 안내하는 진동봉(5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부(510)는 코일(511a)이 권취된 보빈(511)과, 상기 보빈(511) 내에 위치하는 영구자석(512) 및, 용기수용판(600)이 거치되는 진동판(514)으로 이루어진다.
코일(511a)이 권취된 보빈(511)은 인가된 교류의 전류방향에 따라 교번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에 따라 영구자석(512)과의 사이에 척력과 인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진동하게 된다. 이때 도 3, 4에서와 같이 하우징(520)에 보빈(51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영구자석(512)을 진동시킬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영구자석(512)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보빈(511)을 진동시킬 수도 있다. 다만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와 같이 영구자석(512)이 진동되는 구조로 하여 설명한다.
진동봉(540)은 상단이 진동판(514)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하단은 하우징(52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S)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520)은, 통기공(521a)이 구비된 지지수평판(521)과, 상기 지지수평판(521)의 각 측면에서 절곡되어 지지수평판(521)의 하부에 공간(S)을 형성시키면서 하우징(520)을 바닥판(530)에 고정시키는 지지수직판(5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수평판(521)의 하부에는 제어부(200) 등의 중앙처리장치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되는 바, 진동판(514)과 함께 상하 진동하게 되는 진동봉(540)는 그 하단부가 지지수평판(521)에 설치되는 부싱(543)을 통해 그 하부의 공간(S)으로 출몰하면서 진동판(514)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과 상하로만 진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진동판(514)에 대한 진동봉(540)의 고정은 나사체결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나사체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진동봉(540)의 외면에는 공구삽입홈 또는 공구끼움면(54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진동판(514)의 진동이 상하의 전환점에서의 충격없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진동봉(540)에는 탄성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수단은 진동판(514)과 지지수평판(521) 사이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진동판(514)과 하우징(5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봉(540)의 상단부에는 제1스프링(541)을 설치하고, 하우징(520) 하부 공간(S)에 위치한 진동봉(540)의 하단부에는 제2스프링(542)을 설치하여, 제1스프링(541)은 진동의 하부전환점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키고, 제2스프링(542)은 진동의 상부전환점에 대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서로 유기적으로 작용하게 함으로써 보다 부드럽게 진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스프링(542)의 하단은 와셔(544) 및 고정너트(555)를 매개로 하여 진동봉(540)의 하단에 고정된다.
진동판(514)은 영구자석(512)에 의해 상하 진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 위치하는 바, 진동판(514)이 자성체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영구자석(512)에 의해 자화되어 자성을 가진 이물질들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512)과 진동판(514)의 사이에는 진동판(514)이 영구자석(512)에 의해 자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화방지판(513)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진동판(514)의 상면에는 커피가루와 물이 담겨진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로드셀(411)과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수압판(412)이 놓여지며, 용기수용판(600)은 상기의 로드셀(411) 및 수압판(412)을 사이에 두고 진동판(514)의 상부에 놓여져 진동판(514)과 함께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드셀(411)에 의해 측정된 무게는 제어부(200)의 연산에 의해 주어진 주파수에 대한 최대 진동의 세기를 설정하게 하여, 진동과정 중에 용기가 튀어오르거나 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용기수용판(600)에는 용기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수용홈(6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닥판(530)은 하우징(520)을 고정 설치하여 진동부(510)와 함께 제어부(200) 등의 중앙처리장치가 설치되는 공간(S)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상면에는 진동감지센서(421) 및 누수감지판(431)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지센서(421)와 누수감지판(431)은 앞서 감지부(400)의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의 이상 여부와 바닥판(530)으로의 누수 여부를 감지하고, 이상 진동이나 누수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어부(200)를 통해 진동부(510)의 진동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불측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 바닥판(530)의 하부에는 지지다리(531)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다리(531)의 하단에는 진동부(510)의 진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완충부재(531a)가 구비된다.
아울러 바닥판(530) 중 진동봉(540)의 직하부에는 유지관리공(530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지관리공(530a)은 바닥판(530)으로부터 하우징(520)을 분해하지 않고서도 진동봉(540)에 대한 제2스프링(542)의 교체 내지 고정상태에 대한 보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에 관하여 설명하였는 바, 도 6 내지 8은 상기 더치커피 추출기에 전용하여 사용되는 전용커피용기(700)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은 상기 전용커피용기(700)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커피가루와 물이 충진되는 제1수용부(710)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 8은 우려진 커피액을 받아 내는 제2수용부(720)를 분리한 상태를, 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용커피용기(70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710)와 제2수용부(720)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부(730)로 이루어져 있다.
커피가루와 물이 충진되는 제1수용부(710)는 개구측에 제1나사체결부(711)가 구비되어, 필터부(730)에 구비된 제3나사체결부(731)에 나사체결되고, 우려나온 커피액을 받아 내는 제2수용부(720)의 개구측에 제2나사체결부(72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 역시 필터부(730)에 구비된 제4나사체결부(732)에 나사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1,2수용부(710,720)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필터부(730)에는 우려내고 남은 커피가루의 슬러지를 걸러주는 필터(733)가 제3나사체결부(731)와 제4나사체결부(732)의 사이에 더 설치된다. 따라서 제1수용부(710)에서 우려진 커피액은 상기 필터(733)를 통해 제2수용부(720)에 담아지게 된다. 또 상기 필터부(730)에는 커피액이 효율적으로 제2수용부(7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깔대기(734)가 필터(733)의 양면 중 제2수용부(720) 쪽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기와 전용커피용기(700)를 사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도면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더치커피의 추출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피와 물을 충진시킨 제1수용부(710)와 내부가 빈 제2수용부(720)를 필터부(730)와 함께 일체로 결합시킨 후, 도 9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제1수용부(710)가 아래에 놓이도록 전용커피용기(700)를 더치커피 추출기의 용기수용판(600)에 구비된 수용홈(610)에 삽입 고정시킨다.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액의 농도에 따라 주파수를 선택하고, 커피가루의 상태에 대응하여 표준작동시간에 필요한 만큼의 시간을 가감하여 입력하고, 작동스위치를 온(ON)함으로서 작동부(500)가 진동하여 제1수용부(710)에 충진된 커피가루와 물이 혼합되면서 커피가루로부터 커피액이 우려나오도록 한다.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작동부(500)의 작동이 멈추게 되는 바, 이때 도 9의 (b)에서와 같이 제2수용부(720)가 아래에 놓이도록 전용커피용기(700)를 뒤집어 놓으면, 커피슬러지가 필터(733)에 걸리면서 우려진 커피액은 깔대기(734)를 따라 제2수용부(720)에 담아지게 된다.
미설명부호 514a는 진동판(514)에 진동봉(540)을 나사체결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너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입력부 200; 제어부
300; 변환부 310; 컨버터부
320; 인버터부 400; 감지부
411; 로드셀 412; 수압판
421; 진동감지센서 431; 누수감지판
500; 작동부 510; 진동부
511; 보빈 511a; 코일
512; 영구자석 513; 자화방지판
514; 진동판 520; 하우징
521; 지지수평판 521a; 통기공
522; 지지수직판 530; 바닥판
530a; 유지관리공 531; 지지다리
531a; 완충부재 540; 진동봉
540a; 공구끼움면 541; 제1스프링
542; 제2스프링 543; 부싱
544; 와셔 555; 고정너트
600; 용기수용판 610; 수용홈
700; 전용커피용기 710; 제1수용부
711; 제1나사체결부 720; 제2수용부
721; 제2나사체결부 730; 필터부
731; 제3나사체결부 732; 제4나사체결부
733; 필터 734; 깔대기

Claims (11)

  1. 주파수와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입력부(100)와;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감지부(400)와; 입력부(100)의 설정내용과 감지부(400)의 측정된 무게를 전달받아 진동의 세기를 결정하는 제어부(200)와; 상용 교류전원을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주파수와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300) 및; 상기 변환부(300)에 의해 변환된 교류전원에 의해 상하진동을 발생시키는 작동부(5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부(500)는 상하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510)와, 상기 진동부(510)를 고정시키면서 하부에 공간(S)을 형성시키는 하우징(520)과, 상기 하우징(520)을 고정시키는 바닥판(530) 및, 상기 진동부(510)의 상하진동을 안내하는 진동봉(5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부(510)는 코일(511a)이 권취된 보빈(511)과, 상기 보빈(511) 내에 위치하는 영구자석(512) 및, 영구자석(512)의 상부에 위치하여 용기수용판(600)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판(514)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400)에는 작동부(500)의 이상진동 여부와 누수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하여금 작동부(500)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하는 기능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300)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부(310)와, 변환된 직류전원을 제어부(200)에 의해 정해진 주파수 및 전압을 가지는 교류전원으로 다시 변환하는 인버터부(3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봉(540)의 상단은 진동판(514)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은 하우징(520) 하부의 공간(S)에 수용되며, 진동판(514)과 지지부 사이에는 진동봉(540)의 상단부가 삽입된 제1스프링(541)이 설치되고, 하우징(520) 하부의 공간(S)에는 진동봉(540)의 하단부가 삽입된 제2스프링(54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512)과 진동판(514) 사이에는 자화방지판(513)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514)의 상면에는 로드셀(411)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30)의 상면에는 진동감지센서(421)와 누수감지판(431)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30)의 하면에는 지지다리(531)가 더 설치되고, 상기 지지다리(531)의 하단에는 완충부재(531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기에 사용되는 전용용기로서, 커피가루와 물이 충진되는 것으로서 개구측에 제1나사체결부(711)가 구비되어 있는 제1수용부(710)와; 상기 제1수용부(710)에서 우려나온 커피액을 받아내는 것으로서 개구측에 제2나사체결부(721)가 구비되어 있는 제2수용부(720) 및; 상기 제1수용부(710)와 제2수용부(72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2나사체결부(711,721)에 각각 체결되는 제3,4나사체결부(731,732)가 구비되어 제1수용부(710)와 제2수용부(720)를 일체화시키는 것으로서, 제3나사체결부(731)와 제4나사체결부(732) 사이에는 필터(733)가 설치되어 있는 필터부(7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커피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730)에는 필터(733)의 양면 중 제2수용부(720) 쪽으로 깔대기(734)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커피용기.
KR1020160068762A 2016-06-02 2016-06-02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KR10166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762A KR101669950B1 (ko) 2016-06-02 2016-06-02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PCT/KR2017/005453 WO2017209443A1 (ko) 2016-06-02 2017-05-25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762A KR101669950B1 (ko) 2016-06-02 2016-06-02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950B1 true KR101669950B1 (ko) 2016-11-01

Family

ID=5748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762A KR101669950B1 (ko) 2016-06-02 2016-06-02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9950B1 (ko)
WO (1) WO201720944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569B1 (ko) * 2016-11-25 2018-03-21 이상준 음파 진동을 이용한 콜드 브루 커피 추출 장치
WO2018156520A1 (en) * 2017-02-21 2018-08-30 Sjaastad Mike Agitator for brewing, steeping or infusing a liquid
WO2018216944A1 (ko) * 2017-05-22 2018-11-29 이상준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KR102061392B1 (ko) * 2017-07-07 2019-12-31 이상준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KR20220050345A (ko) * 2020-10-16 2022-04-25 제호성 음료 혼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US11596261B2 (en) 2019-08-07 2023-03-07 Kinetic Ideations, Inc. Filter stand agitator for brewing, steeping or infusing a liqui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8795B2 (ja) * 1988-10-06 1999-08-03 日本フィリップス株式会社 コーヒー抽出装置
JP2008206446A (ja) * 2007-02-27 2008-09-11 Masanari Tsutsumoto 液体抽出食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茶飲料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470316Y1 (ko) 2013-03-07 2013-12-06 유준희 더치커피기구
KR101512467B1 (ko) * 2014-04-10 2015-04-17 (주)비원테크 다기능 컵 워머
KR101558895B1 (ko) 2015-02-06 2015-10-13 문성윤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1597969B1 (ko) 2014-10-07 2016-03-07 임혜영 더치커피 추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178B1 (ko) * 2011-06-30 2013-08-29 (주)한선 필터가 구비된 분리형 음료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8795B2 (ja) * 1988-10-06 1999-08-03 日本フィリップス株式会社 コーヒー抽出装置
JP2008206446A (ja) * 2007-02-27 2008-09-11 Masanari Tsutsumoto 液体抽出食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茶飲料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470316Y1 (ko) 2013-03-07 2013-12-06 유준희 더치커피기구
KR101512467B1 (ko) * 2014-04-10 2015-04-17 (주)비원테크 다기능 컵 워머
KR101597969B1 (ko) 2014-10-07 2016-03-07 임혜영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558895B1 (ko) 2015-02-06 2015-10-13 문성윤 더치커피 추출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569B1 (ko) * 2016-11-25 2018-03-21 이상준 음파 진동을 이용한 콜드 브루 커피 추출 장치
WO2018156520A1 (en) * 2017-02-21 2018-08-30 Sjaastad Mike Agitator for brewing, steeping or infusing a liquid
WO2018216944A1 (ko) * 2017-05-22 2018-11-29 이상준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CN109414132A (zh) * 2017-05-22 2019-03-01 李尚俊 一种基于声音信号来调整声波振动的冷萃咖啡萃取装置
KR102061392B1 (ko) * 2017-07-07 2019-12-31 이상준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US11596261B2 (en) 2019-08-07 2023-03-07 Kinetic Ideations, Inc. Filter stand agitator for brewing, steeping or infusing a liquid
KR20220050345A (ko) * 2020-10-16 2022-04-25 제호성 음료 혼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KR102500077B1 (ko) * 2020-10-16 2023-02-16 제호성 음료 혼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9443A1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950B1 (ko)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JP2015526122A (ja) 振動抑制装置を有する飲料マシン
NO20072970L (no) Drikkevareanordning med hoydejusterbar innretning for styring av avstanden mellom drikkevaremottaker og utlop
TW200718383A (e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JP2010533588A (ja) 取り外し可能な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ろ過システム
US10238233B2 (en) Filtration and liquid level control system
EP224025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exhaustion of a filter cartridge in a filter system with replaceable cartridge and device operating according to that method.
CN106470579B (zh) 用于将饮料机器连接至分配管网的装置的联接
US20210361110A1 (en) Coffee-specific electronic scale
EP3166456A1 (en) Accessory for supplying automatically a beverage machine with liquid from a distribution network
WO2010124404A3 (de)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milch für eine kaffeemaschine
WO2016005350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beverage machine to a distribution network with safe monitoring
US20230148786A1 (en) Beverage making device and a system for making a beverage
US20100314383A1 (en) Device for Tempering a Test Fluid
CN204323712U (zh) 振动粉末灌装机
KR101840569B1 (ko) 음파 진동을 이용한 콜드 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1592326B1 (ko) 디지털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60120847A (ko) 드립커피 제조를 위한 커피 드립퍼
CN107752659A (zh) 一种可改变杯身高度的智能水杯
KR102210373B1 (ko) 수액 모니터링 장치
KR20190023488A (ko)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CN208658935U (zh) 上盖组件及烹饪器具
CN209142536U (zh) 一种具有ccd视觉检测的自动包装设备
CN212015377U (zh) 一种下料辅助装置及烹饪设备
WO2021184709A1 (zh) 自动供水装置及具有其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