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969B1 -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969B1
KR101597969B1 KR1020140134757A KR20140134757A KR101597969B1 KR 101597969 B1 KR101597969 B1 KR 101597969B1 KR 1020140134757 A KR1020140134757 A KR 1020140134757A KR 20140134757 A KR20140134757 A KR 20140134757A KR 101597969 B1 KR101597969 B1 KR 101597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ntainer
water
coffee liqui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혜영
Original Assignee
임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혜영 filed Critical 임혜영
Priority to KR1020140134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varying the infusion outflow velocity, e.g. for brewing smaller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온에서 오랜시간 동안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서, 커피액 저장용기에 냉기를 제공함으로써 시원한 커피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일정시간 간격으로 커피가루 용기를 흔들어줌으로써 커피가루에 물이 골고루 공급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물 저장용기; 상기 물 저장용기의 물이 공급되는 커피가루 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에서 추출된 커피액이 저장되는 커피액 용기; 및 상기 물 저장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 및 상기 커피액 용기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장치{Extracting apparatus of dutch coffee}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온에서 오랜시간 동안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서, 커피액 저장용기에 냉기를 제공함으로써 시원한 커피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일정시간 간격으로 커피가루 용기를 흔들어줌으로써 커피가루에 물이 골고루 공급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치커피는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우려낸 커피로 네덜란드풍의 커피라 하여 붙여진 일본식 명칭이다. 영어식으로는 차가운 물에 우려낸다는 뜻으로 콜드 브루(cold brew)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더치커피는 따뜻한 물을 사용하는 일반 커피와 달리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커피가 추출되기까지 오랜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나, 커피향이 좋고 쓴맛이 덜하며 카페인 함량이 적다는 특징 때문에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에게 더치커피의 인기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더치커피의 추출방법으로, 커피가루에 소량의 물을 한 방울씩 공급함으로써 추출되는 점진식과 커피가루에 물을 부어 8시간 내지 12시간을 숙성시킨 뒤 여과지에 원액을 걸러내 추출되는 침출식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점진식에 의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인 물 저장용기, 커피가루 저장용기 및 이에 추출된 커피액이 저장되는 커피용기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장시간 상온에서 추출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커피가루에 골고루 물이 공급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발명들이 제안되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 101392192호는 더치커피가 추출되는데 장시간 상온에 있어야 한다는 단점을 개선하여 살균작용이 가능한 적외선램프 및 시원한 커피가 제공될 수 있도록 냉각모듈을 겸비하였고, 한국등록특허 제101381480호는 커피가루에 물이 소량으로 공급되므로 물이 골고루 공급되지 못하는 단점을 개선하여 커피가루에 물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가압레버 및 분사노즐을 겸비한 발명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들 등록특허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만큼의 더치커피가 추출되기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의 특징을 보완하고 더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더치커피가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72199호(발명의 명칭:더치커피 드립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82254호(명칭:더치 커피 추출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온에서 오랜시간 동안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서, 커피액 저장용기에 냉기를 제공함으로써 시원한 커피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일정시간 간격으로 커피가루 용기를 흔들어줌으로써 커피가루에 물이 골고루 공급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물 저장용기; 상기 물 저장용기의 물이 공급되는 커피가루 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에서 추출된 커피액이 저장되는 커피액 용기; 및 상기 물 저장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 및 상기 커피액 용기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물 저장용기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상부홀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 및 제 2수직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 및 제 2수직 프레임의 중단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가루 용기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중부홀이 형성된 중부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 및 제 2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액 용기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커피액 무게 및 상기 커피가루 용기의 진동 시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커피액 용기가 안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커피액 무게의 정보를 전달하는 무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 저장용기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안착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상부홀에 삽입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가루 용기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空)이 형성된 환형의 토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가이드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조절개; 및 상기 조절개의 일측에 결합되며, 물의 유출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커피가루 용기는 상기 중부 프레임에 안착되며, 커피가루가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중부홀에 삽입되는 드립관; 및 상기 몸체 내부 하단에 위치되는 필터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한쌍의 제 1수직 프레임 및 제 2수직 프레임은, 상기 제 1수직 프레임 상단에 상기 조절핀과 결합되는 회전링크; 및 상기 제 2수직 프레임 중단에 상기 커피가루 용기와 결합되는 진동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조절핀과 맞물리는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링크는, 상기 커피가루 용기와 결합되는 집게; 상기 집게와 연결되는 이음부재; 상기 집게가 진동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링크 및 상기 진동링크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액 용기는, 상기 커피액 용기의 하단에 추출된 커피액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공; 상기 개구공에 삽입되며, 상기 개구공을 통해 토출된 커피액을 가이드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가이드된 커피액을 저장하는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발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저온의 물이 순환되는 저온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온케이스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냉각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및 저온케이스를 순환한 물을 상기 냉각부로 유입시키는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냉기가 공급될 수 있는 장치 및 저온의 물이 순환되는 저온케이스를 부가함으로써, 상온에서도 시원한 더치커피가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사형태의 토출부 및 일정시간 간격으로 커피가루 용기를 흔들어주는 진동링크를 부가함으로써, 커피가루에 골고루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커피액의 양이 측정될 수 있는 무게센서가 부착된 플레이트를 제공함으로써, 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양에 따라 공급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저온케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통한 회전링크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물 저장용기(200), 커피가루 용기(300), 커피액 용기(400) 및 지지부(500)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 저장용기(200)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210), 가이드관(220) 및 토출부(23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저장부(210)는 물의 유입 및 유출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이루는 것이 좋다. 또한, 저장부(210)의 개구된 곳으로 기타 이물질의 출입을 막기 위해 뚜껑(21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관(220)은 저장부(210)에 있는 물이 커피가루 용기(300)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저장부(210)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저장부(210) 및 가이드관(220)이 분리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가이드관(220)은 조절개(240) 및 조절핀(24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조절개(240)는 가이드관(241) 하단에 결합되며 저장부(210)에서 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조절개(240)의 일측에 결합된 조절핀(241)에 의해 조절개(240)가 조절될 수 있으며, 조절핀(241)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절개(240)를 조절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커피액 용기(400) 내의 커피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조절핀(241)을 회전시켜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토출부(230)는 가이드관(330) 일측에 결합되며, 커피가루 용기(300)로 골고루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空)이 형성된 환형의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개의 공을 형성함으로써, 저장부(210)에서 공급되는 물이 한쪽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토출부(230)의 형상이 환형이 아닌 다른 여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커피가루 용기(300)는 커피가루가 저장될 수 있는 몸체(31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체(310)에서 일부 돌출되어 형성된 드립관(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몸체(310)는 물 저장용기(200)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지는 것이 좋다. 이는 환형의 토출부(230)가 용이하게 몸체(3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310)가 토출부(23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룸으로써 토출부(230)와 맞물려 끼워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기타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몸체(310) 내부 하단에 필터링(330)이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커피가루에 물이 공급됨으로써 물이 머금게 되는 커피가루를 필터링(330)에 의해 걸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필터링(330)은 몸체(3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척하기 위해 몸체(310)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커피액 용기(400)는 병, 그릇 및 컵 등 커피액이 저장될 수 있는 어떠한 용기로 구성되더라도 무방하며, 하단 일측에 온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커피액 용기(400)는 하단에 커피액이 토출될 수 있도록 개구공(41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토출된 커피액을 가이드하는 솔레노이드 밸브(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420)를 통해 토출된 커피액은 용기(700)에 저장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용기(700)에는 유리 병, 커피 컵 등 소비자들에게 바로 제공될 수 있는 용기(700)인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420)의 일측에는 용기(700)의 크기에 따라 커피액이 용이하게 담아질 수 있도록 펌핑하는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모터의 작동 없이도 커피액이 용기(700)에 담아질 수 있는 경우에는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고 솔레노이드 밸브(42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커피액의 토출을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지지부(500)는 물 저장용기(200), 커피가루 용기(300) 및 커피액 용기(4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510),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540a) 및 제 2수직 프레임(540b), 중부 프레임(520) 및 하부 프레임(5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510)은 물 저장용기(200)의 저장부(210)가 안착되며, 가이드관(2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상부홀(5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홀(511)은 물 저장용기(2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상부홀(511)이 개방되지 않은 형태를 이루더라도 무방함은 당연할 것이다.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540a) 및 제 2수직 프레임(540b)은 상부 프레임(510)에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510)이 지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1수직 프레임(540a)은 상단에 회전링크(550)를 포함하고, 제 2수직 프레임(540b)은 중단에 진동링크(56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링크(550)는 조절핀(241)과 결합되는 회전유닛(552) 및 회전유닛(552)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축(55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회전유닛(552)의 내부는 조절핀(241)과 맞물릴 수 있도록 조절핀(24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유닛(552) 내부의 형태가 조절핀(241)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조절핀(241)의 형상이 달라지면, 회전유닛(552) 내부의 형태도 함께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회전축(551)은 회전유닛(552)을 0 내지 90°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조절개(240)의 길이에 따라 회전유닛(552) 및 조절핀(241)의 결합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축(551)의 일측에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미도시)가 결합되어 회전축(551)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길이 조절방식에 있어서, 통상의 어떠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범위로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할 것이다.
진동링크(560)는 커피가루 용기(300)와 결합되는 집게(561) 및 이음부재(56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음부재(562)를 통해 집게(561)를 진동시키는 진동유닛(5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유닛(563)은 진동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진동을 위한 방법으로 진동모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진동유닛(563)을 통해 집게(561)가 진동됨으로써, 커피가루 용기(300)에 있는 커피가루가 물 저장용기(300)에서 공급된 물에 의해 응축된 경우, 이러한 커피가루를 분해하여 골고루 물이 커피가루에 공급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중부 프레임(520)은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540a) 및 제 2수직 프레임(540b)의 중단에 결합되며, 커피가루 용기(300)의 몸체(310)가 안착되도록 중앙에 중부홀(52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중부홀(521)은 커피가루 용기(30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부홀(51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중부홀(521)이 개방되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하부 프레임(530)은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540a) 및 제 2수직프레임(540b)의 하단에 결합되며, 커피액 용기(400)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프레임(530)의 중앙에 삽입홈(53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530) 내부에는, 커피액 용기(400)에 추출된 커피액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533)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무게센서(5330)는 무게 측정을 위한 것이므로 다른 통상의 어떠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무게센서(533)는 커피액의 무게를 측정하여 하부 플레이트(532a)에 포함된 제어부(532)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32)는 무게센서(533)에서 전달된 측정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 보다 클 경우 회전링크(550)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532)는 위와 같이 커피액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533)로부터 커피액의 무게 측정값을 전달 받아 회전링크(550)를 회전시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2)를 통해 사용자가 일정시간 및 일정간격을 입력시킴으로써 진동링크(560)를 진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에 의해 커피가루 용기(300)에 있는 커피가루가 응축되어 물이 골고루 분사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프레임(530) 상부에는 발열부(5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534)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어부(532)의 온도버튼을 조절함으로써, 커피액 용기(400)에 열기를 제공하여 상온의 커피액을 따뜻하게할 수 있다.
발열부(534)를 통해 커피액 용기(300)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커피액의 온도는 상승하며, 커피액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80℃이상이 될 경우에는 커피액 용기(300)의 온도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발열부(534)의 작동이 제어부(532)에 의해 중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저온케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저온케이스(600)가 더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저온케이스(600)는 물 저장용기(200), 커피가루 용기(300) 및 커피액 용기(400)에 냉기를 제공함으로써, 시원한 더치커피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저온케이스(600)는 투명의 유리재질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상기와 같은 범위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투명한 재질의 어떠한 소재 등으로 전용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저온케이스(600)는 유입부(622), 유출부(624) 및 냉각부(6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냉각부(620)에서 냉각된 물이 저온케이스(600)의 유입부(622)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저온케이스(600)를 순환한 저온의 물은 유출부(624)를 통해 다시 냉각부(620)로 유입될 수 있다.
저온케이스(600)를 통해 커피액 용기(300)의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커피액의 온도는 하강하며, 커피액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이하이 될 경우에는 커피액 용기(300)의 온도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함으로써, 저온케이스(600)의 작동이 제어부(532)에 의해 중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따뜻한 커피액의 공급을 원하는 경우에는 제어부(532)의 온도를 조절하여 발열부(534)를 작동시키거나, 차가운 커피액의 공급을 원하는 경우에는 저온케이스(600)를 작동시켜 드립커피 추출장치(100)에 냉기를 제공함으로써 커피액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커피액 용기(300)의 온도센서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통한 회전링크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어부를 통한 회전링크의 작동순서는 커피액 용기 안착단계(S700), 기본값 설정단계(S710), 무게 설정단계(S720), 무게 감지단계(S730), 측정값과 설장값 비교단계(S740) 및 회전링크 작동단계(S750)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커피액 용기 안착단계(S700)는 병, 그릇 및 컵 등 커피액이 저장될 수 있는 기타 여하의 용기가 플레이트에 안착될 수 있는 단계이다.
이러한 커피액 용기가 플레이트에 안착되면, 기본 값 설정단계(S710)에서 커피액 용기의 무게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커피액 용기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커피액 용기가 플레이트에 안착된 후에 커피액 용기의 무게를 제외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의 양만을 추출하기 위함이다.
무게 설정단계(S720)는 커피액 용기의 무게를 제외시킨 후에,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커피의 양을 제어부에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물 저장용기의 조절핀을 통해 제공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필요 없이, 제어부에 설정된 값을 통해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무게가 설정된 경우, 무게 감지단계(S730)에서 커피액 용기의 커피 양이 얼마만큼 추출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감지될 수 있다.
그 후, 측정값과 설정값 비교 단계(S740)에서 사용자가 제어부에 입력한 서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커피액 저장용기에 설정값 이상의 양이 측정되면 회전링크에 있는 회전센서로 입력신호가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회전링크 작동단계(S750)는 설정값 측정단계(S740)에서 회전센서에 입력신호가 전달되면 회전링크의 회전유닛이 바람직하게는 90°로 회전하여 물 저장용기에 있는 물이 커피가루 용기에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더치커피 추출장치 200 : 물 저장용기
210 : 저장부 211 : 뚜껑
220 : 가이드관 230 : 토출부
240 : 조절개 241 : 조절핀
300 : 커피가루 용기 310 : 몸체
320 : 드립관 330 : 필터링
400 : 커피액 용기 410 : 개구공
420 : 솔레노이드 밸브
500 : 지지부
510 : 상부 프레임 511 : 상부홀
520 : 중부 프레임 521 : 중부홀
530 : 하부 프레임 531 : 삽입홈
532 : 제어부 533 : 무게센서
534 : 발열부
540a: 제 1수직 프레임 540b: 제 2수직 프레임
550 : 회전링크 551 : 회전축
552 : 회전유닛 560 : 진동링크
561 : 집게 562 : 이음부재
563 : 진동유닛
600 : 저온케이스 620 : 냉각부
622 : 유입부 624 : 유출부

Claims (9)

  1.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
    물 저장용기;
    상기 물 저장용기의 물이 공급되는 커피가루 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에서 추출된 커피액이 저장되는 커피액 용기; 및
    상기 물 저장용기, 상기 커피가루 용기 및 상기 커피액 용기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물 저장용기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상부홀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 및 제 2수직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 및 제 2수직 프레임의 중단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가루 용기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중부홀이 형성된 중부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 1수직 프레임 및 제 2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액 용기가 부분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커피액 무게 및 상기 커피가루 용기의 진동 시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커피액 용기가 안착되며, 상기 제어부에 커피액 무게의 정보를 전달하는 무게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저온의 물이 순환되는 저온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저온케이스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냉각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및
    저온케이스를 순환한 물을 상기 냉각부로 유입시키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용기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안착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상부홀에 삽입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커피가루 용기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空)이 형성된 환형의 토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가이드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조절개; 및
    상기 조절개의 일측에 결합되며, 물의 유출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가루 용기는
    상기 중부 프레임에 안착되며, 커피가루가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일부 돌출되어 상기 중부홀에 삽입되는 드립관; 및
    상기 몸체 내부 하단에 위치되는 필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 1수직 프레임 및 제 2수직 프레임은,
    상기 제 1수직 프레임 상단에 상기 조절핀과 결합되는 회전링크; 및
    상기 제 2수직 프레임 중단에 상기 커피가루 용기와 결합되는 진동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조절핀과 맞물리는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링크는,
    상기 커피가루 용기와 결합되는 집게;
    상기 집게와 연결되는 이음부재;
    상기 집게가 진동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 및 상기 진동링크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액 용기는,
    상기 커피액 용기의 하단에 추출된 커피액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공;
    상기 개구공에 삽입되며, 상기 개구공을 통해 토출된 커피액을 가이드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가이드된 커피액을 저장하는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발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9. 삭제
KR1020140134757A 2014-10-07 2014-10-07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59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757A KR101597969B1 (ko) 2014-10-07 2014-10-07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757A KR101597969B1 (ko) 2014-10-07 2014-10-07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969B1 true KR101597969B1 (ko) 2016-03-07

Family

ID=5554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757A KR101597969B1 (ko) 2014-10-07 2014-10-07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96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184B1 (ko) * 2016-05-12 2016-10-17 이용하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69950B1 (ko) 2016-06-02 2016-11-01 주식회사코이시스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KR101741954B1 (ko) * 2016-07-07 2017-06-15 임성현 더치커피 메이커 및 더치커피 제조 방법
KR101824522B1 (ko) * 2017-01-16 2018-02-01 이지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101892487B1 (ko) * 2017-11-20 2018-08-31 이지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WO2019098749A1 (ko) * 2017-11-20 2019-05-23 정윤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20190080222A (ko) * 2017-12-28 2019-07-08 조형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WO2020154986A1 (zh) * 2019-01-30 2020-08-06 广州康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吹气冷萃咖啡壶及其工作方法
KR102160880B1 (ko) 2019-04-16 2020-10-05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KR102221851B1 (ko) * 2020-03-19 2021-03-02 주식회사 가비 풍미가 향상된 커피머신
KR102415066B1 (ko) 2021-09-14 2022-07-01 주식회사 더치콩 더치커피 추출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329U (ko) * 1988-06-16 1990-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피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JPH06335428A (ja) * 1993-05-31 1994-12-06 Sharp Corp 飲料抽出装置
KR101306268B1 (ko) * 2013-04-23 2013-09-12 (주)씨큐브 대용량 저온투과식 액상커피추출기 및 액상커피추출방법
KR200470316Y1 (ko) * 2013-03-07 2013-12-06 유준희 더치커피기구
KR101372199B1 (ko) 2013-07-04 2014-03-07 정윤진 더치커피 드립 장치
KR101382254B1 (ko) 2013-06-05 2014-04-14 권일중 더치 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329U (ko) * 1988-06-16 1990-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피자동판매기의 원료공급장치
JPH06335428A (ja) * 1993-05-31 1994-12-06 Sharp Corp 飲料抽出装置
KR200470316Y1 (ko) * 2013-03-07 2013-12-06 유준희 더치커피기구
KR101306268B1 (ko) * 2013-04-23 2013-09-12 (주)씨큐브 대용량 저온투과식 액상커피추출기 및 액상커피추출방법
KR101382254B1 (ko) 2013-06-05 2014-04-14 권일중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101372199B1 (ko) 2013-07-04 2014-03-07 정윤진 더치커피 드립 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184B1 (ko) * 2016-05-12 2016-10-17 이용하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69950B1 (ko) 2016-06-02 2016-11-01 주식회사코이시스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WO2017209443A1 (ko) * 2016-06-02 2017-12-07 황형준 더치커피 추출기 및 이에 전용되는 전용커피용기
KR101741954B1 (ko) * 2016-07-07 2017-06-15 임성현 더치커피 메이커 및 더치커피 제조 방법
KR101824522B1 (ko) * 2017-01-16 2018-02-01 이지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WO2019098749A1 (ko) * 2017-11-20 2019-05-23 정윤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101892487B1 (ko) * 2017-11-20 2018-08-31 이지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CN111343890A (zh) * 2017-11-20 2020-06-26 郑赟津 利用真空力的咖啡提取用供水装置
CN111343890B (zh) * 2017-11-20 2021-08-13 郑赟津 利用真空力的咖啡提取用供水装置
KR20190080222A (ko) * 2017-12-28 2019-07-08 조형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KR102123143B1 (ko) 2017-12-28 2020-06-26 조형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WO2020154986A1 (zh) * 2019-01-30 2020-08-06 广州康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吹气冷萃咖啡壶及其工作方法
KR102160880B1 (ko) 2019-04-16 2020-10-05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KR102221851B1 (ko) * 2020-03-19 2021-03-02 주식회사 가비 풍미가 향상된 커피머신
KR102415066B1 (ko) 2021-09-14 2022-07-01 주식회사 더치콩 더치커피 추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969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JP6407383B2 (ja) 飲料煎出システム
ES2698530T3 (es) Dispositivo de producción de bebidas mediante la utilización de centrifugación, para extraer un líquido, el cual comprende medios de compensación de pérdida de calor
KR101778722B1 (ko) 음료 제조 기계
US12029343B2 (en) Automatic coffeemaker process for preparing a cold brewed beverage
US9474405B2 (en) Cartridge with crema generating septum and method using same
JP6023819B2 (ja) 飲料調製マシン
JP7503568B2 (ja) 熱的に最適化されたアーキテクチャを有する飲料調製デバイス
US20160058233A1 (en) Automatic coffee maker and method of preparing a brewed beverage
US10806294B2 (en) Froth wand
KR20150038638A (ko)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JP4397341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
KR20100121538A (ko) 음료 제조 공정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물품들의 세트
JP2006263028A (ja)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マシーン
KR102270443B1 (ko) 휴대용 커피머신
JP2006198213A (ja)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JP7518101B2 (ja) シンプルなマルチサーマル調節機能を有する飲料調製装置
RU281322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с температурно-оптимизированной архитектур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