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487B1 -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487B1
KR101892487B1 KR1020170155047A KR20170155047A KR101892487B1 KR 101892487 B1 KR101892487 B1 KR 101892487B1 KR 1020170155047 A KR1020170155047 A KR 1020170155047A KR 20170155047 A KR20170155047 A KR 20170155047A KR 101892487 B1 KR101892487 B1 KR 101892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pply container
air pass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정윤진
이태규
Original Assignee
이지현
정윤진
이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정윤진, 이태규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7015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487B1/ko
Priority to PCT/KR2018/014092 priority patent/WO2019098749A1/ko
Priority to CN201880073264.6A priority patent/CN111343890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43Vacuum-type 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o the upper bowl in which the ground coffee is placed and subsequently the heat source is cut-off and the water is sucked through the filter by the vacuum in the lower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G01K2207/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는, 저수조와 연결되는 유로; 상기 유로와 연결되고,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된 물을 복수 개의 출수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물분배부재를 갖는 물공급용기; 상기 유로를 개폐하여 상기 물공급용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용기에는 외부와 연통된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는, 상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공기통로 개폐장치; 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물공급용기 내부에 진공력을 형성함으로써 커피분말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속도 및 양의 조절이 가능하고, 공급되는 물을 커피분말의 여러 지점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는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Water Supplying Device for Coffee Extraction Using Vacuum Pressure}
본 발명은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두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할 때는 커피를 추출하는 물의 온도에 따라 뜨거운 물로 커피를 추출하는 드립커피와, 상온의 물 또는 차가운 물로 커피를 추출하는 더치커피(콜드 브루 커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드립커피는 드립포트에 뜨거운 물을 담고, 이 물을 사용자가 직접 드립퍼에 담긴 커피분말에 골고루 부어가면서 추출하는 커피로서 대략 3분 정도의 짧은 시간에 추출되는 커피이다. 더치커피는 물탱크에 담긴 상온의 물을 밸브를 통해 커피분말이 담긴 커피바스켓으로 낙하시켜 대략 3~20 시간의 오랜 시간에 걸쳐 추출되는 커피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만들어지는 드립커피는 커피분말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과 공급시간 등에 따라 커피의 맛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커피를 추출하는 사용자의 경험과 노하우가 중요시된다. 따라서, 커피 매장에서 드립커피를 추출하는 바리스타의 경우 장시간 동안 드립포트를 들고 커피분말에 물을 정확하고 정교하게 공급하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더치커피는 밸브를 통해 커피바스켓으로 낙하되는 물이 커피바스켓의 중앙 부분에만 집중되어 낙하됨으로써, 커피바스켓의 중앙부분에 담긴 커피분말에서는 커피 성분이 과다 추출되고, 중앙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물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커피 성분이 과소 추출되면서 커피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최근에는 핸드드립으로 드립커피를 추출하거나 더치커피를 추출할 때 드립퍼나 커피바스켓에 물을 균일하게 분배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물 공급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립커피 제조기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드립커피 제조기는 물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제1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1 용기(10)와; 제1 관통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제1 용기(10)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커피분말 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복수 개의 제2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 용기(20)와; 커피분말과 제2 관통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제2 용기(20)의 하측에 배치되며, 추출된 드립 커피가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제3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3용기(30);를 포함한다.
제2 용기(20)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분기관이 연결되고, 제2 관통공은 이러한 분기관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용기(20)에 수용된 물은 제2 관통공을 통해 서서히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제1 용기(10)에 담긴 물이 제2 용기(20)로 공급된 다음 제2 관통공을 통해 제3 용기(30)에 담긴 커피분말에 균일하게 낙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용기(10)에서 제2 용기(20)로 공급되는 물의 속도와 양을 따로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제2 용기(20)로 물이 과다하게 유입되어 상부로 흘러넘치거나 제2 용기(20)에 담긴 물의 양이 달라지면서 수압의 변화로 인해 제2 관통공을 통해 낙하되는 물의 속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커피 추출 조건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물의 공급 속도 및 양을 조절하여 다양한 풍미와 맛의 드립커피를 만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핸드드립커피나 더치커피 추출시 드립퍼나 커피바스켓의 상부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커피분말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속도 및 양의 조절이 가능하고, 공급되는 물을 커피분말의 여러 지점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는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474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핸드드립용 드립퍼나 더치커피 기구 등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커피분말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속도 및 양의 조절이 가능하고, 공급되는 물을 커피분말의 여러 지점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는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는, 저수조와 연결되는 유로; 상기 유로와 연결되고,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된 물을 복수 개의 출수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물분배부재를 갖는 물공급용기; 상기 유로를 개폐하여 상기 물공급용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유닛;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용기에는 외부와 연통된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는, 상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공기통로 개폐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로 개폐장치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방법으로 상기 물공급용기 내부에 진공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유닛과 상기 물공급용기 사이의 상기 유로는 외부와 연통된 공기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는, 상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공기통로 개폐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로 개폐장치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방법으로 상기 물공급용기 내부에 진공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유닛은 외부와 연통된 공기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는, 상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공기통로 개폐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로 개폐장치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방법으로 상기 물공급용기 내부에 진공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분배부재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출수공은 각각 상기 복수 개의 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분배부재의 상기 복수의 출수공을 폐쇄할 수 있는 덮개 부재;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용기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공급용기 내부에 진공력을 형성함으로써 커피분말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속도 및 양의 조절이 가능하고, 공급되는 물을 커피분말의 여러 지점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는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립커피 제조기의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용기와 공기통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용기와 공기통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용기와 공기통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유닛과 물공급용기 사이의 유로 및 공기통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용기, 밸브 유닛 및 공기통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용기, 밸브 유닛 및 공기통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커피분말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속도 및 양을 조절 가능하고, 공급되는 물을 커피분말의 여러 지점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는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용기와 공기통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이하, 물 공급장치)는 유로(110), 물공급용기(120), 밸브 유닛(130), 공기통로(140), 공기통로 개폐장치(150)를 포함한다.
유로(110)는 저수조(102)와 연결된다. 저수조(102)는 저수조 본체(101) 내에 수용되고, 유로(110)를 통해 물공급용기(120)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을 공급한다. 저수조(102)는 원형, 사각형 등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저수조(102)는 유로(1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03)가 유로(110)의 하부에 위치되고, 펌핑 압력에 의해 저수조(103) 내의 물을 유로(110)를 통해 물공급용기(120)로 공급할 수 있다.
물공급용기(120)는 유로(110)와 연결된다. 물공급용기(12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121)과, 이러한 수용공간(121)에 저장된 물을 복수 개의 출수공(124)을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물분배부재(122)를 갖는다. 물분배부재(122)를 통해 그 하부에 위치하는 드립퍼(2)나 커피바스켓에 물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낙하될 수 있다.
물공급용기(120)의 저면에 물분배부재(122)를 조립할 때에는 O링 등의 실링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물공급용기(120)에서 물분배부재(122)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물분배부재(122)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상면에는 물공급용기(120)의 개방된 저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밀착되어 조립되도록 돌출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분배부재(122)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123)가 형성되고, 출수공(124)은 돌출부(123)의 내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분배부재(122)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그 둘레를 따라 가이드돌기(1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돌기(126)에 의해 물 공급장치가 드립퍼(2)의 상부에 위치되었을 때, 최초의 설치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드립퍼(2)나 커피바스켓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밸브 유닛(130)은 유로(110)를 개폐하여 물공급용기(12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공기통로(140)는 물공급용기(1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물공급용기(120) 내부에 진공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물공급용기(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통로 개폐장치(150)는 공기통로(14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마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유닛(130)을 개방하면 유로(110)를 통해 적정량의 물이 물공급용기(120)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공기통로 개폐장치(150)에 의해 공기통로(140)를 개방하면, 물공급용기(120)에 물이 채워지면서, 물공급용기(120) 내부의 공기가 공기통로(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공급용기(120)에 물을 채울 때, 개방된 공기통로(140)를 통해 물공급용기(120)에 유입되는 물의 양만큼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물공급용기(120)의 내부로 물이 더욱 쉽게 유입되어, 물공급용기(120)에 물을 빠르게 채울 수 있다.
밸브 유닛(130)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유로(110)를 통해 물공급용기(12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출수공(124)을 통해 빠져나가는 양보다 많도록 하여 물공급용기(120)에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유닛(130)을 최대로 개방하여 물이 물공급용기(120) 내부로 빠르게 유입됨과 동시에, 물공급용기(120)의 내부에 있는 공기도 공기통로(14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물공급용기(120)에 적정량의 물이 채워지면, 밸브 유닛(130)을 잠그게 된다.
물공급용기(120)에 물을 빠르게 채우기 위해서, 물분배부재(122)의 하부에는 복수의 출수공(124)을 폐쇄할 수 있는 덮개부재(125)가 구비될 수 있다. 물공급용기(120)에 물을 채울 때는 출수공(124)에 덮개부재(125)를 결합하여 출수공(124)을 통해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공급용기(120)에 빠르게 물을 채울 수 있다.
물공급용기(120)에 적정량의 물을 채운 후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통로 개폐장치(150)에 의해 공기통로(140)를 폐쇄하고, 덮개부재(125)를 제거한다. 출수공(124)은 외부의 공기가 출수공(124)을 통해 유입되지 못하도록 2㎜ 이하의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공급용기(1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간 후에 추가로 물공급용기(120)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 물공급용기(120)의 내부에는 진공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 유닛(130)을 통해 물공급용기(120)에 물을 채울 때, 공기통로 개폐장치(150)에 의해 공기통로(140)를 개방 및 폐쇄하는 방법으로 물공급용기(120) 내부에 진공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형성된 진공력의 세기가 출수공(124)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작용하는 중력 이상이 되면, 물공급용기(120)에 저장된 물은 출수공(124)을 통해 더 이상 배출되지 않고 물공급용기(120)의 내부에 갇혀 있게 된다.
물공급용기(120)에는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7)가 설치되고, 이러한 온도센서(127)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기 위해 물공급용기(120)의 외부에 온도표시부(128)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물 공급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물분배부재(122)에 덮개부재(125)를 장착하고 공기통로 개폐장치(150)를 조절하여 공기통로(140)를 개방한 상태에서, 밸브 유닛(130)을 적절히 조절하여 유로(110)로부터 물공급용기(120)로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물공급용기(120)에 물이 채워지면서 물공급용기(120) 내부의 공기는 공기통로(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물공급용기(120)에 적정량의 물이 채워지면 밸브 유닛(130)를 폐쇄하고, 공기통로 개폐장치(150)에 의해 공기통로(140)를 폐쇄한다. 이때, 물공급용기(12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 상태가 되고, 덮개부재(125)를 제거하면, 물공급용기(120) 내부의 물의 중력에 의해 출수공(124)으로 일정량의 물이 배출되면서 물공급용기(120) 내부에는 진공력이 형성된다.
다음에, 드립서버(1)의 상부에 드립퍼(2)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드립퍼(2)의 내측에 설치된 필터(3)에 적정량의 커피분말(4)을 담고, 커피분말(4)이 물분배부재(122)의 하부에 위치되게 한다.
다음에, 밸브 유닛(130)을 적절히 개방하여 물공급용기(120)로 물을 공급하면, 공급되는 양만큼의 물이 복수의 출수공(124)을 통해 배출되어 커피분말(4)로 골고루 낙하될 수 있고, 물공급용기(120) 내부의 물은 항상 일정한 양을 유지하게 된다. 커피분말(4)로 낙하되는 물의 양은 밸브 유닛(130)을 조절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공기통로(140)와 공기통로 개폐장치(150)에 의해 물공급용기(120)의 내부에 진공력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진공력은 커피분말(4)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속도 및 양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공급되는 물을 커피분말(4)의 여러 지점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용기와 공기통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물공급용기(220)의 상부 일측에는 공기배출유로(251)가 형성되고, 공기배출유로(251)에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통로(240)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통로 개폐장치(250)는 마개 형태로 되어 공기통로(240)를 개폐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물공급용기(320)의 바닥에는 물분배부재(322)를 관통하여 물공급용기(320)의 내부로 연장되는 공기배출유로(351)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배출유로(351)의 상단부는 물공급용기(320)의 내부와 연통되고, 하단부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통로(340)가 될 수 있다. 공기통로 개폐장치(350)는 마개 형태로 되어 공기통로(340)를 개폐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밸브 유닛(130)과 물공급용기(420) 사이의 유로(410)는 공기배출유로(451)와 연통되고, 공기배출유로(451)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통로(440)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통로 개폐장치(450)는 마개 형태로 되어 공기통로(440)를 개폐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용기, 밸브 유닛 및 공기통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밸브 유닛(530)은 유로(510) 및 물공급용기(520)와 동시에 연통되는 밸브유로(531)와, 이러한 밸브유로(531)에 설치되어 유로(510)를 개폐하는 조절밸브(5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밸브 유닛(530)은 물공급용기(520)의 상부에 유로(510)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밸브유로(531)의 일측에는 물공급용기(52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공기통로(540)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통로 개폐장치(550)는 마개 형태로 되어 공기통로(540)를 개폐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용기, 밸브 유닛 및 공기통로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밸브 유닛(630)은 유로(610) 및 물공급용기(620)와 동시에 연통되는 밸브유로(631)와, 이러한 밸브유로(631)에 설치되어 유로(610)를 개폐하는 조절밸브(632)를 포함한다. 밸브 유닛(630)은 물공급용기(620)의 상부에 유로(610)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물공급용기(620)에 물분배부재(622)가 나사산을 통해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O링(627) 등의 실링부재에 의해 수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물공급용기(620)에 대해 물분배부재(622)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산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물분배부재(622)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623)가 형성되고, 출수공(624)은 돌출부(623)의 내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공급용기(620) 또는 물분배부재(622)의 일측에 공기통로(640)가 형성되고, 물분배부재(622)를 물공급용기(620)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공기통로(640)가 개폐되게 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610)가 개방되도록 밸브 유닛(630)을 이동시키고, 물분배부재(622)를 물공급용기(620)에 대해 회전시켜 공기통로(640)가 개방되게 하면, 물공급용기(620) 내로 물이 유입되면서 물공급용기(620) 내의 공기가 공기통로(640)를 통해 빠져나가서 진공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통로(640)를 개폐하기 위한 공기통로 개폐장치는 물공급용기(620)의 수용공간이 2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고, 2개의 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에 공기통로(640)를 형성하고, 하나의 부재에 대해 다른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공기통로(640)가 개폐되게 하는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밸브유닛을 개방하여 물공급용기 내로 물이 유입되면서 물공급용기 내의 공기가 공기통로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진공력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밸브유닛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통로 개폐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물을 주입하면서 공기통로를 통해 물공급용기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한 후,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방법으로 진공력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물공급용기에 진공력을 형성할 수 있다면, 공기통로와 공기통로 개폐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 드립서버
2 : 드립퍼
3 : 필터
4 : 커피분말
101 : 저수조 본체
102 : 저수조
110 : 유로
120 : 물공급용기
121 : 수용공간
122 : 물분배부재
123 : 돌출부
124 : 출수공
127 : 온도센서
128 : 온도표시부
130 : 밸브유닛
140 : 공기통로
150 : 공기통로 개폐장치

Claims (7)

  1. 삭제
  2.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저수조와 연결되는 유로;
    상기 유로와 연결되고,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된 물을 복수 개의 출수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물분배부재를 갖는 물공급용기;
    상기 유로를 개폐하여 상기 물공급용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용기에는 외부와 연통된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는,
    상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공기통로 개폐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유닛을 개방하여 물이 상기 물공급용기에 채워지는 동안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물공급용기에 소정 양의 물을 채운 후에는 상기 공기통로 개폐장치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방법으로 상기 물공급용기 내부에 진공력을 형성할 수 있는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3.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저수조와 연결되는 유로;
    상기 유로와 연결되고,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된 물을 복수 개의 출수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물분배부재를 갖는 물공급용기;
    상기 유로를 개폐하여 상기 물공급용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유닛과 상기 물공급용기 사이의 상기 유로는 외부와 연통된 공기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는,
    상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공기통로 개폐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유닛을 개방하여 물이 상기 물공급용기에 채워지는 동안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물공급용기에 소정 양의 물을 채운 후에는 상기 공기통로 개폐장치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방법으로 상기 물공급용기 내부에 진공력을 형성할 수 있는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4.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저수조와 연결되는 유로;
    상기 유로와 연결되고,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된 물을 복수 개의 출수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하는 물분배부재를 갖는 물공급용기;
    상기 유로를 개폐하여 상기 물공급용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유닛은 외부와 연통된 공기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는,
    상기 공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공기통로 개폐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유닛을 개방하여 물이 상기 물공급용기에 채워지는 동안 상기 공기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물공급용기에 소정 양의 물을 채운 후에는 상기 공기통로 개폐장치에 의해 상기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방법으로 상기 물공급용기 내부에 진공력을 형성할 수 있는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배부재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출수공은 각각 상기 복수 개의 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배부재의 상기 복수의 출수공을 폐쇄할 수 있는 덮개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용기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1020170155047A 2017-11-20 2017-11-20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10189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047A KR101892487B1 (ko) 2017-11-20 2017-11-20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PCT/KR2018/014092 WO2019098749A1 (ko) 2017-11-20 2018-11-16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CN201880073264.6A CN111343890B (zh) 2017-11-20 2018-11-16 利用真空力的咖啡提取用供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047A KR101892487B1 (ko) 2017-11-20 2017-11-20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487B1 true KR101892487B1 (ko) 2018-08-31

Family

ID=6340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047A KR101892487B1 (ko) 2017-11-20 2017-11-20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4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36Y1 (ko) * 2003-12-02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KR101454740B1 (ko) 2013-04-29 2014-10-27 상운 남 분기관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기
KR20150086608A (ko) * 2014-01-20 2015-07-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판매기 타입의 더치커피머신 및 그 운용방법
KR101597969B1 (ko) * 2014-10-07 2016-03-07 임혜영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70099359A (ko) * 2017-01-09 2017-08-31 박준영 착탈 가능한 블록형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36Y1 (ko) * 2003-12-02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KR101454740B1 (ko) 2013-04-29 2014-10-27 상운 남 분기관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기
KR20150086608A (ko) * 2014-01-20 2015-07-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판매기 타입의 더치커피머신 및 그 운용방법
KR101597969B1 (ko) * 2014-10-07 2016-03-07 임혜영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70099359A (ko) * 2017-01-09 2017-08-31 박준영 착탈 가능한 블록형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8533B2 (en) Cold brew system
KR101759848B1 (ko)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KR101225535B1 (ko)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KR101485771B1 (ko)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EP3087014B1 (en) Brewable beverage making cup adaptor for cartridge type coffee making machines
JPH02501474A (ja) 液体供給装置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KR101382254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20140128897A (ko) 드립 커피 제조기
KR20180037065A (ko) 캡슐로부터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 캡슐 및 음료 준비 시스템
US2375860A (en) Irrigation appliance
KR101824522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20170099359A (ko) 착탈 가능한 블록형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KR20160082301A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892487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101942286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101709102B1 (ko)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KR101972824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101832767B1 (ko) 착탈 가능한 블록형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CN111343890B (zh) 利用真空力的咖啡提取用供水装置
KR101692531B1 (ko) 더치커피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0486419Y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물 공급용기
KR20210077562A (ko) 드립커피장치
KR101464987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