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740B1 - 분기관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기 - Google Patents

분기관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740B1
KR101454740B1 KR1020130137892A KR20130137892A KR101454740B1 KR 101454740 B1 KR101454740 B1 KR 101454740B1 KR 1020130137892 A KR1020130137892 A KR 1020130137892A KR 20130137892 A KR20130137892 A KR 20130137892A KR 101454740 B1 KR101454740 B1 KR 101454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e
water
discharged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운 남
Original Assignee
상운 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운 남 filed Critical 상운 남
Priority to US14/888,05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058240A1/en
Priority to PCT/KR2014/003788 priority patent/WO2014178612A1/ko
Priority to CN201490000621.3U priority patent/CN205234284U/zh
Priority to JP2016511676A priority patent/JP2016521170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75Hot water outlets for drip coffee makers
    • A47J31/4478Spreader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드립 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물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제1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1 용기;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기 제1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커피 가루 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복수 개의 제2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 용기; 상기 커피 가루와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기 제2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며, 추출된 드립 커피가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제3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3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의 하단부에는, 미리 정한 길이만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분기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분기관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물은, 물의 표면장력과 점성에 의하여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하여 미리 정한 단위 시간당 유량으로 서서히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종의 버퍼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용기 및 제2 관통공의 미세한 직경으로 인한 표면장력과 점성에 의하여, 커피 가루 위의 넓은 영역에 비교적 작은 값의 단위 시간당 유량으로 약 3분 이내에 물을 서서히 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기관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기{Machine for drip coffee including branch pipes}
본 발명은 드립 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의 표면장력과 점성을 이용하여, 커피 가루 위의 넓은 영역에 비교적 작은 유량으로 약 3분 이내에 물을 서서히 뿌려줄 수 있는 드립 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드립 커피(Drip Coffee)란, 커피 원두를 잘게 빻은 커피 가루에 끓는 물을 부어 걸러 내는 커피를 말한다.
이러한, 드립 커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분쇄된 커피 가루(C)를 종이로 된 필터(F)에 담아 깔때기 모양의 드립 커피 제조기(D)에 올려놓고, 주전자(K)를 손으로 잡아서 물을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D)의 중앙으로부터 원을 그리며 안팎으로 양을 조절해가며 붓는다.
특히, 드립 커피의 경우에는 1차적으로 약간의 물을 먼저 커피 가루(C)에 투입하는 선행작업을 하게 되면, 커피 가루(C)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커피 성분을 미리 불려주는 상태가 되고, 이어서 2차적으로 비교적 다량의 물을 투입하게 되면 커피 가루(C)의 세포 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가 팽창하면서 진한 커피 성분을 추출되며, 추출된 커피는 커피 용기(B)로 떨어져 채워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드립 커피 제조기(D)를 사용할 경우, 추출되는 드립 커피는 커피 가루(C)에 투입되는 물의 양과 물이 투입되는 속도 및 시간 등에 그 맛이 좌우되므로,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D)에 물을 붓는 사람의 숙련도에 의하여 커피의 맛과 향이 크게 달라지게 되며, 정식 교육을 받고 오랜 경험을 쌓은 바리스타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D)에 물을 적절히 균일하게 공급하지 못하여 좋은 커피맛을 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비전문가가 좋은 커피 맛을 내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의 표면장력과 점성을 이용하여, 커피 가루 위의 넓은 영역에 비교적 작은 유량으로 약 3분 이내에 물을 서서히 뿌려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드립 커피 제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립 커피 제조기는, 커피 원두를 잘게 빻은 커피 가루에 물을 부어서 드립 커피를 제조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에 있어서,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물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제1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1 용기;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기 제1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커피 가루 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복수 개의 제2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 용기; 상기 커피 가루와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기 제2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며, 추출된 드립 커피가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제3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3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공의 직경은 1.4 내지 1.9mm이며, 상기 제2 관통공의 직경은 0.4 내지 0.9mm이며, 상기 제2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물은, 물의 표면장력과 점성에 의하여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하여 미리 정한 단위 시간당 유량으로 서서히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여기서, 상기 제1 용기는, 하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미리 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깔때기 형상으로서, 미리 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뒤집힌 원뿔 또는 원뿔대 형상이며, 상기 제1 관통공이 상기 원뿔 또는 원뿔대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용기는 160 내지 500ml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용기이며, 상기 제2 용기는 20 내지 60ml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경사각이 60도 내지 7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 위에 있지 아니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원뿔 또는 원뿔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 개의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관통공의 길이는 1 내지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용기의 하단부에는, 미리 정한 길이만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분기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분기관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기관은, 상기 제2 용기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제2 용기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기관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인 세정공과, 상기 세정공을 착탈 가능하게 폐쇄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관통공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분기관의 하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물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제1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1 용기와,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기 제1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커피 가루 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복수 개의 제2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공의 직경은 1.4 내지 1.9mm이며, 상기 제2 관통공의 직경은 0.4 내지 0.9mm이며, 상기 제2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물은, 물의 표면장력과 점성에 의하여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하여 미리 정한 단위 시간당 유량으로 서서히 배출됨으로써, 일종의 버퍼(buffer)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용기 및 제2 관통공의 미세한 직경으로 인한 표면장력과 점성에 의하여, 상기 커피 가루 위의 넓은 영역에 비교적 작은 값의 단위 시간당 유량으로 약 3분 이내에 물을 서서히 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립 커피 제조기를 이용하여 드립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립 커피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드립 커피 제조기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드립 커피 제조기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드립 커피 제조기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드립 커피 제조기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드립 커피 제조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드립 커피 제조기의 제1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드립 커피 제조기의 제2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드립 커피 제조기의 제1 용기 및 제2 용기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드립 커피 제조기의 제2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2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2 용기가 장착된 드립 커피 제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드립 커피 제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드립 커피 제조기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제조기(100)는, 커피 원두를 잘게 빻은 커피 가루(C)에 물을 부어서 드립 커피를 추출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로서, 외부 케이스와,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와, 제3 용기(30)와, 보온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로서, 상부 케이스(2)와, 하부 케이스(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2)는, 상하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형상의 원형 파이프형 케이스로서, 세로로 길게 형성된 수직선(C1)을 중심축(C1)으로 가진다.
상기 상부 케이스(2)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2)의 상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폐쇄할 수 있는 원형의 뚜껑(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3)는, 상하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형상의 원형 파이프형 케이스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2)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선(C1)을 중심축(C1)으로 가진다.
상기 하부 케이스(3)는, 상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2)의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하단부 측면에는 상기 제3 용기(30)가 출입할 수 있는 용기 수납공(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3)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3)의 하단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받침대(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3)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중심축(C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둘레의 일부에 형성된 걸림턱(5)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5)은 상기 중심축(C1)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용기(10)는, 상기 상부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된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로서, 상단부가 개구됨으로써 위로부터 부은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용기이다. 이 제1 용기(10)는, 제1 관통공(11)과, 경사부(12)와, 바닥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방향(X)인 하단부로 갈수록 내경(R)이 감소하도록 미리 정한 경사각(α)을 가지는 깔때기 형상의 원형 파이프 부분으로서, 세로로 길게 형성된 수직선(C1)을 중심축(C1)으로 가진다.
상기 경사부(12)는, 상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2)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부 케이스(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13)는, 상기 경사부(12)의 하단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원판 부분으로서, 상기 수직선(C1)을 원의 중심으로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용기(10)가 미리 정한 경사각(α)을 가지는 뒤집힌 원뿔대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 관통공(11)은, 상기 바닥부(13)의 중심(C1)에 형성된 원형 구멍으로서, 상기 제1 용기(10)에 수용된 물이 아래로 자유 낙하하여 배출되는 통로이다.
상기 경사각(α)은 60도 내지 70도의 값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용기(10)가 동일한 양의 물을 수용하고 동일한 직경의 상기 바닥부(13)와 제1 관통공(11)을 포함한다고 전제할 때, 상기 경사각(α)이 작아질수록 상기 제1 관통공(11)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단위 시간당 유량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각(α)은 63도의 값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1 관통공(11)을 통하여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q1)은, 상기 제1 관통공(11)의 직경과 상기 제1 용기(10)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비례하게 된다.
상기 제1 용기(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통공(11)의 직경(D1)이 1.4 내지 1.9mm이며, 상기 제1 관통공(11)의 길이(L1)은 1.0 내지 2.0mm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용기(10)는, 상기 제1 관통공(11)의 직경(D1)이 1.6mm이며, 160 내지 500ml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용기이다.
상기 제2 용기(20)는, 상기 제1 용기(10)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로서, 상기 외부 케이스(2,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용기(10)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관통공(1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임시로 수용되는 용기이다. 이 제2 용기(20)는, 제2 관통공(21)과, 측면부(22)와, 바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부(22)는, 상하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된 형상의 원형 파이프 부분으로서, 상기 수직선(C1)을 중심축(C1)으로 가진다.
상기 측면부(22)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용기(10)의 경사부(12)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측면부(22)의 상단부 측면에는, 상기 제2 용기(2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제2 관통공(21)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통기구(2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23)는, 상기 측면부(22)의 하단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원판 부분으로서, 상기 수직선(C1)을 원의 중심으로 가진다.
상기 제2 관통공(21)은, 상기 바닥부(23)에 형성된 복수 개의 원형 구멍으로서, 상기 제2 용기(20)에 수용된 물이 아래로 자유 낙하하여 배출되는 통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관통공(21)이 14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23)의 하면에는, 원형의 파이프 부재인 가이드 부재(231)가 복수 개 마련되어, 수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31)의 일단부는, 상기 제2 관통공(21)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31)의 타단부는, 상기 바닥부(23)의 하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31)에 의하여, 상기 제2 관통공(2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바닥부(23)의 표면을 따라 좌우로 흘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위치에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관통공(21)을 통하여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q2)은, 상기 제2 관통공(21)의 직경과 상기 제2 용기(20)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비례하게 된다.
상기 제2 용기(20)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표면장력과 점성에 의하여 상기 제2 관통공(21)을 통하여 미리 정한 단위 시간당 유량(q2)으로 서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관통공(21)의 직경(D2)이 0.4 내지 0.9mm이며, 상기 제2 관통공(21)의 길이(L2)는 1.0 내지 2.0mm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용기(20)는, 상기 관통공(21)의 직경(D2)이 0.5mm이며, 상기 제2 관통공(21)의 길이(L2)는 1.4mm이며, 20 내지 60ml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용기이다.
한편, 상기 제1 관통공(11) 및 제2 관통공(21)의 직경 및 길이는 아래의 표 1 내지 표 4의 실험 자료를 근거로 결정되었다. 여기서, 상기 제1 용기(10)의 내부로 물(W) 250ml를 붓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제2 관통공(21)의 직경(D2) = 0.4mm인 경우
용기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치수( mm )
시간( sec )
1.4 0.4 - 1.6 0.4 - 1.8 0.4 - 2.0 0.4 -
10“ 14 12 2 20 17 3 24 20 4 31 26 5
20“ 30 22 8 42 30 12 49 35 14 61 45 16
30“ 44 28 16 63 40 23 73 48 25 88 58 30
40“ 59 34 25 83 47 36 94 56 38 116 71 45
50“ 72 37 35 103 53 50 120 66 54 142 80 62
60“ 86 41 45 122 59 63 142 70 72 167 86 81
70“ 100 44 56 141 62 79 163 75 88 191 90 101
80“ 113 46 67 159 65 94 183 78 105 212 92 120
90“ 126 47 79 176 66 110 202 79 123 232 93 139
100“ 139 49 90 192 66 126 218 77 141 247 87 160
110“ 151 50 101 208 66 142 235 77 158 70 177
120“ 163 50 113 222 63 159 248 72 176 54 193
130“ 174 50 124 236 62 174 57 204 41 206
140“ 186 50 136 247 57 190 44 215 28 219
150“ 196 48 148 44 203 33 224 19 228
160“ 207 48 159 32 215 24 231 11 236
170“ 217 47 170 22 225 17 236 5 242
180“ 227 46 181 14 233 12 240
190“ 236 45 191 8 239 8
200“ 244 42 202 4 243
210“ 249 38 211
220“ 29 220
230“ 22 227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용기(20)에 수용된 물이 모두 배출되는 시간이 150초 내지 180초가 되는 경우는, 상기 제1 용기(10)의 직경(D1)이 1.8mm 또는 2.0mm의 경우이지만, 90초 지점의 상기 제2 용기(20)의 수위가 각각 79mm, 93mm로 너무 높아서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제2 관통공(21)의 직경(D2)은 0.4mm보다 클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용기(20)의 수위는 상기 제2 관통공(21)을 통과하는 물의 수압과 비례하게 된다.
제2 관통공(21)의 직경(D2) = 0.5mm인 경우
용기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치수
시간
1.4 0.6 - 1.6 0.6 - 1.8 0.6 - 2.0 0.6 -
10“ 14 9 5 20 14 6 24 16 8 31 22 9
20“ 30 14 16 42 24 18 49 25 24 61 35 26
30“ 44 18 26 63 31 32 73 32 41 88 45 43
40“ 59 20 39 83 34 49 94 34 60 116 54 62
50“ 72 21 51 103 41 62 120 39 81 142 59 83
60“ 86 21 65 122 42 80 142 41 101 167 64 103
70“ 100 22 78 141 43 98 163 42 121 191 67 124
80“ 113 22 91 159 42 117 183 42 141 213 67 146
90“ 126 22 104 176 40 136 202 41 161 232 67 165
100“ 139 22 117 192 39 153 218 36 182 247 62 185
110“ 151 21 130 208 39 169 235 34 201 43 204
120“ 163 20 143 222 36 186 248 30 218 26 221
130“ 174 18 156 236 33 203 14 234 11 236
140“ 186 18 168 247 30 217 5 243 0 247
150“ 196 16 180 16 231 0 248
160“ 207 15 192 5 242
170“ 217 13 204 0 247
180“ 227 12 215
190“ 236 11 225
200“ 244 8 236
210“ 249 4 245
220“
230“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용기(20)에 수용된 물이 모두 배출되는 시간이 150초 내지 180초가 되는 경우는, 상기 제1 용기(10)의 직경(D1)이 1.6mm 또는 1.8mm의 경우로서, 70초 지점의 상기 제2 용기(20)의 수위가 각각 43mm, 42mm로 적절한 값을 가진다.
제2 관통공(21)의 직경(D2) = 0.6mm인 경우
용기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치수
시간
1.4 0.5 - 1.6 0.5 - 1.8 0.5 - 2.0 0.5 -
10“ 14 9 5 20 13 7 24 16 8 31 22 9
20“ 30 15 15 42 21 21 49 27 22 61 37 24
30“ 44 17 27 63 26 37 73 35 38 88 46 42
40“ 59 20 39 83 29 54 94 38 56 116 50 66
50“ 72 20 54 103 31 72 120 44 76 142 57 85
60“ 86 20 66 122 32 90 142 45 97 167 59 108
70“ 100 20 80 141 33 108 163 45 118 191 59 132
80“ 113 19 94 159 33 126 183 43 140 212 56 156
90“ 126 19 107 176 33 143 202 42 160 232 55 177
100“ 139 19 120 192 31 161 218 39 179 247 46 201
110“ 151 17 134 208 29 179 235 36 199 28 219
120“ 163 17 146 222 27 195 248 31 217 12 235
130“ 174 15 159 236 25 211 16 232 0 247
140“ 186 15 171 247 22 225 7 241
150“ 196 12 184 9 238 0 247
160“ 207 12 195 0 247
170“ 217 11 206
180“ 227 10 217
190“ 236 9 227
200“ 244 8 236
210“ 249 5 244
220“ 0 249
230“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용기(20)에 수용된 물이 모두 배출되는 시간이 150초 내지 180초가 되는 경우는, 상기 제1 용기(10)의 직경(D1)이 1.6mm 또는 1.8mm의 경우로서, 70초 지점의 상기 제2 용기(20)의 수위가 각각 33mm, 45mm로 적절한 값을 가진다.
제2 관통공(21)의 직경(D2) = 0.7mm인 경우
용기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치수
시간
1.4 0.7 - 1.6 0.7 - 1.8 0.7 - 2.0 0.7 -
10“ 14 8 6 20 13 7 24 14 10 31 20 11
20“ 30 14 16 42 22 20 49 23 26 61 33 28
30“ 44 16 28 63 25 38 73 26 47 88 38 50
40“ 59 18 41 83 26 57 94 26 68 116 41 75
50“ 72 18 54 103 26 77 120 32 88 142 41 101
60“ 86 18 68 122 26 96 142 32 110 167 39 128
70“ 100 18 82 141 26 115 163 31 132 181 37 154
80“ 113 18 95 159 25 134 183 30 153 212 33 179
90“ 126 18 108 176 24 152 202 28 174 232 30 202
100“ 139 18 121 192 22 170 218 25 193 247 23 224
110“ 151 16 135 208 20 188 235 23 212 7 240
120“ 163 14 149 222 17 205 248 19 229 0 247
130“ 174 12 162 236 15 221 4 244
140“ 186 11 175 247 12 235
150“ 196 9 187 0 347
160“ 207 7 200
170“ 217 6 211
180“ 227 5 222
190“ 236 4 232
200“ 244 2 242
210“ 249 0 249
220“
230“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용기(20)에 수용된 물이 모두 배출되는 시간이 150초 내지 180초가 되는 경우는, 상기 제1 용기(10)의 직경(D1)이 1.6mm의 경우로서, 70초 지점의 상기 제2 용기(20)의 수위가 각각 26mm로 적절한 값을 가진다. 상기 제1 용기(10)의 직경(D1)이 다른 값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제2 용기(20)의 수위가 너무 크거나 작다.
제2 관통공(21)의 직경(D2) = 0.8mm인 경우
용기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치수
시간
1.4 1.6 1.8 2.0
10“ 14 7 7 20 11 9 24 13 11 31 18 13
20“ 30 11 19 42 20 22 49 22 27 61 28 33
30“ 44 12 32 63 24 39 73 28 45 88 34 54
40“ 59 12 47 83 24 59 94 30 64 116 37 79
50“ 72 12 60 103 24 79 120 31 91 142 37 105
60“ 86 12 74 122 24 98 142 31 111 167 37 131
70“ 100 12 88 141 23 118 163 29 134 181 33 148
80“ 113 10 103 159 22 137 183 27 156 212 32 183
90“ 126 10 116 176 20 156 202 26 176 232 21 211
100“ 139 9 130 192 18 174 218 24 198 247 13 234
110“ 151 7 144 208 15 193 235 20 217 0 247
120“ 163 6 157 222 12 210 248 15 233
130“ 174 6 170 236 10 226 0 248
140“ 186 4 182 247 6 241
150“ 196 2 194 0 247
160“ 207 1 206
170“ 217 217
180“ 227 227
190“ 236 236
200“ 244 244
210“ 249 249
220“
230“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용기(20)에 수용된 물이 모두 배출되는 시간이 150초 내지 180초가 되는 경우는, 상기 제1 용기(10)의 직경(D1)이 1.4mm 또는 1.6mm의 경우로서, 70초 지점의 상기 제2 용기(20)의 수위가 각각 12mm, 23mm의 값을 가진다. 상기 제1 용기(10)의 직경(D1)이 다른 값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제2 용기(20)의 수위가 너무 크다.
제2 관통공(21)의 직경(D2) = 0.9mm인 경우
용기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제1 제2 제3
치수
시간
1.4 1.6 1.8 2.0
10“ 14 4 10 20 6 14 24 8 16 31 13 18
20“ 30 4 26 42 9 33 49 12 37 61 20 41
30“ 44 4 40 63 10 53 73 14 59 88 21 67
40“ 59 4 55 83 10 73 94 14 80 116 24 92
50“ 72 4 68 103 10 93 120 14 106 142 21 121
60“ 86 2 84 122 9 113 142 14 128 167 19 148
70“ 100 1 99 141 8 133 163 13 150 181 17 174
80“ 113 112 159 7 151 183 12 171 212 14 198
90“ 126 125 176 6 169 202 8 194 232 11 221
100“ 139 138 192 6 186 218 6 212 247 6 241
110“ 151 151 208 6 202 235 3 232 249
120“ 163 163 222 3 219 248 0 248
130“ 174 174 236 2 234
140“ 186 186 247 246
150“ 196 196
160“ 207 207
170“ 217 217
180“ 227 227
190“ 236 236
200“ 244 244
210“ 249 249
220“
230“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용기(20)에 수용된 물이 모두 배출되는 시간이 150초 내지 180초가 되는 경우는 없으며, 상기 제1 용기(10)의 직경(D1)이 1.6mm의 경우에, 70초 지점의 상기 제2 용기(20)의 수위가 각각 8mm의 값을 가지며, 상기 제2 용기(20)에 수용된 물이 모두 배출되는 시간이 130초로 최대치이다. 상기 제1 용기(10)의 직경(D1)이 다른 값을 가지는 경우는 상기 제2 용기(20)에 수용된 물이 모두 배출되는 시간이 너무 짧다.
상기 제2 관통공(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통공(11)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C1) 상에 있지 아니하며, 상기 제1 용기(10)의 수직선(C1)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 개의 동심원(P)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관통공(21) 중의 일부는 최내측에 위치한 동심원(P) 상의 가상의 마름모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2 관통공(21) 중의 또 다른 일부는 중간에 위치한 동심원(P) 상의 가상의 오각형 꼭지점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2 관통공(21) 중의 나머지는 최외측에 위치한 동심원(P) 상의 가상의 역오각형 꼭지점에 각각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용기(10)의 제1 관통공(11)을 통하여 자유 낙하하는 물이, 상기 제2 용기(20)의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곧바로 상기 제2 관통공(21)을 관통하지 못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3 용기(30)는, 상기 커피 가루(C)와 상기 제2 관통공(2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기 하부 케이스(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용기(10)와 마찬가지로 상단부가 개구된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이다. 이 제3 용기(30)는, 제3 관통공(31)과, 측면부(32)와, 바닥부(33)와, 걸림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면부(32)는, 아래 방향(X)인 하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깔때기 형상의 원형 파이프 부분으로서, 상기 수직선(C1)을 중심축(C1)으로 가지며, 상기 제2 용기(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33)는, 상기 측면부(32)의 하단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된 원판 부분으로서, 상기 수직선(C1)을 원의 중심으로 가진다.
상기 제3 관통공(31)은, 상기 바닥부(33)의 중심(C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원형 구멍으로서, 상기 제3 용기(30)내에서 추출된 드립 커피(DC)가 아래로 자유 낙하하여 배출되는 통로이다.
상기 걸림부(34)는, 상기 측면부(32)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로서, 상기 중심축(C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둘레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3)에 형성된 걸림턱(5)에 의하여 받쳐서 지지된다.
상기 걸림부(34)는, 상기 중심축(C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케이스(3)에 형성된 걸림턱(5)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34)와 걸림턱(5)의 결합 구조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 사항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컨대, 상기 제3 용기(30)를 상기 중심축(C1)을 따라 상방으로 밀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부(34)와 걸림턱(5)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온 수단은, 상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및 제3 용기(30)를 보온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온 수단이 상기 뚜껑(1)과 상기 상부 케이스(2)와 상기 하부 케이스(3)와 상기 받침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드립 커피 제조기(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용기(30)에 종이로 된 필터(F)를 깔고 그 필터(F) 위에 15g의 커피 가루(C)를 넣은 후, 상기 용기 수납공(6)을 통하여 상기 제3 용기(30)의 걸림부(34)를 상기 하부 케이스(3)의 걸림턱(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3 용기(30)의 하방에 위치한 상기 받침대(4) 위에, 추출된 드립 커피(DC)가 수용될 커피 용기(B)를 위치시킨 후, 상기 뚜껑(1)을 열고 상기 제1 용기(10)의 내부로 뜨거운 물(W) 250ml를 붓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용기(10)에 수용된 물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t=T4에서 모두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T4의 값은 140초이다.
이렇게 상기 제1 용기(10)에 수용된 물(W)은 상기 제1 관통공(11)을 통하여 아래로 자유 낙하하게 되고, 상기 제2 용기(20)의 내부에 임시로 수용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통공(11)으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q1)은, 시간(t)이 경과되면서 상기 제1 용기(10) 내부의 수위가 감소됨에 따라 계속 감소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 용기(20)의 내부에 임시로 수용된 물(W)은 상기 제2 관통공(21)을 통하여 아래로 자유 낙하하게 되고, 상기 제3 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커피 가루(C) 위에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통공(11)으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q1)이 처음에는 상기 제2 관통공(21)으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q2)보다 크지만, 시간(t)이 경과하면서 상기 제1 관통공(11)으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q1)은 서서히 감소하게 되어 상기 제2 관통공(21)으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q2)과 같아진 후, 나중에는 상기 제2 관통공(21)으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q2)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관통공(21)으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시간당 유량(q2)은, t=T1까지의 초기에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시간(t)이 경과하면서 t=T1부터 t=T2까지의 중기에는 미리 정한 값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t=T2부터 t=T3까지의 후기에는 다시 서서히 감소하여 "0"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T3의 값이 160초이다.
상기 제2 관통공(2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초기(0 ≤ t ≤T1)에는 상기 제3 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커피 가루(C)를 미리 가볍게 적셔주는 뜸들이기 기능을 하게 되고, 중기(T1 ≤ t ≤T2)에는 미리 적셔진 커피 가루(C)로부터 본격적인 커피 추출을 하게 되며, 후기(T2 ≤ t ≤T3)에는 서서히 유량이 감소하면서, 대략 3분 이내의 시간 동안 약 230ml의 드립 커피(DC)의 추출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렇게, 드립 커피(DC)를 3분 정도에 추출을 마쳐야하는 이유는, 커피 추출 시간이 3분을 초과할 경우, 커피 가루(C)의 세포벽 성분 등이 녹아내림으로써, 커피 고유의 쓴맛, 신맛, 단맛 등을 느끼게 하는 유용한 성분 이외에 불쾌한 쓴맛이나 향 등을 느끼게 하는 나쁜 성분이 추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구성의 드립 커피 제조기(100)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물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제1 관통공(11)을 구비하는 제1 용기(10)와, 상기 제1 관통공(1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기 제1 용기(10)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W)이 상기 커피 가루(C) 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복수 개의 제2 관통공(21)을 구비하는 제2 용기(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공(11)의 직경(D1)은 1.4 내지 1.9mm이며, 상기 제2 관통공(21)의 직경(D2)은 0.4 내지 0.9mm이며, 상기 제2 용기(20)에 수용되어 있는 물(W)은, 물의 표면장력과 점성에 의하여 상기 제2 관통공(21)을 통하여 미리 정한 단위 시간당 유량(q2)으로 서서히 배출되므로, 일종의 버퍼(buffer)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2 용기(20) 및 상기 제2 관통공(21)의 미세한 직경(D2)으로 인한 표면장력과 점성에 의하여, 상기 커피 가루(C) 위의 넓은 영역에 비교적 작은 값의 단위 시간당 유량(q2)으로 물을 서서히 뿌려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100)는, 상기 커피 가루(C)와 상기 제2 관통공(2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기 제2 용기(20)의 하측에 배치되며, 추출된 드립 커피(DC)가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제3 관통공(31)을 구비하는 제3 용기(3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2 용기(20)로부터 자유 낙하하는 물을 직접 상기 제3 용기(30)에 수용하여 드립 커피(DC)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100)는, 상기 제1 용기(10)가, 하단부로 갈수록 내경(R)이 감소하도록, 미리 정한 경사각(α)을 가지는 깔때기 형상이므로, 상기 제1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시간(t)에 따라 미리 정한 속도로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100)는, 상기 제1 용기(10)가 상기 경사각(α)이 60도 내지 70도이므로, 상기 제1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부피와 상기 제1 관통공(11)의 직경을 고려하여 상기 경사각(α)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단위 시간당 유량(q1)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100)는, 상기 제1 용기(10)가, 미리 정한 경사각(α)을 가지는 뒤집힌 원뿔대 형상이며, 상기 제1 관통공(11)이 상기 원뿔대의 중심축(C1)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제1 관통공(11)을 통하여 급격하게 배출되지 않고 서서히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남김없이 모두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100)는, 상기 제2 관통공(21)이 상기 제1 관통공(11)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C1) 위에 있지 아니하므로, 상기 제1 관통공(11)을 통하여 자유 낙하하는 물이 곧바로 상기 제2 관통공(21)을 관통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제2 용기(20)의 내부에 좀 더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100)는, 상기 제2 관통공(21)이 상기 원뿔대의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 개의 동심원(P)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 용기(30)의 내부에 수납된 커피 가루(C) 위의 넓은 영역에 물을 골고루 뿌려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100)는, 상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및 제3 용기(30)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및 제3 용기(3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비교적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100)는, 상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와 제3 용기(30)와 상부 케이스(2) 및 하부 케이스(3)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장식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와 제3 용기(30)와 상부 케이스(2) 및 하부 케이스(3)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있으나,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용기(10)가 미리 정한 경사각(α)을 가지는 뒤집힌 원뿔대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 제1 용기(10)가 미리 정한 경사각(α)을 가지는 뒤집힌 원뿔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 수납공(6)이 개방되어 있으나, 상기 용기 수납공(6)을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와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도어가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드립 커피 제조기(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드립 커피 제조기(200)는 대부분의 구성이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100)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양자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용기(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용기(120)는,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100)의 제2 용기(20)와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2 용기(120)는, 허브(24)와, 분기관(40)을 포함한다.
상기 허브(24)는, 상기 중심축(C1)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 용기로서, 상기 바닥부(23)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22)와 연통되어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분기관(branch pipe)(40)은, 복수 개 마련되며, 미리 정한 내경(D3)을 가지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미리 정한 길이 만큼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분기관(4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22)의 중심축(C1)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22)의 중심축(C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4개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분기관(40)은, 일단부가 상기 허브(24)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허브(24)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분기관(40)의 타단부 하면에는, 미리 정한 길이(L2)를 가지는 상기 제2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관통공(21)은, 상기 허브(24)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미리 정한 거리(L3)만큼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기관(40)의 내부로 흐르는 물이 표면장력과 점성에 의하여 유속이 감소하도록, 상기 분기관(40)의 내경(D3) 및 상기 거리(L3)가 결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기관(40)의 최소내경(D3)은 1.0 내지 1.5mm이며, 상기 거리(L3)는 상기 제2 관통공(21)이 상기 측면부(22)의 외주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결정된다.
상기 분기관(40)은, 일단부에서 최대내경(D4)를 가지며,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감소하여 상기 최소내경(D3)을 가지는 테이퍼형 내부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최대내경(D4)은 3.0 내지 4.0mm이다.
상기 분기관(40)의 테이퍼형 내부 구조의 구체적 형상이 달라지면, 상기 분기관(4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압력 및 유속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분기관(40)의 타단부 측면에는, 원형의 나사 구멍인 세정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정공(41)은 상기 분기관(40)의 중공(H)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세정공(41)에는, 상기 세정공(41)을 수밀 가능하게 폐쇄하는 수나사 형상의 마개(42)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관통공(21)이 형성된 상기 분기관(40)의 하면에는, 원형의 파이프 부재인 가이드 부재(43)의 일단부가 수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43)의 일단부는, 상기 제2 관통공(21)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43)의 타단부는, 상기 분기관(40)의 하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드립 커피 제조기(200)는, 상기 제2 용기(120)의 하단부에는, 미리 정한 길이만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내경(D3)을 가지는 복수 개의 분기관(4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공(21)은 상기 분기관(40)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기관(40)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제2 관통공(21)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단위 시간당 유량(q2)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분기관(40)의 내경(D3)이나 길이 조절을 통하여 상기 유량(q2)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200)는, 상기 분기관(40)이, 상기 제2 용기(120)의 중심축(C1)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제2 용기(120)의 중심축(C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기관(4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물이 중력에 의하여 가속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제3 용기(30)의 내부에 수납된 커피 가루(C) 위의 넓은 영역에 물을 골고루 뿌려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200)는, 상기 분기관(40)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인 세정공(41)과, 상기 세정공(41)을 착탈 가능하게 폐쇄하는 마개(42)를 포함하므로, 상기 마개(42)를 분리한 후 상기 세정공(41)을 통하여 상기 분기관(40)의 내부 세정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200)는, 상기 제2 관통공(21)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분기관(40)의 하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43)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2 관통공(2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분기관(40)의 외주면을 따라 좌우로 흘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방으로만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드립 커피 제조기 1 : 뚜껑
2 : 상부 케이스 3 : 하부 케이스
4 : 받침대 5 : 걸림턱
6 : 용기 수납공 10 : 제1 용기
11 : 제1 관통공 12 : 경사부
13 : 바닥부 20, 120 : 제2 용기
21 : 제2 관통공 22 : 측면부
23 : 바닥부 24 : 허브
30 : 제3 용기 31 : 제3 관통공
32 : 측면부 33 : 바닥부
34 : 걸림부 40 : 분기관
41 : 세정공 42 : 마개
43, 231 : 가이드 부재 B : 커피 용기
C : 커피 가루 D : 종래의 드립 커피 제조기
D1 : 제1 관통공 직경 D2 : 제2 관통공 직경
D3 : 분기관 내경 L1 : 제1 관통공 길이
L2 : 제2 관통공 길이 F : 필터
K : 주전자 R : 내경
C1 : 중심축, 수직선 P : 동심원

Claims (13)

  1. 커피 원두를 잘게 빻은 커피 가루에 물을 부어서 드립 커피를 제조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에 있어서,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물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제1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1 용기;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기 제1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된 물이 상기 커피 가루 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복수 개의 제2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2 용기;
    상기 커피 가루와 상기 제2 관통공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상기 제2 용기의 하측에 배치되며, 추출된 드립 커피가 아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제3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3 용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의 하단부에는, 미리 정한 길이만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미리 정한 내경을 가지는 복수 개의 분기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분기관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물은, 물의 표면장력과 점성에 의하여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하여 미리 정한 단위 시간당 유량으로 서서히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는, 하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미리 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깔때기 형상으로서, 미리 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뒤집힌 원뿔 또는 원뿔대 형상이며, 상기 제1 관통공이 상기 원뿔 또는 원뿔대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는 160 내지 500ml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용기이며,
    상기 제2 용기는 20 내지 60ml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경사각이 60도 내지 7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 위에 있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원뿔 또는 원뿔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 개의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보온하기 위한 보온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공의 길이는 1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상기 제2 용기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제2 용기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인 세정공과, 상기 세정공을 착탈 가능하게 폐쇄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공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관형 부재로서, 상기 분기관의 하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기
KR1020130137892A 2013-04-29 2013-11-13 분기관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기 KR101454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88,056 US20160058240A1 (en) 2013-04-29 2014-04-29 Maker for drip coffee
PCT/KR2014/003788 WO2014178612A1 (ko) 2013-04-29 2014-04-29 드립 커피 제조기
CN201490000621.3U CN205234284U (zh) 2013-04-29 2014-04-29 滴漏咖啡制造机
JP2016511676A JP2016521170A (ja) 2013-04-29 2014-04-29 ドリップコーヒー製造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03 2013-04-29
KR20130047703 2013-04-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2698A Division KR101494430B1 (ko) 2013-04-29 2014-04-30 드립 커피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740B1 true KR101454740B1 (ko) 2014-10-27

Family

ID=5199876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892A KR101454740B1 (ko) 2013-04-29 2013-11-13 분기관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기
KR1020140050932A KR101632421B1 (ko) 2013-04-29 2014-04-28 드립 커피 제조기
KR20140052698A KR101494430B1 (ko) 2013-04-29 2014-04-30 드립 커피 제조기
KR1020150069441A KR101623576B1 (ko) 2013-04-29 2015-05-19 드립 커피 제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932A KR101632421B1 (ko) 2013-04-29 2014-04-28 드립 커피 제조기
KR20140052698A KR101494430B1 (ko) 2013-04-29 2014-04-30 드립 커피 제조기
KR1020150069441A KR101623576B1 (ko) 2013-04-29 2015-05-19 드립 커피 제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58240A1 (ko)
JP (1) JP2016521170A (ko)
KR (4) KR101454740B1 (ko)
CN (1) CN205234284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522B1 (ko) * 2017-01-16 2018-02-01 이지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200486683Y1 (ko) * 2017-07-10 2018-06-21 주식회사 로스팅 파크 커피 컴퍼니 커피 드립핑 기구
KR101892487B1 (ko) 2017-11-20 2018-08-31 이지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101942286B1 (ko) 2018-01-17 2019-01-25 정윤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WO2019098749A1 (ko) * 2017-11-20 2019-05-23 정윤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0520A (en) * 2014-09-24 2016-03-30 Sean Martin Moran A sprayhead for a coffee brewing machine
AU2017353771B2 (en) * 2016-11-02 2022-09-2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Flow-optimized pour over coffee brewing system
KR102027651B1 (ko) * 2017-10-18 2019-10-01 이인두 건강보조식품용 농축기
TWI689269B (zh) * 2018-01-10 2020-04-01 林永富 導流裝置及具導流裝置之沖泡器
KR20200025149A (ko) 2018-08-29 2020-03-10 박혜정 핸드드립 커피추출기구
KR102242528B1 (ko) * 2019-05-09 2021-04-30 유한책임회사 미맥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KR102283676B1 (ko) * 2019-12-17 2021-07-29 권혁창 드립커피장치
KR102575613B1 (ko) * 2021-11-18 2023-09-06 박희선 커피 드리퍼의 물 조절 장치
KR102481713B1 (ko) * 2022-06-14 2022-12-27 조종구 커피 드리퍼용 물공급포트
WO2024048957A1 (ko) * 2022-08-30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료 추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650A (ko) * 2009-06-08 2009-07-08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101152836B1 (ko) 2009-05-14 2012-06-12 김명기 드립퍼 장치
KR101288241B1 (ko) 2011-08-31 2013-07-26 김교전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1410A (en) * 1918-05-31 1920-08-31 William H Bruning Coffee-pot
US1756725A (en) * 1929-06-12 1930-04-29 Bordeaux Claude George Coffeepot
US1882247A (en) * 1931-03-23 1932-10-11 Levings Sherburne Davis Coffee urn
US3333527A (en) * 1964-12-14 1967-08-01 Vacuum Die Casting Corp Drip brew maker with delay valve
JPS5248956Y2 (ko) * 1975-08-26 1977-11-08
US4162041A (en) * 1976-02-19 1979-07-24 Yamshita & Associates Ltd. Liquid sprinkling device of composite pipe type
JPS5435367Y2 (ko) * 1976-05-22 1979-10-27
JPS57108727U (ko) * 1980-12-25 1982-07-05
JPS5854021Y2 (ja) * 1981-06-09 1983-12-08 義 高橋 コ−ヒ−抽出器
DE4130446A1 (de) * 1991-09-13 1993-03-25 Braun Ag Bruehgetraenkemaschine
JP2598819Y2 (ja) * 1993-09-10 1999-08-23 株式会社カリタ コーヒー抽出器
JPH10295544A (ja) * 1997-04-25 1998-11-10 Lucky C0Ffee Mach Kk アイスコーヒー抽出機
EP1016365B1 (de) * 1998-12-31 2003-04-09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Kaffeemaschine
US6301961B1 (en) * 1999-08-26 2001-10-16 Patrick J. Rolfes Insulated beverage carafe with volume indicator
JP2005296598A (ja) * 2004-04-15 2005-10-27 Noriko Kubo ハンドドリップ用抽出器
JP2007306973A (ja) * 2006-05-16 2007-11-29 Izumi Products Co 飲料作成器
US20070272770A1 (en) * 2006-05-26 2007-11-29 Water Pik,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 showerhead bracket with integral showerhead
KR100958453B1 (ko) * 2008-01-04 2010-05-14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GB2476227B (en) * 2009-11-12 2014-03-12 Kraft Foods R & D Inc Accessory for beverage preparation
EP2734093A1 (de) * 2011-07-21 2014-05-28 PI-Design AG Verteilerkopf für einen getränkebereiter
KR200464674Y1 (ko) * 2012-04-17 2013-01-15 윤진희 커피 추출용 워터드립장치
KR101246888B1 (ko) * 2013-01-04 2013-03-25 강정모 커피드리퍼용 물흘림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836B1 (ko) 2009-05-14 2012-06-12 김명기 드립퍼 장치
KR20090075650A (ko) * 2009-06-08 2009-07-08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KR101288241B1 (ko) 2011-08-31 2013-07-26 김교전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522B1 (ko) * 2017-01-16 2018-02-01 이지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200486683Y1 (ko) * 2017-07-10 2018-06-21 주식회사 로스팅 파크 커피 컴퍼니 커피 드립핑 기구
KR101892487B1 (ko) 2017-11-20 2018-08-31 이지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WO2019098749A1 (ko) * 2017-11-20 2019-05-23 정윤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CN111343890A (zh) * 2017-11-20 2020-06-26 郑赟津 利用真空力的咖啡提取用供水装置
CN111343890B (zh) * 2017-11-20 2021-08-13 郑赟津 利用真空力的咖啡提取用供水装置
KR101942286B1 (ko) 2018-01-17 2019-01-25 정윤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421B1 (ko) 2016-07-01
KR20150059734A (ko) 2015-06-02
KR20140128897A (ko) 2014-11-06
KR20140128882A (ko) 2014-11-06
CN205234284U (zh) 2016-05-18
US20160058240A1 (en) 2016-03-03
KR101494430B1 (ko) 2015-02-23
KR101623576B1 (ko) 2016-05-23
JP2016521170A (ja)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740B1 (ko) 분기관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기
US4498375A (en) Automatic coffee pot
US6276262B1 (en) System and method of Chinese tea brewing
EP3087014B1 (en) Brewable beverage making cup adaptor for cartridge type coffee making machines
ES2792948T3 (es) Varilla espumadora
ES2806502T3 (es) Recipiente para contener un material de base de bebida, sistema de preparación de bebidas que incluye un aparato automático de preparación de bebidas y el recipiente, un aparato automático de preparación de bebidas para utilizar en el sistema de preparación de bebidas y un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 bebidas que utiliza el sistema de preparación de bebidas
US8726948B2 (en) Drink layering potion machine
US4793246A (en) Electrically operated hot beverage maker
US1843241A (en) Device for forming infusions
US20030209152A1 (en) Hot coffee mix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KR102283676B1 (ko) 드립커피장치
KR101641909B1 (ko) 더치커피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1692531B1 (ko) 더치커피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US20210235917A1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s, apparatus and methods
US2309834A (en) Tea or coffee pot
TWI772236B (zh) 手沖導水杯及手沖裝置組合
JP2018198861A (ja) コーヒー抽出具への給湯装置
TW201641065A (zh) 透明手沖咖啡的濾泡器
US710132A (en) Coffee-maker.
AU612447B2 (en) Electrically operated hot beverage maker
MXPA05002086A (en) Manual device for filtering and preparing coffee infu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