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48957A1 - 음료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48957A1
WO2024048957A1 PCT/KR2023/009311 KR2023009311W WO2024048957A1 WO 2024048957 A1 WO2024048957 A1 WO 2024048957A1 KR 2023009311 W KR2023009311 W KR 2023009311W WO 2024048957 A1 WO2024048957 A1 WO 20240489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outlet
outlets
outlet
extra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93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근용
권명근
유소정
추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3360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30897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360,80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65471A1/en
Publication of WO20240489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489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Definitions

  • Embodiments are directed to provid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 a beverage can be extracted by supplying heated water with the beverage extraction object placed in the dripper.
  • liquid coffee can be extracted by supplying heated water to a dripper equipped with a filter with ground coffee beans in coffee powder. Coffee extracted in this way is called drip coffee, and in some cases, it may be called pourover coffee, filtered coffee, or brewed coffee.
  • a hand drip method is generally used in which a person directly adjusts the water using a drip pot.
  • the speed of pouring water, the method of pouring wat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vary depending on the person extracting the water, and even for the same person, the speed of pouring water, the method of pouring wat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may not be consistent. You can. Accordingly, the quality of extracted coffee cannot be constant.
  •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that automatically pours water into a dripper to extract a beverage, for example, coffee, may be considered.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be a device that extracts a beverage by dispensing heated water toward a dripper.
  •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 heater for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a water distribution module configured to dispense the heated water toward the dripper from a plurality of positions.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piping portion providing at least one flow path for receiving the heated water, a water outlet plate, and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provided to penetrate the water outlet plate. It may include an outlet section.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water outlet times when water begins to be dispensed from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may differ in at least one of the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and the length of the path along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moves until it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and is discharged.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ure 2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A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of Figure 3a taken along line A-A';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of Figure 3a taken along line B-B'.
  •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water out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 6, viewed from the bottom.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cut away from a portion of the water outlet of Figure 7.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vement path of water in the water outlet of Figure 9.
  •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through the water outlet of Figure 11.
  • Figure 1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distribu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3 taken along line C-C'.
  •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outlet of Figure 13.
  •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through the water outlet of Figure 16.
  • Figure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distribution module including a water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outle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water outlet plate of FIG. 19.
  • Figure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wer supply structure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of Figure 21.
  •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b, or c” refers to only a, only b, only c, both a and b, both a and c, both b and c, all a, b, c, or variations thereof. represents. “At least one”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a” or “an”. “Or” means “and/or.”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associated listed items.
  • firs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one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2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is a device that extracts a beverage by dispensing heated water toward the dripper 2.
  • it may be a device for extracting a coffee bever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ffee') by pouring heated water into an extraction object, for example, coffee powder (C), contained in the dripper 2.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includes a water tank 20 in which water is stored, a heater 11 for heating water, and water for pouring water into the dripper 2 in which coffee powder (C) can be contained. It may include a distribution module 100.
  • the dripper 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r diameter narrows toward the bottom, for example, a reverse cone shape, and a filter 4 may be disposed therein. Coffee powder (C) may be contained inside the filter (4). A server 3 that stores extracted coffee may be placed below the dripper 2.
  • the water tank 20 stores water and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he user can separate the water tank 20 and fill it with water or clea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0.
  • the heater 11 is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20 and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nd can hea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0.
  • the heater 1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20 and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when viewed from the water movement path.
  • the heater 11 can heat water to a set target temperature.
  • the operating time and operating point of the heater 1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
  • the target temperature heated by the heater 11 may vary depending on the extraction object, for example, the type of coffee powder (C), extraction time, etc.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heated water toward the dripper 2 from a plurality of positions. As water is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positions by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water is poured into the coffee powder (C) contained in the dripper (2), and coffee is extracted. The extracted coffee is stored in the server (3).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pump 12 that provides pressure to direc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0 toward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 the control unit 15 can control at least one of the water discharge speed and the water discharge time at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by controlling the pump 12.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dripper holder 31 on which the dripper 2 is mounted, and a server holder 32 on which the server 3 is mounted.
  • the dripper holder 31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move up and down.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dripper 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rver 3 or the dripper 2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ripper holder 31.
  • a container detection sensor 13 may be placed on the server stand 32 to detect whether the server 3 is mounted.
  • the control unit 15 may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pump 12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container detection sensor 13.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flow rate sensor 14 for detecting the flow rate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0.
  • the flow sensor 14 may be placed between the water tank 20 and the heater 11.
  • the arrangement of the flow sensor 14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it is positioned to detec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 FIG. 3A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of FIG. 3A taken along line A-A'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of FIG. 3A taken along line B-B'.
  • the illustration of the housing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piping unit 110 in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is omitted in FIGS. 3A and 3B.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heated water toward the dripper 2.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piping unit 110 that provides at least one flow path for receiving heated water, and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110 to be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It may include a water outlet 200.
  • the piping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water heated by the heater 11 to a plurality of areas of the water outlet unit 200.
  • the pipe unit 110 includes a first pipe 111 for supplying water to the first area of the water outlet unit 200, for example,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and a water outlet. It may include a second pipe 112 for supplying water to the second area of the unit 200, for example, the outer area 212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 the piping unit 110 may include a piping plate 113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outlet unit 200 .
  • the pipe plate 113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1131 connected to the first pipe 111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132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112.
  • the first connection part 1131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 the second connection part 1132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outer area 212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 the first pipe 111 may be arranged to supply water to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 the first pipe 11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31 of the pipe plate 113.
  •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e.g., heated water) moves toward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may be provided by the first pipe 111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31. .
  • Water mov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may be supplied to the coffee powder (C) contained in the dripper (2).
  • the first pipe 111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31 may be singular. However, the number of first pipes 111 and first connection parts 1131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lural in other examples.
  • the second pipe 112 may be arranged to supply water to the outer area 212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pes 112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ortions 1132 of the pipe plate 113.
  • the plurality of second pipes 112 may supply water to the outer area 212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32.
  • a second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moves toward the outer area 212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may be provided by the second pipe 1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32. Water mov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may be supplied to the filter (4) of the dripper (2).
  • the second flow path may be a flow path through which rinsing water for rinsing the filter 4 moves.
  • the numbe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econd pipe 1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132 in the embodiment are illustrative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second pipe 112 and the first pipe 111 may be connected by a valve 16 (see FIG. 2).
  • the valve 16 may be a 3-way valve. Heated wate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first pipe 111 or the second pipe 112 by the valve 16.
  • the valve 16 may open the second pipe 112 and block the first pipe 111 so tha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pipe 112. .
  • the valve 16 may open the first pipe 111 and block the second pipe 112 so tha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pipe 111 in the drip stage for coffee extraction.
  • the water outlet unit 200 may include a water outlet plate 210 and a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 provided to penetrate the water outlet plate 210.
  • the water outlet plate 210 may include a central area 211, an outer area 212, and a border wall 213 to separate them.
  • the border wall 213 has a ring shape and blocks water from moving between the central area 211 and the outer area 212.
  • the water outlet plate 210 may be supported on the main body 10 by the support portion 120.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 for drip provided in the central area 211 and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220 for rinsing provided in the outer area 212.
  • a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3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and its surroundings.
  • the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30 may include a central water outlet 231 disposed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disposed around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3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 the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without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 Water is supplied to the center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through the first pipe 111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131 of the pipe unit 110, and to the center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 the supplied water may be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through a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30.
  • the water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falls on the coffee powder (C) contained in the dripper (2), and coffee can be extracted.
  • a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220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outer area 212.
  • the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220 may be the same.
  • the diame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220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p water outlets 230.
  •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20 for rinsing may b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 for drip.
  • a rinsing step of rinsing the filter 4 may be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220 before placing the coffee powder C in the dripper 2.
  • Water supplied to the outer area 212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 through the second pipe 112 may be discharg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hrough a plurality of rinsing water outlets 220. Water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may fall on the filter 4, and a rinsing step may be performed in which the filter 4 is rinsed with water.
  • the rinsing step is an optional step, it may be omitted depending on user selection or settings.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is configured so that the water outlet 200 has different water outlet timings when water starts to be dispensed from a plurality of drip outlets 2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ter outlets 230'). It can be.
  •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outlet unit 2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the water outlet portion 2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viewed from the bottom.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water outlet portion 200A of Figure 7.
  • the water outlet unit 200A includes a water outlet plate 210A having a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A in the center area 211.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unit 200A.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unit 200A.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unit 200A.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be arranged in a spiral shape.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water outlet 231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unit 200A.
  •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may be an optional configuration and may be omitted.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the timing at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may vary. For example, water may be discharged first from the water outlet 230A with the largest diameter, and water may be discharged last from the water outlet 230A with the smallest diameter.
  • the water outlets 230A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 the diameters of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and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may be different.
  • the diameter of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Accordingly, the water supplied to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200A may be discharged from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before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 the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among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along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decrease in diameter along a clockwise direction.
  • water supplied to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200A may be sequentially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in a clockwise direction.
  • the description focuses on an example where the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some of the water outlets 230A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may have the same diameter.
  •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includes an inlet 2301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an outlet 2302 through which water flows out, and an outlet connecting the inlet 2301 and the outlet 2302. It may include a water outlet passage (2303).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water outlet passage 2303, the thickness of the water outlet 230A may vary. The length of the water outlet passage 2303 may be the water outlet length passing through the water outlet 230A. The thickness of the water outlet (230A) may be a thickness according to the water outlet direction.
  • the water outlets 230A may have different water outlet lengths.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may have different water outlet lengths.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in the water outlet direction so that the water outlet length varies. If the water outlet lengths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are different, the timing at which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may vary. For example, the shorter the watering length, the faster the watering time, and the longer the watering length, the slower the watering time.
  •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and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may have different water outlet lengths.
  • the thickness t1 of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t2 of each of the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Accordingly, the water supplied to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200A may be discharged from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before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 the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among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different water outlet lengths.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different water outlet lengths.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t2.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t2 along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thickness t2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increas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at is, the thickness t2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decrease along the clockwise direction.
  • water supplied to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200A may be sequentially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thickness (t2) of at least some of the water outlet ports (230A)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A)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t0)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A).
  • at least some of the water outlet ports 230A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A may have a structure that protrudes from the water outlet plate 210A.
  • the water outlet 230A may have a pillar shape protruding from the water outlet plate 210A along the water outlet direction.
  • the water outlet length of the water outlet (230A) may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230A). For example, the water outlet 230A having the largest diameter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may have the shortest water outlet length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may have the largest diameter and the shortest water outlet length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 the water outlet 230A having the smallest diameter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may have the longest water outlet length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A.
  • one of the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the smallest diameter and the longest water outlet length.
  • the water supplied to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200A begins to be discharged first from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and which of the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has the smallest diameter and the longest water outlet length. It starts to emerge last from one source.
  • the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A is illustrative, it is not limited and can of course be changed appropriately to adjust the water outlet timing.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water outlet 20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vement path of water in the water outlet 200B of FIG. 9.
  • the water outlet unit 200B may include a water outlet plate 210B having a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B in the central area 211.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B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and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unit 200B.
  • the arrangement of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unit 200B.
  •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110 may fall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200B so as not to fall directly on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110 may fall radially inside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
  • the length of the path along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110 moves to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B may be different from the water outlet unit 200B so that the water outlet timing at which water starts to be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B is different.
  • the water outlet plate 210B has a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B such that the length of the path along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110 moves toward each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is different. It may include a guide wall 215 that guides the movement path of water mov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 the guide wall 215 may protrude from the water outlet plate 210B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water outlet direction.
  • the guide wall 215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B.
  • the guide wall 215 may exten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B 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 the planar shape of the guide wall 215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path moving toward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 the guide wall 215 may provide a detour path to prevent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110 from moving directly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
  • the length of the bypass path for the plurality of peripheral outlets 232 provided by the guide wall 215 may be different.
  • the guide wall 215 provides a first bypass path BP1 to the first peripheral water outlet 2321 and a second bypass path BP2 to the second peripheral water outlet 2322;
  • a third bypass path (BP3) is provided for the third peripheral water outlet (2323)
  • a fourth bypass path (BP4) is provided for the fourth peripheral water outlet (2324)
  • a third bypass path (BP4) is provided for the fifth peripheral water outlet (2325).
  • first bypass routes BP5 may be provided, and a sixth bypass route (BP6) for the sixth peripheral water outlet (2326) may be provided.
  •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detour paths may increase or decrease sequentially.
  • the first bypass path BP1 may have the shortest length
  • the sixth bypass path BP6 may have the longest length.
  • the first peripheral water outlet (2321), the second peripheral water outlet (2322), the third peripheral water outlet (2323), the fourth peripheral water outlet (2324), the fifth peripheral water outlet (2325), and the sixth peripheral water outlet (2326). Water may begin to flow out in order.
  • the order of the water outlet timing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guide wall 215.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B may include at least one central water outlet 231 disposed at the center.
  • the water outlet plate 210B has a length of the path along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110 moves towards the central outlet 231, and the length of the path along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110 moves towards the peripheral outlet 232 is It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Accordingly, water may begin to flow out of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and then water may sequentially begin to flow out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water outlet portion 200C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outlet portion 200C of FIG. 11.
  • the water outlet unit 200C may include a water outlet plate 210C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C in the central area 211.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C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and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C may include at least one central water outlet 231 disposed at the center.
  • the water outlets 230C may have different protrusion heights (h) that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water outlet direction.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C may have different protrusion heights (h) that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water outlet direction.
  •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may be different from the protrusion height h of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at least some of the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different protrusion heights (h).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different protrusion heights (h).
  • the protrusion height (h) is expressed as a positive (+) number when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C,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is the water outlet plate. If it coincid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area 211 of (210C), it is expressed as 0, and if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is concav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C, it is expressed as a negative (-) number. You can.
  • the timing at which water flows into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C may vary. Accordingly, the water outlet timing when water begins to be dispensed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C may vary.
  • water (w) may flow in from the water outlet (230C) with the lowest protrusion height (h)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C), and water (w) may begin to flow out from the corresponding water outlet (230C).
  • the water level (wh) of the water (w) filled in the central area 211 of the outlet unit 200C may rise. there is.
  • the protrusion height (h) of the central water outlet 231 is the lowest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C
  • the central water outlet Water (w) flows into (231) and water (w) begins to flow out.
  • water (w) does not flow in from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so water (w) is not discharged.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have different protrusion heights (h).
  • the protrusion height (h)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increas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protrusion height (h)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increas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is case, as water w is supplied to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200C and the water level wh of the water w rises, water may begin to flow out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water level in the central area 211 of the water outlet 200C gradually decreases.
  • water discharge stops from the outlet (230C) with the highest protrusion height (h) and the outlet (230C) with the lowest protrusion height (h) is the last to discharge water. It is stopped.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whose protrusion height (h) increas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may stop discharging water in a clockwise direction.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 does not have a separately programmed drive motor, due to this structural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consistently implement the water pouring method (for example, the method of discharging water in a spiral manner) used by experts in the hand drip method. You can.
  • the water pouring method for example, the method of discharging water in a spiral manner
  • the protrusion height h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C may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water outlet lengths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C.
  • the protrusion height (h)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C may be determined to be lower as the water outlet length is shorter.
  • the protrusion height (h)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C) can be determined to be higher as the water outlet length is longer.
  • the water outlet 230C with the shortest water outlet length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230C may have the lowest protrusion height h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230C.
  • the water outlet 230C with a long water outlet length may have the highest protrusion height h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C.
  • FIG. 1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A of FIG. 13 taken along line C-C'
  •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outlet 200D of FIG. 13, and
  •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outlet 200D of FIG. 16.
  • Figure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A) including a water outlet (200D)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100A includes a water outlet portion 200D and a piping portion 110A.
  • the water outlet unit 200D may include a water outlet plate 210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D, and a blade 240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D. Blade 230 may be rotatable.
  • the piping unit 110A may be provided with a spray hole 1134 for spraying water toward the blade 240. Water may be sprayed toward the blade 240 through the spray hole 1134.
  • the piping unit 110A may provide a space 1133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blade 240 can rotate.
  • the blade 240 includes a wing portion 241 configured to rotate by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ing portion 110A, and a body portion fixed to the wing portion 241 and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hen the wing portion 241 rotates ( 242) may be included.
  • the piping unit 110A may spray wat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wing unit 241.
  • the injection hole 1134 may be disposed on the side wall defining the space 1133 in which the wing portion 241 can rotate. Accordingly, water may be sprayed from the spray hole 1134 toward the wing portion 241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 the inclined surface 2410 of the wing 241 may be perpendicular or inclined to the water spray direction.
  • the number of wing portions 241 may be plural.
  • the shape and number of wings 241 are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changed considering the rotational speed required for the blade 240. For example, in order to speed up the rotation speed of the wings 241, the number of wings 241 may be increased. For example, in order to slow the rotation speed of the wings 241, the number of wings 241 may be reduced 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2410 may be reduced.
  • the body portion 242 may include a shaft 243 that supports the wing portion 241.
  • the shaft 243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42.
  • the body portion 242 provides a temporary storage space 2420 where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ing portion 110A can be temporarily stored before being delivered to the water outlet plate 210D.
  • the body portion 242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244 discharging toward some of the water outlets 230D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Water temporarily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space 2420 of the body 242 may be delivered to the water outlet plate 210D through the outlet 244.
  • the wing portion 241 is rotated by water sprayed through the spray hole 1134 of the pipe portion 110A.
  • the body portion 242 fixed to the wing portion 241 by the shaft 243 rotates together. Since the water outlet plate 210D does not rotate when the body 242 rotates, the outlet 244 of the body 242 changes it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water outlet plate 210D.
  • the position where the outlet 244 overlaps with the water outlet plate 210D changes.
  •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44 can be supplied to another location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D.
  •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44 may be sequentially supplied to a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lade 240.
  •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may begin to discharge water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water discharge plate 210D may include a rotation support shaft 217 that rotatably supports the blade 240.
  • the rotation support shaft 217 may be coaxially disposed on the shaft 243 of the blade 240.
  • the shaft 243 of the blade 240 may be rotatably assembled to the rotation support shaft 217.
  • the rotation support shaft 217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of the shaft 243.
  • a plurality of central water outlet ports 231A may be disposed around the rotation support shaft 217 in the water outlet plate 210D.
  • the water outlet plate 210D may have a partition 216 provided to separate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 the partition wall 216 may be arranged to surround each of the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Accordingly, part of the water discharged around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through the outlet 244 of the blade 240 is not moved to the other peripheral water outlet 232 by the partition wall 216, and is not moved to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It can be released through .
  • the partition wall 2161 arranged to surround the peripheral water outlet 232 may be spaced apart from another partition wall 2162 arranged to surround another adjacent peripheral water outlet 232.
  • a channel 218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2161 and the other partition wall 2162. Channel 218 may extend toward the central outlet 231A. Accordingly, as the blade 240 rotates, another part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44 is discharged into the channel 218, and another part of the water discharged into the channel 218 moves along the channel 218.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central water outlet (231A). While some of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other part of the water may be discharged from the central water outlet 231A.
  • the blade 24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water outlet plate 210D by the water supplied by the piping unit 110A, and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44 of the rotating blade 240 accordingly is It is delivered to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D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D at different times. Accordingly, the water extraction time at which water starts to emerge from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D varies.
  • the water outlet plate 210D has been described with a focus on an example in which the partition walls 216 surroun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channel 218.
  • the water outlet plate 210D and the blade The shape of (240) is not limited to this.
  • the water outlet plate 210D1 may have a structure surrounded by a partition wall 216A without a channel 218 between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232 .
  • the central water outlet 231A may be omitted.
  • the water outlet unit 200D designs the length of the path along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110A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until the water is discharged, thereby creating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 the time at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230D) can be varied.
  • the water outlet unit 200D has a water outlet length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a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and a path to move to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so that the water outlet timing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is different.
  • At least one of the length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may be designed to be different.
  • one of the water outlet length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the length of the path moving to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can be different.
  • only the water outlet length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may be different.
  • only the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may be different.
  • only the length of the path leading to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may be different.
  • only the protruding heights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may be different.
  • two of the water outlet length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the length of the path moving to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are different. You can. As another example, three of the water outlet length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the length of the path moving to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are can be different.
  • four of the water outlet length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the length of the path moving to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and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D are can be different.
  • water may fall on the coffee powder (C) contained in the dripper (2)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at different times.
  • Figure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outlet plate 210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9.
  • the water outlet plate 210E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230E disposed in the center area 211.
  •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E may be determined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dripper 2A.
  • the dripper 2A may have a plurality of drain holes 5 spaced apart along a straight line.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E of the water outlet plate 210E include a plurality of main water outlets 233 spaced apart along an imaginary straight line crossing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unit 200 (specifically, the water outlet plate 211),
  • the water outlet 200 may have an auxiliary water outlet 234 disposed at the same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200 (specifically, the water outlet plate 211).
  • the diameter of the main water outlet 233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auxiliary water outlet 234. Accordingly, th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main water outlet 233 may be greater than th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water outlet 234.
  • th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110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230. At least one of the lengths of the paths to be moved may be different. Through various structural arrangements of the water outlet unit 20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ing and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dripper 2A without a separate drive motor.
  • Figure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ure 2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wer supply structure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of Figure 21.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be supplied with power by the power station 1000.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be supplied with power wirelessly by the power station 1000.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receive power wirelessly from the power station 1000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not include a power line connected to an outlet.
  • power supply to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wireless method, and as another example,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a power line.
  • the power station 1000 may be a device that wirelessly transmits power to an object located on the top plate, for example,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 Power station 1000 may be a heating device.
  • the power station 1000 may be expressed as an induction range or an electric range.
  • the power station 1000 may include a transmission coil 1001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002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oil 1001.
  •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may mean transmitting power using the receiving coil 302 in a magnetic induction manner.
  • the power station 1000 can cause a magnetic field to be induced in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by flowing current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1001 to form a magnetic field.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include a pickup coil 301, a receiving coil 302, and a printed circuit board 303 for receiving power wirelessly.
  • a communication interface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15 (see FIG. 2)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3.
  • the pickup coil 301 may receive initial power from the power station 1000.
  • the initial power received may be transfer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03.
  • the initial power deliv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03 may activat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control unit 15.
  • the control unit 15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eg,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NFC communication unit, BLE communication unit, etc.), a mobile communication unit, etc.
  • the initial power is power for driving th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ay be, for example, 100 W (watt) to 300 W.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nd the power station 1000 may be paired.
  • the receiving coil 302 may receive power from the transmitting coil 1001 of the power station 1000.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can be operated using the received power.
  • the power received to operate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be greater than the initial power.
  • the received power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power greater than 800 W.
  • the heater 11 and pump 12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may operate.
  • the beverage extracting device 1 is described focusing on an example in which it is used to extract coffee, but the us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coffee.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used to extract a beverage other than coffee, for example, tea, etc., in a manner similar to extracting coffee.
  • connections or connection members of line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ctual devices,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or physical connections may be replaced or added. Can be represented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Additionally,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comprising,” etc. used herein are used to be understood as terms of the open end of the technology.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be a device that extracts a beverage by dispensing heated water toward a dripper.
  •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 heater for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a water distribution module configured to dispense the heated water toward the dripper from a plurality of positions.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piping portion providing at least one flow path for receiving the heated water, a water outlet plate, and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provided to penetrate the water outlet plate. It may include an outlet section.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water outlet times when water begins to be dispensed from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 the water outlet unit has a water outlet length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a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a length of a path moving to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and a protruding height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so that the water outlet timing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is different. At least one of them may be different.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in the water outlet direction so that the water outlet length varies.
  • the thickness of at least some of the water outlet ports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ater outlet plate.
  •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 At least some of the water outlets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may have different protrusion heights that protrude from the reference surfa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water outlet direction.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include a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and the water outlet plate has a length of a path along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moves toward each of the plurality of peripheral water outlets.
  •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wall that guides the movement path of water mov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area of the water outlet plate.
  • the water outlet further includes a blad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outlet plate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wherein the blade includes a wing part configured to rotate by water supplied through the air piping unit, and a blade fixed to the wing part to form a rotatable blade. It rotates together when rotating and may include a body portion 242 provided with an outlet that discharges water toward some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 the water outlet plate may have a partition wall provided to separate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 the piping unit includes a first pipe for supplying water to a central area of the water outlet plate, and a plurality of second pipes for supplying water to an outer area of the water outlet plate, and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are located at the center.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for drip provided in the area and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for rinsing provided in the outer area.
  •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may be a device that extracts a beverage by dispensing heated water toward a dripper.
  •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 heater for heat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a water distribution module configured to dispense the heated water toward the dripper from a plurality of positions.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of the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piping portion providing at least one flow path for receiving the heated water, a water outlet plate, and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provided to penetrate the water outlet plate. It may include an outlet section.
  • the water distribution module may differ in at least one of the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and the length of the path along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iping unit moves until it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and is discharged.
  •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include a plurality of main water outlets spaced apart along an imaginary straight line crossing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water outlets arranged at the same radial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water outlet.
  • the diameter of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auxiliary water outlet.
  • the water outlet unit has a water outlet length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a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a length of a path moving to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and a protruding height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so that the water outlet timing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openings is different. At least one of them may be different.
  • the water outlet further includes a blad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outlet plate and configured to rotate, wherein the blade includes a wing part configured to rotate by water supplied through the piping part, and a blade fixed to the wing part so as to rotate the blade. It rotates when the unit rotates, and may include a body portion provided with an outlet that discharges water toward some of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ports.
  • the piping unit includes a first pipe for supplying water to a central area of the water outlet plate, and a plurality of second pipes for supplying water to an outer area of the water outlet plate, and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s are located at the center.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for drip provided in the area and a plurality of water outlets for rinsing provided in the outer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물 탱크; 히터; 및 드립퍼를 향해 상기 가열된 물을 복수의 위치에서 출수하도록 구성된 물 분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출수 플레이트와, 상기 출수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출수구를 포함하는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복수의 출수구에서 물이 출수되기 시작하는 출수 시기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추출 장치
실시예들은 음료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드립퍼에 음료 추출 대상물을 넣은 상태에서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가 구비된 드립퍼에 커피 빈(bean)을 분쇄한 커피 가루를 넣은 상태에서 가열된 물을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액상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커피는 드립 커피(drip coffee)라 불리며, 경우에 따라 푸어오버(pourover coffee) 커피, 필터 커피(filtered coffee) 또는 브루드 커피(Brewed coffee)라 불릴 수 있다.
이러한 드립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 드립 포트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물을 조절하는 핸드 드립 방식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핸드 드립 방식은 추출하는 사람에 따라 물을 붓는 속도, 물을 붓는 방식, 물의 온도 등 이 달라지며, 동일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물을 붓는 속도, 물을 붓는 방식, 물의 온도 등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추출된 커피의 품질이 일정할 수 없다.
이러한 핸드 드립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드립퍼에 자동으로 물을 부어 음료, 예를 들어 커피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 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드립퍼를 향해 가열된 물을 출수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드립퍼를 향해 상기 가열된 물을 복수의 위치에서 출수하도록 구성된 물 분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가열된 물을 공급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부와, 출수 플레이트와, 상기 출수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출수구를 포함하는 출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복수의 출수구에서 물이 출수되기 시작하는 출수 시기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직경, 상기 배관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복수의 출수구를 지나 출수될 때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의 물 분배 모듈을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a의 물 분배 모듈을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의 일 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출수부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은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의 출수부에서 물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출수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을 C-C’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출수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출수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를 포함한 물 분배 모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출수 플레이트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출수 플레이트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음료 추출 장치의 전력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만, b만, c만, a와 b 모두, a와 c 모두, b와 c 모두, a, b, c 모두 또는 그 변형을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an"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는"은 "및/또는"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드립퍼(2)를 향해 가열된 물을 출수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드립퍼(2)에 담겨진 추출 대상물, 예를 들어, 커피 가루(C)에 가열된 물을 부어 커피 음료(이하, '커피'라 한다)를 추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한 예로서, 음료 추출 장치(1)은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20), 물을 가열하는 히터(11) 및 커피 가루(C)가 담길 수 있는 드립퍼(2)에 물을 붓기 위한 물 분배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립퍼(2)는 하부로 갈수록 폭 또는 직경이 좁아지는 구조, 예를 들어, 역방향 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필터(4)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4)의 내부에는 커피 가루(C)가 담길 수 있다. 드립퍼(2)의 하부에는 추출된 커피를 저장하는 서버(3)가 배치될 수 있다.
물 탱크(20)는 물을 저장하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물 탱크(20)를 분리하여, 물을 채우거나 물 탱크(2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히터(11)는 물 탱크(20)와 물 분배 모듈(100) 사이에 배치되며, 물 탱크(20)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1)는 물의 이동 경로에서 볼 때 물 탱크(20)와 물 분배 모듈(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11)는 물을 설정된 목표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히터(11)는 제어부(15)에 의해 작동 시간 및 작동 시점이 제어될 수 있다. 히터(11)에 의해 가열되는 목표 온도는 추출 대상물, 예를 들어 커피 가루(C)의 종류, 추출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물 분배 모듈(100)은 드립퍼(2)를 향해 가열된 물을 복수의 위치에서 출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 분배 모듈(100)에 의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이 출수됨에 따라, 드립퍼(2)에 담겨진 커피 가루(C)에 물이 부어져, 커피가 추출된다. 추출된 커피는 서버(3)에 저장된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물 탱크(20)에 저장된 물이 물 분배 모듈(100)을 향하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펌프(12)를 제어함으로써, 물 분배 모듈(100)에서 물이 출수되는 출수 속도 및 출수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드립퍼(2)가 거치되는 드립퍼 거치대(31)와, 서버(3)가 거치되는 서버 거치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립퍼 거치대(31)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드립퍼 거치대(3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서버(3) 또는 드립퍼(2)의 크기에 따라 드립퍼(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서버 거치대(32)에는 서버(3)가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용기 감지 센서(13)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용기 감지 센서(1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펌프(12)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물 탱크(20)에서 공급된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 센서(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량 센서(14)는 물 탱크(20)와 히터(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유량 센서(14)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공급되는 물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라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a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의 물 분배 모듈(100)을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a의 물 분배 모듈(100)을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a 및 도 3b에서는, 물 분배 모듈(100)에서 배관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하우징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은 드립퍼(2)를 향해 가열된 물을 출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분배 모듈(100)은, 가열된 물을 공급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부(110)와, 배관부(110)로부터 공급된 물이 복수의 위치에서 출수되도록 구성된 출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부(110)는 히터(11)에 의해 가열된 물이 출수부(200)의 복수의 영역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부(110)는 출수부(200)의 제1 영역, 예를 들어,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 영역(21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111)과, 출수부(200)의 제2 영역, 예를 들어, 출수 플레이트(210)의 외곽 영역(21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배관(112)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부(110)는 출수부(200)의 상부에 배치된 배관 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 플레이트(113)는 제1 배관(111)에 연결된 제1 연결부(1131)와, 제2 배관(112)에 연결된 제2 연결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131)는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 영역(211)에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제2 연결부(1132)는 출수 플레이트(210)의 외곽 영역(212)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13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1 배관(111)은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 영역(211)에 물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관(111)은 배관 플레이트(113)의 제1 연결부(11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관(111) 및 제1 연결부(1131)에 의해,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 영역(211)을 향해 물(예를 들어, 가열된 물)이 이동하는 제1 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유로를 통해 이동한 물은 드립퍼(2)에 담긴 커피 가루(C)에 공급될 수 있다. 제1 배관(111) 및 제1 연결부(1131)는 단수 개일 수 있다. 다만, 제1 배관(111) 및 제1 연결부(113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른 예에서는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제2 배관(112)은 출수 플레이트(210)의 외곽 영역(212)에 물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관(112)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의 제2 배관(112) 각각은 배관 플레이트(113)의 복수의 제2 연결부(1132)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배관(112)은 제2 연결부(1132)를 통해, 출수 플레이트(210)의 외곽 영역(212)에 일정한 간격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배관(112) 및 제2 연결부(1132)에 의해, 출수 플레이트(210)의 외곽 영역(212)을 향해 물이 이동하는 제2 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유로를 통해 이동한 물은 드립퍼(2)의 필터(4)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유로는 필터(4)를 헹구기 위한 린싱용 물이 이동하는 유로일 수 있다. 실시예의 제2 배관(112) 및 제2 연결부(1132)의 개수 및 연결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2 배관(112) 및 제1 배관(111)은 밸브(16)(도 2 참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밸브(16)는 3 방향 밸브(3 WAY VALVE)일 수 있다. 밸브(16)에 의해, 가열된 물이 제1 배관(111) 또는 제2 배관(112)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16)는 필터(4)를 적시기 위한 린싱 단계에서는 제2 배관(112)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제2 배관(112)을 개방하고 제1 배관(111)을 차단할 수 있다. 밸브(16)는 커피 추출을 위한 드립 단계에서는 제1 배관(111)을 통해 물이 공급되도록 제1 배관(111)을 개방하고 제2 배관(112)을 차단할 수 있다.
출수부(200)는 출수 플레이트(210)와, 출수 플레이트(210)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출수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 플레이트(210)는 중심 영역(211), 외곽 영역(212) 및 이들을 구분하기 위한 테두리 벽(213)을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 벽(213)은 링 형상을 가지며, 중심 영역(211)과 외곽 영역(212) 간에 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출수 플레이트(210)는 지지부(120)에 의해 본체(10)에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는 중심 영역(211)에 마련된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30)와, 외곽 영역(212)에 마련된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30)는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 및 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30)는 중심에 배치된 중심 출수구(231)와, 중심 출수구(231)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3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30)는 중심 출수구(231) 없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배관부(110)의 제1 배관(111), 제1 연결부(1131)를 통해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 영역(211)으로 물이 공급되며, 출수 플레이트(210)의 중심 영역(211)으로 공급된 물은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30)를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위치에서 배출된 물은 드립퍼(2)에 담겨 있는 커피 가루(C)로 떨어져,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20)는 외곽 영역(212)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20)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20) 각각의 직경은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30) 각각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20)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30)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20)를 이용하여, 드립퍼(2)에 커피 가루(C)를 담기 전에 필터(4)를 헹구는 린싱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제2 배관(112)을 통해 출수 플레이트(210)의 외곽 영역(212)에 공급된 물은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20)를 통해 복수의 위치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위치에서 배출된 물이 필터(4)로 떨어져, 물에 의해 필터(4)가 헹궈지는 린싱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다만, 린싱 단계는 선택적인 단계이므로, 사용자 선택 또는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은 출수부(200)가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30)(이하, '출수구(230)'라 한다)에서 물이 출수되기 시작하는 출수 시기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200A)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200A)의 일 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출수부(200A)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200A)에서는, 중심 영역(211)에 복수의 출수구(230A)가 마련된 출수 플레이트(210A)를 포함한다.
복수의 출수구(230A)는 출수부(200A)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출수부(200A)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출수부(200A)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드렁,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나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A)는 출수부(200A)의 중심에 배치된 중심 출수구(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중심 출수구(231)는 선택적인 구성일 수 있으며, 생략될 수도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A)는 직경이 다를 수 있다. 직경 차이로 인해, 복수의 출수구(230A)에서 물이 출수되는 출수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가장 큰 출수구(230A)에서 가장 먼저 물이 출수되며, 직경이 가장 작은 출수구(230A)에서 가장 늦게 물이 출수될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A) 중 적어도 일부 출수구(230A)의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출수구(231)와 주변 출수구(232)의 직경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출수구(231)의 직경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 각각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출수부(200A)의 중심 영역(211)에 공급된 물은 주변 출수구(232)보다 중심 출수구(231)에서 먼저 출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들 중 적어도 일부 주변 출수구(232)는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들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직경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들은 시계 방향을 따라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수부(200A)의 중심 영역(211)에 공급된 물은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에서 시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출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출수구(230A)의 직경이 서로 다른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의 출수구(230A) 중 일부 출수구(230A)는 직경이 동일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출수구(230A) 각각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301)와,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302), 이러한 유입구(2301)와 배출구(2302)를 연결하는 출수 통로(2303)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 통로(2303)의 길이에 따라, 출수구(230A)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출수 통로(2303)의 길이는 출수구(230A)를 통과하는 출수 길이일 수 있다. 출수구(230A)의 두께는 물의 출수 방향에 따른 두께일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A) 중 적어도 일부 출수구(230A)은 출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수구(230A)는 출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A)는 출수 길이가 달라지도록 물의 출수 방향에 따른 두께가 다를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A)의 출수 길이가 다를 경우, 복수의 출수구(230A)를 관통하여 물이 출수되는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수 길이가 짧을수록 출수 시기는 빨라지며, 출수 길이가 길어질수록 출수 시기는 느려진다.
예를 들어, 중심 출수구(231)와 주변 출수구(232)는 출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출수구(231)의 두께(t1)가 주변 출수구(232) 각각의 두께(t2)보다 작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출수부(200A)의 중심 영역(211)에 공급된 물은 주변 출수구(232)보다 중심 출수구(231)에서 먼저 출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 중 적어도 일부 주변 출수구(232)는 출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출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들은 서로 두께(t2)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들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두께(t2)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들은 반시계 방향을 따라 두께(t2)가 증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들은 시계 방향을 따라 두께(t2)가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수부(200A)의 중심 영역(211)에 공급된 물은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에서 반시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출수될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A) 중 적어도 일부 출수구(230A)의 두께(t2)는, 출수 플레이트(210A)의 두께(t0)보다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수구(230A) 중 적어도 일부의 출수구(230A)는 출수 플레이트(210A)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수구(230A)는 출수 플레이트(210A)로부터 출수 방향을 따라 돌출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출수구(230A)의 출수 길이는 출수구(230A)의 직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수구(230A) 중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출수구(230A)는 복수의 출수구(230A) 중 가장 짧은 출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출수구(231)는 복수의 출수구(230A) 중 가장 큰 직경을 가지며, 가장 짧은 출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수구(230A) 중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는 출수구(230A)는 복수의 출수구(230A) 중 가장 긴 출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출수구(232) 중 어느 하나는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며 가장 긴 출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출수부(200A)의 중심 영역(211)에 공급된 물은 중심 출수구(231)에서 가장 먼저 출수되기 시작하며,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며 가장 긴 출수 길이를 가지는 주변 출수구(232) 중 어느 하나에서 가장 나중에 출수되기 시작한다. 다만, 복수의 출수구(230A)의 구조는 예시적이므로, 이제 한정되지 아니하며, 출수 시기를 조절하기 위해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은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200B)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는 도 9의 출수부(200B)에서 물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200B)는, 중심 영역(211)에 복수의 출수구(230B)가 마련된 출수 플레이트(21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B)는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출수부(200B)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할 수 있다. 다만, 주변 출수구(232)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출수부(200B)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다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관부(110; 도 4 참조)에서 공급된 물은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출수부(200B)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반경 내에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부(110)에서 공급된 물은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보다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떨어질 수 있다.
출수부(200B)는 복수의 출수구(230B)에서 물이 출수되기 시작하는 출수 시기가 다르도록, 배관부(110)에서 공급된 물이 복수의 출수구(230B)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수 플레이트(210B)는 배관부(110)에서 공급된 물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 각각을 향해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가 다르도록, 출수 플레이트(210B)의 중심 영역(211)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21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벽(215)은 출수 플레이트(210B)로부터 출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벽(215)은 출수 플레이트(210B)의 중심 영역(2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벽(215)은 출수 플레이트(210B)의 반경 방향 및 반경 방향과 수직인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벽(215)의 평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주변 출수구(232)를 향해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벽(215)은 배관부(110)에서 공급된 물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 각각으로 바로 이동하지 않도록 우회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벽(215)에 의해 제공된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에 대한 우회 경로의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벽(215)은 제1 주변 출수구(2321)에 대한 제1 우회 경로(BP1)를 제공하며, 제2 주변 출수구(2322)에 대한 제2 우회 경로(BP2)를 제공하며, 제3 주변 출수구(2323)에 대한 제3 우회 경로(BP3)를 제공하며, 제4 주변 출수구(2324)에 대한 제4 우회 경로(BP4)를 제공하며, 제5 주변 출수구(2325)에 대한 제5 우회 경로(BP5)를 제공하며, 제6 주변 출수구(2326)에 대한 제6 우회 경로(BP6)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우회 경로의 길이는 순차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우회 경로(BP1)의 길이가 가장 짧으며, 제6 우회 경로(BP6)의 길이가 가장 길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주변 출수구(2321), 제2 주변 출수구(2322), 제3 주변 출수구(2323), 제4 주변 출수구(2324), 제5 주변 출수구(2325), 제6 주변 출수구(2326) 순서로 물이 출수되기 시작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의 출수 시기의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가이드 벽(215)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B)는 중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심 출수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 플레이트(210B)는 배관부(110)에서 공급된 물이 중심 출수구(231)를 향해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가 배관부(110)에서 공급된 물이 주변 출수구(232)를 향해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중심 출수구(231)에서 물이 출수되기 시작하며, 이후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에서 순차적으로 물이 출수되기 시작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200C)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출수부(200C)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200C)는 중심 영역(211)에 복수의 출수구(230C)를 마련된 출수 플레이트(210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C)는 중심으로부터 이격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C)는 중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심 출수구(23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C) 중 적어도 일부의 출수구(230C)는 물의 출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높이(h)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C)는 물의 출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높이(h)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 출수구(231)의 돌출 높이는 주변 출수구(232)의 돌출 높이(h)와 다를 수 있다.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 중 적어도 일부 주변 출수구(232)는 돌출 높이(h)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돌출 높이(h)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돌출 높이(h)는 주변 출수구(232)가 출수 플레이트(210C)의 중심 영역(2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경우는 양(+)수로 표현되며, 주변 출수구(232)의 상면이 출수 플레이트(210C)의 중심 영역(211)의 상면과 일치한 경우 0으로 표현되며, 주변 출수구(232)가 출수 플레이트(210C)의 중심 영역(211)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한 경우는 음(-)수로 표현될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C)의 돌출 높이(h)가 다를 경우, 복수의 출수구(230C)로 물이 유입되는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출수구(230C)를 통해 물이 출수되기 시작하는 출수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출수부(200C)의 중심 영역(211)에 물(w)이 공급됨에 따라, 물(w)의 수위(wh)가 올라갈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출수구(230C) 중 돌출 높이(h)가 가장 낮은 출수구(230C)부터 물(w)이 유입되어, 해당 출수구(230C)에서 물(w)이 출수되기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수부(200C)의 중심 영역(211)에 물(w)이 공급됨에 따라, 출수부(200C)의 중심 영역(211)에 채워진 물(w)의 수위(wh)가 올라갈 수 있다. 중심 출수구(231)의 돌출 높이(h)가 복수의 출수구(230C) 중 가장 낮은 구조에서 물(w)의 수위(wh)가 중심 출수구(231)의 돌출 높이(h)보다 높아질 경우, 중심 출수구(231)로 물(w)이 유입되어 물(w)이 출수되기 시작한다. 이 때,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에서는 물(w)이 유입되지 않아 물(w)이 출수되지 않는다. 이후, 물(wh)의 수위(w)가 일부 주변 출수구(2323)의 돌출 높이(h)보다 올라갈 경우, 일부 주변 출수구(2323)로 물(w)이 유입되어 출수되기 시작한다. 이후, 물(w)의 수위(wh)가 다른 주변 출수구(2326)의 돌출 높이(h)보다 올라갈 경우, 다른 주변 출수구(2326)로 물(w)이 유입되어 출수되기 시작한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돌출 높이(h)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h)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h)가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출수부(200C)의 중심 영역(211)에 물(w)이 공급되어 물(w)의 수위(wh)가 올라감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물이 출수되기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물(w)의 공급이 중단될 경우, 출수부(200C)의 중심 영역(211)의 수위가 점차 내려가게 된다. 물(w)의 수위(wh)가 내려감에 따라, 돌출 높이(h)가 가장 높은 출수구(230C)부터 출수가 중단되며, 돌출 높이(h)가 가장 낮은 출수구(230C)가 가장 마지막에 출수가 중단된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출 높이(h)가 증가하는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시계 방향으로 출수가 중단될 수 있다. 물 분배 모듈(100)에 별도의 프로그램된 구동 모터가 없더라도, 이러한 구조적 배치로 인해, 핸드 드립 방식의 숙련자가 사용하는 물 붓는 방식(예를 들어, 나선형으로 물을 배출하는 방식)을 일관성 있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출수구(230C)의 돌출 높이(h)는 복수의 출수구(230C)의 출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수구(230C)의 돌출 높이(h)는 출수 길이가 짧을수록 낮게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C)의 돌출 높이(h)는 출수 길이가 길수록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수구(230C) 중 출수 길이가 가장 짧은 출수구(230C)는 복수의 출수구(230C) 중 돌출 높이(h)가 가장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수구(230C) 중 출수 길이가 긴 출수구(230C)는 복수의 출수구(230C) 중 돌출 높이(h)가 가장 높을 수 있다.
도 13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A)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며,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A)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물 분배 모듈(100A)을 C-C'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출수부(200D)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출수부(200D)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200D)를 포함한 물 분배 모듈(100A)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물 분배 모듈(100A)은 출수부(200D)와 배관부(110A)를 포함한다. 출수부(200D)는 복수의 출수구(230D)가 마련된 출수 플레이트(210D)와, 출수 플레이트(210D)의 상부에 배치된 블레이드(24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230)는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배관부(110A)는 블레이드(240)를 향해 물이 분사하기 위한 분사 구멍(1134)이 마련될 수 있다. 분사 구멍(1134)을 통해 블레이드(240)를 향해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배관부(110A)는 블레이드(240)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한 공간(1133)을 제공할 수 있다.
블레이드(240)는 배관부(110A)를 통해 공급된 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 날개부(241)와, 날개부(241)에 고정되어 날개부(241)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몸체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배관부(110A)는 날개부(241)의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 구멍(1134)은 날개부(241)가 회전 가능한 공간(1133)을 정의하는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분사 구멍(1134)에서 날개부(241)를 향해 회전축과 수직인 수평 방향으로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날개부(241)의 경사면(2410)은 물의 분사 방향과 수직 또는 경사질 수 있다. 날개부(241)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다만, 날개부(241)의 형상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블레이드(240)에 요구되는 회전 속도를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241)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날개부(241)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241)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기 위해, 날개부(241)의 개수를 감소시키거나 경사면(2410)의 경사 각도를 줄일 수 있다.
몸체부(242)는 날개부(241)를 지지하는 샤프트(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243)는 몸체부(242)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242)는 배관부(110A)를 통해 공급된 물이 출수 플레이트(210D)로 전달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임시 저장 공간(2420)을 제공한다.
몸체부(242)에는 복수의 출수구(230D) 중 일부의 출수구(230D)를 향해 배출되는 배출구(244)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242)의 임시 저장 공간(2420)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물은 배출구(244)를 통해 출수 플레이트(210D)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배관부(110A)의 분사 구멍(1134)을 통해 분사된 물에 의해 날개부(241)가 회전하게 된다. 날개부(241)가 회전할 때, 샤프트(243)에 의해 날개부(241)에 고정된 몸체부(242)가 함께 회전한다. 몸체부(242)가 회전할 때 출수 플레이트(210D)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몸체부(242)의 배출구(244)는 출수 플레이트(210D)에 대해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몸체부(242)의 회전시, 출수 플레이트(210D)에 대해 배출구(244)가 중첩되는 위치가 달라진다. 그리하여, 배출구(244)를 통해 배출된 물은 출수 플레이트(210D)의 다른 위치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244)를 통해 배출된 물은 블레이드(24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에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는 반시계 방향으로 물이 출수되기 시작할 수 있다.
다시 도 14,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출수 플레이트(210D)는 블레이드(24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 지지축(217)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축(217)은 블레이드(240)의 샤프트(243)에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40)의 샤프트(243)는 회전 지지축(217)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지지축(217)이 샤프트(243)의 내부 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출수 플레이트(210D)에서 회전 지지축(217)의 주변에는 복수 개의 중심 출수구(231A)가 배치될 수 있다.
출수 플레이트(210D)는 복수의 출수구(230D)를 구분하도록 마련된 격벽(216)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216)은 주변 출수구(232) 각각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블레이드(240)의 배출구(244)를 통해 주변 출수구(232) 주변에 배출된 물의 일부는, 격벽(216)에 의해 다른 주변 출수구(232)로 이동되지 않으며, 해당 주변 출수구(232)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주변 출수구(232)를 감싸도록 배치된 격벽(2161)은, 인접한 다른 주변 출수구(232)를 감싸도록 배치된 다른 격벽(2162)과 이격될 수 있다. 격벽(2161)과 다른 격벽(2162) 사이의 공간으로 물이 흐를 수 있는 채널(218)이 형성될 수 있다. 채널(218)은 중심 출수구(231A)를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블레이드(240)가 회전함에 따라, 배출구(244)에서 배출된 물의 다른 일부는 채널(218)로 배출되며, 채널(218)에 배출된 물의 다른 일부는 채널(218)을 따라 이동하여 중심 출수구(231A)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에서 반시계 방향을 따라 물의 일부가 출수되는 사이에, 중심 출수구(231A)에서 물의 다른 일부가 출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관부(110A)에 의해 공급된 물에 의해 블레이드(240)가 출수 플레이트(210D)에 대해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회전하는 블레이드(240)의 배출구(244)를 통해 배출된 물은 출수 플레이트(210D)의 복수의 출수구(230D)에 시기를 달리하여 전달된다. 그에 따라, 복수의 출수구(230D)에서 출수가 시작되는 출수 시기가 달라지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출수 플레이트(210D)가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 각각을 둘러싼 격벽(216)이 서로 이격되어 채널(218)을 형성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출수 플레이트(210D) 및 블레이드(2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8과 같이, 출수 플레이트(210D1)는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 사이에 채널(218) 없이 격벽(216A)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때, 중심 출수구(231A)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출수부(200D)는, 배관부(110A)로부터 공급된 물이 복수의 출수구(230D)를 지나 출수될 때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를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복수의 출수구(230D)에서 물이 출수되는 출수 시기를 달리할 수 있다. 출수부(200D)는 복수의 출수구(230D)의 출수 시기가 다르도록, 복수의 출수구(230D)를 통과하는 출수 길이, 복수의 출수구(230D)의 직경, 복수의 출수구(230D)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복수의 출수구(230D)의 돌출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출수구(230D)를 통과하는 출수 길이, 복수의 출수구(230D)의 직경, 복수의 출수구(230D)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복수의 출수구(230D)의 돌출 높이 중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수구(230D)를 통과하는 출수 길이만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수구(230D)의 직경만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수구(230D)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만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출수구(230D)의 돌출 높이만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출수구(230D)를 통과하는 출수 길이, 복수의 출수구(230D)의 직경, 복수의 출수구(230D)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복수의 출수구(230D)의 돌출 높이 중 둘이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출수구(230D)를 통과하는 출수 길이, 복수의 출수구(230D)의 직경, 복수의 출수구(230D)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복수의 출수구(230D)의 돌출 높이 중 셋이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복수의 출수구(230D)를 통과하는 출수 길이, 복수의 출수구(230D)의 직경, 복수의 출수구(230D)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복수의 출수구(230D)의 돌출 높이 중 넷이 다를 수 있다.
그리하여, 드립퍼(2)에 담겨진 커피 가루(C)에 복수의 위치에서 시기를 달리하여 물이 떨어질 수 있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출수 플레이트(210E)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출수 플레이트(210E)는 중심 영역(211)에 배치된 복수의 출수구(230E)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출수구(230E)의 배열은 드립퍼(2A)의 형상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립퍼(2A)는 직선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배수구(5)를 가질 수 있다. 출수 플레이트(210E)의 복수의 출수구(230E)는, 출수부(200)(구체적으로 출수 플레이트(211))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메인 출수구(233)와, 출수부(200) )(구체적으로 출수 플레이트(211))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동일 거리에 배치된 보조 출수구(234)를 가질 수 있다. 메인 출수구(233)의 직경은 보조 출수구(234)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메인 출수구(233)에서 출수되는 유량이 보조 출수구(234)에서 출수되는 유량보다 많을 수 있다.
메인 출수구(233)의 배열 방향이 드립퍼(2A)의 배수구(5)의 배열 방향과 일치하도록 드립퍼(2A)의 방향이 조정될 경우, 메인 출수구(233)에 중첩된 드립퍼(2A)의 영역에 배치된 커피 가루(C)에 메인 출수구(233)를 통해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의 물이 떨어지며, 보조 출수구(234)에 중첩된 드립퍼(2A)의 영역에 배치된 커피 가루(C)에는 보조 출수구(234)를 통해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의 물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커피 추출이 진행되는 동안, 실시예에 따른 출수 플레이트(210E)에서는 드립퍼(2A)에 담겨진 커피 가루(C)의 양에 맞춰 물이 부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의 출수부(200)에서는, 복수의 출수구(230)의 직경, 배관부(110)로부터 공급된 물이 복수의 출수구(230)를 지나 출수될 때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출수부(200)의 다양한 구조 배열을 통해, 별도의 구동 모터 없이, 드립퍼(2A)에 공급되는 물의 출수 시기, 출수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음료 추출 장치(1)의 전력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파워 스테이션(100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추출 장치(1)은 파워 스테이션(1000)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음료 추출 장치(1)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파워 스테이션(10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선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음료 추출 장치(1)의 전력 공급은 반드시 무선방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서 전원선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파워 스테이션(1000)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상판에 위치하는 대상체, 예를 들어, 음료 추출 장치(1)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파워 스테이션(1000)은 가열 장치일 수 있다. 파워 스테이션(1000)은 인덕션레이지 또는 전기레인지로 표현될 수도 있다. 파워 스테이션(1000)은 자기장을 발생하는 송신 코일(1001)과 송신 코일(1001)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002)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한다는 것은, 자기유도 방식으로 수신 코일(302)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스테이션(1000)은 송신 코일(1001)에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음료 추출 장치(1)에 자기장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음료 추출 장치(1)은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픽업 코일(301), 수신 코일(302) 및 인쇄회로기판(303)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3)에는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 및 제어부(15; 도 2 참조)가 실장될 수 있다.
픽업 코일(301)은 파워 스테이션(1000)으로부터 초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초기 전력은 인쇄회로기판(303)에 전달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3)에 전달된 초기 전력은 통신 인터페이스, 제어부(15)가 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음료 추출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근거리 통신부(예컨대, 블루투스 통신부, NFC 통신부, BLE 통신부 등), 이동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전력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으로, 예를 들어, 100 W(watt) ~ 300 W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의 작동에 의해, 음료 추출 장치(1)과 파워 스테이션(1000) 사이에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음료 추출 장치(1)과 파워 스테이션(1000)이 페어링될 수 있다.
수신 코일(302)은 파워 스테이션(1000)과 통신이 성립된 후, 파워 스테이션(1000)의 송신 코일(1001)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음료 추출 장치(1)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음료 추출 장치(1)을 작동시키기 위해 수신된 전력은 초기 전력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전력은 800 W보다 큰 전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수신된 전력에 의해, 음료 추출 장치(1)의 히터(11)와 펌프(12) 등이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음료 추출 장치(1)이 커피를 추출하는 데 사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커피에 제한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1)은, 커피가 아닌 음료, 예를 들어, 차(tea) 등을 커피 추출과 유사한 방식으로 추출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드립퍼를 향해 가열된 물을 출수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드립퍼를 향해 상기 가열된 물을 복수의 위치에서 출수하도록 구성된 물 분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가열된 물을 공급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부와, 출수 플레이트와, 상기 출수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출수구를 포함하는 출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복수의 출수구에서 물이 출수되기 시작하는 출수 시기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상기 출수 시기가 다르도록, 상기 복수의 출수구를 통과하는 출수 길이,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직경, 상기 복수의 출수구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및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돌출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출수구는, 상기 출수 길이가 달라지도록 물의 출수 방향에 따른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출수구 중 적어도 일부 출수구의 두께는,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출수구 중 적어도 일부 출수구는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출수구 중 적어도 일부의 출수구는 기준 표면으로부터 물의 출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출수구는, 상기 출수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주변 출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 플레이트는, 상기 배관부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복수의 주변 출수구 각각을 향해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가 다르도록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중심 영역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부는,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기 배관부를 통해 공급된 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에 고정되어 상기 날개부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출수구 중 일부의 출수구를 향해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몸체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출수구 각각을 구분하도록 마련된 격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관부는,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중심 영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과,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외곽 영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출수구는, 상기 중심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와, 상기 외곽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드립퍼를 향해 가열된 물을 출수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드립퍼를 향해 상기 가열된 물을 복수의 위치에서 출수하도록 구성된 물 분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장치의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가열된 물을 공급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부와, 출수 플레이트와, 상기 출수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출수구를 포함하는 출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직경, 상기 배관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복수의 출수구를 지나 출수될 때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출수구는, 상기 출수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메인 출수구와, 상기 출수부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동일 거리에 배치된 복수의 보조 출수구를 가지며, 상기 메인 출수구의 직경이 상기 보조 출수구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상기 출수 시기가 다르도록, 상기 복수의 출수구를 통과하는 출수 길이,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직경, 상기 복수의 출수구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및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돌출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출수부는,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공급된 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에 고정되어 상기 날개부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출수구 중 일부의 출수구를 향해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부는,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중심 영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과,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외곽 영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출수구는, 상기 중심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와, 상기 외곽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1. 드립퍼(2)를 향해 가열된 물을 출수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 장치(1)로서,
    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물 탱크(20);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1);
    상기 드립퍼를 향해 상기 가열된 물을 복수의 위치에서 출수하도록 구성된 물 분배 모듈(100)을 포함하며,
    상기 물 분배 모듈(100)은,
    상기 가열된 물을 공급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부(110)와,
    출수 플레이트(210)와, 상기 출수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출수구(220, 230)를 포함하는 출수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복수의 출수구에서 물이 출수되기 시작하는 출수 시기가 다르도록 구성된, 음료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200)는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상기 출수 시기가 다르도록, 상기 복수의 출수구를 통과하는 출수 길이,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직경, 상기 복수의 출수구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및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돌출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음료 추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수구(230)는, 상기 출수 길이가 달라지도록 물의 출수 방향에 따른 두께(t)가 다른, 음료 추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수구 중 적어도 일부 출수구의 두께는,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두꺼운, 음료 추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수구 중 적어도 일부 출수구는 직경이 서로 다른, 음료 추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수구 중 적어도 일부의 출수구는 기준 표면으로부터 물의 출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돌출 높이(h)가 서로 다른, 음료 추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수구(230)는, 상기 출수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주변 출수구(232)를 포함하며,
    상기 출수 플레이트는, 상기 배관부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복수의 주변 출수구 각각을 향해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가 다르도록 중심 영역(211)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215)을 더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240)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공급된 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 날개부(241)와,
    상기 날개부에 고정되어 상기 날개부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출수구 중 일부의 출수구를 향해 배출되는 배출구(244)가 마련된 몸체부(242)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출수구 각각을 구분하도록 마련된 격벽(216)을 가지는, 음료 추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중심 영역(21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111)과,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외곽 영역(21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배관(11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출수구는, 상기 중심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230)와, 상기 외곽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220)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1. 드립퍼를 향해 가열된 물을 출수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 장치로서,
    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드립퍼를 향해 상기 가열된 물을 복수의 위치에서 출수하도록 구성된 물 분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가열된 물을 공급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제공하는 배관부와,
    출수 플레이트와, 상기 출수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출수구를 포함하는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배 모듈은,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직경, 상기 배관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복수의 출수구를 지나 출수될 때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음료 추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수구는, 상기 출수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직선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메인 출수구(233)와, 상기 출수부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동일 거리에 배치된 복수의 보조 출수구(234)를 가지며, 상기 메인 출수구의 직경이 상기 보조 출수구의 직경보다 큰, 음료 추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상기 출수 시기가 다르도록, 상기 복수의 출수구를 통과하는 출수 길이,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직경, 상기 복수의 출수구까지 이동하는 경로의 길이 및 상기 복수의 출수구의 돌출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음료 추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배관부를 통해 공급된 물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에 고정되어 상기 날개부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출수구 중 일부의 출수구를 향해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몸체부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부는,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중심 영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과, 상기 출수 플레이트의 외곽 영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출수구는, 상기 중심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드립용 출수구와, 상기 외곽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린싱용 출수구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 장치.
PCT/KR2023/009311 2022-08-30 2023-07-03 음료 추출 장치 WO202404895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360,809 US20240065471A1 (en) 2022-08-30 2023-07-28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09292 2022-08-30
KR10-2022-0109292 2022-08-30
KR1020220133608A KR20240030897A (ko) 2022-08-30 2022-10-17 음료 추출 장치
KR10-2022-0133608 2022-10-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360,809 Continuation US20240065471A1 (en) 2022-08-30 2023-07-28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8957A1 true WO2024048957A1 (ko) 2024-03-07

Family

ID=9009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9311 WO2024048957A1 (ko) 2022-08-30 2023-07-03 음료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4895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615A (ja) * 1991-09-06 1993-03-19 Sharp Corp ドリツプ式コーヒーメーカ
KR20100069611A (ko) * 2008-12-15 2010-06-24 안승대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
KR101152836B1 (ko) * 2009-05-14 2012-06-12 김명기 드립퍼 장치
KR101632421B1 (ko) * 2013-04-29 2016-07-01 상운 남 드립 커피 제조기
JP2017506922A (ja) * 2013-12-31 2017-03-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飲料マシ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615A (ja) * 1991-09-06 1993-03-19 Sharp Corp ドリツプ式コーヒーメーカ
KR20100069611A (ko) * 2008-12-15 2010-06-24 안승대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
KR101152836B1 (ko) * 2009-05-14 2012-06-12 김명기 드립퍼 장치
KR101632421B1 (ko) * 2013-04-29 2016-07-01 상운 남 드립 커피 제조기
JP2017506922A (ja) * 2013-12-31 2017-03-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飲料マシ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09391A1 (ko) 자동 핸드 드립 커피 머신
WO2024048957A1 (ko) 음료 추출 장치
KR102120498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US11342215B2 (en)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chamber
KR960032593A (ko) 반도체 회로기판을 단일 진공 챔버내에 회전 정렬시키고 탈가스화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8199498A2 (en) Hot water generation modul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WO2020091531A1 (en) Cooking apparatus
CN104011478A (zh) 即热式热水器
WO2018084395A1 (ko) 물 및 원두 자동공급장치
US20180308741A1 (en) Configurable high temperature chuck for use in a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system
WO2019156504A1 (ko) 식기세척기
TW201702420A (zh) 具有旋轉式氣體噴淋頭之旋轉夾頭
WO2017135542A1 (ko) 웨이퍼 세정 장치
WO2020060249A1 (ko) 반려동물 급수기
KR101822774B1 (ko) 기판 처리 장치
WO2009091163A2 (ko) 유수 분리 장치
WO2014119831A1 (ko) 태양광발전설비의 냉각수 분배장치
CN112111907B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WO2014073793A1 (ko) 비산 파우더 크리닝 장치
KR100462460B1 (ko) 하부로 기울어진 밸브가 포함된 충전헤드를 갖춘 충전기
JP3638374B2 (ja) 回転式基板処理装置
KR20240030897A (ko) 음료 추출 장치
WO2023003423A2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
KR101772848B1 (ko) 레이저 웰더용 에어라인 구비형 척킹장치
WO2024075985A1 (ko) 스팀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606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