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880B1 -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880B1
KR102160880B1 KR1020190044015A KR20190044015A KR102160880B1 KR 102160880 B1 KR102160880 B1 KR 102160880B1 KR 1020190044015 A KR1020190044015 A KR 1020190044015A KR 20190044015 A KR20190044015 A KR 20190044015A KR 102160880 B1 KR102160880 B1 KR 10216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dutch coffee
dutch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욱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47J31/06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activated by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노즐을 이용하여 원두커피층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해주어 모든 원두커피가 물에 노출시킬수 있도록 하며, 다량의 더치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Dutch coffee maker}
본 발명은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노즐을 이용하여 원두커피층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해주어 모든 원두커피가 물에 노출시킬수 있도록 하며, 다량의 더치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는 도 1과 같이 원두커피를 직접 또는 적절한 크기로 분쇄된 크기로 추출통에 넣고 상부에서 일정량의 물을 천천히 흘려보내면서 추출통 상부에 떨어뜨려 물이 원두커피의 표면을 천천히 흘려가면서 커피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때, 떨어뜨려 흘려보내주는 물의 온도와 커피층의 온도에 따라 추출되는 커피의 농도와 추출되는 물질의 종류가 달라져 커피의 맛이 달라진다. 소량의 더치커피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추출통의 직경과 높이가 적어 흘러내리는 물이 적층된 커피의 표면을 적시며 흘러내릴 수 있으나, 많은 양의 더치커피를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추출통의 크기를 더 크게 하고 추출하고자하는 커피의 양도 많이 해야 한다. 이 경우 많은 양의 물을 한꺼번에 추출통에 넣으면 커피표면을 적시고 흘러가는 물의 속도가 달라지게 되어 추출되는 커피의 농도와 물질의 종류가 달라져 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어렵다.
또한, 적은 양의 물을 추출통 한곳에만 천천히 떨어뜨려 더치커피를 생산할 경우 생산되는 커피의 양이 매우 적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게다가 물이 추출통의 한곳에만 떨어지게 되면 적층되어있는 원두커피에 물 흐름 통로가 형성되어 일부의 원두커피의 커피만이 추출되고 물이 통과되지 않은 부분의 커피는 사용되어지지 않은 채로 남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흘리는 물의 온도가 달라지면 추출되는 커피의 맛과 향이 달라져 일정한 커피의 맛과 향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97969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851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분배기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노즐을 형성하여 추출통부에 적층된 원두커피 상부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출통부에 물을 균일하게 떨어뜨릴 수 있어 추출통부의 내부에 적층된 모든 원두커피가 물에 노출시킬 수 있는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의 양과 온도의 조절이 용이하여 더치커피의 향과 양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는, 정수기등을 이용하여 물을 정제하고, 정제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부; 물탱크부의 내·외부에 위치하며, 물탱크부의 내부에 위치한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공급수단; 내부에는 분쇄된 원두커피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물탱크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원뿔형태의 물분배기가 형성되고, 물분배기의 하부에는 원두커피층의 상부에 균일하게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노즐로 이루어진 추출통부; 추출통부의 하부에는 더치커피외의 원두커피입자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거름수단부; 및 거름수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거름수단부를 통과한 더치커피만을 보관하는 더치커피보관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추출통부의 중심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떨어지는 물이 한곳으로 집중되어 원두커피층을 통과하는 것을 억제하는 물흐름조절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부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외면에는 보온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의 주변부에는 노즐을 통해 흘러나온 물이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고 물분배기 하부면을 따라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물흐름방지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물분배기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노즐을 형성하여 추출통부에 적층된 원두커피 상부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출통부에 물을 균일하게 떨어뜨릴 수 있어 추출통부의 내부에 적층된 모든 원두커피가 물에 노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의 양과 온도의 조절이 용이하여 더치커피의 향과 양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추출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제조장치의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제조장치의 간략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제조장치의 간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제조장치의 간략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100)는, 정수기(500)등을 이용하여 물을 정제하고, 정제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부(200); 물탱크부(200)의 내·외부에 위치하며, 물탱크부(200)의 내부에 위치한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공급수단(210); 내부에는 분쇄된 원두커피(900)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물탱크부(200)로부터 공급된 물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원뿔형태의 물분배기(310)가 형성되고, 물분배기(310)의 하부에는 원두커피(900)층의 상부에 균일하게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노즐(311)로 이루어진 추출통부(300); 추출통의 하부에는 더치커피외의 원두커피(900)입자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거름수단부(330); 및 거름수단부(330)의 하단에 위치하며, 거름수단부(330)를 통과한 더치커피만을 보관하는 더치커피보관용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각 부분에 대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함과 아울러 물이 흘러가는 방향을 기준으로 더치커피가 생산되는 과정에 대해서도 함께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우선, 더치커피를 내리기 위해 필요한 물은 정수기(500)등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정제한 물은 물탱크부(200)에 저장하게 되는데, 물탱크부(200)의 용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한 양을 공급한 후에 추후 사용하게 되면 이후에 다시 추가로 물탱크부(200)에 물을 추가하여 보충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물탱크부(200)에는 수위센서(800)(혹은 제1수위센서(810))를 부가하여 상기 물탱크부(200)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체크한 후 정제한 물이 공급되는 라인에 전자변(600)(혹은 제1전자변(610))을 부가하여 물의 공급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탱크부(20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열공급수단(210)이 구비되어 있습니다. 상기 열공급수단(210)은 물탱크부(200)의 내·외부에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기히터와 열전대로 구성하여 물의 온도를 조절하였다.
추가적으로 상기 물탱크부(20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공급수단(210) 이외에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보온수단(220)으로 물탱크부(200)의 외면을 감싸 물의 온도 변화를 줄였다.
이렇게 일정하게 물의 온도를 유지한 물은 이후 원두커피(900)가 충진되어 있는 추출통부(300)에 공급되는데, 상기 추출통부(300) 상부에는 물분배기(31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분배기(310)는 원뿔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균일하게 하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물분배기(31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노즐(311)이 구비되어 상부를 통해 공급된 물이 아래쪽으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이 추출통부(300)에 충진된 원두커피(900)층의 상부에 균일하게 떨어지도록 하였다.
이때, 노즐(311)을 통해 아래쪽으로 공급되는 물이 바로 떨어지지 않고 다른곳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즐(311)주변에는 물흐름방지덮개(312)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물분배기(310)의 상부를 통해 공급된 물은 아래쪽에 있는 원두커피(900)층의 상부에 일정한 부분에 균일하게 떨어진다.
아울러, 추출통부(300)의 중심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311)을 통해 떨어지는 물이 한곳으로 집중되어 원두커피(900)층을 통과하는 것을 억제하는 물흐름조절관(320)이 더 포함된다. 물분배기(310) 대신에 추출통부(300)의 상부에서 스프레이건을 이용하여 물을 분사하여 원두커피(900)층 상단 전체 표면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에 물이 추출통부(300)의 내벽에 응축되어 추출통부(300)의 내벽을 통한 물 흐름이 많아져 균일한 물흐름 유도에는 용이하지 않아 종래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스프레이건 보다는 물분배기(3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추출통부(300)의 상부에 공급된 물이 원두커피(900)층을 통과한 후 추출통부(300)의 하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더치커피외에 원두커피(900)입자가 아래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추출통부(300)의 하부에 거름수단부(330)를 구성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거름수단부(330)는 철망(메쉬) 혹은 거름종이로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순서를 통해 더치커피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추출통부(300)를 통과하여 제조된 더치커피는 수위센서(800)(혹은 제2수위센서(820))가 부착된 더치커피보관용기(400)에 모이도록 하였으며, 일정량의 원두커피(900)에서 일정량의 더치커피만을 생산하고자 할 경우 수위센서(800)(혹은 제2수위센서(820))의 상단 높이를 조절하여 더치커피의 진한 정도가 조절할 수 있도록 전자변(600)(혹은 제2전자변(620))을 닫아 더 이상의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다량의 더치커피도 제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부(200)까지는 동일하게 구성하며, 추출통부(300) 및 더치커피보관용기(400)를 여러개 설치하고 상기 물탱크부(200)와 여러개의 추출통부(300)가 연결되는 라인의 전자변(600)을 각각 조작하여 여러개의 추출통부(300)에서 동시적으로 더치커피를 생산할 수 있어 다량의 더치커피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더치커피 제조장치
200 - 물탱크부
210 - 열공급수단
220 - 보온수단
300 - 추출통부
310 - 물분배기
311 - 노즐
312 - 물흐름방지덮개
320 - 물흐름조절관
330 - 거름수단부
400 - 더치커피보관용기
500 - 정수기
600 - 전자변
610 - 제1전자변
620 - 제2전자변
700 - 유량계
800 - 수위센서
810 - 제1수위센서
820 - 제2수위센서
900 - 원두커피

Claims (4)

  1. 정수기를 이용하여 물을 정제하고, 정제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부;
    물탱크부의 내·외부에 위치하며, 물탱크부의 내부에 위치한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공급수단;
    내부에는 분쇄된 원두커피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물탱크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원뿔형태의 물분배기가 형성되고, 물분배기의 하부에는 원두커피층의 상부에 균일하게 떨어지도록 다수개의 노즐로 이루어진 추출통부;
    추출통부의 하부에는 더치커피외의 원두커피입자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거름수단부; 및
    거름수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거름수단부를 통과한 더치커피만을 보관하는 더치커피보관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통부의 중심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떨어지는 물이 한곳으로 집중되어 원두커피층을 통과하는 것을 억제하는 물흐름조절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부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외면에는 보온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주변부에는 노즐을 통해 흘러나온 물이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고 물분배기 하부면을 따라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물흐름방지덮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KR1020190044015A 2019-04-16 2019-04-16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KR10216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015A KR102160880B1 (ko) 2019-04-16 2019-04-16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015A KR102160880B1 (ko) 2019-04-16 2019-04-16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0880B1 true KR102160880B1 (ko) 2020-10-05

Family

ID=7280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015A KR102160880B1 (ko) 2019-04-16 2019-04-16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8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13Y1 (ko) 2014-04-24 2015-10-15 박종진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1597969B1 (ko) 2014-10-07 2016-03-07 임혜영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61489B1 (ko) * 2015-06-01 2016-09-30 신성균 더치커피 추출 기구
KR20180012632A (ko) * 2016-07-27 2018-02-06 (주)휴레드 더치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513Y1 (ko) 2014-04-24 2015-10-15 박종진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1597969B1 (ko) 2014-10-07 2016-03-07 임혜영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61489B1 (ko) * 2015-06-01 2016-09-30 신성균 더치커피 추출 기구
KR20180012632A (ko) * 2016-07-27 2018-02-06 (주)휴레드 더치커피 추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4760B2 (ja) 自動コーヒードリップ装置
US6526872B2 (en) Coffee making machine
KR101306268B1 (ko) 대용량 저온투과식 액상커피추출기 및 액상커피추출방법
JP3300948B2 (ja) コーヒー製造装置
HRP20121059T1 (hr) Kapsula, sustav i postupak za pripremu piä†a i postupak proizvodnje takve kapsule
KR101896838B1 (ko) 자동 드립 커피 머신
JP2016209519A (ja) 自動ドリップコーヒーメーカー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US9949591B2 (en) Pour over coffee maker system
KR101190168B1 (ko) 차 제조장치
RU2006137211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шоколадного напитка
JP2018536497A (ja) コーヒーメーカおよびコーヒーメーカを運転する方法
KR102160880B1 (ko)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JP2015503362A (ja) 溶媒中に原料を煎出するための装置
US3643376A (en) Production of seed sprouts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TWM590365U (zh) 數位咖啡冷萃機
KR101569824B1 (ko) 커피 추출장치
KR102151540B1 (ko) 커피 드리퍼용 물분배기구
KR101661489B1 (ko) 더치커피 추출 기구
KR200478513Y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1825620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제조방법
US1944303A (en) Coffee mak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10267405A1 (en) Drip filter head and method
KR101852000B1 (ko)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