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000B1 -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000B1
KR101852000B1 KR1020150157719A KR20150157719A KR101852000B1 KR 101852000 B1 KR101852000 B1 KR 101852000B1 KR 1020150157719 A KR1020150157719 A KR 1020150157719A KR 20150157719 A KR20150157719 A KR 20150157719A KR 101852000 B1 KR101852000 B1 KR 10185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ter
distribution
distribut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937A (ko
Inventor
김태혁
Original Assignee
김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혁 filed Critical 김태혁
Priority to KR102015015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0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 하단에 연결되며 일정 두께의 수용 공간을 형성된 다면체의 판상의 분배바디와 상기 분배바디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복수개의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관과 상기 돌출관 하단에 노즐이 마련되는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를 통해 공급되는 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돌출관 끝단 각각에 구비되는 물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수량조절부와, 상기 수량조절부 하측 위치하고, 내부에 분쇄된 커피를 수용하는 커피보관부 및 상기 커피보관부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피보관부에서 추출되는 커피원액을 저장하는 커피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배관은 추가 분배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끝부에 스크류 형상의 회전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추가 분배관은 끝단 내부에 상기 회전 돌기에 대응되는 회전 홈이 형성되어, 상기 추가 분배관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Include Multi Distributor That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치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복수개의 분배관을 구비해 다량의 더치커피 원액을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는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 원두에서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에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최근에는 원두에 차가운 물을 천천히 떨어뜨려 장시간에 걸쳐 원액을 추출하는 더치커피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고, 뜨거운 물로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에 비해 특유의 향미를 느낄 수 있으며, 낮은 카페인 함유량과 소화계통에 부담을 주지 않는 숙성된 커피 고유의 특징으로 최근 소비량이 급속하게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니코틴 성분을 해독하고 숙취해소에 도움이 되며, 지속적인 더치커피의 섭취를 통해 몸의 혈당수치를 정상으로 유지시켜 주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기초대사량의 증가를 통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고 있는 장점으로 소비자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더치커피는, 원두커피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커피원액을 추출하는데 매우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한 잔의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통상 음용되는 한 잔의 커피에 필요한 커피원액을 추출하는데 약 8시간 내지 10시간 정도가 요구되므로, 커피 매장에서 판매자가 고객에게 원활한 더치커피 판매를 위해서는 원두커피로부터 다량의 커피원액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6712호(2015년 03월 27일)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물 공급관으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분기라인이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단시간에 대량의 더치커피 원액을 추출할 수 있는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장치는, 수도관과 직접 연결되므로 녹 또는 이물질 등으로 인해 추출되는 커피원액의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대량으로 생산되는 음식 또는 음료의 특성상 제조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 우려 때문에 소비자가 요구하는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힘든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대량으로 더치커피를 생산하되, 더치커피 특유의 맛과 향을 충족시키면서 소비자들에게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더치커피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6712호(2015년 03월 23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더치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복수개의 분배관을 구비하여 많은 양의 더치커피 원액을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는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더치 커피장치를 실내에 비치하여 커피원액 추출과정을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커피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전달할 수 있으며, 내부 인테리어를 통해 전시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상기 물저장부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 하단에 연결되며 일정 두께의 수용 공간을 형성된 다면체의 판상의 분배바디와 상기 분배바디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복수개의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관과 상기 돌출관 하단에 노즐이 마련되는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를 통해 공급되는 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돌출관 끝단 각각에 구비되는 물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수량조절부와, 상기 수량조절부 하측 위치하고, 내부에 분쇄된 커피를 수용하는 커피보관부 및 상기 커피보관부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피보관부에서 추출되는 커피원액을 저장하는 커피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배관은 추가 분배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끝부에 스크류 형상의 회전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추가 분배관은 끝단 내부에 상기 회전 돌기에 대응되는 회전 홈이 형성되어, 상기 추가 분배관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조절 밸브는, 전기신호로 개도 조절이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배부는, 상기 복수개의 분배관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사각형의 대각선 방향, 육각형의 대각선 방향 또는 팔각형의 대각선 방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피보관부는, 내부 하측에 원판 형상의 망사 재질로 이루어진 거름막이 구비되고, 상기 거름막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거름막에서 걸러지지 못한 분쇄된 커피 입자를 걸러내는 미세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더치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복수개의 분배기를 구비하여 많은 양의 더치커피 원액을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치 커피장치를 실내에 비치하여 커피원액 추출과정을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커피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전달할 수 있으며, 내부 인테리어를 통해 전시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분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분배부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분배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커피보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저장부(100), 분배부(200), 수량조절부(300), 커피보관부(400) 및 커피저장부(500)를 포함한다.
물저장부(100)는, 커피원액의 주재료가 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전체적인 형상은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수도를 직접 연결하여 바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위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수 처리된 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분배부(200)는, 물저장부(100) 하부에 연결되며, 물저장부(1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복수개의 분배관(210)이 마련된다.
여기서, 분배부(200)는, 물저장부(100) 하단에 연결되며, 물저장부(1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복수개의 분배관(210) 각각으로 이송하는 연결관(220)을 포함한다. 즉, 분배부(200)는, 물저장부(100) 하부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분배관(210)을 연결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물저장부(100)에서 공급되는 물은 연결관(220)을 통해 복수개의 분배관(210)으로 나누어 이송된다.
또한, 연결관(220)과 분배관(210) 사이에 마련되고, 연결관(220) 하단에서 일정 두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다면체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분배바디(23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분배바디(230) 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분배관(210)이 형성되는 구조를 구성한다. 따라서, 저장부(100)에서 공급되는 물은 연결관(220)을 통해 분배바디(230)로 이송되고, 분배바디(230)로 이송된 물은 각각의 분배관(210)으로 나누어 이송된다.
수량조절부(300)는, 분배부(200) 끝부에 연결되고, 분배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복수개의 분배관(210) 끝단 각각에 구비되는 물조절 배브(311)를 포함한다. 즉, 물저장부(100)는 연결관(220)을 통해 각각의 분배관(210)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고, 분배관(210) 끝단에서 물조절 밸브(311)를 구비하는 노즐(310)을 통해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분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200)는, 연결관(220)과 분배관(210) 사이에 마련되고, 연결관(220) 하단에서 일정 두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다면체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분배바디(230)를 더 포함하고, 분배바디(230)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분배관(210)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분배관(210) 끝단 각각에 구비되는 물조절 밸브(311)를 포함한다. 즉, 상술한 구성을 따르면, 물저장부(100)에 수용된 물은 물저장부(100) 하부에 연결된 연결관(220)을 통해 분배바디(230)로 이송하게 되고, 분배바디(230)로 이송된 물은 분배바디(230) 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분배관(210)으로 공급하게 되며, 분배관(210) 끝단에서 물조절 밸브(311)를 구비하는 노즐(310)을 통해 커피보관부(400)로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배부(200)는, 물저장부(100) 하부 일측에 내부가 빈 관이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관(220)과, 연결관(220) 하단에서 지면과 평행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분배관(210)과, 복수개의 분배관(210) 중 적어도 하나의 분배관(210) 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관(240)과, 돌출관(240) 하단에서 커피보관부(400)로 공급되는 수량 조절을 위해 물조절 밸브(311)를 구비하는 노즐(310)을 포함한다. 즉, 상술한 구성을 따르면, 물저장부(100)에 수용된 물은 물저장부(100) 하부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복수개의 분배관(210)으로 이송되고, 분배관(210) 끝단에서 물조절 밸브(311)를 구비하는 노즐(310)을 통해 커피보관부(400)로 일정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 커피 추출장치는, 연결관(220) 하측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다면체 판상으로 형성되는 분배바디(230)를 포함하고, 분해바디(230) 측면에 복수개의 분배관(210)을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가 빈 관형상의 연결관(220)과 연결관(220)에서부터 복수개의 분배관(210)으로 나누어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분배부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200)는, 물저장부(100)와 연결되는 연결관(220)의 끝단에서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배관(210)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사각형의 대각선 방향, 육각형의 대각선 방향 또는 팔각형의 대각선 방향 형태로 형성된다. 즉, 연결관(220)에서 나누어지는 분배관(210)의 개수가 4개, 6개, 8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분배부(200)는, 분배바디(230) 측면에 복수개의 분배관(210)을 형성하는 구조에 있어서, 분배바디(230)의 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분배관(210)의 개수가 4개, 6개, 8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제작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분배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분배관(210)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 분배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끝부에 스크류 형상의 회전 돌기를 형성하고, 추가 분배관은 끝단 내부에 상기 회전 돌기에 대응되는 회전 홈이 형성되어, 추가 분배관과 나사결합을 하도록 구성된다. 즉, 복수개의 분배관(210) 중 적어도 하나의 분배관(210)의 끝부에서 추가 분배관을 연장되고, 추가 분배관이 연결된 넓이만큼 커피보관부(400)의 넓이도 증가시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피저장부(500)는, 커피보관부(400)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당업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커피보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커피보관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량조절부(300) 하측에서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위치하고, 복수개의 분배관(210)에서 제공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용기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부에는 분쇄된 원두커피를 수용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분배관(210)에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하나의 용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분배관(21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각각의 용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내부 하측에 원판 형상의 망사 재질로 이루어진 거름막(410)이 구비되고, 거름막(310)에서 걸리지지 못한 분쇄된 원두커피 입자를 걸러내는 미세필터(420)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 일측으로 돌출되는 추출관이 형성되어 거름막(410)과 미세필터(420)를 통해 추출되는 커피원액이 커피저장부(500)로 이동하게 된다.
커피저장부(500)는, 커피보관부(400) 하측에 위치하며 커피보관부(400)에서 추출되는 커피원액을 저장하게 된다. 이때, 커피저장부(500)는 커피보관부(400)와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따로 떨어져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피원액을 보관하기 위해 밑바닥이 평평하면 어떠한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특성을 갖는다.
물저장부(100)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고, 커피보관부(400) 가장 하측에 미세필터(420)를 설치하고, 미세필터(420) 상부에 거름막(410)을 설치한 후 거름막(410) 상부에 커피보관부(400) 상단까지 분쇄된 원두커피를 채운다.
이후, 물조절 밸브(311)를 이용해 커비보관부(400)에 제공되는 수량을 조절하면, 물저장부(100)에서 연결관(220)을 따라 물이 이동하고, 연결관(220) 하단에 위치한 분배바디(230)로 이송되고, 이후 분배바디(230)에서 복수개의 분배관(210)으로 물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분배부(200)의 구조에 따라 연결관(220)에서 분배바디(230)로 이송되거나, 연결관(220)에서 복수개의 분배관(210)으로 직접 이송될 수도 있다.
이후, 상술한 조절된 물조절 밸브(311)의 개도 크기에 따라 노즐을 통해 커피보관부(400)로 물이 제공되고, 이때, 분쇄된 원두커피의 양과 대응되는 물을 제공함으로써, 진한 커피원액이 추출되게 된다.
따라서, 추출된 커피원액은 커피보관부(400) 하단 일측에 마련된 깔때기를 통해 커피저장부(500)로 이동하게 되고, 커피저장부(500)에서는 추출된 커피원액을 저장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인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분배관(210)의 개수 증가 및 길이연장이 가능하여 커피저장부(400)의 내부에 수용된 분쇄된 원두커피의 양에 적합한 수량을 복수개의 분배관(210)을 통해 제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짧은 시간에 대량의 더치커피 커피원액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물저장부
200 : 분배부
210 : 분배관
220 : 연결관
230 : 분배바디
240 : 돌출관
300 : 수량조절부
310 : 노즐
311 : 물조절 밸브
400 : 커피보관부
410 : 거름막
420 : 미세필터
500 : 커피저장부

Claims (8)

  1.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 하단에 연결되며 일정 두께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 다면체의 판상의 분배바디와, 상기 분배바디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복수개의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관과, 상기 돌출관 하단에 노즐이 마련되는 분배부;
    상기 분배부를 통해 공급되는 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돌출관 끝단 각각에 구비되는 물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수량조절부;
    상기 수량조절부 하측에 위치하고, 내부에 분쇄된 커피를 수용하는 커피보관부; 및
    상기 커피보관부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피보관부에서 추출되는 커피원액을 저장하는 커피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배관은,
    추가 분배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끝부에 스크류 형상의 회전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추가 분배관은 끝단 내부에 상기 회전 돌기에 대응되는 회전 홈이 형성되어, 상기 추가 분배관이 나사 결합되고,
    상기 분배부는,
    상기 복수개의 분배관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사각형의 대각선 방향, 육각형의 대각선 방향 또는 팔각형의 대각선 방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조절 밸브는, 전기신호로 개도 조절이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보관부는,
    내부 하측에 원판 형상의 망사 재질로 이루어진 거름막이 구비되고, 상기 거름막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거름막에서 걸러지지 못한 분쇄된 커피 입자를 걸러내는 미세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0150157719A 2015-11-10 2015-11-10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852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719A KR101852000B1 (ko) 2015-11-10 2015-11-10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719A KR101852000B1 (ko) 2015-11-10 2015-11-10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937A KR20170054937A (ko) 2017-05-18
KR101852000B1 true KR101852000B1 (ko) 2018-04-25

Family

ID=5904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719A KR101852000B1 (ko) 2015-11-10 2015-11-10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8389A (zh) * 2018-01-18 2018-05-29 孙祖兵 一种带布粉功能的咖啡压粉底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268B1 (ko) * 2013-04-23 2013-09-12 (주)씨큐브 대용량 저온투과식 액상커피추출기 및 액상커피추출방법
KR101382254B1 (ko) * 2013-06-05 2014-04-14 권일중 더치 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268B1 (ko) * 2013-04-23 2013-09-12 (주)씨큐브 대용량 저온투과식 액상커피추출기 및 액상커피추출방법
KR101382254B1 (ko) * 2013-06-05 2014-04-14 권일중 더치 커피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937A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9972B (zh) 饮料分配装置以及从饮料分配装置分配饮料的方法
CN100528051C (zh) 用液体浓缩物分配具有多层可视外观的饮料的方法和设备
US20200102144A1 (en) Apparatus and products for produc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CN104135901B (zh) 具有液滴管理的饮料制备机
EP1206206B1 (en) Method of utilizing delayed dilution, mixing and filtering to provide customized varieties of fresh-brewed coffee on demand
CN204889661U (zh) 饮料机
US10306904B1 (en) System and process for producing cold brew coffee
US20190000262A1 (en) Filter member for brewing coffee, apparatus and products comprising such filter,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filter, product and apparatus, and coffee brewing methods
KR101852000B1 (ko)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EP3053495B1 (de) Getränkeautomat
KR101569824B1 (ko) 커피 추출장치
KR101613214B1 (ko) 대량생산이 가능한 액상음료 추출장치
US8132499B2 (en) Heated substance reservoir baffle
US20210267405A1 (en) Drip filter head and method
GB245318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KR101661489B1 (ko) 더치커피 추출 기구
DE102017126934A1 (de) Getränkeautomat zur Zubereitung eines Teegetränkes
KR101464987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DE202011105477U1 (de) Automat zur Zubereitung und Ausgabe eines Getränks
KR20210019970A (ko) 커피 캡슐
US20210235917A1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s, apparatus and methods
US20220400888A1 (en) Electric Espresso Coffee Machine Equipped and Conceived to Also Dispense American Coffee
JP7288443B2 (ja) 滴排出機能付き飲料調製マシン
KR102205511B1 (ko) 콜드브루 캡슐
KR101622481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