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489B1 - 더치커피 추출 기구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489B1
KR101661489B1 KR1020150077352A KR20150077352A KR101661489B1 KR 101661489 B1 KR101661489 B1 KR 101661489B1 KR 1020150077352 A KR1020150077352 A KR 1020150077352A KR 20150077352 A KR20150077352 A KR 20150077352A KR 101661489 B1 KR101661489 B1 KR 101661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body
coffee
filtration vesse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균
Original Assignee
신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균 filed Critical 신성균
Priority to KR102015007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더치커피 추출 시 공급되는 물이 여과용기 내부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항상 일정한 농도의 더치커피를 제공하며, 더치커피의 향이 휘발되지 않도록 모아줌으로써 더치커피의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형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용기본체 내부로 분사되도록 중심에서 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물 공급면과, 상기 물 공급면의 끝단에서 상기 측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물 흐름 차단면과, 상기 물 공급면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면서 다수로 형성되는 원형의 물 통과공과, 상기 물 공급면의 중심에서 외측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공급되는 물이 여과용기의 벽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앙낙하 유도수단을 포함하는 분배수단; 상기 분배수단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 공급부가 형성된 여과용기상부마개; 상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내측면에 삽입되고, 하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 여과용기하부마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 기구{DUTCH COFFEE BEANS }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더치커피 추출 시 공급되는 물이 여과용기 내부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항상 일정한 농도의 더치커피를 제공하며, 더치커피의 향이 휘발되지 않도록 모아줌으로써 더치커피의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볶아서 분쇄한 후 거름 장치에 담고 그 위에 뜨거운 물을 부어 만드는 드립커피, 또는 곱게 갈아 압축한 원두가루에 뜨거운 물을 고압으로 통과시켜 뽑아낸 에스프레소가 많이 애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상온의 물 또는 차가운 물을 이용하여 3 ~ 24시간 정도의 장시간에 걸쳐 추출한 커피인 더치커피를 선호하는 애호가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추출된 추출액은 시간이 지나면서 숙성되어 더욱 독특한 맛과 향을 지니게 되며,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기 때문에 높은 온도의 물에서 추출되는 드립커피 또는 에스프레소 커피보다 카페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깊고 부드러운 맛이 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며 뜨거운 물로 인해 날아가는 커피의 향과 맛이 그대로 추출될 수 있기 때문에 커피 본연의 풍부한 아로마 그리고 쓴맛, 신맛, 단맛 등 뜨거운 커피에서 느끼지 못하는 미묘한 맛을 골고루 느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물탱크에서 분쇄된 커피가루가 담겨있는 여과용기에 물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커피가루의 전체에 물이 떨어지지 못하고 여과용기의 벽을 타고 흐르게 되어 여과용기 둘레에 있는 커피가루에만 물이 닿게 되어 더치커피가 일정한 농도로 제대로 추출되지 못하고 낮은 농도로 추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여과용기의 둘레부분으로만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더치커피를 주출하는 것을 중단하고 여과용기에 담긴 커피가루를 흔들어 커피가루의 위치를 변경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커피를 추출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중단해야하기 때문에 되면 추출되는 커피의 품질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더치커피 추출 시 더치커피가 추출되면서 발생하는 향을 추출액 저장용기로 모아주지 못하고 더치커피의 향이 휘발되기 때문에 음용 시 더치커피의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없으며, 향의 절감으로 인해 맛 또한 풍부하게 느끼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추출된 더치커피를 추출액저장용기로 이동시켜주기 위하여 여과용기의 하부에 좁은 추출관에 거름망이 설치되며, 거름망 상부에는 더치커피가 담겨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좁은 추출관에 커피가루가 담겨있기 때문에 커피가루에 물을 공급하면 커피가루가 뭉쳐져 추출액이 추출액이동수단으로 제때 추출되지 못하고 커피가루와 함께 여과용기에 오래 머물러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커피가루의 성분을 추출하는 작용의 최대치를 초과하여 수용성 성질을 가진 커피가루의 안 좋은 쓴 맛을 추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커피가루에 물이 일정시간 이상 머물러 있기 때문에 커피가루에서 기름이 우러나와 기름 맛이 나게 되며, 지나치게 활성화되어 안 좋은 성분까지 침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139219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70316호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더치커피 추출 시 공급되는 물이 여과용기의 벽을 타고 흐르지 않게 하며, 여과용기 내부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여 여과용기에 담겨있는 커피가루의 양에 맞게 일정한 농도의 커피를 추출하여 소비자에게 항상 일정한 농도의 더치커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과용기의 상부를 덮는 여과용기상부마개의 상면의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부터 중심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더치커피 추출 시 추출되는 더치커피의 향이 휘발되지 않도록 추출액 저장용기로 모아주어 더치커피의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더치커피 여과 기구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여과용기하부마개의 경사진 면에 흡입유도수단을 삽입하고 흡입유도수단의 상부의 넓은 면에 커피가루를 담아줌으로써 추출되는 더치커피가 쉽게 여과용기를 빠져나가도록 하여 알맞은 일정 농도의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탱크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상기 물탱크와 노즐로 연결되며 분쇄된 커피가 저장되는 여과용기, 및 상기 여과용기 하부에 위치하며 더치커피 추출액을 저장하는 추출액저장용기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로서, 상기 여과용기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형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용기본체 내부로 분사되도록 중심에서 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물 공급면과, 상기 물 공급면의 끝단에서 상기 측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물 흐름 차단면과, 상기 물 공급면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면서 다수로 형성되는 원형의 물 통과공과, 상기 물 공급면의 중심에서 외측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공급되는 물이 여과용기의 벽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앙낙하 유도수단을 포함하는 분배수단; 상기 분배수단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 공급부가 형성된 여과용기상부마개; 상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내측면에 삽입되고, 하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 여과용기하부마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 내부에는 중앙부가 관통되며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의 내부 경사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원형의 몸체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간살이 포함되는 추출유도수단이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간살의 상부에는 거름망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커피가루가 담긴다.
그리고, 상기 여과용기상부마개의 상면에는 상면의 둘레부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부터 상기 물 공급부까지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추출되는 더치커피의 향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입유도수단이 추가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물 통과공은 하부면이 상부면 보다 넓은 직경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물통과공이 상기 물 공급면과 동심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원을 그리면서 형성되되, 상기 물 공급면의 중심에서 외측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여과용기하부마개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삽입되며 내측으로 경사진 용기본체삽입부와, 상기 용기본체삽입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가 밀착되도록 실링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용기본체밀착부와, 상기 용기본체밀착부의 하부면의 일정간격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용기본체안착부와, 상기 용기본체안착부의 하부에서 중심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심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추출관이 형성되는 깔때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분쇄된 커피가루가 들어있는 여과용기에 물이 용기본체의 벽면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분배수단을 구비하여 물이 고르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여과용기에 담겨있는 커피가루의 양에 맞게 일정한 농도의 커피가 추출될 수 있으며, 항상 일정한 농도의 더치커피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향을 추출액저장용기로 모아주도록 여과용기상부마개에 흡입유도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더치커피의 향이 휘발되거나 추출액저장용기로 담기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커피의 풍부한 향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여과용기하부마개의 깔때기부에 추출유도수단을 삽입하고 상기 추출유도수단상부에 커피가루를 위치시켜 추출액이 추출될 수 있는 범위를 확대하여 많은 양의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되는 커피가루가 좁은 취수관 쪽으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여 알맞은 농도의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물탱크와 다수의 여과용기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여과용기와 동일한 개수로 추출액저장용기가 구비되어 많은 양의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일부 상기 추출액저장용기에 파손되더라도 충분한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기구 외형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기구의 여과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의 여과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기구의 여과용기에 포함되는 분배수단의 상부 및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기구의 여과용기에 포함되는 분배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7(a), (b)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기구의 여과용기에 포함되는 여과용기하부마개에 추출유도수단이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기구의 여과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 기구는 가로, 세로, 높이의 길이가 유사한 사각 함체 형상의 상부본체프레임(6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프레임(60)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본체프레임(60)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하부본체프레임(7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본체프레임(70)의 하부에는 바닥프레임(8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프레임(60)과 상기 하부본체프레임(70)의 내부는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본체프레임(60)과 상기 하부본체프레임(70)을 연결하도록 상기 상부본체프레임(60)의 상단부터 상기 하부본체프레임(70)의 하단까지 연결하는 측면프레임(9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에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20)와, 상기 물탱크(20)로부터 공급 받은 물로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여과용기(10)와, 상기 여과용기(10)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저장하는 추출액저장용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본체프레임(60)의 내부에는 물탱크(2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본체프레임(70)의 외부에는 여과용기(10) 및 추출액저장용기(3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더치커피 추출 기구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물탱크(20), 여과용기(10), 추출액저장용기(30)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물탱크(20), 여과용기(10) 및 추출액저장용기(30)를 포함하며, 이를 지지하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의 구조는 상부본체프레임(60), 하부본체프레임(70), 바닥프레임(80), 측면프레임(90)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그 형상을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치커피 추출 기구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 상기 물탱크(2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여과용기(10)와 노즐(21)로 연결되어 상기 여과용기(10)에 물을 공급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물탱크(20)에서 물을 공급받아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여과용기(10)는 많은 양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본체프레임(70)의 양 측에 4개씩 8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물탱크(20)에서 상기 여과용기(10)로 각각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여과용기(10)는 분배수단(200), 용기본체(300), 여과용기상부마개(100) 및 여과용기하부마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300)는 분쇄된 커피가루를 저장하고 상기 물탱크(2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수단(200)은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단에서 일치되게 결합되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분배수단(200)이 상기 용기본체(3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물탱크(20)에서 공급되어 분사되는 물이 상기 용기본체(300)의 벽면을 타고 흐르지 않고 용기본체(300) 내부로 고르게 분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분배수단(200)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물 공급면(210)과 물 통과공(230) 및 중앙낙하 유도수단(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 공급면(210)은 물탱크(20)에서 공급되는 물이 고르게 분사되도록 중심에서 외측 둘레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되, 상기 분배수단(200)의 측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통과공(230)은 상기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물 공급면(210) 전체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통과공(230)은 상기 물 공급면(2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 공급면(210)의 상부에서 상기 물 공급면(210)의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원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서, 물이 물 통과공(230)을 통과할 때, 곧바로 통과하지 않고 직경이 큰 물 통과공(230)의 하부에 맺혀있게 되며 상부에서 유입되면 그 압력으로 물이 분배수단(200) 내부로 떨어져 일정하게 상기 분배수단(200)로 물을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면(210)의 중심에서 외측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물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분배수단(200)의 벽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낙하 유도수단(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낙하 유도수단(240)은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낙하 유도수단(240)이 상기 물 공급면(210)의 상부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물탱크(20)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물 공급면(210)에 떨어진 물의 일부를 물 공급면(210)이 둘레로 흐르지 못하게 하고 여과용기(10)의 중심으로 물이 낙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중앙낙하 유도수단(240)이 상기 물 공급면(210)의 하부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물 공급부(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중앙낙하 유도수단(240) 안에서 통과되는 물이 상기 물 공급면(210)의 하부면을 타고 흘러 상기 용기본체(300)의 벽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수단(200)에는 상기 물 공급면(210)의 끝단에서 상기 분배수단(200)의 측면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물 흐름 차단면(2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공급면(210)과 상기 물 흐름 차단면(220)의 경계부분에는 공급되는 물을 상기 분배수단(200)로 낙하시키기 위한 물 통과공(2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 공급면(210)과 상기 물 흐름 차단면(220)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물 통과공(230)은 사방으로 각각 하나 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낙하 유도수단(240)을 타고 넘어 상기 분배수단(200)의 측면으로 흐르는 물이 상기 물 흐름 차단면(220)과 상기 물 통과공(230)에 의해 분배수단(200)의 측면까지 흐를 수 없게 되어 공급되는 물이 상기 용기본체(300)의 벽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 공급면(2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동일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 흐름 차단면(2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동일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수단(200)의 상부에는 상기 분배수단(200)을 덮을 수 있도록 뚜껑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의 중심부분에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물 공급부(110)를 포함하는 여과용기상부마개(1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용기상부마개(100)의 상면의 둘레 부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상기 물 공급부(110)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추출되는 더치커피의 향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입유도수단(12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용기상부마개(100)는 상기 분배수단(200)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닫게 되어 향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흡입유도수단(120)이 향을 아래로 내려가게 만들어 추출되는 더치커피의 향이 추출액저장용기(30)로 모이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300)의 하부에는 여과용기하부마개(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400)의 상부는 상기 용기본체(300)의 하부 내측면에 삽입되며, 하부는 외측에서 중심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심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추출관(451)이 형성되어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400)는 추출액이 추출액저장용기(30)로 이동되기 편하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400)의 내부에는 추출유도수단(500)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400)는 용기본체삽입부(410), 용기본체밀착부(420), 수직부(430), 용기본체안착부(440), 깔때기부(45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삽입부(410)는 상기 용기본체(30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부 끝단은 상기 용기본체(300)의 내측 둘레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체적으로, 더치거피 추출 시 사용되는 커피가루는 일반적으로 에스프레소 추출 시 사용되는 원두가루 입자의 굵기보다 굵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용기본체삽입부(410)의 둘레는 상기 용기본체(300)의 내측 둘레에서 에스프레소 추출 시 사용되는 원두가루 입자의 굵기만큼 내측으로 이격시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배수단(200)로부터 유입되는 추출액을 모아주기 위하여 상단에서부터 하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400)의 중심을 향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지점이 끝나는 지점부터 일정지점까지 상기 용기본체(300)를 밀착시켜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하며 용기본체(300)와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400)의 긴밀한 결합을 위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중심부분은 일정간격 내측으로 홈(421)이 형성된 용기본체밀착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용기본체밀착부(420)에 의 상기 홈(421)에 실링부재(422)가 삽입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300) 결합 시 상기 용기본체(300)와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400) 사이에 틈을 형성하지 않고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밀착부(420)의 하부에서 일정간격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4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부(430)의 하부에는 용기본체안착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안착부(440)는 상기 용기본체(300)의 하부 끝단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300)의 외측 둘레보다 넓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용기본체안착부(440) 하부에는 깔때기부(4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깔때기부(450)는 추출액이 상기 추출액저장용기(30)로 이동되기 편하도록 외측에서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심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추출관(451)이 구비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깔때기부(450)의 내부에는 추출유도수단(5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추출유도수단(500)은 상기 여과용기(10)의 경사진 내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510)와 간살(520)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몸체(510)는 중앙부가 관통되며 원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살(520)은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400)의 내부 경사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원형의 몸체(510)에서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간살(520)은 4개에서 6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간살(520)의 상부에는 거름망(470)에 안착될 수 있으며, 안기 거름망(470)의 상부에 더치커피 추출을 위한 커피가루가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용기본체삽입부(410)가 상기 용기본체(300)보다 에스프레소 추출 시 사용되는 원두가루의 입자 굵기만큼 작게 형성됨에 따라 에스프레소 추출 시 사용되는 원두가루의 입자 굵기, 즉 일반적으로 더치커피 추출 시 사용되는 커피가루 입자보다 작은 미세한 커피가루가 상기 용기본체삽입부(410)와 상기 용기본체(300) 사이로 빠져나가 상기 용기본체밀착부(42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서 에스프레소 추출 시 사용되는 원두가루와 같은 미세한 커피가루로 인해 추출액이 추출액 저장용기로 이동하지 못하여 더치커피의 추출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커피가루의 분쇄도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물이 공급되면 추출액이 상기 용기본체(300)와 상기 용기본체삽입부(410) 사이로 일부 흘러들게 되어 추출되고 있는 더치커피의 원액의 농도를 추출시간별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깔때기부(450)에 추출유도수단(500)을 삽입시키고 상기 추출유도수단(500)의 상부에 거름망(470)을 올려놓아 추출액이 추출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켜 추출량과 추출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거름망(470)의 상부에 커피가루를 담기 때문에 커피가루가 좁은 추출관(451) 부분에서 뭉쳐 더치커피 추출을 중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치커피가 추출되지 못하고 오랜 시간동안 커피가루가 담긴 분배수단(200)에 머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관(451)의 상부에는 추출액을 추출액저장용기(30)로 이동시킬 수 있는 추출액이동수단(6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액이동수단(600)의 하부는 추출액저장용기(30)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추출액이동수단(600)의 하부가 상기 추출액조정용기의 입구에 삽입된 후 상기 추출액저장용기(30)의 입구에 안착되도록 상기 추출액 이동수단의 중간부분에는 일정간격 돌출되어 형성된 안착부재(6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여과용기(10)가 포함된 더치커피 추출기구의 구조를 추가로 설명하면, 상기 여과용기(1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20)에는 수위조절수단(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물탱크(20)에서 상기 여과용기(10)로 물이 배출되는 간격 및 양에 따라 상기 물탱크(2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항상 만수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양변기에 이용되는 부구를 이용하여 수위조절을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여과용기(10)에 적정량의 물을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용기(10)와 상기 물탱크(20)를 연결하는 노즐(21)에는 솔레노이드밸브(22)가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솔레노이드밸브(22)와 함께 타이머컨트롤러(95)를 구비하여 여과용기(10)에 물을 공급하는 시간 및 양을 제어할 수 있다.
1: 더치커피 추출 기구
10: 여과용기
100: 여과용기상부마개
200: 분배수단
300: 용기본체
400: 여과용기하부마개
500: 추출유도수단

Claims (6)

  1. 내부에 물을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탱크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상기 물탱크와 노즐로 연결되며 분쇄된 커피가 저장되는 여과용기, 및 상기 여과용기 하부에 위치하며 더치커피 추출액을 저장하는 추출액저장용기를 포함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로서,
    상기 여과용기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형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용기본체 내부로 분사되도록 중심에서 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물 공급면과, 상기 물 공급면의 끝단에서 상기 측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물 흐름 차단면과, 상기 물 공급면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면서 다수로 형성되는 원형의 물 통과공과, 상기 물 공급면의 중심에서 외측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공급되는 물이 여과용기의 벽면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앙낙하 유도수단을 포함하는 분배수단;
    상기 분배수단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 공급부가 형성된 여과용기상부마개;
    상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내측면에 삽입되고, 하부는 깔때기 형태로 이루어진 여과용기하부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물 통과공은
    하부면이 상부면 보다 넓은 직경으로 관통되어 형성됨으로써 물이 상기 물 통과공을 통과할 때 곧바로 통과하지 않고 직경이 큰 물 통과공의 하부면에 맺혀있다가 상부면에서 물이 유입되면 그 압력으로 물이 용기본체 내부로 낙하되며,
    각각의 물통과공이 상기 물 공급면과 동심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원을 그리면서 형성되되, 상기 물 공급면의 중심에서 외측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 내부에는
    중앙부가 관통되며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여과용기하부마개의 내부 경사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원형의 몸체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간살이 포함되는 추출유도수단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살의 상부에는 거름망이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 커피가루가 담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용기상부마개의 상면에는
    상면의 둘레부분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부터 상기 물 공급부까지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추출되는 더치커피의 향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입유도수단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여과용기하부마개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용기본체의 둘레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삽입되며 내측으로 경사진 용기본체삽입부와,
    상기 용기본체삽입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가 밀착되도록 실링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용기본체밀착부와,
    상기 용기본체밀착부의 하부면의 일정간격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용기본체안착부와,
    상기 용기본체안착부의 하부에서 중심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심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추출관이 형성되는 깔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 기구.
KR1020150077352A 2015-06-01 2015-06-01 더치커피 추출 기구 KR10166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52A KR101661489B1 (ko) 2015-06-01 2015-06-01 더치커피 추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52A KR101661489B1 (ko) 2015-06-01 2015-06-01 더치커피 추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489B1 true KR101661489B1 (ko) 2016-09-30

Family

ID=5707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352A KR101661489B1 (ko) 2015-06-01 2015-06-01 더치커피 추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4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880B1 (ko) * 2019-04-16 2020-10-05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KR102490282B1 (ko) 2021-08-25 2023-01-19 주식회사 오즈커피컴퍼니 더치커피의 농도편차를 줄이기 위한 물 공급 구조 개선형 더치커피 추출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KR200470316Y1 (ko) 2013-03-07 2013-12-06 유준희 더치커피기구
KR20130007346U (ko) * 2012-06-15 2013-12-26 손연옥 워터드립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392192B1 (ko) 2013-01-21 2014-05-08 정삼규 온도조절 및 살균 시스템을 탑재한 더치커피 추출기
KR20140121734A (ko) * 2013-04-08 2014-10-16 박상구 더치커피 추출기용 밸브
KR20160018113A (ko) * 2014-08-08 2016-02-17 한동희 더치 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KR20130007346U (ko) * 2012-06-15 2013-12-26 손연옥 워터드립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392192B1 (ko) 2013-01-21 2014-05-08 정삼규 온도조절 및 살균 시스템을 탑재한 더치커피 추출기
KR200470316Y1 (ko) 2013-03-07 2013-12-06 유준희 더치커피기구
KR20140121734A (ko) * 2013-04-08 2014-10-16 박상구 더치커피 추출기용 밸브
KR20160018113A (ko) * 2014-08-08 2016-02-17 한동희 더치 커피 추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880B1 (ko) * 2019-04-16 2020-10-05 농업회사법인 신토불이 주식회사 다중노즐을 겸비한 더치커피 제조장치
KR102490282B1 (ko) 2021-08-25 2023-01-19 주식회사 오즈커피컴퍼니 더치커피의 농도편차를 줄이기 위한 물 공급 구조 개선형 더치커피 추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854B2 (en) Apparatus and products for produc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RU257811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гирования напитка
KR200466331Y1 (ko) 수동형 커피 드립퍼
EP2020890A1 (en) Method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particularly from a cartridge with crema generating septum, and beverage obtainable from the method
US4027582A (en) Art of brewing individual servings of coffee in a cup
US20170360251A1 (en) Pour over beverage system
US7685932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water
KR20150059734A (ko) 드립 커피 제조기
US20130045307A1 (en) Brew Cartridge
KR101190168B1 (ko) 차 제조장치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KR101806222B1 (ko) 드립 커피 머신
KR101661489B1 (ko) 더치커피 추출 기구
US20150305544A1 (en) Multi-style brewer
KR20170128694A (ko) 콜드 브루용 캡슐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CN106028883A (zh) 在离心咖啡机中从胶囊制备具有克丽玛的大杯咖啡的方法、胶囊及其液体咖啡提取物
CN112601478A (zh) 用于从悬浮物分离提取物的系统和方法
US10390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KR101681066B1 (ko) 복수의 드리퍼들 중 선택되는 한 쌍의 드리퍼를 구비한 드립 커피 추출기
KR101641909B1 (ko) 더치커피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KR20220013274A (ko) 향의 휘발을 방지해주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944293B1 (ko) 1 회용 더치커피 캡슐
KR20190009997A (ko) 카트리지용 상향 추출식 음료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