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487U -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 Google Patents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487U
KR20130004487U KR2020120000285U KR20120000285U KR20130004487U KR 20130004487 U KR20130004487 U KR 20130004487U KR 2020120000285 U KR2020120000285 U KR 2020120000285U KR 20120000285 U KR20120000285 U KR 20120000285U KR 20130004487 U KR20130004487 U KR 201300044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asket
drip
compartments
in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512Y1 (ko
Inventor
강명곤
Original Assignee
강명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곤 filed Critical 강명곤
Priority to KR2020120000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12Y1/ko
Priority to PCT/KR2013/000252 priority patent/WO2013105818A1/ko
Publication of KR20130004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4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두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가진 수용부와, 커피액을 하방으로 드립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된 추출부재; 및 상기 추출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추출부재의 수용부 중심에 대하여 동심구조로 배열되고 각각의 바닥에는 통공이 마련된 복수개의 격실을 가진 급수부재;를 포함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COFFEE BASKET FOR DRIP COFFEE}
본 고안은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두 분말에 물을 골고루 부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립 커피는, 로스팅(Roasting)한 원두를 분쇄한 후 드립 포트를 이용해 뜨거운 물을 원두 분말에 천천히 부어서 커피액을 내리는 추출법에 의해 제조된다.
드립 커피의 추출을 위해서는, 먼저 드리퍼(Dripper) 내에 여과지나 메쉬 형태의 필터를 장착하고 커피를 음용할 인원수에 걸맞게 원두 분말을 투입한다. 다음, 드리퍼를 용기 위에 올려놓고, 길고 가느다란 주입부를 가진 드립 포트를 이용하여 천천히 드리퍼 내의 원두 분말에 뜨거운 물을 붓는다.
바리스타(Barista)는 물을 부을 때 드립 포트를 움직여서 원을 그리면서 원두 분말에 골고루 물을 부어야 하는데, 물을 붓는 방식이나 시간 등에서 따라 원두커피의 맛은 많은 차이가 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드립커피는 커피메이커에 의해 자동으로 추출되는 에스프레소 커피(Espresso coffee)나 아메리칸 커피(American coffee)에 비해 향이나 맛이 뛰어나고, 바리스타의 드립 포트 사용 스타일에 따라서도 향이나 맛에 많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드립 커피는 바리스타가 아닌 일반인도 제조할 수는 있으나, 커피를 만드는 사람에 따라 맛과 향의 차이가 현저하고, 원두 분말에 정확히 물을 붓기 위해서는 고가의 전용 드립 포트의 사용이 필수적이므로 대중화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특히, 드립 커피는 커피를 음용할 인원수에 따라 드리퍼 내에 투입되는 원두 분말의 양이 시시각각 달라지므로 드립 포트의 사용시 많은 불편함이 있고 숙달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내부에 투입된 원두 분말의 양에 걸맞게 물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추출부재 내에 투입된 원두 분말의 상부 면적에 대응하여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격실을 구비한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을 개시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은 원두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가진 수용부와, 커피액을 하방으로 드립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된 추출부재; 및 상기 추출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추출부재의 수용부 중심에 대하여 동심구조로 배열되고 각각의 바닥에는 통공이 마련된 복수개의 격실을 가진 급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격실은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격실들 사이에는 인접한 격실 간을 연통시키는 통로가 형성된 격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격실은 급수부재의 중심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바닥이 낮아지도록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 급수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추출부재의 수용부 중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격실과 연통 가능한 제1 주입공과,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격실과 연통 가능한 제2 주입공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제1 주입공과 제2 주입공 방향으로 각각 기울어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재는, 메쉬 구조를 가진 상광하협 형상의 필터용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추출부재는, 하단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광하협 형상의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벽에 위치하는 여과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추출부재 및 급수부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원통형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원통형 지지부재의 측면에 부착되어 선택적으로 바깥으로 펼쳐지는 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은 상기 원통형 지지부재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두 분말의 투입량에 걸맞게 물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커피를 음용할 인원수에 상응하는 원두 커피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을 적용할 경우 고가의 전용 드립 포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원두 분말에 정확히 물을 붓는 것이 가능하므로 드립 커피의 대중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이 커피용기에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소량의 원두 분말이 투입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다량의 원두 분말이 투입된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은 원두 분말이 투입되는 추출부재(100)와, 추출부재(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급수부재(110)와, 추출부재(100) 및 급수부재(110)의 어셈블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원통형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추출부재(100)는 로스팅 및 분쇄 과정을 거쳐서 제공되는 원두 분말을 내부에 수용하고, 뜨거운 물을 공급받아 커피액을 하방으로 드립시키는 드리퍼의 기능을 제공한다. 추출부재(100)는 원두 분말을 수용하도록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가진 수용부(102)와, 커피액을 하방으로 드립시키는 배출구(101)가 형성된 몸체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추출부재(100)는 몸체에 배출구(101)가 다수 형성된 금속 및/또는 수지 재질의 메쉬(Mesh) 구조로 이루어진 상광하협 형상의 필터용기에 의해 제공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대안으로 추출부재(100)는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상광하협 형상의 호퍼(Hopper)와, 상기 호퍼의 내벽에 위치하는 여과지를 구비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부재(110)는 추출부재(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추출부재(100)에 수용된 원두 분말의 상부 면적에 대응하는 물 공급기능을 제공한다.
급수부재(110)는 추출부재(100)의 수용부(102)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구조를 이루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격실(111)을 구비한다. 급수부재(110)에 형성된 각 격실(111)의 바닥에는 수용부(102) 방향으로의 유로를 제공하는 통공(112)이 마련된다. 복수개의 격실(111) 중에서, 물이 공급되는 격실(111)은 추출부재(100)에 수용된 원두 분말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1~2인이 음용할 원두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원두 분말이 추출부재(100)의 수용부(102) 가운데 부분에만 소량 담긴 경우에는 급수부재(110)에 있어서 가장 중심에 위치한 격실(111)에만 물이 공급되고, 4인 이상이 음용할 원두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원두 분말이 충분히 많이 담겨서 모든 격실(111)에 대응하는 상부 면적을 갖는 경우에는 모든 격실(111)에 물이 공급된다.
급수부재(110)에 있어서 복수개의 격실(111)은 격벽(113)에 의해 상호 격리되는데, 이때 각 격벽(113)에는 인접한 격실(111) 간을 연통시켜 유로를 제공하는 통로(114)가 마련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격실(111)은 급수부재(110)의 중심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바닥이 낮아지도록, 즉 수용부(102)쪽에 가깝도록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외곽에 위치한 격실(111)에 물을 공급하더라도 해당 격실(111)에 물이 채워짐과 동시에 통로(114)를 경유하여 인접한 안쪽 격실(111)로도 물이 유입되어 급수부재(110) 전체에 걸쳐 균일한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급수부재(110)의 상부에는, 특정 격실(111)에 대한 물 붓기 작업의 정확도와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가이드부재(120)가 마련된다. 가이드부재(120)와 급수부재(110)는 상호 별개의 몸체, 또는 상호 일체화된 몸체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0) 및/또는 급수부재(110)의 소재로는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세라믹, 스테인레스 스틸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0)는, 상대적으로 급수부재(110)의 안쪽에 위치한 격실(111)과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한 격실(111)을 구분하여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주입공(121,123,125)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120)는 추출부재(100)의 수용부(102) 중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격실(111)과 연통 가능한 제1 주입공(121)과, 제1 주입공(121)에 비해 바깥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격실(111)과 연통 가능한 제2 주입공(123)과, 제2 주입공(123)에 비해 바깥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격실(111)과 연통 가능한 제3 주입공(125)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제3 주입공(125)은 제2 주입공(123)과 연통되는 격실(111)과도 연통 가능하도록 일부가 안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주입공(123)은 제1 주입공(121)과 연통되는 격실(111)과도 연통 가능하도록 일부가 안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0)에는 제1 주입공(121), 제2 주입공(123) 및 제3 주입공(125) 방향으로 각각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물이 원활히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122,124,126)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재(120)에는 제1 주입공(121), 제2 주입공(123) 및 제3 주입공(125)을 각각 격리시키기 위한 칸막이(127)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미사용시 주입공(121,123,125)을 통해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재(120)에는 상부를 개폐하는 보호캡(1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호캡(140)은 가이드부재(120)의 상부에 스크류 결합되거나 압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원통형 지지부재(130)는 추출부재(100), 급수부재(110) 및 가이드부재(120)의 어셈블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원통형 지지부재(130)는 추출부재(10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하단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부가적으로, 상기 보호캡(140)은 원통형 지지부재(13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커피 추출이 완료되었을 때 임시적으로 보호캡(140)을 원통형 지지부재(130)의 하단에 결합하여 추출부재(100)의 하단에 잔류하는 미량의 커피액이 바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용시 원통형 지지부재(130)의 하단에는 상부로부터 추출되는 커피액을 담기 위한 커피용기(20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원통형 지지부재(130)의 하단부에는 커피용기(200)의 상부 테두리단 위에 지지부재(130)를 걸쳐놓기 위한 돌출부(1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지지부재(130)의 직경보다 큰 개구부를 가진 커피용기(20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지지부재(130)의 측면에 형성된 윙 부재(131)를 이용하여 원통형 지지부재(130)를 커피용기(200) 위에 걸쳐놓는 것도 가능하다. 윙 부재(131)는 선택적으로 바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원통형 지지부재(13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사용예로서 커피 음용 인원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에 비해 커피 음용 인원수가 다수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두 분말이 추출부재(100)의 수용부(102) 가운데 부분에만 소량 투입된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여 급수부재(110)의 가장 중심에 위치한 격실(111)에만 물을 공급한다. 이 경우 가이드부재(120)의 중앙에 형성된 주입공(121)을 통해 천천히 뜨거운 물을 부으면 그 하부에 위치한 중심 부분의 격실(111)에 물이 유입되고 격실(111) 바닥에 형성된 통공(112)을 통해 물이 하방으로 배출되어 추출부재(100)의 수용부(102) 가운데 부분에만 투입된 원두 분말로 정확히 떨어짐으로써 커피액의 추출이 진행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두 분말이 추출부재(100) 내에 충분히 많이 담겨서 모든 격실(111)에 대응하는 넓은 면적을 갖는 경우에는 모든 격실(111)에 물을 공급한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부재(120)의 최외곽에 형성된 주입공(125)을 통해 천천히 뜨거운 물을 부으면 그 하부에 위치한 최외곽 및 그에 인접한 격실(111)에 물이 유입되고 격실(111) 바닥에 형성된 통공(112)을 통해 물이 하방으로 배출되는 동시에 인접한 안쪽 격실(111)로도 순차적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하방으로 배출되어 원두 분말 전체에 골고루 떨어짐으로써 커피액의 추출이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두 분말의 투입량에 걸맞게 물을 균일하게 공급함으로써 커피를 음용할 인원수에 상응하는 원두 커피를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서 급수부재(110)는 3개의 격실(111)을 가지고, 그에 따라 가이드부재(120)도 3개의 칸막이(127)에 의해 3개의 공간으로 격리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격실(111)과 칸막이(127) 및 칸막이에 의해 격리되는 공간의 수는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100: 추출부재 101: 배출구
102: 수용부 110: 급수부재
111: 격실 112: 통공
113: 격벽 114: 통로
120: 가이드부재 121: 제1 주입공
122,124,126: 경사면 123: 제2 주입공
125: 제3 주입공 127: 칸막이
130: 원통형 지지부재 131: 윙 부재
132: 돌출부 140: 보호캡
200: 커피용기

Claims (11)

  1. 원두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가진 수용부와, 커피액을 하방으로 드립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된 추출부재; 및
    상기 추출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추출부재의 수용부 중심에 대하여 동심구조로 배열되고 각각의 바닥에는 통공이 마련된 복수개의 격실을 가진 급수부재;를 포함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격실은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격실들 사이에는 인접한 격실 간을 연통시키는 통로가 형성된 격벽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격실은 중심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바닥이 낮아지도록 계단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추출부재의 수용부 중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격실과 연통 가능한 제1 주입공과,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격실과 연통 가능한 제2 주입공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제1 주입공과 제2 주입공 방향으로 각각 기울어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재는 메쉬 구조를 가진 상광하협 형상의 필터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재는, 하단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광하협 형상의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벽에 위치하는 여과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재 및 급수부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원통형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지지부재의 측면에 부착되어 선택적으로 바깥으로 펼쳐지는 윙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를 개폐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이 상기 원통형 지지부재의 하단에 착탈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2020120000285U 2012-01-11 2012-01-11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200469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85U KR200469512Y1 (ko) 2012-01-11 2012-01-11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PCT/KR2013/000252 WO2013105818A1 (ko) 2012-01-11 2013-01-11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285U KR200469512Y1 (ko) 2012-01-11 2012-01-11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487U true KR20130004487U (ko) 2013-07-19
KR200469512Y1 KR200469512Y1 (ko) 2013-10-16

Family

ID=4878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285U KR200469512Y1 (ko) 2012-01-11 2012-01-11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9512Y1 (ko)
WO (1) WO20131058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40B1 (ko) * 2019-09-27 2020-09-03 강정모 커피 드리퍼용 물분배기구
KR102152536B1 (ko) * 2019-10-08 2020-09-04 이기룡 커피 드리퍼
KR102156392B1 (ko) * 2019-09-27 2020-09-15 강정모 커피메이커를 이용한 커피 드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3160B2 (en) * 2018-01-08 2022-01-04 Mark Tsigounis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TWI747781B (zh) * 2021-04-16 2021-11-21 品勝實業股份有限公司 滴漏分流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402A (ja) * 1996-12-26 1998-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ー沸かし器
JP4020790B2 (ja) 2003-01-10 2007-12-1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および飲料抽出に用いる注入部材
KR100493313B1 (ko) * 2003-03-21 2005-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 메이커
JP2005296598A (ja) 2004-04-15 2005-10-27 Noriko Kubo ハンドドリップ用抽出器
WO2010071297A2 (ko) * 2008-12-15 2010-06-24 Ahn Seung Dae 커피드립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40B1 (ko) * 2019-09-27 2020-09-03 강정모 커피 드리퍼용 물분배기구
KR102156392B1 (ko) * 2019-09-27 2020-09-15 강정모 커피메이커를 이용한 커피 드립 방법
KR102152536B1 (ko) * 2019-10-08 2020-09-04 이기룡 커피 드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818A1 (ko) 2013-07-18
KR200469512Y1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854B2 (en) Apparatus and products for produc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9580235B2 (en) Interchangeable capsule for preparing an infusion of coffee, and method for obtaining an infusion of said coffee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RU2598565C2 (ru) Сменная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стоя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продукта и соответственны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акого настоя
KR101246888B1 (ko) 커피드리퍼용 물흘림구
KR200459398Y1 (ko) 드리퍼가 구비된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EA031270B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капсула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JP2017500084A (ja) 飲料を浸出するための器具および方法
KR200466331Y1 (ko) 수동형 커피 드립퍼
CN105848538A (zh) 饮料机
US20130118358A1 (en) Beverage preparation and dispensing system
KR101453921B1 (ko)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KR200464674Y1 (ko) 커피 추출용 워터드립장치
KR101862483B1 (ko) 스파이럴 커피 드리퍼
KR101860740B1 (ko) 콜드 브루용 캡슐
KR20170111996A (ko)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JP2007516764A (ja) 篩を組み込んだフィルター支持体を有するコーヒーメーカー
KR200475904Y1 (ko) 커피 드립퍼 및 이를 위한 수량 조절 기구
IT201600093576A1 (it)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KR101661489B1 (ko) 더치커피 추출 기구
KR20130007346U (ko) 워터드립용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288241B1 (ko)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CN103767462A (zh) 设置滤网杯芯的茶杯
CN106136777A (zh) 一种可重复使用的胶囊饮品冲调杯
CN207071044U (zh) 冲泡饮料的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