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996A -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 Google Patents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996A
KR20170111996A KR1020160038402A KR20160038402A KR20170111996A KR 20170111996 A KR20170111996 A KR 20170111996A KR 1020160038402 A KR1020160038402 A KR 1020160038402A KR 20160038402 A KR20160038402 A KR 20160038402A KR 20170111996 A KR20170111996 A KR 20170111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rip
rib
shape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안
최은정
Original Assignee
(주)메가크리에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가크리에이트 filed Critical (주)메가크리에이트
Priority to KR1020160038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996A/ko
Publication of KR2017011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두분말에 물을 부어 커피를 수동으로 내리는 핸드 드리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두의 분말에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구멍 및 커피의 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 개의 리브(rib)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의 드립몸체와 상기 드립몸체에 구비되는 드립손잡이로 구성되는 핸드 드리퍼에 있어, 상기 드립몸체는 그 상하단부에서 중간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브도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드립몸체 내측으로 얹어지는 여과지와 리브 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공기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리브의 완만한 내부곡면으로 인해 커피추출을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하여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A Coffee Hand Dripper}
본 발명은 원두분말에 물을 부어 커피를 수동으로 내리는 핸드 드리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두의 분말에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구멍 및 커피의 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 개의 리브(rib)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의 드립몸체와 상기 드립몸체에 구비되는 드립손잡이로 구성되는 핸드 드리퍼에 있어, 상기 드립몸체는 그 상하단부에서 중간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브도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드립몸체 내측으로 얹어지는 여과지와 리브 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공기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리브의 완만한 내부곡면으로 인해 커피추출을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하여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이 가장 선호하는 애호식품 중 하나가 커피이다.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 중 하나는 핸드 드립식 추출법으로, 이는 핸드 드리퍼에 여과지를 얹고 커피분말을 넣은 후, 뜨거운 물을 부어 드리퍼 내에서 커피분말이 물에 충분히 용해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천천히 추출하여 맛과 향을 보존하는 추출방식이다.
종래의 커피 핸드 드리퍼(dripper)란, 커피 생두를 약하게 또는 강하게 볶은(로스팅) 후, 볶아진 원두를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여 적정 온도의 물을 분쇄한 원두분말에 부어 커피원두가 갖고 있는 고유의 맛과 향을 기호에 맞게 적절하게 추출해내는 장치를 말한다.
처음에는 원두분말과 추출액의 용이한 분리를 위해 고안되어 사용되었으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드리퍼의 형태와 필터의 선택 사항에 따라 서로 다른 독특한 맛과 향의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로서 자리매김을 하였다. 원두커피는 커피 분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조건에 의해 커피의 맛과 향이 다르게 추출되는데, 일반적으로 물의 온도와 양, 커피 원두의 분쇄된 크기와 분말의 양, 그리고 커피 드리퍼의 구조상의 여과 조건에 따라, 추출 후의 커피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드립 커피의 제조 방식은 커피 세계에서 가장 흔한 커피 제조 방식으로서, 자동식 기구와 수동식 기구로 나뉘게 되며, 수동식 기구를 쓰면 커피를 개개인의 기호에 맞게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는, 커피 드리퍼에 종이필터를 착지시키고 분쇄된 커피 분말을 종이 여과지(필터)에 넣은 다음, 가는 물이 나오는 주둥이가 구비된 주전자에 약 80∼90℃의 뜨거운 물을 사람의 손으로 주전자 주둥이 끝을 돌리면서 부어주면 간단하게 원하는 커피를 내릴 수 있다.
이렇게 직접 손으로 뜨거운 물을 부어서 만드는 드립 커피를 핸드 드립 커피라 하며, 이때의 종이 필터를 받치는 장치를 드립퍼라고 하고, 드립퍼를 받치며 내려진 커피를 담는 용기를 서버라고 일컫는다.
종래의 일반적인 드리퍼는 커피 분말에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구멍과 커피의 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 대의 리브가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피 드리퍼의 구성으로는 등록특허 제10-1543151호의 온도차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물을 내려줄 수 있는 드립퍼,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3732호의 커피드립퍼,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474호의 커피드리퍼 등등 여러 형태의 커피 드리퍼가 개시되어 있다.
KR 10-1543151 (등록번호) 2015.08.03. KR 20-2014-0003732 (공개번호) 2014.06.18. KR 20-2012-0003474 (공개번호) 2012.05.18.
원두커피는 커피 분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조건에 의해 커피의 맛과 향이 다르게 추출된다. 즉, 물의 온도와 양, 커피 원두의 분쇄된 크기와 분말의 양, 그리고 커피 드리퍼의 구조상의 여과 조건에 따라 커피가 추출되는 시간이 다르고 맛과 향도 다르게 된다.
종래의 드리퍼는 단순한 깔떼기 형상의 몸체 내부에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리브는 천편일률적으로 그 굵기가 작고 직선으로 되어 있어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외부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커피의 추출의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두의 분말에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구멍 및 커피의 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 개의 리브(rib)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의 드립몸체와 상기 드립몸체에 구비되는 드립손잡이로 구성되는 핸드 드리퍼에 있어, 상기 드립몸체는 그 상하단부에서 중간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상기 리브도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드립몸체 내측으로 얹어지는 여과지와 리브 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공기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리브의 완만한 내부곡면으로 인해 커피추출을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하여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립몸체에 형성되는 리브를 내측으로 볼록하게 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측이 넓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홈부도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상부측의 넓은 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소통을 원활히 하면서 리브의 완만한 곡면으로 인해 커피의 추출을 드리퍼 전 영역에서 골고루 수행되어 커피맛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선의 여과지(필터)와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만 가능하게 하여 리브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제공할 수 있는 커피 드리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립몸체를 고니의 몸체형상로 하고 드립손잡이를 고니의 목과 머리형상으로 하여 핸드 드리퍼의 형상을 구성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추구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피를 내리는 핸드 드리퍼에 있어서,
상단부측으로 가면서 확장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부측으로 가면서 축소되어 하부면에 커피추출구가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된 드립몸체와, 상기 드립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드립손잡이, 상기 드립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몸체지지부, 및 상기 몸체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피추출구를 통해 추출되는 커피가 드립되어 저장되는 서버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드립몸체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중간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라운드형상으로 된 다수 개의 내측리브가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리브들 사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다수 개의 외측리브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는 드립몸체의 상하단부에서 중간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몸체 내측으로 구비되는 리브도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드립몸체 내측으로 얹어지는 여과지(필터)와 리브 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공기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리브의 완만한 내부곡면으로 인해 커피추출을 오래 지속하여 커피의 독특한 맛과 향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립몸체에 형성되는 리브를 내측으로 볼록하게 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측이 넓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홈부도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상부측의 넓은 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소통을 원활히 하면서 리브의 완만한 곡면으로 인해 커피의 추출을 드리퍼 전 영역에서 균일하게 수행되어 커피맛이 균일하게 추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직선의 여과지(필터)와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만 가능하게 하여 리브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원활한 흐름이 제공되어 드리퍼 전 영역에서 커피 추출이 균일하게 수행되어 커피맛이 균일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립몸체를 고니의 몸체형상로 하고 드립손잡이를 고니의 목과 머리형상으로 하여 핸드 드리퍼의 형상을 구성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의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의 개략적인 평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의 요부에 대한 절개확대도(a)와 커피가 드립되는 상태단면도(b)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의 요부에 대한 절개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부측으로 가면서 확장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부측으로 가면서 축소되어 하부면에 커피추출구(111)가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된 드립몸체(110)와,
상기 드립몸체(110)의 상단에 설치되어 그 단부가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드립손잡이(120),
상기 드립몸체(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몸체지지부(130), 및
상기 몸체지지부(1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피추출구(111)를 통해 추출되는 커피가 드립되어 저장되는 서버용기(140)로 구성되되,
상기 드립몸체(110)는 그 상단부(A)와 하단부(B)로부터 중간부(C)로 갈수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라운드형상으로 된 다수 개의 내측리브(112, rib)가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리브(112)들 사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113a)가 형성되는 다수 개의 외측리브(113)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상기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100)는 상기 드립몸체(110)의 내부측으로 종이필터(150,여과지)를 착지시키고(얹고) 분쇄된 원두커피 분말을 종이 필터(150,여과지)에 넣은 다음, 가는 물이 나오는 주둥이가 구비된 주전자에 약 80∼90℃의 뜨거운 물을 사람의 손으로 주전자 주둥이 끝을 돌리면서 부어주면 간단하게 원하는 커피를 상기 서버용기(140) 내부로 내릴 수 있다.
이때 원두커피는 라운드형상으로 된 다수 개의 내측리브(112)의 곡면을 따라 서서히 상기 서버용기(140)의 내부 바닥으로 흘러 내려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리브(112)는 상기 드립몸체(110)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형상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구비되되, 상부측은 넓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리브(112)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외측리브(113)도 외부공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공간부(113a)의 상부측은 넓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리브(112)와 상기 외측리브(113)는 상호 교호적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리브 전체에서 구배가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상기 드립몸체(110)가 지면에 수평으로 절단되었을 시, 상기 내측리브(112)와 상기 외측리브(113)는 연속으로 서로 이웃하면서 형성됨으로써, 리브 전체에서 구배가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드립몸체(110)에 있어, 상기 상단부(A)와 상기 하단부(B)를 가상의 직선으로 연결할 때에 상기 중간부(C)가 상기 가상의 직선에서 가장 멀리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립몸체(110)는 상기 상단부(A)와 상기 하단부(B)로부터 상기 중간부(C)로 갈수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핸드 드리퍼(100)는 상기 드립몸체(110)의 형상을 고니의 몸통부 모양으로 하고 상기 드립손잡이(120)의 형상을 고니의 목부와 머리부 모양으로 하여 전체가 고니의 모양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인테리어의 효과를 내어 활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드립몸체(110)의 상단에 설치되어 그 단부가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기 드립손잡이(120)는 상단부가 상기 외측리브(113)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공간부(113a)에 구비되면서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그 하단부는 상기 몸체지지부(130)와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분말을 담지한 여과지(150)를 상기 드립몸체(110)의 내부로 얹어놓게 되면 상기 내측리브(112)의 상기 중간부(C)에서 방사상으로 상기 내측리브(112)의 개수만큼 점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 내측리브(112)의 라운드 형상이 상기 드립몸체(110)의 내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선의 여과지(필터)와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만 가능하게 하여 상기 리브들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원활한 흐름이 제공되어 드리퍼 전 영역에서 커피 추출이 균일하게 수행되어 커피맛이 균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핸드 드리퍼(100)를 이용하여 커피를 내리는 절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립몸체(110)의 내측으로 상기 여과지(150)을 착지시킨다.
이어 상기 여과지(150)에 원두 분말을 넣게 되면 그 자체(분말)의 무게에 의해 상기 여과지(150)의 외부면이 상기 내측리브(112)의 라운드 형상의 곡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리브(112)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리브(113)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기 공간부(113a)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여과지(150)의 외부면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는 물이 나오는 주둥이가 구비된 주전자에 약 80∼90℃의 뜨거운 물을 사람의 손으로 주전자 주둥이 끝을 돌리면서 원두 분말을 행해 부어주면 원두분말이 상기 여과지(150)를 빠져나와 상기 리브(112,113)를 따라 흘러 내리면서 상기 서버용기(140) 내부로 떨어져 드립된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113a)는 그 상부측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공기의 유입속도가 느려지고, 또 상기 내측리브(112)는 상부측이 넓고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드립되는 커피가 일정하면서도 서서히 오랜 시간을 거쳐 일정하게 유지될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는 원두의 분말에 물을 부어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구멍 및 커피의 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 개의 리브(rib)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의 드립몸체와 상기 드립몸체에 구비되는 드립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드립몸체는 그 상하단부에서 중간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리브도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드립몸체 내측으로 얹어지는 여과지와 리브 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외부공기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면서 리브의 완만한 내부곡면으로 인해 커피추출을 오래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립몸체에 형성되는 리브를 내측으로 볼록하게 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측이 넓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홈부도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상부측의 넓은 홈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소통을 원활히 하면서 리브의 완만한 곡면으로 인해 커피의 추출을 오래 지속시키면서 내릴 수 있어 커피의 독특한 맛과 향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립몸체를 고니의 몸체형상로 하고 드립손잡이를 고니의 목과 머리형상으로 하여 핸드 드리퍼의 형상을 구성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100: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110:드립몸체
111:커피추출구 112:내측리브 113:외측리브
113a:공간부
120:드립손잡이
130:몸체지지부
140:서버용기
150:여과지

Claims (7)

  1. 커피를 내리는 핸드 드리퍼에 있어서,
    상단부측으로 가면서 확장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부측으로 가면서 축소되어 하부면에 커피추출구가 형성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된 드립몸체와,
    상기 드립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드립손잡이,
    상기 드립몸체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몸체지지부, 및
    상기 몸체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피추출구를 통해 추출되는 커피가 드립되어 저장되는 서버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드립몸체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중간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라운드형상으로 된 다수 개의 내측리브가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리브들 사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다수 개의 외측리브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리브는 상기 드립몸체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 형상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구비되되, 상부측은 넓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내측리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외측리브도 상기 공간부의 상부측은 넓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몸체가 지면에 수평으로 절단되었을 시, 상기 외측리브와 상기 내측리브는 연속되어 있어, 리브 전체에서 구배가 형성되어 있는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를 가상의 직선으로 연결할 때에 상기 중간부가 상기 가상의 직선에서 가장 멀리 위치되는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몸체의 형상을 고니의 몸통부 모양으로 하고, 상기 드립손잡이의 형상을 고니의 목부와 머리부 모양으로 하여, 고니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그 단부가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기 드립손잡이는 상단부가 상기 외측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공간부에 고정되면서 하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되 그 끝단부는 상기 몸체지지부와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7. 제5항에 있어서,
    커피 분말을 담지한 여과지와 상기 내측리브는 상기 중간부에서 상기 내측리브의 개수만큼 점접촉이 이루어지는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KR1020160038402A 2016-03-30 2016-03-30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KR20170111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402A KR20170111996A (ko) 2016-03-30 2016-03-30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402A KR20170111996A (ko) 2016-03-30 2016-03-30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996A true KR20170111996A (ko) 2017-10-12

Family

ID=6014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402A KR20170111996A (ko) 2016-03-30 2016-03-30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99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440B1 (ko) * 2018-03-08 2019-04-05 김영태 커피 드립 장치
KR20190054906A (ko) 2017-11-13 2019-05-22 이형교 커피 드리퍼
KR20190127166A (ko) 2018-05-03 2019-11-13 김형찬 핸드드립 머신과 이를 이용한 핸드드립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054690A (ko) 2018-11-12 2020-05-20 (주)드립플랜 드리퍼 위치 고정구
KR20220003953A (ko) 2020-07-02 2022-01-11 주식회사 태성에스엠티 핸드 드립 캡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핸드 드립 내리는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906A (ko) 2017-11-13 2019-05-22 이형교 커피 드리퍼
KR101935440B1 (ko) * 2018-03-08 2019-04-05 김영태 커피 드립 장치
WO2019172585A1 (ko) * 2018-03-08 2019-09-12 김영태 커피 드립 장치
KR20190127166A (ko) 2018-05-03 2019-11-13 김형찬 핸드드립 머신과 이를 이용한 핸드드립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200054690A (ko) 2018-11-12 2020-05-20 (주)드립플랜 드리퍼 위치 고정구
KR20220003953A (ko) 2020-07-02 2022-01-11 주식회사 태성에스엠티 핸드 드립 캡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핸드 드립 내리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1996A (ko) 커피드립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 드리퍼
US5746113A (en) Infusion vessel
US10517421B2 (en) Coffee and tea brewing system and method
KR101467397B1 (ko) 더치커피 제조용구로 전용 가능한 컵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더치커피 제조용구
KR200464674Y1 (ko) 커피 추출용 워터드립장치
JP3221238U (ja) プアオーバーケトル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CN105875934A (zh) 一种柠檬红茶及其制备工艺
JP4476316B2 (ja) 茶漉し付きティーポット
JP2008516728A (ja) コーヒーカートリッジ用ファンネルインサート
CN205338640U (zh) 一种隔水蒸茶养生壶
KR101681066B1 (ko) 복수의 드리퍼들 중 선택되는 한 쌍의 드리퍼를 구비한 드립 커피 추출기
KR20150012440A (ko) 커피 핸드 드립퍼
EP3554319B1 (en) Steep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brewing a beverage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US1761633A (en) Drip-coffee maker
KR200404021Y1 (ko) 여과기가 마련된 종이컵
JP2814400B2 (ja) コーヒー淹れ器
WO2015151382A1 (ja) 緑茶抽出用具
KR20120003474U (ko) 커피 드리퍼
KR20120002920U (ko) 커피 핸드 드립용 보조기구
JP7100354B2 (ja) コーヒードリッパー
TWI772236B (zh) 手沖導水杯及手沖裝置組合
KR200418154Y1 (ko) 일체형 거름망을 구비한 다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